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0355B1 - 방폭창호용 충격흡수장치 - Google Patents

방폭창호용 충격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0355B1
KR101090355B1 KR1020080089342A KR20080089342A KR101090355B1 KR 101090355 B1 KR101090355 B1 KR 101090355B1 KR 1020080089342 A KR1020080089342 A KR 1020080089342A KR 20080089342 A KR20080089342 A KR 20080089342A KR 101090355 B1 KR101090355 B1 KR 101090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losion
proof glass
proof
support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9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0406A (ko
Inventor
박도봉
박상우
이태훈
전형선
이경인
Original Assignee
(주)한국방탄유리
주식회사동양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방탄유리, 주식회사동양강철 filed Critical (주)한국방탄유리
Priority to KR1020080089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0355B1/ko
Publication of KR20100030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0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2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air pressure, explosion, or ga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폭발에 의한 폭압 및 돌풍으로부터 저항할 수 있는 방폭유리에 인접하도록 지지체를 설치하여 폭압에 의해 밀리는 방폭유리를 지지할 수 있게 함으로서 폭압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여 인명을 보호하고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한 방폭창호용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폭발에 의한 폭압 및 돌풍으로부터 저항할 수 있는 방폭유리와 상기 방폭유리를 고정하기 위한 창틀로 이루어진 방폭창호에 있어서, 상기 방폭유리에 인접하도록 상기 창틀에 양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방폭유리를 가로지르게 설치됨에 의해, 폭압에 밀리는 방폭유리를 지지할 수 있게 한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에 설치되어 폭압에 밀리는 방폭유리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체의 지지력에 의해 파괴되면서 상기 방폭유리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한 충격흡수수단을 포함한다.
방폭창호, 방폭유리, 폭압, 충격흡수, 와이어, 지지바

Description

방폭창호용 충격흡수장치{absorption apparatus for blast resistance window system}
본 발명은 방폭창호용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폭발에 의한 폭압 및 돌풍으로부터 저항할 수 있는 구조로 개발된 방폭유리에 인접하여 그 방폭유리를 가로지르게 지지체를 설치하여 폭압에 의해 밀리는 방폭유리를 지지함으로서 폭압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여 인명을 보호하고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방폭창호용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 설치되는 창호는 일광과 환기를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이러한 창호는 건축물의 중요한 미적 기능과 자연채광을 담당한다. 한편, 상기 창호는 태풍과 같은 자연 재해나, 폭발사고 등으로 인해 유리가 깨어지게 되는데, 상기 유리가 깨어질 경우 흩어지는 유리의 파편들에 의해 많은 인명의 피해를 갖게 된다.
여기서, 상기 폭발사고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데, 그 예로서
(1) 테러에 의한 폭발물 및 TNT와 같은 고폭탄류에 의한 폭발물 등이 폭발되거나,
(2) 천연가스와 같은 가연성 가스가 누출되어 증기운을 형성한 후에 점화되어 증기운 폭발을 일으키거나,
(3) 고압가스를 저장한 용기가 갑자기 파열되면서 가스가 폭발적으로 분출되어 나오는 폭발사고들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폭발사고에서는 매우 급속한 공기의 팽창으로 높은 압력을 동반하는 폭압이 형성되어 폭발원으로부터 전파되어 나온다.
특히, 폭발원에서 가까운 지역에는 강력한 폭압이 형성되기 때문에 많은 물리적 피해가 예상된다. 즉, 폭발원에서 가까운 지역의 건축물에 설치되는 창호는 유리가 쉽게 깨지게 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기존에는 다층의 접합유리나 보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이 내장된 유리로 창호를 설치하였으나, 이러한 창호는 유리의 두께 및 비중에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폭압에 견디기 위해서는 에너지를 흡수하여 안전을 도모할 수 있어야 하는데, 기존의 창호에 설치되는 유리는 이를 만족하지 못함으로서 시설 및 인원을 보호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폭발에 의한 폭압 및 돌풍으로부터 저항할 수 있는 방폭유리에 인접하여 그 방폭유리를 가로지르게 지지체를 설치함에 의해 폭압에 의해 밀리는 방폭유리를 지지할 수 있게 함으로서 폭압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여 인명을 보호하고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한 방폭창호용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폭발에 의한 폭압 및 돌풍으로부터 저항할 수 있는 방폭유리와 상기 방폭유리를 고정하기 위한 창틀로 이루어진 방폭창호에 있어서, 상기 방폭유리에 인접하도록 상기 창틀에 양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방폭유리를 가로지르게 설치됨에 의해, 폭압에 밀리는 방폭유리를 지지할 수 있게 한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에 설치되어 폭압에 밀리는 방폭유리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체의 지지력에 의해 파괴되면서 상기 방폭유리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한 충격흡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체는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충격흡수수단은 와이어의 양단부에 고정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가 삽입될 수 있게 중공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창틀에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를 고정체에 일체화되도록 상기 몸체에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게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체에 결합되어 폭압에 밀리는 방폭유리를 지지하는 와이어의 지지력에 의해 파괴되는 제1고정핀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체는 적어도 3개로 분할된 분할체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충격흡수수단은 분할체들을 연결할 수 있게 양단부가 상기 분할체들에 삽입 설치되어 폭압에 밀리는 방폭유리를 지지하는 분할체들의 지지력에 의해 파괴되는 제2고정핀들과 상기 제2고정핀들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기 분할체를 관통하여 상기 제2고정핀들에 결합된 고정볼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체는 방폭유리에 인접하여 소정 간격을 이루며 적어도 2열 이상으로 배열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창호용 충격흡수장치.
본 발명은 방폭유리에 인접하여 그 방폭유리를 가로지르게 지지체를 설치함으로서 폭압에 의해 밀리는 방폭유리를 지지하여 폭압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함으로서 인명을 보호하고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폭창호용 충격흡수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A"부 확대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폭창호용 충격흡수장치는 폭발에 의한 폭압 및 돌풍으로부터 저항할 수 있는 방폭유리(102)와 상기 방폭유리(102)를 고정하기 위한 창틀(104)로 이루어지는 방폭창호(100)에 인접하게 지지 체를 설치하여, 폭발에 의해 밀리는 방폭유리(102)를 지지함으로서 폭발에 의한 방폭유리(102)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폭압에 밀리는 방폭유리(102)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자 상기 방폭유리(102)에 인접하여 상기 방폭유리(102)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상기 지지체로서 와이어(110)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 와이어(110)는 방폭창호(100)의 실내측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폭압에 의해 밀리는 상기 방폭유리(102)를 지지할 수 있는 저항력을 갖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와이어(110)에 의해 폭압에 밀리는 방폭유리(102)의 충격을 흡수시킬 있도록 한 충격흡수수단(120)이 설치된다. 이러한 충격흡수수단(120)은 상기 와이어(110)의 양단부를 창틀(104)에 고정할 수 있게 와이어(110)의 양단부에 파괴(절단) 가능하게 설치되어 방폭유리(102)가 폭압에 밀리면서 상기 와이어(110)에 인장력을 발생시키면, 그 인장력에 의해 절단되면서 상기 방폭유리(102)의 충격을 상기 와이어(110)로 하여금 흡수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방폭유리(102)가 폭압에 밀리는 것을 와이어(110)로서 지지할 때 발생하는 지지력에 의해 파괴되면서 방폭유리의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폭창호용 충격흡수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충격흡수수단(120)은 와이어(110)의 양단부에 고정체(122)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체(122)는 몸체(124)의 내부에 삽입되게 설치한다. 이를 위해 상기 몸체(124)는 고정체(122)가 삽입될 수 있게 중공 구조로 이루어진 다. 또한, 상기 고정체(122)를 와이어(110)의 양단부에 고정되게 하고자 상기 와이어(110)의 양단부에는 숫나선부를 형성하고, 이 숫나선부에 고정너트(128)를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즉, 상기 와이어(110)의 양단부에 고정체(122)를 삽입한 후 고정너트(128)를 체결함으로서 고정체(122)를 와이어(110)의 양단부에 고정한다. 또한, 상기 고정체(122)는 몸체(124)에 삽입되게 설치하는데, 이때 상기 몸체(124)의 선단부에 와셔(129)를 설치하여 상기 틀체(104)에 몸체(124)가 고정되게 함으로서 와이어(110)의 양단부를 틀체(104)에 고정한다.
또한, 상기 고정체(122)와 몸체(124)는 제1고정핀(126)들에 의해 일체화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제1고정핀(126)들을 몸체(124)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게 관통하여 상기 고정체(122)에 결합되게 함으로서 상기 고정체(122)와 몸체(124)가 일체화되게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고정핀(126)들이 파괴되면서 방폭유리의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폭창호용 충격흡수장치에 의해 폭압에 밀리는 방폭유리를 와이어로 지지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도면이고, 도 6은 도 5표시의 "B"부 확대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폭유리용 충격흡수장치는, 상기 제1고정핀(126)들에 의해 고정체(122)와 몸체(124)가 일체화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방폭유리(102)가 폭압에 밀리면 상기 와이어(110)로서 이를 지지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와이어(110)에는 인장력이 발생된다. 상기 인장력에 의해 상기 제1고정핀(126)들이 절단되면서 상기 고정체(122)가 몸체(124)의 내부에서 이동되어 상기 와이어(110)로 하여금 방폭유리(102)의 충격을 흡수한다. 즉, 상기 제1고정핀(126)들이 파괴(절단)되면서 완충역할을 하여 방폭유리(102)의 충격을 흡수한다.
본 발명은 상기 와이어(110)에 인장력이 발생되면 고정체(122)와 몸체(124)를 일체화되게 고정하는 제1고정핀(126)들이 절단될 수 있도록 하고자, 상기 고정체(122)와 몸체(124)는 강성이 강한 강철로 제작하고, 또 상기 제1고정핀(126)들은 강성이 약한 일반적인 금속 재질, 즉 충격을 받을시 파괴되기 보다는 충격을 흡수하여 서서히 변형되면서 파괴되는 특성을 갖는 금속 재질, 예컨대 철 보다는 강성이 약하지만 충격흡수율이 좋은 연성 특성을 갖는 알루미늄으로 제작함이 좋다.
또한, 상기 제1고정핀(126)들은 상기 몸체(124)에 적어도 1줄 이상으로 설치함이 좋다. 즉, 상기 제1고정핀(126)들을 너무 많이 설치하게 되면, 상기 와이어(100)의 인장력에 의해 절단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적절한 개수를 설치함이 좋다. 즉, 도면에서와 같이 원주방향에 대하여 4개를 2줄로 설치함이 가장 좋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폭창호용 충격흡수장치의 또 다른 설치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한 또 다른 설치예는 위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구성에서 와이어(110a,110b)가 소정 간격을 이루며 2열로 배열되게 설치한 구성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다. 이러한 또 다른 설치예는 상기 와이어(110a,110b)가 방폭유리(102)에 대하여 소정 간격을 이루게 2열로 설치됨에 의해 폭발에 의한 충격으로 밀리는 방폭유리(102)를 더욱 확실하게 지지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폭압 에너지(폭압에 의한 충격)는 가장 많은 압력을 방폭유리(102)의 중앙에 힘을 가하게 되므로, 상기 방폭유리(102)는 압력을 받아 흡수하여 구부러지게 된다. 이때, 상기 충격흡수용 와이어(110)의 양단부가 충격흡수수단(120)에 의해 창틀(104)에 고정됨으로서, 상기 폭압 에너지에 의해 휘게 되는 방폭유리(102)를 와이어(110)로 지지하여 줄 때 상기 충격흡수수단(120)의 제1고정핀(126)이 파괴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폭창호용 충격흡수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표시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폭창호용 충격흡수장치는 폭발에 의한 폭압 및 돌풍으로부터 저항할 수 있는 방폭유리(202)와 상기 방폭유리(202)를 고정하기 위한 창틀(204)로 이루어지는 방폭창호(200)에 인접하게 지지체를 설치하여, 폭발에 의해 밀리는 방폭유리(202)를 지지함으로서 함과 아울러 상기 방폭유리(202)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폭압에 밀리는 방폭유리(202)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자 상기 방폭유리(202)에 인접하여 상기 방폭유리(202)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상기 지지체로서 지지바(210)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 지지바(210)는 방폭창호(200)의 실내측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폭압에 의해 밀리는 상기 방폭유리(202)를 지지할 수 있는 저항력을 갖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상기 지지바(210)에 의해 폭압에 밀리는 방폭유리(202)의 충격을 흡수시킬 있도록 한 충격흡수수단(220)이 설치된다. 이러한 충 격흡수수단(220)은 상기 지지바(210)를 3개로 분리된 분할체들(212a~212c)로 구성하여, 파괴 가능한 제2고정핀으로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지지바(210)의 양단을 창틀(204)에 고정하여, 상기 방폭유리(202)가 폭압에 밀리게 되면, 그 밀리는 힘으로 상기 제2고정핀이 변형되면서 상기 방폭유리(202)의 충격을 흡수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폭창호용 충격흡수장치에 구비되는 지지바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폭창호용 충격흡수장치에 구비되는 충격흡수수단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수단(220)은 3개로 분리된 분할체들(212a~212c)을 연결할 수 있게 제2고정핀(222)들의 양단부를 상기 분할체들(212a~212c)에 삽입 설치한다. 또한, 상기 제2고정핀(222)을 분할체들(212a~212c)로부터 빠지지 않고 일체화되게 하고자 고정볼트(224)를 상기 제2고정핀(222)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기 분할체들(212a~212c)에 관통하여 제2고정핀(222)에 결합되게 설치한다. 이러한 제2고정핀들이 파괴되면서 방폭유리의 충격을흡수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폭창호용 충격흡수장치에 의해 폭압에 밀리는 방폭유리를 지지바로 지지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표시의 "C"부 확대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폭유리용 충격흡수장치는, 상기 제2고정핀(222)에 의해 3개로 분리된 분할체들(212a~212c)이 결합되어 창 틀(204)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방폭유리(202)가 폭압에 밀리면 상기 분할체들(212a~212c)에서 이를 지지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분할체들(212a~212c)은 힘을 받게 되고, 그 힘에 의해 3개로 분리된 분할체들(212a~212c) 중에서 가운데에 위치하는 분할체(212b)가 뒤로 밀리면서 상기 분할체들(212a~212c)을 연결하고 있는 제2고정핀(222)이 파괴(변형)되어 방폭유리(202)의 충격을 흡수한다. 즉, 상기 제2고정핀(222)은 충격을 받을시 파괴되기 보다는 충격을 흡수하여 서서히 변형되면서 파괴되는 특성을 갖는 금속 재질, 예컨대 철 보다는 강성이 약하지만 충격흡수율이 좋은 연성 특성을 갖는 알루미늄으로 제작하여, 상기 제2고정핀(222)에 의해 완충역할을 하여 방폭유리(202)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폭창호용 충격흡수장치의 또 다른 설치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한 또 다른 설치예는 위에서 설명한 제2실시예의 구성에서 상기 지지바(210a,210b)가 소정 간격을 이루며 2열로 배열되게 설치한 구성만이 상이할 뿐,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다. 이러한 설치예는 상기 지지바(210a,210b)가 방폭유리(202)에 대하여 소정 간격을 이루게 2열로 배열되게 설치됨에 의해 폭발에 의한 충격으로 밀리는 방폭유리(202)를 더욱 확실하게 지지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폭압 에너지(폭압에 의한 충격)는 가장 많은 압력을 방폭유리(202)의 중앙에 힘을 가하게 되므로, 상기 방폭유리(202)는 압력을 받아 흡수하여 구부러지게 된다. 이때, 상기 충격흡수용 지지바(210)의 양단부가 충격흡수수단(220)에 의해 창틀(204)에 고정됨으로서, 상기 폭압 에너지에 의해 휘게 되는 방폭유리(202)를 지지바(210)로 지지하여 줄 때 상기 충격흡수수단(220)의 제2고정핀(222)이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폭창호용 충격흡수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A"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에에 따른 방폭창호용 충격흡수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폭창호용 충격흡수장치에 의해 폭압에 밀리는 방폭유리를 와이어로 지지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도면이고,
도 6은 도 5표시의 "B"부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폭창호용 충격흡수장치의 설치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폭창호용 충격흡수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표시의 II-II선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폭창호용 충격흡수장치에 구비되는 지지바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폭창호용 충격흡수장치에 구비되는 충격흡수수단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폭창호용 충격흡수장치에 의해 폭압 에 밀리는 방폭유리를 지지바로 지지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표시의 "C"부 확대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폭창호용 충격흡수장치의 설치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200 - 방폭창호 102,202 - 방폭유리
104,204 - 창틀 110,210 - 와이어
120,220 - 충격흡수수단 122 - 고정체
124 - 몸체 126 - 제1고정핀
210 - 지지바 222 - 제2고정핀

Claims (4)

  1. 삭제
  2. 폭발에 의한 폭압 및 돌풍으로부터 저항할 수 있는 방폭유리와 상기 방폭유리를 고정하기 위한 창틀로 이루어진 방폭창호에 있어서,
    상기 방폭유리에 인접하도록 상기 창틀에 양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방폭유리를 가로지르게 설치됨에 의해, 폭압에 밀리는 방폭유리를 지지할 수 있게 한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에 설치되어 폭압에 밀리는 방폭유리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체의 지지력에 의해 파괴되면서 상기 방폭유리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한 충격흡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지체는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충격흡수수단은 와이어의 양단부에 고정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가 삽입될 수 있게 중공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창틀에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를 고정체에 일체화되도록 상기 몸체에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게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체에 결합되어 폭압에 밀리는 방폭유리를 지지하는 와이어의 지지력에 의해 파괴되는 제1고정핀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창호용 충격흡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적어도 3개로 분할된 분할체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충격흡수수단은 분할체들을 연결할 수 있게 양단부가 상기 분할체들에 삽입 설치되어 폭압에 밀리는 방폭유리를 지지하는 분할체들의 지지력에 의해 파괴되는 제2고정핀들과 상기 제2고정핀들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기 분할체를 관통하여 상기 제2고정핀들에 결합된 고정볼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창호용 충격흡수장치.
  4. 삭제
KR1020080089342A 2008-09-10 2008-09-10 방폭창호용 충격흡수장치 KR101090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342A KR101090355B1 (ko) 2008-09-10 2008-09-10 방폭창호용 충격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342A KR101090355B1 (ko) 2008-09-10 2008-09-10 방폭창호용 충격흡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406A KR20100030406A (ko) 2010-03-18
KR101090355B1 true KR101090355B1 (ko) 2011-12-07

Family

ID=42180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9342A KR101090355B1 (ko) 2008-09-10 2008-09-10 방폭창호용 충격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03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0201806173YA (en) * 2017-07-21 2019-02-27 Choon Keat Ang Blast Restraint Devices
KR102326819B1 (ko) * 2020-10-06 2021-11-16 주식회사 긴키테크코리아 충격흡수가 용이한 방폭창
CN114991632B (zh) * 2022-04-28 2024-05-14 上海同百建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超级复合防火、防爆、防弹玻璃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8607A (en) 1975-01-21 1976-07-13 Baran Robert J Apparatus for reducing window breakage by wind pressure
WO2004072425A1 (en) 2003-02-11 2004-08-26 Happy V.C. Ltd. Window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8607A (en) 1975-01-21 1976-07-13 Baran Robert J Apparatus for reducing window breakage by wind pressure
WO2004072425A1 (en) 2003-02-11 2004-08-26 Happy V.C. Ltd. Window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406A (ko) 201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3490B1 (ko) 벽개구부용 에너지 흡수요소 및 그 사용방법
KR101090351B1 (ko) 방폭창호
KR101090355B1 (ko) 방폭창호용 충격흡수장치
US6401427B1 (en) Modular shield
CN103311872A (zh) 气囊式电缆接头保护盒
KR100919871B1 (ko) 방폭창호용 충격흡수장치
EA033738B1 (ru) Огневзрывостойкая окон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и способ ее установки
US9057218B2 (en) Blast door
US10180193B2 (en) Butterfly vent
ES2951200T3 (es) Barrera para sistema de paredes transparentes
KR102281382B1 (ko) 충격완화 기능을 갖는 방폭 창호
KR101184740B1 (ko) 창호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창호
EP3732342B1 (en) A structure of fillings for openings
RU142251U1 (ru) Взрывоустойчивый навесной вентилируемый фасад
EP2759319A2 (en) Barrier system
JP6663364B2 (ja) 乾燥カーテンを有する封じ込め装置
US20230084137A1 (en) Window Energy Management System with Enhanced Force Protection
KR101219717B1 (ko) 창호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창호
KR102281491B1 (ko) 방폭 기능을 갖는 커튼월 창호
KR102082617B1 (ko) 벽체 개폐형 폭발 방산장치
KR102326819B1 (ko) 충격흡수가 용이한 방폭창
ES2341536T3 (es) Puerta- anti-intrusion.
US3458954A (en) Safety window covering structure
RU2609486C1 (ru)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кочетова для ограждения зданий на случай возникновения чрезвычайной ситуации
KR20240075158A (ko) 진열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