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2928B1 - 사용자 기반형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기반형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2928B1
KR101082928B1 KR1020090020571A KR20090020571A KR101082928B1 KR 101082928 B1 KR101082928 B1 KR 101082928B1 KR 1020090020571 A KR1020090020571 A KR 1020090020571A KR 20090020571 A KR20090020571 A KR 20090020571A KR 101082928 B1 KR101082928 B1 KR 101082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ideo
tag
input
advertis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0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2278A (ko
Inventor
김호근
Original Assignee
김호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근 filed Critical 김호근
Priority to KR1020090020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2928B1/ko
Publication of KR20100102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2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04N21/4351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involving reassembling additional data, e.g. rebuilding an executable program from recovered mod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2Web browsing, e.g. WebT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기반형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로부터 동영상에 관한 자막 정보와 동영상 프레임에 등장하는 물건을 일정한 영역으로 구획하여 표시하는 영역인 태그 영역과, 해당 태그 영역을 간단히 설명하는 태그 요약을 입력받고, 상기 자막 정보와 태그 영역 및 태그 요약을 상기 동영상에 함께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동영상 시청에 관한 흥미를 고취시킬 수 있는 사용자 기반형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R1020090020571
동영상, 사용자, 제공

Description

사용자 기반형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providing moving pictures on the basis of a user and its method}
본 발명은 사용자 기반형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로부터 동영상에 관한 자막 정보와 동영상 프레임에 등장하는 물건을 일정한 영역으로 구획하여 표시하는 영역인 태그 영역과, 해당 태그 영역을 간단히 설명하는 태그 요약을 입력받고, 상기 자막 정보와 태그 영역 및 태그 요약을 상기 동영상에 함께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동영상 시청에 관한 흥미를 고취시킬 수 있는 사용자 기반형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하여 영화 등의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웹 사이트가 널리 활성화됨으로써, 사용자는 소망하는 영화 등의 다양한 동영상을 언제 어디서나 용이하게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동영상을 서비스하는 웹 사이트는 제공하는 동영상에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자막(字幕)을 제공하여 표시하는데, 자막의 내용을 수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웹 사이트 운영자에게 별도의 이메일이나 게시판을 통하여 통지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수반되므로, 자막의 수정이 단시 간내에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동영상 시청중 사용자가 관심있는 물건이 등장하면, 사용자가 이러한 물건에 대하여 보다 많은 정보를 얻기 위하여 해당 장면에 나타난 물건에 특별한 표시를 하기를 원하는 경우가 많으나, 종래에는 특별 표시를 수행하는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전혀 제공되지 못하므로 오로지 사용자의 기억에만 전적으로 의존하는 실정이다.
그리고, 사용자는 동영상에 등장하는 물건에 대하여 보다 상세한 정보를 알고 싶을 경우에는 동영상 시청과는 별도로 웹 사이트를 검색하여야 하는 불편함도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동영상을 시청하면서 동영상에 관한 자막을 직접 입력시킬 수 있게 하여 자막 입력과 오류 수정에 대한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이와 더불어 동영상의 특정 장면에 등장하는 물건에 대한 개별적인 표시 수단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동영상 시청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사용자 기반형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자막 또는 물건에 대한 개별적인 표시 수단에 광고 정보를 노출시킬 수 있는 사용자 기반형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용자 기반형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해당 동영상에 관한 자막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자막 정보를 해당 동영상에 표시하는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이다.
또한, 동영상 프레임에 등장하는 물건을 일정한 영역으로 구획하여 표시하는 영역인 태그 영역과, 해당 태그 영역을 간단히 설명하는 태그 요약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태그 영역과 태그 요약을 동영상과 함께 표시하는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사용자 기반형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종래와 같은 웹 사이트의 운영자와 통신을 하는 등의 번거로운 절차를 거치지 않아도 사용자가 직접 동영상에 관한 자막을 실시간으로 수정 또는 갱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번 입력된 자막은 많은 수의 사용자들에 의하여 계속적으로 수정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양질의 자막이 제공될 수 가능성을 제고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막의 일부 영역에 광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이 동영상에 대한 흥미를 잃지 않게 하면서도 광고 효과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영상의 특정 장면에 등장하는 물건에 대한 태그 영역과 태그 요약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동영상 시청의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영상의 태그 영역과 태그 요약 부분을 광고 정보와 연동되게 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용자 기반형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사용자 기반형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의 실시예의 블럭다이어그램이다.
도시된 본 발명 실시예의 사용자 기반형 동영상 제공 시스템(1)은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100)에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소망하는 동영상을 제공하되, 추가적으로 해당 동영상에 관한 자막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해당 동영상에 자막이 표시될 때 자막의 일부 영역에 자막의 내용과 관련한 광고를 노출시키는 시스템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 실시예의 동영상 제공 시스템(1)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가 접속할 수 있는 제반 환경을 제공하는 웹 서비스부(1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가 유무선 인터넷 등의 통신망(200)을 통하여 본 발명 웹 서비스부(10)에 접속하고, 웹 서비스부(10)는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100)에게 통신망(200)을 통하여 사용자가 소망하는 동영상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웹 서비스부(10)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접속되었을 경우, 내장된 소정 양식의 웹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하여 사용자의 회원 가입과 로그인 등의 사용자 식별을 위한 기본적인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웹 서비스부(10)는 사용자가 동영상의 시청과 검색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본 발명 시스템(1)이 제공하는 동영상의 목록을 수록한 웹 페이지와 사용자가 소망하는 동영상을 검색할 수 있는 검색 엔진을 사용자 단말기(100)에게 제공한다.
또한, 상기 웹 서비스부(10)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본 발명 시스템(1)이 제공하는 동영상을 원활하게 재생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기(100)에 대하여 기본적인 소프트웨어 환경을 지원하여 준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0)에 본 발명 시스템(1)이 제공하는 동영상 재생을 위한 제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웹 서비스부(10)는 공지의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예를 들어 mpeg, avi, mov 등의 동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는 공지의 프로그램)을 통신망(200)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에 다운로드시켜줄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유무선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200)에 접속 하기 위한 웹 브라우져와 공지의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을 내장한 단말기를 통칭하는 것으로서, 통상의 컴퓨터나 휴대 전화,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일례로 아이팟 어플리케이션, 윈도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등의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 또는 IP TV(Internet Protocol TV, 인터넷 망에 연결된 텔레비젼으로서 지상파 방송프로그램이나 주문형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고 정보를 인터넷으로 검색할 수 있는 텔레비젼) 등을 채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통신망(200)은 인터넷을 비롯한 모든 유무선 통신망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 시스템(1)으로부터 동영상에 관한 데이터가 전달되어 사용자 단말기로 수신되기까지의 과정을 중계하는 모든 공지된 통신망을 가리킨다.
본 발명 실시예의 동영상 제공 시스템은 동영상에 관한 자막을 사용자 단말기(100)에 표시하기 위하여 동영상에 대응하는 자막 정보를 저장한 자막 데이터베이스(60)를 포함한다.
상기 자막 정보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되어 자막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되거나, 또는 본 발명 시스템 운용자의 운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입력되어 자막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된다.
자막 입력처리부(20)는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운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자막 정보를 입력받아 입력된 자막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사전 과정을 처리하고, 자막 정보를 연동된 자막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자막 입력처리부(20)는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운용자 단말기(300)로부터 해당 동영상에 대한 자막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자막 정보,자막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 또는 운용자, 입력 일시, 해당 동영상 명칭, 해당 동영상의 동영상 프레임(frame) 중 상기 자막 정보가 입력된 프레임(frame)의 색인(index) 정보(예를 들어, 총 50000 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동영상이라면 상기 자막 정보가 입력된 프레임이 총 프레임중 몇 번째 프레임인지의 색인 정보 등)와 같은 입력된 자막 정보에 따른 처리 정보(이하, 이 자막 입력에 따른 처리 정보를 '자막 처리 정보'라함)를 생성하고, 입력된 자막 정보와 상기 자막 처리 정보를 연동된 자막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한다.
자막 결합부(40)는 상기 자막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된 자막 처리 정보를 참조하여 동영상데이터베이스(70)에 저장된 해당 동영상과 자막 정보를 결합한다. 자막 정보가 결합된 동영상은 후술할 동영상 제공부(50)로 전달되어 사용자 단말기(100)로 제공된다.
도 2 는 본 발명 실시예의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운용자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자막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프로그램(User Inferface)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막 정보의 입력을 위한 상기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은 상기 웹 서 비스부(10)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운용자 단말기(300)에 제공되고, 제공된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운용자 단말기(300)에 인스톨되어 실행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자막 정보를 위한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은 도 2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중앙 부분에 해당 동영상을 재생 표시하는 동영상 재생창(301)과, 하단 부분에 동영상의 재생 시작 버튼(302)과 동영상의 전후 구간 이동 버튼(303)을 가지고 있다.
이때, 동영상을 시청하던 도중에 해당 동영상에 대한 자막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운용자 단말기(300)에 연결된 입력 장치(예를 들어 컴퓨터의 경우 마우스, 휴대 전화 단말기의 경우 포인터(pointer), IP TV 의 경우에는 리모컨 등의 입력 장치이며,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입력 장치가 마우스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를 동영상이 재생되고 있는 재생창(301)에 중첩(overlap)시키면, 재생중인 동영상이 일시 정지되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자막의 입력을 위한 자막 입력창(304)이 상기 재생창(301)의 중단 부분에 활성화되어 표시된다.
그리고, 사용자 또는 운용자가 활성화된 자막 입력창(304)에 자막을 입력한 후, 입력창(304)에 포함된 'OK' 버튼(305)을 클릭하면 입력된 댓글 정보가 웹 서비스부(10)를 통하여(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의 입력일 경우) 또는 직접적으로(운용자단말기(300)로부터의 입력일 경우) 자막입력처리부(20)로 입력된다.
상기 자막 입력창(304)은 자막의 입력과 동시에 비활성화되어 재생창(301)에 서 사라지고, 해당 동영상의 재생이 계속 이어진다.
한편, 본 발명 실시예의 사용자 기반의 동영상 제공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자막 정보의 일부 영역에 자막의 내용과 관련한 광고를 노출시킬 수있다. 이하, 상기 자막 정보의 일부 영역에 광고를 노출시키는 광고 검색부(3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광고 검색부(30)는 입력된 상기 자막 정보 및 자막 처리 정보가 저장된 자막 데이터베이스(60)를 검색하고, 해당 동영상에 자막이 표시될 때 자막의 일부 영역에 자막의 내용과 관련한 광고를 노출시키기 위하여, 검색된 자막 내용과 관련한 광고 정보를 연동된 광고 데이터베이스(80)로부터 검색한다.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80)는 본 발명 동영상 제공 시스템을 통하여 광고하려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광고 정보를 저장하는 부분으로서, 광고 대상 상품의 구체적인 정보, 광고 대상의 상품을 홍보하거나 판매하는 웹 사이트의 URL(Universal Resource Locator)과 같은 연결 정보가 저장된다.
본 발명 실시예의 광고 검색부(30)가 광고를 검색하는 방법은, 해당 자막의 내용중 특정한 단어가 존재할 경우 이 특정 단어에 대하여 사전에 설정된 특정 업체의 광고 정보를 검색하게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때, 특정한 단어에 대하여 다수개의 특정 업체가 있고, 이들 각각의 특정 업체가 제공하는 광고 정보들도 다수개가 존재한다면, 광고 검색부(30)에 기설정된 검색 기준에 따라서 이들 업체들의 광고 정보를 순차적으로 또는 무작위로 검색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자막의 내용중 '가방'이라는 특정한 단어가 존재할 경우 이 '가방'이라는 단어에 대응하여 광고 데이터베이스(80)에 A사의 광고 정보만이 저장되어 있다면 A사의 광고 정보가 지체없이 검색되지만, '가방'이라는 단어에 대응하여 광고 데이터베이스(80)에 A사, B사, C사의 광고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면, 광고 검색부(30)에 기설정된 검색 기준(예를 들어 회사명 순서, 광고 정보 저장일 순서 등의 검색 기준)에 따라서 A사, B사, C사의 광고 정보가 상호 순차적으로 검색되게 하거나, 아니면 이들 회사의 광고가 검색 기준에 상관없이 무작위(ramdom)로 검색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위와 같은 광고 검색 방법 이외에도 자막에 포함된 단어와 상관없이 단지 단일한 특정 업체의 광고 정보만을 검색하게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광고 검색부(30)에 의하여 해당 광고 정보가 검색되면, 검색된 광고 정보를 전술한 자막 결합부(40)로 전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자막 결합부(40)는 상기 자막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된 자막 처리 정보를 참조하여 동영상데이터베이스(70)에 저장된 해당 동영상과 자막 정보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와 같이 광고 검색부(30)로부터 전달된 광고 정보가 존재할 경우 해당 광고 정보를 자막 정보와 함께 동영상과 결합한다.
그리고, 자막 결합부(40)는 상기 광고 정보와 자막 정보가 결합된 동영상을 후술할 동영상 제공부(50)로 전달한다.
동영상 제공부(50)는 상기 자막 결합부(40)로부터 전달된 광고 정보와 자막 정보가 결합된 동영상을 파일 스트리밍(streaming) 등의 공지된 동영상 제공 방법 에 따라서 웹 서비스부(1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광고 검색부(30)와 자막 결합부(40)에 의한 광고 정보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면 도 2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창(301) 상에서 해당 동영상에 자막 영역(306)이 표시될 때, 자막 영역의 일부에 자막 내용과 관련한 광고 정보 아이콘(307)이 노출된다.
이때, 동영상을 자막과 함께 시청하는 사용자가 상기 광고 정보 아이콘(307)을 클릭하면, 도 2 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동영상 제공 시스템을 통하여 광고하려는 상품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재생창(301)에 표시된다.
또한, 상기 광고 정보 아이콘(307)에 광고 대상의 상품을 홍보하거나 판매하는 웹 사이트의 URL(Universal Resource Locator)을 연결하여, 아이콘(307)을 클릭하는 즉시, 해당하는 웹 사이트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자 기반형 동영상 제공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동영상 제공 시스템(2)의 블럭다이어그램이며, 도 1 과 동일한 구성요소는 그 도면 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며,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동영상 제공 시스템(2)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가 접속할 수 있는 제반 환경을 제공하는 웹 서비스부(1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웹 서비스부(10)에 의한 사용자의 회원 가입과 로그인, 동영상의 검색, 동영상 재생에 관한 기본적인 소프트웨어 환경의 지원 등의 수행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광고 노출형 동영상 제공 시스템(2)은, 동영상 프레임에 등장하는 물건을 일정한 영역으로 구획하여 표시하는 영역인 태그 영역과, 해당 태그 영역을 간단히 설명하는 태그 요약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태그 영역과 태그 요약을 동영상과 함께 표시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상기 태그 영역 또는 태그 요약 부분에는 광고 정보를 함께 표시하여 태그 영역 내에 있는 해당 물건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해당 물건이나 서비스를 홍보하거나 판매하는 웹 사이트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태그 영역은 주로 해당 동영상의 프레임에서 특정 물건이 나타나는 부분을 그 영역으로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시스템(2)은 상기 태그 영역 정보와 태그 요약 정보를 저장한 테그 데이터베이스(61)를 포함하고, 상기의 태그 영역 정보와 태그 요약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되거나, 또는 본 발명 시스템 운용자의 운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입력된다.
태그 입력처리부(21)는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운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태그 영역 정보와 태그 요약 정보를 입력받고, 이 태그 영역 정보와 태그 요약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사전 과정을 처리하여 연동된 태그 데이터베이스(61)에 저장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태그 입력처리부(21)는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운용자 단말기(300)로부터 해당 동영상에 대한 태그 영역 정보 및 태그 요약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태그 영역의 정보 및 태그 요약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 또는 운용자, 입력 일시, 해당 동영상 명칭, 해당 동영상의 동영상 프레임(frame) 중 상기 광고 영역 정보가 입력된 프레임(frame)의 색인(index) 정보(예를 들어, 총 50000 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동영상이라면 상기 태그 영역 정보가 입력된 프레임이 총 프레임중 몇 번째 프레임인지의 색인 정보 등)와 같은 입력된 태그 영역 정보 및 태그 요약 정보에 따른 처리 정보(이하, 이 태그 영역 정보 및 태그 요약 정보의 입력에 따른 처리 정보를 '태그 처리정보'라함)를 생성하고, 입력된 태그 영역 정보 및 태그 요약 정보와 상기 태그 처리정보를 연동된 태그 데이터베이스(61)에 저장한다.
태그 결합부(41)는 상기 태그 데이터베이스(61)에 저장된 태그 처리 정보를 참조하여 동영상데이터베이스(70)에 저장된 해당 동영상에 상기 태그 영역 정보와 태그 요약 정보를 결합한다. 태그 영역 정보와 태그 요약 정보가 결합된 동영상은 후술할 동영상 제공부(50)로 전달되어 사용자 단말기(100)로 제공된다.
도 4a 및 4b 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시스템(2)에서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운용자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태그 영역 정보와 태그 요약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프로그램(User Inferface)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태그 영역 정보와 태그 요약 정보의 입력을 위한 상기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은 상기 웹 서비스부(10)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운용자 단말기(300)에 제공되고, 제공된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운용자 단말 기(300)에 인스톨되어 실행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태그 영역 정보 및 태그 요약 정보의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은 도 4a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중앙 부분에 해당 동영상을 재생 표시하는 동영상 재생창(401)과, 하단 부분에 동영상의 재생 시작 버튼(402)과 동영상의 전후 구간 이동 버튼(403)을 가지고 있다.
이때, 동영상을 시청하던 도중에 해당 동영상에 대한 태그 영역 정보 및 태그 요약 정보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운용자 단말기(300)에 연결된 입력 장치(전술한 실시예의 설명 참조)를 동영상이 재생되고 있는 재생창(401)에 중첩(overlap)시키면, 재생중인 동영상이 일시 정지되면서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그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사각형(삼각형이나 원형 등의 다른 모양도 가능하다) 형태의 태그 영역창(404)이 상기 재생창(401)의 중단 부분에 활성화되어 표시되고, 이 태그 영역창(404)과 더불어 해당 태그 정보의 요약 정보를 입력하는 태그요약정보 입력창(405)이 상기 재생창(401)의 중단 부분에 표시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상기 태그영역창(404)을 재생중인 동영상 프레임상의 임의의 구역에 표시되도록 하기 위하여, 도 4a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태그영역창(404)을 동영상 프레임상의 소망하는 임의의 구역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태그영역창(404)을 이동시키면서 그것의 넓이를 입력장치의 조작에 의하여 확대 또는 감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4a 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구역으로 이동된 태그영역창(404)과 함께 병기될 태그 요약 정보를 상기 태그요약정보 입력창(405)에 입력시 킨다.
상기 태그요약정보 입력창(405)에 태그 요약정보를 입력한 후, 입력창(405)에 포함된 'OK' 버튼(406)을 클릭하면 입력된 태그 요약 정보와 해당 태그 영역 정보가 웹 서비스부(10)를 통하여(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의 입력일 경우) 또는 직접적으로(운용자단말기(300)로부터의 입력일 경우) 태그영역 입력처리부(21)로 입력된다.
상기 태그 영역창(404) 및 상기 태그요약정보 입력창(405)은 입력과 동시에 비활성화되어 재생창(401)에서 사라지고, 해당 동영상의 재생이 계속 이어진다.
한편,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사용자 기반의 동영상 제공 시스템은 상기 태그 영역 내에 있는 해당 물건에 대한 광고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하, 상기 태그 영역 정보에 광고를 표시하는 광고 검색부(31)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광고 검색부(31)는 해당 동영상의 프레임이 재생될 때 해당 동영상 프레임에 표시되는 태그 영역 또는 태그 요약 부분에 광고를 표시하기 위하여, 태그 데이터베이스(61)를 검색하여 태그 영역 정보 및 태그 요약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태그 영역 정보와 태그 요약 정보에 관한 광고 정보를 연동된 광고 데이터베이스(80)로부터 검색한다.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80)는 전술한 본 발명 실시예와 같이 동영상 제공 시스템을 통하여 광고하려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광고 정보를 저장하는 부분으로서, 광고 대상 상품의 구체적인 정보, 광고 대상의 상품을 홍보하거나 판매하는 웹 사이트의 URL(Universal Resource Locator)과 같은 연결 정보가 저장된다.
본 발명 실시예의 광고 검색부(31)가 광고를 검색하는 방법은, 태그 데이터베이스(61)로부터 독출된 태그 요약 정보의 내용중 특정한 단어가 존재할 경우 이 특정 단어에 대하여 사전에 설정된 특정 업체의 광고 정보를 검색하게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 방법의 상세한 내용은 전술한 본 발명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광고 검색부(31)에 의하여 해당 광고 정보가 검색되면, 검색된 광고 정보를 후술할 태그 결합부(41)로 전달한다.
태그 결합부(41)는 태그 영역 정보와 태그 요약 정보가 결합된 동영상에 상기 광고 정보를 추가 결합(matching)시킨다.
이후, 상기 태그 결합부(41)는 광고 정보가 결합된 동영상을 후술할 동영상 제공부(50)로 전달하고, 동영상 제공부(50)는 상기 태그 결합부(41)로부터 전달된 광고 정보가 결합된 동영상을 파일 스트리밍(streaming) 등의 공지된 동영상 제공 방법에 따라서 웹 서비스부(1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고 정보가 결합된 태그 영역은 도 4b 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창(401) 상에서 태그 영역 정보에 광고 영역 아이콘(407)이 노출된다. 또한, 노출된 광고 영역 아이콘(407)의 하단에 표시된 태그 영역 정보에 광고 요약 문구(408)가 병기될 수 있다.
이때, 동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가 상기 광고 정보 아이콘(407)을 클릭하면, 도 4b 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동영상 제공 시스템을 통하여 광고하려 는 상품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재생창(401)에 표시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광고 정보 아이콘(407)에 광고 대상의 상품을 홍보하거나 판매하는 웹 사이트의 URL(Universal Resource Locator)을 연결하여, 아이콘(407)을 클릭하는 즉시, 해당하는 웹 사이트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 사용자 기반형 동영상 제공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동영상 재생 방법은 도 1 및 2 를 통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접속된 사용자로부터 해당 동영상에 관한 자막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자막 정보를 해당 동영상에 표시하는 동영상 제공 방법이다.
또한, 해당 동영상에 자막이 표시될 때 자막의 일부 영역에 자막의 내용과 관련한 광고를 노출시키는 동영상 제공 방법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 실시예의 동영상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가 유무선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할 수 있는 제반 환경을 제공하는 웹 서비스부와, 웹 서비스부를 통하여 입력된 자막 정보를 처리하는 자막 입력처리부와, 입력된 자막 정보를 저장하는 자막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자막 정보와 동영상을 결합시키는 자막 결합부와, 상기 자막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자막 정보에 기재된 내용에 관한 광고 정보를 연동된 광고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광고 검색부와, 상기 웹 서비스부를 통하여 재생될 수 있는 동영상을 저장하는 동영상 데이터베이스를 가진 시스템에서 구현된다.
도 5a 및 도 5b 는 본 발명 실시예의 동영상 제공 방법을 나타낸 각 단계별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사용자 단말기가 통신망을 통하여 웹 서비스부에 접속하여 로그인하고(단계 S 101), 웹 서비스부는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에 동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동영상의 리스트를 표시한다(단계 S 102).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가 소망하는 동영상의 재생 요구가 입력되면(단계 S 103), 상기 웹 서비스부는 해당 동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고 사용자 단말기에서 동영상이 재생된다(단계 S 104).
동영상이 재생되는 도중에 사용자가 동영상에 대한 자막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자막의 입력을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인스톨된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이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된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의 조작 신호에 의하여 실행되고(단계 S 105), 이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자막 입력을 위한 입력창이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다(단계 S 106).
여기에서, 상기 입력 장치의 조작 신호의 생성은, 사용자가 동영상이 재생되는 화면상에 마우스를 중첩(overlap)시킨다거나 화면상에서 마우스를 클릭하는 조작으로서 입력 장치의 조작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창에 자막이 입력되면, 웹 서비스부가 입력창에 입력된 자막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자막 입력처리부로 전달한다(단계 S 107).
상기 자막 입력처리부는 수신된 자막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 자막 정보의 입력 일시, 해당 동영상 명칭, 해당 동영상의 동영상 프레임(frame) 중 자막 정보가 입력된 프레임(frame)의 색인(index) 정보와 같은 자막의 입력에 따라서 발생하는 자막 처리 정보를 생성한다(단계 S 108).
이어서, 상기 자막입력처리부가 입력된 자막 정보와 상기 자막 처리 정보를 자막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단계 S 109).
한편, 상기 S 105 단계에서의 자막 정보의 입력은 사용자 단말기 뿐만 아니라 상기 자막입력처리부와 연결된 운용자 단말기에서도 가능하다.
그리고, 자막 결합부는 자막 처리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자막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자막 정보를 해당 동영상에 상호 결합시킨다(단계 S 110).
이후, 상기 자막 정보가 결합된 동영상은 동영상 제공부(50)로 전달되어 사용자 단말기(100)로 제공된다(단계 S 111).
이하에서는, 광고 정보가 자막과 함께 표시되는 각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웹 서비스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소망하는 동영상의 재생 요구가 입력되면(단계 S 112), 광고 검색부가 상기 자막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동영상의 자막 정보와 자막 처리 정보를 독출한다(단계 S 113).
그리고, 광고 검색부가 자막 정보를 참조하여 자막 정보에 기재된 내용과 관련한 광고 정보를 연동된 광고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단계 S 114).
그러면, 광고 검색부에 의하여 광고 정보의 검색이 수행되고, 광고 검색부는 검색된 광고 정보 및 해당 동영상과 결합시키는데 참조 이용되는 자막 처리 정보를 자막 결합부에 전달한다(단계 S 115).
이어서, 자막 결합부가 전달받은 자막 처리 정보를 참조하여 연동된 동영상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동영상을 독출하고(단계 S 116), 연동된 자막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동영상의 자막 정보를 독출한다(단계 S 117).
그리고, 상기 자막 결합부가 독출된 해당 동영상에 해당 자막 정보를 결합시키고(단계 S 118), 동영상과 결합된 자막 정보에 상기 광고 검색부로부터 전달받은 광고 정보를 결합(matching)시킨다(단계 S 119).
그리고, 이와 같이 광고 정보가 자막에 결합된 동영상을 웹 서비스부에 전달하고, 웹 서비스부는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동영상을 전송한다(단계 S 120).
이때, 웹 서비스부는 상기 자막 결합부로부터 전달된 동영상을 파일 스트리밍(streaming) 등의 공지된 동영상 제공 방법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게 된다.
이후, 자막 정보 및 자막 정보와 함께 표시되는 광고 정보를 가진 동영상이 사용자 단말기상에서 공지의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에 의하여 재생된다(단계 S 121).
또한, 사용자 또는 운용자가 사용자 단말기 또는 운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동영상에 새롭게 자막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S 105 내지 S 109의 단계를 거쳐서 자막 정보가 입력 처리되고, 상술한 S 112 내지 S 121 의 단계를 거쳐서 자막 정보와 광고 정보가 결합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자 기반형 동영상 제공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동영상 재생 방법은 도 3 및 도 4 를 통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동영상 프레임에 등장하는 물건을 일정한 영역으로 구획하여 표시하는 영역인 태그 영역과, 해당 태그 영역을 간단히 설명하는 태그 요약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태그 영역과 태그 요약을 동영상과 함께 표시하는 동영상 제공 방법이다.
또한, 상기 태그 영역 또는 태그 요약 부분에는 광고 정보를 함께 표시하여 태그 영역 내에 있는 해당 물건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해당 물건이나 서비스를 홍보하거나 판매하는 웹 사이트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동영상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가 유무선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할 수 있는 제반 환경을 제공하는 웹 서비스부와, 웹 서비스부를 통하여 입력된 태그 영역 정보와 태그 요약 정보를 처리하는 태그 입력처리부와, 입력된 태그 영역 정보 및 태그 요약 정보를 저장하는 태그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태그 영역 정보 및 태그 요약 정보와 동영상을 결합시키는 태그 결합부와, 상기 태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태그 영역 정보 및 태그 요약 정보에 기재된 내용에 관한 광고 정보를 연동된 광고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광고 검색부와, 상기 웹 서비스부를 통하여 재생될 수 있는 동영상을 저장하는 동영상 데이터베이스를 가진 시스템에서 구현된다.
도 6a 및 도 6b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동영상 제공 방법을 나타낸 각 단계별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사용자 단말기가 통신망을 통하여 웹 서비스부에 접속하여 로그인하고(단계 S 201), 웹 서비스부는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에 동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동영상의 리스트를 표시한다(단계 S 202).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가 소망하는 동영상의 재생 요구가 입력되면(단계 S 203), 상기 웹 서비스부는 해당 동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고 사용자 단말기에서 동영상이 재생된다(단계 S 204).
동영상이 재생되는 도중에 사용자가 동영상에 대한 태그 영역 및 태그 요약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태그 영역 및 태그 요약의 입력을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인스톨된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이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된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의 조작 신호에 의하여 실행되고(단계 S 205), 이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태그 영역을 설정하는 태그 영역창과 태그 요약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이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다(단계 S 206).
여기에서, 상기 입력 장치의 조작 신호의 생성은, 사용자가 동영상이 재생되는 화면상에 마우스를 중첩(overlap)시킨다거나 화면상에서 마우스를 클릭하는 조작으로서 입력 장치의 조작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태그 영역창의 동영상 프레임 상에서의 이동과 영역창의 확대 또는 감축에 따라서 태그 영역창이 설정되고(단계 S 207), 표시된 태그 입력창에 태그 요약 정보가 입력되면, 웹 서비스부가 입력된 태그 영역 정보와 태그 요약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태그 입력처리부로 전달한다(단계 S 208).
상기 태그 입력처리부는 수신된 태그 영역 정보와 태크 요약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 태그 영역 정보와 태그 요약 정보의 입력 일시, 해당 동영상 명칭, 해당 동영상의 동영상 프레임(frame) 중 태그 영역 정보와 태그 요약 정보가 입력된 프레임(frame)의 색인(index) 정보와 같은 태그 영역정보와 태그 요약 정보의 입력에 따라서 발생하는 태그 처리 정보를 생성한다(단계 S 209).
이어서, 상기 태그 입력처리부가 입력된 태그 영역 정보 및 태그 요약 정보와 상기 태그 처리 정보를 연동된 태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단계 S 210).
한편, 상기 S 205 단계에서의 태그 영역 정보 및 태그 요약 정보의 입력은 사용자 단말기 뿐만 아니라 상기 태그 입력처리부와 연결된 운용자 단말기에서도 가능하다.
그리고, 태그 결합부는 태그 처리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태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태그 영역 정보 및 태그 요약 정보를 해당 동영상에 상호 결합시킨다(단계 S 211).
이후, 상기 태그 영역 정보와 태그 요약 정보가 결합된 동영상은 동영상 제공부(50)로 전달되어 사용자 단말기(100)로 제공된다(단계 S 212).
이하에서는, 태그 영역 정보와 태그 요약 정보가 광고 정보와 함께 표시되는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웹 서비스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소망하는 동영상의 재생 요구가 입력되면(단계 S 213), 광고 검색부가 상기 테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 당 동영상의 태그 영역 정보와 태그 요약 정보 및 태그 처리 정보를 독출한다(단계 S 214).
그리고, 광고 검색부가 상기 태그 요약 정보를 참조하여 태그 요약 정보에 기재된 내용과 관련한 광고 정보를 연동된 광고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단계 S 215).
그러면, 광고 검색부에 의하여 광고 정보의 검색이 수행되고, 광고 검색부는 검색된 광고 정보와 이 검색된 광고 정보를 해당 동영상과 결합시키는데 참조 이용되는 태그 처리정보를 태그 결합부에 전달한다(단계 S 216).
그러면, 태그 결합부가 전달받은 태그 처리정보를 참조하여 연동된 동영상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동영상을 독출하고(단계 S 217),
연동된 태그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동영상의 태그 영역 정보 및 태그 요약 정보를 독출한다(단계 S 218).
이어서, 태그 결합부가 독출된 해당 동영상에 상기 광고 정보를 태그 영역 정보 또는 태그 요약 정보와 결합(matching)시킨다(단계 S 219).
여기서, 상기 광고 정보가 텍스트(text) 형식의 문구로 이루어져 있다면 광고 정보를 태그 요약 정보와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광고 정보가 해당 상품의 판매나 홍보를 위한 동영상 파일이나 웹 사이트의 연결정보를 가지고 있다면 광고 정보를 태그 영역 정보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와 같이 광고 정보가 결합된 동영상을 웹서비스부에 전달하고, 웹 서비스부는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동영상을 전송한다(단계 S 220).
이때, 상기 웹 서비스부는 상기 광고 결합부로부터 전달된 동영상을 파일 스트리밍(streaming) 등의 공지된 동영상 제공 방법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게 된다.
이후, 태그 영역 정보 및 태그 요약 정보와 함께 표시되는 광고 정보를 가진 동영상이 사용자 단말기상에서 공지의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에 의하여 재생된다(단계 S 221).
또한, 사용자 또는 운용자가 사용자 단말기 또는 운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동영상에 새롭게 태그 영역 정보 및 태그 요약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S 205 내지 S 210의 단계를 거쳐서 입력 처리된다.
또한, 광고 정보와 결합되는 태그 영역 정보 및 태그 요약 정보는 상술한 S 213 내지 S 221 의 단계를 거쳐서 동영상과 함께 표시된다.
도 1 은 본 발명 시스템의 실시예의 블럭다이어그램,
도 2 는 본 발명 시스템의 실시예에서 자막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의 일례,
도 3 은 본 발명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블럭다이어그램,
도 4a 및 도 4b 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태그 영역 정보 및 태그 요약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의 일례,
도 5a 및 도 5b 는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의 플로우챠트,
도 6a 및 도 6b 는 본 발명의 방법의 다른 실시예의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시스템
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시스템
10; 웹 서비스부
20; 자막 입력처리부
21; 태그 입력처리부
30, 31; 광고 검색부
40; 자막 결합부
41; 태그 결합부
50; 동영상 제공부
60; 자막 데이터베이스
61; 태그 데이터베이스
70; 동영상 데이터베이스
80; 광고 데이터베이스
100; 사용자 단말기
200; 통신망
300; 운용자 단말기

Claims (20)

  1. 통신망(200)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와 접속되어 사용자 단말기(100)에동영상을 제공하는 동영상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시스템의 운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입력되는 동영상에 관한 자막 정보를 입력받는 웹 서비스부(10);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운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자막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 또는 운용자, 입력 일시, 해당 동영상 명칭, 해당 동영상의 동영상 프레임 중 상기 자막 정보가 입력된 프레임의 색인 정보로 이루어진 자막 처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자막 정보 및 상기 자막 처리 정보를 연동된 자막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하는 자막 입력처리부(20);
    상기 자막 정보 및 자막 처리 정보가 저장된 자막 데이터베이스(60)를 검색하여 연동된 광고데이터베이스(80)로부터 검색된 자막 내용과 관련한 상품의 구체적인 정보 또는 상품을 홍보하거나 판매하는 웹 사이트의 연결 정보로 이루어진 광고 정보를 검색하는 광고 검색부(30);
    상기 자막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된 자막 처리 정보를 참조하여 동영상데이터베이스(70)에 저장된 해당 동영상과 자막 정보를 결합하는 자막 결합부(40);
    상기 자막 입력처리부(20)로부터 상기 자막 정보가 정보가 결합된 동영상을 전달받아 웹 서비스부(1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동영상 제공부(5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웹서비스부(10)를 통하여 동영상의 재생 요구가 입력되면, 상기 자막 결합부(40)가 재생 요구 대상이 되는 동영상을 연동된 동영상 데이터베이스(70)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동영상에 상기 광고 검색부(30)로부터 전달된 광고 정보를 결합시키며,
    상기 광고 검색부(30)는,
    해당 자막의 내용중 특정한 단어가 존재할 경우는, 이 특정 단어에 대하여 사전에 설정된 특정 업체의 광고 정보를 검색하고,
    해당 자막의 내용중 특정한 단어에 대하여 다수개의 특정 업체와 이들 각각의 특정 업체가 제공하는 광고 정보들이 다수개가 존재하는 경우는, 상기 광고 검색부(30)에 기설정된 검색 기준에 따라서 이들 업체들의 광고 정보를 순차적으로 또는 무작위로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반형 동영상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와 접속되어 사용자 단말기에 동영상을 제공하는 동영상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가 통신망을 통하여 웹 서비스부에 접속하고(단계 S 101), 웹 서비스부는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에 동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동영상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단계 S 102);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가 소망하는 동영상의 재생 요구가 입력되면(단계 S 103), 상기 웹 서비스부는 해당 동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고 사용자 단말기에서 동영상이 재생되는 단계(단계 S 104);
    동영상이 재생되는 도중에 사용자가 동영상에 대한 자막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자막의 입력을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인스톨된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이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된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의 조작 신호에 의하여 실행되고(단계 S 105), 이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자막 입력을 위한 입력창이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단계(단계 S 106);
    상기 입력창에 자막이 입력되면, 웹 서비스부가 입력창에 입력된 자막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자막 입력처리부로 전달하는 단계(단계 S 107);
    상기 자막 입력처리부가 상기 자막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 입력 일시, 해당 동영상 명칭, 해당 동영상의 동영상 프레임 중 상기 자막 정보가 입력된 프레임의 색인 정보로 이루어진 자막 처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단계 S 108);
    상기 자막 입력처리부가 입력된 자막 정보와 상기 자막 처리 정보를 자막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단계 S 109);
    자막 결합부가 상기 자막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자막 처리 정보를 참조하여 자막 정보와 해당 동영상을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단계 S 110);
    상기 자막 정보가 결합된 동영상이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는 단계(단계 S 11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웹 서비스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소망하는 동영상의 재생 요구가 입력되면(단계 S 112), 광고 검색부가 상기 자막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동영상의 자막 정보와 자막 처리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단계 S 113);
    광고 검색부가 자막 정보를 참조하여 자막 정보에 기재된 내용과 관련한 광고 정보를 연동된 광고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단계 S 114);
    광고 검색부에 의하여 광고 정보의 검색이 수행되고, 광고 검색부는 검색된 광고 정보와 이 검색된 광고 정보를 해당 동영상과 결합시키는데 참조 이용되는 자막 처리 정보를 광고 결합부에 전달하는 단계(단계 S 115);
    광고 결합부가 전달받은 자막 처리 정보를 참조하여 연동된 동영상 데이터베이스에서 광고 정보가 표시될 해당 동영상을 독출하고(단계 S 116), 연동된 자막데이터베이스에서 광고 정보가 표시될 해당 동영상의 자막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단계 S 117);
    상기 광고 결합부가 독출된 해당 동영상에 해당 자막 정보를 결합시키고(단계 S 118), 동영상과 결합된 자막 정보에 상기 광고 검색부로부터 전달받은 광고 정보를 결합시키는 단계(단계 S 119);
    상기 광고 정보가 자막에 결합된 동영상을 상기 웹 서비스부에 전달하고, 웹 서비스부는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동영상을 전송하는 단계(단계 S 120);
    상기 자막 정보 및 자막 정보와 함께 표시되는 광고 정보를 가진 동영상이 사용자 단말기상에서 재생되는 단계(단계 S 121);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반형 동영상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 정보는 상기 자막입력처리부와 연결된 운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반형 동영상 제공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통신망(200)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와 접속되어 사용자 단말기(100)에동영상을 제공하는 동영상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시스템의 운용자 단말기(300)로부터 동영상 프레임에 등장하는 물건을 일정한 영역으로 구획하여 표시하는 영역인 태그 영역과, 해당 태그 영역을 간단히 설명하는 태그 요약을 입력받는 웹 서비스부(10);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운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태그 영역 정보와 상기 태그 요약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 또는 운용자, 입력 일시, 해당 동영상 명칭, 해당 동영상의 동영상 프레임 중 상기 태그 영역 정보 및 태그 요약 정보가 입력된 프레임의 색인 정보인 태그 처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태그 영역 정보 및 태그 요약 정보와 상기 태그 처리 정보를 연동된 태그 데이터베이스(61)에 저장하는 태그 입력처리부(21);
    상기 태그 데이터베이스(61)를 검색하여 연동된 광고 데이터베이스(80)로부터 상기 태그 영역 정보 및 태그 요약 정보와 관련한 상품의 구체적인 정보 또는 상품을 홍보하거나 판매하는 웹 사이트의 연결 정보로 이루어진 광고 정보를 검색하는 광고 검색부(31);
    상기 태그 데이터베이스(61)에 저장된 태그 처리 정보를 참조하여 동영상데이터베이스(70)에 저장된 해당 동영상에 상기 태그 영역 정보와 태그 요약 정보를 결합하는 태그 결합부(41);
    상기 태그 결합부(41)로부터 상기 태그 영역 정보와 태그 요약 정보가 결합된 동영상을 전달받아 웹 서비스부(1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동영상 제공부(5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웹서비스부(10)를 통하여 동영상의 재생 요구가 입력되면, 상기 태그 결합부(41)가 재생 요구 대상이 되는 동영상을 연동된 동영상 데이터베이스(70)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동영상에 상기 광고 검색부(31)로부터 전달된 광고 정보를 결합시키며,
    상기 광고 검색부(31)는,
    해당 광고 요약 정보의 내용중 특정한 단어가 존재할 경우는, 이 특정 단어에 대하여 사전에 설정된 특정 업체의 광고 정보를 검색하고,
    해당 태그 요약의 내용중 특정한 단어에 대하여 다수개의 특정 업체와 이들 각각의 특정 업체가 제공하는 광고 정보들이 다수개가 존재하는 경우는, 상기 광고 검색부(31)에 기설정된 검색 기준에 따라서 이들 업체들의 광고 정보를 순차적으로 또는 무작위로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반형 동영상 제공 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와 접속되어 사용자 단말기에 동영상을 제공하는 동영상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가 통신망을 통하여 웹 서비스부에 접속하여 로그인하고(단계 S 201), 웹 서비스부는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에 동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동영상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단계 S 202);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가 소망하는 동영상의 재생 요구가 입력되면(단계 S 203), 상기 웹 서비스부는 해당 동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고 사용자 단말기에서 동영상이 재생되는 단계(단계 S 204);
    동영상이 재생되는 도중에 동영상 프레임에 등장하는 물건을 일정한 영역으로 구획하여 표시하는 영역인 태그 영역과, 해당 태그 영역을 간단히 설명하는 태그 요약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태그 영역 및 태그 요약의 입력을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인스톨된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이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된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의 조작 신호에 의하여 실행되고(단계 S 205), 이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태그 영역을 설정하는 태그 영역창과 태그 요약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이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단계(단계 S 206);
    상기 태그 영역창의 동영상 프레임 상에서의 이동과 영역창의 확대 또는 감축에 따라서 태그 영역창이 설정되고(단계 S 207), 표시된 태그 입력창에 태그 요약 정보가 입력되면, 웹 서비스부가 입력된 태그 영역 정보와 태그 요약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태그 입력처리부로 전달하는 단계(단계 S 208);
    상기 태그 입력처리부가 상기 태그 영역 정보 및 태그 요약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 또는 운용자, 태그 영역 정보와 태그 요약 정보의 입력 일시, 해당 동영상 명칭, 해당 동영상의 동영상 프레임 중 태그 영역 정보와 태그 요약 정보가 입력된 프레임의 색인 정보로 이루어진 태그 처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단계 S 209);
    상기 태그 입력처리부가 입력된 태그 영역 정보 및 태그 요약 정보와 상기 태그 처리 정보를 연동된 태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단계 S 210);
    태그 결합부가 상기 태그 처리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태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태그 영역 정보 및 태그 요약 정보를 해당 동영상에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단계 S 211);
    상기 태그 영역 정보와 태그 요약 정보가 결합된 동영상이 사용자 단말기(100)로 제공되는 단계(단계 S 21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웹 서비스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소망하는 동영상의 재생 요구가 입력되면(단계 S 213), 광고 검색부가 상기 태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동영상의 태그 영역 정보 및 태그 요약 정보와 태그 처리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단계 S 214);
    상기 광고 검색부가 상기 태그 요약 정보를 참조하여 태그 요약 정보에 기재된 내용과 관련한 광고 정보를 연동된 광고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단계 S 215);
    광고 검색부에 의하여 광고 정보의 검색이 수행되고, 광고 검색부는 검색된 광고 정보와 이 검색된 광고 정보를 해당 동영상과 결합시키는데 참조 이용되는 태그 처리정보를 태그 결합부에 전달하는 단계(단계 S 216);
    태그 결합부가 전달받은 태그 처리정보를 참조하여 연동된 동영상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동영상을 독출하고(단계 S 217), 연동된 태그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동영상의 태그 영역 정보 및 태그 요약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단계 S 218);
    태그 결합부가 독출된 해당 동영상에 상기 광고 정보를 태그 영역 정보 또는 태그 요약 정보와 결합시키는 단계(단계 S 219);
    상기 광고 정보가 결합된 동영상을 웹서비스부에 전달하고, 웹 서비스부는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동영상을 전송하는 단계(단계 S 220);
    상기 태그 영역 정보 및 태그 요약 정보와 함께 표시되는 광고 정보를 가진 동영상이 사용자 단말기상에서 재생되는 단계(단계 S 221);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반형 동영상 제공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영역 정보 및 태그 요약 정보는 상기 태그 입력처리부와 연결된 운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반형 동영상 제공 방법.
  19. 삭제
  20. 삭제
KR1020090020571A 2009-03-11 2009-03-11 사용자 기반형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82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571A KR101082928B1 (ko) 2009-03-11 2009-03-11 사용자 기반형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571A KR101082928B1 (ko) 2009-03-11 2009-03-11 사용자 기반형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2278A KR20100102278A (ko) 2010-09-24
KR101082928B1 true KR101082928B1 (ko) 2011-11-11

Family

ID=43007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0571A KR101082928B1 (ko) 2009-03-11 2009-03-11 사용자 기반형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29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766B1 (ko) * 2017-11-23 2019-12-13 주식회사 플레인베이글 동영상 요약 정보 재생 장치, 동영상 요약 정보 제공 서버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2278A (ko) 2010-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5045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d updating live-streaming online content in an interactive web platform
US1144351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supplemental content in augmented reality
US1059508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2271191B1 (ko) 미디어 데이터에 있는 아이템을 인식하고 이와 관련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8930992B2 (en) TV social network advertising
US201101383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mments regarding content
US20080109841A1 (en) Product information display and product linking
US20090144772A1 (en) Video object tag creation and processing
KR20110135178A (ko) 컨텐츠 서비스 방법
JP2010098730A (ja) リンク情報の提供装置、表示装置、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リンク情報の送受信システム
JP2008242888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US20170272793A1 (en) Media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JP2012038273A (ja) コンテンツレコメンド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00118896A (ko) 콘텐츠 내 객체 정보 및 객체 기반의 응용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00100405A (ko) 댓글 입력이 가능한 쌍방향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82928B1 (ko) 사용자 기반형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0087595A (ja) ブックマーク登録方法、ブックマーク登録システム、ユーザ端末、およびサーバ
JP6479348B2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装置のプログラム、通信システム、受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のプログラム
KR101805618B1 (ko) 컨텐트에 대한 코멘트 공유 방법 및 그 장치
JP2014510458A (ja) テレビジョンで放送される対話型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を管理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WO2011096495A1 (ja) 配信コンテンツに対する視聴者からのフィードバックを管理する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484276B1 (ko) 키워드를 통한 광고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1447333B1 (ko) 동영상을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22027635A (ja) 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ー、コンテンツ検索方法、コンテンツ検索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JP4561775B2 (ja) 動画像コンテンツ蓄積装置と情報機器からなるシステム、ならびに、放送受信機と動画像コンテンツ蓄積装置と情報機器からなる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