KR101091984B1 -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기 및 정보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기 및 정보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1984B1
KR101091984B1 KR1020090103134A KR20090103134A KR101091984B1 KR 101091984 B1 KR101091984 B1 KR 101091984B1 KR 1020090103134 A KR1020090103134 A KR 1020090103134A KR 20090103134 A KR20090103134 A KR 20090103134A KR 101091984 B1 KR101091984 B1 KR 101091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ata
information control
control devic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3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6614A (ko
Inventor
홍상우
박명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3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1984B1/ko
Publication of KR20110046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6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기 및 정보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정보제어장치가 제1단말의 화면을 광선으로 포인팅하여 선택된 데이터 또는 해당 데이터의 식별자에 복사명령을 수신하면, 무선통신을 통해 해당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를 복사하여 저장하고, 정보제어장치가 저장한 데이터의 붙이기명령을 수신하면 무선통신을 통해 제2단말로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단말을 직접 조작함이 없이 원격으로 데이터를 복사하여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데이터전송, 무선통신, 원격복사

Description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기 및 정보제어장치{System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using information controller device, and terminal and information controller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보제어장치가 특정 단말의 화면을 광선으로 포인팅하여 해당 단말이 보유한 데이터를 선택해 선택된 데이터 또는 선택된 데이터의 식별자를 무선통신으로 복사하고, 다른 단말에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는,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기 및 정보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며 편집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대부분의 단말은 해당 단말이 연결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내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다른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렇듯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단말 사용자가 단말에서 제공하는 마우스, 키보드, 키패드 등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선택하고 전송 목적지를 지정하여 전송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네트워크 전송 속도의 발달과 함께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매우 효율적인 방식이 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일상생활에서 비교 적 소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데이터 전송에 소요되는 시간보다 전송을 위해 사용자 입력을 하는 시간이 더 오래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단말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직접 사용자 입력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단말과 떨어져 위치하거나, 단말의 입력장치에 직접 입력을 할 수 없는 상황 등에 있어서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가 없다. 또한, USB(Universal Serial Bus), 디스크 등의 저장장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옮기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반드시 데이터를 저장한 단말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복사하고, 대상 단말로 이동하여 데이터를 옮겨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며, 특히, 사용자가 사무실, 가정집 등의 내부에서, 간단한 동작으로 서로 다른 단말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데이터를 저장한 단말과 원격에 위치한 정보제어장치가, 해당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를 무선통신으로 복사하여 저장하고, 무선통신을 이용해 다른 단말로 저장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기 및 정보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단말, 상기 데이터의 복사명령을 수신하면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요청하고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저장한 데이터를 상기 제2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붙이기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제2단말과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한 데이터를 상기 제2단말로 전송하는 정보제어장치, 상기 정보제어장치에 포함된 광원으로부터의 광선이 화면을 포인팅(pointing)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화면상에서의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정보제어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를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정보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제1단말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은, 무선통신을 통해 데이터의 식별자를 수신하면 상기 식별자를 이용하 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데이터를 요청하고 수신하는 제2단말, 상기 데이터 식별자의 복사명령을 수신하면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식별자를 요청하고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저장한 데이터 식별자를 상기 제2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붙이기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제2단말과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한 식별자를 상기 제2단말로 전송하는 정보제어장치, 상기 정보제어장치에 포함된 광원으로부터의 광선이 화면을 포인팅(pointing)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화면상에서의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정보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선택된 데이터의 식별자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식별자를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정보제어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제2단말로부터 상기 데이터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를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2단말로 전송하는 제1단말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에서의 단말기는, 정보제어장치로부터의 광선을 감지하는 단말센서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단말송수신부, 상기 데이터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단말저장부,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의 시각적 표현을 위한 화면을 포함하는 단말표시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무선통신모듈, 상기 단말표시부의 화면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표현하고, 상기 단말센서부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제어장치로부터의 광선이 상기 단말표시부의 화면을 포인팅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화면상에서의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정보제어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상기 단말저장부에서 읽어 상기 단말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정보제어장치로 전송하는 단말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에서의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센서부는, 광센서 및 카메라 중에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제어장치부터의 광선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에서의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정보제어장치의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일정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로 선택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를 상기 정보제어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에서의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를 선택한 후, 정보제어장치의 포인팅 위치 변경에 따라 변경된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다른 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데이터 및 상기 다른 데이터를 상기 정보제어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에서의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를 선택한 후, 정보제어장치의 포인팅 위치 변경에 따라 변경된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다른 데이터로 변경하여 선택하고, 상기 다른 데이터를 상기 정보제어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에서의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선택한 데이터를 하이라이트처리하여 상기 단말표시부에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에서의 단말기는, 정보제어장치로부터의 광선을 감지하는 단말센서부,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의 식별자 송수신을 위한 단말송수신부, 상기 데이터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 데이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의 식별자 저장을 위한 단말저장부,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의 시각적 표현을 위한 화면을 포함하는 단말표시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무선통신모듈, 상기 단말표시부의 화면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표현하고, 상기 단말센서부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제어장치로부터의 광선이 상기 단말표시부의 화면을 포인팅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화면상에서의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선택하며, 상기 정보제어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선택된 데이터의 식별자를 상기 단말저장부에서 읽어 상기 단말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정보제어장치로 전송하고, 다른 단말기로부터 상기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데이터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단말저장부에서 읽어 상기 단말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다른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말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에서의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센서부는, 광센서 및 카메라 중에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제어장치부터의 광선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에서의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정보제어장치의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일정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로 선택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의 식별자를 상기 정보제어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에서의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를 선택한 후, 정보제어장치의 포인팅 위치 변경에 따라 변경된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다른 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데이터의 식별자 및 상기 다른 데이터의 식별자를 상기 정보제어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에서의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를 선택한 후, 정보제어장치의 포인팅 위치 변경에 따라 변경된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다른 데이터로 변경하여 선택하고, 상기 다른 데이터의 식별자를 상기 정보제어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에서의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선택한 데이터를 하이라이트처리하여 상기 단말표시부에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에서의 정보제어장치는, 광선을 조사하는 광원부,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한 장치센서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장치송수신부, 상기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장치저장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장치무선통신모듈, 상기 광원부의 광선으로 제1단말의 화면을 포인팅하여 선택된 상기 데이터의 복사명령을 상기 장치센서부를 통해 수신하면, 상기 장치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1단말과의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장치송수신부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장치저장부 에 저장하고, 상기 장치센서부를 통해 상기 저장한 데이터를 제2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붙이기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장치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2단말과의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장치송수신부를 거쳐 상기 저장한 데이터를 상기 제2단말로 전송하는 장치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에서의 정보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센서부는 압력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복사명령 또는 상기 붙이기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에서의 정보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임계치 이상의 압력으로부터 상기 임계치 이하의 압력으로 떨어지는 것을 인식하거나, 상기 임계치 이하의 압력에서 상기 임계치 이상의 압력으로 올라가는 것을 인식하여, 상기 복사명령 또는 상기 붙이기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에서의 정보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센서부는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또는 고도계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제어부는 상기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또는 고도계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해 특정 제스처를 감지하여 상기 붙이기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에서의 정보제어장치는, 광선을 조사하는 광원부,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 를 포함한 장치센서부, 데이터 식별자의 송수신을 위한 장치송수신부, 상기 데이터 식별자의 저장을 위한 장치저장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장치무선통신모듈, 상기 광원부의 광선으로 제1단말의 화면을 포인팅하여 선택된 상기 데이터의 식별자에 대한 복사명령을 상기 장치센서부를 통해 수신하면, 상기 장치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1단말과의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데이터 식별자를 요청하고 상기 장치송수신부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장치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장치센서부를 통해 상기 저장한 데이터 식별자를 제2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붙이기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장치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2단말과의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장치송수신부를 거쳐 상기 저장한 데이터 식별자를 상기 제2단말로 전송하는 장치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에서의 정보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센서부는 압력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복사명령 또는 상기 붙이기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에서의 정보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임계치 이상의 압력으로부터 상기 임계치 이하의 압력으로 떨어지는 것을 인식하거나, 상기 임계치 이하의 압력에서 상기 임계치 이상의 압력으로 올라가는 것을 인식하여, 상기 복사명령 또는 상기 붙이기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에서의 정보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센서부는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또는 고도계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제어부는 상기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또는 고도계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해 특정 제스처를 감지하여 상기 붙이기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은, 정보제어장치가 제1단말의 화면을 광선으로 포인팅하여 선택된 데이터의 복사명령을 수신하는 복사명령단계, 상기 복사명령을 수신한 상기 정보제어장치가 상기 제1단말과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요청하고 수신하여 저장하는 복사단계, 상기 정보제어장치가 상기 저장한 데이터를 제2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붙이기명령을 수신하는 붙이기명령단계, 상기 붙이기명령을 수신한 상기 정보제어장치가 상기 제2단말과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한 데이터를 상기 제2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사명령단계는, 상기 제1단말이 광센서 및 카메라 중에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제어장치로부터의 광선을 감지하고 상기 화면상에서의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사명령단계는, 상기 제1단말이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하이라이트 처리하여 상기 화면에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어 장치는, 상기 정보제어장치에 포함된 버튼을 이용하여 상기 복사명령 또는 상기 붙이기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어장치는, 상기 정보제어장치에 포함된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복사명령 또는 상기 붙이기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어장치는, 상기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임계치 이상의 압력으로부터 상기 임계치 이하의 압력으로 떨어지는 것을 인식하거나, 상기 임계치 이하의 압력에서 상기 임계치 이상의 압력으로 올라가는 것을 인식하여, 상기 복사명령 또는 상기 붙이기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붙이기명령단계는, 상기 정보제어장치가 내부에 포함된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또는 고도계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해 특정 제스처를 감지하여 상기 붙이기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어장치는, 상기 제2단말의 화면에 근접하고, 상기 정보제어장치가 근접함을 감지한 상기 제2단말과 무선통신 세션(session)을 설정하여,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단말은, 카메라, 적외선센서, 정전용량센서, RF센서 및 초음파센서 중에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제어장치의 근접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어장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한 상기 제2단말의 화면을 터치하고, 상기 정보제어장치가 상기 제2단말의 화면을 터치했음을 감지한 상기 제2단말과 무선통신 세션을 설정하여,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단말은 광센서 또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정보제어장치가, 상기 광센서 또는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제어장치로부터의 광선을 감지하여 상기 정보제어장치가 상기 제2단말을 포인팅하는 것으로 감지한 상기 제2단말과, 무선통신 세션을 설정하여, 상기 제2단말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은, 정보제어장치가 제1단말의 화면을 광선으로 포인팅하여 선택된 데이터의 식별자 복사명령을 수신하는 복사명령단계, 상기 복사명령을 수신한 상기 정보제어장치가 상기 제1단말과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식별자를 요청하고 수신하여 저장하는 복사단계, 상기 정보제어장치가 상기 저장한 데이터 식별자를 제2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붙이기명령을 수신하는 붙이기명령단계, 상기 붙이기명령을 수신한 상기 정보제어장치가 상기 제2단말과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한 데이터 식별자를 상기 제2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은, 상기 전송단계 이후 에, 상기 제1단말이, 상기 데이터의 식별자를 수신한 상기 제2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제1단말의 식별자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2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전송단계는, 상기 제1단말이, 상기 제1단말의 식별자를 수신한 상기 제2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사명령단계는. 상기 제1단말이 광센서 및 카메라 중에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제어장치로부터의 광선을 감지하고 상기 화면상에서의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사명령단계는. 상기 제1단말이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하이라이트 처리하여 상기 화면에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어장치는, 상기 정보제어장치에 포함된 버튼을 이용하여 상기 복사명령 또는 상기 붙이기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어장치는, 상기 정보제어장치에 포함된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복사명령 또는 상기 붙이기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어 장치는, 상기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임계치 이상의 압력으로부터 상기 임계치 이하의 압력으로 떨어지는 것을 인식하거나, 상기 임계치 이하의 압력에서 상기 임계치 이상의 압력으로 올라가는 것을 인식하여, 상기 복사명령 또는 상기 붙이기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붙이기명령단계는, 상기 정보제어장치가 내부에 포함된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또는 고도계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해 특정 제스처를 감지하여 상기 붙이기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어장치는, 상기 제2단말의 화면에 근접하고, 상기 정보제어장치가 근접함을 감지한 상기 제2단말과 무선통신 세션(session)을 설정하여, 상기 데이터 식별자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단말은, 카메라, 적외선센서, 정전용량센서, RF센서 및 초음파센서 중에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제어장치의 근접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어장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한 상기 제2단말의 화면을 터치하고, 상기 정보제어장치가 상기 제2단말의 화면을 터치했음을 감지한 상기 제2단말과 무선통신 세션을 설정하여, 상기 데이터 식별자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단말 은 광센서 또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정보제어장치가, 상기 광센서 또는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제어장치로부터의 광선을 감지하여 상기 정보제어장치가 상기 제2단말을 포인팅하는 것으로 감지한 상기 제2단말과, 무선통신 세션을 설정하여, 상기 제2단말로 상기 데이터 식별자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를 저장한 단말의 화면을 정보제어장치가 포인팅하는 동작을 통해 어떠한 데이터가 선택되었는지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어, 사용자가 다른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를 쉽게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택된 데이터 또는 선택된 데이터의 식별자에 대한 복사명령 및 다른 단말로의 붙이기명령을 정보제어장치의 센서 또는 버튼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어, 사용자가 간단한 동작만으로 특정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의 복사 및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데이터를 저장한 단말을 직접 조작함이 없이 화면을 포인팅하여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를 복사하고 다른 단말로 전송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가 증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어장치(300)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데이터 전송시스템은 제1단말(100), 제2단말(200) 및 정보제어장치(300)를 포함한다.
제1단말(100) 및 제2단말(200)은 PC(Personal Computer), 가전기기, 이동통신기기 등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든 장비 중 하나를 의미하며,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장비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제1단말(100) 및 제2단말(200)은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해 정보제어장치(300) 또는 다른 단말(100, 200)과의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 전송이 가능하다.
제1단말(100)은 사용자가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화면 및 정보제어장치(300)가 해당 화면을 광선으로 포인팅(pointing)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광센서 또는 카메라 등을 포함한다. 제1단말(100)은 정보제공장치(300)가 광선으로 화면에 표현된 특정 데이터를 포인팅하면, 해당 데이터를 특정 색상, 밝기 등으로 하이라이트처리하여 사용자가 특정 데이터가 선택되었음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정보제어장치(300)는 무선통신을 이용해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저장할 수 있는 장치이다. 정보제어장치(300)는 제1단말(100)이 보 유한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를 복사하기 위한 복사명령 및 제2단말(200)로 복사한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를 전송하기 위한 붙이기명령을 수신하는 버튼 또는 센서 등을 포함한다.
제1단말(100)은 내부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정보제어장치(300)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를 광선으로 포인팅하면, 광센서나 카메라 등을 이용해 포인팅 위치를 파악하고 대응하는 특정 데이터를 선택한다. 이때, 정보제어장치(300)가 제1단말(100)의 화면을 포인팅하는 동작은, 사용자가 정보제어장치(300)를 손에쥐고 버튼 등을 이용하여 광원으로부터의 광선으로 제1단말(1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데이터를 조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단말(100)이 데이터를 선택할 때에는, 예를 들어, 정보제어장치(300)로부터 조사된 광선의 포인팅 위치를 X좌표 및 Y좌표의 2차원 좌표로 계산하고,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위치에 대응하는 X좌표 및 Y좌표와 비교하여,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제1단말(100)이 이러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선택할 때에는, 정보제어장치(300)의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일정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데이터를 함께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1단말(100) 화면에서의 포인팅 위치 변경에 따라 다른 데이터로 변경하여 선택하거나, 다른 데이터를 기 선택된 데이터에 추가하여 선택할 수도 있다.
이후, 정보제어장치(300)가 선택된 데이터 또는 선택된 데이터의 식별자를 복사하기 위한 복사명령을 수신하면, 제1단말(100)로 해당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를 요청하고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때, 데이터의 요청 및 수신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지그비, 피코캐스트, 블루투스, UWB, Wi-Fi, WGB 또는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무선 통신 기술 중 하나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정보제어장치(300)가 수신하는 제1단말(100)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의 복사명령 또는 제2단말(200)로의 붙이기명령은 정보제어장치(300) 자체에 구비된 버튼 또는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제어장치(300)가 압력센서를 포함한 경우,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임계치 이상의 압력으로부터 임계치 이하의 압력으로 떨어지는 것을 인식하거나, 임계치 이하의 압력에서 임계치 이상의 압력으로 올라가는 것을 인식하여, 선택된 데이터 또는 선택된 데이터의 식별자 복사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정보제어장치(300)가 복사명령에 따라 제1단말(100)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를 수신하여 내부에 저장하고 나면, 사용자의 붙이기명령에 따라 제2단말(200)에 근접하거나, 제2단말(200)의 화면을 터치하거나, 정보제어장치(300)에 구비된 광원을 이용하여 제2단말(200)을 지칭하도록 포인팅하여, 이를 인식한 제2단말(200)로 무선통신을 통해 저장한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를 전송한다.
이때, 정보제어장치(300)는, 상기와 같이 임계치 이상의 압력으로부터 임계치 이하의 압력으로 떨어지는 것을 인식하거나, 임계치 이하의 압력에서 임계치 이상의 압력으로 올라가는 것을 인식하여, 저장한 데이터를 제2단말(200)로 전송하는 붙이기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 사용자는 정보제어장치(300)를 손에 쥐고, 쥐는 악력을 달리하여 복사명령 또는 붙이기명령을 정보제어장치(300)로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정보제어장치(300)가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또는 고도계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특정 제스처를 감지하면 이를 붙이기명령으로 인식하고, 내부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를 제2단말(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제스처의 동작 전에 정보제어장치(300)와 제2단말(200) 간에 무선통신 세션(session)이 이미 연결되어 있어, 이를 이용하여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도, 제2단말(200)에 근접하거나, 제2단말(200)의 화면을 터치하거나, 정보제어장치(300)에 구비된 광원을 이용하여 제2단말(200)을 지칭하도록 포인팅하는 방식으로, 이를 인식한 제2단말(200)과 무선통신 세션을 설정한 후 무선통신을 통해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를 전송할 수 있다.
만일, 제2단말(200)이 정보제어장치(300)로부터 데이터 식별자를 수신한 경우라면, 제2단말(200)은 해당 데이터 식별자를 이용하여 제1단말(100)로 데이터를 요청하고 수신한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 예를 들어, 정보제어장치(300)가 제2단말(200)로 데이터 식별자를 전송할 때에는 해당 데이터를 저장한 제1단말(100)의 식별자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제2단말(200)은 제1단말(100)의 식별자를 이용해 제1단말(100)과 무선통신 연결을 하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1단말(100)의 기능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제1단말(100)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단말(100)은 단말송수신부(110), 단말무선통신모듈(120), 단말저장부(130), 단말표시부(140), 단말센서부(150) 및 단말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말송수신부(110)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정보제어장치(300)로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를 전송하거나 제2단말(200)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단말무선통신모듈(120)은 정보제어장치(300) 또는 제2단말(200)과의 무선통신을 이용해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를 전송하기 위한 논리적 연결을 한다. 단말무선통신모듈(120)은 지그비, 피코캐스트, 블루투스, UWB, Wi-Fi 및 WGB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정보제어장치(300)와 무선통신 세션을 설정할 수 있다.
단말저장부(130)는 제1단말(100)이 보유한 데이터 및/또는 데이터 식별자의 저장소이다.
단말표시부(140)는 제1단말(100)이 보유한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장치로서, 데이터를 표현하는 화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단말표시부(140)는 브라운관 화면,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s),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액정 등의 표현수단을 포함한다.
단말센서부(150)는 단말표시부(140)의 화면을 포인팅하는 정보제어장치(300) 의 광선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한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 단말센서부(150)는, 예를 들어, 광센서 또는 카메라 등을 포함하여 정보제어장치(300)로부터의 광선 포인팅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단말제어부(160)는 단말송수신부(110), 단말무선통신모듈(120), 단말저장부(130), 단말표시부(140) 및 단말센서부(15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단말제어부(160)는 단말표시부(140)의 화면을 이용하여 단말저장부(1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정보제어장치(300)가 단말표시부(140)의 화면을 광선으로 포인팅하면, 단말센서부(150)를 이용하여 단말표시부(140) 화면상에서의 정보제어장치(300)의 포인팅 위치를 파악한다. 그리고 정보제어장치(300)의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선택하며, 정보제어장치(300)의 포인팅 위치 이동에 따라 선택한 데이터를 다른 데이터로 변경하여 선택하거나 기 선택된 데이터에 다른 데이터를 추가하여 선택하고, 선택된 데이터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단말표시부(140)에 표현한다. 또한, 단말제어부(160)는 광선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일정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데이터를 선택할 수도 있다.
데이터가 선택된 후, 단말제어부(160)가 단말송수신부(100)를 통해 정보제어장치(300)로부터 선택된 데이터 또는 선택된 데이터의 식별자를 요청받으면, 해당 선택된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를 단말저장부(130)에서 읽어 단말무선통신모듈(120)을 이용하여 단말송수신부(110)를 통해 정보제어장치(300)로 전송한다.
이때, 단말제어부(160)는 단말무선통신모듈(120)을 이용하여 정보제어장치(300)와 무선통신 세션을 설정한 후 선택된 데이터 또는 선택된 데이터의 식별자를 전송하게 되며, 무선통신 세션 설정은, 데이터 선택 전후,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 전송요청 전후 또는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 전송 직전 중 어느 때라도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만일, 제2단말(200)이 정보제어장치(300)로부터 데이터 식별자를 수신한 경우라면, 단말제어부(160)는 단말송수신부(100)를 통해 제2단말(200)로부터 해당 식별자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요청받게 된다. 그리고 단말제어부(160)는 요청된 데이터를 단말저장부(130)에서 읽어 단말무선통신모듈(120)을 이용하여 단말송수신부(110)를 통해 제2단말(200)로 전송한다. 이때, 단말제어부(160)는 단말무선통신모듈(120)을 이용하여 제2단말(200)과 무선통신 세션을 설정한 후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며, 무선통신 세션 설정은 데이터 전송 전 어느 때라도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를 복사하고 전송하는 정보제어장치(300)의 기능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어장치(300)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어장치(300)는 장치송수신부(310), 장치무선통신모듈(320), 장치저장부(330), 장치센서부(340), 장치제어부(350) 및 광원부(360)를 포함한다.
장치송수신부(310)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제1단말(100) 또는 제2단말(200) 과 데이터 또는 데이터의 식별자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장치무선통신모듈(320)은 제1단말(100) 또는 제2단말(200)과 무선통신을 이용해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의 송수신을 하기 위한 논리적 연결을 한다. 장치무선통신모듈(320)은 지그비, 피코캐스트, 블루투스, UWB, Wi-Fi 및 WGB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제1단말(100) 또는 제2단말(200)과 무선통신 세션을 설정할 수 있다.
장치저장부(330)는 제1단말(100)로부터 수신하여 정보제어장치(300)가 보유한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의 저장소이다.
장치센서부(340)는 제1단말(100)이 저장한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의 복사명령을 감지하거나, 복사한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를 제2단말(200)로 전송하는 붙이기명령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한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 장치센서부(340)는 압력센서,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또는 고도계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360)는 특정 방향으로 적외선 또는 가시광선 등의 광선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을 포함한다.
장치제어부(350)는 장치송수신부(310), 장치무선통신모듈(320), 장치저장부(330), 장치센서부(340) 및 광원부(36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장치제어부(350)는 광원부(360)의 광선을 통해 제1단말(100)의 화면을 포인팅하여 선택된 데이터 또는 선택된 데이터의 식별자에 대한 복사명령을 장치센서부(340)를 통해 수신하면, 장치무선통신모듈(320)을 이용하여 제1단말(100)과의 무선통신을 통해 해당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를 요청하고, 장치송수신부(310)를 통해 해당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를 수신하여 장치저장부(330)에 저장한다.
이후, 장치제어부(350)가 장치센서부(340)를 이용하여 제2단말(200)로 저장한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를 전송하기 위한 붙이기명령을 수신하면, 장치무선통신모듈(320)을 이용하여 제2단말(200)과의 무선통신을 통해 장치송수신부(310)를 거쳐 저장한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장치센서부(340)는 정보제어장치(300)를 보유한 사용자의 손아귀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장치제어부(350)는 해당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의 복사명령 또는 붙이기명령을 수신하고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제어부(350)가 장치센서부(340)의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임계치 이상의 압력으로부터 임계치 이하의 압력으로 떨어지는 것을 인식하거나, 임계치 이하의 압력에서 임계치 이상의 압력으로 올라가는 것을 인식하여, 선택된 데이터 또는 선택된 데이터의 식별자에 대한 복사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제어부(350)는 제1단말(100)로 해당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를 요청하고, 장치무선통신모듈(320)을 이용해 설정한 무선통신 세션을 이용해 해당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를 수신하여 장치저장부(330)에 저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정보제어장치(300)를 손에 쥔 상태로 보유하고 있을 때 대략 1 psi 내지 35 psi의 압력이 정보제어장치(300)에 전달된다고 가정하면, 본 발명에서는 임계치를 50 psi로 설정하고, 50 psi 미만의 압력에서 50 psi를 초과한 압력으로의 변화를 정보제어장치(300)가 장치센서부(340)의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인식하면, 제1단말(100)로 선택된 데이터 또는 선택된 데이터의 식별자를 전송할 것을 요청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정보제어장치(300)가 장치센서부(340)의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50 psi 이상의 압력에서 50 psi 미만의 압력으로 떨어지는 것을 인식하면, 제1단말(100)로 선택된 데이터 또는 선택된 데이터의 식별자를 전송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다.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를 저장한 이후, 장치제어부(350)는 장치센서부(340)의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임계치 이상의 압력으로부터 임계치 이하의 압력으로 떨어지는 것을 인식하거나, 임계치 이하의 압력에서 임계치 이상의 압력으로 올라가는 것을 인식하여 붙이기명령을 수신한다. 그리고 장치제어부(350)는 붙이기명령에 따라 장치무선통신모듈(320)을 이용하여 설정한 무선통신 세션을 이용하여 제2단말(200)로 해당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를 전송한다.
이때에도, 예를 들어, 정보제어장치(300)가 장치센서부(340)의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50 psi 미만의 압력에서 50 psi 이상의 압력으로 올라가는 것을 인식하거나 50 psi 이상의 압력에서 50 psi 미만의 압력으로 떨어지는 것을 인식하면, 제2단말(200)로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를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임계치 압력을 50 psi로 가정하였으나, 그 값은 50 psi 미만 또는 초과의 어떠한 값도 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 요청을 위한 압력 또는 데이터 또는 데 이터 식별자 전송을 위한 압력의 임계치는 각기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정보제어장치(300)가 장치센서부(340)의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인식하는 압력은 사용자의 손아귀 전체에서 인식되는 압력의 평균값일 수도 있고, 사용자의 손아귀 일부분 또는 손가락 등을 통해 압력센서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인식한 압력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장치센서부(340)는 정보제어장치(300)를 보유한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는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또는 고도계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장치제어부(350)는 해당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또는 고도계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의 붙이기명령을 감지하면, 장치무선통신모듈(320)을 이용한 무선통신을 통해 제2단말(200)로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장치제어부(350)가 장치센서부(340)의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또는 고도계 등을 이용하여 기 정해진 설정에 따른 특정 제스처를 감지하면, 제2단말(200)로의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 붙이기명령을 수신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지자기센서는 지구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흐름을 파악해 나침반처럼 방위를 탐지할 수 있는 센서이다. 지자기는 지구가 지니고 있는 자기로서, 불변하는 것이 아니라 주기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변화한다. 어떤 지점의 지구자계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3개의 독립된 성분이 필요하며, 수평분력과 방위각 및 복각이 그에 속한다. 지자기 센서에 의한 지구자계의 결정은 X축(가로)센서, Y축(세로)센서, Z축(상하)센서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데, 즉 X축 센서와 Y축 센서는 정보제어장치(300)의 좌, 우 방향을 감지하고 Z축 센서는 정보제어장치(300)의 상, 하 방향을 감지함으로써 정보제어장치(300)의 움직임 방향을 측정한다.
가속도센서는 속도의 변화라고 하는 물리량을 특정하는 센서 운동체의 동적 진동변화(가속도)를 직접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다. 대표적으로 압전형 가속도 센서가 있는데, 운동체의 움직임에 의한 가속도 변화에 따라 센서의 실리콘 구조가 바뀌게 되고, 실리콘 구조의 변동은 실리콘에 전하를 발생시킨다. 실리콘에 발생되는 전하는 센서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를 바꾸게 되는데, 커패시턴스의 변화량을 그에 상응하는 전압 값으로 변환시키는 원리로서 운동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원리로써 동작한다.
자이로센서는 회전각가속도센서로 회전하는 각의 수직방향으로 코리올리스 힘이 발생하게 되면 이 수직힘을 가속도센서와 마찬가지의 원리로 감지하는 센서이다. 또한 고도계는 고도에 따라 변하는 기압 차(압력)을 측정하는 센서이며, 타이머는 정보제어장치(300)의 움직임이 시작된 시점과 완료된 시점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장치제어부(350)가 정보제어장치(300)를 손에 쥐고 일정방향으로 왕복하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장치센서부(340)를 통해 감지하면, 붙이기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제스처는 여러 가지가 될 수 있을 것이나,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일회성 진동을 감지한 장치제어부(350)가 붙이기명령이 수신된 것으로 인식하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패턴을 가지는 복수의 제스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장치제어부(350)가 정보제어장치(300)에 구비된 버튼을 이용하여 복사명령 또는 붙이기명령을 수신하고,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장치제어부(350)가 제2단말(200)로 제1단말(100)로부터 복사한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를 전송할 때에는,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 전송 목적 단말을 인식하기 위해,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 전송 전에 미리 제2단말(200)과 장치무선통신모듈(320)을 이용하여 무선통신 세션을 설정하고 이를 이용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정보제어장치(300)가 제2단말(200)에 근접하는 경우, 장치제어부(350)가 장치무선통신모듈(320)을 이용하여 정보제어장치(300)가 근접함을 감지한 제2단말(200)과 무선통신 세션을 설정하고,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2단말(200)은 정보제어장치(300)의 근접여부를 판단하는 카메라, 적외선센서, 정전용량센서, RF(Radio Frequency)센서 및 초음파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제어장치(300)가 터치스크린을 포함한 제2단말(200)의 화면을 터치하면, 장치제어부(350)가 장치무선통신모듈(320)을 이용하여 정보제어장치(300)가 화면을 터치했음을 감지한 제2단말(200)과 무선통신 세션을 설정하고,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별개로, 제2단말(200)이 광센서 또는 카메라 등의 센싱 장비를 포함한 경우라면, 장치제어부(350)가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광원부(360)를 이용하여 광선을 제2단말(200)로 조사하는 방식으로 제2단말(200)을 포인팅하고, 광센서 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해당 광선을 감지한 제2단말(200)과 장치무선통신모듈(320)을 이 용하여 무선통신 세션을 설정하여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를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어장치(300)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정보제어장치(300)가 제1단말(100)의 화면을 광선으로 포인팅하면(S420), 제1단말(100)은 광센서 또는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정보제어장치(300)의 화면상에서의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선택한다(S430).
단계(S430)에서는 정보제어장치(300)의 제1단말(100) 화면상에서의 포인팅 위치 변경에 따라 다른 데이터로 변경하여 선택하거나, 다른 데이터를 기 선택한 데이터에 추가하여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단계(S430)에서는 광선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일정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데이터를 함께 선택할 수도 있다. 이때, 선택되는 데이터는 하이라이트처리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제어장치(300)는 선택된 데이터의 복사명령을 수신한다(S440). 단계(S440)에서의 복사명령의 수신은 정보제어장치(300)에 구비된 버튼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고, 정보제어장치(300) 내부의 센서를 이용하여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단계(S440)에서 복사명령을 수신한 정보제어장치(300)는 내부의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제1단말(100)과 무선통신 연결을 하고(S450), 제1단말(100)로 선택 된 데이터를 요청하여(S460), 데이터를 수신하며(S470), 내부에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한다(S480). 이때, 정보제어장치(300)와 제1단말(100) 간에 무선통신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S450)는 단계(S420) 내지 단계(S460)의 전후에 그 순서를 바꾸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보제어장치(300)가 사용자의 손아귀 압력 등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한 경우라면, 단계(S440)는, 정보제어장치(300)가 압력센서를 이용해, 임계치 이상의 압력으로부터 임계치 이하의 압력으로 떨어지는 것을 감지하거나, 임계치 이하의 압력에서 임계치 이상의 압력으로 올라가는 것을 감지하여, 복사명령을 수신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후, 정보제어장치(300)는 단계(S480)에서 저장한 데이터를 제2단말(200)로 전송하기 위한 붙이기명령을 수신한다(S490). 단계(S490)에서는 정보제어장치(300)에 구비된 버튼을 이용하여 붙이기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정보제어장치(300)의 내부에 압력센서가 내재된 경우라면, 정보제어장치(300)가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임계치 이하의 압력에서 임계치 이상의 압력으로 올라가는 것을 감지하거나, 임계치 이상의 압력에서 임계치 이하의 압력으로 떨어지는 것을 감지하여, 붙이기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와 별개로, 정보제어장치(300)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는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또는 고도계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정보제어장치(300)가 해당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또는 고도계 등을 이용하여 특정 제스처를 감지하면, 붙이기명령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단계(S490)에서 붙이기명령을 수신한 정보제어장치(300)는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해 제2단말(200)과 무선통신 연결을 한다(S500). 단계(S500)에서의 무선통신 연결은 단계(S420) 내지 단계(S490) 전후에 그 순서를 바꾸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단계(S500)는, 예를 들어, 정보제어장치(300)가 제2단말(200)에 근접하는 경우, 근접함을 감지한 제2단말(200)과 정보제어장치(300)가 무선통신 세션을 설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2단말(200)은 정보제어장치(300)의 근접여부를 판단하는 카메라, 적외선센서, 정전용량센서, RF센서 및 초음파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단말(200)이 카메라를 포함한 경우라면, 단계(S500)에서 제2단말(200)은, 해당 카메라가 촬영하는 화상의 픽셀 변화를 시간 순서에 따라 비교하여 정보제어장치(300)의 근접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제2단말(200)은 이진화된(binary) 삼원색 좌표계(RGB:Red-Green-Blue Coordinates) 정보 또는 색조/채도/명도 좌표계(HSI:Hue, Saturation, Intensity Coordinates) 정보 등을 더 저장하고, 촬영된 화상의 픽셀을 저장된 좌표계 정보와 비교하여 판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2단말(200)이 적외선센서, RF센서 또는 초음파센서 중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한 경우, 단계(S500)에서 제2단말(200)은, 제2단말(200) 화면에 수평하게 XY축 방향으로 적외선(RF파,초음파)를 조사하는 상태에서, 정보제어장치(300) 또는 정보제어장치(300)를 손에 쥔 사용자의 신체가 적외선(RF파, 초음파)의 경로를 차단하 는 것을 감지하여 정보제어장치(300)의 근접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2단말(200)이 적외선센서를 포함한 경우에는, 단계(S500)에서 제2단말(200)은, 정보제어장치(300) 또는 정보제어장치(300)를 쥔 사용자의 신체에서 조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정보제어장치(300)의 근접여부를 파악할 수도 있다.
제2단말(200)이 정전용량센서를 포함한 경우에는, 단계(S500)에서 제2단말(200)은, 정보제어장치(300)가 근접한 제2단말(200)은 화면상의 위치에서 발생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해당 정전용량센서를 통해 감지하여 정보제어장치(300)의 근접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단계(S500)는, 정보제어장치(300)가 제2단말(200)의 화면을 터치하고, 해당 화면을 터치했음을 감지한 제2단말(200)과 정보제어장치(300)가 무선통신 세션을 설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단말(200)의 화면은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별개로, 제2단말(200)이 광센서 또는 카메라를 포함한 경우라면, 단계(S500)는, 정보제어장치(300)가 광선을 제2단말(200)로 조사하여 포인팅하고, 광센서 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해당 광선을 감지한 제2단말(200)과 무선통신 세션을 설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정보제어장치(300)는 단계(S480)에서 저장한 데이터를 단계(S500)에서 연결된 무선통신 세션을 이용하여 제2단말(200)로 전송한다(S510).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어장치(300)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의 단계(S420) 및 단계(S430)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단계(S420) 및 단계(S430)에 각각 대응되며 그 과정이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S430)에서 데이터 선택이 이루어지면, 정보제어장치(300)는 선택된 데이터의 식별자에 대한 복사명령을 수신한다(S540). 단계(S540)에서의 복사명령의 수신은 정보제어장치(300)에 구비된 버튼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고, 정보제어장치(300) 내부의 센서를 이용하여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단계(S540)에서 복사명령을 수신한 정보제어장치(300)는 내부의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제1단말(100)과 무선통신 연결을 하고(S550), 제1단말(100)로 선택된 데이터의 식별자를 요청하여(S560), 데이터 식별자를 수신하며(S570), 내부에 수신한 데이터 식별자를 저장한다(S580). 이때, 정보제어장치(300)와 제1단말(100) 간에 무선통신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S550)는 단계(S420) 내지 단계(S560)의 전후에 그 순서를 바꾸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보제어장치(300)가 사용자의 손아귀 압력 등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한 경우라면, 단계(S540)는, 정보제어장치(300)가 압력센서를 이용해, 임계치 이상의 압력으로부터 임계치 이하의 압력으로 떨어지는 것을 감지하거나, 임계치 이하의 압력에서 임계치 이상의 압력으로 올라가는 것을 감지하여, 복사명령을 수신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후, 정보제어장치(300)는 단계(S580)에서 저장한 데이터 식별자를 제2단말(200)로 전송하기 위한 붙이기명령을 수신한다(S590). 단계(S590)에서는 정보제 어장치(300)에 구비된 버튼을 이용하여 붙이기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정보제어장치(300)의 내부에 압력센서가 내재된 경우라면, 정보제어장치(300)가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임계치 이하의 압력에서 임계치 이상의 압력으로 올라가는 것을 감지하거나, 임계치 이상의 압력에서 임계치 이하의 압력으로 떨어지는 것을 감지하여, 붙이기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와 별개로, 정보제어장치(300)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는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또는 고도계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정보제어장치(300)가 해당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또는 고도계 등을 이용하여 특정 제스처를 감지하면, 붙이기명령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단계(S590)에서 붙이기명령을 수신한 정보제어장치(300)는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해 제2단말(200)과 무선통신 연결을 한다(S600). 단계(S600)에서의 무선통신 연결은 단계(S420) 내지 단계(S590) 전후에 그 순서를 바꾸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단계(S600)는, 예를 들어, 정보제어장치(300)가 제2단말(200)에 근접하는 경우, 근접함을 감지한 제2단말(200)과 정보제어장치(300)가 무선통신 세션을 설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2단말(200)은 정보제어장치(300)의 근접여부를 판단하는 카메라, 적외선센서, 정전용량센서, RF센서 및 초음파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동작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유사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단계(S600)는, 정보제어장치(300)가 제2단말(200)의 화면을 터치하고, 해당 화면을 터치했음을 감지한 제2단말(200)과 정보제어장치(300)가 무선통신 세션을 설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단말(200)의 화면은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별개로, 정보제어장치(300)가 적외선 또는 가시광선 등의 광선을 조사하는 광원을 포함하고 제2단말(200)은 광센서 또는 카메라를 포함한 경우라면, 단계(S600)는, 정보제어장치(300)가 광선을 제2단말(200)로 조사하여 포인팅하고, 광센서 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해당 광선을 감지한 제2단말(200)과 무선통신 세션을 설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정보제어장치(300)는 단계(S580)에서 저장한 데이터 식별자를 단계(S600)에서 연결된 무선통신 세션을 이용하여 제2단말(200)로 전송한다(S610).
단계(S610)에서 데이터 식별자를 수신한 제2단말(200)은 제1단말(100)과 무선통신 연결을 하고(S620), 제1단말(100)로 해당 식별자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요청하여(S630), 제1단말(100)이 전송한 데이터를 수신한다(S640).
단계(S620)에서의 무선통신 연결은 단계(S420) 내지 단계(S630)의 전후에 그 순서를 바꾸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단계(S620)에서의 무선통신 연결이나, 단계(S630)에서의 데이터 요청을 위해, 단계(S610)에서는 정보제어장치(300)가 제1단말(100)의 식별자를 제2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제2단말(200)은 수신한 제1단말(100)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제1단말(100)과 무선통신 세션을 설정하거나, 제1단말(100)로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하여 특정 단말이 저장한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를 복사하고 이격적으로 위치한 다른 단말로 해당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 거리 내에 복수의 단말이 있는 경우, 사용자가 해당 단말을 직접 조작함이 없이 간단한 동작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제1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의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제1단말 110: 단말송수신부
120: 단말무선통신모듈 130: 단말저장부
140: 단말표시부 150: 단말센서부
160: 단말제어부 200: 제2단말
300: 정보제어장치 310: 장치송수신부
320: 장치무선통신모듈 330: 장치저장부
340: 장치센서부 350: 장치제어부
360: 광원부

Claims (41)

  1. 정보제어장치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정보제어장치가 근접하는 경우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정보제어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단말;
    상기 데이터의 복사명령을 수신하면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요청하고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저장한 데이터를 상기 제2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붙이기명령을 수신하면 근접한 상기 제2단말과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한 데이터를 상기 제2단말로 전송하는 상기 정보제어장치;
    상기 정보제어장치에 포함된 광원으로부터의 광선이 화면을 포인팅(pointing)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화면상에서의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정보제어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를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정보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제1단말;
    을 포함하는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
  2. 정보제어장치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정보제어장치가 근접하는 경우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정보제어장치로부터 데이터의 식별자를 수신하면 상기 식별자를 이용하여 무선통신을 통해 제1단말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요청하고 수신하는 제2단말;
    상기 데이터 식별자의 복사명령을 수신하면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식별자를 요청하고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저장한 데이터 식별자를 상기 제2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붙이기명령을 수신하면 근접한 상기 제2단말과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한 식별자를 상기 제2단말로 전송하는 상기 정보제어장치;
    상기 정보제어장치에 포함된 광원으로부터의 광선이 화면을 포인팅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화면상에서의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정보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선택된 데이터의 식별자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식별자를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정보제어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제2단말로부터 상기 데이터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를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2단말로 전송하는 상기 제1단말;
    을 포함하는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
  3. 정보제어장치로부터의 광선을 감지하는 단말센서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단말송수신부;
    상기 데이터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단말저장부;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의 시각적 표현을 위한 화면을 포함하는 단말표시부;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정보제어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무선통신모듈;
    상기 단말표시부의 화면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표현하고, 상기 단말센서부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제어장치로부터의 광선이 상기 단말표시부의 화면을 포인팅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화면상에서의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정보제어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상기 단말저장부에서 읽어 상기 단말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정보제어장치로 전송하는 단말제어부;
    를 포함하는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에서의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센서부는
    광센서 및 카메라 중에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제어장치부터의 광선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에서의 단말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정보제어장치의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일정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로 선택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를 상기 정보제어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에서의 단말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를 선택한 후, 정보제어장치의 포인팅 위치 변경에 따라 변경된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다른 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데이터 및 상기 다른 데이터를 상기 정보제어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에서의 단말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를 선택한 후, 정보제어장치의 포인팅 위치 변경에 따라 변경된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다른 데이터로 변경하여 선택하고, 상기 다른 데이터를 상 기 정보제어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에서의 단말기.
  8. 정보제어장치로부터의 광선을 감지하는 단말센서부;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의 식별자 송수신을 위한 단말송수신부;
    상기 데이터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 데이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의 식별자 저장을 위한 단말저장부;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의 시각적 표현을 위한 화면을 포함하는 단말표시부;
    상기 데이터의 식별자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정보제어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다른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무선통신모듈;
    상기 단말표시부의 화면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표현하고, 상기 단말센서부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제어장치로부터의 광선이 상기 단말표시부의 화면을 포인팅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화면상에서의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선택하며, 상기 정보제어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선택된 데이터의 식별자를 상기 단말저장부에서 읽어 상기 단말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정보제어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다른 단말기로부터 상기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데이터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단말저장부에서 읽어 상기 단말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다른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말제어부;
    를 포함하는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에서의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센서부는
    광센서 및 카메라 중에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제어장치부터의 광선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에서의 단말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정보제어장치의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일정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로 선택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의 식별자를 상기 정보제어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에서의 단말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를 선택한 후, 정보제어장치의 포인팅 위치 변경에 따라 변경된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다른 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데이터의 식별자 및 상기 다른 데이터의 식별자를 상기 정보제어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에서의 단말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를 선택한 후, 정보제어장치의 포인팅 위치 변경에 따라 변경된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다른 데이터로 변경하여 선택하고, 상기 다른 데이터의 식별자를 상기 정보제어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에서의 단말기.
  13. 제3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선택한 데이터를 하이라이트처리하여 상기 단말표시부에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에서의 단말기.
  14. 광선을 조사하는 광원부;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한 장치센서부;
    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의 식별자 송수신을 위한 장치송수신부;
    상기 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 식별자의 저장을 위한 장치저장부;
    상기 데이터 또는 데이터의 식별자를 전송하기 위해 제1단말 및 제2단말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장치무선통신모듈;
    상기 광원부의 광선으로 상기 제1단말의 화면을 포인팅하여 선택된 상기 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 식별자의 복사명령을 상기 장치센서부를 통해 수신하면, 상기 장치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1단말과의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 식별자를 요청하고 상기 장치송수신부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장치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장치센서부를 통해 상기 저장한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를 상기 제2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붙이기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장치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2단말과의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장치송수신부를 거쳐 상기 저장한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식별자를 상기 제2단말로 전송하는 장치제어부;
    를 포함하는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에서의 정보제어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센서부는 압력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복사명령 또는 상기 붙이기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에서의 정보제어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임계치 이상의 압력으로부터 상기 임계치 이하의 압력으로 떨어지는 것을 인식하거나, 상기 임계치 이하의 압력에서 상기 임계치 이상의 압력으로 올라가는 것을 인식하여, 상기 복사명령 또는 상기 붙이기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에서의 정보제어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센서부는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또는 고도계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제어부는 상기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또는 고도계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해 특정 제스처를 감지하여 상기 붙이기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에서의 정보제어장치.
  18. 정보제어장치가 제1단말의 화면을 광선으로 포인팅하여 선택된 데이터의 복사명령을 수신하는 복사명령단계;
    상기 복사명령을 수신한 상기 정보제어장치가 상기 제1단말과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요청하고 수신하여 저장하는 복사단계;
    상기 정보제어장치가 상기 저장한 데이터를 제2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붙이기명령을 수신하는 붙이기명령단계;
    상기 붙이기명령을 수신한 상기 정보제어장치가 근접한 상기 제2단말과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한 데이터를 상기 제2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명령단계는
    상기 제1단말이 광센서 및 카메라 중에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제어장치로부터의 광선을 감지하고 상기 화면상에서의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명령단계는
    상기 제1단말이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하이라이트 처리하여 상기 화면에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어장치는
    상기 정보제어장치에 포함된 버튼을 이용하여 상기 복사명령 또는 상기 붙이기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어장치는
    상기 정보제어장치에 포함된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복사명령 또는 상기 붙이기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어장치는
    상기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임계치 이상의 압력으로부터 상기 임계치 이하의 압력으로 떨어지는 것을 인식하거나, 상기 임계치 이하의 압력에서 상기 임계치 이상의 압력으로 올라가는 것을 인식하여, 상기 복사명령 또는 상기 붙이기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붙이기명령단계는
    상기 정보제어장치가 내부에 포함된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또 는 고도계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해 특정 제스처를 감지하여 상기 붙이기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25. 제18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어장치는
    상기 제2단말의 화면에 근접하고, 상기 정보제어장치가 근접함을 감지한 상기 제2단말과 무선통신 세션(session)을 설정하여,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말은
    카메라, 적외선센서, 정전용량센서, RF(Radio Frequency)센서 및 초음파센서 중에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제어장치의 근접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27. 제18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어장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한 상기 제2단말의 화면을 터치하고, 상기 정보제어장치가 상기 제2단말의 화면을 터치했음을 감지한 상기 제2단말과 무선통신 세션을 설정하여,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28. 제18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말은 광센서 또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정보제어장치가, 상기 광센서 또는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제어장치로부터의 광선을 감지하여 상기 정보제어장치가 상기 제2단말을 포인팅하는 것으로 감지한 상기 제2단말과, 무선통신 세션을 설정하여, 상기 제2단말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29. 정보제어장치가 제1단말의 화면을 광선으로 포인팅하여 선택된 데이터의 식별자 복사명령을 수신하는 복사명령단계;
    상기 복사명령을 수신한 상기 정보제어장치가 상기 제1단말과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식별자를 요청하고 수신하여 저장하는 복사단계;
    상기 정보제어장치가 상기 저장한 데이터 식별자를 제2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붙이기명령을 수신하는 붙이기명령단계;
    상기 붙이기명령을 수신한 상기 정보제어장치가 근접한 상기 제2단말과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한 데이터 식별자를 상기 제2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계 이후에,
    상기 제1단말이, 상기 데이터의 식별자를 수신한 상기 제2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 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제1단말의 식별자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2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전송단계는, 상기 제1단말이, 상기 제1단말의 식별자를 수신한 상기 제2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명령단계는
    상기 제1단말이 광센서 및 카메라 중에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제어장치로부터의 광선을 감지하고 상기 화면상에서의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명령단계는
    상기 제1단말이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하이라이트 처리하여 상기 화면에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34.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어장치는
    상기 정보제어장치에 포함된 버튼을 이용하여 상기 복사명령 또는 상기 붙이 기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35.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어장치는
    상기 정보제어장치에 포함된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복사명령 또는 상기 붙이기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어장치는
    상기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임계치 이상의 압력으로부터 상기 임계치 이하의 압력으로 떨어지는 것을 인식하거나, 상기 임계치 이하의 압력에서 상기 임계치 이상의 압력으로 올라가는 것을 인식하여, 상기 복사명령 또는 상기 붙이기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37.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붙이기명령단계는
    상기 정보제어장치가 내부에 포함된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또는 고도계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해 특정 제스처를 감지하여 상기 붙이기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38. 제29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어장치는
    상기 제2단말의 화면에 근접하고, 상기 정보제어장치가 근접함을 감지한 상 기 제2단말과 무선통신 세션을 설정하여, 상기 데이터 식별자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말은
    카메라, 적외선센서, 정전용량센서, RF센서 및 초음파센서 중에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제어장치의 근접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40. 제29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어장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한 상기 제2단말의 화면을 터치하고, 상기 정보제어장치가 상기 제2단말의 화면을 터치했음을 감지한 상기 제2단말과 무선통신 세션을 설정하여, 상기 데이터 식별자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41. 제29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말은 광센서 또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정보제어장치가, 상기 광센서 또는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제어장치로부터의 광선을 감지하여 상기 정보제어장치가 상기 제2단말을 포인팅하는 것으로 감지한 상기 제2단말과, 무선통신 세션을 설정하여, 상기 제2단말로 상기 데이터 식별자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KR1020090103134A 2009-10-29 2009-10-29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기 및 정보제어장치 KR101091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134A KR101091984B1 (ko) 2009-10-29 2009-10-29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기 및 정보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134A KR101091984B1 (ko) 2009-10-29 2009-10-29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기 및 정보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614A KR20110046614A (ko) 2011-05-06
KR101091984B1 true KR101091984B1 (ko) 2011-12-13

Family

ID=44238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3134A KR101091984B1 (ko) 2009-10-29 2009-10-29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기 및 정보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198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614A (ko) 201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895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able, display control method, program, portable termi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EP2583153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gesture based remote control
KR102479052B1 (ko) 복수의 컨트롤러를 이용한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US20140250245A1 (en) Modifying Functionality Based on Distances Between Devices
US10165658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5452811A (zh) 用于显示地图的用户终端设备及其方法
JP2015115046A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1091983B1 (ko)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기 및 정보제어장치
KR20140036532A (ko)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시스템, 단말과 그 기록 매체
WO2022017421A1 (zh) 交互方法、显示装置、发射装置、交互系统及存储介质
KR20140010593A (ko) 전자펜 장탈착 인식 구조를 이용한 소모전류 감소 장치 및 방법
KR101104732B1 (ko)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기 및 정보제어장치
KR20140057150A (ko) 터치 명령 및 특이 터치를 이용한 디바이스 간 컨텐츠 이동 시스템 및 방법
CN102999284B (zh) 传输方法和电子设备
KR20120061169A (ko) 터치스크린을 갖는 단말기를 이용한 목적물 제어시스템
US20130262719A1 (en) Input Components of a Device
CN112654955B (zh) 检测笔相对于电子设备的定位
KR101091984B1 (ko) 정보제어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기 및 정보제어장치
KR20130121379A (ko) 모션센서를 활용한 사용자 경험 기반의 스마트tv 구동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24162B1 (ko) 손가락 움직임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 장치와 그를 적용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600939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217216564U (zh) 信息传输装置
KR20140010205A (ko)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단말을 이용한 마우스 기능의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783389B1 (ko) 단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60061155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