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8374B1 - 화상 데이터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데이터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8374B1
KR101088374B1 KR1020050062934A KR20050062934A KR101088374B1 KR 101088374 B1 KR101088374 B1 KR 101088374B1 KR 1020050062934 A KR1020050062934 A KR 1020050062934A KR 20050062934 A KR20050062934 A KR 20050062934A KR 101088374 B1 KR101088374 B1 KR 101088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ntization
offset
equation
quantization coefficient
pixel valu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2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8032A (ko
Inventor
드미트리 비리노브
김현문
조대성
김우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2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8374B1/ko
Publication of KR20070008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6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pix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화상 데이터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화상 데이터 부호화 장치는 화상의 화소값들을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사용자가 지정하는 R(red), G(green) 및 B(blue)의 양자화 변수 중 R 및 B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양자화 변수를 조정하여 양자화 계수를 결정하는 양자화 계수 결정부, 양자화 계수 결정부에서 결정된 양자화 계수에 따라, 변환부에서 변환된 화소값들을 양자화하는 양자화부 및 양자화 된 화소값들의 비트열을 생성하는 엔트로피 부호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양자화 계수를 결정하기 위한 R 및 B의 양자화 변수에 옵셋값을 부가함으로써, 높은 압축 효율을 유지하면서도 사용자 원하는 고화질의 화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화상 데이터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of image data}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화상 데이터 부호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 데이터 복호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화상 데이터 부호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 데이터 복호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시간상 예측부 110: 변환부
120: 양자화 계수 결정부 130: 양자화부
140: 역양자화부 150: 역변환부
160: 시간상 예측 보상부 170: 엔트로피 부호화부
200: 엔트로피 복호화부 210: 양자화 계수 결정부
220: 역양자화부 230: 역변환부
240: 시간상 예측 보상부
본 발명은 화상 데이터의 부호화 및 복호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소의 R 및 B의 양자화 변수에 옵셋값을 부여하여 양자화 계수를 결정함으로써, 압출률이 높은 고화질의 화상을 부호화 및 복호화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을 카메라로부터 취득한 후에 샘플링을 통하여 적절한 크기, 즉 화소의 수로 나타내게 된다. 이때 각 화소의 값을 표현하기 위해서 필요한 비트수가 결정되는데, 이 비트수의 크기가 클수록 표현할 수 있는 값이 많아져서 화상을 고화질로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이 비트수는 장치가 발달할수록 점점 더 큰 값을 사용하고 있는데, 많은 분야에서 현재 8 비트를 사용하고 있고, 고화질 응용 분야에서는 10 비트 또는 12 비트를 사용하고 있다.
기존의 화상 압축에서는 일반적으로 8 비트 화상을 가정한 압축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SMPTE (the Society of Motion Picture and Television Engineers)에서 표준화 된 압축 비디오 코덱에 해당하는 VC-1(VC-1 Compressed Video Bitstream Format and Decoding Process)은 효과적인 양자화 방법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 방법에서는 다양한 화상 정보를 이용하여 각 경우에 적합한 양자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화상에 있어서 R, G 및 B의 각 색상 성분에 대한 양자화 변수는 동일한 값으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는데, 이렇게 양자화 변수가 R, G 및 B의 각 색상 성분에 동일하게 지정됨에 따라, 사용자가 붉은 계통의 영상을 획득하고자 하거나, B 성분에 대한 노이즈에 취약한 영화필름 등에 있어서 화상의 압축 및 복원 시에 최적의 화상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화소의 R 및 B의 양자화 변수에 옵셋값을 부여하여 양자화 계수를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높은 압축 효율을 유지하면서도 고화질의 화상을 구현하는 화상 데이터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화소의 R 및 B의 양자화 변수에 옵셋값을 부여하여 양자화 계수를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높은 압축 효율을 유지하면서도 고화질의 화상을 구현하는 화상 데이터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화상 데이터 부호화 장치는 화상의 화소값들을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사용자가 지정하는 R(red), G(green) 및 B(blue)의 양자화 변수 중 R 및 B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양자화 변수를 조정하여 양자화 계수를 결정하는 양자화 계수 결정부, 양자화 계수 결정부에서 결정된 양자화 계수에 따라, 변환부에서 변환된 화소값들을 양자화하는 양자화부 및 양자화 된 화소값들의 비트열을 생성하는 엔트로피 부호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화상 데이터 복호화 장치는 화상에 대한 화소값들의 비트열을 복호화하는 엔트로피 복호화부, 사용자가 지정하는 R(red), G(green) 및 B(blue)의 양자화 변수 중 R 및 B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양자화 변수를 조정하여 양자화 계수를 결정하는 양자화 계수 결정부, 양자화 계수 결정부에서 결정된 양자화 계수에 따라, 엔트로피 복호화부에서 복호화 된 화소값들을 역양자화하는 역양자화부 및 역양자화부에서 역양자화된 화소값들을 역변환하는 역변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화상 데이터 부호화 방법은 화상의 화소값들을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는 단계, 사용자가 지정하는 R(red), G(green) 및 B(blue)의 양자화 변수 중 R 및 B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양자화 변수를 조정하여 양자화 계수를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양자화 계수에 따라, 변환된 화소값들을 양자화하는 단계 및 양자화 된 화소값들의 비트열을 생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화상 데이터 복호화 방법은 화상에 대한 화소값들의 비트열을 복호화하는 단계, 사용자가 지정하는 R(red), G(green) 및 B(blue)의 양자화 변수 중 R 및 B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양자화 변수를 조정하여 양자화 계수를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양자화 계수에 따라, 복호화 된 화소값들을 역양자화하는 단계 및 역양자화된 화소값들을 역변환하는 단계를 구비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화상 데이터 부호화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화상 데이터 부호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로서, 시간상 예측부(100), 변환부(110), 양자화 계수 결정부(120), 양자화부(130), 역양자화부(140), 역변환부(150), 시간상 예측 보상부(160), 엔트로피 부호화부(170)로 구성된다.
시간상 예측부(100)는 시간상 이전 블록을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화소값들을 시간상 예측하고, 예측한 결과를 변환부(110)로 출력한다.
시간상 예측부(100)는 이전 프레임 화상 Fn -1′에서 움직임을 추정하여 현재 프레임 화상 Fn을 예측한다. 이때, 시간상 예측부(100)는 현재 부호화하고자 하는 소정 크기의 블록과 유사한 블록을 이전 화상에서 찾은 후에 현재 블록의 화소값에서 이전 블록의 화소값을 뺀다. 만일 첫 번째 화상을 처리하는 경우 이전 화상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 과정은 생략된다. 또는 랜덤 액세스, 오류 전파 방지 등을 이유로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생략될 수 있다.
변환부(110)는 화상의 화소값들을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고, 변환한 결과를 양자화 계수 결정부(120)로 출력한다. 변환 방식은 직교변환 부호화 방식이 적용된다. 직교 변환 부호화 방식 중에서 많이 사용되는 방식은 고속 푸리에 변환(FFT), 이산 코사인 변환(DCT: Discrete Cosine Transform), 카루넨 루베 변환(KLT), 하다 마드 변환(Hadamard transform), 경사 변환(slant transform) 등이 있다.
변환부(110)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된 화소값들은 저주파수 영역에 해당하는 DC 성분과 고주파수 영역에 해당하는 AC성분으로 구분된다. DC 성분은 (0, 0)에 해당하는 저주파수 영역의 변환된 화소값을 의미하고, 이 이외의 값들은 AC 성분이 된다.
양자화 계수 결정부(120)는 사용자가 지정하는 R(red), G(green) 및 B(blue)의 양자화 변수 중 R 및 B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양자화 변수를 조정하여 양자화 계수를 결정하고, 결정한 결과를 양자화부(130) 및 역양자화부(140)로 출력한다.
양자화 계수 결정부(120)는 다음의 수학식 1을 사용하여 R 또는 B의 양자화 변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QPX=QP+QPOFFSET _X
여기서, QPX은 옵셋(OFFSET)값에 의해 조정된 R 또는 B의 양자화 변수를 의미하고, QP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는 R, G 및 B 공통의 양자화 변수이고, QPOFFSET _X 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는 R 또는 B에 대한 양자화 변수 옵셋값을 의미한다. 즉, R에 대한 조정된 양자화 변수는 QPR=QP+QPOFFSET _R을 의미하고, B에 대한 조정된 양자화 변수는 QPB=QP+QPOFFSET _B을 의미한다.
색상 성분 중 G에 대한 양자화 변수는 옵셋값이 부가되지 안는데, 색상 성분 중 가장 중요한 G성분에 대해서는 양자화 변수로서 QP로 지정하고 나서, G 성분에 대한 양자화 변수 QP에 R 또는 B에 대한 새로운 양자화 변수를 구하기 위한 옵셋값을 부가하는 것이다.
양자화 계수 결정부(120)는 다음의 수학식 2를 사용하여 저주파수 영역의 양자화 계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저주파수 영역은 변환된 화소값들 중 DC 성분을 의미한다.
QPx=1 또는 QPx=2일 때,
QS=QPx×2,
QPx=3 또는 QPx=4일 때,
QS=8,
QPx가 전술한 범위 이외일 때,
QS=(QPx/2)+6, 이다.
여기서, QPx 는 조정된 R 또는 B의 양자화 변수로서 QPX=QP+QPOFFSET _ X 의미하고, QS는 양자화 계수를 의미한다.
또한, 양자화 계수 결정부(120)는 다음의 수학식 3을 사용하여 저주파수 영역의 양자화 계수를 결정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QP+QPOFFSET _X/2=1 또는 QP+QPOFFSET _X/2=2일 때,
QS=(QP×2)+QPOFFSET _X,
QP+QPOFFSET _X/2=3 또는 QP+QPOFFSET _X/2=4일 때,
QS=8,
QP+QPOFFSET _X/2 가 전술한 범위 이외일 때,
QS=({QP+(QPOFFSET _X/2)}/2)+6, 이다.
여기서, QP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는 R, G 및 B 공통의 양자화 변수이고, QPOFFSET_X 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는 R 또는 B에 대한 양자화 변수 옵셋값을 의미하고, QS는 양자화 계수를 의미한다.
한편, 양자화 계수 결정부(120)는 다음의 수학식 4를 사용하여 고주파수 영역의 양자화 계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주파수 영역은 변환된 화소값들 중 DC 성분을 제외한 AC 성분을 의미한다.
QS=QPx×2
여기서, QPx 는 조정된 R 또는 B의 양자화 변수로서 QPX=QP+QPOFFSET _ X 의미하고, QS는 양자화 계수를 의미한다.
또한, 양자화 계수 결정부(120)는 다음의 수학식 5를 사용하여 고주파수 영역의 양자화 계수를 결정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QS=(QP×2)+QPOFFSET _X
여기서, QP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는 R, G 및 B 공통의 양자화 변수이고, QPOFFSET_X 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는 R 또는 B에 대한 양자화 변수 옵셋값을 의미하고, QS는 양자화 계수를 의미한다.
양자화부(130)는 양자화 계수 결정부(120)에서 결정된 양자화 계수에 따라, 변환부(110)에서 변환된 화소값들을 양자화하고, 양자화 한 결과를 역양자화부(140) 및 엔트로피 부호화부(170)로 출력한다.
양자화부(130)는 DC성분을 양자화하거나, AC 성분의 균일 양자화(uniform quantizing)를 수행할 때, 다음의 수학식 6을 사용하여 화소값들을 양자화한다.
q=c/QS
여기서, q는 양자화된 화소값을 의미하고, c는 상기 변환부에서 변환된 화소값을 의미하고, QS는 양자화 계수를 의미한다.
한편, 양자화부(130)는 AC 성분의 불균일 양자화(non-uniform quantizing)를 수행할 때, 다음의 수학식 7을 사용하여 화소값들을 양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q=(c+{sign(c)×QPx×r})/QS
여기서, q는 양자화된 화소값을 의미하고, c는 상기 변환부에서 변환된 화소값을 의미하고, {sign(c)×QPx×r}는 불균일 양자화를 위한 옵셋(offset)값을 의미한다. 이때, sign(c)은 c>0일 때, sign(c)=1이고, c=0일 때, sign(c)=0이고, c<0일 때, sign(c)=-1이고, r은 0≤r≤1 범위 내의 상수이다.
또한, 양자화부(130)는 AC 성분의 불균일 양자화(non-uniform quantizing)를 수행할 때, 다음의 수학식 8을 사용하여 화소값들을 양자화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q=(c+{sign(c)×(QP+(QPOFFSET _X/2))×r})/QS
여기서, q는 양자화된 화소값을 의미하고, c는 상기 변환부에서 변환된 화소값을 의미하고, {sign(c)×(QP+(QPOFFSET _X/2))×r}는 불균일 양자화를 위한 옵셋(offset)값을 의미한다. 이때, sign(c)은 c>0일 때, sign(c)=1이고, c=0일 때, sign(c)=0이고, c<0일 때, sign(c)=-1이고, r은 0≤r≤1 범위 내의 상수이다.
역양자화부(140)는 양자화 계수 결정부(120)에서 결정된 양자화 계수에 따라, 양자화부(130)에서 양자화된 화소값들을 역양자화하고, 역양자화 한 결과를 역변환부(150)로 출력한다.
특히, 역양자화부(140)는 AC 성분의 불균일 역양자화(non-uniform dequantizing)를 수행할 때, 다음의 수학식 9를 사용하여 양자화된 화소값들을 역양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 q×QS + {sign(c)×QPX}
여기서, c′는 역양자화 된 화소값을 의미하고, q는 양자화된 화소값을 의미하고, QS는 양자화 계수로서 QS=QPx×2를 의미하고, {sign(c)×QPX}는 불균일 역양자화를 위한 옵셋(offset)값을 의미한다.
또한, 역양자화부(140)는 AC 성분의 불균일 역양자화(non-uniform dequantizing)를 수행할 때, 다음의 수학식 10을 사용하여 양자화된 화소값들을 역양자화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c′= q×QS + {sign(c)×(QP+(QPOFFSET _X/2))}
여기서, c′는 역양자화 된 화소값을 의미하고, q는 양자화된 화소값을 의미하고, QS는 양자화 계수로서 QS=(QP×2)+QPOFFSET _X를 의미하고, {sign(c)×(QP+(QPOFFSET_X/2))}는 불균일 역양자화를 위한 옵셋(offset)값을 의미한다.
역변환부(150)는 역양자화부(140)에서 역양자화된 화소값들을 역변환하고, 역변환 한 결과를 시간상 예측 보상부(160)로 출력한다.
시간상 예측 보상부(160)는 시간상 예측부(100)에서 예측된 화소값들의 역변환된 화소값들을 보상한다.
엔트로피 부호화부(170)는 양자화부(130)에서 양자화 된 화소값들의 비트열 을 생성한다.
엔트로피 부호화부(170)는 양자화된 화소값들의 비트열을 생성할 때에, 양자화 변수 옵셋값 즉, QPOFFSET _X에 대한 비트열을 함께 생성하여 화소값들의 비트열에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자화 변수 옵셋값의 비트열이 화소값들의 비트열에 부가됨으로써, 화소값들의 비트열을 복호화 할 때에 화소값들의 복호화를 위한 정보로서 활용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화상 데이터 복호화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 데이터 복호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로서, 엔트로피 복호화부(200), 양자화 계수 결정부(210), 역양자화부(220), 역변환부(230) 및 시간상 예측 보상부(240)로 구성된다.
엔트로피 복호화부(200)는 화상에 대한 화소값들의 비트열을 복호화하고, 복호화 한 결과를 양자화 계수 결정부(210)로 출력한다.
특히, 엔트로피 복호화부(200)는 화소값들의 비트열을 복호화 할 때,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는 R 또는 B에 대한 양자화 변수 옵셋값의 비트열을 함께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엔트로피 복호화부(200)는 엔트로피 부호화부(170)에서 부호화된 R 또는 B에 대한 양자화 변수 옵셋값의 비트열을 화소값들의 비트열을 복호화할 때 함께 복호화한다.
양자화 계수 결정부(210)는 사용자가 지정하는 R(red), G(green) 및 B(blue) 의 양자화 변수 중 R 및 B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양자화 변수를 조정하여 양자화 계수를 결정하고, 결정한 결과를 역양자화부(220)로 출력한다.
양자화 계수 결정부(120)는 전술한 수학식 1을 사용하여 R 또는 B의 양자화 변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자화 계수 결정부(210)는 전술한 수학식 2 또는 3을 사용하여 저주파수 영역의 양자화 계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양자화 계수 결정부(210)는 전술한 수학식 4 또는 5를 사용하여 고주파수 영역의 양자화 계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역양자화부(220)는 양자화 계수 결정부(210)에서 결정된 양자화 계수에 따라, 엔트로피 복호화부(200)에서 복호화 된 화소값들을 역양자화하고, 역양자화 결과를 역변환부(230)로 출력한다.
특히, 역양자화부(220)는 AC 성분의 불균일 역양자화(non-uniform dequantizing)를 수행할 때, 전술한 수학식 9 또는 10을 사용하여 엔트로피 복호화부(200)에서 복호화 된 화소값들을 역양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역변환부(230)는 역양자화부(220)에서 역양자화된 화소값들을 역변환하고, 역변환 한 결과를 시간상 예측 보상부(240)로 출력한다.
시간상 예측 보상부(240)는 역변환부(230)에서 역변환 된 화소값들에 대한 시간상 예측된 화소값들을 보상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화상 데이터 부호화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화상 데이터 부호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먼저, 시간상 이전 블록을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화소값들을 시간상 예측한다(제300 단계). 이전 프레임 화상 Fn -1′에서 움직임을 추정하여 현재 프레임 화상 Fn을 예측한다.
제300 단계 후에, 시간상 예측된 화상의 화소값들을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한다(제302 단계). 변환 방식은 직교변환 부호화 방식이 적용된다.
제302 단계 후에, 사용자가 지정하는 R(red), G(green) 및 B(blue)의 양자화 변수 중 R 및 B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양자화 변수를 조정하여 양자화 계수를 결정한다(제304 단계). 특히, 전술한 수학식 1을 사용하여 R 또는 B의 양자화 변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04 단계는 전술한 수학식 2 또는 3을 사용하여 저주파수 영역의 양자화 계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04 단계는 전술한 수학식 4 또는 5를 사용하여 고주파수 영역의 양자화 계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04 단계 후에, 결정된 양자화 계수에 따라, 변환된 화소값들을 양자화한다(제306 단계). 특히, 제306 단계는 AC 성분의 불균일 양자화(non-uniform quantizing)를 수행할 때, 전술한 수학식 7 또는 8을 사용하여, 변환된 화소값들을 양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06 단계 후에, 양자화 된 화소값들의 비트열을 생성한다(제308 단계). 양자화 된 화소값들의 비트열을 생성할 때에, 양자화 변수 옵셋값 즉, QPOFFSET _X에 대한 비트열을 함께 생성하여 화소값들의 비트열에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화상 데이터 복호화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 데이터 복호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먼저, 화상에 대한 화소값들의 비트열을 복호화한다(제400 단계). 화소값들의 비트열을 복호화 할 때,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는 R 또는 B에 대한 양자화 변수 옵셋값의 비트열을 함께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00 단계 후에, 사용자가 지정하는 R(red), G(green) 및 B(blue)의 양자화 변수 중 R 및 B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양자화 변수를 조정하여 양자화 계수를 결정한다(제402 단계). 특히, 전술한 수학식 1을 사용하여 R 또는 B의 양자화 변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402 단계는 전술한 수학식 2 또는 3을 사용하여 저주파수 영역의 양자화 계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402 단계는 전술한 수학식 4 또는 5를 사용하여 고주파수 영역의 양자화 계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02 단계 후에, 결정된 양자화 계수에 따라, 복호화 된 화소값들을 역양자 화한다(제404 단계). 특히, AC 성분의 불균일 역양자화(non-uniform dequantizing)를 수행할 때, 전술한 수학식 9 또는 10을 사용하여 복호화 된 화소값들을 역양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04 단계 후에, 역양자화된 화소값들을 역변환한다(제406 단계).
제406 단계 후에, 역변환 된 화소값들에 대한 시간상 예측된 화소값들을 보상한다(제408 단계).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화상 데이터의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은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코드/명령들(instructions)/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고, 매체, 예를 들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코드/명령들/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를 들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마그네틱 테이프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를 내장하는 매체(들)로서 구현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수개의 컴퓨터 시스템들이 분배되어 처리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현하는 기능적인 프로그램들,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쉽게 추론될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인 화상 데이터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 방법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 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화상 데이터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 방법은 양자화 계수를 결정하기 위한 R 및 B의 양자화 변수에 옵셋값을 부가함으로써, 높은 압축 효율을 유지하면서도 고화질의 화상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 데이터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 방법은 사용자가 붉은 계통의 영상을 획들하고자 하거나, B 성분에 대한 노이즈에 취약한 영화필름 등에 있어서 R 성분 또는 B 성분의 양자화 변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화상에 대해 압축 및 복원 시에 최적의 화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 데이터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 방법은 기존의 기술(예를 들어, VC-1 표준 기술)의 구조를 최대한 유지시키면서, 최소한의 변경만 을 통해 부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Claims (44)

  1. 화상의 화소값들을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사용자가 지정하는 R(red), G(green) 및 B(blue)의 양자화 변수 중 R 및 B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양자화 변수를 조정하여 상기 화상의 양자화 계수를 결정하는 양자화 계수 결정부;
    상기 양자화 계수 결정부에서 결정된 양자화 계수에 따라, 상기 변환부에서 변환된 화소값들을 양자화하는 양자화부; 및
    상기 양자화 된 화소값들의 비트열을 생성하는 엔트로피 부호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부호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 계수 결정부는
    다음의 수학식 1을 사용하여 상기 R 또는 B의 양자화 변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부호화 장치.
    [수학식 1]
    QPX=QP+QPOFFSET _X
    여기서, QPX은 옵셋(OFFSET)값에 의해 조정된 R 또는 B의 양자화 변수를 의미하고, QP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는 R, G 및 B 공통의 양자화 변수이고, QPOFFSET _X 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는 R 또는 B에 대한 양자화 변수 옵셋값을 의미한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 계수 결정부는
    다음의 수학식 2를 사용하여 저주파수 영역의 양자화 계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부호화 장치.
    [수학식 2]
    QPx=1 또는 QPx=2일 때,
    QS=QPx×2,
    QPx=3 또는 QPx=4일 때,
    QS=8,
    QPx가 전술한 범위 이외일 때,
    QS=(QPx/2)+6, 이다.
    여기서, QS는 양자화 계수를 의미한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 계수 결정부는
    다음의 수학식 3을 사용하여 고주파수 영역의 양자화 계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부호화 장치.
    [수학식 3]
    QS=QPx×2
    여기서, QS는 양자화 계수를 의미한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부는
    불균일 양자화(non-uniform quantizing)를 수행할 때, 다음의 수학식 4를 사용하여 상기 변환된 화소값들을 양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부호화 장치.
    [수학식 4]
    q=(c+{sign(c)×QPx×r})/QS
    여기서, q는 양자화된 화소값을 의미하고, c는 상기 변환부에서 변환된 화소값을 의미하고, {sign(c)×QPx×r}는 불균일 양자화를 위한 옵셋(offset)값을 의미한다. 이때, sign(c)은 c>0일 때, sign(c)=1이고, c=0일 때, sign(c)=0이고, c<0일 때, sign(c)=-1이고, r은 0≤r≤1 범위 내의 상수이다.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 계수 결정부는
    다음의 수학식 5를 사용하여 저주파수 영역의 양자화 계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부호화 장치.
    [수학식 5]
    QP+QPOFFSET _X/2=1 또는 QP+QPOFFSET _X/2=2일 때,
    QS=(QP×2)+QPOFFSET _X,
    QP+QPOFFSET _X/2=3 또는 QP+QPOFFSET _X/2=4일 때,
    QS=8,
    QP+QPOFFSET _X/2 가 전술한 범위 이외일 때,
    QS=({QP+(QPOFFSET _X/2)}/2)+6, 이다.
    여기서, QS는 양자화 계수를 의미한다.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 계수 결정부는
    다음의 수학식 6을 사용하여 고주파수 영역의 양자화 계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부호화 장치.
    [수학식 6]
    QS=(QP×2)+QPOFFSET _X
    여기서, QS는 양자화 계수를 의미한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부는
    불균일 양자화(non-uniform quantizing)를 수행할 때, 다음의 수학식 7를 사용하여 상기 변환된 화소값들을 양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부호화 장치.
    [수학식 7]
    q=(c+{sign(c)×(QP+(QPOFFSET _X/2))×r})/QS
    여기서, q는 양자화된 화소값을 의미하고, c는 상기 변환부에서 변환된 화소값을 의미하고, {sign(c)×(QP+(QPOFFSET _X/2))×r}는 불균일 양자화를 위한 옵셋(offset)값을 의미한다. 이때, sign(c)은 c>0일 때, sign(c)=1이고, c=0일 때, sign(c)=0이고, c<0일 때, sign(c)=-1이고, r은 0≤r≤1 범위 내의 상수이다.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엔트로피 부호화부는
    상기 양자화 된 화소값들의 비트열을 생성할 때에, 상기 양자화 변수 옵셋값에 대한 비트열을 함께 생성하여 상기 화소값들의 비트열에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부호화 장치.
  10. 제5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 부호화 장치는
    시간상 이전 블록을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화소값들을 시간상 예측하는 시간상 예측부;
    상기 양자화 계수 결정부에서 결정된 상기 양자화 계수에 따라, 상기 양자화부에서 양자화된 화소값들을 역양자화하는 역양자화부;
    상기 역양자화부에서 역양자화된 화소값들을 역변환하는 역변환부; 및
    상기 시간상 예측부에서 예측된 화소값들을 보상하는 시간상 예측 보상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부호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역양자화부는
    불균일 역양자화(non-uniform dequantizing)를 수행할 때, 다음의 수학식 8를 사용하여 상기 양자화된 화소값들을 역양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부호화 장치.
    [수학식 8]
    c′= q×QS + {sign(c)×QPX}
    여기서, c′는 역양자화 된 화소값을 의미하고, q는 양자화된 화소값을 의미하고, QS는 양자화 계수로서 QS=QPx×2를 의미하고, {sign(c)×QPX}는 불균일 역양자화를 위한 옵셋(offset)값을 의미한다.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역양자화부는
    불균일 역양자화(non-uniform dequantizing)를 수행할 때, 다음의 수학식 9를 사용하여 상기 양자화된 화소값들을 역양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부호화 장치.
    [수학식 9]
    c′= q×QS + {sign(c)×(QP+(QPOFFSET _X/2))}
    여기서, c′는 역양자화 된 화소값을 의미하고, q는 양자화된 화소값을 의미하고, QS는 양자화 계수로서 QS=(QP×2)+QPOFFSET _X를 의미하고, {sign(c)× (QP+(QPOFFSET_X/2))}는 불균일 역양자화를 위한 옵셋(offset)값을 의미한다.
  13. 화상에 대한 화소값들의 비트열을 복화화하는 엔트로피 복호화부;
    사용자가 지정하는 R(red), G(green) 및 B(blue)의 양자화 변수 중 R 및 B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양자화 변수를 조정하여 상기 화상의 양자화 계수를 결정하는 양자화 계수 결정부;
    상기 양자화 계수 결정부에서 결정된 양자화 계수에 따라, 상기 엔트로피 복호화부에서 복호화 된 화소값들을 역양자화하는 역양자화부; 및
    상기 역양자화부에서 역양자화된 화소값들을 역변환하는 역변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복호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엔트로피 복호화부는
    상기 화소값들의 비트열을 복호화 할 때,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는 R 또는 B에 대한 양자화 변수 옵셋값의 비트열을 함께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복호화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 계수 결정부는
    다음의 수학식 10을 사용하여 상기 R 또는 B의 양자화 변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복호화 장치.
    [수학식 10]
    QPX=QP+QPOFFSET _X
    여기서, QPX은 옵셋(OFFSET)값에 의해 조정된 R 또는 B의 양자화 변수를 의미하고, QP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는 R, G 및 B 공통의 양자화 변수이고, QPOFFSET _X 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는 R 또는 B에 대한 양자화 변수 옵셋값을 의미한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 계수 결정부는
    다음의 수학식 11을 사용하여 저주파수 영역의 양자화 계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복호화 장치.
    [수학식 11]
    QPx=1 또는 QPx=2일 때,
    QS=QPx×2,
    QPx=3 또는 QPx=4일 때,
    QS=8,
    QPx가 전술한 범위 이외일 때,
    QS=(QPx/2)+6, 이다.
    여기서, QS는 양자화 계수를 의미한다.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 계수 결정부는
    다음의 수학식 12를 사용하여 고주파수 영역의 양자화 계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복호화 장치.
    [수학식 12]
    QS=QPx×2
    여기서, QS는 양자화 계수를 의미한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역양자화부는
    불균일 역양자화(non-uniform dequantizing)를 수행할 때, 다음의 수학식 13을 사용하여 상기 양자화된 화소값들을 역양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복호화 장치.
    [수학식 13]
    c′= q×QS + {sign(c)×QPX}
    여기서, c′는 역양자화 된 화소값을 의미하고, q는 양자화된 화소값을 의미하고, QS는 양자화 계수로서 QS=QPx×2를 의미하고, {sign(c)×QPX}는 불균일 역양자화를 위한 옵셋(offset)값을 의미한다.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 계수 결정부는
    다음의 수학식 14를 사용하여 저주파수 영역의 양자화 계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복호화 장치.
    [수학식 14]
    QP+QPOFFSET _X/2=1 또는 QP+QPOFFSET _X/2=2일 때,
    QS=(QP×2)+QPOFFSET _X,
    QP+QPOFFSET _X/2=3 또는 QP+QPOFFSET _X/2=4일 때,
    QS=8,
    QP+QPOFFSET _X/2 가 전술한 범위 이외일 때,
    QS=({QP+(QPOFFSET _X/2)}/2)+6, 이다.
    여기서, QS는 양자화 계수를 의미한다.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 계수 결정부는
    다음의 수학식 15를 사용하여 고주파수 영역의 양자화 계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복호화 장치.
    [수학식 15]
    QS=(QP×2)+QPOFFSET _X
    여기서, QS는 양자화 계수를 의미한다.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역양자화부는
    불균일 역양자화(non-uniform dequantizing)를 수행할 때, 다음의 수학식 16을 사용하여 상기 양자화된 화소값들을 역양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복호화 장치.
    [수학식 16]
    c′= q×QS + {sign(c)×(QP+(QPOFFSET _X/2))}
    여기서, c′는 역양자화 된 화소값을 의미하고, q는 양자화된 화소값을 의미하고, QS는 양자화 계수로서 QS=(QP×2)+QPOFFSET _X를 의미하고, {sign(c)×(QP+(QPOFFSET_X/2))}는 불균일 역양자화를 위한 옵셋(offset)값을 의미한다.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 복호화 장치는
    상기 역변환 된 화소값들에 대한 시간상 예측된 화소값들을 보상하는 시간상 예측 보상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복호화 장치.
  23. (a) 화상의 화소값들을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는 단계;
    (b) 사용자가 지정하는 R(red), G(green) 및 B(blue)의 양자화 변수 중 R 및 B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해 양자화 변수를 조정하여 상기 화상의 양자화 계수를 결정하는 단계;
    (c) 상기 결정된 양자화 계수에 따라, 상기 변환된 화소값들을 양자화하는 단계; 및
    (d) 상기 양자화 된 화소값들의 비트열을 생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부호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다음의 수학식 1을 사용하여 상기 R 또는 B의 양자화 변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부호화 방법.
    [수학식 1]
    QPX=QP+QPOFFSET _X
    여기서, QPX은 옵셋(OFFSET)값에 의해 조정된 R 또는 B의 양자화 변수를 의미하고, QP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는 R, G 및 B 공통의 양자화 변수이고, QPOFFSET _X 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는 R 또는 B에 대한 양자화 변수 옵셋값을 의미한다.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다음의 수학식 2를 사용하여 저주파수 영역의 양자화 계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부호화 방법.
    [수학식 2]
    QPx=1 또는 QPx=2일 때,
    QS=QPx×2,
    QPx=3 또는 QPx=4일 때,
    QS=8,
    QPx가 전술한 범위 이외일 때,
    QS=(QPx/2)+6, 이다.
    여기서, QS는 양자화 계수를 의미한다.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다음의 수학식 3을 사용하여 고주파수 영역의 양자화 계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부호화 방법.
    [수학식 3]
    QS=QPx×2
    여기서, QS는 양자화 계수를 의미한다.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불균일 양자화(non-uniform quantizing)를 수행할 때, 다음의 수학식 4를 사용하여 상기 변환된 화소값들을 양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부호화 방법.
    [수학식 4]
    q=(c+{sign(c)×QPx×r})/QS
    여기서, q는 양자화된 화소값을 의미하고, c는 상기 변환된 화소값을 의미하고, {sign(c)×QPx×r}는 불균일 양자화를 위한 옵셋(offset)값을 의미한다. 이때, sign(c)은 c>0일 때, sign(c)=1이고, c=0일 때, sign(c)=0이고, c<0일 때, sign(c)=-1이고, r은 0≤r≤1 범위 내의 상수이다.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다음의 수학식 5를 사용하여 저주파수 영역의 양자화 계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부호화 방법.
    [수학식 5]
    QP+QPOFFSET _X/2=1 또는 QP+QPOFFSET _X/2=2일 때,
    QS=(QP×2)+QPOFFSET _X,
    QP+QPOFFSET _X/2=3 또는 QP+QPOFFSET _X/2=4일 때,
    QS=8,
    QP+QPOFFSET _X/2 가 전술한 범위 이외일 때,
    QS=({QP+(QPOFFSET _X/2)}/2)+6, 이다.
    여기서, QS는 양자화 계수를 의미한다.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다음의 수학식 6을 사용하여 고주파수 영역의 양자화 계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부호화 방법.
    [수학식 6]
    QS=(QP×2)+QPOFFSET _X
    여기서, QS는 양자화 계수를 의미한다.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불균일 양자화(non-uniform quantizing)를 수행할 때, 다음의 수학식 7를 사용하여 상기 변환된 화소값들을 양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부호화 방법.
    [수학식 7]
    q=(c+{sign(c)×(QP+(QPOFFSET _X/2))×r})/QS
    여기서, q는 양자화된 화소값을 의미하고, c는 상기 변환된 화소값을 의미하고, {sign(c)×(QP+(QPOFFSET _X/2))×r}는 불균일 양자화를 위한 옵셋(offset)값을 의미한다. 이때, sign(c)은 c>0일 때, sign(c)=1이고, c=0일 때, sign(c)=0이고, c<0일 때, sign(c)=-1이고, r은 0≤r≤1 범위 내의 상수이다.
  31.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양자화 된 화소값들의 비트열을 생성할 때에, 상기 양자화 변수 옵셋값에 대한 비트열을 함께 생성하여 상기 화소값들의 비트열에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부호화 방법.
  32. 제27항 및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 부호화 방법은
    시간상 이전 블록을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화소값들을 시간상 예측하고, 상기 (a)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부호화 방법.
  33. 제23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34. (a) 화상에 대한 화소값들의 비트열을 복화화하는 단계;
    (b) 사용자가 지정하는 R(red), G(green) 및 B(blue)의 양자화 변수 중 R 및 B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해 양자화 변수를 조정하여 상기 화상의 양자화 계수를 결정하는 단계;
    (c) 상기 결정된 양자화 계수에 따라, 상기 복호화 된 화소값들을 역양자화하는 단계; 및
    (d) 상기 역양자화된 화소값들을 역변환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복호화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화소값들의 비트열을 복호화 할 때,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는 R 또는 B에 대한 양자화 변수 옵셋값의 비트열을 함께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복호화 방법.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다음의 수학식 8을 사용하여 상기 R 또는 B의 양자화 변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복호화 방법.
    [수학식 8]
    QPX=QP+QPOFFSET_X
    여기서, QPX은 옵셋(OFFSET)값에 의해 조정된 R 또는 B의 양자화 변수를 의미하고, QP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는 R, G 및 B 공통의 양자화 변수이고, QPOFFSET_X 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는 R 또는 B에 대한 양자화 변수 옵셋값을 의미한다.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다음의 수학식 9를 사용하여 저주파수 영역의 양자화 계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복호화 방법.
    [수학식 9]
    QPx=1 또는 QPx=2일 때,
    QS=QPx×2,
    QPx=3 또는 QPx=4일 때,
    QS=8,
    QPx가 전술한 범위 이외일 때,
    QS=(QPx/2)+6, 이다.
    여기서, QS는 양자화 계수를 의미한다.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다음의 수학식 10을 사용하여 고주파수 영역의 양자화 계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복호화 방법.
    [수학식 10]
    QS=QPx×2
    여기서, QS는 양자화 계수를 의미한다.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불균일 역양자화(non-uniform dequantizing)를 수행할 때, 다음의 수학식 11을 사용하여 상기 양자화된 화소값들을 역양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데 이터 복호화 방법.
    [수학식 11]
    c′= q×QS + {sign(c)×QPX}
    여기서, c′는 역양자화 된 화소값을 의미하고, q는 양자화된 화소값을 의미하고, QS는 양자화 계수로서 QS=QPx×2를 의미하고, {sign(c)×QPX}는 불균일 역양자화를 위한 옵셋(offset)값을 의미한다.
  40.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다음의 수학식 12를 사용하여 저주파수 영역의 양자화 계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복호화 방법.
    [수학식 12]
    QP+QPOFFSET _X/2=1 또는 QP+QPOFFSET _X/2=2일 때,
    QS=(QP×2)+QPOFFSET _X,
    QP+QPOFFSET _X/2=3 또는 QP+QPOFFSET _X/2=4일 때,
    QS=8,
    QP+QPOFFSET _X/2 가 전술한 범위 이외일 때,
    QS=({QP+(QPOFFSET _X/2)}/2)+6, 이다.
    여기서, QS는 양자화 계수를 의미한다.
  41.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다음의 수학식 13을 사용하여 고주파수 영역의 양자화 계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복호화 방법.
    [수학식 13]
    QS=(QP×2)+QPOFFSET _X
    여기서, QS는 양자화 계수를 의미한다.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불균일 역양자화(non-uniform dequantizing)를 수행할 때, 다음의 수학식 14을 사용하여 상기 양자화된 화소값들을 역양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복호화 방법.
    [수학식 14]
    c′= q×QS + {sign(c)×(QP+(QPOFFSET _X/2))}
    여기서, c′는 역양자화 된 화소값을 의미하고, q는 양자화된 화소값을 의미하고, QS는 양자화 계수로서 QS=(QP×2)+QPOFFSET _X를 의미하고, {sign(c)×(QP+(QPOFFSET_X/2))}는 불균일 역양자화를 위한 옵셋(offset)값을 의미한다.
  43.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 복호화 방법은
    상기 (d) 단계 후에, 상기 역변환 된 화소값들에 대한 시간상 예측된 화소값들을 보상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 복호화 방법.
  44. 제34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50062934A 2005-07-12 2005-07-12 화상 데이터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 방법 KR101088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934A KR101088374B1 (ko) 2005-07-12 2005-07-12 화상 데이터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934A KR101088374B1 (ko) 2005-07-12 2005-07-12 화상 데이터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032A KR20070008032A (ko) 2007-01-17
KR101088374B1 true KR101088374B1 (ko) 2011-12-02

Family

ID=38010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2934A KR101088374B1 (ko) 2005-07-12 2005-07-12 화상 데이터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837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0093B1 (ko) 1995-09-28 1999-06-15 윤종용 확률분포에 의한 블럭 단위의 영상분리 방법 및 회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0093B1 (ko) 1995-09-28 1999-06-15 윤종용 확률분포에 의한 블럭 단위의 영상분리 방법 및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032A (ko) 2007-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03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imag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image using human visual characteristics
KR100850705B1 (ko) 시공간적 복잡도를 고려한 적응적 동영상 부호화 방법 및그 장치
JP2618083B2 (ja) イメージ回復方法及び装置
US8194735B2 (en) Video encoding apparatus and video encoding method
KR101213704B1 (ko) 가변 컬러 포맷 기반 동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그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8577159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data compression with adaptive filtering in the transform domain
US200902382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transcoding of digital video for fine granular scalability
KR20020026198A (ko) 비디오 압축
KR101366086B1 (ko) 잔차 블록의 계수들에 대한 부호화 결정 방법, 장치,인코더 및 디코더
KR20070009336A (ko) 부호화 모드에 따른 컬러 성분간 예측을 이용한 컬러 영상및 비디오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030090308A (ko) 적응적 동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과 그 장치
KR20070009337A (ko) 주파수 공간에서 컬러 성분간 예측을 이용한 컬러영상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EP22279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quantizati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inverse quantization
KR101204801B1 (ko) 색상계에 적응적인 화소값 보정 방법 및 장치, 그를 이용항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045205B1 (ko) 화상 데이터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 방법
KR20090090152A (ko) 영상의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0813258B1 (ko) 화상 데이터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 방법
KR20090095011A (ko) 영상의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539045B1 (ko) 양자화 계수 결정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20040264790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daptively encoding motion image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input image
KR20040048289A (ko) 트랜스코딩 장치 및 방법, 이에 사용되는 타겟비트할당 및픽처 복잡도 예측 장치 및 방법
KR101088374B1 (ko) 화상 데이터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 방법
US20070297517A1 (en) Entropy encoding and decoding apparatuses, and entropy encoding and decoding methods
KR100932727B1 (ko) 비디오 스트림 전환 장치 및 방법
JP2003289542A (ja) 画像情報符号化方法、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画像情報復号方法、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画像情報符号化復号方法、並びに画像情報符号化伝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