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5056B1 - 디지털 감시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감시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5056B1
KR101085056B1 KR1020110011851A KR20110011851A KR101085056B1 KR 101085056 B1 KR101085056 B1 KR 101085056B1 KR 1020110011851 A KR1020110011851 A KR 1020110011851A KR 20110011851 A KR20110011851 A KR 20110011851A KR 101085056 B1 KR101085056 B1 KR 101085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digital
monitoring device
field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1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환범
장양순
Original Assignee
(주)가온테크
장양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가온테크, 장양순 filed Critical (주)가온테크
Priority to KR1020110011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50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Alarm generation, e.g. communication protocol; Forms of alar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2Presentation of monitored results, e.g. selection of status reports to be displayed; Filtering information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0/00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감시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변전소 주 설비의 감시, 제어, 계측 기능을 통신방식으로 운영하는 디지털 감시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감시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원격소 장치로부터 아날로그 계측정보를 수신하고, 변전소 주 현장 설비의 감시, 제어, 계측기능을 통신방식으로 운영하는 디지털 감시장치; 및 현장 설비로부터 전송되는 상태정보를 디지털 감시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제어신호를 현장 설비로 전달하여 설비가 제어되도록 하는 현장 정보처리반;을 포함하며, 디지털 감시장치는 현장 설비의 감시, 제어 및 계측에 따른 운영보고서를 생성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오류(Error)발생 시 자동 안내 팝업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감시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monitoring digital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디지털 감시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한국전력공사 변전소 주 설비의 감시, 제어, 계측 기능을 통신방식으로 운영하는 디지털 감시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발전한 전력을 수용가에게 공급하는 과정에서는 여러 단계에 걸쳐 전압을 승압해주거나 강압시켜 줄 필요가 있으며 또 발전력 송전력을 집중하거나 배분해 줄 필요가 있다. 변전소는 이러한 역할 이외에도 전압의 변성과 조정, 전력의 집중과 배분, 전력 조류 제어, 송배전 선로 및 변전소에 설치된 설비를 보호한다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전력 설비는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자연 재해에 노출되고 있고 과부하에 의해서 설비가 위험 상태에 빠지기 쉬울 뿐만 아니라 설비 자체에도 사고가 일어날 가능성이 많다. 이와 같은 사태에 대비해서 송배전선로 및 변전소를 보호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전선로를 차단하는 복수개의 차단기가 설치된다.
변전소에는 수용가로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복잡한 설비가 갖추어지게 되며, 이러한 변전소에 설치된 차단기와 같은 각종 장치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여 고장의 징후를 미리 발견하여 대비하거나 아니면 발생된 고장에 신속히 대응하여 복구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되고 있다.
종래기술은 현장설비 감시를 위해 중앙감시실에 설치하는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을 자립형 Panel로 제작 및 설치하였는데 보통 1면의 Panel 크기는 너비: 1100mm, 깊이: 800mm, 높이: 2350mm 이며, 4면의 Panel를 수평으로 열반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설치가 가능하였다.
현장설비 측에는 설비와 가장 근접한 곳에 정보처리반 Panel를 설치하여 아날로그 방식으로 현장설비와 케이블을 포설 및 결선하였는데, 중앙감시실에 설치된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과는 통신(RS-232)방식으로 연결되어 현장설비에 대한 상태정보를 제공하며, 축소형 모자익배전반에서 운영자가 제어조작 명령을 위해 스위치를 조작하면 해당 제어신호를 통신으로 받아 현장설비측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그런데 문제점은 중앙감시실에 설치된 축소형 모자익배전반에 있다. 본래 이러한 형태의 모자익배전반은 과거 현장설비측과 중간에 정보처리반을 거치지 않고 직접 현장과 중앙감시실까지 아날로그 방식으로 케이블을 포설, 결선하여 현장설비를 감시 및 제어하였는데 과거 방식의 축소형 모자익배전반을 중앙감시실에 설치한 후 현장 정보처리반과 통신방식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모자익배전반 전면에 부착된 각종 아날로그 방식의 스위치 및 버튼, 경보창구 등을 이용하여 감시 및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르면 통신상태가 정상인 경우에도 각종 스위치 및 램프가 불량인 경우 해당 설비의 감시 및 제어가 불가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 안정적인 운영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으며, 아날로그 방식의 각종 스위치 및 버튼, 경보창구 등을 설치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각종 통신모듈들을 추가로 설치하여 제품 단가를 높였으며, 현장설비 증설 시에는 반드시 이에 대응하는 용량의 정보처리반 및 축소형 모자익배전반을 추가로 증설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중으로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 대신 디지털 감시장치인 Workstation PC로 대체하되 주장치(PC)에 소프트웨어(HMI)를 탑재시켜 변전소 설비에 대한 상태 감시, 설비 제어, 설비 계측 감시를 하도록 하는 디지털 감시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현장설비측의 상호 인터락조건을 편집 및 운영하도록 하여 운영자의 오조작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디지털 감시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원격소장치로부터 아날로그 계측정보를 수신하고, 변전소 주 현장 설비의 감시, 제어, 계측기능을 통신방식으로 운영하는 디지털 감시장치(100); 및 현장 설비로부터 전송되는 상태정보를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현장 설비로 전달하여 설비가 제어되도록 하는 현장 정보처리반(200);을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는 상기 현장 설비의 감시, 제어 및 계측에 따른 운영보고서를 생성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오류(Error)발생 시 자동 안내 팝업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변전소 설비에 대한 상태 감시, 설비 제어, 설비 계측 감시하여 각종 이벤트(상태 경보, 계측 상 하한치 초과, 통신 이상 등) 발생시 경보내역이 표시되거나 경보음이 출력하고, 현장 설비의 감시, 제어 및 계측에 따른 운영보고서를 일보 또는 월보형식으로 제공하며, 운용자의 실수에 따른 제어신호 입력을 분석하여 자동 안내 팝업화면을 제공하여 운용자가 쉽게 현장설비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현장설비측의 상호 인터락조건을 편집 및 운영하도록 하여 운영자의 오조작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하여 안정적인 설비 운영에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감시 제어시스템에 대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감시 제어방법에 관한 전체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락 조건제어에 관한 상세흐름도.
본 발명은 디지털 감시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원격소 장치로부터 아날로그 계측정보를 수신하고, 변전소 주 현장 설비의 감시, 제어, 계측기능을 통신방식으로 운영하는 디지털 감시장치(100); 및 현장 설비로부터 전송되는 상태정보를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현장 설비로 전달하여 설비가 제어되도록 하는 현장 정보처리반(200);을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는 상기 현장 설비의 감시, 제어 및 계측에 따른 운영보고서를 생성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이벤트 정보를 분석하여 오류(Error)발생 시 자동 안내 팝업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현장 정보처리반(200)은, 상기 현장 설비를 감시하여 취득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로 전달하는 감시모듈(210); 및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현장 설비를 제어하는 제어모듈(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100)는, 상태 경보정보, 계측 상-하한치 초과 및 통신 이상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이벤트 정보 발생 시, 경보내역을 표시하거나 경보음이 출력하도록 하는 이벤트 출력모듈(1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100)는, 상기 현장 설비의 감시, 제어 및 계측에 따른 운영보고서를 24시간 주기로 전압, 전력, 전류, 전력량, 역율계산기록(순시치), 유효/무효전력(순시치), 최대전력(시간), 부하율, 전압최대/최소치(시간) 및 1일 평균 공급시간수를 포함하는 일일 운영정보를 기록하는 일보 운영기록모듈(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100)는, 상기 현장 설비의 감시, 제어 및 계측에 따른 운영보고서를 월 주기로 전압, 전력, 전류, 전력량, 역율계산기록(순시치), 유효/무효전력(순시치), 최대전력(시간), 부하율, 전압최대/최소치(시간) 및 1개월 평균 공급시간수를 포함하는 월 운영정보를 기록하는 월보 운영기록모듈(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이벤트 정보를 분석하여 오류(Error)발생 시 자동 안내 팝업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제어신호 분석모듈(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통해 선택되는 현장설비의 인터락 조건입력데이터를 수신하고, Open 제어, Close 제어 및 제어선택 취소 중 어느 하나를 제어선택 입력으로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151); 해당 현장 설비별 인터락 조건을 저장하는 인터락 데이터베이스(152);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신한 입력 중, 선택되는 현장설비의 인터락 조건입력데이터를 상기 인터락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현장설비와의 상호 인터락 조건을 비교하는 인터락 비교부(153); 및 상기 인터락 비교부의 비교결과, 상기 인터락 조건 입력데이터가 해당 현장설비의 인터락 조건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신한 제어선택 입력에 따라 제어실행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현장 정보처리반으로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제어실행부(15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인터락 데이터베이스는, 154kV BUS;TIE Section 전력설비, 23kV BUS;TIE Section 전력설비, 23kV DL;S.Tr;S.C 전력설비 및 M.Tr 전력설비를 포함하는 인터락 조건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디지털 감시 제어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에 있어서, (a) 디지털 감시장치가 원격소 장치로부터 아날로그 계측정보를 수신하고 변전소 주 현장 설비의 감시, 제어, 계측기능 중 어느 하나의 제어신호를 현장 정보처리반으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가 현장 정보처리반을 통해 상기 현장 설비로부터 전송되는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현장 정보처리반이 현장 설비로 전달하여 설비가 제어되도록 하는 단계; (c)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가 상기 현장 설비의 감시, 제어 및 계측에 따른 운영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가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이벤트 정보를 분석하여 오류(Error)발생 시 자동 안내 팝업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b) 단계는, (b-1) 상기 현장 정보처리반이 상기 현장 설비를 감시하여 취득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및 (b-2) 상기 현장 정보처리반이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현장 설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 (d) 단계는, (d-1)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가 상태 경보정보, 계측 상-하한치 초과 및 통신 이상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이벤트 정보 발생 시, 경보내역을 표시하거나 경보음이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 (c) 단계는, (c-1)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가 상기 현장 설비의 감시, 제어 및 계측에 따른 운영보고서를 24시간 주기로 전압, 전력, 전류, 전력량, 역율계산기록(순시치), 유효/무효전력(순시치), 최대전력(시간), 부하율, 전압최대/최소치(시간) 및 1일 평균 공급시간수를 포함하는 일일 운영정보를 일보 운영기록모듈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 (c) 단계는, (c-2)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가 상기 현장 설비의 감시, 제어 및 계측에 따른 운영보고서를 월 주기로 전압, 전력, 전류, 전력량, 역율계산기록(순시치), 유효/무효전력(순시치), 최대전력(시간), 부하율, 전압최대/최소치(시간) 및 1개월 평균 공급시간수를 포함하는 월 운영정보를 월보 운영기록모듈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제 (a) 단계 이후, (a-1)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가 외부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통해 선택되는 현장설비의 인터락 조건입력데이터를 수신하고, Open 제어, Close 제어 및 제어선택 취소 중 어느 하나를 제어선택 입력으로 수신하는 단계; (a-2)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가 수신한 입력 중, 선택되는 현장설비의 인터락 조건입력데이터를 인터락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현장설비와의 상호 인터락 조건을 인터락 비교부를 통해 비교하는 단계; 및 (a-3)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가 상기 제 (a-2) 단계의 비교결과, 상기 인터락 조건 입력데이터가 해당 현장설비의 인터락 조건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신한 제어선택 입력에 따라 제어실행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현장 정보처리반으로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감시 제어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소 장치, 디지털 감시장치(100), 현장정보 처리반(200), 현장설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디지털 감시장치(100)는 원격소 장치로부터 아날로그 계측정보를 수신하고, 변전소 주 현장 설비의 감시, 제어, 계측기능을 통신방식으로 운영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디지털 감시장치는 상기 현장 설비의 감시, 제어 및 계측에 따른 운영보고서를 생성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오류(Error)발생 시 자동 안내 팝업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감시 제어시스템은, 중앙감시실엔 디지털 감시장치(PC)에 소프트웨어(HMI)를 탑재시켜 변전소 현장 설비에 대한 상태 감시, 설비 제어, 설비계측 감시를 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감시장치의 하드웨어 상세사양을 살펴보면, CPU : Dual Core, 2.0GHz 이상, Main Memory 2GB이상, HDD : 500GB이상, Ethernet 1port 이상, USB 2.0 2Port 이상, LCD : 24" 이상 1대, Key Board, Mouse를 포함한다.
또한 디지털 감시장치의 소프트웨어는 시스템 기동 기능, 상태 감시 기능, 설비 제어기능, 계측 감시 기능, 자료취득 처리 기능, 테이터 통신기능, MMI(Man & Machine Interface)기능, 보고서 생성 기능, 인터락 편집 기능을 한다.
우선, 시스템 기동 기능을 설명하면, 시스템 실행시 모든 프로그램 자동 팝업 기능과 시스템 종료시 모든 프로그램 자동 Down 기능을 한다.
또한 상태 감시 기능을 설명하면, 설비 개폐 상태, 계전기 동작 상태, SOE(Sequence Of Event) 정보, 기타 접점 상태를 감시한다.
또한 설비 제어 기능을 설명하면, 2원상태 조작(Open / Close Control), 증감 조작(TAP Raise / Lower Control) 제어를 한다.
또한 계측 감시 기능은, 전압, 전류, 유효/무효전력과, 기타 계측요소 (온도, 주파수 등)를 계측 감시 한다.
또한 자료취득 처리 기능은 각종 상태경보 이벤트 처리(화면 또는 프린터 출력)와 계측 상, 하한치 초과 이벤트 처리(화면 또는 프린터 출력)와 디지털 감시제어장치 <--> 현장정보처리반 통신이상 처리(화면 또는 프린터 출력)와 지난 정보(각종 이벤트, 데이터베이스 수정 내역, 통신 이상 처리 내역 등)에 대한 일괄 검색 및 출력 기능을 갖고 데이터베이스 추가, 변경, 삭제, 출력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데이터 통신기능은 디지털 감시제어장치 <--> 현장정보처리반 통신 처리와, 디지털 감시제어장치 <--> 원격소장치 통신 처리를 한다.
또한 MMI(Man & Machine Interface) 기능은 운용자의 모든 조작은 키보드 및 마우스를 통해 수행되고 모든 조작 내용은 모니터에 실시간 표시 가능하고, 운용자의 모든 조작은 운용자의 실수에 따른 Error 처리(Error 를 범했을때 자동 안내 팝업화면 제공 등)가 가능하며, 각종 이벤트(상태 경보 및 계측 상,하한치 초과, 통신 이상 등) 발생시 운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경보내역이 표시되거나 경보음이 출력된다. 그리고 모든 설비 상태는 화면상에 한눈에 파악될 수 있도록 One-Line Diagram 형태로 제공한다.
또한 보고서 생성 기능은 보고서(일보, 월보) 생성 기능에서 일보 기록 : 24시간 주기로 전압, 전력, 전류, 전력량, 역율계산기록(순시치), 유효/무효전력(순시치), 전력, 최대전력(시간), 부하율, 전압최대/최소치(시간) 및 1일 평균 공급시간수 등의 기록이 가능하다.
그리고 보고서(속보, 일보, 월보) 출력 기능에서 31일 주기로 아날로그 데이터 조합, 계산 기록이 가능하다.
또한 인터락 편집 기능은 운영자가 설비를 조작할 때 필요한 인터락 조건을 편집하는 기능으로 운영자의 제어 명령이 정보처리반으로 전달되기 전에 운영자의 제어 명령이 인터락 조건에 부합되었는지를 사전에 확인하는 기능을 편집하는 기능이다. 현장설비는 상호간 인터락 조건에 따라 제어되지 않으면 설비에 물리적인 충격을 줄 수 있거나 사고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인터락 조건은 매우 중요한 설비 보호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감시장치와 현장 정보처리반 간의 통신방식은 Ethernet(10/100Mbps)/Optic으로 하고, DNP Kepco 1.0 통신 프로토콜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디지털 감시장치(100)는, 이벤트 출력모듈(110), 일보 운영기록모듈(120), 월보 운영기록모듈(130), 제어신호 분석모듈(140), 인터락 편집모듈(150)을 포함하는데, 이를 설명하면,
이벤트 출력모듈은 상태 경보정보, 계측 상 하한치 초과 및 통신 이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이벤트 발생 시, 경보내역을 표시하거나 경보음이 출력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일보 운영기록모듈은 상기 현장 설비의 감시, 제어 및 계측에 따른 운영보고서를 24시간 주기로 전압, 전력, 전류, 전력량, 역율계산기록(순시치), 유효/무효전력(순시치), 최대전력(시간), 부하율, 전압최대/최소치(시간) 및 1일 평균 공급시간수를 기록한다.
월보 운영기록모듈은 현장 설비의 감시, 제어 및 계측에 따른 운영보고서를 월 주기로 전압, 전력, 전류, 전력량, 역율계산기록(순시치), 유효/무효전력(순시치), 최대전력(시간), 부하율, 전압최대/최소치(시간) 및 1개월 평균 공급시간수를 기록하는 구성이다.
제어신호 분석모듈은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오류(Error)발생 시 자동 안내 팝업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인터락 편집모듈은 설비 상호간 인터락을 편집, 등록하여 운영자의 설비에 대한 제어 조작시 사전에 등록된 인터락 조건과 일치한 경우에만 제어 명령이 현장정보처리반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현장 정보처리반(200)은 현장 설비로부터 전송되는 상태정보를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현장 설비로 전달하여 설비가 제어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현장 정보처리반(200)은, 현장 설비를 감시하여 취득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로 전달하는 감시모듈(210)과, 디지털 감시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현장 설비를 제어하는 제어모듈(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감시모듈은 CPU : 32 Bit, 50MHz이상에 32 Point/Module, 감시전원 : DC 48V이고, 제어모듈은 CPU : 32 Bit, 50MHz이상, 16 Point/Module(Trip/Close 1 Set), 제어전원 : DC 24V, 접점형식 : Dry Contact이다.
통신프로토콜은 HMI <--> 정보처리반 I/O 모듈 : DNP Kepco 1.0 (Ethernet/Optic) : 정보처리반에 HUB를 설치하여 HMI와 각각의 I/O Module간 개별 Ethernet 통신을 하고, HMI <--> 원격소장치 : RS-485 통신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현장 정보처리반(200)의 감시모듈은, 현장 설비의 상태정보를 감시하기 위한 최대 포인트 용량을 32 포인트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현장 정보처리반의 제어모듈은, 현장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최대 포인트 용량을 16 포인트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감시 제어시스템은 디지털 감시장치(PC)의 DB작업을 하여 추가 제품설치없이 DB작업만으로 증설이 가능하므로, 저비용, 고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100 : 디지털 감시 장치
110 : 이벤트 출력모듈
120 : 일보운영기록모듈
130 : 월보운영기록모듈
140 : 제어신호 분석 모듈
150 : 인터락 편집모듈
151 : 인터페이스부
152 : 인터락 데이터베이스
153 : 인터락 비교부
154 : 제어실행부
200 : 현장 정보처리반
210 : 감시모듈
220 : 제어모듈

Claims (14)

  1. 디지털 감시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원격소 장치로부터 아날로그 계측정보를 수신하고, 변전소 주 현장 설비의 감시, 제어, 계측기능을 통신방식으로 운영하는 디지털 감시장치(100); 및
    현장 설비로부터 전송되는 상태정보를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현장 설비로 전달하여 설비가 제어되도록 하는 현장 정보처리반(200);을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는 상기 현장 설비의 감시, 제어 및 계측에 따른 운영보고서를 생성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이벤트 정보를 분석하여 오류(Error)발생 시 자동 안내 팝업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통해 선택되는 현장설비의 인터락 조건입력데이터를 수신하고, Open 제어, Close 제어 및 제어선택 취소 중 어느 하나를 제어선택 입력으로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151);
    해당 현장 설비별 인터락 조건을 저장하는 인터락 데이터베이스(152);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신한 입력 중, 선택되는 현장설비의 인터락 조건입력데이터를 상기 인터락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현장설비와의 상호 인터락 조건을 비교하는 인터락 비교부(153); 및
    상기 인터락 비교부의 비교결과, 상기 인터락 조건 입력데이터가 해당 현장설비의 인터락 조건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신한 제어선택 입력에 따라 제어실행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현장 정보처리반으로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제어실행부(1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감시 제어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정보처리반(200)은,
    상기 현장 설비를 감시하여 취득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로 전달하는 감시모듈(210); 및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현장 설비를 제어하는 제어모듈(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감시 제어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100)는,
    상태 경보정보, 계측 상-하한치 초과 및 통신 이상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이벤트 정보 발생 시, 경보내역을 표시하거나 경보음이 출력하도록 하는 이벤트 출력모듈(1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감시 제어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100)는,
    상기 현장 설비의 감시, 제어 및 계측에 따른 운영보고서를 24시간 주기로 전압, 전력, 전류, 전력량, 역율계산기록(순시치), 유효/무효전력(순시치), 최대전력(시간), 부하율, 전압최대/최소치(시간) 및 1일 평균 공급시간수를 포함하는 일일 운영정보를 기록하는 일보 운영기록모듈(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감시 제어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100)는,
    상기 현장 설비의 감시, 제어 및 계측에 따른 운영보고서를 월 주기로 전압, 전력, 전류, 전력량, 역율계산기록(순시치), 유효/무효전력(순시치), 최대전력(시간), 부하율, 전압최대/최소치(시간) 및 1개월 평균 공급시간수를 포함하는 월 운영정보를 기록하는 월보 운영기록모듈(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감시 제어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이벤트 정보를 분석하여 오류(Error)발생 시 자동 안내 팝업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제어신호 분석모듈(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감시 제어시스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락 데이터베이스는, 154kV BUS;TIE Section 전력설비, 23kV BUS;TIE Section 전력설비, 23kV DL;S.Tr;S.C 전력설비 및 M.Tr 전력설비를 포함하는 인터락 조건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감시 제어시스템.
  9. 디지털 감시 제어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에 있어서,
    (a) 디지털 감시장치가 원격소 장치로부터 아날로그 계측정보를 수신하고 변전소 주 현장 설비의 감시, 제어, 계측기능 중 어느 하나의 제어신호를 현장 정보처리반으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가 현장 정보처리반을 통해 상기 현장 설비로부터 전송되는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현장 정보처리반이 현장 설비로 전달하여 설비가 제어되도록 하는 단계;
    (c)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가 상기 현장 설비의 감시, 제어 및 계측에 따른 운영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가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이벤트 정보를 분석하여 오류(Error)발생 시 자동 안내 팝업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a) 단계 이후,
    (a-1)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가 외부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통해 선택되는 현장설비의 인터락 조건입력데이터를 수신하고, Open 제어, Close 제어 및 제어선택 취소 중 어느 하나를 제어선택 입력으로 수신하는 단계;
    (a-2)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가 수신한 입력 중, 선택되는 현장설비의 인터락 조건입력데이터를 인터락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현장설비와의 상호 인터락 조건을 인터락 비교부를 통해 비교하는 단계; 및
    (a-3)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가 상기 제 (a-2) 단계의 비교결과, 상기 인터락 조건 입력데이터가 해당 현장설비의 인터락 조건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신한 제어선택 입력에 따라 제어실행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현장 정보처리반으로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감시 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b) 단계는,
    (b-1) 상기 현장 정보처리반이 상기 현장 설비를 감시하여 취득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및
    (b-2) 상기 현장 정보처리반이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현장 설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감시 제어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d) 단계는,
    (d-1)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가 상태 경보정보, 계측 상-하한치 초과 및 통신 이상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이벤트 정보 발생 시, 경보내역을 표시하거나 경보음이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감시 제어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c) 단계는,
    (c-1)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가 상기 현장 설비의 감시, 제어 및 계측에 따른 운영보고서를 24시간 주기로 전압, 전력, 전류, 전력량, 역율계산기록(순시치), 유효/무효전력(순시치), 최대전력(시간), 부하율, 전압최대/최소치(시간) 및 1일 평균 공급시간수를 포함하는 일일 운영정보를 일보 운영기록모듈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감시 제어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c) 단계는,
    (c-2) 상기 디지털 감시장치가 상기 현장 설비의 감시, 제어 및 계측에 따른 운영보고서를 월 주기로 전압, 전력, 전류, 전력량, 역율계산기록(순시치), 유효/무효전력(순시치), 최대전력(시간), 부하율, 전압최대/최소치(시간) 및 1개월 평균 공급시간수를 포함하는 월 운영정보를 월보 운영기록모듈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감시 제어방법.
  14. 삭제
KR1020110011851A 2011-02-10 2011-02-10 디지털 감시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85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851A KR101085056B1 (ko) 2011-02-10 2011-02-10 디지털 감시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851A KR101085056B1 (ko) 2011-02-10 2011-02-10 디지털 감시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5056B1 true KR101085056B1 (ko) 2011-11-21

Family

ID=45397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851A KR101085056B1 (ko) 2011-02-10 2011-02-10 디지털 감시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50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167A (ko) * 2018-10-22 2020-05-04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정상 제어를 위한 인터록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269800A (zh) * 2020-09-10 2021-01-26 兰州安信铁路科技有限公司 计算机联锁试验记录分析平台、系统及分析方法
KR20230072602A (ko) * 2021-11-18 2023-05-25 (주)가온테크 디지털 축소형 비디오 월 배전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2507A (ja) 1998-02-25 1999-09-07 Toshiba Corp プラント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2507A (ja) 1998-02-25 1999-09-07 Toshiba Corp プラント制御システ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167A (ko) * 2018-10-22 2020-05-04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정상 제어를 위한 인터록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46609B1 (ko) * 2018-10-22 2020-08-20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정상 제어를 위한 인터록 확인 시스템
CN112269800A (zh) * 2020-09-10 2021-01-26 兰州安信铁路科技有限公司 计算机联锁试验记录分析平台、系统及分析方法
KR20230072602A (ko) * 2021-11-18 2023-05-25 (주)가온테크 디지털 축소형 비디오 월 배전반
KR102648384B1 (ko) * 2021-11-18 2024-03-18 (주)가온테크 디지털 축소형 비디오 월 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2247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обслужива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ой установки
EP2549351A1 (en) Solar power plant monitoring system
CN103441572A (zh) 变电站设备监控方法
CN110086251B (zh) 一种提高电网操作安全的监控方法及系统
CN104124757A (zh) 高海拔光伏电站电网故障模拟检测设备后台操作监控系统
KR101085056B1 (ko) 디지털 감시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Fardanesh et al. A digital transformation at New York power authority: Using innovative technologies to create a more efficient power system
KR20090001509A (ko) 변전소 모니터링 시스템
CN106340963A (zh) 一种电力配电室智能代维监控系统
CN109768619B (zh) 监控信息自动调试系统及调试方法
CN201302670Y (zh) 基于分散控制系统dcs的核电机组
KR101715126B1 (ko) 전력설비 감시제어 시스템
KR100932746B1 (ko) 배전반 제어 이력 정보 기록장치
CN114924525A (zh) 基于可编程逻辑控制器的煤矿配电监控系统及方法
KR20090096101A (ko) 집합론을 이용한 차단기 오조작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61576B1 (ko) Iec61850 기반 현장정보 처리반
CN202615219U (zh) 一种智能建筑电力监控装置
Bright et al. Integrated monitoring, protection, and control systems for industrial and commercial power systems
KR20080003282U (ko) 배전반 통합 감시장치
CN220019816U (zh) 一种电机电流和运行状态数据传输监控装置
Sarac et al. Remote Control System at 110/20 kV Substation for Wind Park “Bogdanci”
KR102244377B1 (ko) 스마트 제어식 배전용 현장제어반
Yun-Jie et al. HIRFL Water Level Monitoring System Research and Design
CN102891532B (zh) 一种便携式微机充电保护装置及方法
CN117318302A (zh) 适用于配电装置的分布式综合保护装置及防误操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