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7067B1 - A stairway tile with a luminous part - Google Patents

A stairway tile with a luminous pa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7067B1
KR101087067B1 KR1020110043995A KR20110043995A KR101087067B1 KR 101087067 B1 KR101087067 B1 KR 101087067B1 KR 1020110043995 A KR1020110043995 A KR 1020110043995A KR 20110043995 A KR20110043995 A KR 20110043995A KR 101087067 B1 KR101087067 B1 KR 101087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inous
layer
tile
groove
plat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39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경진
Original Assignee
김경진
(주)메리엘커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진, (주)메리엘커머스 filed Critical 김경진
Priority to KR1020110043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706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7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70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104Treads
    • E04F11/16Surfaces thereof; Protecting means for edges or corners thereof
    • E04F11/17Surf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2Luminous pa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PURPOSE: A stair tile with a luminous part is provided to semi-permanently maintain luminance by preventing the stair tile from being easily discolored and decolorized even if the stair tile is exposed to external environment. CONSTITUTION: A stair tile(1) with a luminous part comprises a plate member(10), retreated grooves(20), a round plate(30), multiple protrusions(40), and luminous parts(50). The plate member covers the concrete surface of a stair(2). The retreated grooves are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plate member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round plate is formed in the front end of the plate member. The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e member to be touched with the concrete surface of the stair. The luminous parts are formed inside the retreated grooves and comprise a white base layer, a luminous layer, and a transparent protection layer.

Description

야광부를 가지는 계단 타일{A STAIRWAY TILE WITH A LUMINOUS PART}Stair tile with luminous part {A STAIRWAY TILE WITH A LUMINOUS PAR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계단의 표면에 시공되는 계단 타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야광부가 벗겨지거나 탈리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도록 하면서 야광부를 구비하더라도 계단 타일 자체의 심미감이 저하되는 것이 원활히 방지되도록 하고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도 쉽게 변색되거나 탈색되지 않아 야광성이 반영구적으로 지속되도록 하는 야광부를 가지는 계단 타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irway tile that is constructed on the surface of a concrete staircase,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the luminous part from being peeled off or detached, while having a luminous part, so that the aesthetics of the stairway tile itself is smoothly prevent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ircase tile having a luminous unit that does not easily discolor or discolor even when exposed to an external environment so that luminous properties persist semipermanently.

일반적으로 사무실용 빌딩이나 아파트 등의 각종 건축물의 계단은 콘크리트 혹은 대리석과 같은 천연석판으로 시공된다. 콘크리트로 시공된 계단은 그 표면을 매끄럽게 마감 처리를 해야 하는데, 이 경우 콘크리트 표면의 광택을 위하여 물과 연마장치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표면을 그라인딩하게 됨으로써, 시공 과정에서 다량의 먼지와 오염수가 발생하여 환경오염을 유발하게 되고, 그에 따라 이와 같은 시공 방법은 현재 규제의 대상되어 사용을 하지 못하고 있다.Generally, stairs of various buildings such as office buildings or apartments are constructed of natural slabs such as concrete or marble. Concrete stairs should be smoothly finished. In this case, the concrete surface is ground using water and a polishing device to polish the concrete surface. Therefore, a large amount of dust and contaminated water are generated during construction. It causes pollution, and thus such construction method is currently under the control and cannot be used.

이와 같은 규제로 인해 최근에는 대부분이 천연석판 또는 계단의 콘크리트 표면에 접착할 수 있도록 제작된 계단 타일을 이용하여 계단의 표면을 시공하고 있는 추세이다. 천연석판을 이용한 계단 표면의 시공은 대리석과 같은 천연석판 자체가 매우 고가품으로 일반적으로 사용하기에는 어려워서 천연석판보다 가볍고 가격이 저렴하며, 시공의 간편함을 이유로 고광택 고품질의 계단 타일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Due to such regulations, most of the staircases are recently constructed using stair tiles, which are made to adhere to natural slabs or concrete surfaces of stairs. The construction of the staircase surface using natural slabs is very expensive because natural slabs such as marble itself are very expensive and are difficult to use in general. Therefore, they use a lot of high-gloss and high-quality stair tiles because of the ease of construction.

이러한 계단 타일은 점토 및 암석 분체를 성형한 다음, 소성하여 제작되는 박판 제품을 총칭하며, 마감면 보호를 위한 실용적인 측면과 패턴 및 채색을 가미한 장식적인 측면을 갖고 있으므로 그 색상, 규격, 무늬가 다양하며, 내수성, 내구성, 방화성, 청결성, 견고성, 장식성 등이 우수한 내장재이다. These staircase tiles collectively refer to thin products manufactured by molding clay and rock powders, and then firing them. They have a variety of colors, specifications, and patterns because they have practical aspects for protecting the finish and decorative aspects with patterns and coloring. It is an interior material with excellent water resistance, durability, fire resistance, cleanliness, firmness and decoration.

계단 타일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분류될 수 있으나, 소성 온도에 따라 토기질(土器質), 도기질(陶器質), 자기질(磁器質) 및 식기질(食器質)로 대별되며, 토기질의 계단 타일은 보통의 점토를 서서히 가열하여 저온 소성(790-1000℃)시킨 것으로서 두드리면 "탁음"이 나며 흡수율 20% 이상이고, 최저급 원료를 사용하므로 깨지기 쉬우므로 근자에 들어서는 타일로 잘 사용되지는 않는다.Stair tiles can be classified by various methods, but they are classified into earth, earth, porcelain and porcelain according to the firing temperature. It is a low-temperature calcined (790-1000 ℃) by slowly heating the normal clay, tapping "mong" and absorbance is more than 20%, because it is fragile by using the lowest grade raw materials, it is not used as a tile in the root.

도기질의 계단 타일은 다공성이고 투광성이 없으며 점토를 비교적 저온 소성(1100-1250℃)시킨 것으로서 두드리면 "똑똑"하는 약한 청음이 나며 흡수율이 10% 이상이고 시유 소성하면 방수성이 높고 견고하므로 내장용 타일이나 테라코타로 사용되고 있다.Ceramic staircase tiles are porous, not translucent, clay is relatively low-temperature firing (1100-1250 ℃), and when knocked, it has a weak sound of "smart". It is used as terracotta.

자기질의 계단 타일은 양질의 도석과 장석분 및 점토를 원료로 사용하여 고온 소성(1250-1450℃)시킨 것으로서 점토의 용화에 의해 기공률이 현저히 적으므로 흡수율이 1% 미만이며 투명 유약을 사용하면 무늬를 살릴 수가 있고 다소의 투화성이 있으며 두드리면 금속성 청음이 나고 내마모성이 높으므로 타일이나 위생도기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Self-made staircase tiles are made of high-quality pottery, feldspar powder, and clay at high temperature (1250-1450 ℃), and have a very low porosity due to the melting of clay. Therefore, the absorption rate is less than 1%. It is able to save and has some fire resistance, and it is widely used as tile or sanitary ware because it has metallic hearing and high wear resistance.

식기질의 계단 타일은 흡수성 및 투광성이 없고 중온 소성(1160-1350℃)시킨 것으로서 도기질 보다는 강도가 높고 흡수율이 10% 미만으로 두드리면 맑은 소리가 나며 시유하면 광택이 나고 방수성이 크므로 바닥용 타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Tableware staircase tiles are absorbent and not light-transmitting and have a medium temperature firing (1160-1350 ℃). They are stronger than porcelain and have a water absorption of less than 10%, giving a clear sound. Widely used.

또한, 계단 타일은 유약의 적용 여부에 따라 시유 계단 타일과 무유 계단 타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시유 계단 타일은 계단 타일의 표면에 유약을 적용하여 소성한 것으로서 색상이 다양하고 강도가 뛰어나서 관공서, 학교, 공장 등의 계단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무유 계단 타일은 타일의 표면에 유약을 적용시키지 않고 소성한 것으로서 강도가 뛰어나고 내마모성이 탁월하며 타일표면이 마모되어도 동일한 색상이 유지되므로 다중 이용 시설물의 계단이나 외부의 계단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In addition, depending on whether glaze is applied, the stair tile may be classified into a siyue stair tile and a non-siyu stair tile. It is widely used in stairs of factories, factories, etc. The oil-free staircase tile is fired without applying glaze on the surface of the tile, which has high strength, excellent wear resistance, and maintains the same color even when the tile surface is worn. It is widely used for stairs.

종래의 계단 타일은 그 단부인 모서리 부분에서 사용자가 밟았을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단 상면에 다수개의 요홈을 형성하거나 논슬립 부재를 부착하는 등의 기술들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즉, 종래의 계단 타일은 계단의 콘크리트 상면을 가릴 수 있도록 구비되는 직사각 판형의 판형부재와, 상기 판형부재의 선단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따라 형성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게 다수개로 형성되는 요홈과, 상기 판형부재의 선단에 형성되는 라운드면과, 계단의 콘크리트 상면에 접착될 수 있도록 상기 판형부재의 하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턱으로 구성된다.Conventional staircase tiles have been proposed and used to form a plurality of grooves or attach a non-slip member to the upper end surface in order to prevent the user from slipping when stepped on the corner portion thereof. That is, the conventional stair tile is a rectangular plate-shaped member provided to cover the concrete upper surface of the staircase, groove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top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plate member and formed in a plurality of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Round surface is formed on the front end of the plate member, and a plurality of stepping stone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member to be bonded to the concrete upper surface of the stairs.

최근 들어 고층 빌딩의 화재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고, 이와 같은 고층 빌딩에 화재로 인해 빌딩 자체의 전기가 단전되면 빌딩 내의 거주자가 승강기를 이용할 수 없어 계단을 통해서 주로 대피를 하게 된다.Recently, fires in high-rise buildings frequently occur, and if the electricity of the building itself is cut off due to such high-rise buildings, the occupants in the building cannot use the elevators and mainly evacuate through the stairs.

이와 같은 빌딩은 내부에 주로 계단이 위치하여 야간은 물론이고 주간에도 계단이 위치한 빌딩 내부는 시야를 확보할 수 없을 정도로 어두워 화재 발생시 계단을 통한 대피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Since such a building is mainly located inside the stairs,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where the stairs are located at night as well as during the day is so dark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view, and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evacuating through the stairs in case of fire.

상기와 같이 빌딩의 화재 시에 계단을 통한 거주자의 대피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화재 발생시에 막대한 인명이 손실되어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As described above, the evacuation of the occupants through the stairs during the fire of the building is not made smoothly, a huge loss of life in the event of a fire has emerged as a social problem.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계단 타일의 상면 일부에 야광도료를 도색하거나 야광스티커를 부착하는 등 화재시에 계단에서 거주자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various methods have been proposed to enable the occupants to secure the view on the stairs in the event of fire, such as coating a luminous paint or a luminous sticker on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tairs tile.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종래의 계단 타일에 도색된 야광도료나 부착되는 야광스티커는 거주자가 계단을 이용하는 중에 야광부나 야광스티커가 벗겨지거나 탈리되어 유사시에 본연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기 못하고 야광 도색부나 야광 스티커 자체가 계단 타일의 심미감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luminous paint or luminous sticker which is painted on the conventional stair tile is not covered by the luminous part or the luminous sticker while the occupant is using the staircase, and the luminous paint part or the luminous sticker itself is There was a problem of deteriorating the aesthetics.

또한, 상기와 같은 야광도료나 야광스티커는 야광물질이 외부 환경에 노출된 상태이므로 짧은 기간 안에 쉽게 변색되거나 탈색되어 야광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luminous paint or luminous sticker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that the luminous material is easily discolored or discolored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because the luminous material is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hus the luminous property is significantly lowered.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목적은, 야광부가 벗겨지거나 탈리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도록 하면서 야광부를 구비하더라도 계단 타일 자체의 심미감이 저하되는 것이 원활히 방지되도록 하고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도 쉽게 변색되거나 탈색되지 않아 야광성이 반영구적으로 지속되도록 하며 볼록렌즈층을 통해 야광부의 발광이 현저히 확대되어 야광성 및 시인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는 야광부를 가지는 계단 타일을 제공함에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luminous part from being peeled off or detached at the source, while preventing the deterioration of the aesthetics of the stair tile itself even when the luminous part is provided, and is easily discolored or discolored even when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aircase tile having a luminous portion for lasting semi-permanently and for luminescence of the luminous portion to be significantly expanded through the convex lens layer to significantly improve luminous properties and visibility.

삭제delet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반사층을 형성하여 야광층의 광을 외부로 비스듬히 반사하여 야광층에 의한 발광성 및 시인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면서 외부의 광을 야광층으로 반사하여 야광층의 축광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는 야광부를 가지는 계단 타일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light reflection layer to reflect the light of the luminous layer obliquely to the outside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luminous properties and visibility by the luminous layer while reflecting the external light to the luminous layer to the luminous properties of the luminous lay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ircase tile having a luminous portion for significantly improving thi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반사층에 보조 투명층을 형성하여 외부 환경이나 외력에 의한 광반사층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하는 야광부를 가지는 계단 타일을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ircase tile having a luminous portion to form an auxiliary transparent layer in the light reflection layer to prevent damage of the light reflection layer by the external environment or external for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야광부를 가지는 계단 타일"은, 계단의 콘크리트 상면을 가릴 수 있도록 구비되는 직사각 판형의 판형부재와, 상기 판형부재의 선단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따라 형성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게 다수개로 형성되는 요홈과, 상기 판형부재의 선단에 형성되는 라운드면과, 계단의 콘크리트 상면에 접착될 수 있도록 상기 판형부재의 하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턱을 포함하는 계단 타일에 있어서; 상기 요홈은, 직사각형 입방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3 mm 내지 7 mm의 폭과 1.5 mm 내지 2 mm의 깊이를 가지며, 상기 계단 타일은, 상기 요홈의 내부에 형성되는 야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야광부는, 상기 요홈의 내부 하면에 백색의 유약을 0.2 mm 두께로 도포한 후에 건조시켜 형성되는 백색 바탕층과, 상기 백색 바탕층을 뒤덮도록 상기 백색 바탕층의 상면에 유로퓸 이온을 활성화시킨 스트론튬알루마트를 원료로 하는 야광 유약을 0.6 mm 내지 1 mm 두께로 도포한 후에 건조시켜 형성되는 야광층과, 상기 야광층을 뒤덮어 보호하도록 상기 야광층의 상면에 0.2 mm 두께로 투명한 가열경화성 수지를 도포한 후에 섭씨 200도 내지 300도로 가열하여 경화시켜 형성되는 투명 보호층과, 상기 투명 보호층의 상면에 상기 투명한 가열경화성 수지를 중앙부위가 볼록하도록 도포한 후에 가열 경화시켜 형성되고 상기 야광층의 발광을 확대시키는 볼록렌즈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tair tile having a luminous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ctangular plate-shaped member provided to cover the concrete upper surface of the staircase, and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plate-like member. And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 round surface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plate member, and a plurality of stone jaw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e member to be adhered to the concrete upper surface of the stairs. For tiles; The groove is formed in a rectangular cuboid shape, has a width of 3 mm to 7 mm and a depth of 1.5 mm to 2 mm, the staircase tile, the luminous portion formed inside the groove; The luminous unit further includes a white base layer formed by applying a white glaze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recess to a thickness of 0.2 mm and drying the white base layer, and an europium ion on the top surface of the white base layer to cover the white base layer. A luminous layer formed by applying a luminous glaze made of strontium alumat which is activated to a thickness of 0.6 mm to 1 mm and then dried, and transparent heating 0.2 mm thick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uminous layer so as to cover and protect the luminous layer. After applying the curable resin,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formed by heating and curing at 200 to 300 degrees Celsius, and the transparent heat-curable resi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after coating so that the central portion is convex and formed by heat curing And a convex lens layer for enlarging the light emission of the luminous layer.

삭제delet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야광부를 가지는 계단 타일"의 상기 볼록렌즈층은, 상기 투명 보호층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onvex lens layer of the "staircase tile with luminous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야광부를 가지는 계단 타일"의 상기 요홈은, 상기 요홈의 내부 양측면에 상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호 대칭되는 경사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야광부는, 상기 야광층의 발광이 상기 경사면을 통해 외부로 반사되면서 외부의 광이 상기 경사면을 통해 상기 야광층으로 반사되도록 상기 경사면에 광반사 도료를 도포한 후에 건조시켜 형성되는 광반사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groove of the "step staircase having a luminous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which is formed to be inclined to the upper side on both inner side surfaces of the groove and symmetric with each other, wherein the luminous unit, the light emission of the luminous layer is And a light reflection layer formed by applying a light reflecting paint to the inclined surface so as to be reflec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to the luminous layer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and then drying the light reflection lay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야광부를 가지는 계단 타일"의 상기 야광부는, 상기 광반사층의 상면에 상기 투명한 가열경화성 수지를 도포한 후에 가열 경화시켜 형성되는 보조 투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luminous portion of the "staircase tile having a luminous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transparent layer formed by applying the transparent heat-curable resi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reflection layer and heat cured.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계단 타일의 야광부가 벗겨지거나 탈리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방지되고, 계단 타일에 야광부를 구비하더라도 계단 타일 자체의 심미감이 저하되는 것이 원활히 방지되며, 야광부가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도 쉽게 변색되거나 탈색되지 않아 야광성이 반영구적으로 지속되고, 볼록렌즈층을 통해 야광부의 발광이 현저히 확대되어 야광성 및 시인성이 현저히 향상되며 그에 따라 사용상의 편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luminous part of the staircase tile from being peeled off or detached, and even if the staircase tile includes the luminous part, the aesthetics of the staircase tile itself is smoothly prevented, and the luminous part is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Even if it is not easily discolored or discolored, the luminous persists semi-permanently, and the luminous portion of the luminous unit is significantly enlarged through the convex lens layer, so that the luminous properties and visibility are remarkably improved,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of use.

삭제delete

또한, 본 발명은, 광반사층을 형성하여 야광층의 광을 외부로 비스듬히 반사하여 야광층에 의한 발광성 및 시인성이 현저히 향상되고, 외부의 광을 야광층으로 반사하여 야광층의 축광성이 현저히 향상되며, 그에 따라 발광과 축광이 원활히 이루어져 야광부의 작동상의 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light reflection layer to reflect the light of the luminous layer obliquely to the outside remarkably improved luminous properties and visibility by the luminous layer, and reflects the external light to the luminous layer significantly improved the luminous properties of the luminous layer As a result, light emission and photoluminescence are smoothly performed, and thus the operational stability of the luminous unit is remarkably improved.

또한, 본 발명은, 광반사층에 보조 투명층을 형성하여 외부 환경이나 외력에 의한 광반사층의 손상이 방지되고, 그에 따라 상기 광반사층의 수명이 증대되는 효과를 갖는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forming an auxiliary transparent layer on the light reflection layer to prevent damage to the light reflection layer due to external environment or external force, thereby increasing the life of the light reflection lay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 타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 타일의 요부 확대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확대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확대 종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ircase t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main portion of the staircase t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2;
4 is an enlarged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main part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nlarged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 타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 타일의 요부 확대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ircase t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main portion of the staircase t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 2.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계단 타일(1)은 계단(2)의 콘크리트 상면을 가릴 수 있도록 구비되는 직사각 판형의 판형부재(10)와, 상기 판형부재(10)의 선단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따라 형성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게 다수개로 형성되는 요홈(20)과, 상기 판형부재(10)의 선단에 형성되는 라운드면(30)과, 계단(2)의 콘크리트 상면에 접착될 수 있도록 상기 판형부재(10)의 하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턱(40)과, 상기 요홈(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야광부(50)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staircase ti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ctangular plate-shaped plate member 10 provided to cover the concrete upper surface of the staircase 2, and a length at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plate-shaped member 10. Grooves 20 formed along the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the round surface 30 formed at the tip of the plate member 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of the stairs 2. It includes a plurality of stepping stones 40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like member 10, and a luminous unit 50 formed in the groove 20.

상기 요홈(20)은 직사각형 입방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3 mm 내지 7 mm의 폭과 1.5 mm 내지 2 mm의 깊이를 가진다. 상기 요홈(20)의 폭이 3 mm 내지 7 mm인 이유는 상기 요홈(20)의 폭이 3 mm보다 작으면 상기 야광부(50)에 의한 야광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기 때문이며, 상기 요홈(20)의 폭이 7 mm보다 크면 상기 요홈(20) 사이의 간격이 넓어져 상기 요홈(20)에 의한 미끄럼 방지 효과가 저하되기 때문이다.The groove 20 is formed in a rectangular cube shape and has a width of 3 mm to 7 mm and a depth of 1.5 mm to 2 mm. The reason why the width of the groove 20 is 3 mm to 7 mm is because when the width of the groove 20 is smaller than 3 mm, the luminous effect by the luminous unit 50 cannot be sufficiently exhibited, and the groove 20 This is because when the width of the () is greater than 7 mm, the gap between the grooves 20 is widened and the anti-slip effect by the grooves 20 is reduced.

상기 요홈(20)의 깊이가 1.5 mm 내지 2 mm인 이유는 상기 요홈(20)의 깊이가 1.5 mm보다 얕으면 상기 야광부(50)가 상기 요홈(20)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상기 요홈(20)에 완전히 채워져 상기 요홈(20)에 의한 미끄럼 방지 효과가 저하되기 때문이며, 상기 요홈(20)의 깊이가 2 mm보다 크면 상기 야광부(50)가 상기 요홈(20)의 내부로 너무 깊게 설치되어 상기 야광부(50)에 의해 발휘되는 광이 상기 요홈(20)의 외부로 원활히 노출되기 어려워 야광 효과가 저감되기 때문이다.The reason that the depth of the groove 20 is 1.5 mm to 2 mm is because if the depth of the groove 20 is shallower than 1.5 mm, the luminous part 50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groove 20 or the groove 20 This is because the anti-slip effect by the groove 20 is completely filled in the), and when the depth of the groove 20 is greater than 2 mm, the luminous unit 50 is installed too deep into the groove 20. This is because the light exerted by the luminous unit 50 is not easi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ecess 20, so that the luminous effect is reduced.

상기 야광부(50)는 상기 요홈(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요홈(20)의 상부측으로 발광되어 계단(2)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야간이나 어두운 빌딩의 내부에서 계단(2)의 층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luminous unit 50 is installed in the recess 20, and is emitted to an upper side of the recess 20 so that a user who uses the stairs 2 at the night or in a dark building has a floor of the stairs 2. To identify them.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야광부(50)는 상기 요홈(20)의 내부 하면에 형성되는 백색 바탕층(51)과, 상기 백색 바탕층(51)의 상면에 형성되는 야광층(52)과, 상기 야광층(52)의 상면에 형성되는 투명 보호층(53)을 포함한다.The luminous unit 50 having such a role includes a white base layer 51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20, a luminous layer 52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white base layer 51, It includes a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53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uminous layer (52).

상기 백색 바탕층(51)은 상기 요홈(20)의 내부 하면에 백색의 유약을 0.2 mm 두께로 도포한 후에 건조시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야광층(52)이 도포되는 부위를 백색으로 형성하여 오물이나 다른 색깔에 의한 상기 야광층(52)에 도포되는 야광 유약의 야광 효과의 저하를 방지시키면서 야광성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white base layer 51 is formed by applying a white glaze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20 to a thickness of 0.2 mm and then drying it. It serves to improve luminous properties while preventing the deterioration of the luminous effect of the luminous glaze applied to the luminous layer 52 by other colors.

상기 야광층(52)은 상기 백색 바탕층(51)을 뒤덮도록 상기 백색 바탕층(51)의 상면에 유로퓸(europium) 이온을 활성화시킨 스트론튬알루마트를 원료로 하는 야광 유약을 0.6 mm 내지 1 mm 두께로 도포한 후에 건조시켜 형성되는 것으로, 단시간의 축광으로 어두운 환경에서 장시간 동안 발광되어 화재와 같이 정전이나 단전이 되는 위급한 상황에서 본 계단 타일(1)의 요홈(20)에서 발광하여 사용자가 충분히 계단(2)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luminous layer 52 has a luminous glaze made of strontium aluminate having activated europium ion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hite base layer 51 to cover the white base layer 51 from 0.6 mm to 1 mm. It is formed by applying it to a thickness after drying, and emits light for a long time in a dark environment by a short time photoluminescence, and emits light in the grooves 20 of the staircase tile 1 seen i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power outage or power failure. It is enough to identify the stairs (2).

상기 야광층(52)이 0.6 mm 내지 1 mm 두께로 형성되는 이유는 0.6 mm보다 얇은 경우에 축광이나 발광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이며 1 mm보다 두꺼운 경우에는 상기 야광부(50)가 상기 요홈(20)을 채우거나 상기 요홈(20)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요홈(20)에 의한 미끄럼 방지 효과가 저하되기 때문이다.The luminous layer 52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0.6 mm to 1 mm because luminous or light emission is insufficient when the thickness of the luminous layer 52 is thinner than 0.6 mm. 20 is filled or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groove 20 is because the anti-slip effect by the groove 20 is reduced.

상기 야광층(52)에 사용되는 야광 유약의 주재료인 스트론튬알루마트(SrAl2O4 : Eu, Dy)는 현재 발광효과가 최고인 재료로 알려지고 있으며, 그 주요 특징은 첫 번째로 가시영역에서 높은 양자효율을 갖고 있어 발광효율이 매우 높다는 것이며, 두 번째로 기존의 발광재료의 잔광시간이 보통 3 ~ 5 시간인 반면에 스트론튬알루마트는 인간의 시인이 가능한 수준의 잔광지속 시간이 12 시간이나 되어 잔광시간이 매우 길다는 것이며, 세 번째로 발광체의 항방사성이 높으며 항산화 항자외선에도 아주 뛰어난 재료여서, 수명이 길어 자연 환경과 특수 환경에도 장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화학적 안정성이 좋고 형광이 갑자기 꺼지는 내온 온도가 높다는 것이다.Strontium alumat (SrAl 2 O 4 : Eu, Dy), the main material of the luminous glaze used in the luminous layer 52, is known as the material having the highest luminous effect. The luminescence efficiency is very high due to the quantum efficiency. Second, the afterglow time of the existing light emitting material is usually 3 to 5 hours, whereas strontium alummat has a 12-hour afterglow duration that can be recognized by humans. Thirdly, afterglow time is very long. Third, the light emitting material has high anti-radiation and anti-oxidant anti-UV. Is high.

상기 투명 보호층(53)은 상기 야광층(52)의 상면에 0.2 mm 두께로 투명한 가열경화성 수지를 도포한 후에 섭씨 200도 내지 300도로 가열하여 경화시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야광층(52)을 뒤덮어 상기 야광층(52)이 외부 환경이나 외력에 의해 손상되거나 탈리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53 is formed by applying a transparent thermosetting resin having a thickness of 0.2 m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uminous layer 52 and then curing by heating to 200 to 300 degrees Celsius. To cover the luminous layer 52 serves to protect from being damaged or detached by an external environment or external force.

상기 투명 보호층(53)은 0.2 mm 두께로 얇게 형성되더라도 가열 경화에 의해 상기 요홈(20)의 내부에 견고한 층을 형성하며 동시에 상기 야광층(52) 자체도 건조되어 경화된 상태이므로, 상기 투명 보호층(53)이 상기 야광층(52)에 일체화될 정도로 견고히 밀착되어 상기 야광층(52)을 보호할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가지게 된다.Although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53 is formed to be 0.2 mm thick, it forms a solid layer inside the recess 20 by heat curing, and at the same time, the luminous layer 52 itself is dried and cured. The protective layer 53 is tightly adhered to the luminous layer 52 so as to have sufficient strength to protect the luminous layer 52.

상기 투명 보호층(53)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섭씨 200도 내지 300도로 상기 가열경화성 수지가 가열될 때, 그 하부측에 있는 상기 야광층(52)과 백색 바탕층(51)에도 열이 전달되어 상기 야광층(52)과 백색 바탕층(51)의 완전한 건조가 이루어지게 된다.When the thermosetting resin is heated to 200 to 300 degrees Celsius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53, heat is also transferred to the luminous layer 52 and the white base layer 51 on the lower side thereof. The luminous layer 52 and the white base layer 51 are completely dried.

상기 가열경화성 수지는 용융된 상태로 상기 야광층(52)의 상면에 도포될 수 있는 무색의 투명한 수지로서, 섭씨 200도 내지 300도의 온도를 가지는 가마에 상기 판형부재(10)를 넣고 가열하여 경화시키거나 상기 판형부재(10)의 상면으로 상기 요홈(20)에 고온의 온풍으로 외부에서 분사하여 가열 경화시키거나, 또는 상기 판형부재(10)의 하면을 온열기 등으로 가열하여 상기 판형부재(10)에 의한 열전도를 통해 가열 경화시킬 수 있다.The thermosetting resin is a colorless transparent resin that can be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uminous layer 52 in a molten state, and the plate-shaped member 10 is put into a kiln having a temperature of 200 ° C to 300 ° C, followed by heating and curing. Or by heating the surface of the plate-shaped member 10 with a high temperature warm air from the outside to heat and harden, or by heating the bottom of the plate-shaped member 10 with a heater or the like to form the plate-shaped member 10. It can be heat-cured through thermal conduction by).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계단 타일(1)은 상기 야광부(50)가 벗겨지거나 탈리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면서 상기 계단 타일(1)에 상기 야광부(50)를 구비하더라도 상기 계단 타일(1) 자체의 심미감이 저하되는 것이 원활히 방지되고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도 쉽게 변색되거나 탈색되지 않아 야광성이 반영구적으로 지속되고, 그에 따라 화재와 같은 위급한 상황에서 빌딩이나 건물의 거주자나 사용자가 어두운 환경에서 계단(2)을 용이하게 식별하여 인명의 손실을 극소화시키는 유용한 발명이다.
The staircase tile 1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prevented from being peeled off or detached from the luminous unit 50, even if the staircase tile 1 is provided with the luminous unit 50. Deterioration of the aesthetics is prevented smoothly, and even when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it is not easily discolored or discolored, so the luminous persists semi-permanently. It is a useful invention to easily identify (2) to minimize the loss of human life.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확대 종단면도이다.Figure 4 is an enlarged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계단 타일의 상기 야광부(50)는 상기 투명 보호층(53)의 상면에 상기 투명한 가열경화성 수지를 중앙부위가 볼록하도록 도포한 후에 가열 경화시켜 형성되는 볼록렌즈층(54)을 더 포함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luminous portion 50 of the staircase t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vex formed by applying the transparent thermosetting resi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53 so that the central portion is convex and then heat-curing. The lens layer 54 further includes.

상기 볼록렌즈층(54)은 상기 야광층(52)에서 발휘되는 광이 도 4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외부를 향해 확대된 상태로, 즉 넓게 퍼진 상태로 발광되어 계단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상기 야광층(52)에 의한 발광을 보다 원활히 식별할 수 있도록 하면서 동시에 계단 타일 자체의 조명 효과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e convex lens layer 54 emits light emitted from the luminous layer 52 toward the outside as shown by an arrow shown in FIG. The light emitted by the layer 52 can be more easily identified, and at the same time, the lighting effect of the stairs tile itself can be obtained.

이와 같은 상기 볼록렌즈층(54)은 상기 투명 보호층(53)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투명 보호층(53)을 형성하기 위해 가열경화성 수지를 도포할 때 상기 투명 보호층(53)의 중앙부위를 볼록하게 형성하여 상기 볼록렌즈층(54)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다.The convex lens layer 54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53. That is, when the thermosetting resin is applied to form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53, the convex lens layer 54 is integrally formed by convexly form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53.

다른 방법으로 상기 투명 보호층(53)을 도포한 후에 상기 투명 보호층(53)의 상면 중앙을 따라 상기 가열경화성 수지를 반원형으로 주입하여 상기 볼록렌즈층(54)을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after applying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53, the convex lens layer 54 may be formed by injecting the thermosetting resin in a semicircular shape along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53.

이와 같이 상기 투명 보호층(53)과 볼록렌즈층(54)은 동일한 가열경화성 수지를 동시에 도포한 후에 가열 경화시켜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볼록렌즈층(54)의 형성 과정이 보다 간단해지면서 상기 볼록렌즈층(54)이 상기 투명 보호층(53)과 함께 상기 야광층(52)을 보호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53 and the convex lens layer 54 are integrally formed by simultaneously applying the same thermosetting resin, followed by heat curing, thereby simplifying the process of forming the convex lens layer 54. The convex lens layer 54 also serves to protect the luminous layer 52 together with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53.

상기 볼록렌즈층(54)은 상기 요홈(20)에 의한 미끄럼 방지 효과가 저하되지 않도록 상기 요홈(2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을 정도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vex lens layer 54 may be formed to a thickness such that the convex lens layer 54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groove 20 so that the anti-slip effect of the groove 20 is not lowered.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확대 종단면도이다.Figure 5 is an enlarged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계단 타일의 상기 요홈(20)은 상기 요홈(20)의 내부 양측면에 상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호 대칭되는 경사면(2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야광부(50)는 상기 경사면(21)에 광반사 도료를 도포한 후에 건조시켜 형성되는 광반사층(55)을 더 포함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groove 20 of the staircase t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21 which is formed to be inclined to the upper side on both inner sides of the groove 20 and is symmetric with each other, and the luminous unit 50 ) Further includes a light reflection layer 55 formed by applying a light reflecting paint to the inclined surface 21 and then drying it.

상기 경사면(21)은 상기 야광층(52)으로 상부로 상기 요홈(20)의 내측면에 상기 광반사층(55)을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광반사층(55)은 상기 야광층(52)의 발광이 상기 경사면(21)을 통해 외부로 반사되면서 외부의 광이 상기 경사면(21)을 통해 상기 야광층(52)으로 반사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inclined surface 21 is to allow the light reflection layer 55 to be inclin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ss 20 to the luminous layer 52. The light reflection layer 55 reflect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uminous layer 52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21, so that external light is reflected to the luminous layer 52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21.

이와 같은 상기 경사면(21)에 상기 광반사층(55)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야광층(52)이 발광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상기 야광층(52)에서 발광되는 광이 상기 광반사층(55)에 의해 반사되어 상대적으로 많은 광이 외부로 넓게 퍼진 상태로 조사되고, 그에 따라 상기 야광층(52)에 의한 계단의 야광성 및 발광성이 현저히 증대된다.When the light reflection layer 55 is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21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uminous layer 52 emits ligh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uminous layer 52 is lighted as shown by an arrow shown in FIG. 5. The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ive layer 55 and irradiated with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light spread out to the outside, thereby the luminous properties and luminous properties of the stairs by the luminous layer 52 is significantly increased.

반대로 상기 야광층(52)이 축광을 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화살표와 반대 방향으로 외부의 빛이 상기 광반사층(55)에 의해 반사되어 상대적으로 많은 광이 상기 야광층(52)으로 조사되고, 그에 따라 상기 야광층(52)의 축광이 보다 원활하면서 상대적으로 많이 이루어지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luminous layer 52 emits light, external light is reflected by the light reflection layer 55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rrow shown in FIG. 5, so that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light is irradiated to the luminous layer 52. As a result, the luminous flux of the luminous layer 52 is more smooth and relatively large.

상기 야광부(50)는 상기 광반사층(55)의 상면에 상기 투명한 가열경화성 수지를 도포한 후에 가열 경화시켜 형성되는 보조 투명층(56)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보조 투명층(56)은 상기 광반사층(55)이 외부 환경이나 외력에 의해 손상되거나 벗겨지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The luminous unit 50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transparent layer 56 formed by applying the transparent thermosetting resin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reflection layer 55 and then performing heat curing. The auxiliary transparent layer 56 serves to protect the light reflection layer 55 from being damaged or peeled off by an external environment or external force.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보조 투명층(56)은 상기 광반사층(55)의 전체를 둘러싸는 형태로 도포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auxiliary transparent layer 56 having such a role is applied and formed in the form of enclosing the entirety of the light reflection layer 55.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by appropriately modifying the above embodiments. 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limitations of the following claims.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계단 타일
10 : 판형부재
20 : 요홈
21 : 경사면
30 : 라운드면
40 : 돌턱
50 : 야광부
51 : 백색 바탕층 52 : 야광층
53 : 투명 보호층 54 : 볼록렌즈층
55 : 광반사층 56 : 보조 투명층
2 : 계단
1: stair tile
10: plate member
20: groove
21: slope
30: round face
40: stone jaw
50: luminous part
51: white base layer 52: luminous layer
53: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54: convex lens layer
55: light reflection layer 56: auxiliary transparent layer
2: staircase

Claims (5)

계단의 콘크리트 상면을 가릴 수 있도록 구비되는 직사각 판형의 판형부재(10)와, 상기 판형부재(10)의 선단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따라 형성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게 다수개로 형성되는 요홈(20)과, 상기 판형부재(10)의 선단에 형성되는 라운드면(30)과, 계단의 콘크리트 상면에 접착될 수 있도록 상기 판형부재(10)의 하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턱(40)을 포함하는 계단 타일에 있어서;
상기 요홈(20)은,
직사각형 입방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3 mm 내지 7 mm의 폭과 1.5 mm 내지 2 mm의 깊이를 가지며,
상기 계단 타일은, 상기 요홈(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야광부(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야광부(50)는,
상기 요홈(20)의 내부 하면에 백색의 유약을 0.2 mm 두께로 도포한 후에 건조시켜 형성되는 백색 바탕층(51)과,
상기 백색 바탕층(51)을 뒤덮도록 상기 백색 바탕층(51)의 상면에 유로퓸 이온을 활성화시킨 스트론튬알루마트를 원료로 하는 야광 유약을 0.6 mm 내지 1 mm 두께로 도포한 후에 건조시켜 형성되는 야광층(52)과,
상기 야광층(52)을 뒤덮어 보호하도록 상기 야광층(52)의 상면에 0.2 mm 두께로 투명한 가열경화성 수지를 도포한 후에 섭씨 200도 내지 300도로 가열하여 경화시켜 형성되는 투명 보호층(53)과,
상기 투명 보호층(53)의 상면에 상기 투명한 가열경화성 수지를 중앙부위가 볼록하도록 도포한 후에 가열 경화시켜 형성되고 상기 야광층(52)의 발광을 확대시키는 볼록렌즈층(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광부를 가지는 계단 타일.
Rectangular plate-shaped plate member 10 provided to cover the concrete upper surface of the staircase, and the groove 20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top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plate member 10 and formed in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nd a round surface 30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plate member 10 and a plurality of stone projections 4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e member 10 to be adhered to the concrete upper surface of the stairs. For tiles;
The groove 20 is,
Formed into a rectangular cuboid shape, having a width of 3 mm to 7 mm and a depth of 1.5 mm to 2 mm,
The staircase tile, the luminous unit 50 formed in the groove 20; More,
The luminous unit 50,
A white base layer 51 formed by applying a white glaze to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groove 20 to a thickness of 0.2 mm and then drying it;
The luminous glaze formed by applying a luminous glaze made of strontium aluminate with europium ions activ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hite base layer 51 to a thickness of 0.6 mm to 1 mm to cover the white base layer 51 and then drying it. Layer 52,
A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53 formed by applying a transparent thermosetting resin having a thickness of 0.2 mm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uminous layer 52 to cover and protect the luminous layer 52, and then heating and curing at 200 to 300 degrees Celsius; ,
The convex lens layer 54 is formed by applying the transparent thermosetting resi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53 so that the central portion is convex, and then heat-curing and expanding the light emission of the luminous layer 52.
Stair tile having a luminous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렌즈층(54)은,
상기 투명 보호층(53)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광부를 가지는 계단 타일.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vex lens layer 54 is,
Stair tile having a luminous uni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tegral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5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20)은,
상기 요홈(20)의 내부 양측면에 상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호 대칭되는 경사면(2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야광부(50)는,
상기 야광층(52)의 발광이 상기 경사면(21)을 통해 외부로 반사되면서 외부의 광이 상기 경사면(21)을 통해 상기 야광층(52)으로 반사되도록 상기 경사면(21)에 광반사 도료를 도포한 후에 건조시켜 형성되는 광반사층(5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광부를 가지는 계단 타일.
The method of claim 1,
The groove 20 is,
It further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21 which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upper side on both inner side surfaces of the groove 20 and symmetric with each other,
The luminous unit 50,
A light reflecting paint is applied to the inclined surface 21 such that light emitted from the luminous layer 52 is reflec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21, and external light is reflected to the luminous layer 52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21. A staircase tile having a luminous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light reflection layer 55 formed by drying after coat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야광부(50)는,
상기 광반사층(55)의 상면에 상기 투명한 가열경화성 수지를 도포한 후에 가열 경화시켜 형성되는 보조 투명층(5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광부를 가지는 계단 타일.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luminous unit 50,
After applying the transparent thermosetting resin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reflection layer 55, the auxiliary transparent layer 56 formed by heat curing,
Stair tile having a luminous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KR1020110043995A 2011-05-11 2011-05-11 A stairway tile with a luminous part KR1010870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995A KR101087067B1 (en) 2011-05-11 2011-05-11 A stairway tile with a luminous p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995A KR101087067B1 (en) 2011-05-11 2011-05-11 A stairway tile with a luminous par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7067B1 true KR101087067B1 (en) 2011-11-25

Family

ID=45398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3995A KR101087067B1 (en) 2011-05-11 2011-05-11 A stairway tile with a luminous pa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706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880Y1 (en) * 2015-09-22 2016-03-16 주식회사 제이에스컴 Stairs display for displaying impaired
KR102540696B1 (en) * 2022-09-17 2023-06-20 주식회사 한도펀칭 Footing board for wor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4689B1 (en) * 2005-03-02 2005-10-31 정기환 A Tile For Stairway And Manufactur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4689B1 (en) * 2005-03-02 2005-10-31 정기환 A Tile For Stairway And Manufacturng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880Y1 (en) * 2015-09-22 2016-03-16 주식회사 제이에스컴 Stairs display for displaying impaired
KR102540696B1 (en) * 2022-09-17 2023-06-20 주식회사 한도펀칭 Footing board for wor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51949B (en) Luminous ceramic glazed til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8192829B2 (en) Cast photoluminescent devices and photoluminescent inserts for substrates
ES2264376B2 (en) GLASS WALL COATING.
KR101087067B1 (en) A stairway tile with a luminous part
US20070117496A1 (en) Method for preparing decorative elements
CA3000585A1 (en) Illuminated ceramic tile and production method
US20010021436A1 (en) Artificial stone molded product
RU162929U1 (en) Luminous Tile
CN203034740U (en) Luminescent glaze floor
KR20060122398A (en) Guide indicating plate using luminescent materials and method for manuafacturing therof
KR100348524B1 (en) Transparent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
JP2008169679A (en) Diffused reflection phosphorescent tile
RU2247139C2 (en) Artificial stone and is structure
PT1426175E (en) BUILDING BRICK
KR102151114B1 (en) Scagliola luminous induction sig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873185B1 (en) Finishing material for construction using phosporescen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CN113047566A (en) Anti-skid ceramic tile
KR100977087B1 (en) Led lamp and non-slip which uses this
JP2002167943A (en) Luminous wall and floor material for disaster measures
CN216157040U (en) Anti-skidding ceramic tile with contrary reflective light
CN217680247U (en) Novel anti-skid and wear-resistant ceramic tile
KR20200001051U (en) New type plate made by baking using low-temperature porcelain glaze and glass
KR20030082673A (en) Noctilucence ornament tile
CN202209029U (en) Light-emitting floor tile
AU779665B2 (en) Formed artificial st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