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9830B1 - 영상의 카테고리 및 사람의 피부 인식 정보를 이용한 화질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조정 장치 및 디스플레이 조정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의 카테고리 및 사람의 피부 인식 정보를 이용한 화질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조정 장치 및 디스플레이 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9830B1
KR101089830B1 KR1020090096132A KR20090096132A KR101089830B1 KR 101089830 B1 KR101089830 B1 KR 101089830B1 KR 1020090096132 A KR1020090096132 A KR 1020090096132A KR 20090096132 A KR20090096132 A KR 20090096132A KR 101089830 B1 KR101089830 B1 KR 101089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ategory
screen
skin
image qu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6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8934A (ko
Inventor
최경실
박영경
홍정인
김윤정
Original Assignee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96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9830B1/ko
Publication of KR20110038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8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9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9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40Analysis of tex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172Image enhancement 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 G06T2207/30201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의 카테고리 및 사람의 피부 인식 정보를 이용한 화질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1) 영상의 카테고리를 분류하는 카테고리 판별부; (2) 영상 속의 사람의 피부를 인식하는 피부 인식부; 및 (3) 상기 판별부에서 분류된 카테고리 및 상기 피부 인식부에서 인식된 사람의 피부 정보에 따라 화면을 조정하는 화면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의 카테고리 및 사람의 피부 인식 정보를 이용한 화질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조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영상의 카테고리 및 영상 속의 사람의 피부 정보에 따라 화면을 조정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영상의 카테고리 및 사람의 피부 인식 정보를 이용한 화질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조정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영상의 카테고리를 분류하고 사람의 피부를 인식하여 화면을 조정하는 영상의 카테고리 및 사람의 피부 인식 정보를 이용한 화질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조정 장치 및 디스플레이 조정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영상의 카테고리마다 다른 감성을 반영하고 선호하는 사람 피부색을 재현하여 사용자가 인지하는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영상, 카테고리, 피부 인식, 화질 향상

Description

영상의 카테고리 및 사람의 피부 인식 정보를 이용한 화질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조정 장치 및 디스플레이 조정 방법{DISPLAY CALIBR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IMAGE QUALITY ENHANCEMENT USING CATEGORIZING OF IMAGE AND RECOGNITION INFORMATION OF HUMAN SKIN}
본 발명은 화질을 향상하기 위한 영상의 카테고리 및 사람의 피부 인식 정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조정 장치 및 디스플레이 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의 출력 장치를 통하여 눈으로 정보를 받아 인지하는 정보의 시각적인 전달자 역할을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구는 박형화, 고화질화, 저전력 친환경 등이 핵심이며, 이중 고화질화는 영상의 화질을 개선하기 위한 해상도 등의 물리적인 화질의 성능을 높이는 기술 개발이 중점이다. 하지만, 최근 디스플레이의 성능 향상과 화질 기술의 발달로 물리적인 화질의 성능은 우수하여 졌으나 사용자의 시각으로 정보를 인지하는 과정을 배제한 물리적인 화질 개선만으로는 화질 개선에 한계가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현된 영상에 포함되는 색상 중에서 사람의 피부색은 높 은 빈도를 나타내고 있어, 사람의 피부색의 재현이 영상 출력 장치의 화질 성능에 중요한 요소이나, 영상 속의 사람의 피부색을 인식하고 재현하는 화질 개선 방법은 고려되고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디스플레이 화질 향상 기술은, 영상의 다양한 컨텐츠에 따라, 시청자를 만족시키는 화질을 제공하기 위해서 그 컨텐츠가 요구하는 감성을 충분히 반영하려는 방법은 고려되지 않고 명도, 채도, 색상 등의 물리적인 화질만을 조정하도록 설계되어 접근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컨텐츠를 염두에 두고 있더라도 단지 2-3가지 모드 별로 화질을 일괄적으로 조정하게 되어있어 사용자가 화질 조정의 필요성을 느끼고 직접 화질을 조정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영상의 카테고리를 분류하고 사람의 피부를 인식하여 화면을 조정함으로써, 영상의 카테고리마다 다른 감성을 반영하고 선호하는 사람 피부색을 재현하여 사용자가 인지하는 화질을 향상시키는, 영상의 카테고리 및 사람의 피부 인식 정보를 이용한 화질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조정 장치 및 디스플레이 조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영상의 카테고리 및 사람의 피부 인식 정보를 이용한 화질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조정 장치는,
(1) 영상의 카테고리를 분류하는 카테고리 판별부;
(2) 영상 속의 사람의 피부를 인식하는 피부 인식부; 및
(3) 상기 카테고리 판별부에서 분류된 카테고리 및 상기 피부 인식부에서 인식된 사람의 피부 정보에 따라 화면을 조정하는 화면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면 조정부는,
분류된 카테고리 및 인식된 사람의 피부 정보에 따라 변화되는 화면 조정 변수를 이용하여 화면을 조정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면 조정 변수는,
디스플레이의 Hue 파라메타, Saturation 파라메타, Lightness 파라메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영상의 카테고리 및 사람의 피부 인식 정보를 이용한 화질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조정 방법은,
영상의 카테고리 및 영상 속의 사람의 피부 정보에 따라 화면을 조정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1) 카테고리 판별부에서 분류한 카테고리 및 피부 인식부에서 인식된 사람의 피부에 대한 영상 정보를 화면 조정부로 전송하는 단계;
(2) 영상 정보를 화면 조정부로 전송한 경우, 상기 화면 조정부에서 화면을 조정하는 단계; 및
(3) 상기 화면 조정부에서 화면을 조정한 경우, 조정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면을 조정하는 단계는,
분류된 카테고리 및 인식된 피부 정보에 따라 각각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화면 조정 변수에 더하여 화면을 조정할 수 있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중치는,
영상의 카테고리에 따라 화질을 향상시키도록 화면 조정 변수 값에 소정의 값을 가감할 수 있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중치는,
영상 속의 사람의 피부 정보에 따라 화질을 향상시키도록 화면 조정 변수 값에 소정의 값을 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영상의 카테고리 및 사람의 피부 인식 정보를 이용한 화질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조정 장치 및 디스플레이 조정 방법에 따르면, 영상의 카테고리를 분류하고 사람의 피부를 인식하여 화면을 조정하는 영상의 카테고리 및 사람의 피부 인식 정보를 이용한 화질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조정 장치 및 디스플레이 조정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영상의 카테고리마다 다른 감성을 반영하고 선호하는 사람 피부색을 재현하여 사용자가 인지하는 화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조정 장 치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의 카테고리 및 사람의 피부 인식 정보를 이용한 화질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조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의 카테고리 및 사람의 피부 인식 정보를 이용한 화질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조정 장치는, 영상의 카테고리를 분류하는 카테고리 판별부(100), 영상 속의 사람의 피부를 인식하는 피부 인식부(200), 및 카테고리 판별부(100)에서 분류된 카테고리 및 피부 인식부(200)에서 인식된 사람의 피부 정보에 따라 화면을 조정하는 화면 조정부(300)를 포함한다. 또한, 화면 조정부(300)에서 조정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400)가 포함될 수 있다.
카테고리 판별부(100)는 수신된 영상의 카테고리를 분류하는 기능을 한다. 카테고리 판별부(100)는 카테고리 판별부(100)에서 영상의 다양한 카테고리를 판별한 다음 화면 조정부(300)에서 화질을 조정하여 그 컨텐츠가 요구하는 감성을 충분히 반영하여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 영상의 카테고리는 뉴스, 다큐, 애정, 전쟁 및 스포츠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피부 인식부(200)는 영상 속에서 사람의 피부색을 인식하는 기능을 한다. 사람의 피부색을 인식하는 경우, 화면 조정부(300)에서 화질을 조정하여, 영상 출 력 장치의 화질 성능에 중요한 요소인 피부색을 사용자 선호색으로 개선할 수 있다.
화면 조정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류된 카테고리 및 인식된 사람의 피부 정보에 따라 변화되는 화면 조정 변수를 이용하여 화면을 조정할 수 있다. 화면 조정부(300)는 분류된 카테고리 및 인식된 사람의 피부 정보에 따라 변화하는 화면 조정 변수를 이용하여, 다양한 컨텐츠에 따라 각각 다르게 요구되는 감정을 충분히 반영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화면으로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 여기서 화면 조정 변수는, 디스플레이의 Hue 파라메타, Saturation 파라메타, Lightness 파라메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파라메타는 장치에 대하여 독립적이면서 인간 시각이 색을 인식하는 수단이므로 화면 조정 변수로 사용되기에 유용하다. 한편 화면 조정 변수는 네 가지 이외에도 Gamma, Chroma(Colorfulness), Brightness, 및 Contrast 파라메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면 조정 변수는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여러 화면 조정 변수가 함께 사용되어, 최소 두 개 이상이 동시에 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조정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의 카테고리 및 사람의 피부 인식 정보를 이용한 화질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조정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의 카테고리 및 사람의 피부 인식 정보를 이용한 화질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조정 방법은, 영상의 카테고리 및 영상 속의 사람의 피부 정보에 따라 화면을 조정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성능 개선과 관계없이, 영상의 카테고리 및 인식된 피부색 정보를 이용해 사람의 눈에 인식되기 용이하고 감성이 반영된 영상으로 화면을 조정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고 더욱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게 화질을 향상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영상의 카테고리 및 사람의 피부 인식 정보를 이용한 화질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조정 방법은, 우선, 카테고리 판별부(100)에서 분류한 카테고리 및 피부 인식부(200)에서 인식된 사람의 피부에 대한 영상 정보를 화면 조정부로 전송할 수 있다(S100).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카테고리 판별부(100)에서 영상의 카테고리를 분류하고 피부 인식부(200)에서 사람의 피부를 인식하여, 인식된 정보를 화면 조정부(300)로 전송함으로써, 영상의 카테고리 정보 및 피부 정보를 화질 향상에 사용할 수 있다. 카테고리 판별부(100)에서 영상의 카테고리는 영상의 프로그램 정보 등을 참고하여 분류할 수 있으며, 피부 인식부(200)에서 사람의 피부는 수신된 영상의 이미지에서 피부색을 검출하고 탐색된 피부영역의 이미지 내 분포 범위를 산출하여 식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정보를 화면 조정부로 전송한 경 우, 화면 조정부(300)에서 화면을 조정할 수 있다(S200). 화면을 조정하는 경우, 분류된 카테고리 및 인식된 사람의 피부 정보에 따라 미리 화면 조정 변수의 가중치를 각각 설정하여, 화면 조정 변수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어 다양한 컨텐츠에 따라 선호하는 화면으로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 여기서, 가중치는 영상의 카테고리에 따라 화질을 향상시키도록 화면 조정 변수 값에 소정의 값을 가감할 수 있다. 뉴스, 다큐멘터리, 애정, 전쟁 및 스포츠 등으로 분류된 영상의 카테고리에 따라 아래 실험예 1과 같이 선호도가 차이가 나타나므로, 영상의 카테고리를 분류하여 높은 선호도를 가지도록 화면 조정 변수 값에 소정의 값을 가감시키기 위하여 가중치를 미리 설정하여 화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실험예 1]
디스플레이의 화질 개선의 목적으로 디스플레이의 출력장치에서 카테고리에 따른 효과적인 화질 조정 변수를 확인하기 위하여 화질 조정 변수가 적용된 6가지 영상을 제시하여 카테고리별 주관적. 생리적 피로도를 실험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험예 1에 따른 각각의 카테고리별로 화질 조정 변수를 조정한 레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험 방법은 영상에 가장 민감한 20대 3명이 참가하여 도 3과 같이 다큐멘터리, 애정, 뉴스, 스포츠, 전쟁의 5가지 카테고리별로 H(Hue), M(Chroma(Colorfulness)), L(Lightness), CN(Contrast)의 화질 조정 변수를 5단계로 조정한 화면을 제시하여 선호도를 확인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험예 1에 따른 영상의 카테고리에 따른 화질 조정 변수 선호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특히 (a), (b), (c), (d) 및 (e)은 각각 다큐멘터리, 애정, 뉴스, 스포츠 및 전쟁 카테고리의 실험 결과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큐멘터리 카테고리는 H_3, M_2, L_3, CN_4 레벨인 경우, 사랑 카테고리는 H_3, M_3, L_3, CN_2 레벨인 경우, 뉴스 카테고리는 H_3, M_2, L_3, CN_3인 경우, 스포츠 카테고리는 H_3, M_3, L_3, CN_4인 경우, 전쟁 카테고리는 H_4, M_2, L_3, CN_4인 경우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가중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속의 사람의 피부 정보에 따라 화질을 향상시키도록 화면 조정 변수 값에 소정의 값을 가감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현된 영상에 포함되는 색상 중에서 사람의 피부색은 높은 빈도를 나타내고 있고, 아래 실험예 2와 같이 사람 피부색의 선호도가 뚜렷한 편이므로, 영상 속의 사람의 피부색이 인식되는 경우 피부색을 높은 선호도를 가지도록 화면 조정 변수 값에 소정의 값을 가감시키기 위하여 가중치를 미리 설정하여 화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실험예 2]
디스플레이의 화질 개선의 목적으로 디스플레이의 출력장치에서 피부색의 효과적인 재현을 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인간의 피부색에 대한 선호색 영역을 실험하 였다. 실험에 사용된 이미지는 lkegami HDK-790E HD Camara로 촬영한 후 Autodesk Lustre로 얼굴 부분만 색과 밝기 및 채도를 조정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험예 2에 따른 영상의 카테고리 및 사람의 피부 인식 정보를 이용한 화질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조정 장치에서 피부색의 효과적인 재현을 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인간의 피부색에 대한 선호색 영역의 실험에 사용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특히 (a), (b) 및 (c)은 각각 Hue 파라메타, Lightness 파라메타 및 Saturation 파라메타의 화면 조정 변수를 조정하여 렌더링한 이미지이다. Hue 파라메타는 vector SCOPE 1축에서 시계방향으로 2도 정도의 위치에 Level 3을 두고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3도씩 움직여서 Level 1, Level 2, Level 4, Level 5를 만들어낸다. 여기서, Hue angle은, Hue(색조)에 붉은색에서 노란색 또는 노란색에서 초록색 또는 초록색에서 푸른색 또는 푸른색에서 붉은색으로 계통이 이동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오리지널 화면인 Level 3에서 Level 1로 갈수록 reddish 색상을 많이 포함하고, Level 3에서 Level 5로 갈수록 yellowish 색상을 많이 포함한 것을 의미한다. Lightness 파라메타는 Waveform Meter에서 얼굴의 가장 밝은 부분을 Level 1(535mV), Level 2(520mV), Level 3(510mV), Level 4(500mV), Level 5(490mV)로 조정한다. Saturation 파라메타는 1축의 꺾쇠부분에 Level 3을 위치시키고 차이가 느껴지는 정도의 크기로 채도를 증감하면서 Level 1, Level 2, Level 4, Level 5를 만들어낸다.
실험 방법은 피실험자 1명당 랜덤으로 30초씩 15장면을 보여주고 각 장면 당 “아름다운”, “자연스러운”, “편안한”, “부드러운”, “만족스러운”의 5개 형용사의 적합성 평가를 검사한다. 평가 척도는“전혀 그렇지 않다(1)”에서“매우 그렇다(7)”사이에서 화질을 평가하였으며 화면 조정 변수 조정에 따른 실험 결과는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험예 2에 따른 사용자의 인간의 피부색에 대한 선호색 영역의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특히 (a), (b) 및 (c)은 각각 Hue 파라메타, Saturation 파라메타 및 Lightness 파라메타의 화면 조정 변수를 조정하였을 경우 실험 결과이다. 도 6a 내지 도 6c에서, 적색 선은 ‘아름다운’, 황색 선은 ‘자연스러운’, 주황색 선은 ‘편안한’, 연두색 선은 ‘부드러운’, 녹색 선은 ‘만족스러운’에 대한 형용사의 적합성 평가 결과를 각각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Hue 파라메타 조정에 따른 실험 결과는 Hue 1, 2, 3은 유사하며 Hue 4, 5보다 선호도가 높게 결과가 도출되어 yellowish 색상을 많이 포함한 Level 4번, 5번 보다 reddish 색상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Level 1번, 2번, 3번 이미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aturation 파라메타 조정에 따른 실험 결과는 Sat 2, 3, 4는 유사하며 Sat 1, 5보다 선호도가 높게 나타나서 Default Level 3번 이미지에서 약간 고채도의 Level 2번과 약간 저채도인 Level 4번의 선호도 경향이 나타나 고채도와 저채도의 비선호 경향이 뚜렷하였다. Lightness 파라메타 조정에 따른 실험 결과는 Lig 1, 2는 유사하고 Lig 3, 4, 5보다 선호도가 높게 나타나 밝은 이 미지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현된 영상의 카테고리와 영상 속의 사람 피부색에 따라 화질에 대한 선호도가 뚜렷하고, 색감의 변화로 인해서 감성에 따라 달라지는 인간의 색 신경과의 관계로 인하여 이미지 디스플레이의 화질이 향상됨을 확인하여, 영상의 카테고리를 분류하고 영상 속의 사람의 피부를 인식하여 화면을 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인지하는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화면 조정부(300)에서 화면을 조정한 경우, 조정된 영상을 디스플레이(S300)할 수 있다. 조정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300)는, 화면을 조정하는 단계(S200)에서 분류된 카테고리 및 인식된 사람 피부 정보를 바탕으로 조정된 화면을 디스플레이부(40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화질을 향상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영상의 카테고리 및 사람의 피부 인식 정보를 이용한 화질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조정 방법은, 카테고리 판별부(100)에서 분류한 카테고리 및 피부 인식부(200)에서 인식된 사람의 피부에 대한 영상 정보를 화면 조정부로 전송하는 단계(S100), 영상 정보를 화면 조정부로 전송한 경우, 화면 조정부(300)에서 화면을 조정하는 단계(S200) 및 화면 조정부(300)에서 화면을 조정한 경우, 조정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영상의 카테고리를 분류하고 사람의 피부를 인식한 후 정보를 화면 조정부로 전송(S100)한 후 카테고리 분류 정보 및 인식된 사람 피부 정보 모두를 이용하여 화면을 조정(S200)할 수 있다. 또한, 영상의 카테고리를 분류한 후에 영상의 사람 피부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는, 정보를 화면 조정부로 전송(S100)한 후 카테고리 정보만을 이용하여 화면을 조정(S200)할 수 있고, 화면을 조정(S200)하고 디스플레이(S300)한 후에도, 피부 인식부(200)에서 사람 피부가 인식되면, 다시 화면을 조정(S200)하고 디스플레이(S300)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의 카테고리 및 사람의 피부 인식 정보를 이용한 화질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조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의 카테고리 및 사람의 피부 인식 정보를 이용한 화질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조정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험예 1에 따른 각각의 카테고리별로 화질 조정 변수를 조정한 레벨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험예 1에 따른 영상의 카테고리에 따른 화질 조정 변수 선호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험예 2에 따른 피부색의 효과적인 재현을 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인간의 피부색에 대한 선호색 영역의 실험에 사용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험예 2에 따른 사용자의 인간의 피부색에 대한 선호색 영역의 실험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카테고리 판별부 200: 피부 인식부
300: 화면 조정부 400: 디스플레이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영상의 카테고리 및 사람의 피부 인식 정보를 이용한 화질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조정 방법에 있어서,
    영상의 카테고리 및 영상 속의 사람의 피부 정보에 따라 화면을 조정하되,
    (1) 카테고리 판별부에서 분류한 카테고리 및 피부 인식부에서 인식된 사람의 피부에 대한 영상 정보를 화면 조정부로 전송하는 단계;
    (2) 영상 정보를 화면 조정부로 전송한 경우, 상기 화면 조정부에서 화면을 조정하는 단계; 및
    (3) 상기 화면 조정부에서 화면을 조정한 경우, 조정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화면을 조정하는 단계는,
    분류된 카테고리 및 인식된 피부 정보에 따라 각각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화면 조정 변수에 더하여 화면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카테고리 및 사람의 피부 인식 정보를 이용한 화질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조정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영상의 카테고리에 따라 화질을 향상시키도록 화면 조정 변수 값에 소정의 값을 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카테고리 및 사람의 피부 인식 정보를 이용한 화질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조정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영상 속의 사람의 피부 정보에 따라 화질을 향상시키도록 화면 조정 변수 값에 소정의 값을 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카테고리 및 사람의 피부 인식 정보를 이용한 화질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조정 방법.
KR1020090096132A 2009-10-09 2009-10-09 영상의 카테고리 및 사람의 피부 인식 정보를 이용한 화질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조정 장치 및 디스플레이 조정 방법 KR101089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132A KR101089830B1 (ko) 2009-10-09 2009-10-09 영상의 카테고리 및 사람의 피부 인식 정보를 이용한 화질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조정 장치 및 디스플레이 조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132A KR101089830B1 (ko) 2009-10-09 2009-10-09 영상의 카테고리 및 사람의 피부 인식 정보를 이용한 화질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조정 장치 및 디스플레이 조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934A KR20110038934A (ko) 2011-04-15
KR101089830B1 true KR101089830B1 (ko) 2011-12-12

Family

ID=44045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6132A KR101089830B1 (ko) 2009-10-09 2009-10-09 영상의 카테고리 및 사람의 피부 인식 정보를 이용한 화질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조정 장치 및 디스플레이 조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983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934A (ko) 201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2644B1 (ko) 비주얼 컨텐츠를 터미널 사용자의 색각 특성에 적합하도록적응 변환시키는 방법 및 시스템
EP278232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n image based on an image property and ambient environment information
Kuang et al. Evaluating HDR rendering algorithms
JP4870665B2 (ja) ビデオ・コンテンツから導出した周辺光を生成するための知覚規則を用いた支配色抽出
US787321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or-deficient image enhancement
EP1909484B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progra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Montag et al. Psychophysical evaluation of gamut mapping techniques using simple rendered images and artificial gamut boundaries
KR101366596B1 (ko) 이차원 정지 화상에 대해 몰입감을 생성하는 방법 및시스템 그리고 상기 몰입감 생성을 위한 팩터 조절 방법,이미지 콘텐트 분석 방법 및 스케일링 파라미터 예측 방법
US20100302272A1 (en) Enhancing Images Using Known Characteristics of Image Subjects
JP2008505384A (ja) ビデオ・コンテンツに由来し、知覚ルール及びユーザ嗜好によって影響される放送による周辺光発生
CN107948627B (zh) 视频播放方法、装置、计算设备及存储介质
WO2023124722A1 (zh) 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Pieri et al. Hitting the mark—a new color difference metric for HDR and WCG imagery
CN106843782B (zh) 一种调整电子设备图像的颜色的方法及电子设备
CN106488219A (zh) 图像显示方法及装置
Pedersen et al. Attributes of a new image quality model for color prints
Laird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gamut extension algorithms
US20230206811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089830B1 (ko) 영상의 카테고리 및 사람의 피부 인식 정보를 이용한 화질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조정 장치 및 디스플레이 조정 방법
CN114820386A (zh) 一种终端显示设备用色盲色弱彩色图像增强系统
KR20210145071A (ko) 디스플레이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
KR20110038924A (ko) 영상의 카테고리 및 배경화면 정보를 이용한 화질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조정 장치 및 디스플레이 조정 방법
KR100995310B1 (ko) Tv 영상 컨텐츠에 따라 감성을 반영한 화질 향상 시스템 및 방법
EP3942790B1 (en) Camera color image processing
Zeng Preferred skin colour reprod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