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2379B1 - 압저항 소자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갖는 압저항 방식의 터치 패널 - Google Patents

압저항 소자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갖는 압저항 방식의 터치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2379B1
KR101082379B1 KR1020100064210A KR20100064210A KR101082379B1 KR 101082379 B1 KR101082379 B1 KR 101082379B1 KR 1020100064210 A KR1020100064210 A KR 1020100064210A KR 20100064210 A KR20100064210 A KR 20100064210A KR 101082379 B1 KR101082379 B1 KR 101082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structure
carbon nanotube
roll
pattern
piezoresis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4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섭
이강원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00064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2379B1/ko
Priority to US13/176,184 priority patent/US866996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5/00Nanotechnology for interacting, sensing or actuating, e.g. quantum dots as markers in protein assays or molecular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압저항 소자의 제조방법은, 폴리머 소재를 엠보싱(Embossing) 방식으로 가공하여 탄성 변형이 가능한 상면을 갖는 폴리머 구조체를 제조하는 단계, 폴리머 구조체의 상면에 탄소나노튜브 용액을 설정된 패턴에 맞춰 도포하는 단계, 폴리머 구조체에 도포된 탄소나노튜브 용액을 건조시켜 폴리머 구조체의 상면에 탄소나노튜브 패턴을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압저항 소자의 제조방법은 엠보싱 방식과 프린팅 방식을 이용하므로, 종래의 사진식각 방식을 바탕으로 한 반도체 공정이나 MEMS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에 의한 환경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낮은 제조비용으로 대면적 생산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압저항 소자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갖는 압저항 방식의 터치 패널{PIEZORESISTIVE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PIEZORESISTIVE-TYPE TOUCH PANE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치 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탄소나노튜브의 압저항 특성을 이용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압저항 소자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갖는 압저항 방식의 터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터치 패널(Touch panel)이란, 컴퓨터, 개인용 휴대 단말기 및 각종 사무기기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있어서,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손가락이나 펜을 이용한 접촉에 의한 신호전달을 이용하여 입력을 할 수 있는 입력장치이다.
터치 패널은 구현방식에 따라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SAW(Surface Accoustic Wave; 초음파) 방식, IR(Infrared; 적외선) 방식 등으로 구분된다.
저항막 방식은 투명전극이 코팅되어 있는 두 장의 기판을 합착시킨 구조로이루어지며, 손가락이나 펜으로 압력을 가해 상부와 하부의 전극층이 접촉되면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어 위치를 인지하는 방식이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가격이 싸고 정확도가 높으며 소형화에 유리하나, 물리적으로 두 장의 기판이 접촉되어야 터치를 인식하기 때문에 견고하게 제작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정전용량 방식은 사람의 몸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감지해 구동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정전용량 방식은 내구성이 강하고 반응시간이 짧으며 투과성이 좋으나, 가격이 높고 펜을 이용하거나 장갑을 낀 손 등에는 동작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그 밖의 SAW 방식은 방출된 초음파가 장애물로 만나 파동의 크기(Amplitude)가 줄어든 것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빛 투과율이 좋은 반면 센서의 오염과 액체에 약한 단점을 지니고 있다. IR 방식은 적외선이 사람의 눈에는 보이지 않으나, 직진성이 있어 장애물이 있으면 차단되는 특성을 이용한 방식이다. IR 방식의 터치 패널은 발광(Light emitting)소자와 수광(Light detecting)소자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터치에 의해 차단된 자표를 인식하게 되며, ITO 필름 등이 필요 없어 Glass 1장으로도 구현이 가능해 투과율이 우수하다.
현재, 상술한 다양한 방식의 터치 패널 중에서 손가락이나 펜으로 압력을 가해 상·하부 전극의 접촉에 의해 인식하는 저항막 방식과 사람의 몸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감지하여 인식하는 정전용량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저항막 방식은 접촉에 의해 전극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고, 정전용량 방식은 인체가 아닌 도구로는 작동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극의 파손 등의 내구성 문제와 인체가 아닌 도구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탄소나노튜브의 압저항 특성을 이용하는 압저항 소자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갖는 압저항 방식의 터치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압저항 소자의 제조방법은, (a) 폴리머 소재를 엠보싱(Embossing) 방식으로 가공하여 탄성 변형이 가능한 상면을 갖는 폴리머 구조체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폴리머 구조체의 상면에 탄소나노튜브 용액을 설정된 패턴에 맞춰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폴리머 구조체에 도포된 상기 탄소나노튜브 용액을 건조시켜 상기 폴리머 구조체의 상면에 탄소나노튜브 패턴을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폴리머 구조체의 상면에 패턴 홈을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탄소나노튜브 용액을 상기 패턴 홈에 도포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폴리머 구조체의 하면에 상기 폴리머 구조체의 상부가 아래쪽으로 처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도피 홈을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폴리머 소재로 자외선 경화제를 이용하고, 자외선을 조사하면서 상기 자외선 경화제를 가압하여 상기 폴리머 구조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폴리머 소재로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고, 열을 가하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가압하여 상기 폴리머 구조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몰드(Mold)를 이용하는 콘텍트 프린팅(Contact Printing) 방식으로 상기 폴리머 소재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롤(Roll)을 이용하는 롤투롤 프린팅(Roll-2-Roll Printing) 방식으로 상기 폴리머 소재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잉크젯 프린팅 방식으로 상기 탄소나노튜브 용액을 상기 폴리머 구조체의 상면에 프린팅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몰드(Mold)를 이용하는 콘텍트 프린팅(Contact Printing) 방식으로 상기 탄소나노튜브 용액을 상기 폴리머 구조체의 상면에 프린팅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롤(Roll)을 이용하는 롤투롤 프린팅(Roll-2-Roll Printing) 방식으로 상기 탄소나노튜브 용액을 상기 폴리머 구조체의 상면에 프린팅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압저항 방식의 터치 패널은, 압저항 소자 및 상기 압저항 소자의 상면을 덮는 보호판을 포함하고, 상기 압저항 소자는 탄성 변형 가능한 상면을 갖는 폴리머 구조체와 상기 폴리머 구조체의 상면에 마련되는 탄소나노튜브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폴리머 구조체의 상면이 외력을 받아 변형될 때 상기 탄소나노튜브 패턴이 변형되어 상기 탄소나노튜브 패턴의 저항값이 가변한다.
상기 폴리머 구조체의 상면에는 패턴 홈이 마련되고, 상기 탄소나노튜브 패턴은 상기 패턴 홈에 배치되며, 상기 폴리머 구조체의 하면에는 상기 폴리머 구조체의 상부가 아래쪽으로 처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도피 홈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압저항 소자는 탄소나노튜브 패턴을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저항막 방식에 비해 전극 파손의 위험이 작고, 종래의 정전용량 방식에 비해 인체 이외의 다양한 도구로 작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압저항 소자는 가해지는 압력에 비례하여 저항값이 변화하므로 터치 패널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다기능 터치 센서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압저항 소자는 이를 구성하는 폴리머 구조체 및 탄소나노튜브 패턴이 모두 유연성을 갖기 때문에, 곡면에 부착할 수 있으며, 구부러지는 부품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압저항 소자는 엠보싱 방식과 프린팅 방식으로 제조되므로, 종래의 사진식각 방식을 바탕으로 한 반도체 공정이나 MEMS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에 의한 환경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낮은 제조비용으로 대면적 생산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압저항 소자를 갖는 압저항 방식의 터치 패널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압저항 소자를 갖는 압저항 방식의 터치 패널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압저항 소자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압저항 소자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압저항 소자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압저항 소자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갖는 압저항 방식의 터치 패널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압저항 방식의 터치 패널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압저항 방식의 터치 패널(10)은 압저항 소자(20), 압저항 소자(20)를 지지하는 기판(30) 및 압저항 소자(20)의 상면을 덮는 보호판(35)을 포함한다. 보호판(35)은 탄성 변형이 가능한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압저항 소자(2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상면(22)을 갖는 폴리머 구조체(21)와 폴리머 구조체(21)의 상면(22)에 마련되는 탄소나노튜브 패턴(23)을 포함한다. 폴리머 구조체(21)의 상면(22)에는 탄소나노튜브 패턴(23)이 배치되는 패턴 홈(24)이 마련되고 폴리머 구조체(21)의 하면에는 도피 홈(25)이 마련된다. 도피 홈(25)은 폴리머 구조체(21)의 상면(22)에 외력에 의한 처짐이 발생할 때 폴리머 구조체(21)의 상부가 아래쪽으로 처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터치 패널(10)은 탄소나노튜브 패턴(23)의 저항 변화를 이용하는 것으로, 탄소나노튜브 패턴(23)은 압저항체의 역할을 한다. 압저항체는 기계적인 변형에 대해서 전기적인 신호인 저항값이 변하는 특성이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탄소로 이루어진 탄소동소체로서 그 직경이 나노미터 수준으로 극히 미세하고, 전도성 및 강도가 우수하여 폴리머 구조체(21)와 함께 변형될 수 있는 유연한 전기소자로 적합하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폴리머 구조체(21)의 상면(22)이 외력을 받아 변형될 때 탄소나노튜브 패턴(23)이 변형되어 탄소나노튜브 패턴(23)의 저항값이 가변하게 된다. 탄소나노튜브 패턴(23)에 외력이 인가될 경우 탄소나노튜브 패턴(23)의 저항값은 인가되는 외력에 따라 증가하였다가 힘이 제거되면 원래의 저항값으로 복원된다. 탄소나노튜브 패턴(23)는 이에 인가되는 압력에 비례하여 처짐이 발생하며, 탄소나노튜브 패턴(23)의 저항값도 인가되는 압력에 비례하여 커지게 된다.
이러한 압저항 방식의 터치 패널(10)은 동일한 지점에서도 누르는 힘에 따라 저항값이 다르게 변하기 때문에, 정보 입력을 위해 터치 스크린에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 개의 버튼으로 여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 터치 센서(Multi-functional touch sensor)로 응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상술한 압저항 소자(20)를 제조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폴리머 소재(21'), 상부 몰드(40) 및 하부 몰드(45)를 준비하고, 준비된 폴리머 소재(21')를 엠보싱(Embossing) 방식으로 가공하여 탄성 변형이 가능한 상면(22)을 갖는 폴리머 구조체(21)를 제조한다. 폴리머 소재(21')로는 자외선 경화제나 열가소성 수지 등 외력이 가해질 때 탄성 변형될 수 있는 소재가 이용된다.
폴리머 소재(21')로 자외선 경화제를 이용하는 경우 자외선 엠보싱(UV Embossing) 방식으로 폴리머 구조체(21)를 제조하고, 폴리머 소재(21')로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 핫 엠보싱(Hot Embossing) 방식으로 폴리머 구조체(21)를 제조하게 된다. 자외선 엠보싱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 몰드(40) 및 하부 몰드(45)로 폴리머 소재(21')를 가압하면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압축 변형된 폴리머 소재(21')를 경화시킨다. 핫 엠보싱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폴리머 소재(21')에 열을 가하면서 상부 몰드(40) 및 하부 몰드(45)로 가열된 폴리머 소재(21')를 압축하여 원하는 형상을 얻게 된다.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 몰드(40) 및 하부 몰드(45)로 폴리머 소재(21')를 가압하면 상부 몰드(40) 및 하부 몰드(45)의 형상에 따라 폴리머 소재(21')를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다. 상부 몰드(40) 및 하부 몰드(45)가 폴리머 소재(21')를 가압할 때, 상부 몰드(40)의 돌기(41)에 의해 폴리머 구조체(21)의 상면(22)에 패턴 홈(24)이 마련되고, 하부 몰드(45)의 돌기(46)에 의해 폴리머 구조체(21)의 하면에 도피 홈(25)이 마련된다.
폴리머 소재(21')로부터 특정 형상의 폴리머 구조체(21)를 성형하기 위해,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 몰드(40) 및 하부 몰드(45)를 이용하는 콘텍트 프린팅(Contact Printing)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고, 롤(Roll)을 이용하는 롤투롤 프린팅(Roll-2-Roll Printing)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롤투롤 프린팅 방식을 사용할 경우, 회전하는 롤 사이로 폴리머 소재(21')를 통과시킴으로써 원하는 형상의 폴리머 구조체를 만들 수 있다.
엠보싱 방식으로 폴리머 구조체(21)를 제조한 후,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폴리머 구조체(21)의 패턴 홈(24)에 탄소나노튜브 용액(23')을 도포한다. 탄소나노튜브 용액(23')은 분산 용액에 탄소나노튜브가 분산되어 있는 것이다.
패턴 홈(24)에 탄소나노튜브 용액(23')을 도포하는 방법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프린팅 장치(50)를 이용하는 잉크제 프린팅(Ink-jet Printing)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고, 몰드를 이용하는 콘텍트 프린팅 방식이나 롤을 이용하는 롤투롤 프린팅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콘텍트 프린팅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탄소나노튜브 용액(23')을 몰드로 찍어서 폴리머 구조체(21)에 프린팅하고, 롤투롤 프린팅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탄소나노튜브 용액(23')을 롤로 찍어서 폴리머 구조체(21)에 프린팅한다.
폴리머 구조체(21)에 탄소나노튜브 용액(23')을 도포한 후, 도 3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포된 탄소나노튜브 용액(23')을 건조시키면, 폴리머 구조체(21)의 상면에 탄소나노튜브 패턴(23)이 형성된다.
상술한 폴리머 소재(21')의 공급, 엠보싱 가공, 탄소나노튜브 용액(23')의 도포 및 탄소나노튜브 용액(23')의 건조 과정은 컨베이어 벨트 등의 이송 장치 상에서 순서대로 진행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압저항 소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압저항 소자(60)는 폴리머 구조체(61)에 패턴 홈이 마련되지 않고 폴리머 구조체(61)의 상면(62)에 탄소나노튜브 패턴(23)이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압저항 소자(60)는 폴리머 구조체(61)의 상면(62)이 외력을 받아 아래로 처질 때 탄소나노튜브 패턴(23)이 변형되어 탄소나노튜브 패턴(23)의 저항값이 가변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압저항 소자(70)는 폴리머 구조체(71)의 하면에 도피 홈이 마련되지 않은 것이다. 이러한 압저항 소자(70)는 폴리머 구조체(71)가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성 폴리머로 이루어짐으로써, 폴리머 구조체(71)의 상면(72)에 외력이 가해질 때 폴리머 구조체(71)의 상면(72)이 하부로 함몰될 수 있다. 이때, 폴리머 구조체(71)의 패턴 홈(73)에 마련된 탄소나노튜브 패턴(23)이 변형되어 탄소나노튜브 패턴(23)의 저항값이 변하게 된다.
이 밖에, 본 발명에 의한 압저항 소자는 도시된 실시예들 이외에, 엠보싱 방식으로 가공되는 폴리머 구조체와 프린팅 방식으로 폴리머 구조체의 상면에 마련되는 탄소나노튜브 패턴을 갖는 다양한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압저항 소자는 탄소나노튜브 패턴을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저항막 방식에 비해 전극 파손의 위험을 줄일 수 있고, 종래의 정전용량 방식에 비해 인체 이외의 다양한 수단으로 작동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 터치 패널 20, 60, 70 : 압저항 소자
21, 61, 71 : 폴리머 구조체 22, 62, 72 : 상면
23 : 탄소나노튜브 패턴 23' : 탄소나노튜브 용액
24, 73 : 패턴 홈 25 : 도피 홈
30 : 기판 35 : 보호판
40 : 상부 몰드 41, 46 : 돌기
45 : 하부 몰드 50 : 프린팅 장치

Claims (13)

  1. (a) 폴리머 소재를 패턴이 형성된 몰드로 가압하여, 탄성 변형이 가능하며, 패턴 홈이 마련된 상면을 갖는 폴리머 구조체를 제조하는 단계;
    (b) 탄소나노튜브 용액을 상기 패턴 홈에 도포하는 단계; 및
    (c) 상기 폴리머 구조체에 도포된 상기 탄소나노튜브 용액을 건조시켜 상기 폴리머 구조체의 상면에 탄소나노튜브 패턴을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저항 소자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폴리머 구조체의 하면에 상기 폴리머 구조체의 상부가 아래쪽으로 처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도피 홈을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저항 소자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폴리머 소재로 자외선 경화제를 이용하고, 자외선을 조사하면서 상기 자외선 경화제를 가압하여 상기 폴리머 구조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저항 소자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폴리머 소재로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고, 열을 가하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가압하여 상기 폴리머 구조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저항 소자의 제조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몰드(Mold)를 이용하는 콘텍트 프린팅(Contact Printing) 방식으로 상기 폴리머 소재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저항 소자의 제조방법.
  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롤(Roll)을 이용하는 롤투롤 프린팅(Roll-2-Roll Printing) 방식으로 상기 폴리머 소재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저항 소자의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잉크젯 프린팅 방식으로 상기 탄소나노튜브 용액을 상기 폴리머 구조체의 상면에 프린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저항 소자의 제조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몰드(Mold)를 이용하는 콘텍트 프린팅(Contact Printing) 방식으로 상기 탄소나노튜브 용액을 상기 폴리머 구조체의 상면에 프린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저항 소자의 제조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롤(Roll)을 이용하는 롤투롤 프린팅(Roll-2-Roll Printing) 방식으로 상기 탄소나노튜브 용액을 상기 폴리머 구조체의 상면에 프린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저항 소자의 제조방법.
  11.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저항 소자.
  12. 탄성 변형 가능한 상면을 갖는 폴리머 구조체와 상기 폴리머 구조체의 상면에 마련되는 탄소나노튜브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폴리머 구조체의 상면이 외력을 받아 변형될 때 상기 탄소나노튜브 패턴이 변형되어 상기 탄소나노튜브 패턴의 저항값이 가변하는 압저항 소자; 및
    상기 압저항 소자의 상면을 덮는 보호판;을 포함하며,
    상기 폴리머 구조체의 상면에는 패턴 홈이 마련되고, 상기 탄소나노튜브 패턴은 상기 패턴 홈에 배치되며, 상기 폴리머 구조체의 하면에는 상기 폴리머 구조체의 상부가 아래쪽으로 처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도피 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저항 방식의 터치 패널.
  13. 삭제
KR1020100064210A 2010-07-05 2010-07-05 압저항 소자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갖는 압저항 방식의 터치 패널 KR101082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210A KR101082379B1 (ko) 2010-07-05 2010-07-05 압저항 소자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갖는 압저항 방식의 터치 패널
US13/176,184 US8669964B2 (en) 2010-07-05 2011-07-05 Piezoresistive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piezoresistive-type touch panel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210A KR101082379B1 (ko) 2010-07-05 2010-07-05 압저항 소자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갖는 압저항 방식의 터치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2379B1 true KR101082379B1 (ko) 2011-11-10

Family

ID=45397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210A KR101082379B1 (ko) 2010-07-05 2010-07-05 압저항 소자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갖는 압저항 방식의 터치 패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669964B2 (ko)
KR (1) KR1010823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16570B2 (en) 2012-08-24 2015-08-25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display apparatus sensing touch for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06344B4 (de) 2010-03-31 2020-03-12 Joyson Safety Systems Acquisition Llc Insassenmesssystem
JP5805974B2 (ja) 2010-03-31 2015-11-10 ティーケー 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センサ
JP5759230B2 (ja) 2010-04-02 2015-08-05 ティーケー 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手センサを有する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WO2013154720A1 (en) 2012-04-13 2013-10-17 Tk Holdings Inc. Pressure sensor including a pressure sensitive material for use with control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DE112013004512T5 (de) 2012-09-17 2015-06-03 Tk Holdings Inc. Einzelschicht-Kraftsensor
ITTO20121084A1 (it) * 2012-12-14 2014-06-15 Plastic Components And Modules Auto Motive S P A Dispositivo di controllo per un circuito elettrico integrato su un substrato di materiale polimerico
EP3043474B1 (en) * 2014-12-19 2019-01-16 Wujunghightech Co., Ltd. Touch pad using piezo effect
US9569007B2 (en) * 2014-12-19 2017-02-14 WUJUNGHIGHTECH Co., LTD. Touch pad using piezo effect
IT201700019426A1 (it) * 2017-02-21 2018-08-21 St Microelectronics Srl Sensore di forza/pressione microelettromeccanico scalabile piezoresistivo di tipo bulk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15088B2 (en) * 2000-03-03 2010-05-11 Sipix Imaging, Inc. Electrophoretic display
KR20070031756A (ko) * 2005-09-15 2007-03-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자방출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8237677B2 (en) * 2008-07-04 2012-08-07 Tsinghua University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KR101091196B1 (ko) 2008-08-14 2011-12-09 한국전기연구원 탄소나노튜브가 코팅된 폴리카보네이트 투명전도성 필름 및이를 이용한 터치패널
US20100108409A1 (en) * 2008-11-06 2010-05-06 Jun Tanaka Capacitive coupling type touch panel
KR101065280B1 (ko) 2008-11-24 2011-09-19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유연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5181093B2 (ja) * 2008-12-08 2013-04-10 韓國電子通信研究院 タッチスクリーン及びその動作方法
KR101053884B1 (ko) * 2008-12-17 2011-08-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형광체층 형성용 조성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16570B2 (en) 2012-08-24 2015-08-25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display apparatus sensing touch force
US9626030B2 (en) 2012-08-24 2017-04-18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display apparatus sensing touch for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69964B2 (en) 2014-03-11
US20120001870A1 (en) 201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2379B1 (ko) 압저항 소자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갖는 압저항 방식의 터치 패널
EP3187970B1 (en) Contact sensitive devic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US9831871B2 (en) Touch panel comprising a piezoelectric material
CN103823592B (zh) 一种带有力学感应功能的显示装置
CN102955588A (zh) 触控式键盘及其制造方法
KR20150073959A (ko) 터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와 디자인
WO2019230634A1 (ja) 感圧タッチセンサ及び感圧タッチセンサモジュール
CN105094425A (zh) 触控传感器及其制备方法及具有触控传感器的显示器件
Dempsey et al. Tactile sensing in human–computer interfaces: The inclusion of pressure sensitivity as a third dimension of user input
KR101966227B1 (ko)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8112854A (ja) 静電容量式センサ装置
CN202306446U (zh) 触控式键盘
CN102999175A (zh) 一种3d触控鼠标的结构
KR101246351B1 (ko) 정전용량형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549490B1 (ko) 3d 프린팅 기반의 곡면형 촉감소자 및 그 형성방법
KR20170141019A (ko) 유연한 소재를 이용한 터치 압력 검출 센서
JP7165624B2 (ja) 感圧タッチセンサ及び感圧タッチセンサモジュール
KR101133141B1 (ko) 터치 패널
TWI361993B (en) Touch-contro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80113081A (ko) 터치 패널
KR101573356B1 (ko) 정전식 터치입력 구현을 위한 터치인식필름
JP7232263B2 (ja) 感圧タッチセンサ及び感圧タッチセンサモジュール
JP7019005B2 (ja) 静電容量式センサ装置
CN107102774A (zh) 新型电容式触摸屏及其生产方法
JP2012048472A (ja) タッチセンサ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用タッチパ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