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0960B1 - 좌변기용 환기기구 - Google Patents

좌변기용 환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0960B1
KR101090960B1 KR1020080125693A KR20080125693A KR101090960B1 KR 101090960 B1 KR101090960 B1 KR 101090960B1 KR 1020080125693 A KR1020080125693 A KR 1020080125693A KR 20080125693 A KR20080125693 A KR 20080125693A KR 101090960 B1 KR101090960 B1 KR 101090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eat plate
odor
blower fan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5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7224A (ko
Inventor
장영석
Original Assignee
장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석 filed Critical 장영석
Priority to KR1020080125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0960B1/ko
Publication of KR20100067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7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7Seats with ventilat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10)에 설치되어 냄새를 배출하는 좌변기용 환기기구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상에 회동가능하면서 상면에 일정한 높이의 외주면과 굴곡지거나 통기된 내주면으로 형성되는 돌출벽(22)을 접하여 착탈되도록 설치되고, 착석여부를 검출하는 센서(25)를 구비하며, 외주면에 냄새의 흡입을 강화하도록 보조커버(26)를 구비하는 좌판(20); 상기 좌판(20)의 돌출벽(22) 일부에 흡입관(30)을 연장하고, 흡입관(30) 상에 송풍팬(40)을 구비하는 배기수단; 및 상기 센서(25)의 입력을 감지하여 송풍팬(40)을 가동하고, 가동상태를 표시등(55)으로 출력하되, 자동모드시 좌판(20)에 착석하는 동안 송풍팬(40)을 구동하고, 수동모드시 설정된 시간만큼 송풍팬(40)을 구동하는 모드선택버튼(52)을 구비하는 제어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저전력을 사용하면서도 용변시 발생하는 냄새를 신속하게 배출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본체상에 좌판을 손쉽게 분리 및 교체하여 본체를 교체하지 않아 비용절감의 효과를 제공한다.
좌변기, 환기, 냄새, 흡입, 배출, 유로, 착탈

Description

좌변기용 환기기구{Ventilating device for bowl}
본 발명은 좌변기용 환기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저전력을 사용하면서도 용변시 발생하는 냄새를 신속하게 배출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본체상에 좌판을 손쉽게 분리 및 교체하여 본체를 교체하지 않아 비용절감할 수 있는 좌변기용 환기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좌변기의 보급이 증가하면서 화장실의 청결도가 증대하고 있는 반면 냄새를 제거하는 환기시설은 다소 미흡하며, 설령 천정이나 창에 송풍팬을 설치하더라도 흡입효율이 높지 않아 실효를 거두기 어려운 실정이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60136호는 통상의 시트와 그 상방을 덮는 커버가 달린 케이싱으로 이루어지고, 이 케이싱의 일측은 환기관체에 의해 좌변기의 하측방으로 연통됨과 아울러, 상기 케이싱에는 좌변기의 내부 공기를 흡인하는 풍차가 비치되고, 이 풍차에 의해 흡인된 공기를 환기관체로 인도하는 배기통로를 갖추고 있으며, 또한 배기통로 상에는 밸브가 내장되어서 상기 풍차에 의해 생성되는 공기압으로 열려져서 좌변기의 내부 공기를 하측방의 배수관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개시한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20459호는 『좌변기의 뚜껑에 눌려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작은 수조 상단에 설치한 기밀부재와; 이 기밀부재의 일측에 끼워져 작은 수조 내와 연통되는 연결부재와; 이 연결부재에 연결되는 배기관; 그리고, 이 배기관의 단부에 설치되는 팬;으로 구성』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상기한 방식에 의하면 팬의 구동으로 좌변기 주변의 냄새를 강제로 배출할 수 있기는 하지만 팬과 공기유로의 관계에 있어서 효율적인 흡입이 이루어지지 않아 과도한 전력 소모가 발생하거나 냄새제거 능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환기장치는 기존의 좌변기 전체를 교체하여 사용하였기 때문에 많은 비용 소모의 단점이 있었다.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문헌1]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60136호 “좌변기의 환기장치”
[문헌2]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20459호 “좌변기용 환기장치”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저전력을 사용하면서도 용변시 발생하는 냄새를 신속하게 배출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본체상에 좌판을 손쉽게 분리 및 교체하여 본체를 교체하지 않아 비용이 절감하는 좌변기용 환기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체(10)에 설치되어 냄새를 배출하는 좌변기용 환기기구에 있어서: 상기 본체상에 회동가능하면서 상면에 일정한 높이의 외주면과 굴곡지거나 통기된 내주면으로 형성되는 돌출벽을 접하여 착탈되도록 설치되고, 착석여부를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하며, 외주면에 냄새의 흡입을 강화하도록 보조커버를 구비하는 좌판; 상기 좌판의 돌출벽 일부에 흡입관을 연장하고, 흡입관 상에 송풍팬을 구비하는 배기수단; 및 상기 센서의 입력을 감지하여 송풍팬을 가동하고, 가동상태를 표시등으로 출력하되, 자동모드시 좌판에 착석하는 동안 송풍팬을 구동하고, 수동모드시 설정된 시간만큼 송풍팬을 구동하는 모드선택버튼을 구비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저전력을 사용하면서도 용변시 발생하는 냄새를 신속하게 배출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본체상에 좌판을 손쉽게 분리 및 교체하여 본체를 교체하지 않아 비용절감의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좌변기용 환기기구에 관련되며, 좌판(20), 배기수단, 제어수단(50)을 주요구성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좌변기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좌변기의 요부를 드러내어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좌 변기의 분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본체(10)에 설치되어 냄새를 배출하는 좌변기용 환기기구에 관련된다. 본체(10)는 용변자의 착석이 가능한 양변기에 해당하며 그 형태나 종류에는 무관하다. 본체(10)의 상면은 육안으로 관찰하여 평탄한 것이 좋고, 상측으로 개폐 가능한 커버(15)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좌판(20)은 상기 본체(10)상에 회동가능하면서 상면에 돌출벽(22)을 접하여 착탈되도록 설치되고, 착석여부를 검출하는 센서(25)를 구비한다. 도면상에 도시되는 좌판(20)은 통상적으로 전방이 개방된 ∩형태이만, 전방이 개방되지 않은 O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좌판(20)은 후단에 회동과 착탈이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어 형성되어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저면의 외주면 상에 돌출벽(22)이 형성되는 바, 이러한, 돌출벽(22)은 본체(10)의 상면과 밀착하여 냄새의 이동경로인 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된다. 용변자의 착석여부를 검출하는 센서(25)는 상기 돌출벽(22)에 의한 유로 상에 지지블록(24)을 개재하여 설치된다. 센서(25)로서 로드센서 또는 포토센서를 사용하거나 양자를 모두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좌판(20)의 돌출벽(22)은 일정한 높이의 외주면과 굴곡지거나 통기된 내주면으로 형성된다. 돌출벽(22)의 외주면을 일정한 높이로 하는 것은 본체(10)의 상면에 틈새없이 접하도록 하기 위함이고, 돌출벽(22)의 내주면을 굴곡지거나 통기되도록 하는 것은 본체(10) 내부와 연통되어 흡기하기 위함이다. 내주면의 굴곡진 형상은 파형이어도 무방하고 각형이어도 무방하고, 내주면을 외주면처럼 일정한 높이로 하는 경우 내주면에 다수의 통기공을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본체(10)의 형태에 따라서는 돌출벽(22)의 내주면에 별도의 굴곡면이나 통기공을 형성하지 않아도 냄새의 흡기가 가능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관(30)과 송풍팬(40)으로 구성되는 배기수단을 포함한다. 배기수단은 상기 좌판(20)의 돌출벽(22) 일부에 흡입관(30)을 연장하고, 흡입관(30) 상에 송풍팬(40)을 구비한다. 흡입관(30)은 주름관을 사용하며 좌판(20)의 회동에 따른 요동이 적도록 좌판(20)의 힌지 부분에 연결한다. 흡입관(30)의 외부단은 천정의 환기구에 연결한다. 송풍팬(40)은 흡입관(30)의 중간 또는 외부단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배기수단의 흡입관(30)은 내부의 전선관(32)을 보호하도록 보호관(3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2에서 송풍팬(40)의 전선을 제어수단(50) 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전선관(32)을 흡입관(30)의 외부로 부착할 수도 있으나 미관상 흡입관(30)의 내부로 설치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러한 흡입관(30)의 내부로 통하는 전선관(32)의 외부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관(33)을 더 구비한다. 장시간 사용시 전선관(32)이 닳아 피복이 벗겨질 경우 수분과의 접촉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전선관(32)의 외부에 보호관(33)을 설치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센서(25)의 입력을 감지하여 송풍팬(40)을 가동하고, 가동상태를 표시등(55)으로 출력하는 제어수단(50)을 포함한다. 제어수단(50)은 마이콤 회로를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 센서(25)의 입력을 받아 설정된 조건으로 송풍팬(40)을 가동하며 그 작동 상태를 표시등(55)으로 출력한다. 표시 등(55)은 LED를 사용하는 것이 무난하다. 이러한, 제어수단(50)은 본체(10)상에 결합되어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 좌판(20)에 제어수단(50)을 결합하여 기존 좌변기의 본체(10)는 그대로 두고 좌판(20)만을 교체하여 사용함으로 교체비용 절감의 효과를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제어수단(50)은 모드선택버튼(52)을 더 구비하여, 자동모드시 좌판(20)에 착석하는 동안 송풍팬(40)을 구동하고, 수동모드시 설정된 시간만큼 송풍팬(40)을 구동한다. 모드선택버튼(52)은 표시등(55)과 함께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되고 자동과 수동을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자동모드로 선택되면 센서(25)의 신호로 착석을 감지하여 신호가 발생하는 동안만 송풍팬(40)을 구동한다. 수동모드로 선택되면 센서(25)의 신호를 받은 시점부터 설정된 시간(예컨대 5분) 동안 송풍팬(40)을 가동 후 정지한다. 물론 송풍팬(40)의 종료 후 다시 센서(25)의 신호가 검출되면 송풍팬(40)을 설정 시간동안 연속하여 재가동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좌변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때, 상기 좌판(20)은 외주면에 냄새의 흡입을 강화하도록 보조커버(26)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조커버(26)는 일반천이나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나, 본체(10)상에 형성되는 제어수단(50)이 돌출되게 형성됨으로 합성수지재 보다는 천으로 형성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러한, 보조커버(26)는 좌판(20)의 외주면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본체(10)의 상부와 좌판(20)의 하부가 밀착할 때의 틈으로 들어오는 외부의 공기를 차단한다. 이로써, 후술하는 제어수단(50)으로 인한 냄새흡입은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악취만을 흡입하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시에는 생략되나 특정한 냄새(예컨대 암모니아)를 식별할 수 있는 가스센서를 더 부가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 경우 모드선택버튼(52)의 자동모드시 좌판(20)의 센서(25)에서 신호발생 후 가스센서의 입력에 따라 송풍팬(40)의 가동시간을 변동할 수도 있다.
근래에 가정이나 사무실에 비데의 보급이 늘어나는 추세인데 이 경우 좌판에 돌출벽(22)을 형성하고 흡입관(30)을 연결하는 설계변경이 당업자에게 용이하다. 제어수단(50)은 비데의 제어기에 통합할 수도 있고, 그 반대측에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의한 좌변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배기수단의 흡입관(30)은 흡기저항을 줄이도록 보조관(35)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보조관(35)은 주름관 또는 일반호스를 사용하며 좌판(20)과 흡입관(30) 사이에 연결된다. 하나의 흡입관(30)만으로 냄새의 배출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 보조관(35)을 추가로 설치한다.
좌판(20)의 흡입관(30)의 일지점에서 냄새를 흡입하는 것에 비하여 흡입관(30)과 보조관(35)의 2지점에서 냄새를 흡입하면 배출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다. 보조관(35)의 수량이 증가할수록 배출 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나 배관 구성이 복잡화되고 미관을 해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로써, 본 발명은 저전력을 사용하면서도 용변시 발생하는 냄새를 신속하게 배출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본체(10)상에 좌판(20)을 손쉽게 분리 및 교체하여 본체(20)를 교체하지 않고 좌판(20)만을 교체하여 비용이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좌변기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좌변기의 요부를 드러내어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좌변기의 분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좌변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좌변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본체 15: 커버
20: 좌판 22: 돌출벽
24: 지지블록 25: 센서
26: 보조커버 30: 흡입관
32: 전선관 35: 보조관
40: 송풍팬 50: 제어수단
52: 모드선택버튼 55: 표시등

Claims (4)

  1. 본체(10)에 설치되어 냄새를 배출하는 좌변기용 환기기구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상에 회동가능하면서 상면에 일정한 높이의 외주면과 굴곡지거나 통기된 내주면으로 형성되는 돌출벽(22)을 접하여 착탈되도록 설치되고, 착석여부를 검출하는 센서(25)를 구비하며, 외주면에 냄새의 흡입을 강화하도록 보조커버(26)를 구비하는 좌판(20);
    상기 좌판(20)의 돌출벽(22) 일부에 흡입관(30)을 연장하고, 흡입관(30) 상에 송풍팬(40)을 구비하는 배기수단; 및
    상기 센서(25)의 입력을 감지하여 송풍팬(40)을 가동하고, 가동상태를 표시등(55)으로 출력하되, 자동모드시 좌판(20)에 착석하는 동안 송풍팬(40)을 구동하고, 수동모드시 설정된 시간만큼 송풍팬(40)을 구동하는 모드선택버튼(52)을 구비하는 제어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환기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80125693A 2008-12-11 2008-12-11 좌변기용 환기기구 KR101090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693A KR101090960B1 (ko) 2008-12-11 2008-12-11 좌변기용 환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693A KR101090960B1 (ko) 2008-12-11 2008-12-11 좌변기용 환기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7224A KR20100067224A (ko) 2010-06-21
KR101090960B1 true KR101090960B1 (ko) 2011-12-08

Family

ID=42365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5693A KR101090960B1 (ko) 2008-12-11 2008-12-11 좌변기용 환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096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116Y1 (ko) * 2001-07-06 2001-11-16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양변기의 악취배기장치
KR200272094Y1 (ko) * 2001-10-06 2002-04-13 김영곤 방음판 및 역풍 방지 터미널이 내장된 변기 악취 배출 시스템
KR100596501B1 (ko) 2003-10-08 2006-07-07 이광우 좌변기용 시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116Y1 (ko) * 2001-07-06 2001-11-16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양변기의 악취배기장치
KR200272094Y1 (ko) * 2001-10-06 2002-04-13 김영곤 방음판 및 역풍 방지 터미널이 내장된 변기 악취 배출 시스템
KR100596501B1 (ko) 2003-10-08 2006-07-07 이광우 좌변기용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7224A (ko) 2010-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5123B2 (en) Ventilated toilet
US10835090B2 (en) Toilet ventilation system
US20090056007A1 (en) Ventilation system for a toilet
JP4811216B2 (ja) 洋風便器装置
JP4800982B2 (ja) 空気循環を備えたトイレ用シート
CA2699613C (en) Ventilated toilet
CN205475559U (zh) 一种卫生间用快速排臭气装置
US7376982B1 (en) Toilet bowl venting apparatus
US20060085898A1 (en) Toilet ventilation system
KR101090960B1 (ko) 좌변기용 환기기구
KR20100133675A (ko) 좌변기용 악취 제거장치
KR200432717Y1 (ko) 악취제거변기
US20120186007A1 (en) Ventilation device
US20100058525A1 (en) Toilets
KR20220051919A (ko) 변기향균기
KR200442285Y1 (ko)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
KR102130170B1 (ko) 양변기 냄새제거장치
KR101270214B1 (ko) 좌변기의 악취 제거장치
CN2799703Y (zh) 一种抽水马桶
GB2444057A (en) Odourless toilet
EP3145380B1 (en) Toilet ventilation system
KR200423515Y1 (ko)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
KR0178581B1 (ko) 환기장치를 구비한 사이폰 변기
JP2014520984A (ja) 便器用脱臭装置
CN213268194U (zh) 一种除异味马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