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1614B1 - 장방형 스피커 - Google Patents

장방형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1614B1
KR101091614B1 KR1020100003810A KR20100003810A KR101091614B1 KR 101091614 B1 KR101091614 B1 KR 101091614B1 KR 1020100003810 A KR1020100003810 A KR 1020100003810A KR 20100003810 A KR20100003810 A KR 20100003810A KR 101091614 B1 KR101091614 B1 KR 101091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sides
plate
coil plate
diaphrag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3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3857A (ko
Inventor
이재일
박남규
이규환
Original Assignee
이규환
박남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환, 박남규 filed Critical 이규환
Priority to KR1020100003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1614B1/ko
Publication of KR20110083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1Centering
    • H04R9/043Inner suspension or damper, e.g. spi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04R31/006Interconnection of transducer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11Aspects regarding the frame of loudspeaker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ultimedia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방형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방형의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안쪽에 장착되는 'U'자 형상의 요크, 상기 요크 안쪽에 장착되는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의 상부에 장착되는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하부에 연결되고, 양쪽 측면이 'V'자 또는 'U'자 형상의 코일판,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쪽에 'ㄴ'자 형상으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 끝단에 'V'자 또는 'U'자 형상의 끼움 홈이 형성되어 상기 코일판의 양쪽 측면이 삽입 고정되는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으로 형성된 'V'자 또는 'U'자 형상의 끼움 홈에 양쪽 측면이 'V'자 또는 'U'자 형상의 코일판을 삽입 고정한 후, 코일판과 진동판을 연결함으로써, 종래의 코일판과 진동판을 연결하기 위해 별도의 지그를 제작할 필요가 없으며, 코일판을 정위치에 배치하는 작업의 에러율을 대폭 낮추어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장방형 스피커{RECTANGLE SPEAKER}
본 발명은 장방형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방형 스피커의진동판과 코일판을 정위치에 배치하여 연결하는 작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러율을 대폭 낮추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방형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전자 기기의 내부에 직접 설치되거나, 인터페이스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스피커 역시 다양한 디자인으로 소형화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장방형 스피커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도로서, 상기 장방형 스피커는, 스피커 유니트(10)와 베이스 프레임(20), 요크(30), 마그네트(40), 플레이트(50), 코일판(60), 진동판(70), 커버(80) 및 댐퍼(90)를 포함하여 스피커의 외관을 장방형으로 구현하여, 전자 기기에서 스피커가 차지하는 공간을 대폭 줄일 수 있도록 디자인 설계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장방형 스피커는 외부 신호가 상기 코일판(60)에 권선된 코일(62)에 인가되면, 상기 코일(62)에 인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요크(30)와 상기 플레이트(50) 사이에 일정간격 이격된 코일판(60)이 직각으로 인입되어 자속이 쇄교되면서,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라 상기 진동판(70)이 상하 방향으로 진동되어 음향이 발생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장방형 스피커의 제조 과정에서, 상기 코일판(60)과 상기 진동판(70)을 직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 별도의 지그를 제작하여, 작업자가 지그를 통해 진동판(70)과 코일판(60)을 정위치에 직접 배치하여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진동판(70)에 상기 코일판(60)을 정위치에 연결하는 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불편하기 때문에, 스피커의 불량률이 놓아져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장착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으로 연장된 댐퍼의 끼움 홈에 양쪽 측부가 'V'자 형상의 코일판을 삽입 고정한 후, 코일판과 진동판을 부착함으로써, 종래의 코일판과 진동판을 부착하기 위한 별도의 지그를 제작할 필요가 없으며, 코일판이 정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에러율을 대폭 낮추어 장방형 스피커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방형 스피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베이스 프레임에 체결 고정되는 돌기가 장방형 모서리에 돌출 형성되고, 코일판의 양쪽 측면과 체결되는 'ㄴ'자 형상의 걸림턱이 양쪽으로 형성된 댐퍼 와이어와, 베이스 프레임의 장방형 모서리 부분에는 댐퍼 와이어의 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장방형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방형 스피커는, 본 발명은 장방형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방형의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안쪽에 장착되는 'U'자 형상의 요크, 상기 요크 안쪽에 장착되는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의 상부에 장착되는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하부에 연결되고, 양쪽 측면이 'V'자 형상의 코일판,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쪽에 'ㄴ'자 형상으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 끝단에 'V'자 형상의 끼움 홈이 형성되어 상기 코일판의 양쪽 측면이 삽입 고정되는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댐퍼의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면 양쪽으로 연장된 가이드부와 연결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방형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안쪽에 장착되는 'U'자 형상의 요크; 상기 요크의 안쪽에 장착되는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의 상측에 장착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연결된 에지를 통해서 장착되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하부에 연결되는 코일판;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체결 고정되는 돌기가 장방형 모서리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코일판의 양쪽 측면과 체결되는 'ㄴ'자 형상의 걸림턱이 양쪽으로 형성된 댐퍼 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댐퍼 와이어가 체결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장방형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댐퍼 와이어의 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장방형 스피커는, 예를 들어 제조 과정에서, 종래의 코일판과 진동판을 연결하기 위해 별도의 지그를 제작할 필요가 없으며, 진동판에 코일판을 정위치에 배치하여 연결하기 위한 작업 과정의 에러율을 대폭 낮추어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장방형 스피커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방형 스피커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댐퍼의 형상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댐퍼의 형상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방형 스피커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댐퍼가 분리된 장방형 스피커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장방형 스피커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방형 스피커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댐퍼의 형상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댐퍼의 형상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장방형 스피커는,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 유니트(10)와, 베이스 프레임(20), 요크(30), 마그네트(40), 플레이트(50), 코일판(60), 진동판(70), 커버(80), 댐퍼(90), 및 인터페이스(100)가 포함 구성된다.
상기 스피커 유니트(10)는 스피커의 주요 구성들을 수납하는 케이스로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되며, 각종 전자 제품과 일체로 장착되거나, 상기 전자 제품들과 별도의 인터페이스(100) 예를 들어, USB 케이블 또는 일반 케이블을 통해 연결하여 사용된다.
상기 스피커 유니트(10)의 안쪽에 장착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은, 장방형 형상으로 상부와 양측면 일부가 개방되고, 안쪽에는 상기 요크(30)가 삽입 고정된다.
상기 요크(3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의 안쪽에 장착되며, 상부와 양쪽 측면이 개방된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그네트(40)는 상기 요크(30)의 양쪽으로 형성된 내벽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바닥면에 장착되며, 상기 마그네트(40)의 상측에는 상기 플레이트(50)가 장착된다.
상기 코일판(60)은 상기 진동판(70)의 하부면에 접합되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 등의 장방형 판재에 코일(62)이 권선되고, 상기 코일(62)이 권선된 코일판(60)의 양쪽 측면이 'V'자 또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진동판(70)은 합성수지 또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레이트(5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의 상부 접합면에 에지(72)를 통해서 상호 연결되도록 장착된다.
상기 댐퍼(90)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의 양쪽에 예를 들어, 'ㄴ'자 형상으로 돌출부(92)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92) 끝단에 'V'자 또는 'U'자 형상의 끼움 홈(94)이 형성되어 상기 코일판(60)의 양쪽 측면이 삽입 고정된다.
또한, 상기 댐퍼(90)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의 하부면 양쪽으로 연장된 'ㅁ'자 형상의 가이드부(22)와 상기 'ㄴ'자 형상의 돌출부(92)가 연결되고, 상기 돌출부(92) 끝단에 'V'자 또는 'U'자 형상의 끼움 홈(94)이 형성되어 상기 코일판(60)의 양쪽 측면이 삽입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의 하부면 양쪽에는, 가전 제품 등의 음향 장치와 인터페이스(100) 예를 들어, USB 케이블 또는 일반 케이블을 통해 유선 연결되거나, 블루투스 등의 무선 신호를 직접 수신하는 도시되지 않은 회로부를 통해 변환된 음향신호를 상기 코일판(60)에 권선된 코일(62)로 입력하기 위한 입력단자(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장방형 스피커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장방형 스피커는,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의 주요 구성들을 수납하는 스피커 유니트(10)가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되며, 각종 전자 제품과 일체로 장착되거나, 상기 전자 제품들과 별도의 인터페이스(100) 예를 들어, USB 케이블 또는 일반 케이블을 통해 연결 사용한다.
또한, 상기 장방형 스피커는 제조 과정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의 양측으로 돌출 형성된 댐퍼(90)의 'V'자 또는 'U'자 끼움 홈(94)에 양쪽 측면이 'V'자 또는 'U'자 형상의 코일판(60)을 삽입 고정한 후, 상기 코일판(60)과 상기 진동판(70)을 연결하는 과정을 수행하므로, 종래의 상기 코일판(60)과 상기 진동판(70)을 연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지그를 제작할 필요가 없게 된다.
상기 스피커 유니트(10)에 설치된 인터페이스(100) 예를 들어, USB 케이블을 통해 가전 제품 등의 음향 장치로부터 음향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음향신호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의 입력단자(도시되지 않음)에 인가되어, 상기 코일판(60)에 권선된 코일(62)에 인가된다.
이때, 상기 코일(62)에 인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요크(30)와 상기 플레이트(50) 사이에 일정간격 이격된 코일판(60)이 직각으로 인입되어 자속이 쇄교되면서,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라 상기 진동판(70)이 상하 방향으로 진동되고, 이에 따라 음향이 발생하여 외부로 출력된다.
즉, 상기 코일판(60)에 권선된 코일(62)에 인가되는 신호의 세기 및 방향에 따라 상기 진동판(70)이 다양한 진폭과 주기로 진동 운동을 하게 되며, 이러한 진동 운동에 의해 음향이 발생하여 외부로 출력된다.
상기 진동판(70)의 진동 운동시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댐퍼(90)에 의해 양쪽 측면이 'V'자 또는 'U'자 형상의 코일판(60)이 상하 진동 운동이 억제되어, 출력되는 음향의 저음이 효과적으로 보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방형 스피커는 제조 과정에서,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으로 형성된 댐퍼의 'V'자 또는 'U'자 끼움 홈에 양쪽 측면이 'V'자 또는 'U'자 형상의 코일판을 삽입 고정한 후, 코일판과 진동판을 연결하여, 종래의 코일판과 진동판을 연결하기 위해 별도의 지그를 제작할 필요가 없고, 진동판에 코일판을 정위치에 연결하기 위한 작업 과정의 에러율을 대폭 낮추어 생산성을 크게 향상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방형 스피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댐퍼가 분리된 장방형 스피커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은, 장방형 형상으로 상부와 양측면 일부가 개방된다.
상기 코일판(600)은 상기 진동판(70)의 하부면에 접합되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 등의 장방형 판재에 코일(620)이 권선되고, 상기 코일(620)이 권선된 코일판(600)의 양쪽 측면이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진동판(70)은 합성수지 또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레이트(5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상부 접합면에 에지(72)를 통해서 상호 연결되도록 장착된다.
상기 댐퍼(300)는 예를 들어, 탄성력이 있는 고무, 합성수지 및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장방형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에 삽입 고정되는 돌기(310)가 모서리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코일판(600)의 양쪽 측면과 접착 연결되는 'ㄴ'자 형상의 걸림턱(320)이 양쪽으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댐퍼(300)의 돌기(310)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홈(210)이 상기 걸림턱(320)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320)은, 장방형 스피커의 제조 과정에서 상기 코일판(600)을 상기 진동판(70)에 직각이 되도록 정위치에 부착시 가이드 역할과, 상기 코일판(600)이 상하 진동시에 상기 요크(30)와 상기 플레이트(40) 사이에서 서로 간섭되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하부면 양쪽에는, 가전제품 등의 음향 장치와 인터페이스(130) 예를 들어, USB 케이블 또는 케이블 연결잭을 통해 유선 연결되거나, 블루투스 등의 무선 신호를 직접 수신하는 도시되지 않은 회로부를 통해 변환된 음향신호를 상기 코일판(600)에 권선된 코일(620)로 입력하기 위한 입력단자(240)가 설치된다.
상기 코일(620)에 인가되는 신호의 세기 및 방향에 따라 상기 코일판(600)이 상기 요크(30)와 상기 플레이트(50) 사이에서 상하 진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코일판(600)이 상기 요크(30)나 상기 마그네트(40)의 표면과 접촉되어 출력되는 음향에 왜율(distortion)이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는 댐퍼의 'ㄴ'자 형상의 걸림턱(320)을 베이스 프레임 내측에 배치되는 코일판의 양쪽 측면부에 부착하여 코일판이 상하 진동시에 요크와 플레이트 사이에서 서로 간섭되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코일판의 상하 진동시 발생하는 왜율(distortion)을 감소시키고, 코일판과 진동판을 연결하기 위해 별도의 지그를 제작할 필요가 없으며, 진동판과 코일판을 정위치에 연결하기 위한 작업 과정의 에러율을 대폭 낮추어 생산성을 크게 향상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10 : 스피커 유니트 20, 200 : 베이스 프레임
22 : 가이드부 30 : 요크
40 : 마그네트 50 : 플레이트
60, 600 : 코일판 62, 620 : 코일
70 : 진동판 72 : 에지
80 : 커버 90, 300 : 댐퍼
92 : 돌출부 94 : 끼움 홈
100 : 인터페이스 210 : 고정홈
240 : 입력단자 310 : 돌기
320 : 걸림턱

Claims (3)

  1. 장방형의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안쪽에 장착되는 'U'자 형상의 요크;
    상기 요크 안쪽에 장착되는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의 상부에 장착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연결된 에지를 통해서 장착되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하부에 연결되고, 양쪽 측면이 'V'자 형상의 코일판;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쪽에 'ㄴ'자 형상으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 끝단에 'V'자 형상의 끼움 홈이 형성되어 상기 코일판의 양쪽 측면이 삽입 고정되는 댐퍼를 포함하는 장방형 스피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의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면 양쪽으로 연장된 가이드부와 연결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방형 스피커.
  3. 장방형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안쪽에 장착되는 'U'자 형상의 요크;
    상기 요크의 안쪽에 장착되는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의 상측에 장착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연결된 에지를 통해서 장착되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하부에 연결되는 코일판;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체결 고정되는 돌기가 장방형 모서리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코일판의 양쪽 측면과 체결되는 'ㄴ'자 형상의 걸림턱이 양쪽으로 형성된 댐퍼를 포함하되,
    상기 댐퍼가 체결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댐퍼의 돌기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방형 스피커.


KR1020100003810A 2010-01-15 2010-01-15 장방형 스피커 KR101091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810A KR101091614B1 (ko) 2010-01-15 2010-01-15 장방형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810A KR101091614B1 (ko) 2010-01-15 2010-01-15 장방형 스피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857A KR20110083857A (ko) 2011-07-21
KR101091614B1 true KR101091614B1 (ko) 2011-12-12

Family

ID=44921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3810A KR101091614B1 (ko) 2010-01-15 2010-01-15 장방형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161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289Y1 (ko) 2005-10-20 2006-02-08 주식회사 성주음향 바 형상의 스피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289Y1 (ko) 2005-10-20 2006-02-08 주식회사 성주음향 바 형상의 스피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857A (ko) 201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5050B1 (ko) 통풍 구조를 지닌 음향 변환 장치
US9185494B2 (en) Inner magnet type microspeaker
KR101187510B1 (ko) 고출력 마이크로스피커
KR101770378B1 (ko) 댐퍼 진동판이 구비된 마이크로 스피커
CN103763667A (zh) 多功能电声器件
KR100948227B1 (ko) 평판형 스피커
CN105704635A (zh) 麦克风振动测试治具
EP3654669A1 (en) Symmetric dual suspension speaker structure
KR101811733B1 (ko) 댐퍼 진동판이 구비된 마이크로 스피커
KR101091614B1 (ko) 장방형 스피커
KR101101696B1 (ko) 듀얼 서스펜션 마이크로 스피커
KR101091608B1 (ko) 저음 보강 장방형 스피커
CN209201325U (zh) 扬声器
KR20100067914A (ko) 프레임과 요크의 결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피커
KR101238567B1 (ko) 조립구조와 기능이 개선된 초박형 스피커 유닛.
KR20100120446A (ko) 스피커
KR101166727B1 (ko) 음향변환장치
CN210781330U (zh) 扬声器箱
CN211959530U (zh) 发声器
KR101353442B1 (ko) 요크 및 이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
KR101468630B1 (ko) 진동판모듈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 스피커
KR20110132868A (ko) 초박형 스피커
KR20120000276U (ko) 링형 댐퍼가 장착된 장방형 스피커
KR101883449B1 (ko) 댐퍼 진동판을 구비한 방수 마이크로 스피커
KR102228309B1 (ko) 슬림형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