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617B1 - 벽체 개폐형 폭발 방산장치 - Google Patents

벽체 개폐형 폭발 방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2617B1
KR102082617B1 KR1020190140282A KR20190140282A KR102082617B1 KR 102082617 B1 KR102082617 B1 KR 102082617B1 KR 1020190140282 A KR1020190140282 A KR 1020190140282A KR 20190140282 A KR20190140282 A KR 20190140282A KR 102082617 B1 KR102082617 B1 KR 102082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losion
wall
discharge
plate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상석희
Original Assignee
(주) 일성건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일성건축 filed Critical (주) 일성건축
Priority to KR1020190140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26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s
    • E04H9/06Structures arranged in or forming part of bui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5/00Safety arrangements
    • F42D5/04Rendering explosive charges harmless, e.g. destroying ammunition; Rendering detonation of explosive charges harmless
    • F42D5/045Detonation-wave absorbing or da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사각틀 형상으로 전면 및 후면 개구부가 형성되며 측면 벽체의 두께폭에 맞게 형성되어 폭발원이 존재하는 폭발공간 측면벽체에 관통 설치되는 벽체 케이싱; 상기 벽체 케이싱 내부에는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구획벽이 설치되어 배출 공간부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폭발공간과 마주하는 벽체 케이싱 전면에 설치되는 케이싱 안전망; 상기 단일의 배출 공간부에는 판형상으로 벽체 케이싱 전, 후 개구부방향으로 경사를 형성하며 개폐가 가능하도록 벽체배출판이 설치되며; 상기 벽체 케이싱 후면에는 파열판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벽체 개폐형 폭발 방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지속적인 폭발이 발생하는 장소에 설치가 가능하도록 폭발 시 즉각적으로 폭발압력을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폭발 에너지를 감쇄시켜 방폭 효율을 최대한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벽체 개폐형 폭발 방산장치{Wall open and close explosion dissipation device.}
본 발명은 폭발공간에서 폭발이 발생과 동시에 폭발압을 폭발 공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폭발공간 벽체에 설치되는 폭발 방산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각틀 형상으로 전면 및 후면 개구부가 형성되며 측면 벽체의 두께폭에 맞게 형성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는 전, 후 개구부로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하도록 벽체 배출판이 설치 되어 폭발압에 의해 배출판이 상부로 개방 작동되어 폭발과 동시에 폭발압을 배출하여 잦은 폭발이 발생하는 폭발 공간에 설치가 용이한 벽체 개폐형 폭발 방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는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사회 일상주변에 각종의 인화성이나 폭발성이 있는 가스, 증기 및 분진의 취급이 많아졌다. 이러한 폭발 위험물질의 취급이 대규모화 및 다양화되어 폭발사고의 위험은 증가되고 있다.
또한 배터리 실험등 각종 폭발의 위험성이 있는 제품 개발시, 연구 단계이거나 완성된 제품을 의도적인 폭발 실험이 진행되고 있다. 폭발이란, 연소작용의 한 형태로서 연소에 의한 열의 발생속도와 전파속도가 매우 빠르며 동시에 고온으로 연소되는 비정상적인 연소현상을 지칭한다. 특히, 폭발 중에서도 격렬한 것을 폭굉이라 한다. 이와 같이 폭발 시에는 매우 급속한 공기의 팽창으로 높은 압력을 동반하는 폭풍압이 형성되어 폭발원에서 전파되어 나온다.
특히, 폭발원에서 가까운 지역에서는 강력한 폭풍압이 발생하게 되므로 많은 물리적 피해가 예상되며 미리 지정된 피해 양상을 나타낼 수 있는 폭풍압의 압력이 미치는 거리와 정도에 따라서 원형의 다양한 피해범위가 지정될 수 있다.
현대사회에서 폭발은 대부분 사고로 발생한다. 폭발원으로는 TNT와 같은 고폭탄 류의 폭발물이 폭발되거나 천연가스와 같은 가연성 가스가 누출되어 증기운을 형성한 후에 점화되어 증기운 폭발을 일으키거나, 고압가스를 저장한 용기가 갑자기 파열되면서 가스가 폭발적으로 분출되어 나오는 경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고 외에는 폭발 방지에 관한 연구와 관련 제품의 개발이 이루어지는 장소가 있다.
이에 폭발로부터 주변의 인원 및 시설을 보호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호기술이 활용되고 있고 대표적으로는 방호벽이나 방산구가 있다. 방호벽은 폭발사고에 의해서 발생한 폭풍압이 방호벽으로 전파될 경우 폭풍압을 반사시켜서 방호벽의 반대편에 위치한 시설 및 인원에 폭풍압이 도달하지 못하도록 방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954867호에는 주름판 형상으로 폭발이 발생하면 다른 모듈로 폭발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패널형 방폭판을 포함하는 방폭 구조물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고,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800848호에는 보안시설용 개폐형 방폭 장치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호벽 구조는 견고한 콘크리트 구조물 형상으로 방호벽의 구축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설치된 구조물의 철거 및 이동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폭발 시험장과 같은 경우 잦은 폭발로 인해 교체비용이 상당해지는 단점이 발생한다.
이에 폭발 방산구(explosion panel)는 가스, 파우더, 먼지, 기타 혼합물 등의 점화원에 의한 발화로 인해 폭발로 확산되기 전에 폭연 과정에서 내부에 발생한 압력과 화염 등을 순간적으로 방출시켜 설비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로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0397840호에는 폭풍압을 감쇄시켜 방폭시설물을 최대한 경량화할 수 있고 구축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에너지 흡수형 폭풍압 방폭벽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에는 본 발명의 사각틀 형상으로 전면 및 후면 개구부가 형성되며 측면 벽체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는 전, 후 개구부로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하도록 벽체 배출판이 설치되는 구성은 개시하지 않아 차이를 보인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0423509호에는 필터백 탈진 다이어프램의 횡격막실의 균압상태를 PLC 프로그램의 전기적 신호가 아닌 스폴을 사용하여 인위적으로 파괴함으로써 상기 다이어프램의 파손을 방지하고, 필터백에 의한 더스트의 탈진 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되며, 필터백의 조기 파손이 방지됨으로써 정비비의 감소와 함께 작업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제공되는 용광로 집진기의 필터백 다이어프램 파손 검지장치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0912717호에는 설비의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 후레임과: 상기 고정 후레임의 내측에 마련되어 본체 내부의 폭발압력을 설비 외부로 신속히 배출하는 벤트플레이트와: 상기 벤트플레이트가 상기 본체 내부로 밀려들어가지 않도록 막아주는 내부 안내판과: 상기 벤트플레이트에 폭발압력 방산구 설정 압력만큼 압력을 가해주는 외부 가압 수단: 및 상기 본체 내부에서 발생되는 분진폭발과 화재를 진압하여 설비파괴를 막아주는 소화장치부 또는 폭발억제제주입장치부; 를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폭발 압력 방산 장치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954867호에는 주름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방폭판; 및 인접하도록 이격 배치되어 상기 방폭판을 사이에 끼움 고정하는 제1 지지 유닛과 제2 지지 유닛을 포함하는 방폭 구조물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800848호에는 보호 구간 및 비보호 구간 사이의 경계면 둘레에 설치되고, 일면이 상기 보호 구간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도어지지프레임; 상기 복수의 도어지지프레임 중 서로 대칭되는 2개의 도어지지프레임 각각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2개의 도어지지프레임각각의 상기 보호 구간에 대향하는 일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힌지브라켓; 상기 힌지브라켓이 고정된 2개의 도어지지프레임에 평행하게 위치하는 일측의 측면부가 상기 2개의 도어지지프레임 각각에 고정된 힌지브라켓들에 연결되는 제1 방폭도어 및 제2 방폭도어; 및 상기 제1 방폭도어 및 제2 방폭도어 각각의 상기 비보호 구간에 마주하는 면들에 구비되는 록킹장치를 포함하는 보안시설용 개폐형 방폭 장치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통상적인 방폭장치는 폭발원이 존재하는 장소에서 폭발에 의한 압력을 견디고 불꽃 및 전기 등의 사고원인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어하는 목적으로 형성되어 잦은 폭발이 이루어지는 공간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파손율이 높아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각틀 형상으로 전면 및 후면 개구부가 형성되며 측면 벽체의 두께폭에 맞게 형성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는 전, 후 개구부로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하도록 벽체 배출판이 설치되어 폭발압 발생과 동시에 개방되어 폭발압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벽체 개폐형 폭발 방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벽체 개폐형 폭발 방산장치는 사각틀 형상으로 전면 및 후면 개구부가 형성되며 측면 벽체의 두께폭에 맞게 형성되어 폭발원이 존재하는 폭발공간 측면벽체에 관통 설치되는 벽체 케이싱; 상기 벽체 케이싱 내부에는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구획벽이 설치되어 배출 공간부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폭발공간과 마주하는 벽체 케이싱 전면에 설치되는 케이싱 안전망; 상기 단일의 배출 공간부에는 판형상으로 벽체 케이싱 전, 후 개구부방향으로 경사를 형성하며 개폐가 가능하도록 벽체배출판이 설치되며; 상기 벽체 케이싱 후면에는 파열판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벽체 개폐형 폭발 방산장치는 벽체 배출판 일단은 배출공간부 상부측면에 힌지를 매개로 연결 고정되고, 타단은 후면 개구부를 향해 하향하는 경사를 형성하며 배출 공간부 하부 측면에 거치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며, 또한 상기 배출벽체 배출판이 개방되면서 맞닿는 배출 공간부 상부 측면에는 케이싱 완충판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속적인 폭발이 발생하는 장소에 설치가 가능하도록 폭발 시 즉각적으로 폭발압력을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폭발 에너지를 감쇄시켜 방폭 효율을 최대한 높일 수 있는 효과 및 장치의 지속적 사용으로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벽체 개폐형 폭발 방산장치의 전면 및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벽체 개폐형 폭발 방산장치의 전면 및 배면의 사진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벽체 개폐형 폭발 방산장치 단면 절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케이싱 안전망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완충판 및 구획벽 사진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벽체배출판과 힌지 결합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파열판이 파손된 사진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벽체 개폐형 및 천장 개폐형 폭발 방산장치가 설치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9는 천장 개폐형 폭발 방산장치 사시도를 나타낸다.
통상적인 방폭장치는 폭발원이 존재하는 장소에서 폭발에 의한 압력을 견디고 불꽃 및 전기 등의 사고원인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어하는 목적으로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방폭장치는 폭발원이 연간 1000시간 이상 지속적인 위험 분위기(zone 0)로 지속적으로 폭발이 실시되는 장소에 설치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
이에 본 발명은 지속적인 폭발이 발생하는 장소에 설치가 가능하도록 폭발 시 즉각적으로 폭발압력을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폭발 에너지를 감쇄시켜 방폭 효율을 최대한 높일 수 있는 벽체 개폐형 폭발 방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용어, 폭발공간(S)은 폭발원이 존재하고 내부 공간부가 구비되도록 벽체(W; CONC.) 및 천장부에 둘러싸여 폐쇄되는 구조의 룸(room)형태의 공간구조부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벽체 개폐형 폭발 방산장치는 폭발원이 존재하여 폭발이 발생하는 폭발공간(S)의 벽체(W; CONC.) 측면에 하나 이상 설치됨으로써 폭발 발생 시 폭발압이 자동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벽체 개폐형 폭발 방산장치와 관련한 도면을 첨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벽체 개폐형 폭발 방산장치의 정면 및 배면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벽체 개폐형 폭발 방산장치 사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벽체 개폐형 폭발 방산장치는 폭발원이 존재하는 폭발공간 측면벽체에 관통 설치되고, 사각틀 형상으로 상기 벽체의 두께폭에 맞게 형성되는 벽체케이싱(300); 상기 벽체 케이싱 내부에는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구획벽(320)이 설치되어 배출 공간부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폭발공간과 마주하는 벽체 케이싱 전면에 설치되는 케이싱 안전망(400); 상기 단일의 배출 공간부에는 판형상으로 케이싱 전, 후방향으로 경사를 형성하며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벽체배출판(310); 상기 벽체 케이싱 후면에는 파열판(200)이 설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벽체 개폐형 폭발 방산장치 측절개도 및 구성부 확대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벽체 케이싱은 사각틀 형상으로 전면 및 후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폭발공간 벽체(W)에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벽체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폭발공간과 마주하는 벽체 케이싱 개구부는 전면 개구부, 타측면의 개구부는 후면 개구부라 지칭한다. 전면 개구부에는 케이싱 안전망(400)이 설치되고, 후면개구부에는 후면개구부를 포함 및 폐쇄하도록 파열판(200)이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케이싱 안전망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케이싱 안전망(400)은 통상적인 망구조로 내열 및 내구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또는 스틸 재질로 형성된다. 크기는 케이싱 전면 개구부를 포괄할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되어 케이싱 전면 개구부에 설치된다.
케이싱 안전망은 폭발공간에서 발생한 폭발압 및 폭발열이 일차적으로 접하는 측면부로, 방출되는 열로 인해 폭발공간 외부에 인화발생과 폭발 부산물이 튀어나가지 않도록 차단하거나 케이싱 안의 부속품이 실내로 낙하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폭발압을 안전망이 분산함시켜 압력을 감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완충판 및 구획벽 사진을 나타낸다. 사각벽체 케이싱 내부에는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구획벽(320)이 이격 설치되어 케이싱 내부는 복수개의 배출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서 구획벽은 가로 구획벽이 아래로 3개가 설치되고, 하나의 세로 구획벽이 설치되어 가로 구획벽과 교차하도록 설치되어 8개의 배출공간부를 형성하도록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폭발압 배출량에 따라 크기 또는 배출공간부의 개수가 조절될 수 있다. 벽체 배출판이 개방되면 배출 공간부 상부와 맞닿는 면에는 케이싱 완충판(330)이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벽체 배출판과 힌지 결합 확대도를 나타낸다. 단일의 배출공간부 상측면에는 벽체배출판(310)이 설치된다. 벽체배출판은 판구조의 스테인레스 또는 스틸 재질로 측면에는 입체적인 무늬가형성된다. 무늬판이 형성됨에 따라 평판보다 변형 강도가 강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벽체배출판 일단은 배출 공간부 상부측면에 힌지 또는 경첩을 매개로 연결 고정되고 타단은 후면 개구부를 향해 하향하는 경사를 형성하며 배출 공간부 하부 측면에 거치되도록 설치된다. 벽체공간부 하측면과 벽체배출판의 사이각은 100이상 180도 이하의 사이각을 형성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22도가 적절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경첩 또는 힌지는 플랩구조로 암, 수 형상의 힌지부가 서로 맞물리게 배출판 상부에서 가로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힌지 또는 경첩을 매개로 고정되며, 힌지 또는 경첩부는 배출공간부 상부측면 및 벽체배출판 일단에 설치된다. 이에 힌지 또는 경첩에 의한 고정이 보다 안정적이고 충격이 완화될 수 있어 배출판이 개방되면서 힌지 또는 경첩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전면 개구부와 마주하는 벽체 배출판 측면에 일정 압력이 가해지면 벽체 배출판은 후면개구부를 향해 벽체배출판이 상부면으로 올려져 이동하면서 개방이 가능하다. 벽체 배출판은 프레임 자체에 무게를 가지는 스테인레스 또는 스틸 재질로 형성되어 배출구에 일정량의 폭발압이 발생하기까지 안정적으로 배출구를 폐쇄할 수 있다.
벽체 배출판은 전면 개구부에서 후면 개구부 방향으로 하향하는 경사를 형성하도록 설치되어 폭발압이 배출된 후, 배출판의 무게에 따라 자동적으로 배출구는 자동적으로 폐쇄가 가능하다. 이에 폭발발생과 폭발공간 내부에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할 때 자동으로 개방되어 폭발압을 배출함으로써 폭발공간이 파손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폭발압이 배출판에 가해질 때 발생하는 응력으로 폭발에너지는 일부가 변형이 되어 소산됨으로 폭발압이 감쇄하여 배출판의 변형 및 경첩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쇄 시킴으로서 보다 안정적으로 폭발압 배출이 가능하다.
벽체 배출판이 개방되며 배출 공간부 상부와 맞닿는 면에는 케이싱 완충판(330)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케이싱 완충판은 통상적으로 충격흡수 및 진동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 및 재질로 형성되어 벽체 배출판의 개방시 배출 공간부 상부와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완충판은 상기 배출판 측면을 포함할 수 있는 크기의 폴리에스터 섬유가 복수개의 층으로 적층된 방염 카페트로 형성되었다.
도 7은 본 발명의 파열판이 파손된 사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파열판(200)은 폭발공간 외측 벽체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틀과 상기 고정틀 내부에는 알루미늄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알루미늄판에는 절재선을 형성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발공간에 폭발압이 과도하게 생성되는 경우 철재판의 알루미늄이 파열되면서 방폭공간 외부로 폭발압을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열판은 스테인레스 또는 스틸 재질의 고정틀과 알루미늄 재질의 알루미늄판으로 이루어지고 알루미늄판의 중심부가 집중적으로 파손되도록 절재선을 형성하여 폭발압이 철재판 중심부를 향하여 집중하도록 하였다. 또한, 알루미늄판은 폭발이 발생하였을 때 알루미늄판의 박리 및 비산 방지를 위한 것으로, 고정틀에 알루미늄판 고정시에 앙카볼트와 고정틀 사이에 우레탄 가스켓을 설치하였다. 이에 약한 폭발압력 발생시에는 알루미늄 판이 파손되지 않고 기존의 상태를 유지하고, 예상보다 큰 폭발압력이 발생되었을 때 알루미늄판이 파손되어 폭발압을 배출하여 기존에 시설물이 파손되는 것을 예방한다.
또한, 알루미늄판이 파손되는 경우 알루미늄판만 교체가 용이하므로 교체비용 소모와 수고를 줄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벽체 개폐형 폭발 방산장치가 설치된 공간 시설부 실시예 1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개폐형 폭발 방산장치가 설치된 공간 시설부 실시예 1은 일정 면적의 공간이 구비되고 폭발원이 존재하여 폭발이 발생하는 폭발공간(S)과 상기 폭발공간 벽체에는 본 발명의 벽체 개폐형 폭발 방산장치(10)가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폭발공간 천장에는 하나 이상의 천장 개폐형 폭발 방산장치(20)와 폭발 압력이 배출되는 방폭공간(30)이 형성되어, 벽체 개폐형과 천정형 복합구조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공간 시설부는 폭발 공간에 대량의 폭발압을 견딜 수 있는 것으로 폭발 공간의 배출압이 보다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배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천장 개폐형 폭발 방산장치 사시도를 나타낸다. 천장 개폐형 폭발 방산장치는 사각형상의 망사구조로 폭발원이 존재하는 폭발 공간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안전망(미도시); 상기 안전망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두께 상협하광 판형상의 배출판이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향으로 수렴하는 피라미드 형상의 단면구조를 형성하는 배출부(101); 상기 안전망 둘레를 둘러싸며 슬래이트 형상의 프레임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연결되어 일정높이의 틀형상을 이루는 지지틀(10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천장 개폐형 폭발 방산장치의 안전망은 통상적인 망구조로 내열 및 내구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또는 스틸재질로 형성된다. 안전망은 상기 폭발공간 천장에 설치되어 내부 폭발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물체의 비산물 방지 및 방산구 자체 시설물의 파손으로 인한 낙하물 방지을 방지하고 폭발로 발생한 폭발압 및 열이 일차적으로 접하게 되고, 이때 열로 인해 외부에 인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차단함은 물론 폭발압의 일부를 감쇄시킬 수 있다.
배출부(101)는 일정높이의 상협하광 구조의 배출프레임이 안전망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배출프레임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배출판이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배출 프레임은 안전망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일정높이로 형성된 상협하광 형상의 프레임이 상향으로 수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배출프레임은 중앙을 향해 프레임이 바닥부와 일정각도 경사를 형성하는 피라미드 형태의 단면구조를 이룬다. 배출 프레임 측면에는 배출판이 대응할 수 있는 직경의 배출구가 하나 이상 형성되고 배출프레임 수렴부의 최상단은 배출판의 상단부가 거치될 수 있는 평면의 거치공간과 거치턱이 형성될 수 있다.
배출프레임은 방열가스켓 구성으로 형성된다. 상기 방열가스켓은 일반적인 형태에 따라 패브릭이나 금속박에 도전재료도전재료(Cu, Ni, Zn, Au)의 도금 또는 코팅을 이용한 원단을 제조한 다음, 우레탄 폼이나 실리콘 등의 부재에 랩핑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방열성은 물론 강도가 향상되고 완충성이 부여되어 충격방지효과가 있다.
구현예로서 상기 방열가스켓 구성은 도전성 및 열전도성을 갖는 도전 열전도 포일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도전 열전도 포일부재를 이용하여 쿠션내장재를 감싸 랩핑한 후, 상기 쿠션 내장재를 감싸 랩핑된 상기 도전 열전도 포일부재의 일면에는 접착부재를 부착하여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배출판은 강철판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측면에는 입체적인 무늬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에 대응하여 폐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배출프레임은 사각뿔형상으로 배출구는 삼각형태로 형성되며, 배출판은 삼각형태의 배출구를 폐쇄할 수 있는 삼각형태의 철재무늬판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판의 하부는 지지틀 하부와 힌지 또는 경첩을 매개로 고정 및 연결되고, 상부에는 배출프레임 최상단에 형성된 거치공간의 걸림턱에 밀착되어 거치될 수 있도록 ㄱ자 구조의 고리프레임이 형성된다. 또한, 배출판은 프레임 자체에 무게가 있는 스테인레스 또는 스틸 재질로 형성되어 배출구에 일정량의 폭발압이 발생하기까지 안정적으로 배출구를 폐쇄할 수 있다.
폭발발생과 폭발공간 내부에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할 때 자동으로 배출판이 개방되어 폭발압을 배출함으로써 폭발공간이 폭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출판은 배출프레임의 배출구 형성에 따라 중앙부를 향해 수렴하며 바닥과 일정각도 경사를 형성하도록 폐쇄되어 폭발압이 배출구로 배출되면 배출판의 무게로 자동적으로 배출구를 폐쇄하게 된다.
이때 배출프레임은 방열가스켓 구조로 형성됨으로 폐쇄시 배출판이 닫히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폭발압이 배출판에 가해질 때 발생하는 응력으로 폭발에너지는 일부가 변형이 되어 소산이 됨으로 폭발압이 감쇄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폭발압 배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힌지 또는 경첩은 플랩구조로 암, 수 형상의 힌지 또는 경첩부가 서로 맞물리게 배출판 하부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힌지핀 또는 경첩핀을 매개로 고정되며, 힌지부 또는 경첩부와 연결되는 장착 브라켓은 배출판 하부와 지지틀 하부에 설치된다. 이에 힌지 또는 경첩에 의한 고정이 보다 안정적이고 충격이 완화될 수 있어 배출판이 개방되면서 힌지가 파손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배출판이 개방되며 지지틀 내측면과 맞닿는 측면에는 완충판(103)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완충판은 통상적으로 충격흡수 및 진동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 및 재질로 형성되어 배출판이 지지틀과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판은 일정 직경의 폴리에스터 섬유가 복수개의 층으로 적층된 방염 카페트로 형성되었다.
지지틀 외측 하부에는 ㄴ자 구조로 설치 바닥부와 지지틀이 수직방향을 설치되도록 고정하는 지지판(104)이 고정장치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는 앙카볼트로 이에 지지판 측면에는 앙카볼트가 관통고정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고정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폐쇄된 공간 내부에서 잦은 폭발이 이루어지는 산업 분야와 관련된 장소에 설치되어 예컨대 배터리 폭발 시험 등의 관련 산업 발전을 발전시키는 데 도모함으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 벽체 개폐형 폭발 방산장치 20: 천장 개폐형 폭발 방산장치
30: 방폭공간 101: 배출부
102: 지지틀 103: 완충판
104: 지지판 200: 파열판
300: 벽체 케이싱 310: 벽체배출판
320: 구획벽 330: 케이싱 완충판
400: 케이싱 안전망
S: 폭발공간 W: 벽체

Claims (3)

  1. 사각틀 형상으로 전면 및 후면 개구부가 형성되며 측면 벽체의 두께폭에 맞게 형성되어 폭발원이 존재하는 폭발공간 측면벽체에 관통 설치되는 벽체 케이싱; 상기 벽체 케이싱 내부에는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구획벽이 설치되어 배출 공간부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폭발공간과 마주하는 벽체 케이싱 전면에 설치되는 케이싱 안전망;
    상기 단일의 배출 공간부에는 판형상으로 벽체 케이싱 전, 후 개구부방향으로 경사를 형성하며 개폐가 가능하도록 벽체배출판이 설치되며,
    상기 벽체 배출판 일단은 배출공간부 상부측면에 힌지 또는 경첩으로 연결 고정되고, 타단은 후면 개구부를 향해 하향하는 경사를 형성하여 배출 공간부 하부 측면에 거치되며,
    상기 벽체 배출판이 개방되면서 맞닿는 배출공간부 상부 면에는 케이싱 완충판이 형성되고;
    상기 벽체 케이싱 후면에는 파열판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인 벽체 개폐형 폭발 방산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90140282A 2019-11-05 2019-11-05 벽체 개폐형 폭발 방산장치 KR102082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282A KR102082617B1 (ko) 2019-11-05 2019-11-05 벽체 개폐형 폭발 방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282A KR102082617B1 (ko) 2019-11-05 2019-11-05 벽체 개폐형 폭발 방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2617B1 true KR102082617B1 (ko) 2020-02-27

Family

ID=69647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282A KR102082617B1 (ko) 2019-11-05 2019-11-05 벽체 개폐형 폭발 방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261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509B1 (ko) 2000-08-11 2004-03-19 주식회사 포스코 용광로 집진기의 필터백 다이어프램 파손 검지장치
KR100912717B1 (ko) 2009-05-18 2009-08-19 운해이엔씨(주) 분진폭발 압력 방산 장치
KR101362780B1 (ko) * 2013-01-11 2014-02-13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배출구 개방 시스템
KR101389159B1 (ko) * 2012-12-27 2014-04-25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실내 압력 조절 장치
KR101800848B1 (ko) 2017-07-19 2017-11-23 도시인더스트리(주) 보안시설용 개폐형 방폭 장치
KR101954867B1 (ko) 2017-09-27 2019-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방폭 구조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509B1 (ko) 2000-08-11 2004-03-19 주식회사 포스코 용광로 집진기의 필터백 다이어프램 파손 검지장치
KR100912717B1 (ko) 2009-05-18 2009-08-19 운해이엔씨(주) 분진폭발 압력 방산 장치
KR101389159B1 (ko) * 2012-12-27 2014-04-25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실내 압력 조절 장치
KR101362780B1 (ko) * 2013-01-11 2014-02-13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배출구 개방 시스템
KR101800848B1 (ko) 2017-07-19 2017-11-23 도시인더스트리(주) 보안시설용 개폐형 방폭 장치
KR101954867B1 (ko) 2017-09-27 2019-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방폭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61639C (en) Arrangement for reducing harmful effects from fire and explosion
ES2686878T3 (es) Dispositivo de bloqueo contra incendios
Pekalski et al. A review of explosion prevention and protection systems suitable as ultimate layer of protection in chemical process installations
RU2518201C1 (ru) Взрывоустойчивый сейф
US8578866B2 (en) Container for storing objects, and an absorber element for such a container
CN104315935B (zh) 适用于管道内粉尘爆炸自动式抑爆装置
KR102082618B1 (ko) 천장 개폐형 폭발 방산장치
CN204188088U (zh) 管道内粉尘爆炸自动式抑爆装置
CN103311872A (zh) 气囊式电缆接头保护盒
KR102082617B1 (ko) 벽체 개폐형 폭발 방산장치
BR112012008725B1 (pt) dispositivo, sistema e método de atenuação de chama para sistema de material combustível
CN210228942U (zh) 一种无焰阻火器
KR100874995B1 (ko) 폭발물 또는 폭발물로 의심되는 물체의 제한을 위한 보호 장치
CA2166399C (en) Acoustic/shock wave attenuating assembly
RU2175107C2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взрывоопасных грузов
WO1998011948A1 (fr) Procede de protection contre l'explosion et d'extinction et appareil de securite automatique pour cuves de liquides inflammables
CA2952184A1 (en) Container for containing explosive device and blast containing panel therefor
CN112901040A (zh) 一种工矿用粉尘泄爆系统
SU1644976A1 (ru) Способ тушени лесных пожаров
CN107725099B (zh) 一种主动惰气泡沫金属抑爆隔爆装置
EP3067489B1 (en) A safe room
KR20100030406A (ko) 방폭창호용 충격흡수장치
WO2022069558A1 (en) Apparatus for suppressing a fire
KR102153411B1 (ko) 항공기 충돌 후 항공유 화재의 내부 전파를 방지하는 방호구조물
RU2075318C1 (ru) Огнетушащее устрой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