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3095B1 - 비동기식 이동형 중계장치 - Google Patents

비동기식 이동형 중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3095B1
KR101083095B1 KR1020100089996A KR20100089996A KR101083095B1 KR 101083095 B1 KR101083095 B1 KR 101083095B1 KR 1020100089996 A KR1020100089996 A KR 1020100089996A KR 20100089996 A KR20100089996 A KR 20100089996A KR 101083095 B1 KR101083095 B1 KR 101083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message
base station
storage unit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석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89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30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3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3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082Mobility data transfer for traffic bypassing of mobility servers, e.g. location registers, home PLMNs or home ag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동기식 이동형 중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재난/재해지역 등 통신 음영지역에서 전송된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 통신 가능지역으로 이동하여 중계하며 통신 음영지역에서 등록된 이동단말기로 전송되는 메시지를 전송받아 통신 음영지역과 기지국간 중계함으로써 재난/재해로 인해 손실된 통신을 복구하기까지 긴급한 메시지 등을 중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난/재해지역에 존재하는 사용자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동기식 이동형 중계장치{ASYNCHRONOUS TYPE MOBILE REPEATER}
본 발명은 비동기식 이동형 중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재난/재해지역 등 통신 음영지역에서 전송된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 통신 가능지역으로 이동하여 중계하며 통신 음영지역에서 등록된 이동단말기로 전송되는 메시지를 전송받아 통신 음영지역에서 중계하는 비동기식 이동형 중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용자가 이동 중에도 음성통화 및 데이터 송수신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이동통신 시스템이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통화지역을 셀단위로 나누고, 셀단위마다 기지국을 설치하여 이용자가 이들 기지국을 통해서 통신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옥내 등의 통신음영지역을 고려하여 다수의 중계장치를 설치하여 운용하고 있다.
이러한 중계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증폭하여 이동단말기로 제공하고, 이동단말기로부터의 신호를 증폭하여 기지국으로 제공함으로써 기지국과 단말기 간에 원활한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위에서 설명한 기술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현재, 대부분의 이동통신 기지국 장비나 중계장치 등은 고정적인 통신수요 지역에 고정 설치되는 구조로서, 기동성이 낮고 고 비용이 요구되며, 전송로 및 전기 등의 사전 준비 후 통신 지원이 가능하므로, 증가하는 이벤트 및 지방 자치 행사, 통화 품질 불량 지역의 발생, 재난/재해로 인한 긴급 통신 수요가 발생하는 경우의 통신 수요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재난/재해지역 등 통신 음영지역에서 전송된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 통신 가능지역으로 이동하여 중계하며 통신 음영지역에서 등록된 이동단말기로 전송되는 메시지를 전송받아 통신 음영지역에서 중계하는 비동기식 이동형 중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비동기식 이동형 중계장치는 서비스 안테나를 통해 이동단말기와 통신하고 도너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여 이동단말기와 기지국간 통신 중계를 수행하는 중계모듈; 이동단말기의 위치등록정보를 저장하는 위치등록저장부; 이동단말기와 기지국간 송수신되는 메시지 정보를 저장하는 메시지저장부; 및 이동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하고 기지국과는 통신 불능시 중계모듈을 통해 메시지저장부에 저장된 메시지를 위치등록저장부에 등록된 이동단말기로 전송할 뿐만 아니라 이동단말기로부터 위치등록정보와 메시지 정보를 수신 받아 각각 위치등록저장부와 메시지저장부에 저장한 후 각각 수신확인을 통지하고, 이동단말기와 통신이 불가능하고 기지국과 통신 가능시 중계모듈을 통해 위치등록저장부와 메시지저장부에 저장된 위치등록 정보 및 메시지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뿐만 아니라 위치등록저장부에 등록된 이동단말기로 전송되는 메시지 정보를 전송받아 메시지저장부에 저장하여 이동단말기와 기지국간 중계하는 중계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서 중계제어부는 이동단말기와 기지국간 통신이 가능할 경우 중계모듈을 통해 이동단말기와 기지국간 실시간 통신 중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중계제어부는 설정에 따라 위치등록저장부와 메시지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다른 비동기식 이동형 중계장치로 전달하고 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재난/재해지역 등 통신 음영지역에서 전송된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 통신 가능지역으로 이동하여 중계하며 통신 음영지역에서 등록된 이동단말기로 전송되는 메시지를 전송받아 통신 음영지역과 기지국간 중계함으로써 재난/재해로 인해 손실된 통신을 복구하기까지 긴급한 메시지 등을 중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난/재해지역에 존재하는 사용자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동기식 이동형 중계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동기식 이동형 중계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식 이동형 중계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동기식 이동형 중계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동기식 이동형 중계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동기식 이동형 중계장치는 중계모듈(30), 위치등록저장부(60), 메시지저장부(70) 및 중계제어부(80)를 포함한다.
중계모듈(30)은 서비스안테나(20)를 통해 이동단말기(10)와 통신하고 도너안테나(40)를 통해 기지국(50)과 통신하여 이동단말기(10)와 기지국(50)간 통신 중계를 수행한다.
위치등록저장부(60)는 이동단말기(10)에서 기지국(50)을 경유하여 자신의 위치등록을 위해 전송하는 위치등록정보를 저장한다.
이동단말기(10)는 가입자가 이동하게 되므로 가입자의 이동위치를 계속 추적할 수 있도록 이동단말기(10)는 수시로 교환기(미도시)의 HLR(Home Location Resistor ; 홈위치 등록기)에 자신의 위치를 등록하게 되고, 이를 토대로 전화가 올 경우 해당 위치 기지국(50)에게 연락하여 전화 연결이나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이동단말기(10)는 위치등록을 위해 전원이 켜지면 가까운 기지국(50)으로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 무선전화기 식별번호)과 ESN(Electronic Serial Number ; 단말기고유번호) 메시지를 보내고, 기지국(50)은 이동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위치등록정보를 교환기로 보내 위치등록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메시지저장부(70)는 이동단말기(10)와 기지국(50)간 송수신되는 메시지 정보를 저장한다.
중계제어부(80)는 이동단말기(10)나 기지국(50)과의 통신 가능여부에 따라 중계모듈(30)을 통해 이동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위치등록정보와 메시지 정보를 위치등록저장부(60)와 메시지저장부(70)에 각각 저장한 후 기지국(50)으로 전송하고 기지국(50)으로부터 전송된 메시지 정보를 메시지저장부(70)에 저장하여 이동단말기(10)로 전송하여 이동단말기(10)와 기지국(50)간 중계한다.
즉, 중계제어부(80)는 이동단말기(10)와 통신이 가능하고 기지국(50)과는 통신 불능시 중계모듈(30)을 통해 메시지저장부(70)에 저장된 메시지를 위치등록저장부(60)에 등록된 이동단말기(10)로 전송하여 기지국(50)으로부터 전송받은 메시지를 중계할 뿐만 아니라 이동단말기(10)로부터 위치등록정보와 메시지 정보를 수신 받아 각각 위치등록저장부(60)와 메시지저장부(70)에 저장한 후 각각 수신확인을 통지하여 이동단말기(10)에서는 정상적으로 위치등록이 이루어지고 메시지가 전송된 것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중계제어부(80)는 이동단말기(10)와 통신이 불가능하고 기지국(50)과 통신 가능시 중계모듈(30)을 통해 위치등록저장부(60)와 메시지저장부(70)에 저장된 위치등록 정보 및 메시지 정보를 기지국(50)으로 전송하여 실질적으로 이동단말기(10)가 해당 기지국(50)에 위치등록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이동단말기(10)에서 전송한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중계할 뿐만 아니라 위치등록저장부(60)에 등록된 이동단말기(10)로 전송되는 메시지 정보를 전송받아 메시지저장부(70)에 저장하여 이동단말기(10)로 중계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이동단말기(10)와 기지국(50)간 통신이 모두 가능할 경우 중계제어부(80)는 중계모듈(30)을 통해 이동단말기(10)와 기지국(50)간 실시간 통신 중계를 수행하여 이동단말기(10)에서 전송되는 위치등록정보나 메시지 정보는 곧바로 기지국(50)으로 중계되어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중계제어부(80)는 설정에 따라 위치등록저장부(60)와 메시지저장부(70)에 저장된 정보를 다른 비동기식 이동형 중계장치로 전달하고 받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통신 불능지역과 통신 가능지역이 지리적으로 멀어 하나의 비동기식 이동형 중계장치(100)가 이동하면서 메시지를 중계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될 경우 다수개의 비동기식 이동형 중계장치(100)를 서로 경유하여 일정한 거리만큼만 이동하면서 중계함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메시지를 중계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비동기식 이동형 중계장치는 비동기식으로 메시지를 중계할 수 있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난/재해로 인해 해당 지역의 기지국(50)이 손실됨에 따라 통신 불능이 될 경우 비동기식 이동형 중계장치(100)를 헬리콥터, 자동차, 무인비행체, 잠수정 등의 이동체(90)에 탑재하여 재난/재해지역(A)과 통신 가능지역(B)을 오가면서 메시지를 비동기식으로 중계함으로써 정상적으로 복구되기 이전에 긴급으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통신 불능지역의 경우 기지국(50)의 손실로 이동단말기(10)는 정상적으로 작동하지만 기지국(50)과의 통신이 끊긴 상태로 비동기식 이동형 중계장치에서는 이동단말기(10)와는 통신이 가능하고 기지국(50)과는 통신 불능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동단말기(10)로부터 위치등록정보와 메시지 정보를 수신 받아 각각 위치등록저장부(60)와 메시지저장부(70)에 저장한 후 각각 수신확인을 통지하여 이동단말기(10)에서는 정상적으로 위치등록이 이루어지고 메시지가 전송된 것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통신 불능지역에서 일정시간 이동단말기(10)로부터 전송되는 위치등록정보와 메시지 정보를 수신 받아 위치등록저장부(60)와 메시지저장부(70)에 저장한 후 이동체(90)를 기지국(50)과의 통신이 가능한 통신 가능지역으로 이동시키면 이동단말기(10)와는 통신이 불가능하게 되고 기지국(50)과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면, 중계모듈(30)을 통해 위치등록저장부(60)와 메시지저장부(70)에 저장된 위치등록 정보 및 메시지 정보를 기지국(50)으로 전송하여 실질적으로 이동단말기(10)가 해당 기지국(50)에 위치등록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이동단말기(10)에서 전송한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중계한다.
또한, 기지국(50)으로부터 위치등록저장부(60)에 등록된 이동단말기(10)로 전송되는 메시지 정보를 전송받아 메시지저장부(70)에 저장함으로써 이동단말기(10)와 통신이 가능한 지역으로 이동할 경우 이동단말기(10)로 중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경우 교환기에서 이동단말기가 재난/재해지역에서 위치등록이 이루어진 경우 외부에서 해당 이동단말기로 전송되는 메시지를 일시 저장한 후 비동기식 이동형 중계장치가 접속될 경우 일시 저장된 메시지를 비동기식 이동형 중계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중계될 수 있다.
한편, 중계모듈(30)이 스마트폰(미도시)과 WiFi로 접속되어 스마트폰에서 이메일 등을 송수신하고자 할 경우에도 중계모듈(30)을 통해 수신된 메시지 정보를 메시지저장부(70)에 저장한 후 실질적으로 인터넷망에 접속될 경우 메시지저장부(70)에 저장된 메시지 정보가 전송되도록 중계하고, 스마트폰에서 요청한 요구신호에 따라 이메일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 정보를 메시지저장부(70)에 저장한 후 스마트폰으로 중계함으로써 비동기적으로 이메일 등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이동단말기 20 : 서비스안테나(20)
30 : 중계모듈 40 : 도너안테나
50 : 기지국 60 : 위치등록저장부
70 : 메시지저장부 80 : 중계제어부
90 : 이동체 100 : 중계장치

Claims (4)

  1. 서비스 안테나를 통해 이동단말기와 통신하고 도너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여 상기 이동단말기와 상기 기지국간 통신 중계를 수행하는 중계모듈;
    상기 이동단말기의 위치등록정보를 저장하는 위치등록저장부;
    상기 이동단말기와 상기 기지국간 송수신되는 메시지 정보를 저장하는 메시지저장부; 및
    상기 이동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기지국과는 통신 불능시 상기 중계모듈을 통해 상기 메시지저장부에 저장된 메시지를 상기 위치등록저장부에 등록된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할 뿐만 아니라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등록정보와 상기 메시지 정보를 수신 받아 각각 상기 위치등록저장부와 상기 메시지저장부에 저장한 후 각각 수신확인을 통지하고, 상기 이동단말기와 통신이 불가능하고 상기 기지국과 통신 가능시 상기 중계모듈을 통해 상기 위치등록저장부와 상기 메시지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위치등록 정보 및 상기 메시지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할 뿐만 아니라 상기 위치등록저장부에 등록된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되는 메시지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메시지저장부에 저장하여 상기 이동단말기와 상기 기지국간 중계하는 중계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이동형 중계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제어부는 상기 이동단말기와 상기 기지국간 통신이 모두 가능할 경우 상기 중계모듈을 통해 상기 이동단말기와 상기 기지국간 실시간 통신 중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이동형 중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제어부는 설정에 따라 상기 위치등록저장부와 상기 메시지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다른 비동기식 이동형 중계장치로 전달하고 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이동형 중계장치.
KR1020100089996A 2010-09-14 2010-09-14 비동기식 이동형 중계장치 KR101083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996A KR101083095B1 (ko) 2010-09-14 2010-09-14 비동기식 이동형 중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996A KR101083095B1 (ko) 2010-09-14 2010-09-14 비동기식 이동형 중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3095B1 true KR101083095B1 (ko) 2011-11-16

Family

ID=45397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996A KR101083095B1 (ko) 2010-09-14 2010-09-14 비동기식 이동형 중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30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489B1 (ko) * 2013-11-05 2015-06-12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형 메시지 중계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489B1 (ko) * 2013-11-05 2015-06-12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형 메시지 중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0734B2 (en) Direct mod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attaching method thereof
CN101227710B (zh) 定位触发信息的同步方法和设备
CN104244197B (zh) 用于群体通讯的移动终端、移动即时通讯方法及系统
CN104270732A (zh) 呼叫转移的配置方法和装置
CN103945564A (zh) 一种无线网络连接方法、系统及无线接入点设备
CN102158803A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出租车呼叫系统及方法
CN101247569B (zh) 下发消息的方法和系统、消息中心设备
KR101083095B1 (ko) 비동기식 이동형 중계장치
CN103843373A (zh) Ptt通信方法、服务器、终端及系统
JP2013106334A5 (ko)
US20170012656A1 (en) Cellular phone line replacement adapter
RU2016109188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ализации услуги обработки вызовов, а также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индикации
CN110856158A (zh) 中国电信号码与国外运营商号码一卡两号实现方法及系统
CN101355725B (zh) 一种短消息传输的方法、系统及装置
WO2011158765A1 (ja) 通信中継装置、通信中継システム、通信中継方法、及び、通信中継プログラム
JP2014239281A (ja) メッセージ転送システム、通信端末、管理装置およびメッセージ転送方法
JP5320322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移動機位置情報の取得方法
US1045501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erging isolated networks
JP6810547B2 (ja) 通信システム
KR101232254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원격감시 시스템 및 방법
CN112672268A (zh) 一种无线接入终端
US200601351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ignalling traffic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CN100403817C (zh) 数据消息转发方法
JP2001320765A (ja) ショートメッセージ試験システム及び試験方法
KR20160025962A (ko) 사용자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