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2132B1 -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2132B1
KR101082132B1 KR1020050057307A KR20050057307A KR101082132B1 KR 101082132 B1 KR101082132 B1 KR 101082132B1 KR 1020050057307 A KR1020050057307 A KR 1020050057307A KR 20050057307 A KR20050057307 A KR 20050057307A KR 101082132 B1 KR101082132 B1 KR 101082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portable electronic
sensor
point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7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1694A (ko
Inventor
김진형
김동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7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2132B1/ko
Publication of KR20070001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1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전자기기를 핸드헬링하여 공간 상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센서부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신호처리부, 신호처리된 디지털 신호에 의하여 위치 변경하는 포인터를 포함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의 포인터가 일정한 조작으로 소정의 위치로 변경되기 위해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핸드헬링의 공간 상 기준위치를 설정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공간 기준각이 저장된 메모리부 및 신호처리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인가받아 공간 기준각에 의거하여 핸드헬링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움직임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의 포인터가 위치 변경하고, 지시된 포인터를 선택 및 취소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버튼을 눌러 소정의 메뉴를 실행하거나 전자펜을 이용하는 인터페이스를 보조하여 더욱 다양한 입력수단을 구현할 수 있으며, 버튼을 누르기에 용이하지 않은 경우에 핸드헬링 조작만으로 실행 조작할 수 있게 된다.
Figure R1020050057307
전자기기, 디스플레이

Description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A DISPLAY OF A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AND A METHOD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도 1의 센서부에 의한 가속도신호와 각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휴대폰에 공간 기준각이 설정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휴대폰이 공간상 기울어진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의 휴대폰이 Z축상으로 움직이는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휴대폰 110 : 키입력부
111 : 기준각 설정버튼 120 : 메모리부
130 : 센서부 131 : 제 1 가속도센서
132 : 제 2 가속도센서 133 : 제 3 가속도센서
134 : 중력센서 140 : 디스플레이
141 : 포인터 150 : 제어부
151 : 통신모듈 152 : 기준각 설정모듈
153 : 기울기 변동 인식모듈 154 : 포인팅 위치 연산모듈
155 : 메뉴 설정모듈 160 : 신호처리부
161 : 필터부 162 : 컨버터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관성센서를 설치함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있는 포인터를 위치 변경시켜, 포인터가 지시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무선 통신분야와 휴대폰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무선 통신 사용자들은 저마다 자신만의 휴대폰으로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전화를 할 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 서비스, 문자서비스, 게임, 멀티미디어 기능 등과 부가 서비스, PDA를 통한 모바일 컴퓨팅의 사용도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휴대폰 사용자가 자신의 전화를 이용해 문자 입력을 하거나 메뉴를 선택하는 등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버튼을 통한 입력방식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계속적으로 키를 눌러야 할 뿐만 아니라, 입력의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일반 데스크탑 컴퓨터에서 널리 쓰이고 있는 마우스와 같은 보조입력 장치를 통하여 메뉴를 지시하는 포인터를 제어하는 방법을 휴대폰에서는 사용할 수 없어서 그 이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PDA의 경우에는 전자펜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상의 포인터를 제어하고, 전자펜을 이용하는 직관적인 방법으로 문자를 입력하거나 필기를 하는 방식이 많이 채택되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 양 손을 동원하여 입력을 하여야 하므로, 양 손이 자유롭지 못하거나 불편한 경우에는 PDA의 사용이 매우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관성센서를 장착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각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있는 포인터를 제어하고 포인터가 지시하는 메뉴를 설정하기 위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공간 상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공간 상 기준 정위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공간기준각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공간기준각을 기준으로 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핸드헬링에 의하여 상기 센서부으로부터 감지되는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디스플레이의 포인터를 위치 변경시키고, 상기 포인터가 지시하는 소정의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공간 기준각에 대한 데이터를 재 설정하기 위한 키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부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병진운동 및 회전운동의 자유도를 포함하는 임의의 조합에서 적어도 하나의 자유도를 감지하기 위한 관성센서 및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중력을 감지하기 위한 중력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성센서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가로축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제 1 관성센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세로축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제 2 관성센서 및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가로축 및 세로축으로 형성되는 평면에 수직한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제 3 관성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관성센서, 상기 제 2 관성센서 및 상기 제 3 관성센서는 상기 제 1 관성센서 및 상기 제 2 관성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포인터를 위치 변경하고, 상기 제 3 관성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하여 상기 포인터가 지시하는 메뉴를 설정 또는 취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공간 기준각을 설정하기 위한 기준각 설정모듈, 핸드헬링에 의해 상기 공간 기준각을 기준으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변동된 기울기값을 산출하기 위한 기울기 변동 인식모듈, 상기 산출된 기울기값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포인터를 위치 변경시키는 포인팅 위치 연산모듈 및 상기 포인팅 위치 연산모듈에 의하여 변경된 상기 포인터가 지시하는 메뉴를 실행 또는 취소시키기 위한 메뉴 설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준각 설정모듈은 상기 중력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중력의 벡터값과 상기 제 1 관성센서에 의해 측정된 벡터값이 이루는 각도 및 상기 중력의 벡터값과 상기 제 2 관성센서에 의해 측정된 벡터값이 이루는 각도를 공간 기준각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울기 변동 인식모듈은 상기 중력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중력의 벡터값과 핸드헬링된 상기 제 1 관성센서에 의해 측정된 벡터값이 이루는 각도 및 상기 중력의 벡터값과 핸드헬링된 상기 제 2 관성센서에 의해 측정된 벡터값이 이루는 각도에 의한 기울기와 상기 공간 기준각의 차이로 인해 변동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인팅 위치 연산모듈은 상기 변동된 기울기값과 상기 공간 기준각의 각도차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포인터 위치 변경을 위한 파라미터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뉴 설정모듈은 상기 제 3 관성센서에 의해 측정된 소정의 벡터값에 따라 메뉴를 선택 또는 취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a)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공간 기준각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핸드헬링하여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로 인가하는 단계, (c) 상기 감지된 신호가 벡터화되어 이루는 각도와 상기 공간 기준각이 비교된 결과값을 산출하는 단계, (d) 상기 결과값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포인터를 위치 변경하는 단계 및 (e) 상기 포인터가 지시하는 메뉴를 선택 또는 취소하거나, 상기 핸드헬링된 휴대용 전자기기의 공간 상 위치를 상기 공간 기준각으로 재 설정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센서부에 의하여 가로축 및 세로축의 움직임과 중력을 감지하는 단계, (b-2) 상기 감지된 신호가 신호처리부의 필터에 의하여 잡음을 제거하는 단계 및 (b-3) 상기 필터링된 신호를 상기 신호처리부의 에이디 컨버터에 의해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센서부로부터 인가받은 신호를 벡터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c-2) 상기 메모부에 저장된 공간 기준각에 대한 데이터를 각출하는 단계 및 (c-3) 상기 벡터값과 상기 각출된 데이터를 비교 연산하여 각도의 차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d) 단계는 상기 결과값으로 인하여,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기울임 방향에 따라 상기 포인터의 이동 방향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d) 단계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기울임 방향과 상기 포인터의 이동 방향이 같거나 반대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d) 단계는 상기 결과값으로 인하여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기울임 정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값에 해당하는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d) 단계는 상기 결과값으로 인하여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기울임 정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값에 비례하여 상기 포인터의 이동속도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메뉴를 선택 또는 취소하기 위해서는 (e-1a) 상기 포인터가 지시하는 메뉴를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센서부에서 소정의 메뉴 설정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및 (e-2a)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어부로 인가되어 상기 메뉴를 선택 또는 취소하기 위한 명령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e-1a) 단계는 상기 센서부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가로축 및 세로축이 형성하는 평면 상에 수직한 방향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e-1a) 단계의 상기 수직 방향의 움직임은 수직 아래로 향하는 벡터값이 수직 위로 향하는 벡터값으로 바뀌는 일련의 핸드헬링이나 수직 위로 향하는 벡터값이 수직 아래로 향하는 벡터값으로 바뀌는 일련의 핸드헬링에 의해 상기 메뉴를 선택 또는 취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공간 기준각을 재 설정하기 위해서는 (e-1b)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가 핸드헬링된 상태에서 키입력부에 있는 기준각 설정버튼으로 상기 공간 기준각의 재 설정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e-2b) 상기 재 설정신호를 인가받은 상기 제어부에서 공간 기준각을 설정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100)의 중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100)은 휴대폰(100)의 공간 상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130), 센서부(130)의 감지된 신호의 변동으로 인하여 휴대폰(100)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포인터(141)가 위치 변동하는 디스플레이(140), 디스플레이(140)의 포인터(141)가 위치 이동함에 있어서 기준이 되는 디스플레이 상의 지점을 설정하기 위하여 센서부(130)로부터 감지된 신호로 인하여 휴대폰(100)의 공간 기준각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120) 및 상기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휴대폰(100)의 공간 기준각에 대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인가되는 감지된 신호의 변동률을 연산함에 따라 디스플레이(140)의 포인터(141)를 위치 변경시키고, 포인터(141)가 지시하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130)는 휴대폰(100)의 공간상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하여 구비되 는 것으로, 휴대폰(100)의 병진운동 및 회전운동의 자유도를 포함하는 임의의 운동조합에서 하나 이상의 자유도를 감지하여 휴대폰(100)이 움직인 정도나 움직이는 방향을 인지하기 위한 관성센서(미도시)를 구비한다.
또한, 관성센서는 가속도센서, 각속도센서, 기울기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휴대폰(100)의 움직임을 파악하여 디스플레이(140)의 포인터(141)에 대비될 수 있는 소정의 파라미터 값을 제공할 수 있는 센서이면 다른 센서의 대체도 가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나열된 여러 관성센서 중, 가속도센서(131 내지 133)를 채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100)을 상술하기로 한다.
가속도센서들(131 내지 133)로 구비된 센서부(130)는 휴대폰(100)의 공간상 움직임에 있어서 휴대폰(100)의 디스플레이(140)의 가로축(이하 'X축'이라함)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제 1 가속도센서(131), 휴대폰(100)의 디스플레이(140)의 세로축(이하 'Y'축이라함)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제 2 가속도센서(132), 및 휴대폰(100)의 디스플레이 상의 X축과 Y축으로 형성되는 평면에 수직한 축(이하 'Z축'이라함)을 감지하기 위한 제 3 가속도센서(133)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폰(100)의 디스플레이(140)를 기준으로 X축, Y축, 및 Z축을 설정한 것은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휴대폰(100)에 내장된 센서부(130)를 세팅하거나 제어부(150)에서 센서부(13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리딩하는 과정에서 소정의 공간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폰(100)의 본체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아울러, 센서부(130)는 X축, Y축, 및 Z축에 따라 3개의 가속도센서(171, 172, 173)로 구비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휴대폰(100)의 공간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공간 좌표에 따라 그 설치 가능한 가속도센서의 배치구조나 수가 달리될 수 있다.
또한, 가속도센서(131 내지 133)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의하여 휴대폰(100)의 움직임을 인지하기 위한 각 가속도센서(131 내지 133)의 역할은 제 1 가속도센서(131)와 제 2 가속도센서(132)로부터 감지된 신호의 벡터값으로 인하여 디스플레이(140)의 포인터(141)를 위치 변경시키기 위한 파라미터로 활용된다. 제 3 가속도센서(133)로부터 감지된 신호의 벡터값은 제 1 가속도센서(131) 및 제 2 가속도센서(132)로 인하여 위치 변경하는 포인터(141)가 지시하는 메뉴를 선택하거나 취소할 경우에 초기 설정신호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센서부(130)에는 가속도센서들(131 내지 133)과 함께 휴대폰(100)의 공간 상 움직임을 파악하기 위하여 중력을 측정하는 중력센서(134)가 구비되며, 가속도센서(131 내지 133)와 중력센서(134)가 이루는 각도를 기본 파라미터로 하여 디스플레이(140)의 포인터(141)가 위치 이동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호처리부(160)는 센서부(130)로부터 인가된 감지신호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부(161), 필터부(161)에서 필터링 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에이디 컨버터(165)를 기본 구성으로 한다.
필터부(161)의 필터는 센서부(130)의 각 센서의 수만큼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 1 가속도센서(131)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 1 필 터(미도시), 제 2 가속도센서(132)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 2 필터(미도시), 및 제 3 가속도센서(133)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 3 필터(미도시)로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또한, 필터부(161)는 휴대폰(100) 사용자의 손떨림이나 이동중인 차량에 탑승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므로 로우패스 필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각 가속도센서들(131 내지 133)로부터 인가된 감지신호는 제 각각 필터링하여 에이디 컨버터(165)를 거쳐 제어부(150)로 인가된다. 추가하여, 위와 같이 언급된 센서부(130)나 신호처리부(160)는 휴대폰(100)의 공간 움직임을 일차적으로 감지하는 구성으로써 휴대폰(100)에 내장되는 것이 타당한 구성이지만, 휴대폰(100)의 외부 시리얼포트를 통해 연결 가능하도록 하는 외장형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다.
센서부(130)의 가속도센서들(131 내지 133)에 의하여 감지신호로 인해 휴대폰(100)의 공간 움직임을 제어부(150)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공간 상 휴대폰(100)의 기준되는 위치가 있어야 하는 바, 메모리부(120)에 설정된 휴대폰(100)의 공간 기준각이 저장된다. 이 저장된 공간 기준각은 휴대폰(100)이나 휴대폰(100)의 디스플레이(140)가 수평상에 놓여질 경우를 기본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휴대폰(100)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사용자가 작위적으로 휴대폰(100)의 공간 기준각을 변경 및 설정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렇게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공간 기준각과 신호처리부(160)의 출력단으 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 신호간에 소정의 연산 알고리즘을 거친 제어부(150)의 제어명령에 의해 디스플레이(140)의 포인터(141)가 위치 변경하게 된다.
제어부(150)는 신호처리부(160)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연산 처리하여 디스플레이(140)의 포인터(141)를 위치변경 및 포인터(141)가 지시하는 메뉴를 실행 또는 취소하기 위하여, 기준각 설정모듈(152), 기울기 변동 인식모듈(153), 포인팅 위치 연산모듈(154) 및 메뉴 설정모듈(155)을 포함한다.
기준각 설정모듈(152)은 메모리부(120)에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저장된 공간 기준각 이외에 사용자가 임의로 공간 기준각을 설정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30)에 의한 가속도신호의 벡터값과 중력신호의 벡터값이 형성하는 각도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30)의 제 1 가속도센서(131) 및 제 2 가속도센서(132)로부터 감지되는 가속도신호가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기준각 설정모듈(152)로 인가되면 X축의 벡터량인 가속도값(ax)및 Y축의 벡터량인 가속도값(ay)으로 산출된다. 마찬가지로, 중력 센서(174)로부터 감지되는 중력신호도 G축을 향하는 벡터량의 가속도값(g)으로 산출된다.
다음으로, 산출된 X축 가속도값(ax) 및 Y축 가속도값(ay)과 중력 가속도값(g)을 비교 연산하는 알고리즘이 수행되며, 모두 벡터량으로 산출된 값이므로, 중력 가속도값(g)과 X축 가속도값(ax)이 이루는 각도(θx)가 설정된다. 또한, 중력 가속도값(g)과 Y축 가속도값(ay)이 이루는 각도(θy)도 설정되며, 이 두 각도(θx, θy) 는 휴대폰(100)의 공간 기준각으로 설정된다.
또한, 공간 기준각은 X축 가속도값(ax) 및 Y축 가속도값(ay)과 중력 가속도값(g)이 이루는 각도(θx, θy)에 한정될 이유가 없으므로, X축 가속도값(ax) 및 Z축 가속도값(az)과 중력 가속도값(g)이 이루는 각도(θx,θz) 또는 Y축 가속도값(ay) 및 Z축 가속도값(az)과 중력 가속도값(g)이 이루는 각도(θy,θz)를 공간 기준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설정된 공간 기준각은 메모리부(120)에 저장되며, 이미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기존의 공간 기준각을 대체한다. 도 3는 도 1의 휴대폰(100)이 설정된 공간 기준각에 위치한 것을 나타내며, 아직 헨드헬링되기 이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100)의 디스플레이(140)를 기준으로 공간 좌표를 형성하였으며, 디스플레이(140)를 기준으로 중력센서(134)에 의해 감지된 신호의 벡터값과 X축의 가속도센서(131)에 의한 벡터값이 이루는 각도 및 중력센서(134)에 의해 감지된 신호의 벡터값과 Y축의 가속도센서(132)에 의한 벡터값이 이루는 각도를 공간 기준각으로 설정된다.
또한, 중력 벡터값과 축상에서 감지된 신호의 벡터값이 이루는 각도에 의하여 디스플레이(140)의 포인터(141)를 이동시키기 위한 파라미터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각 벡터간의 합을 연산하여 디스플레이(140)의 포인터(141)를 위치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기울기 변동 인식모듈(153)은 제 1 가속도센서(131) 및 제 2 가속도센서(132)로부터 인가되는 가속도신호들을 벡터량인 가속도값들로 산출한다. 또한, 센서부(130)의 중력센서(134)에 의해 인가되는 중력신호를 벡터량인 중력 가속도값으로 산출한다. 따라서, X축 가속도값과 중력 가속도값이 이루는 각도 및 Y축 가속도값과 중력 가속도값이 이루는 각도는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공간 기준각과 비교되어, 공간 기준각과 핸드헬링에 의해 변동된 기울기값을 갖는 휴대폰(100)이 이루는 각도의 차이를 인식하여 휴대폰(100)의 공간 상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 4는 공간 기준각에 위치한 도 4의 휴대폰(100)이 헨드헬링되어 공간 상 기울어진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 상 기울어진 휴대폰(100)은 X축 가속도센서(131)에 의한 벡터 가속도값과 중력센서(134)에 의한 벡터 가속도값이 형성하는 각도 및 Y축 가속도센서(132)에 의한 벡터 가속도값과 중력센서(134)에 의한 벡터 가속도값이 형성하는 각도로 인하여 상기 기울기 변동 인식모듈(153)에 의해 메모리에 저장된 공간 기준각과 비교 연산되면서 휴대폰(100)의 공간상 기울어짐을 측정한다.
또한, 포인팅 위치 연산모듈(154)은 기울기 변동 인식모듈(153)로부터 공간 기준각을 기준으로 변동된 기울기 값을 인식하는 기울기 변동 인식모듈(153)로부터 핸드폰 위치 변동 신호를 인가받아 디스플레이(140)에 있는 포인터(141)를 위치 변경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핸드폰 위치 변동 신호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지만 공간 기준각과 휴대폰(100)의 핸드헬링에 의해 변동된 기울기 값의 차이에 의 한 각도 차를 포인터(141)의 위치 변경을 위한 기본 파라미터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도의 차이와 포인터(141)의 움직임의 관계는 위에서 언급된 휴대폰(100) 위치 변동신호와 마찬가지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휴대폰(100)을 기울이는 방향과 포인터(141)의 움직이는 방향이 같을 수도 있고, 반대 방향일 수도 있다. 그리고, 기울어짐의 정도에 의해 포인터(141)의 위치를 절대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으며, 포인터(141)가 움직이는 속도를 휴대폰(100)의 기울기의 정도에 따라 설정할 수도 있다.
메뉴 설정모듈(155)은 포인팅 위치 연산모듈(154)에서 연산 처리되어 디스플레이(140)의 포이터(141)가 지시하는 메뉴를 선택할지 아니면 취소할지를 설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Z축 상의 휴대폰(100)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제 3 가속도센서(133)에서 감지된 가속도신호를 인가 받아 메뉴 설정신호로 활용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휴대폰의 디스플레이(140)의 포인터(141)가 지시하는 메뉴를 설정하기 위하여 Z축상으로 움직이는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100)을 Z축에 따라 아래로 내렸다가 위로 올리는 동작으로 인하여 Z축의 가속도센서(173)가 이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메뉴 설정모듈(155)에 감지된 신호가 인가된다. 또한, 상기 메뉴 설정모듈(155)은 이 신호로 인하여 메뉴를 선택하며, 휴대폰(100)을 Z축에 따라 위로 올렸다가 아래로 내리는 동작으로 인하여 Z축의 가속도센서(133)가 이 움직임을 감지한다. 따라서, 메뉴 설정모듈(155)에 감지된 신호가 인가된다. 여기서, 메뉴 설정모듈(155)은 이 신 호에 의하여 지시된 메뉴를 취소하는 명령신호를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설정은 당업자의 관점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키입력부(110)는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공간 기준각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변경하기 위한 것이다. 즉, 휴대폰(100)의 공간위치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공간 기준각으로 재설정하고자 할 경우, 휴대폰(100)의 외부하우징에 위치한 기준각 설정버튼(111)을 이용하여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공간 기준각을 재 설정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동작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100)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사용자는 공간 기준각이 초기화 된 휴대폰(100)을 기울리는 핸드헬링을 하여 휴대폰(100)의 공간 상 위치를 변경시킨다.(S100, S102)
사용자가 임의로 움직이는 기울임 핸드헬링으로 인하여 X축 상의 제 1 가속도센서(131) 및 Y축 상의 제 2 가속도센서(132), 중력을 측정하기 위한 중력센서(134)에 의해 감지된 가속도신호는 신호처리부(160)의 필터부(161)를 거쳐 필터링되며 잡음이 제거된다. 잡음이 제거된 아날로그 신호는 에이디 컨버터(164)에 의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150)로 인가된다.(S104, S106)
이렇게 인가된 신호는 기울기 변동 인식모듈(153)에서 벡터량을 갖는 가속도값으로 산출되며, X축의 가속도값과 중력 가속도값이 이루는 각도 및 Y축의 가속도 값과 중력 가속도값이 이루는 각도는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공간 기준각과 비교 연산되면서 변동된 기울기값이 산출된다. 변동된 기울기 값으로 인하여 휴대폰(100)의 기울임 정도와 방향을 인식하게 되고, 변동된 기울기 값에 해당하는 각도의 차이에 대한 신호가 포인팅 위치 연산모듈(154)로 인가된다.(S108)
포인팅 위치 연산모듈(154)에서 각도의 차이에 의한 신호를 인가받아 디스플레이(140)에 위치한 포인터(141)를 위치 변경시키기 위한 기본 파라미터로 활용함으로써, 휴대폰(100)의 기울임 핸드헬링 정도에 따라 포인터(141)를 위치 변경시키는 연산 알고리즘을 수행한다.(S110)
이렇게 휴대폰(100)의 핸드헬링에 의해 디스플레이(140)의 포인터(141)가 지시하는 메뉴를 실행하기 위한 모드로 진입할지 아니면 휴대폰(100)의 공간 상 움직임의 기준이 되는 공간 기준각을 재 설정할지를 선택한다.(S112)
먼저, 포인팅 위치 연산모듈(154)에까지 이르면서 디스플레이(140)의 포인터(141)가 지시하는 메뉴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로 진입하게 되면, 휴대폰(100)을 Z축에 따라 공간 위치 변경하여 Z축의 제 3 가속도센서(133)에 의해 감지되는 가속도신호가 필터링되어 에이디 컨버터(164)를 거쳐 메뉴 설정모듈(155)로 인가된다.
메뉴 설정모듈(155)에서는 인가된 가속도신호를 벡터량을 갖는 가속도값으로 산출하여 디스플레이(140)에서 포인터(141)가 지시하는 메뉴를 선택 또는 취소하는 제어명령을 하달하게 된다. 메뉴를 실질적으로 선택 또는 취소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하나의 방식에 따라 설명하자면, 휴대폰(100)을 Z축에 따라 위로 올렸다가 아래로 내리는 동작의 핸드헬링을 하고, 제 3 가속도센서(133)는 이를 감지하여 메뉴 설정모듈(155)에 감지된 가속도신호를 인가하고, 인가된 신호는 벡터량을 갖는 가속도값으로 변환되어 포인터(141)가 지시하는 메뉴를 선택 및 실행하게 된다.
또한, 휴대폰(100)을 Z축을 따라 아래로 내렸다가 위로 올리는 동작의 핸드헬링을 하게되면, 제 3 가속도센서(133)는 이를 감지하여 메뉴 설정모듈(155)에 감지된 가속도신호가 인가되고, 인가된 신호는 벡터량을 갖는 가속도값으로 변환되어 포인터(141)가 지시하는 메뉴를 취소하는 실행명령을 하달한다.(S118 내지 S122)
위와 같은 메뉴 실행명령으로 인하여 메뉴에 해당하는 이벤트가 실행 또는 취소된다.(S124)
아울러, 위에서 메뉴 설정모드로 진입하지 아니하고, 공간 기준각을 재 설정하기 위한 모드로 진입한다면, 포인팅 위치 연산모듈(154)에 이르면서 공간 위치가 변경된 휴대폰(100)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새로운 공간 기준각으로 설정하고자 함으로써, 사용자는 휴대폰(100)의 외부하우징에 위치한 기준각 설정버튼(111)을 눌러 공간 기준각을 설정한다. 설정된 공간 기준각은 메모리에 저장되어진 기존의 공간 기준각에 대한 데이터를 대체하여, 이후에 사용자가 휴대폰을 핸드헬링하는 데에 있어서 기준이 된다.(S112 내지 S116)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공간 상 움직임을 센서링할 수 있는 관성센서를 구비하고, 휴대용 전자기기의 핸드헬링에 의해 관성센서로부터 감지되는 변동신호를 기본 파라미터로 하는 제어부를 구현하여 핸드헬링에 의해 디스플레이 상에 있는 포인터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버튼을 이용한 인터페이스나 전자펜에 기반한 인터페이스를 보조하여 더욱 다양한 입력 방법을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자가 버튼을 눌러서 소정의 메뉴를 실행하기에 어려운 상황이거나, 전자펜을 사용하는 경우에 양손을 모두 이용해야 하는 경우에, 핸드헬링 조작만으로 모든 제어조작을 실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8)

  1.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공간 상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공간 상 기준 정위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공간기준각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공간기준각을 기준으로 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핸드헬링에 의하여 상기 센서부으로부터 감지되는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디스플레이의 포인터를 위치 변경시키고, 상기 포인터가 지시하는 소정의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공간 기준각에 대한 데이터를 재 설정하기 위한 키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병진운동 및 회전운동의 자유도를 포함하는 임의의 조합에서 적어도 하나의 자유도를 감지하기 위한 관성센서 및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중력을 감지하기 위한 중력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센서는,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및 기울기 센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센서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가로축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제 1 관성센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세로축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제 2 관성센서; 및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가로축 및 세로축으로 형성되는 평면에 수직한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제 3 관성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성센서, 상기 제 2 관성센서 및 상기 제 3 관성센서 중 어느 두개의 관성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포인터를 위치 변경시키기 위한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성센서, 상기 제 2 관성센서 및 상기 제 3 관성센서 중 어느 하나의 관성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포인터가 지시하는 메뉴를 설정 또는 취소시키기 위한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성센서, 상기 제 2 관성센서 및 상기 제 3 관성센서는,
    상기 제 1 관성센서 및 상기 제 2 관성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포인터를 위치 변경하고, 상기 제 3 관성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하여 상기 포인터가 지시하는 메뉴를 설정 또는 취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공간 기준각을 설정하기 위한 기준각 설정모듈;
    핸드헬링에 의해 상기 공간 기준각을 기준으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변동된 기울기값을 산출하기 위한 기울기 변동 인식모듈;
    상기 산출된 기울기값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포인터를 위치 변경시키는 포인팅 위치 연산모듈; 및
    상기 포인팅 위치 연산모듈에 의하여 변경된 상기 포인터가 지시하는 메뉴를 실행 또는 취소시키기 위한 메뉴 설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관성센서, 상기 제 2 관성센서 및 상기 중력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기준각 설정모듈, 상기 기울기 변동 인식모듈, 및 상기 포인팅 위치 연산모듈에서 연산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각 설정모듈은,
    상기 중력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중력의 벡터값과 상기 제 1 관성센서에 의해 측정된 벡터값이 이루는 각도 및 상기 중력의 벡터값과 상기 제 2 관성센서에 의해 측정된 벡터값이 이루는 각도를 공간 기준각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변동 인식모듈은,
    상기 중력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중력의 벡터값과 핸드헬링된 상기 제 1 관성센서에 의해 측정된 벡터값이 이루는 각도 및 상기 중력의 벡터값과 핸드헬링된 상기 제 2 관성센서에 의해 측정된 벡터값이 이루는 각도에 의한 기울기와 상기 공간 기준각의 차이로 인해 변동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 위치 연산모듈은,
    상기 변동된 기울기값과 상기 공간 기준각의 각도차이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포인터 위치 변경을 위한 파라미터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설정모듈은,
    상기 제 3 관성센서에 의해 측정된 소정의 벡터값에 따라 메뉴를 선택 또는 취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및
    상기 필터를 거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에이디 컨버터를 구비한 신호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로우 패스 필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내장되거나,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부 시리얼포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18. 제 1 항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공간 기준각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핸드헬링하여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로 인가하는 단계;
    (c) 상기 감지된 신호가 벡터화되어 이루는 각도와 상기 공간 기준각이 비교된 결과값을 산출하는 단계;
    (d) 상기 결과값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의 포인터를 위치 변경하는 단계; 및
    (e) 상기 포인터가 지시하는 메뉴를 선택 또는 취소하거나, 상기 핸드헬링된 휴대용 전자기기의 공간 상 위치를 상기 공간 기준각으로 재 설정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센서부에 의하여 가로축 및 세로축의 움직임과 중력을 감지하는 단계;
    (b-2) 상기 감지된 신호가 신호처리부의 필터에 의하여 잡음을 제거하는 단 계; 및
    (b-3) 상기 필터링된 신호를 상기 신호처리부의 에이디 컨버터에 의해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센서부로부터 인가받은 신호를 벡터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c-2)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공간 기준각에 대한 데이터를 각출하는 단계; 및
    (c-3) 상기 벡터값과 상기 각출된 데이터를 비교 연산하여 각도의 차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결과값으로 인하여,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기울임 방향에 따라 상기 포인터의 이동 방향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기울임 방향과 상기 포인터의 이동 방향이 같거나 반대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결과값으로 인하여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기울임 정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값에 해당하는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결과값으로 인하여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기울임 정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값에 비례하여 상기 포인터의 이동속도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25.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메뉴를 선택 또는 취소하기 위해서는,
    (e-1a) 상기 포인터가 지시하는 메뉴를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센서부에서 소정의 메뉴 설정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및
    (e-2a) 상기 감지된 신호가 제어부로 인가되어 상기 메뉴를 선택 또는 취소하기 위한 명령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e-1a) 단계는,
    상기 센서부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가로축 및 세로축이 형성하는 평면 상에 수직한 방향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e-1a) 단계의 상기 수직 방향의 움직임은,
    수직 아래로 향하는 벡터값이 수직 위로 향하는 벡터값으로 바뀌는 일련의 핸드헬링이나 수직 위로 향하는 벡터값이 수직 아래로 향하는 벡터값으로 바뀌는 일련의 핸드헬링에 의해 상기 메뉴를 선택 또는 취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28.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공간 기준각을 재 설정하기 위해서는,
    (e-1b)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가 핸드헬링된 상태에서 키입력부에 있는 기준각 설정버튼으로 상기 공간 기준각의 재 설정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e-2b) 상기 재 설정신호를 인가받은 상기 제어부에서 공간 기준각을 설정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KR1020050057307A 2005-06-29 2005-06-29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082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7307A KR101082132B1 (ko) 2005-06-29 2005-06-29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7307A KR101082132B1 (ko) 2005-06-29 2005-06-29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694A KR20070001694A (ko) 2007-01-04
KR101082132B1 true KR101082132B1 (ko) 2011-11-09

Family

ID=37869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7307A KR101082132B1 (ko) 2005-06-29 2005-06-29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21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274B1 (ko) * 2007-01-26 2014-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0487A (ko) * 2000-01-31 2001-12-13 다니엘 태그리아페리, 라이조 캐르키, 모링 헬레나 이동 무선전화기의 입력 장치들로 사용되는 가속도계 및선택 키(들)
KR20040051202A (ko) * 2002-12-12 2004-06-18 주식회사 팬택 단말기에 있어서 움직임에 의한 기능 설정 장치 및 방법
KR20050060923A (ko) * 2003-12-17 2005-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입력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0487A (ko) * 2000-01-31 2001-12-13 다니엘 태그리아페리, 라이조 캐르키, 모링 헬레나 이동 무선전화기의 입력 장치들로 사용되는 가속도계 및선택 키(들)
KR20040051202A (ko) * 2002-12-12 2004-06-18 주식회사 팬택 단말기에 있어서 움직임에 의한 기능 설정 장치 및 방법
KR20050060923A (ko) * 2003-12-17 2005-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입력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694A (ko) 200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999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put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7763842B2 (en) Motion deter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101611371B (zh) 输入设备、控制设备、控制系统、手持设备和控制方法
JP5423686B2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入力装置及び入力方法
EP2519865B1 (en) Electronic device with sensing assembly and method for interpreting offset gestures
US5367631A (en) Cursor control device with programmable preset cursor positions
USRE45411E1 (en) Method for entering commands and/or characters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a tilt sensor
KR101403172B1 (ko) 방위-감응 신호 출력
JP5201146B2 (ja) 入力装置、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ハンドヘルド装置
JP5434591B2 (ja) 制御装置、入力装置、制御システム、ハンドヘルド型情報処理装置、及び制御方法
EP2860611A1 (en) User interface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spatial location recognition
KR20100086932A (ko) 입력 장치,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 제어 방법 및 핸드헬드 장치
JP2012508408A (ja) 空中での指の動きを通じて制御されるマウス
TWI453414B (zh) 可攜式電子裝置解鎖系統及方法
JP2011075559A (ja) 動き検出装置および方法
KR101609553B1 (ko) 3차원 동작인식 정보입력 장치 및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20140060818A (ko) 원격 제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483556B2 (ja) 操作認識装置、操作認識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294226A (zh) 一种虚拟输入装置及方法
KR101725253B1 (ko) 마우스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100136289A (ko)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1082132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231105B1 (ko) 휴대기기의 ui를 위한 모션 센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EP1818779A2 (en) Motion deter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434040B1 (ko) 전자 펜, 그를 이용한 전자 펜 입력 시스템 및 전자 펜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