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8423B1 - 야광 기능을 가지는 usb 연결 플러그 - Google Patents

야광 기능을 가지는 usb 연결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8423B1
KR101088423B1 KR1020090130981A KR20090130981A KR101088423B1 KR 101088423 B1 KR101088423 B1 KR 101088423B1 KR 1020090130981 A KR1020090130981 A KR 1020090130981A KR 20090130981 A KR20090130981 A KR 20090130981A KR 101088423 B1 KR101088423 B1 KR 101088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b
luminous material
usb connection
luminous
connection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0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리스소프트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리스소프트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리스소프트웨어
Priority to KR1020090130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84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01R13/7175Light emitting diodes (LE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광물질 또는 형광물질을 USB 연결 플러그 포트의 전면부 또는 일측면부에 삽입 또는 도포하여 방향성을 알기 쉽게 함과 동시에 야광물질에서 나오는 빛으로 삽입포트의 위치 및 삽입방향을 편리하게 알 수 있도록 하는 야광 기능을 가지는 USB 연결 플러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데이터 연결 회로가 내장되는 장방형의 몸통부; 상기 플래시 데이터 연결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몸통부의 선단에 돌출 설치된 단자부; 상기 단자부를 감싸듯이 설치되며, 단자부 상단에 일정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USB 포트;를 포함하는 USB 연결 플러그 있어서, 상기 단자부의 끝단부 정면에 야광물질을 도포하여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하는 야광 기능을 가지는 USB 연결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USB 연결 플러그, 빛, 야광물질, 단자부, 직선홈, USB 포트

Description

야광 기능을 가지는 USB 연결 플러그{USB connection plugs which have a noctilucence function}
본 발명은 USB 연결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USB 연결 플러그의 연결포트 또는 몸체에 야광물질 또는 형광물질을 삽입 또는 도포하여 야광물질에서 발생하는 빛을 사용하여 USB 연결 플러그의 삽입방향을 알 수 있도록 하고, 포트에서 발생하는 빛을 사용하여 USB 연결 플러그가 삽입될 USB 포트의 삽입위치 및 삽입방향을 보다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야광 기능을 가지는 USB 연결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 PC, 노트북, MP3, 디지털카메라 등의 정보 단말 장치는 각종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인 오류로 인해 주요한 데이터 손실의 우려가 있어 하드디스크나 자기테이프 또는 광디스크와 같은 데이터 저장 장치를 사용하여 데이터 백업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USB 저장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모바일 단말기 또는 다양한 디지털 단말기가 PC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교환하는데 USB 연결 플러그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USB 연결 플러그를 PC에 접속시키기 위해서는 USB 연결 플러그의 포트와 정보단말기의 포트가 서로 맞닿도록 방향을 맞추어 접속을 해야 한다.
하지만, USB 플러그의 단자는 단면이 직사각형이라서 손으로 외형을 만져보아서는 직사각형의 네 변 중 어느 쪽에 도전성 단자가 형성되어있는지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단자를 연결하기 전에 눈으로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방향을 확인해서 정렬한 후 꽂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어둡거나 리셉터클의 단자가 PC본체의 뒷면에 형성된 경우 눈으로 단자를 확인하기 어려워서 PC를 꺼내 뒷면을 확인해야 하거나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거울과 손전등을 사용해 뒷면을 확인해야 한다. 따라서 잘못된 방향으로 무리한 힘을 가해 단자를 꽂으려고 시도를 해서 꽂히지 않으면 그때서야 플러그를 180도 회전하여 꽂아야 하기 때문에 꽂는데 매우 불편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야광물질 또는 형광물질을 USB 연결 포트의 전면부 또는 상단부에 도포 또는 직선홈을 만들어 삽입하여 방향성을 알기 쉽게 함과 동시에 야광물질에서 나오는 빛으로 삽입포트의 위치 및 삽입방향을 편리하게 알 수 있도록 하는 야광 기능을 가지는 USB 연결 플러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데이터 연결 회로가 내장되는 장방형의 몸통부; 상기 플래시 데이터 연결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몸통부의 선단에 돌출 설치된 단자부; 상기 단자부를 감싸듯이 설치되며, 단자부 상단에 일정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USB 포트;를 포함하는 USB 연결 플러그 있어서,
상기 단자부의 끝단부 정면에 야광물질을 도포하여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자부의 끝단에 단자부의 길이방향으로 직선홈을 형성하고, 상기 직선홈에 야광물질을 삽입하여 빛을 발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몸통부 또는 USB 포트의 상단에 일정량 야광물질을 도포하여 형성하거나, 몸통부 또는 USB 포트의 상단에 직선홈을 형성하고, 상기 직선홈에 야광물질을 삽입하여 빛을 발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데이터를 읽는 동작을 하는 경우 동작을 표시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USB 연결 플러그인 경우 USB 메모리의 몸통부에 직선홈을 형성하되, 직선홈의 하단은 투명하게 하여 LED의 발광시 빛이 외부로 발산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직선홈 내부에 야광물질을 삽입함으로써 USB 포트를 통하여 연결상태인 경우 발생되는 LED의 빛을 야광물질이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USB 연결 플러그의 단자부 정면에 형광물질을 도포하여 어두운 곳에서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두운 곳에서도 단말기의 삽입 USB 포트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고, 어두운 곳에서도 USB의 삽입방향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빛을 발산하는 야광물질을 사용하여 USB의 몸통부 또는 USB포트에 도 도포 또는 홈을 만들어 삽입함으로써 USB 메모리의 포트를 삽입하는 방향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더 나아가 USB 메모리를 사용하는 경우 USB 메모리의 몸통부에 야광물질을 도포하여 판촉 로고등을 도포하거나 새길 수 있어 편리함과 동시에 광고효과도 얻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인 야광 기능을 가지는 USB 연결 플러그의 일 실시예인 넓이방향 야광물질 도포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인 야광 기능을 가지는 USB 연결 플러그의 일 실시예인 길이방향 야광물질 도포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데이터 연결 회로가 내장되는 장방형의 몸통부(110); 상기 플래시 데이터 연결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몸통부의 선단에 돌출 설치된 단자부(130); 상기 단자부를 감싸듯이 설치되며, 단자부 상단에 일정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USB 포트(120);를 구비하는 USB 연결 플러그(100)에 있어서, 단자부(130)의 끝단 정면부(131)에 야광물질을 도포하여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 은 본 발명인 야광 기능을 가지는 USB 연결 플러그의 일 실시예인 직선홈을 형성하여 야광물질을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한편, 야광물질을 도포할 경우 USB 연결 플러그의 탈착으로 인하여 야광물질이 벗겨지거나 하는 손실의 발생을 막기 위하여 단자부(130)의 끝단에 단자부의 길이방향으로 직선홈을 형성하고, 상기 직선홈에 야광물질을 삽입할 수 있다.
이는 야광물질이 단자부의 홈 내부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USB 연결 플러그를 자주 탈착하더라도 홈 내부까지는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그만큼 손실의 우려가 적다.
한편, USB 연결 플러그의 몸통부에도 야광물질을 도포할 수 있는데, 이는 USB 연결 플러스를 사용함에 있어서 시인성을 크게 해주어 USB의 삽입방향을 빠르게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몸통부(110)의 상단에 일정량 야광물질을 도포하여 빛을 발산하도록 할 수 있으며, 몸통부(110) 또한 야광물질의 손실을 막기 위하여 직선홈을 형성하여 그 내부에 야광물질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몸통부(110)에 야광물질을 도포하거나 직선홈을 형성하여 야광물질을 삽입하는 경우 몸통의 넓이방향(111) 또는 길이방향(112)으로 형성하는게 바람직 하나, 몸통부는 그 면적이 넓기 때문에 도포 또는 직선홈의 형성 방향을 자유롭게 선정할 수 있으며, USB 메모리를 사용하는 경우 몸통부에 광고와 같은 문구를 삽입하면서 그 문구를 야광물질로 대체하여 광고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단자부(130)를 감싸 보호하고 있는 USB 포트(120)의 상단에도 야광물질을 도포할 수 있으며, USB 포트의 상단에도 직선홈(121)을 형성하여 야광물질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손실을 막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야광물질이 형성되는 부분과 USB 연결 플러그 또는 UWB 메모리의 발광부를 함께 형성함으로써 USB 메모리가 삽입되어 데이터를 읽는 동안 발광하는 빛을 야광물질이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항상 야광물질이 빛을 발산할 준비가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USB 연결 플러그 또는 UWB 메모리 몸통부에 직선홈을 형성하되, 직선홈의 하단은 투명하게 하여 LED의 발광시 빛이 외부로 발산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직선홈 내부에 야광물질을 삽입함으로써 USB 메모리가 데이터를 읽을 때 발생되는 LED의 빛을 야광물질이 흡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단자부의 정면에 야광물질을 도포하거나 직선홈을 만들어 야광물질을 삽입하여 야광물질에 의하여 발산되는 빛을 사용하여 USB 삽입 포트의 방향성을 알 수 있도록 하고, 정면을 통하여 발산되는 야광빛을 사용하여 USB 연결 포트가 삽입되는 단말기의 USB 포트의 위치 및 방향을 보다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두운 곳에서 USB 연결 플러그를 단말기에 삽입하여야 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 단말기의 뒤편에 USB 연결 플러그를 장착해야 하는 경우 야광물질에서 발산되는 빛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따로 손전등과 같은 빛츨 사용하지 않아도 충분히 야광물질의 빛을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USB 연결 플러그의 포트 삽입 방향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단자부에 형성된 전기 및 통신장치가 있는 부분을 상단으로 하여 몸통부 또는 USB 포트에 야광물질을 도포하거나, 직선홈을 만들어 삽입하여 방향성을 알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몸통부에는 야광물질을 사용하여 판촉을 위한 로고 또는 회사명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 또한 손실을 막기 위하여 홈을 형성하고 그 홈 내부에 야광물질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여 판촉 및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인 야광 기능을 가지는 USB 연결 플러그의 일 실시예인 넓이방향 야광물질 도포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인 야광 기능을 가지는 USB 연결 플러그의 일 실시예인 길이방향 야광물질 도포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인 야광 기능을 가지는 USB 연결 플러그의 일 실시예인 직선홈을 형성하여 야광물질을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USB 연결 플러그 110: 몸통부
111: 넓이방향 112: 길이방향
120: USB 포트 121: 직선홈
130: 단자부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데이터 연결 회로가 내장되는 장방형의 몸통부; 상기 데이터 연결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몸통부의 선단에 돌출 설치된 단자부; 상기 단자부를 감싸듯이 설치되며, 단자부 상단에 일정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USB 포트;를 포함하는 USB 연결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의 끝단부 정면에 야광물질을 도포하여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하고,
    몸통부 또는 USB 포트 상단에 직선홈을 형성하고, 상기 직선홈에 야광물질을 삽입하여 빛을 발산하도록 하여 USB 메모리의 삽입방향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광 기능을 가지는 USB 연결 플러그.
  4. 청구항 3 항에 있어서,
    USB 연결 플러그에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LED 발광부를 더 추가하고, 메모리의 몸통부에 직선홈을 형성하되, 직선홈의 하단은 투명하게 하여 LED의 발광시 빛이 외부로 발산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직선홈 내부에 야광물질을 삽입함으로써 USB 메모리가 데이터를 읽을 때 발생되는 LED의 빛을 야광물질이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광 기능을 가지는 USB 연결 플러그.
KR1020090130981A 2009-12-24 2009-12-24 야광 기능을 가지는 usb 연결 플러그 KR101088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981A KR101088423B1 (ko) 2009-12-24 2009-12-24 야광 기능을 가지는 usb 연결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981A KR101088423B1 (ko) 2009-12-24 2009-12-24 야광 기능을 가지는 usb 연결 플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8423B1 true KR101088423B1 (ko) 2011-12-05

Family

ID=45505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0981A KR101088423B1 (ko) 2009-12-24 2009-12-24 야광 기능을 가지는 usb 연결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84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91387A (zh) * 2012-10-09 2013-01-23 北京凯普林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连接器
KR102428898B1 (ko) 2021-08-10 2022-08-02 김진희 횡단보도 입체화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0573A (ja) * 2002-05-13 2003-11-21 Canon Inc Usbインターフェースコネクタ
KR200430239Y1 (ko) * 2006-08-17 2006-11-13 (주)넥스지텔레콤 탈착식 장식부재가 구비된 유에스비 일체형 전자화폐
KR200443196Y1 (ko) * 2007-04-11 2009-01-21 (주)신명디지탈 폴더형 플래시 메모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0573A (ja) * 2002-05-13 2003-11-21 Canon Inc Usbインターフェースコネクタ
KR200430239Y1 (ko) * 2006-08-17 2006-11-13 (주)넥스지텔레콤 탈착식 장식부재가 구비된 유에스비 일체형 전자화폐
KR200443196Y1 (ko) * 2007-04-11 2009-01-21 (주)신명디지탈 폴더형 플래시 메모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91387A (zh) * 2012-10-09 2013-01-23 北京凯普林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连接器
KR102428898B1 (ko) 2021-08-10 2022-08-02 김진희 횡단보도 입체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8122B2 (en) Ligh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TW443009B (en) Card connection adaptor
US9160118B2 (en) Lighted electrical interconnect assembly
TWI403028B (zh) High-frequency socket connector with plug detection
US7066386B2 (en) Loading apparatus for card type recording mediums
TWM450884U (zh) 記憶卡轉接裝置
US8142220B2 (en) Connector with a configuration aid on its outer shell or an insulative body disposed in the outer cell
GB2512195A (en) Connec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assembly
JP2006059367A (ja) 防水性と透光性を有する情報装置
TWM479495U (zh) 追蹤跳線結構
KR20040075138A (ko) 카드 타입 usb 커넥터와 이를 이용한 usb 변환 젠더및 usb 메모리 카드
KR101088423B1 (ko) 야광 기능을 가지는 usb 연결 플러그
US8419222B2 (en) Electronic reading system
US20090269974A1 (en) Conducting device having identification function
KR101422692B1 (ko) 다기능 펜형 메모리
CN105261901A (zh) 数据连接器及其电子产品
CN104283080B (zh) 信号连接器结构
JP5636840B2 (ja) 電子機器
CN106683524A (zh) 激光笔
CN207719481U (zh) 一种新型计算机硬件专用防尘防潮插槽
JP3099252U (ja) 記憶装置
US20120140393A1 (en) Protective case
TWM526201U (zh) 三合一傳輸充電卡碟線(一)
CN206283048U (zh) 一种双面可插u盘
TWI420321B (zh) 電子閱讀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