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5236B1 - 공명음을 이용한 발전소 보일러의 내부 온도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공명음을 이용한 발전소 보일러의 내부 온도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5236B1
KR101085236B1 KR1020110049787A KR20110049787A KR101085236B1 KR 101085236 B1 KR101085236 B1 KR 101085236B1 KR 1020110049787 A KR1020110049787 A KR 1020110049787A KR 20110049787 A KR20110049787 A KR 20110049787A KR 101085236 B1 KR101085236 B1 KR 101085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nce sound
boiler
sound
coupled
reso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9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만
Original Assignee
(주)파워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워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파워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10049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52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1/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 G01K11/22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using measurement of acoustic effects
    • G01K11/24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using measurement of acoustic effects of the velocity of propagation of soun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3/00Thermometers giving results other than momentary value of temperature
    • G01K3/02Thermometers giving results other than momentary value of temperature giving means values; giving integrated values
    • G01K3/06Thermometers giving results other than momentary value of temperature giving means values; giving integrated values in respect of spa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8Protective devices, e.g. cas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일러의 내부로 공명음을 발생시키고 공명음의 속도를 감지하여 보일러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공명음을 이용한 발전소 보일러의 내부 온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일러; 보일러의 내부로 소리를 발생하도록 보일러에 결합되며 소리를 발생하고 보일러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감지하는 복수의 공명음 발생기; 어느 하나의 공명음 발생기에서 다른 하나의 공명음 발생기로 전달되는 소리의 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속도에 의해 공명음 발생기 사이의 온도를 연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하는 공명음을 이용한 발전소 보일러의 내부 온도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명음을 이용한 발전소 보일러의 내부 온도 측정장치{TEMPERATURE MEASUREMENT DEVICE OF POWER PLANT BOILER USING RESONANCE NOISE}
본 발명은 공명음을 이용한 발전소 보일러의 내부 온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일러의 내부로 공명음을 발생시키고 공명음의 속도를 감지하여 보일러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공명음을 이용한 발전소 보일러의 내부 온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건설되는 화력 발전소에서 많이 채택되고 있는 순환 유동층(Fluidized Bed) 연소 기술은 석탄을 적당한 크기로 분쇄하여 만든 석탄 입자들을 적정속도의 공기를 불어넣어 부유 유동층(Suspended FluidIzed Bed)상태로 만들어 보일러로 공급하여 연소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순환 유동층 연소는 고체 입자에 의한 직접 열전달로 열전달 효율이 매우 높고 노 내의 연소온도는 미분탄 연소방식의 노내 온도보다 훨씬 적어 수관 및 과열기관 등의 고온부식, 스케일 등의 설비 파손이 적은 장점이 있다.
한편, 화력 발전소의 보일러는 열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미분기(Pulverizer)에서 분쇄된 미분탄이 통상 4개의 미분탄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고, 이로 인하여 화염이 중앙부에서 발생하게 된다. 이때, 미분탄 공급은 블로어를 이용하여 미분탄 공급관으로 공기를 공급하고, 이 공기의 흐름에 의해 미분탄이 보일러로 공급된다.
또한, 통상의 미분탄 연소방식의 보일러는 버너의 화염이 보일러의 중앙부에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버너의 외부에 마련되는 열교환 매체와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버너에 미분탄 공급파이프가 등 간격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미분탄 공급파이프에는 공기에 의해 공급되는 미분탄의 콜-플로어(Coal Flow) 정보(미분탄 공급속도, 미분탄 입자크기, 미분탄 공급파이프 상태 등)가 실시간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콜-플로어 감지장치가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미분탄 연소방식의 보일러는 콜-플로어 정보를 통해 화염의 위치를 파악하거나 또는 별도의 레이저 장치를 이용하여 보일러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미분탄 연소방식의 보일러는 콜-플로어 정보로만 화염의 위치를 파악하므로, 화염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보일러 내부에서 발생되는 분진으로 인하여 레이저의 수발신율이 저하되어 화염의 온도를 측정하는데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보일러의 내부로 공명음을 발생하고 공명음의 속도를 감지하여 보일러 화염의 분포를 측정하므로, 분진의 영향을 최소화 하면서 화염의 온도 분포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발전소 보일러의 내부 온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보일러; 상기 보일러의 내부로 소리를 발생하도록 상기 보일러에 결합되며 소리를 발생하고 상기 보일러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감지하는 복수의 공명음 발생기; 어느 하나의 상기 공명음 발생기에서 다른 하나의 상기 공명음 발생기로 전달되는 소리의 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속도에 의해 상기 공명음 발생기 사이의 온도를 연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하는 공명음을 이용한 발전소 보일러의 내부 온도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공명음 발생기는 상기 보일러의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보일러에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보일러는 사각 케이스 형태를 가지며, 상기 공명음 발생기는 상기 보일러의 한 면에 2개씩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공명음 발생기는 상기 보일러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보일러에 결합되는 플랜지부; 상기 설치공간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플랜지부에 결합되며, 공명음을 증폭하는 공명음 증폭부; 및 상기 공명음 증폭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공명음 증폭부에 결합되며, 공압을 통해 공명음을 생성하는 공명음 발생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보일러의 외면에 접합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접합되며, 상기 공명음 증폭부가 내부에 설치되는 관 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와 이격되도록 상기 관 부재에 접합되며, 상기 공명음 증폭부가 결합되는 고정플랜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공명음 증폭부는 상기 설치공간부의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보일러의 내측으로 갈수록 내부가 내경이 넓어지는 증폭관 부재; 및 일측에 상기 증폭관 부재가 접합되고 타측에 상기 공명음 발생부가 결합되도록 상기 플랜지부와 결합되며, 상기 공명음 발생부를 회전시키는 커버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증폭관 부재와 접합되어 상기 플랜지부에 결합되는 제1 커버; 및 상기 제1 커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공명음 발생부가 결합되는 제2 커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공명음 발생부는 내부에 일면이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공명음 증폭부와 결합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공간부로 공압을 발생시키는 공압 발생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에 설치되어 다른 하나의 상기 공명음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공명음을 감지하는 소리감지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공명음 발생기는 상기 공명음 증폭부와 상기 공명음 발생부 내부의 이물질을 상기 보일러 내부로 제거하도록 상기 공명음 발생부에 구비되는 이물질 제거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공명음 발생부에 형성되며, 에어 분사홀이 형성되는 커플러; 및 상기 에어 분사홀로 압축공기가 공급되도록 상기 커플러에 에어 공급부재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공명음을 이용한 보일러 내부의 온도 측정장치에 의하면, 보일러의 내부로 공명음을 발생하고 공명음의 속도를 감지하여 보일러 화염의 분포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명음을 이용한 보일러 내부의 온도 측정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명음 발생기가 보일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명음 발생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명음 발생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결합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명음을 이용한 발전소 보일러의 내부 온도 측정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력 발전소의 보일러(10)는 연료 공급라인(도시생략)을 통해 연료인 미분탄이 공급되면 점화되어 내부에 화염이 형성된다. 또한, 보일러(10)는 사각 케이스 형태를 가지며, 내부에 열매체가 순환되는 보일러 튜브(11)가 구비된다.
이러한, 보일러(10)는 화염이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연료 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연료의 양이 조절되며, 내부의 화염 온도가 공명음 발생기(100) 및 연산부(20)에 의해 측정된다.
이를 위하여, 공명음 발생기(100)는 보일러(10)에 2개 이상 설치되어 보일러(10)의 내부로 공명음을 발생하며, 어느 하나의 공명음 발생기(100)에서 발생되는 공명음을 감지하게 된다. 이러한, 공명음 발생기(100)는 보일러(10)에서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보일러(10)의 한 면에 각각 2개씩 8개가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보일러(10)에 8개의 공명음 발생기(100)가 설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공명음 발생기(100)의 수를 다 8개미만 또는 8개를 초과하여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보일러의 내부 온도 측정장치는 어느 하나의 공명음 발생기(100)에서 발생되어 다른 하나의 공명음 발생기(100)로 전달되는 공명음의 속도를 연산부(20)를 통해 측정하여 공명음 발생기(100) 사이의 온도를 검출하게 된다.
연산부(20)는 공명음 발생기(100) 사이의 거리, 어느 하나의 공명음 발생기(100)에서 다른 하나의 공명음 발생기(100)로 전달되는 공명음의 전달시간을 통해 공명음의 속도를 연산하게 된다. 이때, 보일러(10)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공명음의 속도는 온도가 높을수록 속도가 빨라지고, 온도가 낮을수록 속도가 늦어진다.
이와 같이, 연산부(20)에서 측정된 공명음의 속도를 이용하여 공명음 발생기(100) 사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보일러(10) 내부의 화염 분포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보일러(10) 내부의 화염 분포를 통해 상기 연료 공급라인으로 공급되는 연료의 양을 조절하여 보일러(10)의 화염 위치를 보일러(10)의 중앙부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료 공급라인은 보일러(10)의 사방에 설치되어 미분탄을 공급하게 된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보일러(10)에 복수개 설치되는 공명음 발생기(100)는 보일러(10)의 외벽을 관통하도록 보일러(10)에 결합되는 플랜지부(110)와, 플랜지부(110)에 결합되어 공명음을 증폭하는 공명음 증폭부(120)와, 공명음 증폭부(120)로 공명음을 발생하는 공명음 발생부(130)를 포함한다.
플랜지부(110)는 보일러(10)의 외벽에 접합되는 베이스부재(111)와, 보일러(10)의 내부로 관통되는 관 부재(113)와, 공명음 증폭부(120)가 결합되는 고정플랜지(115)를 포함한다.
베이스부재(111)는 판 형태를 가지며, 용접을 통해 보일러(10)의 외벽에 접합된다. 이러한, 베이스부재(111)는 중앙부로 관 부재(113)가 관통되며, 용접을 통해 관 부재(113)와 접합된다. 이때, 보일러(10)의 내부에는 관 부재(113)가 보일러(10) 및 보일러 튜브(11)에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13)가 구비된다. 고정부재(13)는 관 부재(113)의 외면을 감싸도록 세라믹 또는 콘크리트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관 부재(113)는 연결 튜브(15)에 접합되어 보일러 튜브(11)에 고정되고, 타단부에 고정플랜지(115)가 접합된다.
구체적으로, 플랜지부(110)는 관 부재(113)가 보일러(10)의 보일러 튜브(11)를 관통하도록 보일러(10)에 설치된다. 이때, 보일러(10)는 관 부재(113)가 보일러 튜브(11)를 관통하도록 2개의 보일러 튜브(11)가 일부 절단되고, 절단된 부위를 통해 관 부재(113)가 관통된다. 그리고 보일러 튜브(11)의 절단된 부위가 연결 튜브(15)에 의해 커버됨과 동시에 연결된다.
연결 튜브(15)는 관 부재(113)의 외면과 접촉되도록 중앙에 절곡부(15a)가 형성되고, 양단이 보일러 튜브(11)의 절단부위와 접합된다. 즉, 연결 튜브(15)는 관 부재(113)와 관 부재(113) 사이를 밀폐시킴과 동시에 관 부재(113)를 보일러 튜브(11)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로 인하여, 플랜지부(110)가 보일러(10)에 설치될 때 보일러 튜브(11)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음은 물론 관 부재(113)를 보일러(10)에 보다 견고하고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관 부재(113)는 보일러 튜브(11)를 관통하여 보일러(10)의 내부와 연통되며, 공명음 증폭부(120)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간부(113a)가 형성된다.
고정플랜지(115)는 베이스부재(111)와 이격되도록 관 부재(113)에 접합되며, 공명음 증폭부(120)가 볼트 및 너트에 의해 결합된다.
공명음 증폭부(120)는 관 부재(113)의 설치공간부(113a)로 삽입되는 증폭관 부재(121)와, 공명음 발생부(130)가 결합되는 커버부재(123)를 포함한다.
증폭관 부재(121)는 보일러의 내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넓어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증폭관 부재(121)는 일단부 외면이 관 부재(113)의 내면에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그 외경이 관 부재(113)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는 다른 공명음 발생기(100)에서 발생되는 공명음이 증폭관 부재(121)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증폭관 부재(121)는 타단부가 커버부재(123)와 결합된다.
커버부재(123)는 공명음 발생부(130)에 의해 증폭관 부재(121)가 밀폐 또는 개방되도록 공명음 발생부(13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커버부재(123)는 증폭관 부재(121)와 결합되는 제1 커버(123a)와, 제1 커버(123a)에 힌지 결합되는 제2 커버(123b)를 포함한다.
제1 커버(123a)는 중앙부에 증폭관 부재(121)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지지홈(123a')이 형성되고, 플랜지부(110)를 관통하는 볼트를 통해 플랜지부(110)와 결합된다. 또한, 제1 커버(123a)는 제1 커버(123a)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힌지축이 삽입되는 제1 힌지블록(125)이 형성된다.
제2 커버(123b)는 제1 힌지블록(125)에 힌지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힌지블록(127)이 형성되고, 중앙부에 공명음 발생부(130)가 결합된다. 이러한, 제2 커버(123b)는 공명음 발생부(1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볼트가 일체로 구비된다.
한편, 제1 커버(123a) 및 제2 커버(123b)는 결속부재(129)에 의해 밀폐된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된다. 결속부재(129)는 제2 커버(123b)에 구비되는 결속블록(129a)과, 결속블록(129a)에 체결되도록 제1 커버(123a)에 구비되는 체결고리부재(129b)를 포함한다.
이러한, 결속부재(129)는 결속블록(129a)과 체결고리부재(129b)의 체결을 통해 제2 커버(123b)를 제1 커버(123a)에 완전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공명음 발생부(130)는 증폭관 부재(121)와 연통되도록 공간부(131a)가 형성되는 가이드부재(131)와, 공간부(131a)에서 공명음이 발생되도록 공간부(131a)로 공압을 발생시키는 공압 발생부재(133) 및 증폭관 부재(121)를 통해 유입되는 소리를 감지하는 소리감지센서(135)를 포함한다.
가이드부재(131)는 공간부(131a)의 직경이 증폭관 부재(121)의 타단부 내경과 동일하도록 형성되며, 공간부(131a)가 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콘 형태를 가진다. 또한, 가이드부재(131)는 제2 커버(123b)에 결합되도록 플랜지(131b)가 형성되고, 플랜지(131b)에 제2 커버(123a)의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결합구멍이 형성된다.
공압 발생부재(133)는 공간부(131a)와 연통되도록 가이드부재(131)에 결합되는 오리피스부재(133a)와, 오리피스부재(133a)로 공압을 발생하는 컴프레서(133b)로 구성된다. 이러한 공압 발생부재(133)는 컴프레서(133b)에서 오리피스부재(133a)로 공압이 발생하게 되면 공압이 오리피스부재(133a)를 통과하면서 공명음을 발생하게 된다. 오리피스부재(133a)와 컴프레서(133b)는 연결관(133c)을 통해 연결된다.
그리고 오리피스부재(133a)에서 발생된 공명음은 가이드부재(131)의 공간부(131a) 및 증폭관 부재(121)를 거치면서 증폭되어 보일러(10)의 내부로 전달된다.
소리감지센서(135)는 가이드부재(131)에 설치되며 다른 공명음 발생기(100)에서 발생되는 공명음을 감지하게 된다.
한편, 공명음 발생기(100)는 보일러(10)에서 증폭관 부재(121) 및 공압 발생부재(133)의 공간부(131a)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보일러(10)로 제거할 수 있도록 공명음 발생부(130)에 구비되는 이물질 제거부(140)를 더 포함한다.
이물질 제거부(140)는 가이드부재(131)에 형성되는 커풀러(141)와, 컴프레서(133b)와 커풀러(141)를 연결하는 연결관(143)으로 구성된다. 이때, 연결관(143)에는 개폐밸브(145)가 구비된다.
커풀러(141)는 가이드부재(131)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증폭관 부재(121)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에어 분사홀(141a)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명음을 이용한 보일러 내부의 온도 측정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어느 하나의 공명음 발생기(100)에서 공명음이 발생하면, 다른 공명음 발생기(100)가 소리감지센서(135)를 통해 공명음을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연산부(20)는 어느 하나의 공명음 발생기(100)에서 다른 공명음 발생기(100)로 전달되는 공명음의 속도를 측정하여 어느 하나의 공명음 발생기(100)와 다른 공명음 발생기(100) 사이의 화염 온도를 연산한다.
이와 같이 연산부(20)에서 연산되는 공명음 발생기(100) 사이의 온도를 통해 보일러(10)의 화염 분포를 용이하게 측정함으로써, 보일러(10)로 공급되는 미분탄을 조절하여 보일러(10)의 화염을 보일러(10)의 중앙부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명음 발생기(100)는 컴프레서(133b)에서 발생되는 공압이 오리피스부재(133a)를 통과하면서 공명음이 생성되고, 생성된 공명음이 가이드부재(131)의 공간부(131a) 및 증폭관 부재(121)를 통과하면서 증폭되어 보일러(10)의 내부로 전달된다.
이로 인하여, 어느 하나의 공명음 발생기(100)에서 발생되는 공명음이 용이하게 증폭되어 다른 공명음 발생기(100)로 효과적으로 전달되므로, 공명음 발생기(100)의 공명은 수발신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커풀러(141)의 에어 분사홀(141a)을 통해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증폭관 부재(121) 및 가이드부재(131)의 공간부(131a)에 유입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제1 커버(123a)에서 제2 커버(123b)를 회전시키게 되면 공명음 발생부(130)에 의해 밀폐되어 있던 증폭관 부재(121)가 개방됨에 따라 이물질 제거부(140)에 의해 제거되지 않은 증폭관 부재(121) 및 가이드부재(131)의 공간부(131a)의 이물질을 보다 깨끗하고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더하여, 제2 커버(123b)의 회전을 통해 증폭관 부재(121)를 개방할 수 있으므로, 증폭관 부재(121)를 통해 보일러(10)의 화염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보일러 내부의 온도 측정장치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육안으로도 화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일러(10)를 보다 안전하게 가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보일러 11 : 보일러 튜브
13 : 고정부재 15 : 연결 튜브
100 : 공명음 발생기 110 : 플랜지부
111 : 베이스부재 113 : 관 부재
115 : 고정플랜지 120 : 공명음 증폭부
121 : 증폭관 부재 123 : 커버부재
123a : 제1 커버 123b : 제2 커버
129 : 결속부재 130 : 공명음 발생부
131 : 가이드부재 133 : 공압 발생부재
133a : 오리피스부재 133b : 컴프레서
135 : 소리감지센서 140 : 이물질 제거부
141 : 커풀러 143 : 연결관
145 : 개폐밸브

Claims (8)

  1. 보일러; 상기 보일러의 내부로 소리를 발생하도록 상기 보일러에 결합되며, 소리를 발생하고 상기 보일러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감지하는 복수의 공명음 발생기; 어느 하나의 상기 공명음 발생기에서 다른 하나의 상기 공명음 발생기로 전달되는 소리의 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속도에 의해 상기 공명음 발생기 사이의 온도를 연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명음 발생기는,
    상기 보일러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보일러에 결합되는 플랜지부;
    상기 설치공간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플랜지부에 결합되며, 공명음을 증폭하는 공명음 증폭부; 및
    상기 공명음 증폭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공명음 증폭부에 결합되며, 공압을 통해 공명음을 발생하는 공명음 발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음을 이용한 보일러 내부의 온도 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는 사각 케이스 형태를 가지며,
    상기 공명음 발생기는 상기 보일러의 한 면에 2개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음을 이용한 발전소 보일러의 내부 온도 측정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보일러의 외면에 접합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접합되며, 상기 공명음 증폭부가 내부에 설치되는 관 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와 이격되도록 상기 관 부재에 접합되며, 상기 공명음 증폭부가 결합되는 고정플랜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음을 이용한 보일러 내부의 온도 측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음 증폭부는,
    상기 설치공간부의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보일러의 내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넓어지는 증폭관 부재; 및
    상기 플랜지부가 결합되도록 상기 증폭관 부재와 접합되며, 상기 공명음 발생부에 의해 상기 증폭관 부재가 개폐되도록 상기 공명음 발생부를 회전시키는 커버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음을 이용한 보일러 내부의 온도 측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증폭관 부재와 접합되어 상기 플랜지부에 결합되는 제1 커버; 및
    상기 제1 커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공명음 발생부가 결합되는 제2 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음을 이용한 보일러 내부의 온도 측정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음 발생부는,
    내부에 일면이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공명음 증폭부와 결합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공간부로 공압을 발생시키는 공압 발생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에 설치되어 다른 하나의 상기 공명음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공명음을 감지하는 소리감지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음을 이용한 보일러 내부의 온도 측정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음 발생기는 상기 공명음 증폭부와 상기 공명음 발생부 내부의 이물질을 상기 보일러 내부로 제거하도록 상기 공명음 발생부에 구비되는 이물질 제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음을 이용한 보일러 내부의 온도 측정장치.
KR1020110049787A 2011-05-25 2011-05-25 공명음을 이용한 발전소 보일러의 내부 온도 측정장치 KR101085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787A KR101085236B1 (ko) 2011-05-25 2011-05-25 공명음을 이용한 발전소 보일러의 내부 온도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787A KR101085236B1 (ko) 2011-05-25 2011-05-25 공명음을 이용한 발전소 보일러의 내부 온도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5236B1 true KR101085236B1 (ko) 2011-12-01

Family

ID=45505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9787A KR101085236B1 (ko) 2011-05-25 2011-05-25 공명음을 이용한 발전소 보일러의 내부 온도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52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5332B1 (ko) * 2022-08-03 2023-04-25 주식회사 피레타 석탄 화력 보일러 연소실 온도 측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9859A (en) 1991-11-15 1994-09-27 Scientific Engineering Instrumen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coustic wave velocity using impulse respons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9859A (en) 1991-11-15 1994-09-27 Scientific Engineering Instrumen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coustic wave velocity using impulse respon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5332B1 (ko) * 2022-08-03 2023-04-25 주식회사 피레타 석탄 화력 보일러 연소실 온도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1053754A1 (fr) Appareil de ramonage acoustique et méthode d'exploitation
CN106482826B (zh) 一种用于油气锅炉燃烧振动的多信号融合测量诊断方法
JP2015534618A (ja) ガスタービン内の燃焼器内筒及びトランジションにおける遠位の振動を検出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101085236B1 (ko) 공명음을 이용한 발전소 보일러의 내부 온도 측정장치
CN102322960B (zh) 一种燃煤锅炉红外线测温装置
CN107209203A (zh) 用于测量流体流的温度和速度的工厂、测量系统及方法
JP5306561B1 (ja) チューブリーク検知装置、及びチューブリーク検知方法
CN105202523A (zh) 在线计算w火焰超临界电站锅炉下水冷壁烟气热负荷分布的方法
JP5415579B2 (ja) チューブリーク検査装置、及びチューブリーク検査方法
CA2860818C (en) Fuel head assembly with replaceable wear components
KR102402427B1 (ko) 발전 플랜트용 질소산화물 및 황산화물 측정장치
CN2911458Y (zh) 电站锅炉一二次风在线监测系统
CN205175454U (zh) 用于分析过程腔内气体混合物的传感器设备和发电厂的燃烧室
BR112017028475B1 (pt) Removedor de cinza de caldeira com base em fluxo combinado
KR101908660B1 (ko) 고형연료 전용 유동층 보일러 내의 대류전열부에서 발생하여 튜브에 침적되는 클링커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이를 이용한 튜브에 침적되는 클링커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 및 튜브에 침적되는 클링커 분석시스템
KR200409483Y1 (ko) 화목보일러
TWI540288B (zh) 用於分配石化燃料之總成
KR101994903B1 (ko) 편마모 억제가 가능한 수평형 테일 앤드 보일러용 부착 분진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평형 테일 앤드 보일러
IT8323460A1 (it) Bruciatore alimentato con un combustibile fluido
KR102404468B1 (ko) 발전 플랜트용 배기가스 분석시스템
KR200311068Y1 (ko) 보일러 및 연소로의 연소가스중 산소 가스농도 측정장치
KR102333176B1 (ko) 어쿠스틱 수트 블로워 무선 원격 진단시스템
CN200941079Y (zh) 声学谐振腔式声导管
KR101685772B1 (ko) 덕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화력 발전소의 석탄 퍼니스 시스템
CN106706156A (zh) 一种基于超声波的锅炉炉膛烟气温度测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