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5407B1 - 벌어지는 형태로 설치되는 에프알피판 긴장재용 정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벌어지는 형태로 설치되는 에프알피판 긴장재용 정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5407B1
KR101085407B1 KR1020080125110A KR20080125110A KR101085407B1 KR 101085407 B1 KR101085407 B1 KR 101085407B1 KR 1020080125110 A KR1020080125110 A KR 1020080125110A KR 20080125110 A KR20080125110 A KR 20080125110A KR 101085407 B1 KR101085407 B1 KR 101085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p
frp plate
fixing
tension member
plate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5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6693A (ko
Inventor
박영환
박종섭
정우태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25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5407B1/ko
Publication of KR20100066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6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085Tensile members made of fiber reinforced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04C5/125Anchoring devices the tensile members are profiled to ensure the anchorage, e.g. when provided with screw-thread, bulges, corrug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04C5/127The tensile members being made of fiber reinforced pla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2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parts deformable to grip the cable or cables; Fastening means which engage a sleeve or the like fixed on the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FRP판 긴장재용 정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정착장치의 길이를 짧게 구성하여도 충분한 정착력을 확보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을 줄이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FRP판 긴장재용 정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FRP판 긴장재용 정착장치는, 초입의 외면에 FRP 쉬트형태의 보강재가 부착된 사각관 형태의 몸통틀; 상기 몸통틀의 양 단부를 마감하도록 형성된 단부캡;을 포함하는 정착용몰드; 적층되어 정착용 몰드 내부에 몰드 길이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도록 하되 정착용 몰드 초입부터 단부로 갈수록 서로 벌어지면서 연장 배치시켜 쐐기형으로 배치된 FRP판 긴장재; 및 상기 정착용 몰드 내부에 긴장된 FRP판 긴장재와 접착되도록 충전된 충전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콘크리트, 섬유보강재, 정착, 쐐기

Description

벌어지는 형태로 설치되는 에프알피판 긴장재용 정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ANCHORAGE APPRATUS FOR FIBER REINFORCED POLYMER PLATES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본 발명은 에프알피판 긴장재용 정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부재보강을 위하여 설치되는 FRP판 긴장재 의 단부에 정착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FRP판 긴장재와 충전재간의 점착력 증대를 통하여 FRP판 긴장재의 부착능력 및 정착능력을 증가시켜 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을 줄이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FRP판 긴장재용 정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콘크리트 구조물 등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때 사용되는 긴장재의 재료로는 PS 강연선이 주축을 이루고 있으나, 최근 탄소섬유재나 유리섬유재와 같은 신소재를 재료로 한 FRP 긴장재(섬유강화폴리머(FIBER REINFORCED POLYMER) 긴장재)를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법이 연구, 개발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는 탄소섬유보강복합재료(CFRP)를 이용한 FRP 긴장재가 있다.
이러한 FRP 긴장재를 이용하여 긴장력을 도입하고자 할 경우에는, 긴장력 도 입이 필요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FRP 긴장재를 긴장후 정착시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소정의 긴장력을 도입하게 된다.
이때 도 1a와 같이 상기 종래 PC강연선의 정착시에 사용되어 온 쐐기형 정착장치를 그대로 FRP 긴장재용 정착장치로 사용할 경우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즉, FRP 긴장재는 1방향 인장부재로서 길이방향으로는 높은 인장강도를 가지는 반면에 국부응력, 전단응력에는 취약하기 때문에,
상기 종래 쐐기형 정착장치를 구성하는 쐐기의 조임력에 의해 FRP 긴장재의 단면이 쉽게 손상되고, 이에 긴장력을 증대시키면 증대시킬수록 FRP 긴장재의 단면손상은 더욱 증가하게 되어 최종적으로는 FRP 긴장재의 최대 인장강도에 이르기도 전에 FRP 긴장재가 파괴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어 그 적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FRP 긴장재의 경우에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정착용 몰드(10)에 원형 봉 형태의 FRP 긴장재(20)를 삽입하고 그 사이 공간에 접착용 충전재(30, 미도시)를 채워 넣어 FRP 긴장재(20)에 긴장력을 도입할 수 있는 접착형 정착장치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상기 접착형 정착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접착형 정착장치는 FRP 긴장재(20), FRP 긴장재가 삽입되도록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정착용 몰드(10), 정착용 몰드 양 단부에 형성된 패킹재(40) 및 정착용 몰드 내부에 형성되는 충전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접착형 정착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은 FRP 긴장재의 정착이 FRP 긴장재(20)와 정착용 몰드(10) 사이의 접착력, 특히 FRP 긴장재(20)와 충전재(30) 사이의 접착력에 의존하게 되므로,
긴장력이 접착력을 초과하게 되면 FRP 긴장재가 정착장치로부터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큰 접착력을 도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정착용 몰드의 길이를 길게 해야만 하나, 이는 이러한 정착장치의 사용에 제한을 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도 1c 및 도 1d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A)에 설치된 판재(쉬트) 형태의 FRP판 긴장재(50)가 이용되기도 하며,
이러한 판재(쉬트) 형태의 FRP 긴장재와 함께 사용되는 정착용 몰드(10)는 장방형(사각관) 관형태로 구성되며, 그 양 단부에는 정착용 몰드(10) 양 단부에 형성된 패킹재역할을 하는 단부캡(40, 60) 및 정착용 몰드 내부에 형성되는 충전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판재(쉬트) 형태의 FRP판 긴장재(50)를 사용할 경우 2개의 판재(쉬트) 형태의 FRP 긴장재를 적층하여 설치할 수 있어 보강효과를 크게 얻을 수 있는 반면 그 차지하는 부피가 작아 경우에 따라서는 원형 봉 형태의 FRP 긴장재(20)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그 활용성이 커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통상은 판재(쉬트) 형태의 FRP 긴장재를 서로 상하로 겹쳐지도록 적층시킨 FRP판 긴장재(50)를 정착용 몰드(10)의 내부를 관통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시켜 직선 배치시킨 상태에서 정착용 몰드(10)의 내부에 충전재(30)을 충전시키는 방 식으로 구성시키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도 역시 FRP판 긴장재(50)의 정착이 FRP판 긴장재(50)와 정착용 몰드(10) 사이의 접착력, 특히 FRP판 긴장재(50)와 충전재(30) 사이의 접착력에 의존하게 되므로, 큰 긴장력을 도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정착용 몰드의 길이를 길게 해야만 하나, 이럴 경우 그 차지하는 공간이 커질 수 밖에 없어 정착장치의 사용에 제한을 가하게 되는 문제점을 그대로 가질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정착용 몰드의 길이를 축소하거나 동일하게 유지하더라도 FRP 긴장재와 충전재간의 충분한 정착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효율적인 정착능력을 확보할 수 있는 FRP판 긴장재용 정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다수 섬유강화폴리머판 긴장재용 쐐기형 정착장치는,
충전재(300)가 충전된 정착용 몰드(100)내부에 적층된 FRP판 긴장재(200)를 몰드 길이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도록 하되 몰드초입부터 몰드 단부로 갈수록 서로 벌어지도록 하여 FRP판 긴장재(200)가 쐐기형으로 배치되도록 하였다.
이로서, 정착용 몰드(100)의 길이변화없이 쐐기형으로 갈라져 벌어진 FRP 판 긴장재(200)와 충전재(300)와의 접촉면적이 커져 FRP 긴장재와 충전재간의 충분한 정착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나아가, 상기 쐐기형을 갈라져 벌어진 FRP 긴장재 자체가 충전재 경화 시 쐐기 작용을 함으로서 FRP 긴장재의 정착능력이 배가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쐐기작용을 하는 FRP 긴장재에 의하여 정착용 몰드의 초입부분에 국적인 응력이 집중될 수 있을을 고려하여 상기 정착용 몰드의 초입의 외측면에서는 FRP 쉬트형태의 보강재(500)가 더 부착되도록 하여 정착용 몰드의 내구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충전재 충전 시 벌어지도록 배치된 FRP 긴장재의 간격유지를 위하여 FRP판 내측사이에 지지대를 포함하는 간격유지구(400)가 더 설치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다수 FRP판 긴장재용 쐐기형 정착장치에 의하면, 2개층 이상이 적층되어 이루어진 FRP판 긴장재을 이용함에 있어 그 배치형태를 바꾸는 것만으로도 FRP 긴장재와 충전재간의 충분한 정착력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인 정착력 확보가 가능하게 되며,
정착용 몰드의 길이를 더 크게 하는 등의 불필요한 자재소모를 요구하지 않으므로 경제적인 다수 섬유강화폴리머판 긴장재용 쐐기형 정착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이하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 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과 도 3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벌어지는 형태로 설치되는 에프알피판 긴장재용 정착장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정착용 몰드(100)는 길이방향으로 중공부를 갖는 슬리브형태로서 각관형상으로 사용하고 일반적으로 강재로 이루어지게 되며, 사각관 형태의 몸통틀(110); 및 상기 몸통틀(110)의 단부를 마감하도록 형성된 단부캡(120);을 포함하여 제작하게 된다.
이때, 정착용 몰드(100)의 길이에 따라 그 내부에 설치되는 FRP판 긴장재(200)와 충전재(300)와의 접착력이 비례하는 관계에 있으므로 그 길이는 소요되는 긴장력에 따라 적의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정착용 몰드(100)의 양 단부에는 FRP판 긴장재(2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된 마개 형태를 가져 패킹재 역할을 하는 단부캡(120,130)이 설치되는데 기본적으로 이들은 충전재(300)가 정착용 몰드(100)의 내부에 충전될 때,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단부캡(120,130)은 캡 형태가 아니라 하더라도 도 3과 같이 충전재(300)가 흘러나오지 않는 기능을 가진 것이라면 다른 형상, 모양이어도 상관은 없으며, 정착용 몰드와 일체로 형성시켜도 상관은 없다.
예컨대, 도 4와 같이 정착용 몰드(100) 전방에만 단부캡(120)을 설치하고, 충전재(300)를 충전시킨 후, 양생시키게 되면, 굳이 후방의 단부캡(130)을 사용하 지 않아도 상관은 없을 것이다.
상기 충전재(300)는 정착용 몰드(100)의 내부에 주입되어 밀실하게 채워지는 것으로서 일종의 접착제의 역할을 하며 몰탈을 이용하게 된다.
즉, FRP판 긴장재(200)로부터 전달되는 긴장력은 정착용 몰드(100)를 통하여 최종 콘크리트 구조물(A)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 때 FRP 긴장재(200)와 정착용 몰드(100) 사이에는 충전재(300)를 매개로 하여 FRP판 긴장재(200)와 충전재(300) 사이의 접착력 및 충전재(300)와 정착용 몰드(100) 사이의 접착력에 의해 긴장력이 최종 콘크리트 구조물(A)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게 된다.
이 때, 도 1b와 같은 종래의 직선형 배치에 의할 경우 오히려 FRP판 긴장재(200)와 충전재(300) 사이의 접촉면적보다는 충전재(300)와 정착용 몰드(100) 사이의 접촉 면적이 더 크기 때문에 FRP판 긴장재(200)와 충전재(300) 사이의 접착력은 FRP판 긴장재(200)와 정착용 몰드(100) 사이의 정착 성능을 좌우하게 된다.
본 발명은 바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FRP판 긴장재(200)와 충전재(300) 사이의 접착력을 증진시키는 구성을 가지게 되며, 이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FRP판 긴장재(200)를 벌어지는 형태로 설치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상기 정착용 몰드(100) 내부로 삽입되어 긴장 후, 정착되는 FRP판 긴장재(200)는 인장강도가 우수하고 긴장력 도입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인장력이 감소하는 릴렉세이션(Relaxation)과 부식의 위험이 적은 탄소섬유재 또는 유리섬유재를 사용하여 쉬트, 판재의 형태로 구성된 것을 이용하되 대표적인 예로는 탄소섬유 보강복합재료(CFRP)를 이용한 FRP판 긴장재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FRP판 긴장재는 적어도 2개 이상의 FRP판 긴장재가 적층된 것을 이용하되, 각각의 FRP판 긴장재는 서로 벌어져 분리될 수 있도록 일체화되도록 하지는 않는다.
물론, 4개의 FRP판 긴장재를 이용하되 각각 2개의 FRP판 긴장재가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적층된 것을 이용해도 상관은 없다.
이때, 상기 FRP판 긴장재(200)는 충전재(300)와의 접착면적FRP판 긴장재이 커지도록 배치하되 이러한 배치형태에 의하여 FRP판 긴장재(200)가 경화된 충전재(300)에 대하여 쐐기 작용을 가질 수 있도록
정착용 몰드(100)의 초입에서 FRP판 긴장재(200)가 서로 갈라져 정착용 몰드(100)의 단부까지 갈수록 점진적으로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시키게 된다.
이로서 적층된 FRP판 긴장재(200)가 충전재(300)와 직선형 배치에 의해서는 그 접촉면적이 적층된 1개의 FRP판 긴장재(200)의 상하면에 해당되지만,
본 발명에 의하여 벌어진 FRP판 긴장재(200)의 접촉면적은 각 FRP판 긴장재(200)의 상하면이 되어 결국 FRP판 긴장재(200)가 충전재(300)와의 접촉면적이 커져 충전재와의 접착력이 배가됨을 알 수 있다.
이때 각 FRP판 긴장재(200)의 벌어지는 각도는 정착용 몰드의 길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나, 정착용 몰드(100)의 내부에서 최대로 벌어지게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2 및 도 4와 같이 FRP판 긴장재(200)는 어느 정도 벌어지느냐에 따 라 달라질 수 있지만 탄성복원력이 존재하므로 그 벌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대를 포함하는 간격유지구(400)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간격유지구(400)는 정착용 몰드(100)의 단부측에 배치하도록 함이 그 지지력 확보를 위하여 바람직하며, 상기 간격유지구(400)는 하부판(410)과 하부판 중앙 상부면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수직봉(420)으로 구성시킬 수 있을 것이다.
벌어진 FRP판 긴장재(200)의 정착작업은 벌어진 상태의 FRP판 긴장재(200)를 배치한 후, 정착용 몰드(100) 내부에 충전재(300:300a,300b,300c)를 채워 양생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FRP판 긴장재(200)의 정착장치에 의한 작용은 다음과 같다.
FRP판 긴장재(200)는 다수가 적층되도록 하되, 정착용 몰드(100) 내부에서 벌어진 상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FRP판 긴장재(200)와 충전재(300)과의 접촉면적이 커지게 되므로 그 접촉면적이 커짐에 따른 마찰력 증가로 인하여 FRP판 긴장재(200)는 충전재(300)간의 충분한 정착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효율적인 정착능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재(300)가 3부분으로 구분되어 형성되고 있음을 도 3,4와 같이 알 수 있는데, 이러한 충전재와 FRP판 긴장재(200)의 작용을 도 5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먼저, FRP판 긴장재(200)가 긴장될 때, 긴장력(T)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FRP판 긴장재(20)에 긴장력 작용시 FRP판 긴장재(200)가 쐐기 형태로 배치되 어 일종의 콘 형상로서 FRP판 긴장재(200)의 중심축 방향으로 조임력(Pv)이 작용하게 되어 FRP판 긴장재(200)와 충전재(300) 사이의 접착력을 보완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FRP판 긴장재(200)가 쐐기 형태로 배치로 인하여, 긴장력(T)에 의해 발생하는 조임력(Pv)은 긴장력(T)에 대한 반력으로 작용하는 수직분력으로서, 긴장력(T)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도 5와 같이,
Pv(조임력) = T(긴장력) / tan(a)가 된다.
여기서,Pv = 조임력
T = 긴장력
a = 꼭지점 각도
즉, 상기 a(꼭지점 각도)과 T(긴장력)이 커지면 커질수록 Pv(조임력)도 커지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에 정착용 몰드(100)의 직경을 크게 하되 그 길이를 짧게 조정하게 되면 조임력은 긴장력의 수배에 이르게 될 수 있어, 구조상 긴장력이 작용하는 방향의 정착용 몰드 일단부(이하, 내측 단부) 측에 조임력이 더욱 집중되게 되며, 이러한 조임력은 FRP판 긴장재(200)와 충전재와의 점착력을 증진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동일한 긴장력을 도입하다 하더라도 조임력을 이용할 경우 종래보다 정착용 몰드(100)의 길이가 작도록 제작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단지, 과도한 조임력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정착용 몰드(100)를 각관 형 태로 하되, 상기 조임력이 발생되는 부위를 보강재(500)으로 더 보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하여 조임력은 과도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보강재(500)에 의하여 정착용 몰드(100)가 보강된다면, 이러한 조임력은 FRP판 긴장재(20)의 정착 성능을 더 증진시키는 작용(FRP판 긴장재를 조여주기 때문에)을 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으며, 동일한 긴장력 도입이라면 조임력에 의하여 정착용 몰드의 길이가 길어져 점착력을 크게 확보할 필요성을 낮추게 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의한 정착장치를 시공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먼저, 정착장치가 설치되는 콘크리트 구조물(A)에 FRP판 긴장재(200)의 단부가 노출되도록 설치하게 된다.
이는 도 3과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A) 내부를 관통하여 그 표면으로 단부가 노출되도록 설치할 수 있으나, 콘크리트 구조물(A) 표면에 부착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의한 정착장치를 준비하게 되는데,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상기 정착장치는
초입의 외면에 FRP 쉬트형태의 보강재(500)가 부착된 사각관 형태의 몸통틀(110); 상기 몸통틀의 양 단부를 마감하도록 형성된 단부캡(120);을 포함하는 정착용몰드(100)를 먼저 구비하게 된다.
이에 단부가 노출된 FRP판 긴장재(200)가 정착용몰드(100)의 단부캡(120)을 관통하여 상기 FRP판 긴장재(200)가 정착용 몰드(100)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배 치 되도록 한다.
즉, 상기 FRP판 긴장재(200)는 정착용 몰드(100) 초입부터 단부로 갈수록 서로 벌어지면서 연장 배치시켜 쐐기형으로 배치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벌어지도록 배치되는 FRP판 긴장재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벌어진 FRP판 긴장재 내측 사이에 하부판(410)과 하부판 중앙 상부면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수직봉(420)으로 구성되는 간격유지구(400)를 이용하게 된다.
이에 상기 FRP판 긴장재(200)를 별도의 유압잭을 이용하여 긴장시켜 긴장력을 도입시키게 된다. 이러한 긴장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충전재(300)를 정착용 몰드(100)에 충전시키게 된다.
즉 정착용 몰드 내부에 충전재(300)를 충전시키면, 정착용 몰드는 단부캡(120)에 의하여 마감되며, 최종 몰탈인 충전재(300)가 양생되면 FRP판 긴장재용 정착장치를 최종 시공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도 1a, 도 1b, 도 1c 및 도 1d는 종래 기술에 의한 쐐기형 정착장치, FRP판 긴장재의 정착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정착장치의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정착장치의 다른 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작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정착용 몰드 110:몸통틀
120: 단부캡 200:FRP판 긴장재
300,300a,300b,300c:충재재 400:간격유지구
500:보강재

Claims (7)

  1. 사각관 형태의 몸통틀(110); 상기 몸통틀의 양 단부를 마감하도록 형성된 단부캡(120);을 포함하되 상기 단부캡을 관통하여 FRP판 긴장재가 정착용 몰드내부에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배치되는 정착용 몰드(100);
    적층되어 정착용 몰드(100) 내부에 몰드 길이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도록 하되 정착용 몰드 초입부터 단부로 갈수록 서로 벌어지면서 연장 배치시켜 쐐기형으로 배치된 FRP판 긴장재(200); 및
    상기 정착용 몰드(100) 내부 전체에 긴장된 FRP판 긴장재와 접착되도록 충전된 충전재(300);를 포함하며,
    상기 정착용 몰드 초입부위의 외면에는 FRP 쉬트형태의 보강재(400)가 부착되도록 하고,
    상기 FRP판 긴장재의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벌어진 FRP판 긴장재 내측사이에 하부판(410)과 하부판 중앙 상부면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수직봉(420)을 포함하는 간격유지구(400)가 단부캡(220)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RP판 긴장재용 정착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구조물에 FRP판 긴장재(200)의 단부가 노출되도록 설치하고,
    사각관 형태의 몸통틀(110); 상기 몸통틀의 양 단부를 마감하도록 형성된 단부캡(120);을 포함하되, 초입 부위의 외면에는 FRP 쉬트형태의 보강재(400)가 부착되고, FRP판 긴장재 내측사이에 하부판(410)과 하부판 중앙 상부면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수직봉(420)을 포함하는 간격유지구(400)가 단부캡(120)에 인접하도록 설치된 정착용 몰드(100)에 상기 FRP판 긴장재(200)가 단부캡을 관통하여 정착용 몰드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배치 되도록 하되, 상기 FRP판 긴장재(200)는 정착용 몰드 초입부터 단부로 갈수록 서로 벌어지면서 연장 배치시켜 쐐기형으로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FRP판 긴장재(200)를 긴장시키고,
    상기 정착용 몰드(100) 내부 전체에 긴장된 FRP판 긴장재와 접착되도록 충전재(300)를 충전시킨 후, 양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FRP판 긴장재용 정착장치 시공방법.
  7. 삭제
KR1020080125110A 2008-12-10 2008-12-10 벌어지는 형태로 설치되는 에프알피판 긴장재용 정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085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110A KR101085407B1 (ko) 2008-12-10 2008-12-10 벌어지는 형태로 설치되는 에프알피판 긴장재용 정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110A KR101085407B1 (ko) 2008-12-10 2008-12-10 벌어지는 형태로 설치되는 에프알피판 긴장재용 정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693A KR20100066693A (ko) 2010-06-18
KR101085407B1 true KR101085407B1 (ko) 2011-11-22

Family

ID=42365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5110A KR101085407B1 (ko) 2008-12-10 2008-12-10 벌어지는 형태로 설치되는 에프알피판 긴장재용 정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54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42066B (zh) * 2019-06-17 2020-12-11 哈尔滨工业大学 用于纤维增强复合材料杆体的锚具系统及其锚固方法
CN115012300B (zh) * 2022-06-18 2024-08-06 哈尔滨工业大学 一种用于frp筋的可重复用挤压-摩擦型锚固系统及其锚固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10613A1 (de) * 1997-08-26 1999-03-04 Stresshead Ag Verstärkungsvorrichtung für tragstruktur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10613A1 (de) * 1997-08-26 1999-03-04 Stresshead Ag Verstärkungsvorrichtung für tragstruktur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693A (ko) 201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1437B1 (ko) 지반 앵커리지
AU2016204282B2 (en) Device For Introducing A Force Into Tension Members Made Of Fiber-Reinforced Plastic Flat Strip Lamella
CN102002911B (zh) 碳纤维索股内套管锥形粘结型锚具
CN110469056B (zh) 一种用于纤维增强复合材料拉索的组合式锚具及制备方法
KR20130038819A (ko) 밀봉 장치
US20140360129A1 (en) Device for introducing a force into tension members made of fiber-reinforced flat-strip plastic lamellas
US948197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plicing pile segments
AU2010336022A1 (en) An anchorage system
JP2022064034A (ja) 緊張材の定着構造および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製作方法
KR101085407B1 (ko) 벌어지는 형태로 설치되는 에프알피판 긴장재용 정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2002061282A (ja) 柱状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部材
ES2727140T3 (es) Un sistema de refuerzo y un método para reforzar una estructura con un tendón
KR20200126671A (ko) 이격 보강부재 및 외부 보강강판을 활용한 콘크리트 기둥 구조물의 내진, 내화, 보수, 보강공법
US8882395B2 (en) Tension dispersion-type complex anchor body with a removable tension memb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KR100951405B1 (ko) 에프알피 긴장재용 다층콘형 정착장치
JP2013133593A (ja) アーチカルバートおよびその組立施工方法
NO314270B1 (no) Forankringsmontasje for forspente betongkonstruksjoner
KR101139393B1 (ko) 에프알피 케이블용 부착형 정착장치 및 에프알피 케이블용 부착형 정착장치 설치방법
KR101185156B1 (ko) 복합 작용 하중의 그라운드 앵커
JP4995332B1 (ja) 耐震補強土構造物
CN101215820A (zh) 装配结构的抗拉抗压构件及其制作方法
KR200446190Y1 (ko) 지압마찰형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
CN213449605U (zh) 一种可双张拉预应力碳纤维板的锚具系统
CN220815050U (zh) 一种弓型输电塔角钢装配式加固装置
JPH09177034A (ja) 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補強方法及び補強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