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5109B1 - A MSDSMaterial Safety Data Sheet editing system according to GHS and the method - Google Patents

A MSDSMaterial Safety Data Sheet editing system according to GHS and th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5109B1
KR101085109B1 KR1020080054040A KR20080054040A KR101085109B1 KR 101085109 B1 KR101085109 B1 KR 101085109B1 KR 1020080054040 A KR1020080054040 A KR 1020080054040A KR 20080054040 A KR20080054040 A KR 20080054040A KR 101085109 B1 KR101085109 B1 KR 101085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ance
msds
classification
hazard
ba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40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128049A (en
Inventor
임철홍
양정선
김현옥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filed Critical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Priority to KR1020080054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5109B1/en
Publication of KR20090128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80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1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기본화학물질로 이루어진 관리물질에 대하여, 상기 관리물질의 유해위험성 분류를 판정하고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작성하여 관리하는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관리물질에 대한 유해위험성 분류를 판정하는 기준, 상기 유해위험성 분류에 대응하는 경고표지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기초자료 관리수단; 상기 기본화학물질에 대하여, 표기정보 및 유해위험성 분류를 입력받고, 경고표지정보를 포함하는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작성하여 저장하는 기본물질 관리수단; 상기 관리물질에 대하여, 상기 관리물질을 구성하는 다수의 기본화학물질의 구성 비율을 입력받고, 상기 구성비율에 따라 유해위험성 분류를 추정하는 판정기준에 따라 상기 관리물질의 유해위험성 분류를 판정하는 물질분류 판정수단; 상기 관리물질 각각에 대하여, 판정된 상기 관리물질의 유해위험성 분류에 대응하는 경고표지정보 및 상기 관리물질을 이루는 기본화학물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물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자동으로 작성하여 저장하는 MSDS 작성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Regarding the management substance consisting of basic chemical substances, th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a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for determining the hazard classification of the managed substance and preparing and managing the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Basic data management means for receiving and storing criteria for determining a hazard classification for a substance and warning labe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hazard classification; Basic material management means for receiving input labeling information and hazard classification for the basic chemical substance, and preparing and storing a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including warning label information; A substance that receives a composition ratio of a plurality of basic chemicals constituting the managed substance with respect to the managed substance, and determines a hazard classification of the managed substance according to a criterion for estimating a hazard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ratio. Classification determination means; For each of the managed substances, using the safety label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hazardous hazard classification of the managed substance and the MSDS of the basic chemical substance constituting the managed substance, the safety and health of the managed substance Prepare a configuration that includes a means of creating an MSDS that automatically creates and stores data (MSDS).

상기와 같은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유해위험성 분류에 따른 경고표지정보 및 기본화학물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이용하여 경고표지를 포함하는 관리물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작성함으로써, 경고표지 및 MSDS 작성을 간편하고 표준화된 방식에 의하여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ystem and method as described above, MSDS of the managed substance including the warning label is prepared by using the warning labe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hazard classification and the MSDS of the basic chemical substance. In addition, the creation of warning signs and MSDS can be carried out in a simple and standardized manner.

GHS, MSDS, 물질안전보건자료, 유해위험성, 화학물질 GHS, MSDS, Safety Data Sheet, Hazards Identification, Chemical Substance

Description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A MSDS(Material Safety Data Sheet) editing system according to GHS and the method }MSS (Material Safety Data Sheet) editing system according to GHS and the method}

본 발명은 기본화학물질로 이루어진 관리물질에 대하여, 상기 물질을 GHS체계에 의하여 유해위험성 분류를 판정하고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작성하여 관리하는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a substance safety data sheet (MSDS) for managing a substance consisting of a basic chemical substance, determining a hazard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GHS system, and preparing and managing a substance safety data sheet (MSDS). It is about.

또, 본 발명은 기본화학물질에 대한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정보를 사전에 입력하여 저장하고, 기본화학물질로 구성된 관리물질에 대하여 상기 기본화학물질에 대한 MSDS를 이용하여 상기 기본화학물질의 MSDS를 작성하는 물질안전보건자 료(MSDS) 작성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putted and stored in advance the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information for the basic chemicals, and for the management substance consisting of the basic chemicals of the basic chemicals by using the MSDS for the basic chemicals It relates to a material safety and health (MSDS)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an MSDS.

또, 본 발명은 유해위험성 분류에 대응하는 경고표지정보를 작성하여 저장하고, 관리물질을 구성하는 기본화학물질의 구성비율에 따른 유해위험성 분류를 추정하는 판정기준을 이용하여 관리물질의 유해위험성 분류를 판정하고, 판정된 분류에 따라 경고표지정보가 자동으로 생성하는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pares and stores warning labe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hazard classification, and uses the criteria for estimating the hazard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basic chemicals constituting the managed substance. And a safety data sheet (MSDS)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warning labe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classification.

일반적으로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는 화학물질의 이름, 물리화학적 성질, 유해위험성, 폭발/화재, 방재요령, 환경에 미치는 영향 등을 기록하게 하는 것으로 유해위험성을 가지는 모든 화학물질에 대한 취급지침서로 활용되어 오고 있다.In general, Material Safety Data Sheets (MSDS) allow you to record the nam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hazards, explosions / fires,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and environmental impacts. It has been utilized as.

화학물질의 사용은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하였지만 동시에 인간이나 환경에 잠재적인 악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잠재적인 위험성에 대한 적절한 정보 제공은 사용자가 화학물질을 안전하게 제조, 취급, 운송, 폐기할 수 있도록 하고 궁극적으로 인간 및 환경을 보호할 수 있게 한다. 즉, 화학물질에 대한 정보규정은 사용자에게 그 화학물질을 확인하고 유해위험성을 전달하여 적절한 예방조치를 가능하게 한다.The use of chemicals has enriched human life but at the same time has a potential negative impact on humans and the environment. Providing adequate information about these potential hazards allows users to safely manufacture, handle, transport and dispose of chemicals and ultimately protect humans and the environment. In other words, the regulation of information on chemicals enables the user to identify the chemicals and communicate the hazards to appropriate precautions.

따라서 화학물질의 위험성을 명확한 기준에 따라 적절하게 분류하고, 그것을 간결하고도 알기 쉽게 표시하고 그 취급방법을 작성하여 보급되어야 한다. 더 나아가 상기와 같은 규정에 따라 화학물질이 취급되도록 규제되어야 한다. 선진국을 중 심으로 상기와 같은 화학물질의 분류와 표시가 제도화되고 그 취급방법에 대한 규제도 법제화되었다.Therefore, the risks of chemicals should be properly classified according to clear criteria, labeled as concise and easy to understand, and their handling methods prepared and disseminated. Furthermore, chemicals should be regulated to be handled according to the above rules. The classification and labeling of such chemicals has been institutionalized, especially in developed countries, and regulations on how to handle them have been enacted.

그러나 목적은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국가마다 그리고 같은 국가 내에서도 관련기관마다 기준과 세부규정이 달라 산업체의 규정준수가 어렵다는 것이 지적되었으며, 특히 화학물질의 무역시 불필요한 기술적 장벽으로 작용되곤 하였다. 이에 대한 개선으로 국제적으로 화학물질의 분류 및 표시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GHS(화학물질의 분류 및 표지에 관한 세계조화시스템, Global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즉, GHS는 화학물질의 성질 및 유해성에 관한 정보제공을 통해 화학물질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국가별로 다르게 사용되고 있는 분류, 경고표지, 물질안전보건자료의 형식을 통일화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GHS 지침에 따라 적용되고 있다. 이 GHS 지침에 따라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각 국가는 분류, 경고표지 적용 기준을 단일화하고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의 정보 제공을 통일화하도록 유도하고 있다.However, despite the same purpose, it was pointed out that the standards and detailed regulations of each country and within the same country were different, making it difficult for industry to comply with regulations, especially as an unnecessary technical barrier in the trade of chemicals. As a result of this improvement,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f the classification and labeling of chemicals has been carried out around the GHS (Global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ing of Chemicals). In other words, the GHS Directive provides information on the nature and hazards of chemicals to ensure the safe use of chemicals and to harmonize the format of classification, warning signs, and safety data sheets used in different countries. Is being applied accordingly. Countries using chemicals in accordance with this GHS Directive encourage unification of the classification and labeling criteria and the harmonization of the information provided in the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한편, 현행 화학물질 관리체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종합적인 화학물질 관리 정책인 REACH(화학물질의 등록, 평가, 허가 및 제한에 관한 규정, Registration, Evaluation, Authorization of Chemicals)가 국제적으로 논의되어 제정되었다. REACH는 분산되어 있는 각 국가의 화학물질 관리규정을 통합하고 새로운 화학물질 관리체계를 구축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고, 특히 화학물질 안전보고서를 제출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유해성평가 및 노출평가가 이루어지도록 제한하고 있다. REACH 규제 발효에 따라 화학물질 제조하는 사업자 뿐 아니라 원료로 사용하는 사업자, 화학물질 유통업자들 모두 화학물질 관리 의무를 이행하여야 한다.Meanwhile, REACH (Registration, Evaluation, Authorization of Chemicals), a comprehensive chemical management policy, is discussed internationally as a solution to the problems of the current chemical management system. It was enacted. REACH is aimed at integrating decentralized chemical management regulations and establishing a new chemical management system, specifically requiring the submission of a chemical safety report, limiting the risk assessment and exposure assessment. . Under the entry into force of the REACH Regulation, not only companies that manufacture chemicals, but also those that use them as raw materials and distributors of chemicals must fulfill their chemical management obligations.

상기와 같이, 전 세계적으로 화학물질 관리 정책이 강화되어가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므로, 이러한 추세에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기존에 관리되고 보급 되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에 대한 점검 및 관리 방식의 변화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As mentioned above, the trend of strengthening chemical management policies worldwide has led to a review and management of material safety data sheets (MSDS) that have been managed and distributed in order to establish a system to cope with these trends. A change is necessary.

한편, 종래에는 기초적인 화학물질에 대한 유해위험 정보, 취급방법 등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는 전문적인 관련기관에서 작성되어 하나의 문서화된 형태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된다. 그리고 상기 화학물질들로 혼합한 혼합물질들에 대해서는 대부분 산업현장에서 산업체들에 의해 상기 하나의 문서화된 형태로 작성된 기본화학물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이용하여 상기 혼합물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가 작성되어 이용되어 왔다.On the other hand, in the past, MSDSs such as hazard information and handling methods for basic chemicals are prepared by a professional institution and constructed as a documented database. And for the mixtures mixed with the chemicals, the material safety and health of the mixtures is mostly obtained by using the MSDS of the basic chemical substance prepared in the one documented form by the industries in the industrial field. Material (MSDS) has been prepared and used.

특히, 종래의 MSDS작성은 하나의 문서화된 형태로 작성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물질만을 이용하여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작성하도록 개발되어 기본화학물질의 정보가 변할 경우 혼합물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의 정보도 함께 수정하여야 했다.In particular, conventional MSDS preparation is developed to prepare MSDSs using only substances stored in a database written in a single documented form. ) Also had to be corrected.

또한, 종래의 시스템은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정보 제공에 있어 중요 구성 요소인 분류정보를 제공하지 않아, 완성된 형태로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제공할 수 없었다. 또,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이용하여 정보전달체계의 다른 도구인 경고표지 작성에 이용할 수 없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system does not provide classification information, which is an important component in providing MSDS information, and thus cannot provide MSDS in a completed form. In addition, material safety data sheets (MSDS) were not available for the creation of warning signs, another tool of the information delivery system.

또한,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 대상이 되는 기본화학물질의 수가 십만종 이상이며, 신규화학물질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데이터베이스 관리자가 신규화학물질을 포함한 모든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 대상물질을 함유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은 비 효율적이다. 즉,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데이터베이스 관리자가 작성하지 않은 기존화학물질과 신규 화학물질을 포함한 혼합물질에 대해서도 유해위험성 분류를 자동으로 수행하고, 편집하고 등록할 수 있는 MSDS작성 시스템이 요구된다.In addition, there are more than 100,000 basic chemicals to be prepared for MSDS, and as the use of new chemicals increases, the MSDS database manager is responsible for all material safety including new chemicals. It is inefficient to build a database that contains the substances to be prepared in the MSDS. In other words, the MSDS creation system is required to automatically perform, edit and register the hazard classification for mixtures containing existing and new chemicals that are not prepared by the MSDS database manager.

결론적으로, 화학물질에 대한 규정과 규제가 국제적으로 강화되는 추세에 맞추어, 산업계에서 이용되는 모든 화학물질에 대하여 국제표준에 적용할 수 있는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작성하여 보급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이 절실하다.In conclusion, as the regulations and regulations on chemicals are strengthened internationally, MSDS, which is applicable to international standards for all chemicals used in industry, is prepared and distributed more quickly and accurately. There is an urgent need to build a system that can do this.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본화학물질로 이루어진 관리물질에 대하여, 상기 관리물질을 GHS체계에 의하여 유해위험성 분류를 판정하고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작성하여 관리하는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management substance consisting of the basic chemicals, by the GHS system to determine the hazard classification by the management substance and to prepare a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It provides a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managing the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본화학물질에 대한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정보를 사전에 입력하여 저장하고, 기본화학물질로 구성된 관리물질에 대하여 상기 기본화 학물질에 대한 MSDS를 이용하여 상기 기본화학물질의 MSDS를 작성하는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tore the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information for the basic chemicals in advance, and for the management substance consisting of the basic chemicals by using the MSDS for the basic chemicals It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and managing a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for preparing an MSD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리물질을 구성하는 기본화학물질의 구성비율에 따른 유해위험성 분류를 추정하는 판정기준을 이용하여 관리물질의 유해위험성 분류를 판정하고, 판정된 분류에 따라 경고표지정보가 자동으로 생성되어 경고표지 작성이 가능한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the hazard classification of the hazardous substances using the criteria for estimating the hazard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basic chemical substances constituting the managed substances, and the warning label information is It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managing a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that can be automatically generated to create a warning labe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본화학물질로 이루어진 관리물질에 대하여, 상기 관리물질의 유해위험성 분류를 판정하고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작성하여 관리하는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관리물질에 대한 유해위험성 분류를 판정하는 기준, 상기 유해위험성 분류에 대응하는 경고표지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기초자료 관리수단; 상기 기본화학물질에 대하여, 표기정보 및 유해위험성 분류를 입력받고, 경고표지정보를 포함하는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작성하여 저장하는 기본물질 관리수단; 상기 관리물질에 대하여, 상기 관리물질을 구성하는 다수의 기본화학물질의 구성 비율을 입력받고, 상기 구성비율에 따라 유해위험성 분류를 추정하는 판정기준에 따라 상기 관리물질의 유해위험성 분류를 판정하는 물질분류 판정수단; 상기 관리물질 각각에 대하여, 판정된 상기 관리물질의 유해위험성 분류에 대응하는 경고표지정보 및 상기 관리물 질을 구성하는 기본화학물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물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자동으로 작성하여 저장하는 MSDS 작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aged substance consisting of basic chemical substances, determines the hazard classification of the managed substance, and creates and manages a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to prepare and manage a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A system comprising: a basic data management means for receiving and storing criteria for determining a hazard classification for the managed substance and warning labe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hazard classification; Basic material management means for receiving input labeling information and hazard classification for the basic chemical substance, and preparing and storing a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including warning label information; A substance that receives a composition ratio of a plurality of basic chemicals constituting the managed substance with respect to the managed substance, and determines a hazard classification of the managed substance according to a criterion for estimating a hazard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ratio. Classification determination means; For each of the managed substances, the substance of the managed substance is determined using the warning labe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hazard classification of the managed substance and the MSDS of the basic chemical substance constituting the managed substan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MSDS preparation means for automatically creating and storing the safety data sheet (MSDS).

또, 본 발명은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해위험성 분류는, 유해위험성 성질에 따른 유해위험성 클래스와, 유해위험성 수준에 따른 등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management system, wherein the hazard classification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hazard class according to the hazard characteristics, and a grade according to the hazard level.

또, 본 발명은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해위험성 클래스는, 물리적 위험성, 건강유해성, 환경유해성을 포함하는 종류로 나누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MSDS preparation management system, the hazard class is divided into types including physical hazards, health hazards, and environmental hazards.

또, 본 발명은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경고표지정보는, 그림문자, 신호어, 유해위험문구, 예방조치문구 중 어느 하나 이상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management system, the warning label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y one or more of the pictograms, signal words, hazard statements, precautionary statements.

또, 본 발명은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예방조치문구는, 예방조치 타이틀과 세부조치문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MSDS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the precautionary statement is composed of a precautionary title and a detailed action phrase.

또, 본 발명은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초자료 관리수단은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로 작성하는 항목에 대한 표준문구를 사전에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MSDS 작성수단은, 상기 기본물질 관리수단 또는 MSDS 작성수단은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의 작성항목 중 표준문구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표준문구로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creation management system, the basic data management means is inputted and stored in advance the standard phrases for the items to be created in the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in advance, the MSDS preparation The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ic substance management means or the MSDS preparation means, if there is a standard phrase among the preparation items of the MSDS, is written in the standard phrase.

또, 본 발명은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표 준문구는, 응급조치, 폭발화재시 대처방법, 누출사고 시 대처방법, 취급 및 저장방법, 노출방지 및 개인보호구에 관하여 처리하는 설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preparation management system, the standard phrases, emergency measures, fire fighting measures, leakage accident handling measures, handling and storage methods, exposure prevention and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description of the processing.

또, 본 발명은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본물질 관리수단에서, 상기 기본화학물질의 표기정보는 물질명, CAS NO., KE NO., UN NO., EU NO., 이명을 포함하고, 상기 기본화학물질에 대하여 상기 표기정보로 검색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management system, in the basic material management means, the labeling information of the basic chemical substance is a substance name, CAS NO., KE NO., UN NO., EU NO. It includes, and the tinni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supporting the search by the notation information for the basic chemicals.

또, 본 발명은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물질 판정수단에서, 상기 관리물질을 구성하는 기본화학물질이 한 종류인 경우에는, 상기 기본화학물질의 유해위험성 분류로 상기 관리물질의 유해위험성 분류를 정하고, 상기 관리물질을 구성하는 기본화학물질이 두 종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관리물질에 대한 유해위험성 분류의 판정기준은 상기 관리물질을 구성하는 기본화학물질의 구성 비율에 의해서 규칙으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MSDS preparation management system, when there is only one type of basic chemical constituting the managed substance in the management substance determination means, the hazard classification of the basic chemical substance is classified into. If the hazardous risk classification of the controlled substance is determined and there are two or more types of basic chemicals constituting the managed substance, the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hazardous hazard classification for the managed substance is the ratio of the composition of the basic chemicals constituting the managed substance. It is characterized by the rule by.

또, 본 발명은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MSDS 작성수단에서, 상기 관리물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에는 화학제품과 회사에 관한 정보, 유해위험성, 구성성분의 명칭 및 함유량, 응급조치요령, 폭발 화재시 대처방법, 누출 사고 시 대처방법, 취급 및 저장방법, 노출방지 및 개인보호구, 물리화학적 특성, 안정성 및 반응성, 독성에 관한 정보, 환경에 미치는 영향, 폐기시 주의사항, 운송에 필요한 정보, 법적 규제현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preparation management system, in the MSDS preparation means, the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of the management substance contained information about chemicals and company, hazards, components Name and Content, First Aid Measures, Fire Fighting Measures, Accidental Release Measures, Handling and Storage, Exposure Controls, Personal Protection,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Stability and Reactivity, Toxicity Information, Environmental Effects, Disposal It includes the precautions,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transportation, and the legal regulations.

또한, 본 발명은 기본화학물질로 이루어진 관리물질에 대하여, 상기 관리물질의 유해위험성 분류를 판정하고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작성하여 관리하는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상기 관리물질에 대한 유해위험성 분류를 판정하는 기준, 상기 유해위험성 분류에 대응하는 경고표지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기본화학물질에 대하여, 표기정보 및 유해위험성 분류를 입력받고, 경고표지정보를 포함하는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작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관리물질에 대하여, 상기 관리물질을 구성하는 다수의 기본화학물질의 구성 비율을 입력받고, 상기 구성비율에 따라 유해위험성 분류를 추정하는 판정기준에 따라 상기 관리물질의 유해위험성 분류를 판정하는 단계; (d) 상기 관리물질 각각에 대하여, 판정된 상기 관리물질의 유해위험성 분류에 대응하는 경고표지정보 및 상기 관리물질을 구성하는 기본화학물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물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자동으로 작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reating and managing a substance safety data sheet (MSDS) for determining a hazard classification of the managed substance and preparing and managing a substance safety data sheet (MSDS) for a managed substance composed of a basic chemical substance. (a) receiving and storing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a hazard classification for the managed substance and warning labe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hazard classification; (b) receiving a label information and a hazard classification for the basic chemical substance, and preparing and storing a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including warning label information; (c) For the managed substance, the ratio of the composition of the plurality of basic chemicals constituting the managed substance is input, and the hazard classification of the hazardous substance is classified according to a criterion for estimating the hazard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ratio. Determining; (d) for each of the controlled substances, using the warning labe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hazardous hazard classification of the controlled substance and the MSDS of the basic chemicals constituting the managed substance, the managed substan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automatically creating and storing the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또, 본 발명은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경고표지정보는, 그림문자, 신호어, 유해위험문구, 예방조치문구 중 어느 하나 이상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the warning label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y one or more of the pictograms, signal words, hazard statements, precautionary statements.

또, 본 발명은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기초자료 관리수단은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로 작성하는 항목에 대한 표준문구를 사전에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d)단계에서, 상기 관리물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로 작성하는 항목 중 표준문구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표준문 구로 작성하고, 상기 표준문구는 응급조치, 폭발화재시 대처방법, 누출사고 시 대처방법, 취급 및 저장방법, 노출방지 및 개인보호구에 관하여 처리하는 설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creating and managing a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in the step (a), the basic data management means is input in advance the standard phrase for the item to be written in the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In the step (d), if there is a standard phrase among the items written in the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of the controlled substance, the standard phrase is written as the standard phrase, and the standard phrase is used for emergency measures and explosions. It includes a description of how to deal with spills, how to deal with spills, handling and storage, prevention of exposure and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또, 본 발명은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관리물질을 구성하는 기본화학물질이 한 종류인 경우에는, 상기 기본화학물질의 유해위험성 분류로 상기 관리물질의 유해위험성 분류를 정하고, 상기 관리물질을 구성하는 기본화학물질이 두 종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관리물질에 대한 유해위험성 분류의 판정기준은 상기 관리물질을 구성하는 기본화학물질의 구성 비율에 의해서 규칙으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of preparing and managing the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in the step (c), when the basic chemicals constituting the management substance is one kind, it is classified into a hazard classification of the basic chemicals. If the hazardous risk classification of the controlled substance is determined and there are two or more types of basic chemicals constituting the managed substance, the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hazardous hazard classification for the managed substance is the ratio of the composition of the basic chemicals constituting the managed substance. It is characterized by the rule by.

또, 본 발명은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관리물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에는 화학제품과 회사에 관한 정보, 유해위험성, 구성성분의 명칭 및 함유량, 응급조치요령, 폭발 화재시 대처방법, 누출 사고 시 대처방법, 취급 및 저장방법, 노출방지 및 개인보호구, 물리화학적 특성, 안정성 및 반응성, 독성에 관한 정보, 환경에 미치는 영향, 폐기시 주의사항, 운송에 필요한 정보, 법적 규제현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creating and managing a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in the step (d), the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of the controlled substance information on chemicals and companies, hazards, components Name and content of first aid measures, first-aid measures, fire-fighting measures, spills measures, handling and storage, exposure and personal protection,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stability and reactivity, toxicity information, environmental effects, Disposal precautions, information necessary for transportation, and legal regulations are includ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creation and management metho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유해위험성 분류에 따른 경고표지정보 및 기본화학물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이용하여 경고표지를 포함하는 관리물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작성함으로써, 경고표지 및 MSDS 작성을 간편하고 표준화된 방식에 의하여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SDS prepar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arning label using the warning labe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hazard classification and the MSDS of the basic chemical substance By preparing MSDSs for the controlled substances that contain it, an effect can be obtained in a simple and standardized way of creating warning signs and MSDSs.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is inventi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nd the repeat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먼저,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First, an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entire system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entire system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한 예로서, 관리자 단말기(11) 또는 사용자 단말기(12)가 네트워크(20)를 통해 MSDS 작성관리 시스템(30)과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MSDS 작성관리 시스템(30)은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s an example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r terminal 11 or the user terminal 12 is connected to the MSDS creation management system 30 through the network 20. The MSDS creation management system 30 may further include a database 40 for storing necessary data.

네트워크(20)는 인터넷 등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이다. 또, 네트워크(20)는 인터넷 등 개방된 형태의 네트워크일 수도 있고 인트라넷 등 조직 내의 폐쇄된 형태의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The network 20 is a network capable of bidirectional communication such as the Internet. In addition, the network 20 may be an ope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or a closed network in an organization such as an intranet.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11)를 통해 네트워크(10)에 연결하고 MSDS 작성관리 시스템(30)에 접속한다. MSDS 작성관리 시스템(30)은 하나의 서버로서 MSDS 작성과 관련된 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관련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11)에 제공하고,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11)의 마우스나 키보드 등 입력장치를 통해 상기 MSDS 작성관리 시스템(30)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거나 명령을 전달한다. 즉, 관리자는 항상 관리자 단말기(11)를 통해 어떤 작업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관리자가 어떤 작업을 수행하는 설명은 상기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10)를 통해 수행하는 작업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 도면부호 11을 단말기 이외에 관리자에게도 붙이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기(12)도 동일한 의미에서 적용된다.The manager connects to the network 10 via the manager terminal 11 and to the MSDS creation management system 30. The MSDS creation management system 30 provides an interface screen or related information related to MSDS creation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11 as one server, and the administrator creates the MSDS through an input device such as a mouse or keyboard of the administrator terminal 11. Enter information or commands required by the management system 30. That is, the manager always performs some work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11. Therefore, 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administrator performing a task means that the administrator performs the task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10. It is to be noted that the reference numeral 11 is also attached to the manager in addition to the terminal. The user terminal 12 also applies in the same sense.

MSDS 작성관리 시스템(30)은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작성하기 위한 제반사항을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MSDS 작성관리 시스템(3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MSDS를 작성해야 되는 대상인 화학물질의 종류와 MSDS를 작성하기 위해 적용하는 GHS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MSDS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30 is a system that supports the prerequisites for preparing a safety data sheet (MSDS). Prior to describing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MSDS creation management system 30, the types of chemicals to which the MSDS should be prepared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GHS applied to prepare the MSDS will be described.

먼저, MSDS를 작성해야 되는 대상인 화학물질의 종류에 대하여 설명한다. 화학물질은 단일물질과 혼합물질로 구분된다. 단일물질은 말 그대로 단일한 한 종류의 화학물질로만 구성된 물질을 말하며, 혼합물질은 적어도 2개 이상의 화학물질을 혼합하여 만들어진 물질을 의미한다.First, the types of chemicals to which MSDS should be prepared are explained. Chemicals are divided into single substances and mixtures. A single substance literally refers to a substance composed of only one chemical substance, and a mixture substance means a substance made by mixing at least two chemical substances.

한편, 단일물질과 구별하여 기본화학물질이란 용어를 사용한다. 기본화학물질은 화학식으로 표현되는 하나의 추상적인 화학물질을 의미하고, 단일물질은 관리대상이 되는 하나의 기본화학물질로 이루어진 실제의 화학물질을 말한다. 즉, 단일물질은 안전을 위한 규제되고 관리되는 대상인 기본화학물질이고, MSDS의 작성대상이 되는 화학물질을 말한다.On the other hand, the term basic chemicals is used to distinguish it from a single substance. Basic chemical substance means an abstract chemical substance represented by a chemical formula, and a single substance means an actual chemical substance composed of one basic chemical substance to be managed. In other words, a single substance is a basic chemical that is regulated and controlled for safety, and a chemical that is the subject of MSDS preparation.

또, 상기 단일물질과 혼합물질을 합쳐 관리물질이란 용어를 사용한다. 즉, 관리물질은 MSDS의 관리대상이 되는 화학물질로서, 단일물질과 혼합물질로 구분된다.In addition, the term "treatment substance" i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single substance and mixture. In other words, a controlled substance is a chemical substance to be managed by MSDS, and is classified into a single substance and a mixture.

다시 말하면, 기본화학물질은 추상적인 화학물질을 의미하고, 관리물질은 MSDS의 관리대상이 되는 실체적인(구체적인) 화학물질을 의미한다. 그리고 관리물질에는 한 종류의 기본화학물질로 구성되는 단일물질과 2 종류 이상의 기본화학물질로 구성되는 혼합물질로 구분된다.In other words, a basic chemical substance means an abstract chemical substance, and a controlled substance means an actual (specific) chemical substance to be managed by the MSDS. Management substances are divided into single substance composed of one basic chemical substance and mixture substance composed of two or more basic chemical substances.

다음으로, MSDS를 작성하기 위해 적용하는 GHS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GHS to be used to create the MSDS will be described.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GHS는 크게 분류체계와 정보전달체계로 구분된다. 분류체계란 화학물질을 유해위험성에 따른 분류를 정의하는 체계이고, 정보전달체계는 유해위험성으로 분류된 화학물질에 대해 위험성을 어떻게 표시하고 어떻게 취급방법을 설명할 것인가를 정의하는 체계를 말한다.As shown in FIG. 2, the GHS is largely classified into a classification system and an information delivery system. A classification system is a system that defines the classification of chemicals according to hazards, and an information delivery system is a system that defines how to label hazards and explain how to handle them.

현재, GHS의 분류는 크게 물리적 위험성, 건강 유해성, 환경 유해성으로 구분된다. 물리적 위험성은 화학물질이 폭발하기 쉽거나 금속을 부식시키는 등 위험 한 물리적 현상을 발생시키는 것을 말하고, 건강 유해성은 피부 등 인체에 심한 자극을 주거나 성 호르몬의 변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등 인체에 유해를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마지막의 환경 유해성은 환경에 유해를 일으키는 것을 의미한다.Currently, the classification of GHS is largely divided into physical hazards, health hazards and environmental hazards. Physical hazards are those that cause dangerous physical phenomena, such as chemicals that can easily explode or corrode metals. Speak up The last environmental hazard is meant to cause harm to the environment.

예를 들면, 물리적 위험성은 폭발성 물질, 인화성 가스, 인화성 에어로졸, 인화성 액체, 인화성 고체, 물반응성 물질, 산화성 가스, 산화성 고체, 고압가스 등으로 구분되고, 건강 유해성은 급성독성물질, 피부 부식성 또는 자극성 물질, 심한 눈 손상 또는 자극성 물질, 호흡기 과민성 물질, 피부 과민성 물질 등으로 구분된다. 마지막의 환경 유해성은 수행 환경 유해성 물질 등이 있다.For example, physical hazards are classified into explosives, flammable gases, flammable aerosols, flammable liquids, flammable solids, water reactive materials, oxidizing gases, oxidizing solids, high pressure gases, and the health hazards are acutely toxic, skin corrosive or irritant. Substance, severe eye damage or irritant, respiratory sensitizer, skin sensitizer, etc. The last environmental hazard is the environmental hazard of the performance.

상기와 같이 GHS에서 화학물질의 유해위험성을 그 유해위험성의 성질에 따라 구분하는 것을 이하에서 클래스로 부르기로 한다. 예를 들면, 폭발성 물질, 인화성 가스, 급성독성물질, 피부 과민성 물질 등이 각각 하나의 클래스들이다. 그리고 그 클래스는 크게 물리적 위험성, 건강 유해성, 환경 유해성의 종류가 있는 것으로 말하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classifying the hazards of chemicals in the GHS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hazards is referred to as class below. For example, explosives, flammable gases, acute toxic substances, skin sensitizers, etc. are each of one class. And the class is said to be largely classified into physical hazards, health hazards and environmental hazards.

한편, 상기 유해위험성의 클래스들은 특정 화학물질이 그 클래스에 속하는지(또는 분류되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기준이 있다. 예를 들면, 폭발성 물질은 자체의 화학반응에 의하여 주위환경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온도압력 및 속도를 가진 가스를 발생시키는 등의 고체 또는 액체 물질 또는 혼합물로 정의하고, 인화성 가스의 판정기준은 20℃, 표준압력(101.3 kPa)에서 공기와 인화범위에 있는 등의 가스 또는 그 혼합물로 정의한다. 실제로는 상기의 일례보다 더 복잡한 정의들이 있다. 특정 물질이 상기 유해위험성의 클래스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상기 화학물질이 상기 각 유해위험성의 정의에 부합되는지를 판정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classes of hazards have a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a particular chemical belongs to (or is classified) that class. For example, an explosive substance is defined as a solid or liquid substance or mixture such as generating a gas having a temperature pressure and a speed that may damag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y its chemical reaction, and the criterion for flammable gas is 20 It is defined as a gas or mixture of air, in the flammable range, at standard pressure (101.3 kPa). In practice there are more complex definitions than the above example. Whether a particular substance falls into the hazard class is to determine if the chemical meets each of the hazard definitions.

그리고 하나의 물질은 여러 가지의 유해위험성 클래스에 속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화학물질이 인화성 액체 클래스에 속하면서 동시에 피부 부식성 또는 자극성 물질의 클래스에 속할 수 있다.And a substance can belong to several hazard classes. For example, one chemical may belong to the class of flammable liquids while simultaneously belonging to the class of skin corrosive or irritant substances.

한편, 상기 유해위험성의 클래스는 카테고리(category)로 나뉠 수 있다. 카테고리는 유해위험성 정도에 따라 구분되는 것이므로 이하에서 등급으로 부르기로 한다. 요약하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해위험성 분류는 클래스로 나뉘고 그 클래스는 다시 등급으로 나뉠 수 있다. 그리고 클래스는 크게 종류로 구분된다.On the other hand, the hazard class can be divided into categories (category). Since the categori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hazard, they will be referred to as classes below. In summary, as shown in FIG. 3, the hazard classification may be divided into classes and the classes may be further divided into classes. Classes are largely classified.

상기와 같이 분류체계에 의해서 유해위험성 분류가 정의되고, 상기 유해위험성 분류에 따라 그 유해위험성에 따른 표시방법이나 취급방법을 기술하는 정보전달체계가 정의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azard classification is defined by the classification system, an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the information delivery system describing the labeling or handling method according to the hazard is defined.

정보전달체계는 크게 유해위험성을 표시하는 경고표지체계와 유해위험성 정보 및 취급방법을 설명하는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작성하는 체계로 나뉜다.The information delivery system is largely divided into a warning label system indicating a hazard and a substance safety data sheet (MSDS) describing the hazard information and handling method.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해위험성을 표시하는 경고표지체계는 그림문자와 신호어 등을 포함한다. 또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체계는 물질에 대한 화학제품과 회사에 관한 정보, 유해 위험성, 구성성분의 명칭 및 함유량, 응급조치 요령, 폭발 화재 시 대처방법, 누출 사고 시 대처방법 등을 기재하는 내용 및 형식에 대하여 규정된다.As shown in Figure 4, the warning label system for indicating the hazard includes a pictogram and a signal word.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5, the MSDS system is composed of information on chemicals and companies about the substance, hazards, name and content of components, first aid measures, how to deal with explosion fires, The content and format describing the measures to be taken in case of leakage accidents are prescribed.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MSDS 작성관리 시스템(30)이 관리자 단말기(11)와 사 용자 단말기(12)간에 수행되는 작업에 대해 설명한다.Again, with reference to FIG. 1, the operation performed by the MSDS creation management system 30 between the manager terminal 11 and the user terminal 12 will be described.

관리자(11)는 기본화학물질에 대한 표기정보 및 유해위험성 분류를 입력하고, 경고표지정보를 포함하는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작성하여 저장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입력되어 저장된 상기 정보들은 데이터베이스화 된다.The manager 11 inputs the labeling information and the hazard classification of the basic chemical substance, and prepares and saves the MSDS including the warning label informa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input and stored information is databased.

또한, 관리자(11)는 GHS체계에 관한 기본적 정보를 입력하거나 수정, 추가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따라서 관리자(11)는 화학물질운영팀, 시스템운영팀, 기타 관리자 수준의 이해관계자들이다.In addition, the manager 11 inputs, corrects, or adds basic information about the GHS system. Therefore, manager 11 is the chemical operation team, system operation team, and other manager-level stakeholders.

한편, 관리자 단말기(11)는 온라인 상으로 MSDS 작성관리 시스템(30)에 접속하여 상기 작업들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인트라넷을 통해서 접근하여 사용한다.On the other hand, the manager terminal 11 may access the MSDS creation management system 30 online to perform the above tasks, but access and use the intranet.

사용자(12)는 통상 사업장에서 MSDS를 작성하는 담당자 등 일반 사용자를 의미한다. 사용자(12)는 다수의 단일물질로 구성된 혼합물질에 대하여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작성한다. 사용자(12)는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온라인 상으로 MSDS 작성관리 시스템(30)에 접속하여 상기 작업들을 수행할 수 있다. The user 12 generally refers to a general user such as a person in charge of creating an MSDS at a workplace. User 12 prepares a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for the mixture consisting of a number of single substances. The user 12 may perform the above operations by accessing the MSDS creation management system 30 online through an external network.

데이터베이스(40)는 MSDS 작성관리 시스템(30)이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곳이다. 예를 들면, 유해위험성 분류에 대한 정보, 유해위험성 분류에 따른 유해위험성 경고표지정보에 대한 정보, 기본화학물질에 대한 표기정보, 유해위험성 분류, MSDS 등의 정보, 관리물질에 대하여 작성된 MSDS에 대한 정보 등이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40)는 MSDS 작성관리 시스템(30)과 별도로 구축되어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고, 상기 시스템(30) 내부 에 구축될 수도 있다. 또, 상기 데이터베이스(40)는 DBMS 등 전문적인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으나, 파일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저장 공간이라도 무방하다. 즉, 데이터베이스(40)는 데이터베이스의 설계에 따라 구체적인 구현방법은 다양할 수 있고, 이에 대한 기술은 본 분야의 공지기술이므로 구체적 설시는 생략한다.The database 40 is where the MSDS creation management system 30 stores necessary data. For example, information on hazard classification, information on hazard warning label according to hazard classification, information on basic chemicals, information on hazard classification, MSDS, etc. Information and the like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40. The database 40 may be built separately from the MSDS creation management system 30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hrough communication, or may be built in the system 30. In addition, the database 40 may be implemented by a professional data management system such as a DBMS, but may be a storage space implemented by a file system. That is, the database 40 may have various implementa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database,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since it is well known in the art.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시스템(30)의 구성을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시스템(30)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MSDS작성관리 시스템(30)의 각 구성요소가 처리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들이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creation management system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is a block diagram of a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preparation management system 30. 7 to 11 are diagrams illustrating screens that each component of the MSDS creation management system 30 processes.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시스템(30)은 기초자료 관리수단(31), 기본화학물질 관리수단(32), 물질분류 판정수단(33), MSDS 작성수단(34)을 포함하여 구성한다.As shown in Figure 6, MSDS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ic data management means 31, basic chemical substance management means 32, substance classification determination means (33), the MSDS creation means 34 is configured.

기초자료 관리수단(31)은 관리물질에 대한 유해위험성 분류를 판정하는 기준, 상기 유해위험성 분류에 대응하는 경고표지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한다.The basic data management means 31 receives and stores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hazard classification for the managed substance and the warning labe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hazard classification.

특히, 경고표지정보는 그림문자, 신호어, 유해위험문구, 예방조치문구 중 어느 하나 이상를 포함한다.In particular, the warning label information includes any one or more of pictograms, signal words, hazard statements and precautionary statements.

한편, 기초자료 관리수단(31)은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로 작성하는 항목에 대한 표준문구를 사전에 입력받아 저장한다. 상기 표준문구는 MSDS 작성수단(34)에 의해 관리물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로 작성할 때 이용된다. 즉, MSDS 작성수 단(34)은 상기 관리물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로 작성하는 항목 중 표준문구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표준문구로 작성한다.On the other hand, the basic data management means 31 is received in advance and stored the standard phrases for the items to be written in the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The standard phrase is used by MSDS preparing means 34 to prepare MSDSs of controlled substances. That is, the MSDS preparation unit 34 writes the standard phrase when the standard phrase is among the items prepared by the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of the controlled substance.

상기 표준문구는 예방, 대응, 저장, 폐기에 대하여 응급조치, 폭발화재시 대처방법, 누출사고 시 대처방법, 취급 및 저장방법, 노출방지 및 개인보호구에 관하여 처리하는 설명을 포함한다. 또, 상기 예방조치문구는 예방조치 타이틀과 세부조치문구로 구성된다.The standard text includes instructions for prevention, response, storage and disposal of first aid measures, firefighting measures, spillage measures, handling and storage measures, exposure controls and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In addition, the precautionary statement is composed of a precautionary title and a detailed action phrase.

한편, 기초자료 관리수단(31)은 상기와 같은 유해위험성 분류, 판정기준, 경고표지정보, 표준문구 등을 입력받아 관리하기 위한 각 인터페이스 수단들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basic data management means 31 includes each interface means for receiving and managing the above-mentioned hazard classification, judgment criteria, warning label information, standard phrases and the like.

예를 들면,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초자료 관리수단(31)은 GHS체계에 의한 유해위험성 분류, 특히, 유해위험성 클래스를 등록하고 관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도 7b는 유해위험성 등급을 등록하고 관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례이다. 도 7c는 유해위험성 분류의 판정기준에 관한 화면의 일례이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7a, the basic data management means 31 provides an interface screen for registering and managing the hazard classification, in particular, the hazard class by the GHS system. 7B is an example of an interface screen for registering and managing a hazard level. 7C is an example of a screen relating to a criterion for determining a hazard classification.

도 7d는 GHS체계에 의한 유해위험성 표지를 등록관리하는 화면의 일례이고, 도 7e는 GHS 유해위험성의 신호어를, 도 7f는 유해위험성에 대한 유해위험문구를, 도 7g와 도 7h는 유해위험성에 대한 예방조치타이틀 및 예방조치문구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화면의 일례들이다.FIG. 7D is an example of a screen for registering and managing a hazard label according to the GHS system, FIG. 7E is a signal word of a GHS hazard, FIG. 7F is a hazard statement on the hazard, and FIGS. 7G and 7H are a hazard. Examples of screens for registering and managing preventive action titles and precautionary phrases for.

한편, 도시되는지 않지만, 기초자료 관리수단(31)은 MSDS편집을 위한 단위 또는 항목 형식(type)들을 등록하고 관리하여, 단위 또는 항목 형식의 표준화와 입 력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들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basic data management means 31 registers and manages units or item types for editing the MSDS, and provides interface screens for standardization of unit or item types and convenience of input. do.

또한, 도 7i와 도 7j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초자료 관리수단(31)은 MSDS를 작성할 때 이용되는 표준문구를 등록하여 관리한다. 즉, MSDS를 작성할 각 물질은 유해위험성 분류가 판정되면, MSDS에서 기재되는 유해위험성과 관련된 취급설명들은 유해위험성 분류에 따라 정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취급설명 문구를 표준문구로 관리함으로써 MSDS작성을 보다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고, MSDS작성이 GHS체계 규정에 시스템적으로 부합하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7I and 7J, the basic data management means 31 registers and manages standard phrases used when creating the MSDS. That is, for each substance to be prepared for the MSDS, once the hazard classification has been determined, the handling instructions related to the hazard described in the MSDS will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hazard classification. By managing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handling as a standard sentence to make the MSDS writing more convenient,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the MSDS writing systemically conforms to the GHS system regulations.

도 7i에서, 표준문구로서 응급조치, 폭발화재시 대처방법, 누출사고 시 대처방법, 취급 및 저장방법, 노출방지 및 개인보호구에 관하여 처리하는 설명 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 7j는 표준문구를 등록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례이다.In Fig. 7i, the standard phrases, such as emergency measures, how to deal with explosion fires, how to handle leaks, how to handle and store, how to prevent exposure and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etc. are shown. 7J is an example of an interface screen for registering standard phrases.

기본화학물질 관리수단(또는 기본물질 관리수단)(32)은 기본화학물질에 대하여, 표기정보 및 유해위험성 분류를 입력받고, 경고표지정보를 포함하는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작성하여 저장한다.The basic chemical substance management means (or basic substance substance management means) 32 receives the labeling information and the hazard classification for the basic chemical substance, and prepares and stores a substance safety data sheet (MSDS) including warning label information. .

상기 기본화학물질의 표기정보는 표기명, 관리번호, 이명 등을 포함한다. 특히, 기본물질 관리수단(32)에서, 상기 기본화학물질의 표기명은 물질명, CAS NO., KE NO., UN NO., EU NO., 이명을 포함하고, 상기 기본화학물질에 대하여 상기 표기명으로 검색을 지원한다.The notation information of the basic chemical substance includes a notation name, control number, tinnitus, and the like. In particular, in the basic substance management means 32, the notation name of the basic chemical substance includes a substance name, CAS NO., KE NO., UN NO., EU NO., Tinnitus, and with the notation name for the basic chemical substance. Support search.

단일물질의 MSDS을 작성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기본화학물질에 대한 정보가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기본화학물질에 대한 정보는 MSDS을 작성하는데 기초적인 정보로 활용된다. 따라서 우선적으로 기본화학물질의 정보를 수집하고 정리해서 데이터베이스 화 해야 한다.In order to prepare an MSDS for a single substance, information on the basic chemical must first be registered. Information on basic chemicals is used as the basis for preparing MSDS. Therefore, the basic chemical substance information should be collected, organized and databased.

또한, 기본물질 관리수단(32)은 기본화학물질에 대한 유해위험성 분류를 입력받아 저장한다.In addition, the basic material management means 32 receives and stores the hazard classification for the basic chemicals.

기본물질 관리수단(32)은 도 9a 내지 도 9c와 같은 기본화학물질의 유해위험성 분류의 판정을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즉, 기본물질 관리수단(32)은은 기본화학물질이 어느 위해위험성 분류에 해당하는지 그 결과를 입력받아 저장 관리한다.The basic substance management means 32 provides an interface screen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hazard classification of the basic chemical substance as shown in FIGS. 9A to 9C. That is, the basic substance management means 32 receives and stores the result of which risk classification the basic chemical substance corresponds to.

도 9a는 기본화학물질에 대한 유해위험성 판정결과를 등록하기 위해서는 해당 물질의 목록을 조회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례이다. 도 9b와 도 9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회된 물질에 따른 종류별(물리적 위해성, 건강유해성, 환경유해성 등), 유해위험성 클래스별, 유해위험성 등급별로 체크하여 구성하여 저장한다.9A is an example of an interface screen for inquiring a list of a corresponding substance in order to register a result of a risk determination of a basic chemical substance. As shown in Figure 9b and Figure 9c, by type (physical hazards, health hazards, environmental hazards, etc.), by hazard class, by hazard class according to the inquired substances are configured and stored.

특히, 기본화학물질의 유해위험성 분류를 판정하기 위해서는 판정기준에 적합한지 여러 가지 실험을 통해 검증되어야 한다. 그런데 기본화학물질에 대한 실험 데이터는 논문, 보고서 등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므로, 상기 연구결과로 만들어진 기본화학물질의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전문가의 판단에 의해 분류되어야 하나, 실지 사업장에서는 이들 자료를 판단할 전문가가 없기 때문에, 비전문가도 유해위험성 분류가 가능하도록 관리물질의 분류로직을 제공하여 자동으로 분류할 수 있도록 한다.In particular, in order to determine the classification of the hazards of basic chemicals, it is necessary to verify through various experiments whether they meet the criteria. However, since experimental data on basic chemicals are actively studied in papers and reports, they should be classified by expert judgment using the research results of basic chemicals made from the above research results. In the absence of specialists, non-experts also provide a classification logic for controlled substances to enable the classification of hazards.

한편, 기본물질 관리수단(32)은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의 작성항목 중 표준 문구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표준문구로 작성한다.On the other hand, the basic substance management means 32 is written in the above standard phrase, if there is a standard phrase among the preparation items of the MSDS.

물질분류 판정수단(33)은 관리물질에 대하여, 상기 관리물질을 구성하는 다수의 기본화학물질의 구성 비율을 입력받고, 상기 구성비율에 따라 유해위험성 분류를 추정하는 판정기준에 따라 상기 관리물질의 유해위험성 분류를 판정한다. 특히, 상기 관리물질을 구성하는 기본화학물질이 한 종류인 경우(즉, 단일물질인 경우)에는, 상기 기본화학물질의 유해위험성 분류로 상기 관리물질의 유해위험성 분류를 정한다. 또, 상기 관리물질을 구성하는 기본화학물질이 두 종류 이상인 경우(즉, 혼합물질인 경우)에는, 상기 관리물질에 대한 유해위험성 분류의 판정기준은 상기 관리물질을 구성하는 기본화학물질의 구성 비율에 의해서 규칙으로 정해진다.The substance classification determining means 33 receives a composition ratio of a plurality of basic chemical substances constituting the managed substance with respect to the managed substance, and determines the hazard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ratio. Determine hazard classification. In particular, when there is only one type of basic chemical constituting the managed substance (that is, a single substance), the hazard classification of the managed substance is determined by the hazard classification of the basic chemical substance. In addition, when there are two or more kinds of basic chemicals constituting the managed substance (that is, mixtures), the criterion for classification of the hazard classification for the managed substance is the proportion of the basic chemicals constituting the managed substance. It is decided by rule.

단일물질은 한 종류의 기본화학물질로 구성된 화학물질이므로, 구성된 기본화학물질의 구성비율은 100%가 될 것이다.Since a single substance is a chemical composed of one basic chemical,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basic chemical will be 100%.

도 10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질분류 판정수단(33)은 기본화학물질 MSDS검색을 통해서 상세 내역을 조회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기 작성된 기본화학물질 MSDS을 조회하는 작업은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고 이를 통해 혼합물질을 생성하거나 단일물질 MSDS의 활용에 이용한다.As shown in Figure 10a, the substance classification determination means 33 provides a function for inquiring details through the basic chemical substance MSDS search. Inquiry of the basic MSDS that has been prepared is performed by the user, and the mixture is used to generate the mixture or to use the MSDS.

물질검색은 물질명, 관용어/동의어, CAS NO, KE NO, EC NO, 본문 등 다양한 분류를 통해서 검색이 가능하며 검색어가 포함된 모든 단일물질을 조회할 수 있다. 검색된 단일물질을 선택하면 MSDS 등 기본화학물질의 상세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으며 출력 기능으로 손쉽게 자료를 받아서 활용할 수 있다.Substance search can be searched through various classifications such as substance name, idiom / synonyms, CAS NO, KE NO, EC NO, and the text, and can search all single substances including search terms. If you select the searched single substance, detailed information of basic chemicals such as MSDS can be inquired, and the data can be easily received and utilized.

한편, 물질분류 판정수단(33)은 기존 기본화학물질을 조회하여 선택하고 각 성분별 구성함유율을 입력하여 작성한다. 또한 제품명은 직접 입력하여 혼합물질을 구성한다. 도 10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본화학물질을 검색하여 선택한다. 다수의 기본화학물질을 선택할 수 있으며 기본화학물질에 대한 함유율을 입력하고 물질 저장을 수행한다. 총함유량이 100%가 아닌 경우는 경고 메시지를 띄어준다. 100%이하인 경우에도 혼합물질을 생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물질저장시 제품명 즉 혼합물질의 제품명을 입력할 수 있는 팝업 창이 뜬다.On the other hand, the material classification determination means 33 is prepared by inquiring to select the existing basic chemical substances and inputting the constituent content of each component. In addition, the product name is directly input to form a mixture. As shown in Figure 10b, the basic chemicals are searched and selected. You can select a number of basic chemicals, enter the content of the basic chemicals and perform storage of the substances. If the total content is not 100%, a warning message is displayed. If it is less than 100%, the mixture can be produced. When the substance is stored, a pop-up window will appear where you can enter the product name, ie the product name of the mixture.

그리고 물질분류 판정수단(33)은 도 10c와 도 10d와 같은 혼합물질에 대한 유해위험성 분류의 판정기준에 의해 유해위험성 분류를 판정한다. 도 10c는 급성독성물질에 대한 급성 독성치를 계산하는 공식이고, 도 10d는 독성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추정 규칙을 표로 제시한 일례이다.Subsequently, the substance classification determination means 33 determines the hazard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hazard classification for the mixture as shown in FIGS. 10C and 10D. FIG. 10C is a formula for calculating acute toxicity values for acute toxic substances, and FIG. 10D is an example in which tables of estimation rules are provided when no toxicity values exist.

물질분류 판정수단(33)은 모든 유해위험성 분류에 대하여 도 10c와 도 10d와 같은 판정기준을 가지고 있어, 이 판정기준에 의하여 혼합물질에 대한 유해위험성 분류를 판정한다. 이 때 상기 판정기준은 주로 단일물질의 구성 비율에 따라 결정되는 규칙이다.The substance classification determining means 33 has the same criterion as in Figs. 10C and 10D for all the hazard classifications, and determines the hazard classification for the mixture according to this criteria. At this time, the criterion is a rule main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ratio of a single substance.

또한, 물질분류 판정수단(33)은 관리물질이 단일물질인 경우에는, 관리물질을 구성하는 기본화학물질의 유해위험성 분류로 상기 관리물질의 유해위험성 분류한다. 앞서 본 바와 같이, 단일물질인 경우 기본화학물질의 구성비율은 100%가 될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management substance is a single substance, the substance classification determination means 33 classifies the hazard of the management substance as the hazard classification of the basic chemical substance constituting the management substance. As previously seen, the composition ratio of basic chemicals will be 100% for single substances.

한편,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물질분류 판정수단(33)이 혼합물질을 구성하 는 화학물질의 구성 비율을 입력받을 때, 기본화학물질을 검색하여 함유율을 입력받았으나, 기본화학물질 대신 단일물질을 검색하여 함유율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즉, 혼합물질이 구체적이고 실체적인 단일물질들의 혼합에서 이루어진 화학물질로도 볼 수 있으므로, 기본화학물질 대신 단일물질간의 함유율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hen the substance classification determination unit 33 receives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chemical substances constituting the mixture, the basic chemical substance is searched and the content rate is input. You can also enter the content by searching. That is, the mixture may be regarded as a chemical made from a mixture of specific and substantive single substances, and thus the content rate between single substances may be input instead of the basic chemical substance.

MSDS 작성수단(34)은 관리물질 각각에 대하여, 판정된 상기 관리물질의 유해위험성 분류에 대응하는 경고표지정보 및 상기 관리물질을 구성하는 기본화학물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물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자동으로 작성하여 저장한다.The MSDS creating means 34 uses, for each managed substance, warning labe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hazard classification of the managed substance and the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of the basic chemical substance constituting the managed substance. Automatically fill out and save Material Safety Data Sheets (MSDS) of the controlled substances.

특히, MSDS 작성수단(34)에서, 상기 물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에는 화학제품과 회사에 관한 정보, 유해위험성, 구성성분의 명칭 및 함유량, 응급조치요령, 폭발 화재시 대처방법, 누출 사고 시 대처방법, 취급 및 저장방법, 노출방지 및 개인보호구, 물리화학적 특성, 안정성 및 반응성, 독성에 관한 정보, 환경에 미치는 영향, 폐기시 주의사항, 운송에 필요한 정보, 법적 규제현황을 포함한다.In particular, in the MSDS preparation means 34, the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of the substance contains information on chemicals and companies, hazards, names and contents of components, first aid measures, fire-fighting measures, and leakage. Measures to be taken in case of accident, handling and storage, exposure protection and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safety and reactivity, toxicity information, environmental effects, disposal precautions, transport information, legal regulations .

한편, MSDS 작성수단(34)은 기본화학물질에 대한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정보를 이용하여 단일물질 또는 혼합물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생성한다. MSDS 작성수단(34)은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의 작성항목 중 표준문구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표준문구로 작성한다.On the other hand, the MSDS preparing means 34 generates MSDSs of a single substance or mixture using MSDS information on basic chemicals. MSDS preparing means 34 is written in the above standard text if there is a standard text among the preparation items of MSDS.

도 11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일물질 또는 혼합물질에 대하여 구성성분 및 함량이 입력되면, 상기 물질에 대한 물질안전보건자료(MSDS)가 자동으로 생성된다. 그런데 자동으로 생성된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는 관리자(11) 또는 사용자(12)에 의해 편집될 수 있어야 한다. 도 11d는 생성된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편집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편집화면에서 각 항목에 대한 내용이 표시된다. 세부항목으로 바로가기 기능이 있어 긴 내용의 MSDS의 편집을 쉽게 할 수 있다. 각 세부항목을 선택하면 수정화면으로 이동하고 해당 내용을 수정 및 추가 입력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1C, if a component and content is entered for a single substance or mixture, a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for that substance is automatically generated. However, the automatically generated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should be editable by the manager 11 or the user 12. FIG. 11D shows an example of an interface screen for editing the generated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The contents of each item are displayed on the edit screen. Shortcuts to sub-items make it easy to edit long MSDSs. If you select each detail item, you can move to the edit screen and edit and add the details.

예를 들면, 도 11e에서 보는 바와 같이, MSDS "1.화학제품과 회사에 관한 정보"의 수정화면으로 제품명에 대한 이미 입력된 내용이 표시되며 이를 수정 또는 삭제, 추가하는 작업이 가능하다. 또, 도 11f에서 보는 바와 같이, MSDS "4.응급조치요령"의 수정화면에서 이미 입력된 표준문구의 내용이 표시되며 이를 수정 또는 삭제, 추가하는 작업이 가능하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11e, the MSDS "1. Information on the chemicals and companies" is displayed on the already entered information on the product name, it is possible to modify, delete, or add it.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11f, the contents of the standard text already entered in the correction screen of the MSDS "4. First Aid Measures" is displayed, it is possible to modify, delete, or add it.

또, 혼합물질에 대한 예를 들면, 도 11e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혼합물질의 유해위험성은 단일물질의 GHS판정결과와 다른 항목("독성에 관한정보", "환경에 미치는 영향")정보로 다른 판정기준에 따라 판정한 결과를 표시하여 보여주며 사용자가 편집하여 수정이 불가하다. "가.유해위험성"과 "나.경고 표지 항목"은 중복된 항목은 제외하고 표시하며 "다. 유해.위험분류 기준에 포함되지 않는 기타 유해.위험성"은 각 성분별로 표시한다. 도 11h에서 보는 바와 같이, "4.응급조치요령"은 표준문구와 직접 입력된 항목으로 단일물질 MSDS에서 해당 항목을 검색하여 표준문구 는 중복을 제거하고 직접 입력된 항목은 성분별로 그 내역을 표시하며 단지 조회만 가능하다.In addi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E, the hazards of mixtures are different from the GHS determination results of a single substance and differ from the information ("Toxicological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Impact"). The result judged by the criteria is displayed and shown. The user cannot edit it. "A. Hazard" and "B. Warning Label" shall be labeled without overlapping items and "C. Other Hazards not included in Hazard Classification" shall be labeled for each component. As shown in FIG. 11H, “4. First Aid Measure” is an item directly inputted with a standard phrase, and a standard phrase is removed from a single substance MSDS, and the standard phrase is eliminated and the directly entered item is displayed by component. Only query is possible.

또, 경고표지 작성에 대한 예를 들면 도 11i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정보 중 "2. 유해위험성" 정보를 이용하여 경고표지가 작성 가능하도록 한다. In addi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I, a warning label can be prepared by using "2. Hazard risk" information in MSDS information.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방법을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GHS체계에 의한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Next, a method for creating and managing a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reating and managing a substance safety data sheet (MSDS) by a GH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본 바와 같이, GHS체계에 의한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방법도 한 종류의 기본화학물질로 이루어진 단일물질과 상기 다수의 단일물질들로 구성되는 혼합물질에 대하여, 상기 물질을 GHS체계에 의하여 유해위험성 분류를 판정한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preparing and managing a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according to the GHS system also includes the GHS system for a single substance consisting of a basic chemical substance and a mixture composed of the plurality of single substances. Hazard classification is determined by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3GHS체계에 의한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방법은 (a) 상기 관리물질에 대한 유해위험성 분류를 판정하는 기준, 상기 유해위험성 분류에 대응하는 경고표지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S10); (b) 상기 기본화학물질에 대하여, 표기정보 및 유해위험성 분류를 입력받고, 경고표지정보를 포함하는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작성하여 저장하는 단계(S20); (c) 상기 관리물질에 대하여, 상기 관리물질을 구성하는 다수의 기본화학물질의 구성 비율을 입력받고, 상기 구성비율에 따라 유해위험성 분류를 추정하는 판정기준에 따라 상기 관리물질의 유해위험성 분류를 판정하는 단계(S30); (d) 상기 관리물질 각각에 대하여, 판정된 상기 관리물질의 유해위험성 분류에 대응하는 경고표지정보 및 상기 관리물질을 구성하는 기본화학물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물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자동으로 작성하여 저장하는 단계(S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As shown in FIG. 12, the method of preparing and managing a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using the 3GHS system includes (a) inputting criteria for determining a hazard classification for the managed substance and warning labe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hazard classification. Receiving and storing (S10); (b) receiving the labeling information and the hazard classification for the basic chemical, and creating and storing a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including warning label information (S20); (c) For the managed substance, the ratio of the composition of the plurality of basic chemicals constituting the managed substance is input, and the hazard classification of the hazardous substance is classified according to a criterion for estimating the hazard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ratio. Determining (S30); (d) for each of the controlled substances, using the warning labe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hazardous hazard classification of the controlled substance and the MSDS of the basic chemicals constituting the managed substance, the managed substance; It includes a step (S40) to automatically create and save the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of.

특히, 상기 경고표지정보는 그림문자, 신호어, 유해위험문구, 예방조치문구 중 어느 하나 이상를 포함한다.In particular, the warning label information includes any one or more of pictograms, signal words, hazard statements, precautionary statements.

상기 (a)단계에서, 상기 기초자료 관리수단은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로 작성하는 항목에 대한 표준문구를 사전에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d)단계에서, 상기 관리물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로 작성하는 항목 중 표준문구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표준문구로 작성한다. 특히, 상기 표준문구는 응급조치, 폭발화재시 대처방법, 누출사고 시 대처방법, 취급 및 저장방법, 노출방지 및 개인보호구에 관하여 처리하는 설명을 포함한다.In the step (a), the basic data management means receives and stores in advance the standard phrases for the items written in the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in step (d), the material safety and health of the managed substance If there are standard phrases among the items written in the MSDS, the standard phrases shall be written. In particular, the standard text includes descriptions of first aid, firefighting measures, leaking measures, handling and storage, exposure prevention and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상기 (c)단계에서, 상기 관리물질을 구성하는 기본화학물질이 한 종류인 경우에는, 상기 기본화학물질의 유해위험성 분류로 상기 관리물질의 유해위험성 분류를 정하고, 상기 관리물질을 구성하는 기본화학물질이 두 종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관리물질에 대한 유해위험성 분류의 판정기준은 상기 관리물질을 구성하는 기본화학물질의 구성 비율에 의해서 규칙으로 정해진다.In the step (c), when there is one kind of basic chemicals constituting the managed substance, the hazard classification of the managed substanc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hazard classification of the basic chemical substance, and the basic chemistry constituting the managed substance. In the case of two or more types of substances,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hazard classification for the controlled substance is determined by the rule based on the proportion of the basic chemical substances constituting the controlled substance.

상기 (d)단계에서, 상기 관리물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에는 화학제품과 회사에 관한 정보, 유해위험성, 구성성분의 명칭 및 함유량, 응급조치요령, 폭발 화재시 대처방법, 누출 사고 시 대처방법, 취급 및 저장방법, 노출방지 및 개인보호구, 물리화학적 특성, 안정성 및 반응성, 독성에 관한 정보, 환경에 미치는 영향, 폐기시 주의사항, 운송에 필요한 정보, 법적 규제현황을 포함한다.In step (d), the MSDS of the controlled substance contains information on chemicals and the company, hazards, names and contents of components, first aid measures, fire-fighting measures, and leaks. Measures to be taken, handling and storage, exposure and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safety and reactivity, toxicity information, environmental effects, disposal precautions, transport information, legal regulations.

상기 (d)단계에서, 상기 물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로 작성하는 항목 중 표준문구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물질에 대해 표준문구의 추가 또는 삭제를 통하여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수정할 수 있다.In step (d), if there is a standard sentence among the items prepared by the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of the substance, the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can be modified by adding or deleting the standard phrase for the substance. have.

상기 GHS체계에 의한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방법에 대한 설명 중 미흡한 부분은 앞서 설명된 GHS체계에 의한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시스템에 대한 설명을 참고한다.For the insufficiency of the description of the method for managing the management of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by the GHS system, refer to the description of the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by the GHS system described above.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is inventor was demonstrated concretely according to the said Example,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xample, Of course, a various change is possible 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summary.

본 발명은 GHS체계에 의하여 유해위험성 분류를 판정하고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작성하여 관리하는 시스템 개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특히, GHS 전문기관에서는 GHS분류체계에 대한 기본 정보나 물질의 유해위험성 분류에 대응되는 취급정보를 표준화하여 작성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산업 체의 현장에서는 혼합물질의 유해위험성 분류를 추정하고 분류된 유해위험성에 따라 표준화된 문구를 이용하여 MSDS를 작성하도록 하는 시스템 개발에 적용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the field of system development that determines the hazard classification by the GHS system and prepares and manages the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In particular, GHS specialized institutions develop programs to standardize and prepare basic information on the GHS classification system and handl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hazard classification of substances. It is applicable to the development of a system to estimate classifications and to make MSDSs using standardized phrases according to classified hazards.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entire system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GHS체계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2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GHS system.

도 3은 GHS체계에 의한 유해위험성 분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3 shows an example of hazard classification by the GHS system.

도 4는 GHS체계에 의한 위험유해성 표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4 shows an example of the hazard indication by the GHS system.

도 5는 GHS체계에 의한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의 목차를 예시한 것이다.Figure 5 illustrates the contents of the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by the GHS system.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Figure 6 is a block diagram of the configuration of a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cre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GHS체계를 관리하는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7 illustrates a screen for managing a GH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기본화학물질을 관리하는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Figure 8 illustrates a screen for managing the basic chemic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단일물질의 유해위험성을 판정하는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9 illustrates a screen for determining a hazard of a single sub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혼합물질의 유해위험성을 판정하는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Figure 10 illustrates a screen for determining the harmful risk of the mix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물질의 MSDS를 작성하는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11 illustrates a screen for creating an MSDS of a sub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reating and managing a substance safety data sheet (MS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 관리자 단말기 12 : 사용자 단말기11: administrator terminal 12: user terminal

20 : 네트워크 30 : MSDS 작성관리 시스템20: Network 30: MSDS Creation Management System

31 : 기초자료 관리수단 32 : 기본물질 관리수단31: Basic data management means 32: Basic material management means

33 : 물질분류 판정수단 34 : MSDS 작성수단33: means for determining classification of substances 34: means for preparing MSDS

40 : 데이터베이스 41 : 유해위험성 분류 DB40: Database 41: Hazard Classification DB

42 : 취급정보 DB 43 : 기본물질정보 DB42: Handling information DB 43: Basic substance information DB

44 : MSDS정보 DB44: MSDS information DB

Claims (16)

하나 또는 두 종류 이상의 기본화학물질로 구성되는 화학물질(이하 관리물질)에 대하여, 상기 관리물질의 유해위험성 분류를 판정하고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작성하여 관리하는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시스템 수단으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for a chemical substance consisting of one or two basic chemical substanc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ntrolled substance), which determines the hazard classification of the controlled substance and prepares and manages a safety data sheet (MSD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operating a computer by means of a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상기 관리물질의 기본화학물질의 구성비율에 따라 상기 관리물질의 유해위험성 분류를 판정하는 기준(이하 분류판정기준), 및 상기 유해위험성 분류에 대응하는 경고표지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기초자료 관리수단;Basic data management means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hazard classification of the hazardous substan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classification criteria) and the warning labe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hazard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basic chemical substance of the managed substance. ; 상기 기본화학물질의 표기정보 및 유해위험성 분류를 입력받아, 경고표지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기본화학물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작성하여 저장하는 기본화학물질 관리수단;Basic chemical substance management means for receiving the labeling information and the hazard classification of the basic chemical substance, preparing and storing a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of the basic chemical substance including warning label information; 상기 관리물질을 구성하는 기본화학물질의 구성 비율을 입력받고, 상기 기초자료 관리수단에 의해 저장된 분류판정기준을 가져와서, 입력된 구성 비율을 상기 분류판정기준에 적용하여 상기 관리물질의 유해위험성 분류를 판정하는 물질분류 판정수단; 및Classification of the hazards of the managed substances by inputting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basic chemicals constituting the managed substance, taking the classification determination criteria stored by the basic data management means, and applying the input composition ratio to the classification determination criteria. Substance classification determination means for determining; And 상기 물질분류 판정수단에 의해 판단된 유해위험성 분류에 따라, 상기 관리물질의 유해위험성 분류에 대응하는 경고표지정보 및 상기 관리물질을 구성하는 기본화학물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물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작성하여 저장하되, 상기 경고표지정보는 상기 기초자료 관리수단에 의해 저장된 것을 이용하고, 상기 기본화학물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는 상기 기본화학물질 관리수단에 의해 저장된 것을 이용하는 MSDS 작성수단을 포함하고,According to the hazard classification determined by the substance classification determination means, using warning labe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hazard classification of the managed substance and the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of the basic chemical substance constituting the managed substance, The MSDS of the managed substance is prepared and stored, wherein the warning label information is stored by the basic data management means, and the safety data sheet of the basic chemical substance is the basic chemical substance management means. Means for creating an MSDS utilizing what is stored by 상기 유해위험성 분류는, 유해위험성 성질에 따른 유해위험성 클래스와, 유해위험성 수준에 따른 등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시스템 수단으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The hazard classification is composed of a hazard class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hazard, and a grade according to the hazard leve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uter program recording the program for operating the computer as a material safety management system (MSDS) creation management system means Recordable media that can be read by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위험성 클래스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azard class is 물리적 위험성, 건강유해성, 환경유해성을 포함하는 종류로 나누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시스템 수단으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records a program for operating a computer by means of a system for producing and managing a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characterized by being classified into types including physical hazards, health hazards, and environmental hazards.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표지정보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warning label information, 그림문자, 신호어, 유해위험문구, 예방조치문구 중 어느 하나 이상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시스템 수단으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operating a computer by means of a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a substance safety data sheet (MSDS), comprising one or more of pictograms, signal words, hazard statements, and precautionary statements.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예방조치문구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recautionary statement is, 예방조치 타이틀과 세부조치문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시스템 수단으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records a program for operating a computer by means of a MSDS creation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preventive action title and a detailed action statement.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기초자료 관리수단은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로 작성하는 항목에 대한 표준문구를 사전에 입력받아 저장하고,The basic data management means receives and stores in advance the standard phrases for the items prepared by the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상기 기본화학물질 관리수단 또는 MSDS 작성수단은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의 작성항목 중 표준문구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표준문구로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시스템 수단으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The basic chemical substance management means or the MSDS preparation means is a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preparation management system means, if there is a standard phrase among the preparation items of the MSDS.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operating a computer.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문구는,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tandard phrase, 응급조치, 폭발화재시 대처방법, 누출사고 시 대처방법, 취급 및 저장방법, 노출방지 및 개인보호구에 관하여 처리하는 설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시스템 수단으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omputer-aided safety data sheet (MSDS) creation and management system means that includes instructions on how to deal with first aid, explosive fires, how to handle leaks, handling and storage, prevention of exposure and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functioning.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화학물질 관리수단에서,According to claim 7, wherein in the basic chemical substance management means, 상기 기본화학물질의 표기정보는 물질명, CAS NO., KE NO., UN NO., EU NO., 이명을 포함하고, 상기 기본화학물질에 대하여 상기 표기정보로 검색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시스템 수단으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The notation information of the basic chemical substance includes a substance name, CAS NO., KE NO., UN NO., EU NO., Tinnitus, and the substance, characterized in that support the search by the notation information for the basic chemical substance Safety Data Sheet (MSD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records a program for making a computer function as a system for creating and managing a system.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분류 판정수단에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in the material classification determination means, 상기 관리물질을 구성하는 기본화학물질이 한 종류인 경우에는, 상기 기본화학물질의 유해위험성 분류로 상기 관리물질의 유해위험성 분류를 정하고,If there is only one type of basic chemical constituting the managed substance, the hazard classification of the hazardous substance is determined by the hazard classification of the basic chemical substance, 상기 관리물질을 구성하는 기본화학물질이 두 종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관리물질에 대한 유해위험성 분류의 판정기준은 상기 관리물질을 구성하는 기본화학물질의 구성 비율에 의해서 규칙으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시스템 수단으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When there are two or more kinds of basic chemicals constituting the managed substance, the criterion of classification of the hazard classification for the managed substance is determined by a rule based on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basic chemicals constituting the managed substance.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records a program for making a computer function as a system of written management systems.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MSDS 작성수단에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in the MSDS creating means, 상기 관리물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에는 화학제품과 회사에 관한 정보, 유해위험성, 구성성분의 명칭 및 함유량, 응급조치요령, 폭발 화재시 대처방법, 누출 사고 시 대처방법, 취급 및 저장방법, 노출방지 및 개인보호구, 물리화학적 특성, 안정성 및 반응성, 독성에 관한 정보, 환경에 미치는 영향, 폐기시 주의사항, 운송에 필요한 정보, 법적 규제현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시스템 수단으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The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for these substances contains: information on chemicals and companies, hazards, component names and contents, first aid measures, first aid measures, first aid measures, first aid measures, methods of handling spills, handling and storage. Safety data sheets, including exposure control and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safety and reactivity, toxicity information, environmental effects, disposal precautions, transport information, legal regulations ( MSD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records a program for operating a computer by means of a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하나 또는 두 종류 이상의 기본화학물질로 구성되는 화학물질(이하 관리물질)에 대하여, 상기 관리물질의 유해위험성 분류를 판정하고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작성하여 관리하는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방법을 컴퓨터에 수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for a chemical substance consisting of one or two basic chemical substanc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ntrolled substance), which determines the hazard classification of the controlled substance and prepares and manages a safety data sheet (MSD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a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on a computer, (a) 상기 관리물질의 기본화학물질의 구성비율에 따라 상기 관리물질의 유해위험성 분류를 판정하는 기준(이하 분류판정기준), 및 상기 유해위험성 분류에 대응하는 경고표지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a) receiving and storing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classification of hazards of the managed substanc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classification criteria) and the warning labe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hazards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basic chemical substances of the managed substances; ; (b) 상기 기본화학물질의 표기정보 및 유해위험성 분류를 입력받아, 경고표지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기본화학물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작성하여 저장하는 단계;(b) receiving the labeling information and the hazard classification of the basic chemicals, and preparing and storing a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of the basic chemicals including warning label information; (c) 상기 관리물질을 구성하는 기본화학물질의 구성 비율을 입력받고, 상기 (a)단계에서 저장된 분류판정기준을 가져와서, 입력된 구성 비율을 상기 분류판정기준에 적용하여 상기 관리물질의 유해위험성 분류를 판정하는 단계; 및(c) receiving a composition ratio of the basic chemicals constituting the managed substance, taking the classification determination criteria stored in step (a), and applying the inputted composition ratio to the classification determination criteria to delete the harmful substances of the managed substance; Determining a risk classification; And (d) 상기 관리물질 각각에 대하여, 상기 (c)단계에서 판정된 상기 관리물질의 유해위험성 분류에 대응하는 경고표지정보 및 상기 관리물질을 구성하는 기본화학물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물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자동으로 작성하여 저장하되, 상기 경고표지정보는 상기 (a)단계에서 저장된 것을 이용하고, 상기 기본화학물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는 상기 (b)단계에서 저장된 것을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d) For each of the controlled substances, warning labe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hazard classification of the managed substance determined in step (c) and the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of the basic chemical substance constituting the managed substance. By using the MSDS of the managed substance is automatically created and stored, the warning label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tep (a) using the material safety data sheet of the basic chemicals ( using step stored in step b), 상기 유해위험성 분류는, 유해위험성 성질에 따른 유해위험성 클래스와, 유해위험성 수준에 따른 등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방법을 컴퓨터에 수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The hazard classification is a computer that records a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of managing a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on a computer, comprising a hazard class according to a hazard property and a grade according to a hazard level. Readable record carrier.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표지정보는,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warning label information, 그림문자, 신호어, 유해위험문구, 예방조치문구 중 어느 하나 이상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방법을 컴퓨터에 수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a method of preparing and managing a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pictogram, a signal word, a hazard statement and a precautionary statement. 제 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a)단계에서, 상기 기초자료 관리수단은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로 작성하는 항목에 대한 표준문구를 사전에 입력받아 저장하고,In the step (a), the basic data management means receives and stores in advance the standard phrases for the items written in the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상기 (d)단계에서, 상기 관리물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로 작성하는 항목 중 표준문구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표준문구로 작성하고,In the step (d), if there is a standard phrase among the items prepared by the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of the controlled substance, the standard phrase is written. 상기 표준문구는 응급조치, 폭발화재시 대처방법, 누출사고 시 대처방법, 취급 및 저장방법, 노출방지 및 개인보호구에 관하여 처리하는 설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방법을 컴퓨터에 수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The standard statement contains and manages first aid, fire and fire fighting measures, spillage handling, handling and storage, exposure prevention and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performing a method on a computer.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in step (c), 상기 관리물질을 구성하는 기본화학물질이 한 종류인 경우에는, 상기 기본화학물질의 유해위험성 분류로 상기 관리물질의 유해위험성 분류를 정하고,If there is only one type of basic chemical constituting the managed substance, the hazard classification of the hazardous substance is determined by the hazard classification of the basic chemical substance, 상기 관리물질을 구성하는 기본화학물질이 두 종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관리물질에 대한 유해위험성 분류의 판정기준은 상기 관리물질을 구성하는 기본화학물질의 구성 비율에 의해서 규칙으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방법을 컴퓨터에 수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When there are two or more kinds of basic chemicals constituting the managed substance, the criterion of classification of the hazard classification for the managed substance is determined by a rule based on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basic chemicals constituting the managed substanc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records a program for computer-implementing a method of managing a safety data sheet (MSDS).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in step (d), 상기 관리물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에는 화학제품과 회사에 관한 정보, 유해위험성, 구성성분의 명칭 및 함유량, 응급조치요령, 폭발 화재시 대처방법, 누출 사고 시 대처방법, 취급 및 저장방법, 노출방지 및 개인보호구, 물리화학적 특성, 안정성 및 반응성, 독성에 관한 정보, 환경에 미치는 영향, 폐기시 주의사항, 운송에 필요한 정보, 법적 규제현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관리 방법을 컴퓨터에 수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The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for these substances contains: information on chemicals and companies, hazards, component names and contents, first aid measures, first aid measures, first aid measures, first aid measures, methods of handling spills, handling and storage. Safety data sheets, including exposure control and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safety and reactivity, toxicity information, environmental effects, disposal precautions, transport information, legal regulations ( MSD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records a program for executing a management method on a computer. 삭제delete
KR1020080054040A 2008-06-10 2008-06-10 A MSDSMaterial Safety Data Sheet editing system according to GHS and the method KR1010851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040A KR101085109B1 (en) 2008-06-10 2008-06-10 A MSDSMaterial Safety Data Sheet editing system according to GHS and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040A KR101085109B1 (en) 2008-06-10 2008-06-10 A MSDSMaterial Safety Data Sheet editing system according to GHS and the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8049A KR20090128049A (en) 2009-12-15
KR101085109B1 true KR101085109B1 (en) 2011-11-21

Family

ID=41688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4040A KR101085109B1 (en) 2008-06-10 2008-06-10 A MSDSMaterial Safety Data Sheet editing system according to GHS and th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510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1369A (en) 2019-05-13 2020-11-24 시알시피 주식회사 Alarm system for toxic substance using material safety data sheet
KR102209133B1 (en) * 2020-04-27 2021-01-28 주식회사 뉴로라인즈 Reading and processing system for material safety data shee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907B1 (en) * 2013-03-28 2013-09-10 최재욱 Toxic substance grouping system with globally harmonized system
KR20160112075A (en) 2015-03-17 2016-09-28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Providing MSDS(Material Safety Data Sheet)
KR102072067B1 (en) * 2019-08-01 2020-03-02 안전성평가솔루션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chemical material registering service conducting collection, analysis, and safty assessment of chemical material usage
WO2021020926A1 (en) * 2019-08-01 2021-02-04 안전성평가솔루션(주) Method for providing chemical substance registration service for conducting collection, analysis, and safety assessment of chemical substance usage
KR102370856B1 (en) * 2020-03-20 2022-03-07 주식회사 제이에이치씨 Cargo Receiving and Forwarding System
KR102206915B1 (en) * 2020-05-04 2021-01-25 박상희 Method for estimating adequacy of material safety data sheet and program performing therefor
KR102314955B1 (en) * 2020-05-28 2021-10-21 안전성평가솔루션(주) A USE-MAP establishment and error detection system for new materials or usage information through analysis of big data patterns of chemicals and chemicals using machine learning
KR102446754B1 (en) * 2020-08-21 2022-09-26 (주)헤르스 Intelligent Assistant System for Chemical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6693A (en) 2002-01-23 2003-07-31 Dainippon Ink & Chem Inc Msds preparation system, msds preparation method, and program therefor
JP2003331077A (en) 2002-05-10 2003-11-21 Jsr Corp System for automatically creating msds
JP2004038674A (en) * 2002-07-04 2004-02-05 Solsystems Corp Data sheet creating system and chemical information system
JP2005310036A (en) * 2004-04-26 2005-11-04 Sumitomo Chemical Co Ltd Product safety data sheet creating system, method, and its progra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6693A (en) 2002-01-23 2003-07-31 Dainippon Ink & Chem Inc Msds preparation system, msds preparation method, and program therefor
JP2003331077A (en) 2002-05-10 2003-11-21 Jsr Corp System for automatically creating msds
JP2004038674A (en) * 2002-07-04 2004-02-05 Solsystems Corp Data sheet creating system and chemical information system
JP2005310036A (en) * 2004-04-26 2005-11-04 Sumitomo Chemical Co Ltd Product safety data sheet creating system, method, and its progra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1369A (en) 2019-05-13 2020-11-24 시알시피 주식회사 Alarm system for toxic substance using material safety data sheet
KR102209133B1 (en) * 2020-04-27 2021-01-28 주식회사 뉴로라인즈 Reading and processing system for material safety data shee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8049A (en) 200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5109B1 (en) A MSDSMaterial Safety Data Sheet editing system according to GHS and the method
Maguire Safety cases and safety reports: meaning, motivation and management
US6397115B1 (en) Hazardous material classification system
Amyotte et al. Incorporation of inherent safety principles in process safety management
Abidin et al. Development of inherent safety benefits index to analyse the impact of inherent safety implementation
US20090241165A1 (en) Compliance policy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Skelton Process safety analysis: An introduction
Rasmussen et al. Hazard identification based on plant functional modelling
Zhang et al. Systems approach for the safety and security of hazardous chemicals
Yang et al. Human factor analysis and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oil, gas, and process industry
Seaton et al. A framework for integrating information resources for chemical emergency management and response
Rasmussen et al. Plant functional modelling as a basis for assessing the impact of management on plant safety
Theis et al. Inherently safer design concepts applied to laboratories
Cahn et al. Best practices in chemical management for textile manufacturing
Frias et al. Nuclear Facility Safety at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Sörensen et al. Sustainable chemical warehousing
Oleinick et al. Risk management for hazardous chemicals: OSHA's hazard communication standard and EPA's emergency planning and community right‐to‐know regulations
Wang et al. Risk-based verification of large offshore systems
US20030004654A1 (en) Safety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s of same
SUSANTO et al. Chemical inventory and management in PTFI quality control laboratory
Vrancken Theories, Concepts and Industrial Examples for Achieving Sustainable Chemical Products and Processes from a Non-Technological Viewpoint
Winder Chemical hazards in the organisation
Savitskaya et al. Aims of Green Chemistry
Orders Hazard communication program
Prine et al. Expert system for fire and reactivity MSDS tex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