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0135B1 - 어플리케이션 개발 방법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션 개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0135B1
KR101090135B1 KR1020100042147A KR20100042147A KR101090135B1 KR 101090135 B1 KR101090135 B1 KR 101090135B1 KR 1020100042147 A KR1020100042147 A KR 1020100042147A KR 20100042147 A KR20100042147 A KR 20100042147A KR 101090135 B1 KR101090135 B1 KR 101090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page
data
configuration process
interwo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2573A (ko
Inventor
김태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액티브디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액티브디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액티브디앤씨
Priority to KR1020100042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0135B1/ko
Publication of KR20110122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2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OS(Operating System) 플랫폼에 구애받지 않고, 한 번의 개발로 복수의 단말 환경에 최적화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 개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서비스 구성 과정을 통해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의 전체 구조를 구성한 후, UI 구성 과정을 통해 서비스 구성 과정에서 구성된 각 서비스 구조에 속해 있는 엔트리 페이지에 대한 화면을 구성하고, 구성된 서비스 페이지를 CSD 서버에 등록하여 사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한 번의 개발로 WIPI, Window Mobile, iPhone, Android, IPTV, 유무선 WEB 등 다양한 플랫폼에 적용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 개발 방법{METHOD FOR DEVELOPING APPLICATION}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개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OS(Operating System) 플랫폼에 구애받지 않고, 한 번의 개발로 복수의 단말 환경에 최적화하여 서비스(어플리케이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 개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플랫폼을 통한 서비스(어플리케이션)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개발 > 검수 > 배포'의 과정을 거치면서 적지 않은 시간과 비용을 소모하게 된다.
그러나 모바일 업계에서는 빠르게 변하고 있는 이용자들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서 좀더 신속하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창구를 원하고 있지만, 기존의 '이동 통신사를 통한 서비스 검증'이라는 절차 때문에 서비스에 새로운 변화를 주거나 빠르게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또한, 쉬지 않고 새로운 플랫폼이 쏟아져 나오는 시장 상황에 맞추어 서비스를 개발하다 보면 하나의 서비스를 위해서 3~6종류 이상의 각기 다른 플랫폼에서 개발을 해야 하는 비효율적인 면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한번의 코드 개발로 다양한 모바일 OS 환경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 개발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관점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개발 방법은,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의 전체적인 구조를 구성하고 관리하는 서비스 구성 과정과; 상기 서비스 구성 과정을 통해 구성된 서비스 구조에 속해 있는 엔트리 페이지에 대한 화면을 생성 및 관리하는 UI 구성 과정과; 상기 서비스 구성 과정 및 UI 구성 과정을 통해 구성된 서비스 페이지를 최종적으로 출판하여 CSD(Convergence Service Delivery) 서버에 등록하되, 상기 구성된 서비스 페이지를 각각의 모바일 환경에 맞게 자동 변환하여 출판하는 출판 과정과;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모바일 플랫폼이 상기 CSD 서버로부터 서비스 페이지를 내려받아 데이터를 해석하여 화면을 구성하는 브라우징 과정과; 상기 내려받은 서비스 페이지를 플랫폼 내부에서 캐싱 처리하는 페이지 캐싱 과정과; 현재 캐싱되어 있는 서비스 페이지가 최신 버전인지를 확인하여 상기 CSD 서버와의 데이터 일관성을 보장하는 버전 확인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동적인 페이지 구성시, 외부 데이터 연동 기능을 제공하여 데이터를 매핑시키되, XML HTTP 기반의 표준 통신 프로토콜을 활용하여 이기종 간의 데이터를 매핑시키는 데이터 맵핑 과정과; 공인된 오픈 API와의 연동 기능을 제공하는 오픈 API 연동 과정과; 모바일 환경에서 제공되는 부가 기능과의 연동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부가 기능을 사용한 로그 기록 및 통계 기능과도 자동으로 연동하는 부가 기능 연동 과정과; 서비스를 출판하기 이전에 제공되던 서비스와의 차이점을 자동으로 관리하는 버전 관리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 개발 방법에 따르면, 한 번의 개발로 WIPI, Window Mobile, iPhone, Android, IPTV, 유무선 WEB 등 다양한 플랫폼에 적용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개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모바일 플랫폼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개발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개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우선, 본 발명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개발 플랫폼 장치(10)는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의 전체적인 구조를 구성하고 관리한다(S11).
상기한 과정 S11에서 어플리케이션 개발 플랫폼 장치(10)는 카테고리별 트리 구조로 제공되어 구조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에는, 상기한 과정 S11에서 구조화된 각 서비스 구조에 속해 있는 엔트리 페이지에 대한 화면을 생성 및 관리한다(S12).
상기한 과정 S12에서 어플리케이션 개발 플랫폼 장치(10)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화된 툴을 통하여 관리자가 손쉽게 페이지를 구성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개발 플랫폼 장치(10)는 상기한 과정 S12를 통해 생성된 페이지에 사용자들이 얼마나 접속했는 지에 대한 접속 로그 및 통계 기능과 자동으로 연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어플리케이션 개발 플랫폼 장치(10)는 동적인 페이지를 구성할 필요가 있는 경우, 외부 데이터 연동 기능을 제공하여 데이터를 매핑시킬 수 있도록 한다(S13).
상기한 과정 S13을 통해 데이터 매핑을 수행할 때, 어플리케이션 개발 플랫폼 장치(10)는 XML HTTP 기반의 표준 통신 프로토콜을 활용하여 이기종 간의 데이터 맵핑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개발 플랫폼 장치(10)는 상기한 과정 S13의 데이터 맵핑 과정을 확장하여 공인된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와의 연동 기능을 제공하여 폭넓은 서비스 구성이 가능토록 지원한다(S14).
또한, 어플리케이션 개발 플랫폼 장치(10)는 과금, 인증, 메시징 등의 모바일 환경에서 제공되는 부가 기능과의 연동 기능을 제공한다(S15).
상기한 과정 S15를 통해 부가 기능과의 연동 기능을 수행할 때, 어플리케이션 개발 플랫폼 장치(10)는 부가 기능을 사용한 로그 기록 및 통계 기능과도 자동으로 연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에는, 앞선 일련의 과정을 통해 구성된 서비스 페이지를 최종적으로 출판하여 CSD(Convergence Service Delivery) 서버(20)에 등록하고, 사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S16).
여기서, 구성된 서비스 페이지는 서비스가 출판되는 과정에서 WIPI, Window Mobile, iPhone, Android, IPTV 등 각각의 모바일 환경에 맞추어서 자동으로 변환된다.
상기한 과정 S16을 통해 출판된 서비스는 XML기반의 데이터로 CSD 서버(20)에 전송되며, 사용자들은 단말에 설치된 모바일 플랫폼(30)을 통해서 별도의 설치/업그레이드 과정 없이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마지막으로 어플리케이션 개발 플랫폼 장치(10)는 서비스를 출판하기 이전에 제공되던 서비스와의 차이점 등을 자동으로 관리한다(S17). 그리고, 서비스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다른 필요에 의해서 이전 페이지로 되돌려야 할 경우 관리자는 원하는 버전의 서비스로 롤백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모바일 플랫폼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우선, 사용자 단말에 탑재되어 있는 모바일 플랫폼(3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CSD 서버(20)로부터 출판된 XML데이터를 내려받아 데이터를 해석하여 화면을 구성한다(S31).
그리고, 상기한 과정 S31을 통해 CSD 서버(20)로부터 내려받은 페이지를 플랫폼 내부에서 캐싱 처리하여 다음번에 동일한 페이지를 접속할 경우 추가적인 다운로드 과정 없이 캐싱된 페이지를 보여줌으로서, 추가적인 통신비 발생을 억제하고 빠른 속도로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S33).
그리고, 상기한 과정 S33을 통해 캐싱된 페이지를 제공하기 이전에 현재 캐싱되어 있는 페이지가 최신 버전인지를 먼저 확인하여, CSD 서버(20)와의 데이터 일관성을 보장한다(S35).
상기한 과정 S35에서 모바일 플랫폼(30)은 모바일 플랫폼(30)이 처음 구동될 때 최초 한번만 버전 확인을 수행하면서 서비스의 페이지 구조에 대한 모든 이력을 내려받음으로써, 페이지가 호출될 때마다 버전을 확인하는 데이터 통신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 개발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어플리케이션 개발 플랫폼 장치, 20. CSD 서버,
30. 모바일 플랫폼,

Claims (2)

  1.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의 전체적인 구조를 구성하고 관리하는 서비스 구성 과정과;
    상기 서비스 구성 과정을 통해 구성된 서비스 구조에 속해 있는 엔트리 페이지에 대한 화면을 생성 및 관리하는 UI 구성 과정과;
    상기 서비스 구성 과정 및 UI 구성 과정을 통해 구성된 서비스 페이지를 최종적으로 출판하여 CSD(Convergence Service Delivery) 서버에 등록하되, 상기 구성된 서비스 페이지를 각각의 모바일 환경에 맞게 자동 변환하여 출판하는 출판 과정과;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모바일 플랫폼이 상기 CSD 서버로부터 서비스 페이지를 내려받아 데이터를 해석하여 화면을 구성하는 브라우징 과정과;
    상기 내려받은 서비스 페이지를 플랫폼 내부에서 캐싱 처리하는 페이지 캐싱 과정과;
    현재 캐싱되어 있는 서비스 페이지가 최신 버전인지를 확인하여 상기 CSD 서버와의 데이터 일관성을 보장하는 버전 확인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어플리케이션 개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동적인 페이지 구성시, 외부 데이터 연동 기능을 제공하여 데이터를 매핑시키되, XML HTTP 기반의 표준 통신 프로토콜을 활용하여 이기종 간의 데이터를 매핑시키는 데이터 맵핑 과정과;
    공인된 오픈 API와의 연동 기능을 제공하는 오픈 API 연동 과정과;
    모바일 환경에서 제공되는 부가 기능과의 연동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부가 기능을 사용한 로그 기록 및 통계 기능과도 자동으로 연동하는 부가 기능 연동 과정과;
    서비스를 출판하기 이전에 제공되던 서비스와의 차이점을 자동으로 관리하는 버전 관리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개발 방법.
KR1020100042147A 2010-05-04 2010-05-04 어플리케이션 개발 방법 KR101090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147A KR101090135B1 (ko) 2010-05-04 2010-05-04 어플리케이션 개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147A KR101090135B1 (ko) 2010-05-04 2010-05-04 어플리케이션 개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573A KR20110122573A (ko) 2011-11-10
KR101090135B1 true KR101090135B1 (ko) 2011-12-07

Family

ID=45393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147A KR101090135B1 (ko) 2010-05-04 2010-05-04 어플리케이션 개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01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3079A1 (ko) * 2015-03-20 2016-09-29 전자부품연구원 스마트 tv 기반 범용 소프트웨어 시뮬레이션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103B1 (ko) 2002-01-24 2004-03-02 (주) 자이오넥스 엑스엠엘 기반의 웹 어플리케이션 구현 시스템 및 방법
KR100613562B1 (ko) 2004-06-04 2006-08-1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실시간 운영 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 개발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103B1 (ko) 2002-01-24 2004-03-02 (주) 자이오넥스 엑스엠엘 기반의 웹 어플리케이션 구현 시스템 및 방법
KR100613562B1 (ko) 2004-06-04 2006-08-1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실시간 운영 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 개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573A (ko) 201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5967B1 (ko) 어플리케이션 특성을 반영하여 트랜잭션을 관리하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8997087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vice configuration and customization during manufacturing process
CN102801755B (zh) 一种应用的管理方法和一种应用平台
JP6342014B2 (ja) サービスイネーブラ機能
CN109391676B (zh) 终端设备控制方法、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8464332B2 (en) Access gateway and method for providing cloud storage service
KR20200130731A (ko) 프로파일 전송 방법, 관련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CN101557584A (zh) 一种实现移动终端应用权限控制的方法及装置
US9286054B2 (en) Deployment of mobile enterprise application platform
CN102136049A (zh) 一种终端应用的安全管理方法及系统
CN104461663A (zh) 一种加载其它移动端应用的方法、装置和移动终端
CN105763461B (zh) 路由器升级方法和系统
KR20140121533A (ko) 인스턴스 호스팅 환경에서 노드 별 특성에 따른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RU2618943C2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приложений
KR20140121534A (ko) 인스턴스 호스팅 환경에서 노드의 프로파일에 기반하여 노드의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01431755B (zh) 一种实现用户登录的系统及方法
US20100211627A1 (en) Reprogrammable client using a uniform bytecode model
US20160103666A1 (en) Performance improvement method in instance hosting environment and service system therefor
KR101090135B1 (ko) 어플리케이션 개발 방법
CN101964742B (zh) 一种网络开放能力使用方法、系统和装置
CN104507158A (zh) 一种建立无线局域网连接的方法、装置和移动终端
US10536546B2 (en) Method for managing access to a set of resources delivered via an electronic device
KR100663498B1 (ko) 단말기의 사용자 식별 모듈을 이용한 웹 서비스 응답 향상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 시스템
JP5680599B2 (ja) サービス退会時における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のアンインストール方法、システム、端末及びプログラム
CA2606036C (en)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application provisio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