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2466B1 - 음식물 쓰레기 배출 기능을 갖춘 거름망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배출 기능을 갖춘 거름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2466B1
KR101082466B1 KR1020100022193A KR20100022193A KR101082466B1 KR 101082466 B1 KR101082466 B1 KR 101082466B1 KR 1020100022193 A KR1020100022193 A KR 1020100022193A KR 20100022193 A KR20100022193 A KR 20100022193A KR 101082466 B1 KR101082466 B1 KR 101082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food waste
outlet
closing mechanism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2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3070A (ko
Inventor
김병욱
Original Assignee
김병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욱 filed Critical 김병욱
Priority to KR1020100022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2466B1/ko
Publication of KR20110103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배출 기능을 갖춘 거름망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거름망을 싱크대 배수구로부터 분리하지 않고서도 내부에 축적된 음식물 쓰레기를 간편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배출 기능을 갖춘 거름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배출 기능을 갖춘 거름망은 상부가 개방되고, 둘레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늘고 긴 슬롯 형상의 배수공이 종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둘레면의 소정 면적을 절개하여 개방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거름망 내부에 축적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개방 구멍을 통해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출구가 구비된 통체; 및 상기 통체에 조립되어 수직 왕복 동작하며 상기 배출구의 개방 및 폐쇄를 수행하는 개폐기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폐기구는 상기 배출구를 가려 막고 덮을 수 있는 차단판을 포함하는 차폐부; 및 상기 차폐부로부터 막대 형상으로 돌출 구비되고 상기 슬롯 형상의 배수공을 관통하도록 조립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바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바가 상기 슬롯 형상의 배수공의 안내를 받으며 종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함으로써 상기 개폐기구의 차폐부가 수직 왕복 운동하며 배출구의 개폐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배출 기능을 갖춘 거름망{NET FILTER HAVING FUNCTION OF DISCHARGING FOOD WASTE}
본 발명은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거름망에 형성된 배출구와 개폐기구 그리고 이러한 거름망과 연결된 수거통을 통해 거름망에 축적된 음식물 쓰레기를 매우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수거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배출 기능을 갖춘 거름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는 물을 원활하게 흘려보낼 수 있도록 배수관과 연결된 외통과 상기 외통의 배수구에 삽입 설치되는 거름망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거름망은 배수와 함께 쓸려 내려가는 음식물 쓰레기를 거르기 위한 장치로서 통상적으로 도 1과 같은 구조를 갖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싱크대 거름망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싱크대 거름망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체로 구성되고 그 몸체에는 다수의 배수구멍(1)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테두리에는 몸체로부터 단차지도록 돌출 형성되어 싱크대 배수구에 걸쳐 놓을 수 있도록 걸림부(2)가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구조를 갖는 싱크대 거름망을 싱크대 배수구에 삽입하면 그 상단은 배수구에 걸려 안착되고 그 외면은 외통의 내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한다. 따라서, 음식의 조리 및 설거지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상기 거름망에 걸러져서 내부에 축적되고, 배출수는 거름망의 배수구멍과 상기 이격 공간을 통해 원활히 배출되어 진다.
이처럼, 거름망에 걸려 내부에 축적된 음식물 쓰레기를 수시로 비우지 아니하고 오랜 시간 동안 방치하게 되면 오물이 말라서 거름망에 들러붙어 추후 말끔히 비워내기가 곤란해지고, 특히 오물이 부패되어 심한 악취가 발생되거나 세균이 번식하여 위생 및 청결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최고의 방법은 거름망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가 쌓일 때 마다 곧 바로 해당 오물을 버려주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거름망의 경우 내부에 걸러진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기 위해서는 싱크대로부터 거름망을 들어낸 후 별도의 오물통이나 봉지에 털어버려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는 바, 거름망을 수시로 비우지 않고 내부가 오물로 가득 찰 때까지 방치해 두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또한, 상술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거지 등을 마칠 시 곧바로 거름망을 들어올려 음식물 쓰레기를 오물통이나 봉지에 털어버리는 경우에는 음식물 쓰레기에 묻어 있는 물기가 싱크대 주변에 흘러내려 이러한 물기를 닦아주고 제거해 줘야하는 번거러움이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거름망을 싱크대 배수구로부터 분리하지 않고서도 내부에 축적된 음식물 쓰레기를 간편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배출 기능을 갖춘 거름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배출 기능을 갖춘 거름망은 싱크대 배수구에 설치되어 물은 배수하고 음식물 쓰레기는 여과하는 거름망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고, 둘레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늘고 긴 슬롯 형상의 배수공이 종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둘레면의 소정 면적을 절개하여 개방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거름망 내부에 축적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개방 구멍을 통해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출구가 구비된 통체; 및 상기 통체에 조립되어 수직 왕복 동작하며 상기 배출구의 개방 및 폐쇄를 수행하는 개폐기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폐기구는 상기 배출구를 가려 막고 덮을 수 있는 차단판을 포함하는 차폐부; 및 상기 차폐부로부터 막대 형상으로 돌출 구비되고 상기 슬롯 형상의 배수공을 관통하도록 조립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바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바가 상기 슬롯 형상의 배수공의 안내를 받으며 종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함으로써 상기 개폐기구의 차폐부가 수직 왕복 운동하며 배출구의 개폐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배출 기능을 갖춘 거름망에 의하면, 사용자가 개폐기구를 들어 올리기만 하면 거름망을 싱크대 배수구로부터 분리하지 않고서도 거름망 내부에 쌓인 음식물 쓰레기를 손쉽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사용자가 거름망의 오물을 수시로 비워주는 행위를 유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위생적이고 청결한 싱크대를 유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배출구의 개방을 위해 차폐부를 들어 올릴 경우 해당 자리에 개방부가 대체 배치되도록 동작하고, 이러한 연계 동작을 통해, 배출구의 개방시 발생하는 이격 공간이 개방부에 의해 자연스럽게 메워짐으로써 음식물 쓰레기 배출시 의도하지 않은 영역으로 오물이 유출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개폐기구에 구비된 가이드레일과 배출관에 구비된 물유입 방지턱을 통해 개폐기구의 안정적인 슬라이딩 동작을 유도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설겆이 등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수시 해당 물이 배출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싱크대 거름망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거름망을 도시한 사시도.
도 3a는 도 2의 거름망에 구비되는 개폐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b(a) 및 (b)는 도 3a의 A-A' 및 B-B'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개폐기구에 의해 거름망 배출구가 폐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동작예.
도 4b는 본 발명의 개폐기구에 의해 거름망 배출구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동작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배출 기능을 갖춘 거름망을 구비한 싱크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물유입 방직턱이 형성된 배출관을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거름망은 배출구(110)와 개폐기구(200)를 포함하는 싱크대 거름망 구성과 상기 거름망에 구비된 배수공을 이용하여 수직 왕복 동작하며 배출구(110)의 개폐를 수행하는 개폐기구(200) 구조를 통해, 거름망에 축적된 오물을 손쉽게 분리 수거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적 특징을 제시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장점 및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거름망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a는 도 2의 거름망에 구비되는 개폐기구(2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a) 및 (b)는 도 3a의 A-A' 및 B-B'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거름망은 상부가 개방된 통체를 포함하고, 상기 통체(100)는 원통형, 직육면체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름망의 통체(100)은 원통형상의 거름망으로 구성하였다.
상기 통체(100)의 둘레면에는 통상의 싱크대 거름망과 같이 다수의 배수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수의 배수공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다수의 배수공 중 적어도 하나(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두 개)는 가늘고 긴 슬롯 형상의 배수공(120)이 통체의 종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롯 형상의 배수공(120)은 상호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빗살(121a,121b)에 의해 한 개의 배수공이 형성된다.
이는, 본 발명의 개폐기구(200)는 거름망의 배수공을 이용하여 수직 왕복 동작하며 배출구(110)의 개방 및 폐쇄를 실시하도록 구성되고, 구체적으로 이러한 개폐기구(200)의 수직 왕복 동작은 종방향으로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배수공의 안내를 통해 달성되기 때문이다. 상술한 슬롯 형상의 배수공(120)은 배출구(110)의 수직 상부 영역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자세한 것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배출구(110)는 거름망 내부에 축적된 음식물 쓰레기를 거름망 외부(도5: 오물수거통(310))로 배출시키기 위한 요소에 해당한다. 상기 배출구(110)는 거름망의 둘레면 중 소정 면적을 절개하여 개방 형성한 구멍으로서, 그 형상은 직사각형 모양으로 구성하고 상기 절개되는 개방 구멍은 적어도 거름망의 하단부에서 시작되어 거름망의 중간 위치까지 연장 형성된 배치 구조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거름망 바닥에 쌓인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구(110)측으로 밀어내는 과정에서 해당 오물이 상기 하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배출구(110)를 통해 손쉽게 밀려나며 남김없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배출구(110)의 수직 상부 영역에는 개폐기구(200)의 수직 왕복 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슬롯 형상 배수공이 소정 길이를 갖고 구비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직사각형상 배출구(110)의 상측 모서리부에는 슬롯 형상의 배수공(120)을 형성하는 빗살(121a,121b)들의 하단을 연결하며 거름망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바(Bar:130)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배출구(110)는 거름망 둘레면의 소정 면적을 절개하여 형성되는 바 상기 배출구(110)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빗살들(121a,121b)은 그 하단이 고정되어 있지 않아 요동하거나 부러지는 경우를 방지하고, 스토퍼(Stopper)를 구현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걸림바(130)는 배출구(110)의 수직 상부 영역에 구비된 다수의 빗살들(121a,121b)을 상호 연결하여 해당 빗살(121a,121b)이 요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배수공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개폐기구(200)에 대한 스토퍼(Stopper)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즉, 본 발명의 개폐기구(200)는 배출구(110)의 상부에 구비된 적어도 두 개의 배수공의 안내를 통해 거름망의 종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며 배출구(110)의 개방 및 폐쇄를 실시하도록 구성되는데, 특히 배출구(110)의 폐쇄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개폐기구(200)가 적정 위치에서 이동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목적은 개폐기구(200)에 구비된 가이드바(230)가 배수공의 슬롯 구멍을 따라 하강하다 상기 걸림바(130)에 걸림동작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3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개폐기구(2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개폐기구(200)는 가이드바(230), 차폐부(210) 및 개방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210)와 개방부(220)는 바람직하게는 연속되게 이루어진 하나의 프레임(210) 상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차폐부(210)와 개방부(220)가 구비되는 프레임(201)은 내부가 비어 있는 직사각형상의 틀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바(Bar:230)는 프레임(201)의 모서리부에 돌출 구비된다.
본 발명의 차폐부(210)는 프레임(201)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차단판(211)을 포함한다. 판형 부재로 이루어진 차단판(211)은 프레임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프레임(201) 내부 빈 공간의 일정 면적을 가려 막고 덮음으로써 차폐부(210)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차단판(211)은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 얇은 판형상의 부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두께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그 형태가 변형되지 않고 유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얇은 두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차단판(211)이 들어 올려지고 그 자리에 개방부(220)가 위치하였을 때 차단판(211)의 두께 만큼 발생하는 이격 공간을 최소화하여 음식물 쓰레기 배출시 배출관(300)으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이격 공간을 통해 의도하지 않은 공간(즉, 배수관)으로 배출되는 경우를 최대한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차단판(211)의 크기는 적어도 배출구(110)와 같거나 더 큰 면적으로 이루어지고, 거름망 통체(100)가 원통형이라면 상기 차단판(211) 역시 상기 통체(100)의 둘레면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면의 판형 부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201)에 있어서 차단판(211)이 부착되지 않아 개방되어 있는 프레임(201) 영역은 본 발명의 개방부(220)에 해당하며, 상기 개폐기구(200)가 들어 올려지면 차폐부(210)에 의해 폐쇄되어 있던 배출구(110) 전방에 상기 개방부(220)가 위치하게 되어 배출구(110)를 개방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개방부(220)와 차폐부(210)에 의해 거름망 배출구(110)의 완전한 개방 및 폐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방부(220)와 차폐부(210)는 1:1 비율의 세로길이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는 배출구(110) 전방에 배출관(300)이 근접 배치되고, 이러한 배출구(110)와 배출관(300) 사이에 개폐기구(200)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배출구(110)의 개방을 위해 차폐부(210)가 상승하게 되면 배출구(110)와 배출관(300)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발생하게 되고, 이렇게 발생된 이격 공간은 의도하지 않은 영역(즉, 배수관)으로 음식물 쓰레기가 유출되는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방부(220)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성 요소에 해당한다. 즉, 본 발명의 싱크대 거름망은 배출구(110)의 개방을 위해 차폐부(210)를 들어 올릴 경우 해당 자리에 개방부(220)가 대체 배치되도록 동작하고, 이러한 연계 동작을 통해, 배출구(110)의 개방시 발생하는 이격 공간이 개방부(220)에 의해 자연스럽게 메워짐으로써 음식물 쓰레기 배출시 의도하지 않은 영역으로 오물이 유출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본 발명의 가이드바(230)는 프레임(201)의 모서리부에 막대 형상으로 돌출 구비되는데, 바람직하게는 프레임(201)의 상단 모서리부(즉, 차폐부(210)의 상측 모서리부)에 돌출 형성하여 가이드바(230)와 프레임(201)은 전체적으로 "ㄱ"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3a와 같이 상기 상단 모서리부의 양단에 각각 하나씩 한 쌍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이는, 가이드바(230)를 한 쌍으로 구성함으로써 기폐기구가 요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직 왕복 운동하며 배출구(110)의 개폐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함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프레임(즉, 차폐부(210)의 모서리부)으로부터 막대 형상으로 돌출 구비된 가이드바(120)는 상술한 슬롯 형상의 배수공(120)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만약 가이드바를 한 쌍으로 구성하였다면, 슬롯 형상의 배수공(120) 역시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고, 각 가이드바(120)는 각 배수공(120)에 관통 삽입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적 특징에 의해, 배수공을 관통하고 있는 가이드바(230)는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배수공의 안내를 받으며 상하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이 가능해지고, 이는 개폐기구(200)의 수직 왕복 동작을 유발하게 되며 이러한 개폐기구(200)의 수직 왕복 동작을 통해 차폐부(210)에 의한 배출구(110) 폐쇄 및 개방부(220)에 의한 배출구(110) 개방이 구현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230)는 개폐기구(200)의 수직 왕복 동작을 안내하는 역할은 물론 배출구(110)의 폐쇄를 위한 개폐기구(200) 하강시 상기 개폐기구(200)가 적정 위치에서 하강을 정지하고 머물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즉, 본 발명의 개폐기구(200)는 배출구(110)의 상부에 구비된 적어도 두 개의 배수공의 안내를 통해 거름망의 종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며 배출구(110)의 개방 및 폐쇄를 실시하도록 구성되는데, 특히 배출구(110)의 완벽한 폐쇄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개폐기구(200)가 적정 위치(즉, 차폐부(210)가 배출구(110) 전방에 대향 배치되는 위치)에서 이동이 정지되어 더 이상 하강할 수 없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목적은 개폐기구(200)에 구비된 가이드바(230)가 배수공의 슬롯 구멍을 따라 하강하다 배출구(110) 상부에 횡방향으로 구비된 걸림바(130)에 걸림동작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기구(200)는 로드부(240)와 손잡이(25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도 3a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로드부(240)는 가이드바(230)의 단부에 구비되어 거름망의 상부 개방부(220)를 향해 수직하게 뻗어 있는 막대 형상의 부재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로드부(240)의 상측 단부에는 손잡이(250)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250)를 통해 개폐기구(200)를 끌어 올리는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250)는 사용자가 손쉽게 파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예컨데, 고리 형상, 직육면체 형상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a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손잡이(250)는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로드부(240)의 끝단을 상호 연결하는 굽어진 막대형상으로 구성하였다.
따라서,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고자 할 경우, 거름망의 상부영역으로 뻗어있는 로드부(240)에 구비된 손잡이(250)를 파지한 후 수직 상부 방향으로 끌어 올리면, 이 때 발생하는 외력은 로드부(240)를 통해 가이드바(230)로 전달되고, 상기 외력에 의해 가이드바(230)는 배수공의 안내를 받으며 상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어 개폐기구(200) 전체의 수직 상승 동작(즉, 배출구(110)의 개방)이 달성된다.
도 4a는 본 발명의 개폐기구(200)에 의해 거름망 배출구(110)가 폐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동작예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개폐기구(200)에 의해 거름망 배출구(110)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동작예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이드바(230)가 걸림바(130)에 걸림동작되어 있게 되면 차폐부(210)는 거름망 배출구(110)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어 배출구(110)를 폐쇄시킨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개방부(220)는 거름망의 하부 영역에 위치하게 된다.
이처럼 배출구(110)의 폐쇄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로드부(240)의 끝단에 구비된 손잡이(250)를 파지한 후 중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가이드바(230)가 배수공의 안내를 받으며 수직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배출구(110)를 차단하고 있던 차폐부(210)는 위로 올라오고 그 자리에는 개방부(220)가 위치하게 되어 배출구(110)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거름망에 축적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통해 배출구(110)를 개방시키고 개방된 배출구(110)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관(300)으로 밀어냄으로써, 거름망을 싱크대 배수구로부터 분리하지 않고서도 내부에 축적된 음식물 쓰레기를 간편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배출 기능을 갖춘 거름망을 구비한 싱크대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는 도 5와 같이 배출관(300)이 연장 형성된 오물수거통(31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출관(300)은 "ㄱ"자 형의 관체로 구성되고, 개방된 일단부(이하, "유입구(301)"라 칭함.)는 거름망의 배출구(110)와 대향 배치되고 타단부는 오물수거통(310)과 연결되어 있으며, 배출관(300)의 개방된 일단부와 거름망의 배출구(110)는 차폐부(210)를 사이에 두고 최대한 근접하게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배출구(110)를 통한 음식물 쓰레기 배출과정에서 상기 배출관(300)과 배출구(110) 사이의 벌어진 공간으로 오물이 빠져나가 의도하지 않은 곳(즉, 배수관)으로 배출되는 경우를 최대한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유입구(301)가 형성된 배출관(300) 부위는 직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유입구(301) 부위에 형성된 물유입 방지턱(303a,303b)과 개폐기구(200)의 프레임(201)에 구비된 가이드레일(205a,205b)을 통해 개폐기구(200)의 안정적인 슬라이딩 동작을 보장하고, 물이 배수관으로 유입되는 경우를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자세한 것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개폐기구(200)가 장착된 거름망과, 배출관(300)이 연결된 오물수거통(310)을 구비한 싱크대를 통해 거름망 내부에 축적된 음식물 쓰레기를 비우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본 발명의 개폐기구(200)를 들어올려 거름망 배출구(110)를 개방시킨 후, 개방된 배출구(110)를 통해 내부 음식물 쓰레기를 밀어내면 해당 오물은 배출구(110)와 근접하며 대향 배치된 배출관(300)으로 유입되고, 배출관(300)으로 유입된 오물은 오물수거통(310)으로 흘러들어가 수거가 완료된다.
상기 오물수거통(310)은 내부에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 단순한 통체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및 분해 등의 기능을 갖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물유입 방직턱이 형성된 배출관(30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름망과 배출관(300)은 차폐부(210)와 개방부(220)를 구성하는 프레임(201)에 형성된 가이드레일(205a,205b)과 배출관(300)에 형성된 물유입 방지턱(303a,303b)을 통해, 배출구(110)의 폐쇄 상태에서는 배수구로 유입되는 물이 배출관(300)으로 유입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b 및 도 6을 참조하면, 개폐기구(200)의 프레임의 종방향 양측 모서리 부재(203a,203b)의 내측에는 각각 "ㄷ" 단면 형상의 가이드레일(205a,205b)이 연장 형성되어 있고, 배출관(300)에는 한 쌍의 물유입 방직턱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물유입 방지턱(303a,303b)은 배출관(300)의 유입구(301)의 외면 상에 단차진 형태로 구비되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유입구(301)의 세로방향 양측 모서리를 따라 각각 한 개씩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개폐기구(200)의 수직 방향 왕복 동작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물유입 방지턱(303a,303b)은 가이드레일(205a,205b)의 요홈에 각각 수용 배치되는 결합 구조를 갖고, 이러한 구조적 특징을 통해 본 발명의 개폐기구(200)는 가이드레일(205a,205b)이 물유입 방지턱(303a,303b)의 안내를 따라 슬라이딩 동작함으로써 수직 왕복 운동(즉, 거름망 배출구(110)의 개폐동작)을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출구(110)의 폐쇄 상태에서는 차폐부(210)의 가이드레일(205a,205b)의 요홈에 배출관(300)의 물유입 방지턱(303a,303b)이 삽입 결합됨에 따라, 배출관 유입구(301)와 차폐부(210) 사이에 이격 공간이 발생하지 않아 거름망으로 배수할 경우 해당 물이 배출관(300)으로 유입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배출구(110)의 개방 상태에서는 개방부(220)의 가이드레일(205a,205b)이 배출관(300)의 물유입 방지턱(303a,303b)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바, 배출관 유입구(301)와 개방부(220) 사이에 이격 공간이 발생하지 않아, 거름망 배출구(110)를 통해 배출되는 오물이 유입구(301) 이외의 공간으로 빠져나가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예컨데, 상기에서는 두 개의 가이드바(230)가 두 개의 배수공에 각각 삽입 관통되어 개폐기구(200)의 수직 왕복 운동을 안내하도록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상기 가이드바(230)는 한 개 또는 세 개 이상으로 구성하여도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차단판(211)의 경우 거름망의 형상(예컨데, 원통형, 직육면체형 등)에 따라 곡면형, 평면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만약 직육면체 형상의 거름망이라면 상기 차단판(211)을 평면 형태로 구성한다면 배출구를 더욱 완전하게 차폐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는 걸림바(130)에 가이드바(230)가 걸림동작함으로서 개폐기구의 하강이 정지되어 배출구(110)의 차폐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하였으나, 거름망 통체(100)의 개방된 상단부의 테두리부에 단차진 걸림턱(도4b:140)를 형성하고 본 발명의 굽어진 막대형상의 손잡이(도4b:250)가 상기 걸림턱(140)에 걸림동작하여 배출구 차폐 상태를 달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차폐부와 개방부를 포함하는 프레임(201)은 연속된 직사각형상으로 구성하여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상기 직사각형 프레임의 하측 모서리부(즉, 개방부의 하측 모서리부)를 생략하여 "∩" 형상의 프레임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상기 하측 모서리부가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할 경우, 거름망의 청소를 위해 거름망을 배수구에서 꺼낼시 프레임의 가이드레일에 조립되어 있는 배출관(300)의 분리 결합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00 : 거름망 통체 110 : 배출구
120 : 슬롯 형상의 배수공 130 : 걸림바
200 : 개폐기구 201 : 프레임
205a, 205b : 가이드레일 210 : 차폐부
211 : 차단판 220 : 개방부
230 : 가이드바 240 : 로드부
250 : 손잡이 300 : 배출관
301 : 유입구 303a, 303b : 물유입 방지턱
310 : 오물수거통

Claims (7)

  1. 싱크대 배수구에 설치되어 물은 배수하고 음식물 쓰레기는 여과하는 거름망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고, 둘레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늘고 긴 슬롯 형상의 배수공이 종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둘레면의 소정 면적을 절개하여 개방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거름망 내부에 축적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개방 구멍을 통해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출구가 구비된 통체; 및
    상기 통체에 조립되어 수직 왕복 동작하며 상기 배출구의 개방 및 폐쇄를 수행하는 개폐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기구는
    상기 배출구를 가려 막고 덮을 수 있는 차단판을 포함하는 차폐부; 및 상기 차폐부로부터 막대 형상으로 돌출 구비되고 상기 슬롯 형상의 배수공을 관통하도록 조립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바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바가 상기 슬롯 형상의 배수공의 안내를 받으며 종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함으로써 상기 개폐기구의 차폐부가 수직 왕복 운동하며 배출구의 개폐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배출 기능을 갖춘 거름망.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내부가 비어 있는 프레임에 상기 차단판이 부착되어 상기 프레임 내부 빈 공간의 일정 면적을 가려막고 덮음으로써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프레임의 모서리부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이 부착되지 않아 개방되어 있는 프레임 영역에 해당하는 개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기구가 들어 올려지면 차폐부에 의해 폐쇄되어 있던 배출구 전방에 상기 개방부가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배출 기능을 갖춘 거름망.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거름망의 하단부에서 시작되어 거름망의 중간 위치까지 연장 형성된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롯 형상의 배수공은 상기 배출구의 수직 상부 영역에 상호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빗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의 상측 모서리부에는 상기 빗살들의 하단을 연결하며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바(Bar)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배출 기능을 갖춘 거름망.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와 개방부는 1:1 비율의 세로길이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배출 기능을 갖춘 거름망.
  5.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의 일단부에는 상기 통체의 개방부를 향해 수직하게 뻗어 있는 막대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 로드부; 및
    상기 로드부의 상측 단부에 구비된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배출 기능을 갖춘 거름망.
  6. 제1 항에 있어서,
    "ㄱ"자 형의 관체로 구성되고, 일단부는 개방 형성된 유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배출구 전방에 대향 배치되어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관체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관으로 유입된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는 오물수거통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배출 기능을 갖춘 거름망.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내부가 비어 있는 직사각형상의 틀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종방향 양측 모서리부 내측에 "ㄷ" 단면 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과;
    "ㄱ"자 형의 관체로 구성되고, 일단부는 개방 형성된 유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배출구 전방에 대향 배치되어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관체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 유입구의 외면상에 상기 유입구의 세로방향 양측 모서리를 따라 단차지게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물유입 방직턱; 및
    상기 배출관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관으로 유입된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는 오물수거통을 더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물유입 방지턱은 가이드레일의 요홈에 각각 삽입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물유입 방지턱의 안내를 받으며 슬라이딩 동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배출 기능을 갖춘 거름망.
KR1020100022193A 2010-03-12 2010-03-12 음식물 쓰레기 배출 기능을 갖춘 거름망 KR101082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193A KR101082466B1 (ko) 2010-03-12 2010-03-12 음식물 쓰레기 배출 기능을 갖춘 거름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193A KR101082466B1 (ko) 2010-03-12 2010-03-12 음식물 쓰레기 배출 기능을 갖춘 거름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070A KR20110103070A (ko) 2011-09-20
KR101082466B1 true KR101082466B1 (ko) 2011-11-15

Family

ID=44954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2193A KR101082466B1 (ko) 2010-03-12 2010-03-12 음식물 쓰레기 배출 기능을 갖춘 거름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24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920B1 (ko) 2015-03-04 2016-06-13 주창규 배수구 거름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366B1 (ko) * 2013-04-01 2015-03-02 김혜온 거름통 어셈블리 및 이를 적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062Y1 (ko) 2003-08-20 2003-11-12 강인찬 음식물 찌꺼기 수거망
KR200368152Y1 (ko) 2004-08-10 2004-11-17 주식회사 한성물산 씽크대용 걸름통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062Y1 (ko) 2003-08-20 2003-11-12 강인찬 음식물 찌꺼기 수거망
KR200368152Y1 (ko) 2004-08-10 2004-11-17 주식회사 한성물산 씽크대용 걸름통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920B1 (ko) 2015-03-04 2016-06-13 주창규 배수구 거름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070A (ko) 2011-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56804A1 (en) Straining and transport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CN209122095U (zh) 一种拖把桶
KR101082466B1 (ko) 음식물 쓰레기 배출 기능을 갖춘 거름망
KR101468721B1 (ko) 음식물 쓰레기 거름망
KR20140002037U (ko)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거름망
KR200472503Y1 (ko) 배수트랩
KR101364262B1 (ko) 거름망
KR20130012092A (ko) 종이컵 수거함
JP4893717B2 (ja) 洗濯機
KR101369553B1 (ko) 분할 개폐되는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KR20120111553A (ko) 탈수기능이 구비된 배수관용 거름장치
CN213548943U (zh) 一种高效猫砂铲
KR102042561B1 (ko) 다수의 도마가 구비된 싱크대
KR101977470B1 (ko)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KR20220001401U (ko) 거름망이 구비된 세면대 밸브 구조
KR101307611B1 (ko) 음식물 쓰레기봉투 및 음식물 쓰레기통
KR200489534Y1 (ko) 거름부재를 갖춘 배수 트랜치
JP5157655B2 (ja) ヘアキャッチャー
KR20080057911A (ko) 배수구의 머리카락 수거판
KR101404081B1 (ko) 세면대
KR20150091619A (ko) 이물질 제거망이 구성된 밑뚜껑 개폐식 거름망
DE3524385C2 (ko)
CN215962405U (zh) 组合式过滤组件及洗菜盆
KR200192977Y1 (ko) 세면대용 배수마개
KR100742213B1 (ko) 세척조의 배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