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1871B1 - 콘크리트 열량분석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열량분석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1871B1
KR101091871B1 KR1020100010896A KR20100010896A KR101091871B1 KR 101091871 B1 KR101091871 B1 KR 101091871B1 KR 1020100010896 A KR1020100010896 A KR 1020100010896A KR 20100010896 A KR20100010896 A KR 20100010896A KR 101091871 B1 KR101091871 B1 KR 101091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curing
temperature
data
calc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1185A (ko
Inventor
조호규
김형래
정웅택
유국종
이종우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0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1871B1/ko
Publication of KR20110091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1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B28B11/245Curing concrete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 전 보양공간 내부의 적정 소요열량을 분석하고 가열기기의 소요물량을 산출하기 위한 콘크리트 열량분석 방법으로써, (a) 콘크리트의 배합 및 양생온도를 가정한 후 콘크리트 수화열에 의한 온도이력의 예측과 압축강도를 추정하여 콘크리트의 최적배합 및 양생온도를 선정하는 급열량분석 사전준비단계; (b) 양생공간의 용적을 산출하는 용적산출단계; (c) 양생공간에서 주변 구조체를 통한 직접적인 열전달로 손실되는 열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양생공간에서 개구부 등을 통하여 환기로써 간접적으로 손실되는 열량을 산출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열손실량 산출단계; 및, (d) 상기 열손실량 산출단계에서 구한 열손실량을 기초로 양생을 위한 가열기기의 용량, 대수 및 설치위치 등을 정하는 최종단계;로 구성되는 콘크리트 열량분석 시뮬레이션 방법; 및,
상기 콘크리트 열량분석 시뮬레이션 방법에 의한 결과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및 가열기기 설치 전후에 각각의 구성요소가 설치되어 운영되고 무선통신망을 통해 콘크리트 양생 과정에서 측정되는 온도 데이터를 PC에 전송한 후 분석하여 콘크리트의 양생을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측정범위가 -30도에서 100도인 서미스터 소자 또는 열전대를 이용한 것으로 콘크리트 타설 전에 콘크리트의 온도 이력을 측정하고자 하는 부위에 매설되는 온도센서(10); 상기 온도센서(10)에 전원 공급을 중계하고, 온도센서(10)로부터 전달되는 잡음신호를 제거하는 신호처리부(20); 상기 온도센서(10)와 유선연결되어 상기 신호처리부(20)를 통과한 온도 데이터를 디지털 변환하는 CPU 보드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보드와 상기 CPU 보드로부터 제공받은 온도 데이터를 무선 송신해주는 무선모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이터로거(30); 상기 무선모뎀으로부터 출력되는 온도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모뎀(40); 및, 상기 수신모뎀(40)과 RS232C케이블 또는 USB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수신된 온도 데이터 정보는 저장하고, 수집된 온도 데이터를 양생관리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분석하는 PC(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열량분석 시뮬레이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열량분석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Concrete Pouring Cure Management System Using Concrete Heat Value Analysis Simulation Method}
본 발명은 콘크리트 열량분석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타설 전에 시뮬레이션을 실시하고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를 이용해 관련 기기 등을 최적의 위치 및 수량 등을 정하여 설치하며, 콘크리트 타설 후 타설 콘크리트의 온도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현재의 타설 콘크리트 온도 데이터를 온도 측정장치 설치장소가 아닌 현장사무소 등에서 파악한 후, 그 데이터를 활용하여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추정하여 이를 토대로 거푸집 탈형 및 후속공정의 진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중위도에 위치한 국내의 경우 늦가을부터 다음 해 초봄에 이르는 약 5개월간 일평균기온이 10도 미만으로, 특히 12월말부터 2월중순에 이르는 약 2개월간은 일평균기온이 4도 미만이며, 최저기온이 영하로 내려가는 일수가 많다.
이러한 저온기 또는 동절기에는 콘크리트가 동해를 입지 않는 것은 물론, 소요 재령에 적정한 수준의 압축강도가 발현될 수 있도록 보온 또는 급열양생 등의 조치를 취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저온기 및 동절기에 적절한 양생을 하여 콘크리트 골조공사가 중단없이 계속 진행되는 경우, 이 기간 동안에만 약 2개월 정도의 공사기간 단축이 가능하다.
그러나, 기존에 적용되고 있는 보온 또는 급열 양생방법은 콘크리트 주변의 적정한 온도조건 및 콘크리트 자체의 온도이력 등에 대해 충분히 고려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방수천막으로 둘러싸인 양생공간 내의 정확한 소요 열량을 계산하지 않고 경험치에 의해 갈탄이나 등유(이하, ‘화석연료’라 한다.)를 이용한 열풍기 등을 이용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보양공간 내에서도 국부적으로 심한 온도편차가 발생되며, 측벽 하부의 경우에는 급열에 따른 양생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부위도 많이 발생된다.
뿐만 아니라, 화석연료의 수입단가 상승에 따른 비용증가와 화석연료의 연소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및 폐기물 등의 발생은 주변 환경에 유해한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현장 내에서의 작업환경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기존의 급열양생 방법 적용에 따른 에너지 낭비를 방지하고 콘크리트의 양생 및 강도발현에 최적의 조건을 제공함과 동시에 저온기 및 동절기의 적정한 양생 및 보양이 가능하도록 시스템 및 프로세스의 획기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대부분의 중요 구조물의 신축현장의 경우 현장 타설 콘크리트의 적절한 품질확보를 위한 양생관리 차원에서 온도계측을 수행하고 있으며, 특히 저온기를 포함한 동절기 타설 콘크리트, 매스 콘크리트 및 고강도 콘크리트의 경우 온도계측관리의 중요성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기존 건설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보편적인 온도계측방식은 유선 방식의 데이터 자동 기록수단을 이용하여 온도, 습도, 염도, 변형률 및 펌핑 배관내 압력 등을 측정한 후 작업자가 사후에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작업 상황을 판단하고 차후 일정을 결정하고 있다.
하지만 측정된 상기 양생 관련 데이터를 관리자가 직접 현장에 나가서 체크하고,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해야 하므로, 신속한 대응이 어렵고 작업자가 작업현장에 계속 상주해 있어야 하고, 작업자의 경험에 의해 이루어져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시되는 것이다.
그 목적은 콘크리트 타설 전에 시뮬레이션을 실시하고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를 이용해 관련 기기 등을 최적의 위치 및 수량 등을 정하여 설치하며, 콘크리트 타설 후 타설 콘크리트의 온도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현재의 타설 콘크리트 온도 데이터를 온도 측정장치 설치장소가 아닌 현장사무실에서 파악한 후, 그 데이터를 활용하여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추정하여 이를 토대로 거푸집 탈형 및 후속공정의 진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하는 콘크리트 열량분석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콘크리트 열량분석 시뮬레이션 방법에 의한 결과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및 가열기기 설치 전후에 각각의 구성요소가 설치되어 운영되고 무선통신망을 통해 콘크리트 양생 과정에서 측정되는 온도 데이터를 PC에 전송한 후 분석하여 콘크리트의 양생을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측정범위가 -30도에서 100도인 서미스터 소자 또는 열전대를 이용한 것으로 콘크리트 타설 전에 콘크리트의 온도 이력을 측정하고자 하는 부위에 매설되는 온도센서(10); 상기 온도센서(10)에 전원 공급을 중계하고, 온도센서(10)로부터 전달되는 잡음신호를 제거하는 신호처리부(20); 상기 온도센서(10)와 유선연결되어 상기 신호처리부(20)를 통과한 온도 데이터를 디지털 변환하는 CPU 보드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보드와 상기 CPU 보드로부터 제공받은 온도 데이터를 무선 송신해주는 무선모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이터로거(30); 상기 무선모뎀으로부터 출력되는 온도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모뎀(40); 및, 상기 수신모뎀(40)과 RS232C케이블 또는 USB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수신된 온도 데이터 정보는 저장하고, 수집된 온도 데이터를 양생관리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분석하는 PC(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콘크리트 열량분석 시뮬레이션 방법은 콘크리트 타설 전 보양공간 내부의 적정 소요열량을 분석하고 가열기기의 소요물량을 산출하기 위한 콘크리트 열량분석 방법으로써, (a) 콘크리트의 배합 및 양생온도를 가정한 후 콘크리트 수화열에 의한 온도이력의 예측과 압축강도를 추정하여 콘크리트의 최적배합 및 양생온도를 선정하는 급열량분석 사전준비단계; (b) 양생공간의 용적을 산출하는 용적산출단계; (c) 양생공간에서 주변 구조체를 통한 직접적인 열전달로 손실되는 열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양생공간에서 개구부 등을 통하여 환기로써 간접적으로 손실되는 열량을 산출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열손실량 산출단계; 및, (d) 상기 열손실량 산출단계에서 구한 열손실량을 기초로 양생을 위한 가열기기의 용량, 대수 및 설치위치 등을 정하는 최종단계;로 구성되는 콘크리트 열량분석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콘크리트 타설 전 시뮬레이션을 통해 양생 시 소요되는 열손실량을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양생을 위한 가열기기의 용량, 대수 및 설치위치 등을 정하는 경제적인 콘크리트 열량분석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둘째, 본 발명만의 전기전열기를 사용하여 화석연료의 사용량을 현저히 감소시킴으로써 경제적이고 탄소가스 배출량을 현저히 줄이며 녹색성장의 기조에 부응하는 콘크리트 열량분석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셋째, 타설된 콘크리트의 온도 이력만을 가지고 압축강도까지 자동으로 계산이 가능하여 변수가 많은 현장에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콘크리트 열량분석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넷째, PC에 저장된 양생관리 소프트웨어가 자동으로 계산을 수행해 주므로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거푸집의 탈형 시기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콘크리트 열량분석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다섯째, 전문가가 상주하지 않더라도 대응이 가능하며, 필요시 언제라도 원거리에 있는 전문가의 자문을 받을 수 있는 콘크리트 열량분석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열량분석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을 포함한 전체 시스템의 순서도이다.
도 2는 콘크리트 온도이력 예측 소프트웨어의 입력창과 온도예측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콘크리트 온도이력 예측 소프트웨어에 의해 사전에 시뮬레이션하여 얻어진 온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양생관리 소프트웨어에 의해 시간에 따른 압축강도 발현정도를 추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 중 콘크리트의 온도계측 및 무선 송수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 중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에서 기본 데이터가 입력되는 모습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 중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에서 전송된 온도 데이터와 그 온도 데이터로부터 산정된 콘크리트의 성숙도 및 압축강도를 모니터 화면에 그래프로 출력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 중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에 의한 현장에서의 콘크리트 양생 품질관리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 중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에서 전송된 온도 데이터 이력을 이용하여 추정한 콘크리트 구조체의 압축강도와 실제 구조체로부터 채취한 코어의 강도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가열기기 중 전기전열기 배치의 실시예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열량분석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을 포함한 전체 시스템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열량분석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은,
콘크리트 열량분석 시뮬레이션 방법에 의한 결과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및 가열기기 설치 전후에 각각의 구성요소가 설치되어 운영되고 무선통신망을 통해 콘크리트 양생 과정에서 측정되는 온도 데이터를 PC에 전송한 후 분석하여 콘크리트의 양생을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측정범위가 -30도에서 100도인 서미스터 소자 또는 열전대를 이용한 것으로 콘크리트 타설 전에 콘크리트의 온도 이력을 측정하고자 하는 부위에 매설되는 온도센서(10); 상기 온도센서(10)에 전원 공급을 중계하고, 온도센서(10)로부터 전달되는 잡음신호를 제거하는 신호처리부(20); 상기 온도센서(10)와 유선연결되어 상기 신호처리부(20)를 통과한 온도 데이터를 디지털 변환하는 CPU 보드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보드와 상기 CPU 보드로부터 제공받은 온도 데이터를 무선 송신해주는 무선모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이터로거(30); 상기 무선모뎀으로부터 출력되는 온도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모뎀(40); 및, 상기 수신모뎀(40)과 RS232C케이블 또는 USB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수신된 온도 데이터 정보는 저장하고, 수집된 온도 데이터를 양생관리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분석하는 PC(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콘크리트 열량분석 시뮬레이션 방법은 콘크리트 타설 전 보양공간 내부의 적정 소요열량을 분석하고 가열기기의 소요물량을 산출하기 위한 콘크리트 열량분석 방법으로써, (a) 콘크리트의 배합 및 양생온도를 가정한 후 콘크리트 수화열에 의한 온도이력의 예측과 압축강도를 추정하여 콘크리트의 최적배합 및 양생온도를 선정하는 급열량분석 사전준비단계; (b) 양생공간의 용적을 산출하는 용적산출단계; (c) 양생공간에서 주변 구조체를 통한 직접적인 열전달로 손실되는 열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양생공간에서 개구부 등을 통하여 환기로써 간접적으로 손실되는 열량을 산출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열손실량 산출단계; 및, (d) 상기 열손실량 산출단계에서 구한 열손실량을 기초로 양생을 위한 가열기기의 용량, 대수 및 설치위치 등을 정하는 최종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열량분석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은 크게 (1) 전제부가 되는‘콘크리트 열량분석 시뮬레이션 방법’과 (2) 이를 이용한‘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1. 콘크리트 열량분석 시뮬레이션 방법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콘크리트 열량분석 시뮬레이션 방법’은 콘크리트 타설 전 보양공간 내부의 적정 소요열량을 분석하고 가열기기의 소요물량을 산출하기 위한 콘크리트 열량분석 방법으로써,
(a) 콘크리트의 배합 및 양생온도를 가정한 후 콘크리트 수화열에 의한 온도이력의 예측과 압축강도를 추정하여 콘크리트의 최적배합 및 양생온도를 선정하는 급열량분석 사전준비단계; (b) 양생공간의 용적을 산출하는 용적산출단계; (c) 양생공간에서 주변 구조체를 통한 직접적인 열전달로 손실되는 열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양생공간에서 개구부 등을 통하여 환기로써 간접적으로 손실되는 열량을 산출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열손실량 산출단계; 및, (d) 상기 열손실량 산출단계에서 구한 열손실량을 기초로 양생을 위한 가열기기의 용량, 대수 및 설치위치 등을 정하는 최종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사전준비단계’는 콘크리트의 배합 및 양생온도를 가정한 후 콘크리트 수화열에 의한 온도이력의 예측과 압축강도를 추정하여 콘크리트의 최적배합 및 양생온도를 선정하는 단계로써, 보양공간의 내부온도인 콘크리트 양생온도는 지역 및 계절에 따른 차이가 있을 것이나 10℃ 정도를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콘크리트 온도이력 예측 소프트웨어의 입력창과 온도예측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중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에서 콘크리트 온도이력 예측 소프트웨어에 의해 사전에 시뮬레이션하여 얻어진 온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양생관리 소프트웨어에 의해 시간에 따른 압축강도 발현정도를 추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서 PC(50)는 온도이력 예측 소프트웨어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양생관리 소프트웨어와 연동된다.
콘크리트 온도이력 예측 소프트웨어는 상기 양생관리 소프트웨어와 연동되며, 현장에서 콘크리트의 배합 선정을 하는 경우, 본 온도이력 예측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사전에 온도이력을 시뮬레이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그 온도이력 추정데이터를 상기한 양생관리 소프트웨어에 입력하여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간경과에 따른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발현정도를 추정함으로써, 부재조건별 및 계절별로 소요 공사기간의 확보가 가능한 최적의 콘크리트 배합을 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에서 보듯이, 콘크리트 온도이력 예측 소프트웨어의 입력창에는 콘크리트 조건에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비열, 밀도, 단위시멘트량, 타설온도, 타설시각 등이 입력되고, 거푸집에는 벽체외측, 벽체내측 및 슬래브측 거푸집의 재질을 입력하며, 외기조건에는 일평균기온, 일교차 및 외부풍속을 입력한다. 또한, 보양조건에는 양생시 필요한 각종 보양 방법으로 상부보양지붕 구비 여부, 개구부밀폐 여부, 벽 또는 슬래브의 보온매트 구비 여부, 방수시트 구비 여부, 슬래브의 스티로폼+시트 구비 여부, 실내 측 상하부온도, 상부보양막 내부온도를 기입하게 된다. 또한, 부재의 크기를 벽체와 슬래브로 구분하여 입력하며, 매설형 열선의 사용 여부에 따라 사용되는 열선조건을 입력하게 된다. 이하, 상기 입력창에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온도이력을 예측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콘크리트의 경과 시간별 온도변화는 콘크리트 내부에서 발생되는 총발열량과 표면부의 총손실열량의 관계로부터 점증법을 이용한 비정상 상태의 열해석에 의해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1) 콘크리트표준시방서에서 정하고 있는 단열온도상승 예측식으로부터 시멘트의 수화열에 의해 발생되는 열량을 구하고, 2) 외부 열원에 의해 공급되는 열량을 산정하고, 외기조건과의 사이에서 손실되는 열량을 구한 후, 3) 최종적으로 콘크리트의 온도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데 사용되는 열량은 총열량으로부터 손실되는 열량을 빼서 구하며, 최종 열량을 콘크리트의 용적에 대해 계산하면 온도상승량이 얻어지게 된다. 4) 상기 1) 내지 3) 과정을 순서대로 계산하여 온도변화값을 도출해 낸다. 이하, 상기 과정에서 사용되는 근거 계산식을 설명한다.
- 콘크리트 내부의 총발열량
콘크리트 내부에서 발생되는 총발열량은 시멘트의 수화에 의한 발열량(Qc)과 열선 사용시 가열에 따른 발열량의 총합으로서 시멘트의 수화발열량(Qc)은 식(1)에 나타낸 콘크리트의 단열온도 상승식으로부터 단열온도를 시간에 대하여 미분하고 콘크리트의 단위중량과 비열을 곱하여 단위시간당 수화발열량을 산출할 수 있으며, 그 값에 슬래브의 단면두께를 곱함으로써 단위시간 및 단위표면적당(1㎡) 콘크리트의 수화발열량을 식(2)로부터 산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0007999021-pat00001
식(1)
여기서, T : 단열온도상승(℃), t : 재령(일), 시간일 경우 1/24을 곱함, K : 최대상승온도(℃), a : 반응속도계수
Figure 112010007999021-pat00002
식(2)
여기서, Qc : 단위표면적(1㎡)당 수화발열량(kcal/㎡hr), ρc : 콘크리트의 밀도(2400kg/㎥), Cc : 콘크리트의 비열 (0.25kcal/kg℃), ΔT : 수화열에 의한 콘크리트의 온도차(℃), Δt : 단위경과시간(hour), d : 부재의 단면크기
또한, 매설형 열선을 사용하는 경우, 열선가열에 의한 발열량(Qh)은 콘크리트 부재의 단위표면적당(1㎡) 열선의 매설간격에 의해 결정되는데, 현장실험결과를 토대로 적정 매설간격을 0.2m로 가정할 경우 단위표면적당 소요 열선길이는 5m이며 열선의 발열용량을 20W/m라 하면, 다음의 식(3)에 의해 산정될 수 있다
식(3)
- 표면부의 열손실량
부재의 표면 1㎡당 단위시간동안의 손실열량 Qt는 표면피복재의 열전달계수(Kt), 부재온도(Tc)와 외기온(Te)의 차이에 의해 식(4)로부터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10007999021-pat00004
식(4)
단, 표면피복재의 종류 및 피복방법에 따른 열전달계수는 아래 [표 1] 내지 [표 3]에 각각 제시된 국내, 미국, 일본 등에서 다소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피복재료의 종류와 외기의 풍속은 계산식에 의한 콘크리트의 온도이력 예측에 있어서 가장 큰 오차요인이 될 수 있다. 외기의 풍속에 따른 열전달계수의 변화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결과, 풍속 2~3m/sec에 대하여 일본의 오오모리가와(大森川)댐의 실험에서는 12~13kcal/㎡·℃·hr, 야마가와(山川)의 실험에서는 8~11 kcal/㎡·℃·hr로 보고되고 있다.
Figure 112010007999021-pat00005
Figure 112010007999021-pat00006
Figure 112010007999021-pat00007
- 콘크리트의 내부온도 산출
콘크리트의 온도변화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열량은 위에서 도출된 총발열량과 총손실 열량의 차이로부터 얻어지는 잔여열량인 Qr(Qc + Qh - Qt)로부터 얻을 수 있으며, 식(5)에 의해 임의시점의 콘크리트 온도를 산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0007999021-pat00008
식(5)
여기서, Th+Δt : 임의 시점의 콘크리트의 내부온도 (℃), Δt : 단위경과시간 (hour), Qc : 시멘트의 수화에 의한 발열량, Qh : 열선에 의한 발열량, Qt : 총손실열량
아래의 [표 4]는 사례(Case)별로 계산예을 나타낸 것이다.

1. 순평균기온의 산정
Case -1 : 서울지역, 12월 중순, 순평균(
Figure 112010007999021-pat00009
) 기온 : 0.1
Case -2 : 경기(수원), 12월 중순, 순평균(
Figure 112010007999021-pat00010
) 기온 : -0.5

2. 초기양생기간의 평균기온의 산정
(1) 초기양생기간의 평균기온(
Figure 112010007999021-pat00011
) 가정치
Case -1 :
Figure 112010007999021-pat00012

Case -2 :
Figure 112010007999021-pat00013

(2) 계획양생온도(
Figure 112010007999021-pat00014
) : 10℃ (보양공간 내부온도)
(b)‘용적산출단계’는 양생공간의 용적을 산출하는 단계로써, 아래의 [표 5]는 사례(Case)별로 계산예을 나타낸 것이다.
1. 가열층의 바닥면적 및 용적 (1개세대 기준) Case -1 바닥면적 : 133.1m2, 층고 : 2.8m, 용적 : 372.5m3
Case -2 바닥면적 : 206.4m2, 층고 : 2.8m, 용적 : 578.0m3
2. 양생공간의 바닥면적 및 용적 Case -1 바닥면적 : 133.1+33.7 = 166.8m2, 층고 : 4.8m, 용적 : 800.6m3
Case -2 바닥면적 : 206.4+46.8 = 253.2m2, 층고 : 4.8m, 용적 : 1215.4m3
3. 양생공간의 벽체면적 Case -1 벽체면적 : 12.6*4.8+9*4.8+12.2*4.8 = 162.2m2
Case -2 벽체면적 : 16.9*4.8+13*4.8+15.3*4.8 = 217m2
(c)‘열손실량 산출단계’는 양생공간에서 주변 구조체를 통한 직접적인 열전달로 손실되는 열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양생공간에서 개구부 등을 통하여 환기로써 간접적으로 손실되는 열량을 산출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단계로써, 아래의 [표 6]은 사례(Case)별로 계산예을 나타낸 것이다.
1. 양생공간의 전열에 의한 열손실(
Figure 112010007999021-pat00015
)
열손실계수 : 콘크리트=2.9 W/m2℃, 두꺼운 폴리필름=9.3 W/m2
폴리필름 면적
- Case -1 : 162.2+166.8+(166.8-133.1)= 362.7 m2
- Case -2 : 217+253.2+(253.2-206.4) = 517 m2
열손실량
- Case -1 :
Figure 112010007999021-pat00016
=9.3*362.7+2.9*133.1=3759.1W/℃
- Case -2 :
Figure 112010007999021-pat00017
=9.3*517+2.9*206.4=5406.7W/℃
2. 환기횟수 N N s - Case-1 : 3 (회/h), Case-2 : 2 (회/h)
필름 이음매 조건 -양호 : 보정계수 B = 0.3
평면형상에 따른 보정계수 : C = 1
N = N s *A*B*C*D
- Case -1 : N = 3*1*0.3*1*1=0.9
- Case -2 : N = 2*1*0.3*1*1=0.6
3. 양생실의 환기에 의한 열손실량(
Figure 112010007999021-pat00018
)
Q 2 =0.3*N*V
- Case -1 : Q2=0.3*N*V = 0.3*0.9*162.2 = 43.8 W/℃
- Case -2 : Q2=0.3*N*V = 0.3*0.6*217 = 39 W/℃
4. 양생실의 전열/환기에 의한 총 열손실량(
Figure 112010007999021-pat00019
)
Q = ( Q 1 + Q 2 )*( T i - T me )
- Case -1 : Q = (3759.1+43.8)*(10-(-3.9)) = 52860 W
- Case -2 : Q = (5406.7+39)*(10-(-4.5)) = 78963 W
(d)‘최종단계’는 상기 열손실량 산출단계에서 구한 열손실량을 기초로 양생을 위한 가열기기의 용량, 대수 및 설치위치 등을 정하는 단계로써, 상술한 계산 프로세스 즉, (a) 내지 (c)단계에 의해 산출한 총 열손실량은 외기온 조건하에서 소요 양생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소요열량과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총 열손실량의 계산값으로부터 소요열량을 확보하기 위한 가열기기의 대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콘크리트 열량분석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열량분석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PC(50)에 내장하여 양생관리 소프트웨어와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열량분석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는 콘크리트 온도이력 예측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열손실량 산출에 관계되는 조건인 기본 데이터를 입력해주는 기본 데이터 입력모듈, 상기 입력된 기본 데이터를 이용하여 열손실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열손실량을 기초로 가열기기의 용량 등을 산정하는 계산모듈 및, 상기 기본 데이터, 열손실량 등을 모니터 화면에 출력해주는 출력모듈 등으로 구성된다.
2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
도 4는 본 발명 중 콘크리트의 온도계측 및 무선 송수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서 보듯이 본 발명 중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은 무선통신망을 통해 콘크리트 양생 과정에서 측정되는 온도 데이터를 PC에 전송한 후 분석하여 콘크리트의 양생을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온도센서(10), 신호처리부(20), 데이터로거(30), 수신모뎀(40) 및 PC(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서버(60)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온도센서(10)는 일반적으로 실험실에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의 온도측정을 위해서는 측정범위나 정도(精度) 등에서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 열전대(Thermo-couple, T-Type)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비용이 고가이며 건설현장에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 시스템에서는 -30~100℃(오차범위: ±1℃)까지 측정가능한 서미스터(Thermister, 저항값 15㏀)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미스터는 물리적 특성이 열전대와 비슷하면서도 비용이 훨씬 저렴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의 수화열에 의한 온도조건 및 국내의 동절기 외기온 조건을 고려할 때 가장 적정하기 때문이다.
신호처리부(20)는 정전압부와 필터부로 이루어져서, 상기 정전압부는 온도센서(1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공급을 중계하고, 상기 필터부는 온도센서(10)로부터 전달되는 잡음신호를 제거한다. 상기 전원공급의 방식에는 전원케이블을 이용하여 직접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과 축전지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 모두가 가능하다.
데이터로거(30)는 CPU 보드와 전원보드 및 무선모뎀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CPU 보드는 아날로그 디지탈 컨버터(ADC)와, CPU와, 플래시 롬(Frash Rom), 에스디램(SDRAM)을 포함하고 있어 상기 신호처리부(20)를 통과한 데이터를 디지털 변환한다.
또한, 상기 전원보드는 절전모드를 진행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데이터를 처리해야 할 시간에만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전기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무선모뎀은 CPU 보드로부터 제공받은 온도 데이터를 무선 송신하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은 통상 현장에 사무소를 두고 근거리에서 무선 송신을 행하게 된다.
수신모뎀(40)은 데이터로거(30)에 내장된 송신용 무선모뎀을 통해 전송된 온도 데이터를 수신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수신모뎀(40)은 현장사무실의 PC(50)와 RS232C 케이블 또는 USB케이블을 통해 연결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로거(30)에서 PC(50)로 온도 데이터를 무선 전송하는 방식은 적외선, 지그비(Zigbee), 블루투스 또는 알에프(RF)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원거리가 아닌 현장에서 사용 가능하면 충분하므로 근거리 통신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지그비(Zigbee) 통신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그비 통신방식은 기존의 무선 센서네트워크와 달리 가정, 사무실 등에서 저가, 저속, 저전력으로도 구동이 가능한 근거리 통신으로 주목받고 있는 기술로서, 전송 데이터량은 적지만 하나의 배터리로 수개월에서 수년간 지속될 수 있는 장점과, 네트워크 유연성과 확장성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수신모뎀(40)과 RS232C케이블 또는 USB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수신된 온도 데이터 정보는 PC(50)에 저장되어야 하며, PC(50)는 양생관리 소프트웨어를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PC(50)로 전송된 온도 데이터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소정 서버에 저장되어 어디서든 PC로 다운로드 받아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서버에 온도 데이터가 저장되면 현장에 전문가가 상주하지 않더라도 비상시 전문가가 서버에서 온도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콘크리트 양생 중의 이상 유무에 대한 자문을 할 수 있으며, 원거리에 소재한 전문가의 PC에 양생관리 소프트웨어가 구비된 경우라면 전문가도 직접 성숙도를 산출하여 압축강도를 추정하는 소프트웨어을 실행해 볼 수 있다.
상기 양생관리 소프트웨어는 전송된 콘크리트의 온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추정하여 콘크리트 양생과정에서 이상 유무를 파악하여 즉각 대응을 가능하게 하고, 추가 양생, 거푸집의 탈형 및 후속공정의 진행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PC(50)에 탑재된 양생관리 소프트웨어는, 콘크리트 양생에 관련되는 조건을 입력해주는 기본 데이터 입력모듈, 상기 입력된 기본 데이터 및 수신된 온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강도 추정을 위해 콘크리트의 성숙도 및 압축강도를 산정하는 계산모듈 및 상기 수신된 온도 데이터, 콘크리트의 성숙도 및 압축강도를 모니터 화면에 시간에 따른 그래프로 출력해주는 출력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본 데이터 입력모듈에서는 콘크리트 양생과 관련된 기본적인 내용을 컴퓨터에 입력해 주는 것으로, 입력되는 기본 데이터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기본 물성과 데이터로거의 채널별 온도센서의 설치위치 등이다.
도 5는 본 발명 중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에서 기본 데이터가 입력되는 모습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서 보듯이, 콘크리트의 기본 물성으로 레미콘의 28일 강도(하기의 식(3)에서 f'c(28) : 재령 28일의 압축강도, 에 해당), 하기의 식(3)에 적용되는 a,b의 값 등 하기의 식(1), (2), (3)의 적용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또한, 데이터로거의 채널별 온도센서도 입력하게 된다.
상기 계산모듈에서 콘크리트의 성숙도는 Nurse-Saul함수 또는 Arrhenius식에 의한 등가재령으로 산정하고,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ACI 강도추정식의 수정식에 의해 산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궁극적으로 콘크리트의 강도를 추정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콘크리트 구조체로부터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온도 이력으로부터 콘크리트의 강도추정이 가능한 성숙도법을 채용하였다. 즉, 무선 센서네트워크에 의해 계측되어 전송된 온도 데이터는 콘크리트 양생관리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시간으로 온도변화 그래프로 변환된 후, 온도와 시간의 관계로부터 콘크리트 성숙도를 산출하고 압축강도를 추정하여 제시하도록 구축되었다.
먼저, 콘크리트의 성숙도 산출은 Nurse-Saul함수 또는 Arrhenius식에 의한 등가재령으로 산정한다.
하기의 식(1) 및 식(2)에 나타난 콘크리트의 등가재령(Tes 또는 Tea)은 시멘트의 수화열 및 외기온조건이나 양생 방법, 부재의 단면크기 등의 영향으로 온도이력이 일정하지 않은 구조체 콘크리트의 양생 방법, 부재의 단면크기 등의 영향으로 온도이력이 일정하지 않은 구조체 콘크리트의 양생 정도(또는, 성숙도)를 표준 양생 조건인 20 내외의 수중에서 양생된 공시체의 성숙도에 해당하는 표준 양생 기간으로 변환하여 나타낸 값이다. 즉, 콘크리트의 타설 시점부터 일정시점까지의 구조체의 온도 이력을 측정하면 그 시점까지의 콘크리트의 등가재령을 산출할 수 있다. 본 시스템에서는 이렇게 산출된 등가재령을 표준 양생 콘크리트의 재령별 강도발현식에 대입함으로써 압축강도를 추정하였다.
Figure 112010007999021-pat00020
식(1)
여기서, Tes : Nurse-Saul함수에 의한 등가재령(hr 또는 day)
Tr : 등가재령 산정을 위한 표준양생온도(℃), 20℃
θ: 일평균기온(또는 평균콘크리트온도)(℃)
T0 : 기준온도(℃), 일반적으로 -10℃를 적용
Figure 112010007999021-pat00021
식(2)
여기서, Tea : Arrhenius식에 의한 등가재령(hr 또는 day)
Ta : 293℃, 절대온도(K)+20℃
E : 활성화에너지(시멘트 종류에 따른 고유값)로서 1종 시멘트의 경우, Ta≤20℃일 때, E=33.5+1.47(20-Ta) KJ/mol, Ta≥20℃일 때, E=33.5 KJ/mol
R : 기체상수 8.314 J/mol°K
다음으로, 구조체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ACI강도추정식의 수정식을 활용한다.
즉, 하기의 식(3)에서 보듯이, 우변의 재령(te)에 실제재령(t) 대신 온도이력으로부터 산정된 등가재령(Tes 또는 Tea)을 대입하는 것으로 변환하였다. 또한, 재령 28일의 압축강도란 현장 적용한 콘크리트를 표준 양생한 재령28일의 평균압축강도를 의미하나, 구조체의 부위에 따른 온도차를 고려하여 안전측으로 강도추정을 하기 위해서는 레미콘의 호칭강도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Figure 112010007999021-pat00022
식(3)
여기서, f'c(t) : 실제재령 t일에 있어서 콘크리트 압축강도
t : 임의의 실제재령
te : 임의의 재령 t일에 있어서의 등가재령
f'c(28) : 재령 28일의 압축강도. 구조체의 모든 부위에 있어서 안전측으로 강도추정을 하기 위해 적용콘크리트의 호칭강도를 적용하는 것이 적정함.
a,b : 콘크리트의 배합조건에 따른 계수로서 보통포틀랜드시멘트를 적용한 일반배합의 경우 각각 4.0, 0.85 를 적용. 단, 보통포들랜드시멘트 적용 콘크리트의 경우에도 조강성 혼화제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조기강도발현성이 우수하므로, 실제로 현장에 적용하는 콘크리트의 표준양생재령 7일 및 28일 강도로부터 계수값을 산정하는 것이 정확함.
도 8은 본 발명 중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에서 전송된 온도 데이터 이력을 이용하여 추정한 콘크리트 구조체의 압축강도와 실제 구조체로부터 채취한 코어의 강도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에서 보듯이 추정결과와 실제 구조체의 압축강도 발현경향이 매우 유사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제로 각 현자에 적용되는 콘크리트로 제작된 현장 양생 공시체의 온도 이력에 의한 성숙도와 압축강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강도추정 결과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PC(50)에 탑재된 양생관리 소프트웨어는, 데이터의 수집 및 분석 작업의 시작, 일시정지, 계속, 및 작업종료의 선택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 중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에서 전송된 온도 데이터와 그 온도 데이터로부터 산정된 콘크리트의 성숙도 및 압축강도를 모니터 화면에 그래프로 출력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서 보듯이, 전송된 온도 데이터는 양생관리 소프트웨어에 의해 모니터 화면상에 시간에 따른 그래프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전송된 온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양생관리 소프트웨어에서 콘크리트의 성숙도와 압축강도를 시간에 따라 산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모니터 화면상에 시간에 따른 그래프로 도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 중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에 의한 현장에서의 콘크리트 양생 품질관리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에서 보듯이,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 전에 콘크리트의 온도 이력을 측정하고자 하는 부위에 온도센서(10)를 매설한 후, 현장에 설치한 데이터로거에 온도센서(10)를 연결하여 온도계측을 개시한다. 콘크리트 타설이 개시되면, 타설시 콘크리트 온도와 시간 경과에 따른 온도 이력의 실시간 계측이 이루어지며, 측정된 온도 값은 동시에 현장 사무실의 PC에 연결된 수신기로 전송된다. 전송된 온도 데이터는 현장 컴퓨터에 저장되고 화면으로 출력되는 동시에 인터넷 망을 통해 서버에 저장됨으로써, 원거리에 위치한 사내의 콘크리트 전문가와 온도 데이터를 공유하게 되어 콘크리트의 양생 관리와 관련한 기술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다.
현장의 품질관리 담당자는 실시간으로 구조체 콘크리트의 온도 변화를 확인하는 동시에 임의의 시점에 있어서 콘크리트의 강도 발현 정도를 추정할 수 있으며, 외부 기상환경조건의 변화 등을 포함한 각종 현장상황에 대응하여 양생관리를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양생 관리의 적정성에 대한 판단을 하고, 추가 양생 기간 또는 후속공정의 착수시기 등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가열기기 중 전기전열기 배치의 실시예이다.
상기 가열기기는 종래의 갈탄 등의 화석연료를 이용하는 가열기기를 사용할수도 있으나, 특별히 상기 가열기기는 종래에 전혀 이용된 적이 없는 본 발명만의 전기전열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전기전열기는 전기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나선형 코일,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나선형의 가열 코일에 접촉하여 가열되면서 통과할 수 있는 원통형 가열통, 가열된 공기를 일정한 압력을 갖고 원거리까지 불어내는 것이 가능한 송풍팬, 가열기기의 온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거나 급열공간 온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높아지는 경우 전기공급이 자동 차단되도록 하기 위한 차단센서, 가열기기의 온도상승으로 인해 가열기의 전원공급이 중단되더라도 송풍기는 계속 가동되도록 하기 위한 자동 온-오프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기전열기에는 콘크리트 타설층의 슬래브 거푸집 틈새로부터 떨어지는 배합수나 페이스트로부터 가열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일체화된 금속덮개, 가열기기의 송풍높이가 1m 정도로서 갈탄스토브와 병행 적용하는 경우 갈탄스토브의 열기를 불어낼 수 있도록 가열기기를 고정하고 지지할 수 있는 받침대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선풍기와 같이 회전하도록 턴테이블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전열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배전반에 1개의 전원공급용 케이블로 접속하고 전기전열기에 설치된 전원연결 소켓을 이용하여 동일 세대내에 설치하는 상기 전기전열기는 병렬연결이 가능할 수도 있다.
상기 전기전열기는 반드시 단독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며, 종래의 화석연료를 이용하는 가열기기와 병행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자동 온-오프 장치에 의하여 송풍기가 계속 가동되는 경우 종래의 화석연료를 이용하는 가열기기에서 발생한 열을 양생공간 내에 대류시키는 역할을 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콘크리트 열량분석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은,
콘크리트 타설 전 시뮬레이션을 통해 양생 시 소요되는 열손실량을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양생을 위한 가열기기의 용량, 대수 및 설치위치 등을 정하고, 본 발명만의 전기전열기를 사용하여 화석연료의 사용량을 현저히 감소시킴으로써 경제적이고 탄소가스 배출량을 현저히 줄이며 녹색성장의 기조에 부응할 수 있다.
또한, 타설된 콘크리트의 온도 이력만을 가지고 압축강도까지 자동으로 계산이 가능하여 변수가 많은 현장에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PC에 저장된 양생관리 소프트웨어가 자동으로 계산을 수행해 주므로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거푸집의 탈형 시기 등을 파악할 수 있고, 전문가가 상주하지 않더라도 대응이 가능하여 필요시 언제라도 원거리에 있는 전문가의 자문을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 : 타설 콘크리트
10 : 온도센서
20 : 신호처리부
30 : 데이터로거
40 : 수신모뎀
50 : PC
51 : 전문가 PC
60 : 서버

Claims (12)

  1. 콘크리트 열량분석 시뮬레이션 방법에 의한 결과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및 가열기기 설치 전후에 각각의 구성요소가 설치되어 운영되고 무선통신망을 통해 콘크리트 양생 과정에서 측정되는 온도 데이터를 PC에 전송한 후 분석하여 콘크리트의 양생을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측정범위가 -30도에서 100도인 서미스터 소자 또는 열전대를 이용한 것으로 콘크리트 타설 전에 콘크리트의 온도 이력을 측정하고자 하는 부위에 매설되는 온도센서(10); 상기 온도센서(10)에 전원 공급을 중계하고, 온도센서(10)로부터 전달되는 잡음신호를 제거하는 신호처리부(20); 상기 온도센서(10)와 유선연결되어 상기 신호처리부(20)를 통과한 온도 데이터를 디지털 변환하는 CPU 보드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보드와 상기 CPU 보드로부터 제공받은 온도 데이터를 무선 송신해주는 무선모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이터로거(30); 상기 무선모뎀으로부터 출력되는 온도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모뎀(40); 및, 상기 수신모뎀(40)과 RS232C케이블 또는 USB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수신된 온도 데이터 정보는 저장하고, 수집된 온도 데이터를 양생관리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분석하는 PC(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가열기기는 전기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나선형 코일,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나선형의 가열 코일에 접촉하여 가열되면서 통과할 수 있는 원통형 가열통, 가열된 공기를 일정한 압력을 갖고 원거리까지 불어내는 것이 가능한 송풍팬, 가열기기의 온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거나 급열공간 온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높아지는 경우 전기공급이 자동 차단되도록 하기 위한 차단센서, 가열기기의 온도상승으로 인해 가열기의 전원공급이 중단되더라도 송풍기는 계속 가동되도록 하기 위한 자동 온-오프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기전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콘크리트 열량분석 시뮬레이션 방법은 콘크리트 타설 전 보양공간 내부의 적정 소요열량을 분석하고 가열기기의 소요물량을 산출하기 위한 콘크리트 열량분석 방법으로써, (a) 콘크리트의 배합 및 양생온도를 가정한 후 콘크리트 수화열에 의한 온도이력의 예측과 압축강도를 추정하여 콘크리트의 최적배합 및 양생온도를 선정하는 급열량분석 사전준비단계; (b) 양생공간의 용적을 산출하는 용적산출단계; (c) 양생공간에서 주변 구조체를 통한 직접적인 열전달로 손실되는 열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양생공간에서 개구부를 통하여 환기로써 간접적으로 손실되는 열량을 산출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열손실량 산출단계; 및, (d) 상기 열손실량 산출단계에서 구한 열손실량을 기초로 양생을 위한 가열기기의 용량, 대수 및 설치위치를 정하는 최종단계;로 구성되는 콘크리트 열량분석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의 상기 PC(50)에 탑재된 양생관리 소프트웨어는,
    콘크리트 양생에 관련되는 조건인 기본 데이터를 입력해주는 기본 데이터 입력모듈; 상기 입력된 기본 데이터 및 수신된 온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강도 추정을 위해 콘크리트의 성숙도 및 압축강도를 산정하는 계산모듈; 및, 상기 수신된 온도 데이터, 콘크리트의 성숙도 및 압축강도를 모니터 화면에 시간에 따른 그래프로 출력해주는 출력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입력되는 기본 데이터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기본 물성 및 데이터로거의 채널별 온도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상기 계산모듈에서 콘크리트의 성숙도는 Nurse-Saul함수 또는 Arrhenius식에 의한 등가재령으로 산정하고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ACI 강도추정식의 수정식에 의해 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열량분석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
  3. 제1항에서,
    상기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의 상기 PC(50)에 탑재된 양생관리 소프트웨어는,
    데이터의 수집 및 분석 작업의 시작, 일시정지, 계속, 및 작업종료의 선택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열량분석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PC(50)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기본 물성, 거푸집의 물성, 콘크리트 양생과 관련된 외기조건, 양생을 위해 추가해주는 보양조건, 콘크리트 부재의 크기 및 열선 사용 여부를 입력하는 열선조건을 포함한 기본정보를 이용해 시간에 따른 양생 온도변화값을 산정하는 온도이력 예측 소프트웨어를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양생관리 소프트웨어와 연동이 가능하며,
    상기 기본정보의 입력에 의해 타설할 콘크리트 구조체의 온도이력을 미리 시뮬레이션하여, 그 시뮬레이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양생관리 소프트웨어로 시간에 따른 압축강도의 발현 정도를 추정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열량분석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데이터로거(30)의 전원보드는 데이터를 처리해야 할 시간에만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는 절전모드를 진행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열량분석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데이터로거(30)에서 PC(50)로 온도 데이터를 무선 전송하는 방식은 적외선, 지그비(Zigbee), 블루투스 또는 알에프(RF)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열량분석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PC(50)로 전송된 온도 데이터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소정 서버에 저장되어 어디서든 PC로 다운로드 받아 활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열량분석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00010896A 2010-02-05 2010-02-05 콘크리트 열량분석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 KR101091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896A KR101091871B1 (ko) 2010-02-05 2010-02-05 콘크리트 열량분석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896A KR101091871B1 (ko) 2010-02-05 2010-02-05 콘크리트 열량분석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185A KR20110091185A (ko) 2011-08-11
KR101091871B1 true KR101091871B1 (ko) 2011-12-12

Family

ID=44928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896A KR101091871B1 (ko) 2010-02-05 2010-02-05 콘크리트 열량분석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187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560B1 (ko) * 2012-07-19 2014-01-03 한국과학기술원 콘크리트 분석방법
WO2020204959A1 (en) * 2019-04-05 2020-10-08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Method for designing for compressive strength for cement slurry
KR20220053826A (ko) 2020-10-23 2022-05-02 주식회사 비엘 콘크리트 수화열 모니터링 기반의 공사 관리 방법 및 공사 관리 시스템
RU2779174C1 (ru) * 2019-04-05 2022-09-05 Халлибертон Энерджи Сервисез, Инк. Способ составления прочности на сжатие для цементного раствор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79490B1 (en) * 2017-08-15 2019-01-07 Sensohive Technologies Aps Method and System for Prediction of Concrete Maturity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2009.03)*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560B1 (ko) * 2012-07-19 2014-01-03 한국과학기술원 콘크리트 분석방법
WO2020204959A1 (en) * 2019-04-05 2020-10-08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Method for designing for compressive strength for cement slurry
US11198649B2 (en) 2019-04-05 2021-12-14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Method for designing for compressive strength for cement slurry
RU2779174C1 (ru) * 2019-04-05 2022-09-05 Халлибертон Энерджи Сервисез, Инк. Способ составления прочности на сжатие для цементного раствора
KR20220053826A (ko) 2020-10-23 2022-05-02 주식회사 비엘 콘크리트 수화열 모니터링 기반의 공사 관리 방법 및 공사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185A (ko) 201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1870B1 (ko) 콘크리트양생관리시스템
KR101186711B1 (ko) 양생제어가 가능한 거푸집 시스템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방법
KR100821268B1 (ko) 콘크리트 양생 장치 및 방법
KR101091871B1 (ko) 콘크리트 열량분석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
CN102720364B (zh) 大体积混凝土施工的自动控温工艺
KR100997361B1 (ko) 외기온도 예측에 따른 지역난방시스템의 난방에너지 공급방법
Leardini et al. Energy upgrade to Passive House standard for historic public housing in New Zealand
CA2908217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ground or concrete temperature
Meulemans et al. QUB/e: A novel transient experimental method for in situ measurements of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 fabrics
JP2017501416A (ja) 建物の熱損失係数を求め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White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a mechanically ventilated heat recovery (MVHR) system as part of a series of UK residential energy retrofit measures
CN111102646A (zh) 基于数据驱动的智能气候补偿方法及装置
CN110328745A (zh) 用于混凝土养护的电加热系统
CN113885619B (zh) 一种超大体积混凝土的温度应力控制方法及系统
KR20220088400A (ko) 콘크리트의 양생 온도 관리 시스템
EP2269019B1 (en) Calculating heat flows for a habitable room
Atkins et al. Empower Wall: Active insulation system leveraging additive manufacturing and model predictive control
Senave et al. Mapping the pitfalls in the characterisation of the heat loss coefficient from on-board monitoring data using ARX models
RU2360084C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тепловой обработкой монолитных бетонных и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в греющей опалубке
CN208329313U (zh) 安装在楼板下侧的天棚采暖制冷结构
KR20220053826A (ko) 콘크리트 수화열 모니터링 기반의 공사 관리 방법 및 공사 관리 시스템
Martinez TESI DOCTORAL
Han et al. Proposed existing building diagnosis framework for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Mutani et al. Eco-sustainability and energy performance of a straw house
JP7035251B1 (ja) 断熱性能評価装置、断熱性能の評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