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9842B1 - 싱크대 수전용 렌치 - Google Patents

싱크대 수전용 렌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9842B1
KR101089842B1 KR1020110078118A KR20110078118A KR101089842B1 KR 101089842 B1 KR101089842 B1 KR 101089842B1 KR 1020110078118 A KR1020110078118 A KR 1020110078118A KR 20110078118 A KR20110078118 A KR 20110078118A KR 101089842 B1 KR101089842 B1 KR 101089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ench
nut
groove
sink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8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명원
Original Assignee
고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명원 filed Critical 고명원
Priority to KR1020110078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98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9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9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 B25B13/481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in areas having limited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02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 B25B13/06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of socket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협소한 공간 내에 위치하며 중앙에 호스가 위치하여 풀림과 조임에 어려움이 있는 싱크대 수전 하부의 나사부에 장착되는 결합수단의 결합과 해체를 용이하게 하여 싱크대 수전의 설치 및 교체를 쉽게 하도록 한 싱크대 수전용 렌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중공부를 가진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수전용 호스가 측방향으로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중공부를 둘러싸는 외벽의 일부가 제거되어 상기 중공부가 외부로 개방되는 제 1 개방부가 형성된 렌치 본체;
상기 렌치 본체의 일단부에 중공부를 구비한 채로 형성되고, 상기 렌치 본체의 반대측 단부에는 크기가 다른 2 개의 고정육각너트를 풀거나 조이기 위한 고정육각너트용 홈이 형성되며, 상기 렌치 본체와 동일한 방향의 외벽의 일부가 제거되어 외부로 개방된 제 2 개방부가 형성된 제 1 렌치부; 및
상기 렌치 본체의 타단부에 중공부를 구비한 채로 형성되고, 상기 렌치 본체의 반대측 단부에는 핸드너트를 풀거나 조일 수 있도록 핸드너트용 홈이 형성되며, 상기 렌치 본체와 동일한 방향의 외벽 일부가 제거되어 외부로 개방된 제 3 개방부가 형성된 제 2 렌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싱크대 수전용 렌치{WRENCH FOR A SINK FAUCET}
본 발명은 싱크대 수전용 렌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다수 개의 호스가 위치할 수 있는 중공부가 구비되어 싱크대 하부의 비좁은 공간에서 쉽게 조임 및 풀림 작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와 규격의 싱크대 수전 대부분을 교체하기 위한 모든 공구가 일체로 갖추어져 있어서 별도의 추가 공구가 없이도 다양한 싱크대 수전을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싱크대 수전용 렌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3)에 설치되는 싱크대 수전(2)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부에 형성된 나사부가 싱크대(3)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싱크대(3) 내부에 위치하게 되면 싱크대(3) 내부에서 고정육각너트(5)를 상기 나사부에 결합시킨 후 조여서 싱크대(3)에 장착하게 되며, 고정육각너트(5)를 풀어서 고정육각너트(5)를 싱크대 수전(2)의 나사부에서 분리시킴으로써 해체하게 된다.
그런데, 일반적인 싱크대(3)에서 싱크대 수전(2)의 하부와 고정육각너트(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 보올(Sink bowl)과 싱크대(3) 측벽 사이의 좁은 공간에 위치하고 싱크대 수전(2)의 하부에는 다수의 수전용 호스(6)가 통과하므로 렌치나 스패너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싱크대 수전(2)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육각너트(5)를 해체하거나 장착하는 데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길이가 짧은 고정육각너트(5) 대신에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길어 좁은 공간에서 파지가 용이한 핸드너트(7)를 사용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보급된 바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핸드너트(7) 역시 싱크대 보올(Sink bowl)의 깊이가 깊은 경우에서는 작업 공간이 깊고 좁아서 작업자의 손이 접근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손이 닿는다 하더라도 핸드너트(7)를 회전시켜 조이거나 풀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싱크대 수전용 너트는 종류가 다양하여 싱크대 수전(2) 교체시 모델명을 파악하여 해당 모델에 적합한 공구를 준비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63220호(2006.6.12.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74169호(2010.8.4.공고)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협소한 공간 내에 위치하며 중앙에 호스가 위치하여 풀림과 조임에 어려움이 있는 고정육각너트 등과 같은 결합수단의 결합과 해체를 용이하게 하여 싱크대 수전의 설치 및 교체를 쉽게 하도록 한 싱크대 수전용 렌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추가적인 공구 없이 단 하나의 공구만으로 다양한 싱크대 수전 결합수단의 설치 및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 싱크대 수전용 렌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속하고 안전하게 싱크대 수전을 교체할 수 있는 싱크대 수전용 렌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형을 이용하여 제작시 제작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싱크대 수전용 렌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인 싱크대 수전용 렌치는,
내부에 중공부를 가진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수전용 호스가 측방향으로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중공부를 둘러싸는 외벽의 일부가 제거되어 상기 중공부가 외부로 개방되는 제 1 개방부가 형성된 렌치 본체;
상기 렌치 본체의 일단부에 중공부를 구비한 채로 형성되고, 상기 렌치 본체의 반대측 단부에는 크기가 다른 2 개의 고정육각너트를 풀거나 조이기 위한 고정육각너트용 홈이 형성되며, 상기 렌치 본체와 동일한 방향의 외벽의 일부가 제거되어 외부로 개방된 제 2 개방부가 형성된 제 1 렌치부; 및
상기 렌치 본체의 타단부에 중공부를 구비한 채로 형성되고, 상기 렌치 본체의 반대측 단부에는 핸드너트를 풀거나 조일 수 있도록 핸드너트용 홈이 형성되며, 상기 렌치 본체와 동일한 방향의 외벽 일부가 제거되어 외부로 개방된 제 3 개방부가 형성된 제 2 렌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2 개의 고정육각너트를 각각 제 1 고정육각너트와 제 2 고정육각너트라고 할 때, 상기 고정육각너트용 홈의 내측벽에는 원주방향을 따라서 제 1 고정육각너트의 모서리부에 대응되는 제 1 'V'자형 홈과, 제 2 고정육각너트의 모서리부에 대응되는 제 2 'V'자형 홈이 번갈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육각너트용 홈의 최소 내경은 제 1 렌치부의 중공부 내경보다 크며,
상기 핸드너트용 홈의 내경은 제 2 렌치부의 중공부의 내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렌치 본체의 중공부 내에서 안내되어 상기 렌치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원통형의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의 상기 제 1 렌치부 측 단부에 결합되어 수전용 호스의 너트를 풀거나 조이는 제 3 렌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렌치부의 고정육각너트용 홈과 제 2 렌치부의 핸드너트용 홈은 각각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며;
제 1 내지 제 3 개방부는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3 렌치부의 일부는 제 1 개방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체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며 내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용 홈,
상기 렌치 본체의 상기 제 1 개방부 반대측에 상기 렌치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릿,
상기 슬릿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용 홈에 나사결합되는 나비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인 싱크대 수전용 렌치는 협소한 공간 내에 위치하며 중앙에 호스가 위치하여 풀림과 조임에 어려움이 있는 싱크대 수전 하부의 나사부에 장착되는 결합수단의 결합과 해체를 용이하게 하여 싱크대 수전의 설치 및 교체를 쉽게 할 수 있고, 별도의 추가적인 공구 없이 단 하나의 공구만으로 다양한 싱크대 수전 결합수단의 설치 및 교체가 가능하며, 신속하고 안전하게 싱크대 수전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며, 금형을 이용하여 제작시 제작공정이 간단하여 제작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싱크대 수전을 고정육각너트로 고정 설치한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싱크대 수전을 고정육각너트로 고정 설치한 구조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3은 싱크대 수전을 핸드너트로 고정 설치한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싱크대 수전을 핸드너트로 고정 설치한 구조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수전용 렌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수전용 렌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수전용 렌치를 다른 각도에서 관찰시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수전용 렌치를 통해 고정육각너트의 체결 및 분해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수전용 렌치를 통해 핸드너트의 체결 및 분해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수전용 렌치를 통해 호스 너트의 체결 및 분해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수전용 렌치의 제 1 렌치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수전용 렌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수전용 렌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수전용 렌치를 다른 각도에서 관찰시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수전용 렌치를 통해 고정육각너트의 체결 및 분해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수전용 렌치를 통해 핸드너트의 체결 및 분해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수전용 렌치를 통해 호스 너트의 체결 및 분해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수전용 렌치의 제 1 렌치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수전용 렌치는, 원통형 바 형태로 이루어진 렌치 본체(10), 상기 렌치 본체(10)의 양단에 설치되는 제 1, 2 렌치부(20,30), 상기 렌치 본체(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렌치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이동체(40) 및 상기 이동체(40)의 단부에 형성된 제 3 렌치부(50)를 구비한다.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상기 렌치 본체(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원통형의 바 형태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단면이 원형인 중공부(11)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렌치 본체(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공부(11)를 둘러싸는 외벽의 일부가 제거된 제 1 개방부(12)를 가지는데, 이 제 1 개방부(12)를 통해 수전용 호스(6)가,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치 본체(10)의 중공부(11)로 인입 및 인출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제 1 개방부(12)를 통해 제 3 렌치부(50)가 돌출되며, 이를 위해 상기 제 1 개방부(12)의 크기는 수전용 호스(6)와 제 3 렌치부(50)가 인입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렌치 본체(10)의 상기 개방부(12)의 반대측에는, 도 5,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13)이 상기 렌치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이 슬릿(13)의 구체적 사항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 1 렌치부(2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 1 렌치부(2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치 본체(10)의 일단부에 중공부를 가진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그 단면의 외경 크기는 상기 렌치 본체(10)의 외경 크기에 비해 크게 형성되는데, 상기 제 1 렌치부(20)의 렌치 본체(10) 반대측 단부에는 고정육각너트(5)를 풀거나 조이는 작업을 하기 위한 고정육각너트용 홈(21)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싱크대 수전(2)에는 40mm 고정육각너트, 44mm 고정육각너트 등의 다양한 크기의 고정육각너트들(15)이 사용되므로, 본 발명의 상기 고정육각너트용 홈(21)은 이러한 고정육각너트들(15)을 모두 풀거나 조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구체적으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가 다른 2 종류의 고정육각너트, 즉 제 1 및 제 2 고정육각너트를 결합 및 해체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육각너트용 홈(21)의 내측벽에는 원주방향을 따라서 제 1 고정육각너트의 모서리부에 대응되는 제 1 'V'자형 홈(a)과, 제 2 고정육각너트의 모서리부에 대응되는 제 2 'V'자형 홈(b)이 번갈아 가며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때, 제 1 'V'자형 홈(a)은 43mm 고정육각너트의 모서리부에 대응되는 크기와 위치에, 제 2 'V'자형 홈(b)은 47mm 고정육각너트의 모서리부에 대응되는 크기와 위치에 형성함이 바람직한데, 실제로는 해당되는 규격보다 작은 크기의 너트도 동일한 렌치로 결합 및 해체할 수 있는 점을 감안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할 경우 실제로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수전용 렌치는 38~47mm 고정육각너트를 결합 및 해체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시중에 유통되는 싱크대 수전에 사용되는 모든 고정육각너트의 결합 및 해체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상기 고정육각너트용 홈(21)의 최소 내경은 제 1 렌치부(20)의 중공부 내경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단차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데, 이는 단부로 갈수록 내경이 크게 함으로써 금형을 통해 성형 후에 금형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단부 측에 직경이 감소하는 부분이 있어 단턱이 형성될 경우 금형 작업시 제 1 렌치부의 중공부로 삽입된 금형 부분의 유출이 곤란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제 2 렌치부(30)에 그대로 적용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렌치부(20)에 형성된 고정육각너트용 홈(21)은 상기 렌치 본체(10)의 중공부(11)와 연통되어 형성되는데, 이는 후술할 원통형 이동체(40)가 삽입되어 상기 중공부(11) 내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로서의 역할을 하며 수전용 호스(6)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 1 렌치부(20)에는 외벽 일부를 상기 렌치 본체(10)와 마찬가지로 제거한 제 2 개방부(22)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개방부(12,22)는 서로 연결 구성되는데, 이는 상기 렌치 본체(10)의 제 1 개방부(12)와 같이 수전용 호스(6)가 상기 제 1 렌치부(20)의 고정육각너트용 홈(21)으로 쉽게 인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도 10 참조).
이를 위해서 상기 제 1 렌치부(20)의 제 2 개방부(22) 역시 그 크기가 수전용 호스(6)가 인입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여야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1 렌치부(20)는 싱크대 수전(2) 하부에 결합되어 싱크대 수전(2)을 싱크대(3)에 고정시키도록 하는 다양한 크기의 고정육각너트(5)를 체결하거나 해체하는 데 사용된다.
다음은 상기 제 2 렌치부(3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 2 렌치부(3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치 본체(10)의 타단부에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그 단면의 외경 크기는 상기 렌치 본체(10)의 외경 크기에 비해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렌치부(30)의 단부에는 싱크대 수전(2)을 싱크대(3)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근래에 보급되어 사용되는 핸드너트(7)를 풀거나 조이기 위한 핸드너트용 홈(31)이 형성된다.
통상 핸드너트(7)는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일단부 내부에 싱크대 수전(2)의 나사부와 결합되는 암나부가 구비되며, 타단부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한 채로 미끄럼 없이 회전시키기 위해 외주를 따라서 다수의 돌기부가 형성된 너트로서, 이와 같은 핸드너트(7)를 회전하기 위해 상기 핸드너트용 홈(3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드너트(7)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구체적으로는 핸드너트용 홈(31)은 단면이 원형인 홈을 형성하고 그 내벽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핸트너트(7)의 돌기부에 대응되는 다수의 오목부(31')가 형성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2 렌치부(30)에서 상기 핸드너트용 홈(31)이 위치하는 부분은 그 외경을 제 2 렌치부(30)의 다른 부분에 비해 크게 형성함으로써 확경부(32")를 두는데, 이로 인해 제 2 렌치부(30)는 단턱을 구비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2 렌치부(30)는 상기 핸드너트(7)를 체결하거나 해체하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렌치부(30)에 형성된 핸드너트용 홈(31)은 상기 렌치 본체(10)의 중공부(11)와 연통되어 형성되는데, 이는 후술할 원통형 이동체(40)가 삽입되어 상기 중공부(11) 내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로서의 역할을 하며 수전용 호스(6)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 2 렌치부(30)에는 외벽 일부를 상기 렌치 본체(10)와 마찬가지로 제거한 제 3 개방부(32)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3 개방부(12,22)는 서로 연결 구성되는데, 이는 상기 렌치 본체(10)의 제 1 개방부(12)와 같이 수전용 호스(6)가 상기 제 2 렌치부(30)의 핸드너트용 홈(31)으로 쉽게 인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상기 핸드너트용 홈(31)의 최소 내경은 제 2 렌치부(30)의 중공부 내경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단차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데, 이는 단부로 갈수록 내경이 크게 함으로써 금형을 통해 성형 후에 금형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단부 측에 직경이 감소하는 부분이 있어 단턱이 형성될 경우 금형 작업시 제 2 렌치부(30)의 중공부로 삽입된 금형 부분의 유출이 곤란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 1 및 제 2 렌치부(20,30)를 통해 싱크대 수전(2)을 고정시키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크기의 고정육각너트(5)와 핸드너트(7) 모두를 체결 및 해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체(4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이동체(40)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렌치부(20)의 고정육각너트용 홈(21)이나 제 2 렌치부(30)의 핸드너트용 홈(31)을 통해 상기 렌치 본체(10)의 중공부(11)로 삽입되며 렌치 본체(10), 제 1 렌치부(20) 및 제 2 렌치부(30)의 중공부 내에서 상기 렌치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체(40)의 외주면 일측에는 내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용 홈(41)이 형성되며, 이 체결용 홈(41)에는 수나사가 형성된 나비볼트(42)가 상기 렌치 본체(10)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릿(13)을 관통하여 나사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체결용 홈(41)과 상기 나비볼트(4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렌치 본체(10)의 중공부(11) 내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상기 이동체(40)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고정시키고자 하는 지점으로 상기 이동체(40)를 이동시킨 후 상기 나비볼트(42)를 조이면 고정이 되며, 상기 이동체(40)를 다시 이동시키고자 할 때는 상기 나비볼트(42)를 풀어서 상기 이동체(40)를 이동시키는 방식을 구성된다.
도 5,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치 본체(10), 제 1 및 제 2 렌체부(20,30)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슬릿(13)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이를 위해 렌치 본체(10)의 중심축과, 제 1 및 제 2 렌치부(20,30)의 중심축은 편심되어 구성되며, 렌치 본체(10), 제 1 렌치부(20) 및 제 2 렌치부(30)의 슬릿(13)이 형성된 부분의 원주면은 서로 높낮이차가 없이 연속적인 면으로 형성된다} 나비볼트(42)를 결합한 상태로 상기 이동체(40)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도 있게 된다.
다음은 제 3 렌치부(5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 3 렌치부(50)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체(40)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수전용 호스(6)에 결합되는 호스 너트(8)를 풀거나 조이는 부분이다.
통상, 호스 너트(8)는 싱크대 수전(2)의 수전용 호스(6)를 배관에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너트로서, 싱크대(3) 하부 중 비교적 공간이 넓어서 작업이 용이한 곳에 위치하므로 상기 제 3 렌치부(5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의 측면 방향으로 접근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렌치부(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심이 상기 이동체(40)의 중심축과 편심되어 설치되며, 그 일부가 제 1 개방부(12)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는 상기 렌치 본체(10)에 대해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제 3 렌치부(50)가 상기 렌치 본체(10)의 중공부 내에서 상기 이동체(40)에 결합된 상태로 용이하게 이동가능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수전용 렌치를 사용하여 싱크대 수전(2)을 교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기존에 설치된 싱크대 수전(2)을 해체하기 위해 해당 싱크대 수전(2)의 모델명을 확인하고 사용되는 너트를 확인한다.
사용된 너트가 40mm 고정육각너트 또는 44mm 고정육각너트인 경우에는 제 1 렌치부로, 핸드너트(7)인 경우에는 제 2 렌치부(30)를 이용하여 싱크대 수전(2)의 나사부에 결합된 너트를 제거한다.
이후, 제 3 렌치부(50)를 사용하여 호스 너트(8)를 해체하여 수전용 호스(6)를 배관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싱크대 수전(2)의 완전한 해체가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달리, 제 3 렌치부(50)를 이용하여 호스 너트(8)를 해체한 후, 제 1 렌치부(20) 또는 제 2 렌치부(30)를 이용하여 싱크대 수전(2)의 나사부에 결합된 너트를 제거할 수도 있다.
새로운 싱크대 수전(2)의 설치는 상기한 해체방법의 역순으로 조립을 진행하면 될 것이다.
2: 싱크대 수전 3: 싱크대
5: 고정육각너트 6: 수전용 호스
7: 핸드너트 8: 호스 너트
10: 렌치 본체 11: 중공부
12: 제 1 개방부 20: 제 1 렌치부
21: 고정육각너트용 홈 22: 제 2 개방부
30: 제 2 렌치부 31: 핸드너트용 홈
40: 이동체 41: 체결용 홈
42: 나비볼트 50: 제 3 렌치부

Claims (6)

  1. 내부에 중공부를 가진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수전용 호스가 측방향으로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중공부를 둘러싸는 외벽의 일부가 제거되어 상기 중공부가 외부로 개방되는 제 1 개방부가 형성된 렌치 본체,
    상기 렌치 본체의 일단부에 중공부를 구비한 채로 형성되고, 상기 렌치 본체의 반대측 단부에는 크기가 다른 2 개의 고정육각너트를 풀거나 조이기 위한 고정육각너트용 홈이 형성되며, 상기 렌치 본체와 동일한 방향의 외벽의 일부가 제거되어 외부로 개방된 제 2 개방부가 형성된 제 1 렌치부,
    상기 렌치 본체의 타단부에 중공부를 구비한 채로 형성되고, 상기 렌치 본체의 반대측 단부에는 핸드너트를 풀거나 조일 수 있도록 핸드너트용 홈이 형성되며, 상기 렌치 본체와 동일한 방향의 외벽 일부가 제거되어 외부로 개방된 제 3 개방부가 형성된 제 2 렌치부,
    상기 렌치 본체의 중공부 내에서 안내되어 상기 렌치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원통형의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의 상기 제 1 렌치부 측 단부에 결합되어 수전용 호스의 너트를 풀거나 조이는 제 3 렌치부,
    상기 이동체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며 내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용 홈,
    상기 렌치 본체의 상기 제 1 개방부 반대측에 상기 렌치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릿 및
    상기 슬릿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용 홈에 나사결합되는 나비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2 개의 고정육각너트를 각각 제 1 고정육각너트와 제 2 고정육각너트라고 할 때, 상기 고정육각너트용 홈의 내측벽에는 원주방향을 따라서 제 1 고정육각너트의 모서리부에 대응되는 제 1 'V'자형 홈과, 제 2 고정육각너트의 모서리부에 대응되는 제 2 'V'자형 홈이 번갈아 형성되며,
    상기 제 1 렌치부의 고정육각너트용 홈과 제 2 렌치부의 핸드너트용 홈은 각각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며,
    제 1 내지 제 3 개방부는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고정육각너트용 홈의 최소 내경은 제 1 렌치부의 중공부 내경보다 크며,
    상기 핸드너트용 홈의 내경은 제 2 렌치부의 중공부의 내경보다 크며,
    상기 제 3 렌치부의 일부는 제 1 개방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핸드너트용 홈은 단면이 원형인 홈과, 상기 홈의 내벽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핸드너트의 돌기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오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렌치부의 핸드너트용 홈이 위치하는 부분의 외경은 상기 제 2 렌치부의 다른 부분 외경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 2 렌치부에는 확경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수전용 렌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10078118A 2011-08-05 2011-08-05 싱크대 수전용 렌치 KR101089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118A KR101089842B1 (ko) 2011-08-05 2011-08-05 싱크대 수전용 렌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118A KR101089842B1 (ko) 2011-08-05 2011-08-05 싱크대 수전용 렌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9842B1 true KR101089842B1 (ko) 2011-12-05

Family

ID=45505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8118A KR101089842B1 (ko) 2011-08-05 2011-08-05 싱크대 수전용 렌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98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863B1 (ko) 2019-05-03 2019-10-04 박종석 상부 조임식 싱크 수전
KR20210117849A (ko) 2020-03-20 2021-09-29 박종석 상부 조임식 싱크 수전
KR102544832B1 (ko) 2022-04-19 2023-06-16 박종석 상부 조임식 싱크 수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35260A1 (en) * 2002-08-21 2004-02-26 Adkison O. Gemare Tool with engaging portion having axial opening and radial slot
KR100974169B1 (ko) * 2010-02-18 2010-08-04 고명원 세면기 수전 교체용 렌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35260A1 (en) * 2002-08-21 2004-02-26 Adkison O. Gemare Tool with engaging portion having axial opening and radial slot
KR100974169B1 (ko) * 2010-02-18 2010-08-04 고명원 세면기 수전 교체용 렌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863B1 (ko) 2019-05-03 2019-10-04 박종석 상부 조임식 싱크 수전
KR20210117849A (ko) 2020-03-20 2021-09-29 박종석 상부 조임식 싱크 수전
KR102544832B1 (ko) 2022-04-19 2023-06-16 박종석 상부 조임식 싱크 수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9842B1 (ko) 싱크대 수전용 렌치
US20070028726A1 (en) Drain and strainer wrench
US10364556B2 (en) Tension-based mechanical coupling device
KR100974169B1 (ko) 세면기 수전 교체용 렌치
KR101846481B1 (ko)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CN108953329B (zh) 一种膨胀钉
CN110318446B (zh) 一种带扳手功能的花洒固定装置
US20060081094A1 (en) Plumbing tool set
US10458568B2 (en) Tamper-resistant operating nut for hydrants
US20170028535A1 (en) Multipurpose Wrench Tool
KR200483128Y1 (ko) 싱크대 및 세면대 원홀 수전 고정너트 교체용 렌치 세트
KR101630765B1 (ko) 콘크리트 거푸집용 철근고정구
CN202062346U (zh) 节能灯更换工具
KR100519804B1 (ko) 콘크리트 거푸집용 고정구
CN202377970U (zh) 改锥
KR20090114055A (ko) 배관용 렌치
CN216158524U (zh) 防拆连接件
CN211414945U (zh) 扳手
CN204585099U (zh) 多用可加长扳手
CN202656130U (zh) 一种拔销器
KR101735259B1 (ko) 너트 체결 장치 및 그 체결 방법
RU109260U1 (ru) Монтаж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CN203438199U (zh) 一种组合扳手
KR200401075Y1 (ko) 거푸집 고정장치
CN201149028Y (zh) 防拆螺栓副及其防拆螺栓螺母和专用扳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