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4713B1 -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의 구조 - Google Patents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4713B1
KR101084713B1 KR1020090070223A KR20090070223A KR101084713B1 KR 101084713 B1 KR101084713 B1 KR 101084713B1 KR 1020090070223 A KR1020090070223 A KR 1020090070223A KR 20090070223 A KR20090070223 A KR 20090070223A KR 101084713 B1 KR101084713 B1 KR 101084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polarizing film
adsorption stage
ho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0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2489A (ko
Inventor
박영수
Original Assignee
(주)오토엠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토엠아이티 filed Critical (주)오토엠아이티
Priority to KR1020090070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4713B1/ko
Publication of KR20110012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2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4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4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상판과 하판으로 상호 조립되는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의 구조에 있어서, 상판(11)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균등분할 및 간격 확장으로 형성되며, 상하로 관통된 진공홀(13); 상기 진공홀과 상호 연결되며, 상판의 저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진공영역라인(12); 및 상기 진공홀의 주변인 상판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며, 편광필름(1)과의 표면마찰을 줄여 미끄럼이 발생되도록 한 진공차단홀(14);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에 제품의 크기 및 기종에 관계없이 최소의 진공홀과 진공영역라인을 균등하게 배분하여 형성한 것이고 아울러 진공차단홀에 의해 편광필름이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에서 부착 전 또는 부착 도중에 떨어지는 현상이 없도록 한 것이며 더하여 초기단 밀림 현상도 없도록 하여 제품에 기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작업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판, 하판,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

Description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의 구조{A Polarizer film attachment stage device}
본 발명은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에 제품의 크기 및 기종에 관계없이 최소의 진공홀과 진공영역라인을 균등하게 배분하여 형성한 것이고 아울러 진공차단홀에 의해 편광필름이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에서 부착 전 또는 부착 도중에 떨어지는 현상이 없도록 한 것이며 더하여 초기단 밀림 현상도 없도록 하여 제품에 기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작업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모니터, 대형 디지털 TV, HMD (Head Mount Display),캠코더(Camcoder), 핸드폰 등의 디스플레이로써 사용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r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FED(Field Emission Display),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등의 디스플레이용 패널에는 편광필름(Polarizer film)이 부 착되어 각 디스플레이의 광 특성을 결정짓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편광필름(Polarizer film)은 빛 가운데서 일정한 방향의 빛은 통과시키되 나머지 빛은 반사시켜 버리는 편광기능의 성질을 보유한 필름을 다층으로 복합시켜 디스플레이에 이용하고 있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편광필름의 일반적인 구조 및 역할은 다음과 같다.
즉, 편광필름은 입사광을 서로 직교하는 2가지 편광성분으로 나누고 그 한쪽만을 통과시켜 다른 성분을 흡수 또는 분산시키는 것으로, LCD 등에 사용되는 편광필름은 입사광을 편광시키는 고분자 편광 매질을 중심으로 지지체 TAC(Triacetyl-cellulose)를 편광 매질의 양쪽에 사용하고, 접착층은 편광필름을 보호필름에 접착시키기 위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상측 표면에는 저반사층인 AG(Anti-Glare) 혹은 AR(Anti-Reflection) 코팅층과 보호막이 있다.
전술한 LCD 모듈의 백라이트(backlight)에서 나오는 빛은 그 진동 방향이 모든 방향으로 같은 확률을 가진다. 편광필름은 이러한 빛 중에서 편광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만 투과시키고, 그 외의 나머지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은 적당한 매질을 이용하여 흡수 또는 반사하여 특정한 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특성을 갖는 편광필름은 액정 셀의 양면에 편광필름의 편광축이 서로 직교 또는 평행하도록 부착되기 때문에 액정 셀을 통과하는 동안 편광축의 회전 정도에 따라 투과광의 세기가 조절되어 블랙(black)과 화이트(white) 사이의 그레이(gray) 표현이 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편광필름은 TN Mode LCD의 필수 부품 중의 하나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편광필름을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r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FED(Field Emission Display),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등의 디스플레이용 패널의 양측면에 부착시키는 작업은 매우 정밀하고도 중요한 작업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편광필름을 디스플레이용 패널의 양측면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화된 편광필름 부착기(100)가 사용되는데, 종래의 기술에 따른 편광필름 부착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편광필름을 정렬시켜 유지하는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110)(폴 유닛[POL UNIT]이라고도 함), 디스플레이용 패널을 안착하여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로 이동시키는 패널 흡착 스테이지(120)(패널 유닛[PANEL UNIT]이라고도 함) 및 편광필름을 디스플레이용 패널의 면에 부착되도록 하는 롤러 유닛(ROLLER UNIT)(13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적 구성 중에서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110)의 좀더 상세한 기술적 구성은 도 2(a)(b)(c)(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즉, 상기 종래의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110)는 상판(111)과 하판(113)으로 구비되되, 상기 상판(111)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진공홀(112)이 형성되고, 상기 하판(113)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진공영역라인(114)이 형성되어 상호 결합시 도 2(d)와 같이 조립 설치되어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편광필픔 흡착 스테이지(110)는 다음과 같은 많은 문 제점이 발생 되었다.
즉, 상기 진공홀(112)의 수량을 기종에 맞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를 형성하여야 하는 것으로, 이는 진공홀(112)의 간격을 세밀하게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제조단가의 상승을 초래하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기술은 다수의 진공홀(112)의 작용이 표면 마찰로 인하여 부착하기 위한 미끄럼이 원활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그리고 상기 종래의 기술은 다수의 진공홀(112)로 인하여 편광필름(1) 부착시 진공누수가 많기 때문에 부착 전에 또는 부착 도중에 편광필름(1)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특히 상기 종래의 기술은 전술한 문제점에 의해 편광필름(1)의 초기단 밀림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더하여 상기 종래의 기술은 제품의 기종에 맞도록 진공영역라인(114)을 구분하여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상판과 하판으로 상호 조립되는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의 구조에 있어서, 상판에 상하로 관통된 진공홀과 상기 진공홀과 상호 연결되는 진공영역라인과 상기 진공홀의 주변인 상판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진공차단홀이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제2목적은 특히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에 제품의 크기 및 기종에 관계없이 최소의 진공홀과 진공영역라인을 균등하게 배분하여 형성한 것이며, 제3목적은 상기한 기술적 구성인 진공차단홀에 의해 편광필름이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에서 부착 전 또는 부착 도중에 떨어지는 현상이 없도록 한 것이고, 제4목적은 더하여 초기단 밀림 현상도 없도록 하여 제품에 기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이고, 제5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작업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의 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상판과 하판으로 상호 조립되는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의 구조에 있어서, 상판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균등분할 및 간격 확장으로 형성되며, 상하로 관통된 진공홀; 상기 진공홀과 상호 연결되며, 상판의 저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진공영역라인; 및 상기 진공홀의 주변 인 상판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며, 편광필름과의 표면마찰을 줄여 미끄럼이 발생되도록 한 진공차단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의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판과 하판으로 상호 조립되는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의 구조에 있어서, 상판에 상하로 관통된 진공홀과 상기 진공홀과 상호 연결되는 진공영역라인과 상기 진공홀의 주변인 상판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진공차단홀이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에 제품의 크기 및 기종에 관계없이 최소의 진공홀과 진공영역라인을 균등하게 배분하여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구성인 진공차단홀에 의해 편광필름이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에서 부착 전 또는 부착 도중에 떨어지는 현상이 없도록 한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초기단 밀림 현상도 없도록 하여 제품에 기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작업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적용된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의 구조는 도 3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상판(11)과 하판(15)으로 상호 조립되는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10)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판(11)에 진공홀(13)과 진공영역라인(12) 및 진공차단홀(14)이 형성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은 상판(11)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균등분할 및 간격 확장으로 형성되며, 상하로 관통되게 진공홀(13)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진공홀(13)과 상호 연결되며, 상판(11)의 저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진공영역라인(12)이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진공홀(13)의 주변인 상판(11)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 로 구비되며, 편광필름(1)과의 표면마찰을 줄여 미끄럼이 발생되도록 한 진공차단홀(14)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진공영역라인(12)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종에 관계없이 진공 영역을 균등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종래의 기술적 구성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종에 맞도록 진공영역을 구분하였으나, 본 발명은 기종에 관계없이 진공 영역을 균등하게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진공차단홀(14)은 도 6 의 부분 확대도에서와 같이 진공홀(13)을 중심으로 양쪽에 한 쌍이 근접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진공차단홀(14)은 편광필름(1)을 부착하는 방향인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이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필름(1)의 부착방향으로 진공차단홀(14)이 형성되어야 미끄럼이 원할하여 최소의 마찰력으로 부착시킨 후 때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본 발명은 도면상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진공차단홀(14)은 진공홀(13)을 중심으로 격자무늬 모양으로 한 쌍이 형성되게 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진공흡입력의 강도 또는 편광필름(1)의 크기에 따라 진공차단홀(14)이 격자무늬로 형성하면 너무 잘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진공차단홀(14)은 반원, 삼각, 사각, 다각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도면상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진공영역라인(12)을 상판(11)의 저면이 아닌 하판(15)의 상면에 적용한 후 상판(11)과 하판(15)을 상호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의 구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10)에 제품의 크기 및 기종에 관계없이 최소의 진공홀(13)과 진공영역라인(12)을 균등하게 배분하여 형성한 것이고 아울러 진공차단홀(14)에 의해 편광필름(1)이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에서 부착 전 또는 부착 도중에 떨어지는 현상이 없도록 한 것이며 더하여 초기단 밀림 현상도 없도록 하여 제품에 기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 1 에 도시된 자동화된 편광필름 부착기(100)에 본 발명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10)를 부착한 후 반전시켜 편광필름(1)을 패널 흡착 스테이지(120)의 상면에 부착된 LCD패널에 부착시키는 것은 동일하나, 이하의 기술적 작용효과가 종래의 기술과 전혀 상이하고 진보성 있는 기술이라 판단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10)에 제품의 크기 및 기종에 관계없이 최소의 진공홀(13)과 진공영역라인(12)을 균등하게 배분하여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제품에 맞도록 진공영역라인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되고 또한 가공이 쉽기 때문에 제조원가의 상승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구성인 진공차단홀(14)에 의해 편광필름(1)이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10)에서 부착 전 또는 부착 도중에 떨어지는 현상이 없도록 한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진공차단홀(14)은 패널 흡착 스테이지의 상면에 부착된 LCD패널에 편광필름(1) 부착시 표면 마찰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특히 진공영역라인(12)과 진공홀(13)을 통한 진공 흡입력이 편광필름(1)을 흡착하게 되는데, 이때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홀(13)의 주변에 근접되게 형성된 한 쌍의 진공차단홀(14)은 편광필름(1)의 흡착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최소의 마찰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편광필름(1)의 미끄럼이 원활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이와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미끄럼이 원활하여 편광필름(1)의 초기단 밀림 현상도 없도록 하여 제품에 기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비해 소수의 진공홀(13)임에도 불구하고 편광필름(1)을 흡입시 진공누수가 발생하여도 편광필름(1)을 부착시키는 것에는 문제가 없도록 한 것이다. 이는 종래 기술과 같은 조건에서 진공홀(13)이 적기 때문에 진공 흡입량의 유입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의 구조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편광필름 부착장비의 사시도.
도 2 의 (a)는 종래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의 사시도이고,
(b)는 종래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의 상판 평면도이며,
(c)는 종래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의 하판 평면도이고,
(d)는 종래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의 상,하판 조립 확대 부분 단면
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의 진공영역라인을 도시하
지 않은 상판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의 진공영역라인을 도시한
상판 평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의 측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의 상,하판 조립 확대 부
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편광필름
10: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
11: 상판
12: 진공영역라인
13: 진공홀
14: 진공차단홀
15: 하판

Claims (6)

  1. 상판과 하판으로 상호 조립되되, 상판에 진공홀과 진공영역라인 그리고 진공차단홀이 형성된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진공홀(13)은 상판(11)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균등분할 및 간격 확장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진공영역라인(12)은 상기 진공홀과 상호 연결됨과 아울러 기종에 관계없이 진공 영역을 균등하게 형성하며 상판의 저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진공차단홀(14)은 상기 진공홀의 주변인 상판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되, 편광필름(1)을 부착하는 방향인 길이 방향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진공홀을 중심으로 격자무늬 모양으로 한 쌍이 형성되고 편광필름(1)과의 표면마찰을 줄여 미끄럼이 발생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의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90070223A 2009-07-30 2009-07-30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의 구조 KR101084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223A KR101084713B1 (ko) 2009-07-30 2009-07-30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223A KR101084713B1 (ko) 2009-07-30 2009-07-30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489A KR20110012489A (ko) 2011-02-09
KR101084713B1 true KR101084713B1 (ko) 2011-11-22

Family

ID=43772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0223A KR101084713B1 (ko) 2009-07-30 2009-07-30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47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022B1 (ko) * 2005-09-27 2006-07-05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디스펜서 스테이지의 글라스 흡착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022B1 (ko) * 2005-09-27 2006-07-05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디스펜서 스테이지의 글라스 흡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489A (ko) 201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039170A (ja) 感圧接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積層光学部材及び画像表示装置
CN103364986B (zh) 能防止漏光的液晶显示器和组装该液晶显示器的方法
KR20120056508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20252965A1 (zh) 一种液晶显示面板
WO2020062577A1 (zh) 偏光片和显示装置
KR20210035799A (ko) 광 편향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04122703A (zh) 液晶显示装置、其制作方法以及电子装置
CN104280811A (zh) 偏光片、液晶面板以及液晶显示器
US20200026124A1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KR101084713B1 (ko) 편광필름 흡착 스테이지의 구조
KR20070074343A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한 액정 표시 패널
CN102518986B (zh) 背光模块与显示装置
WO2016065794A1 (zh) 棱镜膜、棱镜膜制作方法及液晶显示装置
CN104464558A (zh) 多屏显示装置
WO2023208144A1 (zh) 液晶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US9217892B1 (en) Circular polarizer, liquid crystal panel and the liquid crystal device
WO2016008142A1 (zh) 圆偏光片、液晶显示面板及液晶显示装置
KR10171112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20038370A (ja) 偏光板及びこれを含む液晶表示装置
KR102063162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51514B1 (ko)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WO2010134362A1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複層偏光板
KR20150142521A (ko) 커브드 표시장치
CN105182461B (zh) 偏光板和显示面板结构以及显示装置
US20130100371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