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1919B1 - 보이스 코일 모듈 - Google Patents

보이스 코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1919B1
KR101091919B1 KR1020070023678A KR20070023678A KR101091919B1 KR 101091919 B1 KR101091919 B1 KR 101091919B1 KR 1020070023678 A KR1020070023678 A KR 1020070023678A KR 20070023678 A KR20070023678 A KR 20070023678A KR 101091919 B1 KR101091919 B1 KR 101091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elastic member
voice coil
lens barrel
coi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3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2845A (ko
Inventor
황산덕
권성진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3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1919B1/ko
Publication of KR20080082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2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이스 코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모바일 기기 등에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 내에 구비되는 자동 초점 조절용 보이스 코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초점 조절용 렌즈가 구비되어 있는 렌즈 배럴; 내부에 상기 렌즈 배럴을 수용하는 슬리브;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코일; 상기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어 자기장을 형성하는 마그네트; 내부에 상기 마그네트가 결합되는 요크; 상기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의 내부에 수용되는 렌즈 배럴의 상하 운동을 구속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일 측에 결합되는 포고 핀을 포함하는 보이스 코일 모듈을 개시한다.
보이스 코일 모듈, 포고 핀

Description

보이스 코일 모듈{Voice coil module}
도 1은 종래의 보이스 코일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보이스 코일 모듈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는 도 2의 보이스 코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의 단면도이다.
도 5의 도 2의 보이스 코일 모듈에 구비되는 포고 핀(pogo pin)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포고 핀(pogo pin)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7은 포고 핀(pogo pin)과 제2 탄성 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보이스 코일 모듈 110: 캡
120: 커버 131, 132: 탄성 부재
142: 슬리브 144: 코일
146: 마그네트 148: 요크
150: 렌즈 배럴 151: 렌즈
170: 홀더 180: 포고핀
본 발명은 보이스 코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모바일 기기 등에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 내에 구비되는 자동 초점 조절용 보이스 코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는 다수의 렌즈를 구비하고 있으며 렌즈를 통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기계로서, 통상적으로 다수의 렌즈 사이의 상대적인 거리를 조절하여 초점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종래, 카메라의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서 기어 등을 통하여 모터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화시키는 기계식 장치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계식 장치의 경우, 기어와 모터 사이의 마찰력 등으로 인하여 초점을 미세하게 조절하기 곤란할 뿐 아니라 각 기계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 문제 등으로 인하여 소형화가 곤란하였다.
특히, 최근에는 휴대폰, PDA 등의 모바일 통신기기 등에 카메라 모듈이 설치되어 정지화상 등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와 같은 모바일 통신기기 등에서 요구되는 소형화, 경량화, 다기능화 등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영구자석 및 코일의 유도자기력을 이용하여 정밀하게 초점을 맞추는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 장치와 같은 카메라 모듈이 개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보이스 코일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모바일 통신기기에 적용된 자동 초점 조절 장치는 다수의 렌즈로 구성된 렌즈 유닛(10)이 나사 체결방식을 통하여 상단이 중공되어 있는 렌즈 배럴(12)의 내부에 수용된다. 렌즈 배럴(12)의 외주변으로는 마그네트(20), 요크(미도시) 및 코일(24)이 배열되고, 렌즈 배럴(12)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판 스프링(32)(34)이 구비되어 상하 왕복운동을 반복하는 렌즈 배럴(12)과 고정되어 있는 마그네트(20)-요크(미도시)-코일(24) 사이를 체결하도록 구성되는데, 판 스프링(32)(34)은 코일(24)의 양 끝단에 전류를 공급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렌즈 배럴(12) 및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마그네트(20) 등의 구동부는 예를 들어 나사 결합 등을 통하여 하우징(40)의 내부에 수용되며, 하우징(40)의 상단 내측으로는 커버 플레이트(14)가 형성된다. 한편, 이와 같은 모바일 통신기기 등에 사용되는 카메라 모듈의 자동 초점 조절 장치에서는 CCD, CMOS와 같은 고해상도 이미지 센서(미도시)가 렌즈 배럴(12)의 하단에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점차 소형화되는 카메라 모듈의 광학계에서 우선적으로 피사체를 선명하게 보기 위해서는 렌즈와 이미지 센서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거나 렌즈의 곡률을 변화시켜 피사체를 이미지 센서에 선명하게 결상시키는 포커싱(focusing) 기능이 요청된다. 이와 같은 포커싱 기능을 위해서 통상적으로 렌즈 유닛(10)은 1개 이상, 통상적으로 다수의 렌즈로 구성되는데, 그 다수의 렌즈를 이동시켜 이미지 센서와의 상대적인 거리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포커싱을 구현한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이 포커싱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하나 이상의 렌즈가 광축을 중심으로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포커싱 기능을 구현하는 경우, 피사체의 위치에 따라 이미지 센서에 결상되는 피사체의 상의 위치가 바뀌게 되는데, 즉 피사체와 렌즈와의 거리에 따라 상이 형성되는 위치가 바뀌게 되는데, 이미지 센서에 선명한 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1개 이상의 렌즈가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렌즈에 있어서 포커싱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구동원으로써 예를 들어 매뉴얼, 스텝 모터, 압전 소자, 보이스 코일 모듈(Voice Coil Module, VCM) 등이 요청되고 있는데, 특히 VCM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VCM 방식을 이용한 자동 초점 조절 장치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자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트(20)와 전류가 공급되는 코일(24)을 대향적으로 배치하여 전류와 자기장의 수직방향으로 발생하는 로렌츠 힘을 이용하여 렌즈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렌즈 배럴(12)을 구동시킨다.
그런데, 모바일 통신기기 등에 적용되는 카메라 모듈에서는 CCD, CMOS와 같은 고해상도 이미지 센서가 제품화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렌즈의 초소형화 및 고정밀화 경향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렌즈 조립체 또한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소형화, 경량화, 저가격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카메라 모듈을 제작하고자 하는 경우, 종래의 보이스 코일 모듈에서는 외부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터미널(terminal)로써 판형 구조물이 사용되었다. 이와 같은 판형 구조물 터미널의 경우, 벤딩(bending)에 취약하기 때문에 보이스 코일 모듈의 조립 중 터미널이 끊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조립 후에도 보이스 코일 모듈과 외부 회로기판과의 연결의 위하여 터미널을 납땜시, 납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 지 않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잘 견디고, 보이스 코일 모듈과 외부 회로기판 사이의 전기적 접점의 역할을 원활하게 수행하는 터미널을 구비하는 보이스 코일 모듈(Voice Coil Module, VCM)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초점 조절용 렌즈가 구비되어 있는 렌즈 배럴; 내부에 상기 렌즈 배럴을 수용하는 슬리브;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코일; 상기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어 자기장을 형성하는 마그네트; 내부에 상기 마그네트가 결합되는 요크; 상기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의 내부에 수용되는 렌즈 배럴의 상하 운동을 구속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일 측에 결합되는 포고 핀을 포함하는 보이스 코일 모듈을 개시한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잘 견디고, 보이스 코일 모듈과 외부 회로기판 사이의 전기적 접점의 역할을 원활하게 수행하는 터미널을 구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일 측에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에 상기 포고 핀이 끼워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포고 핀은, 일 측이 개구된 원통형의 플런저; 상기 플런저의 하부에 결합하여 상기 플런저에 대하여 인입, 인출되는 배럴; 및 상기 플런저와 배럴 사이에 배치되어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헤드 부분은 크라운 형태 및 일자 형태 중 어느 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포고 핀은, 상기 보이스 코일 모듈과 상기 보이스 코일 모듈 외부의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전기적인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슬리브의 상측에서 상기 슬리브를 광축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슬리브의 하측에서 상기 슬리브를 광축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판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보이스 코일 모듈(Voice coil module)(100)은, 제1 탄성 부재(131), 제2 탄성 부재(132), 슬리브(142), 코일(144), 마그네트(146), 요크(148), 렌즈 배럴(150) 및 포고 핀(180)을 포함한다. 또한, 캡(110), 커버(120), 홀더(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배럴(15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151)로 구성되어 있는 렌즈 유닛이 내부에 수용된다. 렌즈 유닛을 구성하는 렌즈(151)의 수는 임의로 조정될 수 있으며, 렌즈 유닛을 구성하는 다수의 렌즈(151)는 각 렌즈(151)의 광축이 일치하도록 렌즈 배럴(150)에 수용 조립된다. 렌즈 배럴(150)은 직선 운동하는 슬리브(142) 내부에 삽입 장착되어 슬리브(142)와 함께 직선 운동함으로써 초점을 조절하게 된다.
렌즈 배럴(150)의 외주변에는 렌즈 배럴(150)을 상하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슬리브(142), 코일(144), 마그네트(146) 및 요크(148)가 측설된다.
슬리브(142)는 내부에 렌즈 배럴(150)이 수용될 수 있도록 속이 빈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슬리브(142)의 내부에 렌즈 배럴(150)이 결합하여 슬리브(142)와 렌즈 배럴(150)이 일체로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렌즈 배럴(150)과 슬리브(142)의 결합을 위하여, 렌즈 배럴(150)의 외주면과 슬리브(142)의 내주면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렌즈 배럴(150)과 슬리브(142)에 각각 결합홀이 형성되어, 별도의 체결 부재에 의하여 렌즈 배럴(150)과 슬리브(142)가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렌즈 배럴(150)과 슬리브(142) 사이의 결합 관계로서 나사결합 또는 볼트 결합 등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렌즈 배럴(150)과 슬리브(142)가 결합할 수 있는 다양한 결합 형태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슬리브(142)의 외측으로는 렌즈 배럴(150)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외부의 전원공급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코일(144)이 결합된다. 도면에는 코일(144)이 두 개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보이스 코일 모듈(100)이 배치되는 전자 기기의 사양 또는 사용 환경에 따라 코일의 개수 및 특성이 변경 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슬리브(142) 및 슬리브(142)에 결합된 코일(144)의 외측으로는 마그네트(146)가 배치된다. 마그네트(146)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 내에서 코일(144)의 유도자기력이 생성되어 슬리브(142), 코일(144) 및 렌즈 배럴(150)의 직선운동을 유발시키게 된다. 이러한 마그네트(146)로는 영구자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는 마그네트(146)가 네 개의 조각으로 분리되어 슬리브(142)를 감싸는 것으로 도 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보이스 코일 모듈(100)의 설계 및 제조상의 편의성 또는 사용 환경에 따라 마그네트(146)의 개수 및 특성이 변경 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배치를 갖는 마그네트(146) 및 코일(144)에 따른 유도자기력에 의하여 슬리브(142), 렌즈 배럴(150) 및 그 내부에 수용/조립되는 렌즈 유닛 역시 광축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라 렌즈 배럴(150)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있는 코일(144)로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144)과 대향적으로 형성된 마그네트(146)에 의하여 형성된 자기장에서 코일(144)의 유도자기력이 로렌츠 힘으로 작용하여 렌즈 배럴(150)의 광축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유발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144)은 마그네트(146)로부터 형성되는 자력선의 흐름 방향을 변경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요크(148)는 속이 빈 상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이러한 중공부에 상술한 렌즈 배럴(150), 슬리브(142), 코일(144), 마그네트(146)가 수용된다. 그리고, 요크(148)의 상부에는 캡(110) 및 커버(12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캡(110)과 커버(120)는 요크(148) 내에 수용되는 슬리브(142), 코일(144), 마그네트(146), 렌즈 배럴(150) 등이 외부로 탈거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동시에, 제1 탄성 부재(131)와 제2 탄성 부재(132)의 탄성 계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요크(148)의 하부에는 홀더(170)가 형성되어 상술한 슬리브(142), 코일(144), 마그네트(146), 렌즈 배럴(150)을 지지한다. 홀더(170)는 영상기억소자인 이미지 센서(미 도시), 예를 들면 CCD 또는 CMOS 위에 장착된다.
상술한 렌즈 배럴(150), 슬리브(142), 코일(144), 마그네트(146) 및 요크(148)의 상호 이동관계는 다음과 같다. 먼저, 렌즈 배럴(150)과 슬리브(142)는 나사 결합을 하여 고정되고, 슬리브(142)의 외측에는 코일(144)이 끼워짐으로써, 렌즈 배럴(150)과 슬리브(142)와 코일(144)은 일체로 상하 이동을 한다. 한편, 최외곽의 하우징을 이루는 요크(148)의 내측에는 마그네트(146)가 고정 결합된다. 따라서, 고정되어 있는 요크(146) 및 마그네트(146)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부에서,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렌즈 배럴(150), 슬리브(142) 및 코일(144)이 함께 상하 이동을 하는 것이다. 이때, 렌즈 배럴(150), 슬리브(142) 및 코일(144)의 상하 이동은 코일(144)과 마그네트(146)에 의하여 형성된 자기장에 의하여 수행된다.
한편, 커버(120)와 슬리브(142) 사이에는 제1 탄성 부재(131)이 개재되어 있으며, 홀더(170)와 슬리브(142) 사이에는 제2 탄성 부재(132)이 개재되어 있다. 제1 탄성 부재(131)와 제2 탄성 부재(132)는 렌즈 배럴(150)과 결합하고 있는 슬리브(142)와 접촉하여 이를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술한 코일(144)과 마그네트(146)의 상호 작용에 따른 직선 운동에 의하여 슬리브(142) 및 렌즈 배럴(150)이 이동할 경우에 원래의 위치로 돌아올 수 있도록 적당한 탄성 계수를 갖는 것이라면 특별한 종류로 제한되지 않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판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131)와 제2 탄성 부재(132)로서 2개의 판 스프링을 적용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보이스 코일 모듈(100)의 작동에 필요한 신호 단자와 접지 단자 로서 이들 판 스프링을 겸용함으로써 관련 부품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 탄성 부재(131)와 제2 탄성 부재(132)로서 일반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면 슬리브(142)의 외측의 2개의 포인트에 스프링을 고정해야 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이드를 설치하여야하므로 소형화가 어려운 반면, 판 스프링(131)(132)은 슬리브(142)와 적은 점유면적을 가지고 면 접촉하므로 균일한 탄성에 의한 편심 방지와 소형화에 유용하다. 또한, 제2 탄성 부재(132)에는 외부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포고 핀(180)이 결합한다. 포고 핀(18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이와 같은 보이스 코일 모듈(10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120)와 슬리브(142) 사이에는 제1 탄성 부재(131)가 개재되어 있으며, 홀더(170)와 슬리브(142) 사이에는 제2 탄성 부재(132)가 개재되어, 슬리브(142)를 광축 방향에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렌즈 조립체를 통과한 피사체의 영상이 보이스 코일 모듈(100)의 하부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미도시)로 전달되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고, 카메라 모듈 본체에 구비된 제어부로 전송되어 포커싱이 수행되고, 이 과정에서 렌즈 배럴(150)과 결합된 슬리브(142)가 광축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보이스 코일 모듈(100)이 채택된 기기, 예컨대 모바일 통신기기의 사용자가 촬영 버튼을 누르면 이미지 센서(미도시)가 작동되고, 렌즈 배럴(150)의 전방에 위치한 피사체의 상은 렌즈 배럴(150) 내의 렌즈(151)를 통과하여 이미지 센서에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어 카메라 모듈 내의 제어부(미도시)로 전송된다. 제어부에서 이미지 센서로 전달된 피사체의 영상 신호가 흐릿하면, 렌즈 유닛의 포커싱 에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렌즈 배럴(150)이 결합된 슬리브(142)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류가 코일(144)로 인가된다. 코일(144)로 소정의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144)에 자기장이 발생하여 마그네트(146)로부터 전달된 자속과의 척력이나 인력에 의하여 렌즈 배럴(150)이 결합된 슬리브(142)를 광축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로렌츠의 힘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구동력에 의하여 렌즈 배럴(150)은 그 중간에 개재된 제1 탄성 부재(131) 및 하단에 체결된 제2 탄성 부재(132)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광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5의 도 2의 보이스 코일 모듈에 구비되는 포고 핀(pogo pin)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포고 핀(pogo pin)의 절개 사시도이다.
포고 핀(pogo pin)은 압축 코일 스프링을 내장하고, 압축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을 제공받아 그의 일단이 출몰하는 형태의 기계요소이다. 이와 같은 포고 핀(pogo pin)은 주로 반도체 소자 시험용 장비에 사용되었다.
상세히, 웨이퍼 레벨의 제조공정이 완료된 웨이퍼 상의 각 칩들은 패키징 공정을 수행하기 전에 EDS(Electrical Die Sorting) 공정에서 테스트 설비에 의해 전기적인 특성 검사를 받게 된다. 또한, 패키징 공정이 완료된 패키지들도 테스트 설비에 의해 전기적인 특성 검사를 받게 된다. 이는 웨이퍼의 각 칩들이나 패키지들이 반도체장치로서의 특정 기준에 적합하게 제조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최근에 들어, 반도체 소자의 고집적화가 진행되면서 포고 핀(Pogo Pin) 또는 스프링 핀(Spring Pin)이라는 탐침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컨택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컨택터는 포고 핀을 통하여 테스트 될 반도체 소자와 테스트 보드 또는 더트(Device Under Testing: DUT)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반도체 소자 시험용 장비에 주로 사용되었던 포고 핀(pogo pin)을 보이스 코일 모듈(100)의 터미널로 사용하여,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잘 견디고, 보이스 코일 모듈과 외부 회로기판 사이의 전기적 접점의 역할을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종래의 보이스 코일 모듈에서는 외부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터미널(terminal)로써 판형 구조물이 사용되었다. 이와 같은 판형 구조물 터미널의 경우, 벤딩(bending)에 취약하기 때문에 보이스 코일 모듈의 조립 중 터미널이 끊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조립 후에도 보이스 코일 모듈과 외부 회로기판과의 연결의 위하여 터미널을 납땜시, 납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보이스 코일 모듈과 외부 회로기판과의 전기적 접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또한 존재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포고 핀(pogo pin)을 보이스 코일 모듈(100)의 터미널로 사용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포고 핀(180)은 플런저(plunger)(181), 배럴(barrel)(182) 및 스프링(183)을 포함한다.
플런저(181)는 일반적으로 일 측이 개구된 원통형의 금속에 금 도금을 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런저(181)의 헤드 부분은 크라운 형태일 수도 있고, 또는 일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플런저(181)의 헤드 부분이 크라운 형 태로 형성될 경우, 외부의 인쇄회로기판과의 전기적 접속 후 접점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배럴(182)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플런저(181)의 하단에 결합한다. 플런저(181)의 내경은 배럴(182)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플런저(181)의 내측으로 배럴(182)이 수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플런저(181)의 개구부는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배럴(182)의 양단부 중 플런저(181)에 수용되는 측의 직경은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플런저(181)와 배럴(182)의 결합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된 플런저(181)와 배럴(182) 내부에는 스프링(183)이 구비되어 있다. 스프링(183)은 일반적인 스프링의 구조와 유사하게 강선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다양한 온도 조건에서도 탄성력이 적절히 유지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183)은 산화 방지 및 전기적 신호 전달 스피드를 고려하여 외부로 금으로 도금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포고 핀(pogo pin)과 제2 탄성 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홀더(도 3의 170 참조)의 상측에는 포고 핀(pogo pin)이 결합되어 있는 제2 탄성 부재(132)가 배치된다. 제1 탄성 부재(130)와 제2 탄성 부재(132)는 렌즈 배럴(150)과 결합하고 있는 슬리브(142)와 접촉하여 이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동시에, 보이스 코일 모듈(100)의 작동에 필요한 신호 단자와 접지 단 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2 탄성 부재(132)에는, 제2 탄성 부재(132)와 외부의 인쇄회로기판(미도시)과의 전기적 접점의 역할을 수행하는 포고 핀(180)이 결합한다. 여기서, 제2 탄성 부재(132) 상에 포고 핀(180)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의 홀이 형성되어, 제2 탄성 부재(132) 상에 포고 핀(180)이 결합될 수도 있다. 또는, 별도의 접착 부재 등에 의하여 제2 탄성 부재(132) 상에 포고 핀(180)이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보이스 코일 모듈(100)의 터미널로써 내부에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는 포고 핀(180)을 구비함으로써, 보이스 코일 모듈(100)과 외부 회로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원활하게 하고, 연결시 발생하는 기계적인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탄성 부재(131) 및 제2 탄성 부재(13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슬리브(142) 및 이와 결합된 렌즈 배럴(150)과 접촉하여 이를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슬리브(142) 및 이와 결합된 렌즈 배럴(150)이 상하 이동을 할 경우 제1 탄성 부재(131) 및 제2 탄성 부재(132)는 일정 정도 탄성 변형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탄성 부재의 변형에 의하여 탄성 부재에 결합되어 있는 판형 터미널의 위치 또한 변경되고, 이는 전기적 접속을 불안정하게 하는 요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내부에 스프링이 내장된 포고 핀을 터미널로 사용하여, 포고 핀(180)이 제2 탄성 부재(132) 및 외부의 인쇄회로기판(미도시)과 항상 안정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전기적 접속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품의 내구성 및 동작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인쇄회로기판과의 전기적인 접점으로써 포고 핀을 이용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의 랜드 사이즈(land size : 인쇄회로기판에서 전기적 접점의 형성을 위하여 전도성 부재가 돌출되어 나와있는 영역의 크기)가 감소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잘 견디고, 보이스 코일 모듈과 외부 회로기판 사이의 전기적 접점의 역할을 원활하게 수행하는 터미널을 구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보이스 코일 모듈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초점 조절용 렌즈가 구비되어 있는 렌즈 배럴;
    내부에 상기 렌즈 배럴을 수용하는 슬리브;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코일;
    상기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어 자기장을 형성하는 마그네트;
    내부에 상기 마그네트가 결합되는 요크;
    상기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의 내부에 수용되는 렌즈 배럴의 상하 운동을 구속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일 측에 결합되는 포고 핀을 포함하며,
    상기 포고 핀은, 상기 보이스 코일 모듈과 상기 보이스 코일 모듈 외부의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전기적인 접점을 형성하는 보이스 코일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일 측에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에 상기 포고 핀이 끼워지는 보이스 코일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고 핀은,
    일 측이 개구된 원통형의 플런저;
    상기 플런저의 하부에 결합하여 상기 플런저에 대하여 인입, 인출되는 배럴; 및
    상기 플런저와 배럴 사이에 배치되어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보이스 코일 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헤드 부분은 크라운 형태 및 일자 형태 중 어느 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보이스 코일 모듈.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슬리브의 상측에서 상기 슬리브를 광축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슬리브의 하측에서 상기 슬리브를 광축 방향으노 가압하는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보이스 코일 모듈.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판 스프링을 포함하는 보이스 코일 모듈.
KR1020070023678A 2007-03-09 2007-03-09 보이스 코일 모듈 KR101091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678A KR101091919B1 (ko) 2007-03-09 2007-03-09 보이스 코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678A KR101091919B1 (ko) 2007-03-09 2007-03-09 보이스 코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845A KR20080082845A (ko) 2008-09-12
KR101091919B1 true KR101091919B1 (ko) 2011-12-08

Family

ID=40021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3678A KR101091919B1 (ko) 2007-03-09 2007-03-09 보이스 코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19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9722A (ko) 2015-09-07 2017-03-16 자화전자(주) 보이스 코일 모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722B1 (ko) * 2007-05-30 2012-05-0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듈
KR101659563B1 (ko) * 2009-09-21 2016-09-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8810936B2 (en) 2010-07-12 2014-08-19 Lg Innotek Co., Ltd. Voice coil motor
EP4194917A1 (en) 2014-01-02 2023-06-14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KR102015027B1 (ko) * 2018-12-27 2019-08-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102101449B1 (ko) * 2019-08-21 2020-05-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102311819B1 (ko) * 2020-04-09 2021-10-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102186477B1 (ko) * 2020-04-09 2020-12-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US11283978B1 (en) * 2020-10-15 2022-03-22 Asm Technology Singapore Pte Ltd Aligning lens elements in a lens module relative to an image sensor
KR102438242B1 (ko) * 2020-11-27 2022-08-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9722A (ko) 2015-09-07 2017-03-16 자화전자(주) 보이스 코일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845A (ko) 200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1919B1 (ko) 보이스 코일 모듈
KR101141722B1 (ko) 보이스 코일 모듈
KR101566299B1 (ko) 보이스 코일 모듈
KR100662238B1 (ko) 구동 수단을 구비한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초점 조절 장치
KR101031849B1 (ko) 렌즈 구동장치
US20110141584A1 (en) Lens actuator module
US7576930B2 (en) Lens module
US20100208369A1 (en) Camera lens assembly
KR100770680B1 (ko) 모바일용 카메라모듈 패키지 및 이에 사용되는 액추에이터
KR101328301B1 (ko) 렌즈 액추에이터
KR100982266B1 (ko) 렌즈 구동 모듈
CN101533146A (zh) 透镜驱动装置及相机模块
CN108732714B (zh) 透镜驱动装置
CN112255862B (zh) 相机模组
TWI533044B (zh) Camera module
KR20180002077A (ko) 카메라 모듈
KR100703588B1 (ko)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
CN112394594B (zh) 相机模块
KR20100109831A (ko) 보이스 코일 모듈
US20100097713A1 (en) Lens driving device comprising a lens barrel having a lower end portion making contact with a base
CN217181355U (zh) 光学元件驱动机构
CN113568131B (zh) 透镜驱动装置、摄像装置及移动终端
KR20110008512A (ko) 보이스 코일 모듈
KR100783362B1 (ko) 생산성이 향상된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초점조절 장치
KR101184864B1 (ko) 보이스 코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