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3989B1 - 세포사멸 기능을 가지는 단백질을 코딩하는 신규한 유전자 - Google Patents

세포사멸 기능을 가지는 단백질을 코딩하는 신규한 유전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3989B1
KR101083989B1 KR1020080045557A KR20080045557A KR101083989B1 KR 101083989 B1 KR101083989 B1 KR 101083989B1 KR 1020080045557 A KR1020080045557 A KR 1020080045557A KR 20080045557 A KR20080045557 A KR 20080045557A KR 101083989 B1 KR101083989 B1 KR 101083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cl
apoptosis
gene
gly
le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5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9482A (ko
Inventor
배지현
이강석
김재홍
윤성민
고정재
Original Assignee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45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3989B1/ko
Publication of KR20090119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9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3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3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C07K14/4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C07K14/4701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not used
    • C07K14/4747Apoptosis related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03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A61K38/1709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A61K38/1761Apoptosis related proteins, e.g. Apoptotic protease-activating factor-1 (APAF-1), Bax, Bax-inhibitory protein(s)(BI; bax-I), Myeloid cell leukemia associated protein (MCL-1), Inhibitor of apoptosis [IAP] or Bcl-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Zo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On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Toxi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신규한 단백질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서열번호 1과 2의 염기서열이 코딩하는 폴리펩타이드와 기능적으로 동일한 폴리펩타이드를 코딩하는 유전자 및 이 유전자가 코딩하는 세포사멸 유도 단백질을 제공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은 세포사멸을 유도하며 또한 Mcl-1L(myeloid cell leukemia-1L)이 과발현되는 세포에서 특이적으로 세포사멸을 강하게 유도한다.
세포사멸, Mcl-1L, Mcl-1ES, 유전자치료, 항암제, 바이오마커

Description

세포사멸 기능을 가지는 단백질을 코딩하는 신규한 유전자 {Novel gene encoding programmed cell death inducing protein}
본 발명은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신규한 단백질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또는 2의 염기서열이 코딩하는 폴리펩타이드와 기능적으로 동일한 폴리펩타이드를 코딩하는 유전자 및 이 유전자가 코딩하는 세포사멸 유도 단백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은 세포사멸을 유도하고, 또한 Mcl-1L(myeloid cell leukemia-1 long)이 과발현되는 세포에서 특이적으로 세포사멸을 강하게 유도한다.
세포사멸(programmed cell death)은 세포교체, 조직 리모델링, 상해를 입은 세포의 제거에 중요한 메커니즘이다(Thomson, C. B., 1995, Science 267, 1456-1462).
Bcl-2 패밀리 단백질(family protein)이 이러한 세포사멸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며, 이러한 bcl-2 유전자는 여포성 B-cell 림프종과 연관된 a t(14, 18) 염색체 전좌(chromosomal translocation)의 중단점에서 초기 암유전자로서 발견되었 다(Tsujimoto, Y. et al., 1984, Science 226, 1097-1099).
Bcl-2 단백질이 과발현되면, 생체내와 시험관내 실험에서 다양한 원인으로 유도된 세포사멸을 억제한다.
Mcl-1 단백질은 항-세포사멸 Bcl-2 family protein으로, 처음에 인간 골수성 백혈병 세포주의 분화 과정에서 초기 유도 유전자로 발견되었다(Kozopas, K. M. et al., 1993, Proc. Natl. Acad. Sci. U. S. A. 90, 3516-3520). Mcl-1 단백질은 다른 Bcl-2 관련 단백질에서 발견되는 Bcl-2 homology 제1 도메인(BH 1), BH2, BH3 와 C-말단 transmembrane 도메인(TM)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지만, 특이적으로 N-말단에 프롤린, 글루탐산, 세린, 트레오닌 잔기가 많은 PEST 서열을 가진다.
또한 Mcl-1S(myeloid cell leukemia-1 short)은 이러한 Mcl-1L의 splicing variant인데, C-말단의 BH1, BH2, TM 도메인이 결여되어 있으며 Mcl-1L과 정반대의 세포사멸의 기능을 수행한다(Bae, J. et al., 2000, J. Biol. Chem. 275, 25255-26261).
세포사멸(apoptosis)가 잘못 조절되면 암, 자가면역 질환(autoimmune diseases), 신경퇴행 이상(neurodegenerative disorders), 바이러스 감염(viral infection) 등의 여러 질환을 유발한다(Thompson CB, Science 1995; 267: 1456-1462). 특히 Mcl-1의 조절이상(dysregulation)은 세포의 비사멸(immortalization)과 암세포 전환(tumorigenic conversion) 등을 유도하여 다양한 암을 유발하고 또한 항암제의 내성유발과 관련성이 깊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Warr MR, Shore GC. Curr Mol Med. 2008 Mar;8(2):138-47), HIV 감염 및 치료와도 관련성이 있음이 밝 혀져 있고(Grelli S et al., Ann N Y Acad Sci. 2006 Dec;1090:130-7) 또한 류머티즘성 염증(Rheumatoid arthritis)과도 연관되어 있음이 보고되었다(Liu H et al, J Immunol. 2005 Dec 15;175(12):8337-45).
또한, 최근 암세포 유도와 암세포 유지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세포사멸 및 항-세포사멸 유전자를 암치료에 이용하는 유전자 요법(gene therapy)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유전자요법에 이용되던 항암치료제는 암세포뿐만 아니라 정상세포도 세포사멸을 유도하여 치료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암세포와 정상세포를 효과적으로 구별할 수 있는 항암제의 개발이 “특이적 항암 유전자 요법(targeted cancer gene therapy)"이란 개념으로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암세포에서 과발현되는 항-세포사멸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반응하여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단백질의 경우,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항암제로 개발하면 정상세포에 대한 침습없이 암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특이적 세포사멸 유전자는, 항암치료제 분야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세포사멸 유도제를 제작하는 대 있어서 화학적 표본이 될 수 있으며, 기존의 무차별적 세포사멸 유도제가 아닌 암세포 특이적 세포사멸 유도제 즉 항암제를 제작할 수 있는 화학적 틀을 마련해줄 수 있다.
본 발명은 세포사멸을 유도하며 또한 세포-특이적 세포사멸을 유도할 수 있는 신규한 세포사멸 유도 단백질 및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세포사멸을 유도하며 또한 Mcl-1L(myeloid cell leukemia-1 long)이 과발현되는 세포에서 특이적으로 세포사멸을 강하게 유도하는 서열번호 1 또는 2의 염기서열이 코딩하는 폴리펩타이드와 기능적으로 동일한 폴리펩타이드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포사멸을 유도하며 또한 Mcl-1L이 과발현되는 세포에서 특이적으로 세포사멸을 강하게 유도하는 서열번호 3과 4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폴리펩타이드와 기능적으로 동일한 세포사멸 유도 단백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혹은 2의 염기서열이 코딩하는 폴리펩타이드와 기능적으로 동일한 폴리펩타이드를 코딩하는 유전자, 상기 유전자를 포함하는 벡터 또는 상기 벡터를 포함하는 미생물을 함유하는 세포사멸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3과 4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폴리펩타이드와 기능적으로 동일한 폴리펩타이드, 상기 폴리펩타이드를 발현하는 벡터 또는 상기 벡터를 포함하는 미생물을 함유하는 세포사멸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포사멸을 유도하며, Mcl-1L이 과발현되는 세포에서 특이 적으로 세포사멸을 강하게 유도하는 서열번호 1 또는 2의 염기서열이 코딩하는 폴리펩타이드와 기능적으로 동일한 폴리펩타이드를 코딩하는 유전자 또는 상기 유전자가 코딩하는 단백질을 포함하는 항암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자가 코딩하는 단백질은 과발현시 세포사멸을 유도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세포사멸용 조성물은 세포사멸과 관련된 질환의 치료제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자가 코딩하는 단백질은 항-세포사멸 기능을 가지는 Mcl-1L과 결합하고, Mcl-1L이 과발현되는 세포에서 특이적으로 세포사멸을 강하게 유도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세포사멸 또는 Mcl-1L의 바이오마커로 이용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항암제 조성물은 정상세포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Mcl-1L이 과발현 되는 암세포에서만 세포사멸을 유도하여 효과적으로 암을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세포사멸을 유도하며, Mcl-1L이 과발현되는 세포에서 특이적으로 세포사멸을 강하게 유도하는 서열번호 1 또는 2의 염기서열이 코딩하는 폴리펩타이드와 기능적으로 동일한 폴리펩타이드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진핵세포내에서 세포사멸을 막고 세포분열을 도와준 다고 생각이 되어지는 Mcl-1L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통상적인 PCR 방법을 통해서 인간배아줄기세포주에서 Mcl-1L의 마이너 전사체 밴드를 확인하였고, 이의 염기서열을 결정한 결과 Mcl-1L의 신규한 변이체(novel splicing variant)임을 확인하여 이를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자로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유전자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Mcl-1L에서 PEST 도메인이 제거되어 있으며 3개의 특이적 돌연변이 잔기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Mcl-1ES로 명명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유전자는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며, 이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Mcl-1L에서 PEST 도메인만 제거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Mcl-1ESM으로 명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Mcl-1ES 은 다양한 세포주에서 발현되고 있으며, 세포주 별로 발현양은 조금씩 차이가 있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Mcl-1ES 의 기능은 세포내 과발현시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4 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Mcl-1ES 및 Mcl-1ESM은 세포사멸과 관련된 질환 또는 이상 등의 예방 및 치료제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면역침강법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 Mcl-1ES 이 Mcl-1L과 결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도 3 참조), 이는 Mcl-1L의 항-세포사멸 작용을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도 4 참조).
그리고 Mcl-1ES 은 상기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세포내 과발현시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지만, 세포사멸을 막는 Mcl-1L이 같이 발현되는 세포에서는 Mcl-1ES에 의한 세포사멸이 증가한다(도 5 참조). 이는 암세포 유지와 암세포 유도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Mcl-1L의 과발현 현상과 관련하여 이러한 암세포에 특이적으로 세포사멸을 유도함으로써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여 준다. 즉, 본 발명에 따른 Mcl-1ES를 이용하면 Mcl-1L이 과발현되는 특이적인 암세포와 정상세포를 효과적으로 구별할 수 있는 항암제의 개발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서열번호 1 또는 2의 염기서열이 코딩하는 폴리펩타이드와 기능적으로 동일한 폴리펩타이드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함유하는 재조합 벡터 및 상기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미생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Mcl-1L이 과발현되는 세포에서 특이적으로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서열번호 3 또는 4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폴리펩타이드와 기능적으로 동일한 세포사멸 유도 단백질을 제공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세포사멸 유도 단백질은 Mcl-1L과 특이적으로 결합하기 때문에 Mcl-1L을 검출하는 바이오마커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포사멸 유도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 이를 포함하는 벡터 및 상기 벡터로 형질전환된 미생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세포사멸 유도 단백질, 이를 발현하는 벡터 및 상기 벡터로 형질전환된 미생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세포사멸제 및 Mcl-1L이 과발현되는 세포에서 특이적으로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항암제로 이용가능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 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실시예 1> Mcl -1 ES clonning
인간배아줄기세포주인 CHA3(CHA Stem Cell Institute, Pochon CHA University, Seoul, Korea)의 cDNA에서 1 X PCR 반응용액, 2.5 mM MgCl2, 250 μM의 dNTP, 2.5 U의 재조합 Taq 중합효소, 각각 1 μM의 프라이머 (pcMcl-1L 5'-AGTGGATCCATGTTTGGCCTCAAAAGAAAC(서열번호 5)와 pcMcl-1L 3'-CTAGAATTCTTACAGTAAGGCTATCTT(서열번호 6)) 을 통하여 PCR을 하여 약 600bp의 PCR 마이너 생산물을 얻었고 pcDNA3(Invitrogen, Carlsbad, CA; Cat # A-150228)의 멀티플 클로닝 싸이트의 restrict enzyme BamHl, EcoRl을 처리 플라스미드에 클로닝하여 pcFlagMcl -1 ES를 얻었다(도 6a 참조).
다시 상기 pcFLAGMcl-1ES plasmid DNA를 BamH1,Not1으로 제한효소를 처리하여 약 600bp의 밴드(band)의 DNA를 추출하고 pCMV-Myc(Clontech, Mountain View, CA) 을 Bgl2, Not1으로 제한효소를 처리하여 대략 3700bp의 밴드의 DNA를 추출하여 두가지 DNA를 리게이션(ligation)하여 pCMV-Myc 플라스미드에 서브클로닝 하여 pCMV-Myc Mcl-1ES를 얻었다(도 6b 참조).
이후 sanger method를 통하여 sequencing 하였고 이를 통하여 Mcl-1L과 blast search를 통해서 염기서열을 비교분석하여 새로운 variants라는 것을 확인하고 Mcl-1ES 및 Mcl-1ESM으로 명명하였다(서열번호 1과 2, 서열번호 3과 4 및 도 2 참조)
< 실시예 2> Mcl -1 ES 의 발현양상연구
실시예 1에서 확인한 Mcl-1ES가 인간배아줄기세포만이 아닌 다른 세포주에서 발현을 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CHA3(CHA Stem Cell Institute, Pochon CHA University, Seoul 135-081, Korea), KM1214(한국세포주은행(KCLB) Cat # 80014), DU-145(KCLB Cat # 30081), NCL-H596(KCLB Cat # 90596), AGS(KCLB Cat # 21739) 및 A172(KCLB Cat # 21620)의 다양한 세포주에서 cDNA를 얻어서 실시예 1에서 기재한 pcFlagMcl-1L 5' 프라이머와 pcMcl-1L 3' 프라이머로 PCR을 실시하였고 발현양상을 도 1에 나타내였다.
그 결과, Mcl-1ES 의 발현양상은 다양한 세포내에서 발현하며 발현 정도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1참조)
< 실시예 3> Mcl -1 ES 결합단백질
Mcl-1L과 Mcl-1ES 결합을 확인하기 위하여, 293T 세포주(ATCC; 293T Cat # CRL-11268™)를 3× 106로 배양하여 Welfect-EX의 transfection kit를 사용하여 293T 실시예 1에서 수득한 Total 6㎍ pcFlagMcl -1 ES 보유중인 pcMcl -1L(Bae, J. et al., (2000) J. Biol. Chem. 275, 25255-25261)과 함께 transfection하였고, NP-40 lysis buffer (50 mM Tris-HCl at pH 8.0, 0.15 M NaCl, and 1% NP-40)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샘플링한 다음 anti-Mcl(Santa Cruz Biotechnology: sc-819)과 anti-Flag M2 antibodies (Sigma: F1804)의 안티바디를 통해서 Protein-G-Agarose (Upstate, Charlottesville, VA)과의 결합을 이용한 면역침강법을 통하여 Mcl-1L과 Mcl-1ES와의 결합을 확인하였다(도 3 참조).
< 실시예 4> MCl -1 ES 세포사멸유도
Mcl-1ES의 세포사멸 유도 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Welfect-EX의 transfection kit를 사용하여 293T cell 을 1× 106로 배양하여 Total 3㎍ pcFlagMcl -1 ES 단독으로 혹은 pcMcl -1L과 함께 transfection 하여 세포사멸양상을 관찰해 보았으며 Mcl-1ES 혼자 과발현하는 경우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 참조).
또한 Mcl-1L이 같이 과발현 되어지고 있는 경우 Mcl-1ES 혼자 과발현하는 경우보다 더 강하게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 참조).
< 실시예 5> MCl -1 ES 세포사멸유도 양상( viability )
실시예 3에서 확인한 Mcl-1ES와 MCl-1L의 결합으로 인한 세포사멸양상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서 하기 위해서 생존성(viability)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293T cell을 3.5 X 104 배양하고 total 100ng의 DNA(각각 Mcl-1ES coding plasmid, Mcl-1L+1ES coding plasmid, 및 Mcl-1ES All(Mcl-1ESM) coding plasmid)을 Dose-dependent하게 Welfect-EX의 transfection kit를 사용하여 transfection 하였고 10% GFP plasmid(CLONTECH)를 같이 transfection 하여 24시간 후 GFP가 들어간 세포만 카운팅하여 세포의 사멸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Mcl-1ES 이 Mcl-1L과 같이 발현되는 경우, 세포사멸 유도의 정도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도 1은 다양한 세포에서 Mcl-1ES가 발현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전기영동 사진.
도 2는 Mcl-1ES과 Mcl-1ESM의 구조를 Mcl-1L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림.
도 3은 Mcl-1L과 Mcl-1ES의 단백질이 결합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효소면역침강법(IP) 사진.
도 4는 Mcl-1ES가 293T cell에서 세포사멸을 유도한 것을 보여주고, Mcl-1L을 같이 발현하는 경우 세포사멸을 더 강하게 유도하는 것을 나타낸 그림.
도 5는 Mcl-1ES가 Mcl-1L과 함께 발현된 경우 세포사멸을 강하게 유도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생존도(Viability) 그래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pcFlagMcl-1ES의 제한효소지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pcCMV-Myc Mcl-1ES의 제한효소지도.
<110> College of Medicine Pochon CHA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120> Novel gene encoding programmed cell death inducing protein <130> P08-106 <160> 6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594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1 atgtttggcc tcaaaagaaa cgcggtaatc ggactcaacc tctactgtgg gggggccggc 60 ttgggggccg gcagcggcgg cgccacccgc ccgggagggc gacttttggc caccggcgcc 120 aaggacacaa agccaatggg caggtctggg gccaccagca ggaaggcgct ggagacctta 180 cgacgggttg gggatggcgt gcagcgcaac cacgagacgg ccttccaagg catgcttcgg 240 agactggaca tcaaaaacga agacgatgtg aaatcgttgt ctcgagtgat gatccatgtt 300 ttcagcgacg gcgtaacaaa ctggggcagg attgtgactc tcatttcttt tggtgccttt 360 gtggctaaac acttgaagac cataaaccaa gaaagctgca tcgaaccatt agcagaaagt 420 atcacagacg ttctcgtaag gacaaaacgg gactggctag ttaaacaaag aggctgggat 480 gggtttgtgg agttcttcca agtagaggac ctagaaggtg gcatcaggaa tgtgctgctg 540 gcttttgcag gtgttgctgg agtaggagct ggtttggcat atctaaaaag atag 594 <210> 2 <211> 595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2 atgtttggcc tcaaaagaaa cgcggtaatc ggactcaacc tctactgtgg gggggccggc 60 ttgggggccg gcagcggcgg cgccacccgc ccgggagggc gacttttggc caccggcgcc 120 aaggacacaa agccaatggg caggtctggg gccaccagca ggaaggcgct ggagacctta 180 cgacgggttg gggatggcgt gcagcgcaac cacgagacgg ccttccaagg catgcttcgg 240 aaactggaca tcaaaaacga agacgatgtg aaatcgttgt ctcgagtgat gatccatgtt 300 ttcagcgacg gcgtaacaaa ctggggcagg attgtgactc tcatttcttt tggtgccttt 360 gtggctaaac acttgaagac cataaaccaa gaaagctgca tcgaaccatt agcagaaagt 420 atcacagacg ttctcgtaag gacaaaacgg gactggctag ttaaacaaag aggctgggat 480 gggtttgtgg agttcttcca tgtagaggac ctagaaggtg gcatcaggaa tgtgctgctg 540 gcttttgcag gtgttgctgg agtaggagct ggtttggcat atctaataaa gatag 595 <210> 3 <211> 197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 Met Phe Gly Leu Lys Arg Asn Ala Val Ile Gly Leu Asn Leu Tyr Cys 1 5 10 15 Gly Gly Ala Gly Leu Gly Ala Gly Ser Gly Gly Ala Thr Arg Pro Gly 20 25 30 Gly Arg Leu Leu Ala Thr Gly Ala Lys Asp Thr Lys Pro Met Gly Arg 35 40 45 Ser Gly Ala Thr Ser Arg Lys Ala Leu Glu Thr Leu Arg Arg Val Gly 50 55 60 Asp Gly Val Gln Arg Asn His Glu Thr Ala Phe Gln Gly Met Leu Arg 65 70 75 80 Arg Leu Asp Ile Lys Asn Glu Asp Asp Val Lys Ser Leu Ser Arg Val 85 90 95 Met Ile His Val Phe Ser Asp Gly Val Thr Asn Trp Gly Arg Ile Val 100 105 110 Thr Leu Ile Ser Phe Gly Ala Phe Val Ala Lys His Leu Lys Thr Ile 115 120 125 Asn Gln Glu Ser Cys Ile Glu Pro Leu Ala Glu Ser Ile Thr Asp Val 130 135 140 Leu Val Arg Thr Lys Arg Asp Trp Leu Val Lys Gln Arg Gly Trp Asp 145 150 155 160 Gly Phe Val Glu Phe Phe Gln Val Glu Asp Leu Glu Gly Gly Ile Arg 165 170 175 Asn Val Leu Leu Ala Phe Ala Gly Val Ala Gly Val Gly Ala Gly Leu 180 185 190 Ala Tyr Leu Lys Arg 195 <210> 4 <211> 197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4 Met Phe Gly Leu Lys Arg Asn Ala Val Ile Gly Leu Asn Leu Tyr Cys 1 5 10 15 Gly Gly Ala Gly Leu Gly Ala Gly Ser Gly Gly Ala Thr Arg Pro Gly 20 25 30 Gly Arg Leu Leu Ala Thr Gly Ala Lys Asp Thr Lys Pro Met Gly Arg 35 40 45 Ser Gly Ala Thr Ser Arg Lys Ala Leu Glu Thr Leu Arg Arg Val Gly 50 55 60 Asp Gly Val Gln Arg Asn His Glu Thr Ala Phe Gln Gly Met Leu Arg 65 70 75 80 Lys Leu Asp Ile Lys Asn Glu Asp Asp Val Lys Ser Leu Ser Arg Val 85 90 95 Met Ile His Val Phe Ser Asp Gly Val Thr Asn Trp Gly Arg Ile Val 100 105 110 Thr Leu Ile Ser Phe Gly Ala Phe Val Ala Lys His Leu Lys Thr Ile 115 120 125 Asn Gln Glu Ser Cys Ile Glu Pro Leu Ala Glu Ser Ile Thr Asp Val 130 135 140 Leu Val Arg Thr Lys Arg Asp Trp Leu Val Lys Gln Arg Gly Trp Asp 145 150 155 160 Gly Phe Val Glu Phe Phe His Val Glu Asp Leu Glu Gly Gly Ile Arg 165 170 175 Asn Val Leu Leu Ala Phe Ala Gly Val Ala Gly Val Gly Ala Gly Leu 180 185 190 Ala Tyr Leu Ile Arg 195 <210> 5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5 agtggatcca tgtttggcct caaaagaaac 30 <210> 6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6 ctagaattct tacagtaagg ctatctt 27

Claims (13)

  1.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을 가지는 유전자로, 상기 유전자는 Mcl-lL(Myeloid cell leukemia-1 Long)이 과발현되는 세포에서 상기 Mcl-lL과 함께 과발현되어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2.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가지는 유전자로, 상기 유전자는 Mcl-lL이 과발현되는 세포에서 상기 Mcl-lL과 함께 과발현되어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3. 제1 항의 유전자 및 제2 항의 유전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세포사멸용 조성물.
  4.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폴리펩타이드로, 상기 폴리펩타이드는 Mcl-lL이 과발현되는 세포에서 상기 Mcl-lL과 함께 과발현되어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펩타이드.
  5.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폴리펩타이드로, 상기 폴리펩타이드는 Mcl-lL이 과발현되는 세포에서 상기 Mcl-lL과 함께 과발현되어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펩타이드.
  6. 제4항의 폴리펩타이드 및 제5항의 폴리펩타이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세포사멸용 조성물.
  7. 삭제
  8. 삭제
  9. 제1 항의 유전자 및 제2 항의 유전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재조합 벡터.
  10. 삭제
  11. 제9 항의 재조합 벡터를 포함하는 항암제 조성물.
  12. 삭제
  13. 삭제
KR1020080045557A 2008-05-16 2008-05-16 세포사멸 기능을 가지는 단백질을 코딩하는 신규한 유전자 KR101083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557A KR101083989B1 (ko) 2008-05-16 2008-05-16 세포사멸 기능을 가지는 단백질을 코딩하는 신규한 유전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557A KR101083989B1 (ko) 2008-05-16 2008-05-16 세포사멸 기능을 가지는 단백질을 코딩하는 신규한 유전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482A KR20090119482A (ko) 2009-11-19
KR101083989B1 true KR101083989B1 (ko) 2011-11-16

Family

ID=41603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5557A KR101083989B1 (ko) 2008-05-16 2008-05-16 세포사멸 기능을 가지는 단백질을 코딩하는 신규한 유전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3989B1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Biological Chemistry., Vol.275:33, pp.25255-25261 (2000.06.0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482A (ko) 200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7470B2 (en) Small humanin-like peptides
ES2397441T3 (es) Secuencias polinucleotídicas y polipeptídicas implicadas en el proceso de remodelación ósea
KR20170138410A (ko) 비-천연 세마포린 3 및 이의 의학적 용도
Toyosawa et al.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the human ameloblastin gene
Chen et al. Rab39, a novel Golgi-associated Rab GTPase from human dendritic cells involved in cellular endocytosis
KR20200023311A (ko) 혈액암의 치료
US6348573B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poptosis signaling pathway inhibitors and activators
WO2001044282A2 (en) Bcl-g polypeptides, encoding nucleic acids and methods of use
EP1465927B1 (en) Bag3 antibodies to be used in research, diagnostics and therapy for cell death-involving diseases
US5928941A (en) Repressor kruppel-like factor
KR101083989B1 (ko) 세포사멸 기능을 가지는 단백질을 코딩하는 신규한 유전자
WO2001026678A1 (en) Short segments of dap-kinase
JP4638354B2 (ja) G蛋白質共役型受容体をコードする遺伝子およびその遺伝子産物
Muscolini et al. Characterization of a new cancer-associated mutant of p53 with a missense mutation (K351N) in the tetramerization domain
US8034901B2 (en) Bcl-G polypeptides, encoding nucleic acids and methods of use
EP1179589A1 (en) MMX-1, a member of the family of human cancer/testis antigens, a protein encoded thereby and a process for determining whether a tumor sample has metastatic potential
Xu et al. Identification of Rgl3 as a potential binding partner for Rap-family small G-proteins and profilin II
US7365158B2 (en) PR-domain containing nucleic acids, polypeptides, antibodies and methods
Habtemichael et al. Cloning the AFURS1 gene which is up-regulated in senescent human parenchymal kidney cells
KR101036854B1 (ko)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폴리펩타이드, 이를 코딩하는 dna 및 이를 포함하는 세포사멸 유도용 약학 조성물
US20090208458A1 (en) Transcriptional inhibitor for human k-ras gene
Wang et al. HuBMSC-MCP, a novel member of mitochondrial carrier superfamily, enhances dendritic cell endocytosis
WO2001060855A1 (fr) Nouvelle proteine humaine associee a la regulation du cycle cellulaire et sa sequence de codage
US6919427B1 (en) Polypeptide-rna binding protein 33 and polynucleotide encoding said polypeptide
Wen et al. RBP95, a novel leucine zipper protein, binds to the retinoblastoma prote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