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1120B1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1120B1
KR101081120B1 KR1020080116243A KR20080116243A KR101081120B1 KR 101081120 B1 KR101081120 B1 KR 101081120B1 KR 1020080116243 A KR1020080116243 A KR 1020080116243A KR 20080116243 A KR20080116243 A KR 20080116243A KR 101081120 B1 KR101081120 B1 KR 101081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toothbrush
support
rail
s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6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7343A (ko
Inventor
정진효
이은성
Original Assignee
이은성
정진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성, 정진효 filed Critical 이은성
Priority to KR1020080116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1120B1/ko
Publication of KR20080107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7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1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1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6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movably during use, i.e. the normal brushing action caus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6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where the surface of the brush body or carrier is not in one plane, e.g. not fla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8Supports or guides for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간 틈새나 오목한 부분을 효과적으로 닦을 수 있도록 헤드를 분리형으로 구성한 칫솔에 관한 것으로, 이 칫솔은 손잡이와 복수개로 구성되어 각 부분이 탄성을 가진 설계헤드로 이루어진 칫솔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바닥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된 홈과 양측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된 오목한 레일이 형성된 헤드케이스, 상기 홈에 각각 얹혀지는 복수개의 스프링, 상기 스프링 상단에 위치하고 복수개의 솔이 꽃혀지며 측면에는 상기 레일에 대응되도록 돌출된 가이드를 가진 받침, 상기 받침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스토핑하고 상기 복수개의 솔이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단이 개방되며 상기 헤드케이스와 접착제 등으로 결합되는 헤드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칫솔, 분리형헤드

Description

칫솔{toothbrush}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치아간 틈새나 오목한 부분을 효과적으로 닦을 수 있도록 헤드를 분리형으로 구성한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칫솔은 사람의 치아를 닦아서 식품잔여물 등을 치아로부터 떨어뜨려 크리닝함으로써 각종 치과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도구이다.
1999년10월15일에 공개된 분절헤드부를 가진 칫솔(특허 1999-0076750호)에 따르면, "주형법으로 형성되는 칫솔과 동일한 수지로 이루어지는 1개 이상의 얇은 가교부(thin bridges)로 결합되는 2개 헤드 섹션으로 분절형 칫솔 헤드부를 형성한 일체적 구조의 칫솔이 제공된다. 상기 얇은 브릿지는 2개 헤드 섹션사이에서 제한된 가요성을 허용하는 유연한 것이고, 2개 섹션은 작은 각도로 상대적으로 구부러져 형성된다.일 실시예에서는, 2개 헤드 섹션 사이의 헤드의 일 부분을 헤드의 일측면 끝에서 타측면 끝까지 헤드의 정상면을 횡단하는 일반적 형태의 T형상 홈(slot)으로 형성하고, 상기 홈을 엘라스토머재로 적절히 충전하여 탄력 동작을 이행한 것이다. 상기 형태는 손잡이로부터 원거리에 있는 헤드 섹션이 손잡이에 근 거리에 있는 헤드 섹션에 대해서 경사진 형태이고, 손잡이에서 근거리에 있는 헤드 섹션은 손잡이의 일 단부에 배치된 것이다. 제2실시예에서 헤드 섹션은 협폭 원통부로 형성되고, 제3실시예에서는 2개의 얇은 가교부가 이용되며, 모두 엘라스토머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의 칫솔은 덧니가 있거나 치열이 고르지 못한 치아를 효과적으로 닦기가 어렵고, 간격이 벌어진 치아를 닦아주기가 어렵다.
뿐만 아니라, 치아가 사각형에 근접하는 부위를 닦기에 적합한 구조이어서 치아간 틈새나 치아의 오목한 부분을 직접적으로 마찰하여 닦기가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치아간 틈새나 치아의 오목한 부분을 직접적으로 마찰하여 닦을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손잡이와 복수개로 구성되어 각 부분이 탄성을 가진 설계헤드로 이루어진 칫솔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바닥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된 홈과 양측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된 오목한 레일이 형성된 헤드케이스, 상기 홈에 각각 얹혀지는 복수개의 스프링, 상기 스프링 상단에 위치하고 복수개의 솔이 꽃혀지며 측면에는 상기 레일에 대응되도록 돌출된 가이드를 가진 받침, 상기 받침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스토핑하고 상기 복수개의 솔이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단이 개방되며 상기 헤드케이스와 접착제 등으로 결합되는 헤드덮개를 포함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헤드케이스의 바닥의 홈과 받침의 저면의 다른 홈이 형성되지 않고, 물, 기름을 포함하는 액상물질이 충진된 완충튜브가 설치되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받침의 측면 일 모서리를 깍아내고, 받침의 저면과 그 아래 스프링 그리고 헤드케이스 바닥의 홈이 경사지도록 비스듬히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치아가 어떠한 형태와 구조를 가지고 있더라도 닦고자 하는 치아 부분을 직접 마찰시킴으로써 치석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거나 치석형성을 예방할 수가 있으며, 칫솔의 구조가 횡으로 닦기 보다는 종으로 닦기가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어린아이가 종적 양치질을 하는 습관을 길러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칫솔(10)은 손잡이(11)와 헤드(12)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헤드(12)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각 부분이 탄성을 가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제 1 실시예
제 1 실시예는 탄성력이 스프링으로부터 제공되도록 구현된 칫솔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헤드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분리사시도로서, 헤드(12)는 바닥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된 홈(X)과 양측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된 오목한 레일(Y)이 형성된 헤드케이스(121), 상기 홈(X)에 각각 얹혀지는 복수개의 스프링(122), 상기 스프링(122) 상단에 위치하고 복수개의 솔(123)이 꽃혀지며 측면에는 상기 레일(Y)에 대응되도록 돌출된 가이드(125)를 가진 받침(124), 상기 받침(124)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스토핑(Stopping)하고 상기 복수개의 솔(123)이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단이 개방되며 상기 헤드케이스(121)와 접착제 등으로 결합되는 헤드덮개(1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의 B-B'을 따라 절단된 칫솔의 헤드를 나타낸 단면도인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받침(124) 아래에는 두개의 스프링(122)이 위치하고, 도 1의 A-A'을 따라 절단된 칫솔의 헤드를 나타낸 단면도인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 받침(124)은 이웃한 받침과 관계없이 탄성력을 가지게 되고, 그 탄성력은 상기 헤드케이스 측면에 형성된 레일(Y)의 길이 만큼 이동범위를 가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124)의 저면에도 상기 홈(X)과 대응된 크기의 다른 홈(참 조부호 없음)이 각각 형성되어 아래에 위치한 스프링(122)의 이탈을 방지한다.
참고로, 상기 스프링은 양치질시 사람의 입속에 들어가기 때문에 합금재질 혹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녹이 슬지 않고 무게가 가벼운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칫솔의 작용효과를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A-A'을 따라 절단된 칫솔의 사용상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치아에 칫솔을 접촉시키면, 치아의 굴곡상태에 따라서, 스프링이 펴진 경우(122a), 스프링이 접혀진 경우(122b), 스프링이 약간 접혀진 경우(122c)가 발생되고, 이로인해 사용자는 좌우방향(횡방향)으로 양치질을 하기가 꺼려지고, 상하방향(종방향)으로 양치질을 하고 싶어진다.
이는 칫솔 구조로 인한 좋은 습관으로 굳혀질 수가 있다는 점에서 매우 바람직하고, 치아 틈새나 치아의 오목한 부분도 칫솔을 직접 접촉시켜서 닦을 수 있는 작용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제 1 실시예와는 다르게, 덫니보다는 치아틈새의 음식찌꺼기를 제거하는데 촛점을 맞춘 실시예도 필요할 것이다.
제 2 실시예
제 2 실시예는 탄성력이 완충튜브로부터 제공되도록 구현된 칫솔로서, 중복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 기 헤드케이스(121)의 바닥의 홈(X)과 받침(124)의 저면의 다른 홈(참조부호 없음)이 형성되지 않고, 물, 기름을 포함하는 액상물질이 충진된 완충튜브(12')가 설치된다. 완충튜브(12')가 설치됨으로써, 각 받침(124)의 움직임은 인접한 받침에도 영향을 미쳐서 일 받침이 내려가면 다른 받침들은 그 위치가 상승하게 되는데, 이것은 급격한 굴곡보다는 완만한 굴곡에서 더 잘 기능하도록 하는 작용효과를 제공한다.
제 3 실시예
제 3 실시예는 횡방향의 양치질도 용이하도록 개선된 실시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124)의 측면 일 모서리를 깍아내고, 받침의 저면과 그 아래 스프링 그리고 헤드케이스 바닥의 홈이 경사지도록 비스듬히 형성된 칫솔이다.
이로인해, 횡방향의 양치질을 할 때, 돌출된 치아를 심하게 마찰시키지 않고도 횡방향으로 양치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횡방향으로 양치질을 할 때, 솔(123)이 일정 각도로 비스듬하게 누울 수 있게 하므로 제 1 실시예에 비해서 횡방향의 양치질로 인한 치아와 칫솔의 과도한 마찰을 줄여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Claims (3)

  1. 삭제
  2. 손잡이(11)와 헤드(12)로 이루어진 칫솔에 있어서,
    상기 헤드(12)는 내부 양측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오목한 레일(Y)이 형성된 헤드케이스(121),
    복수개의 솔(123)이 꽃혀지며 측면에는 상기 레일(Y)에 대응되도록 돌출된 가이드(125)를 가진 받침(124),
    상기 받침(124)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스토핑(Stopping)하고 상기 복수개의 솔(123)이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부가 개방되며 상기 헤드케이스(121)와 접착제 등으로 결합된 헤드덮개(126),
    상기 헤드케이스(121)의 바닥에 설치되어 탄성을 제공하도록 액상물질이 충진된 완충튜브(12')를 포함하는 칫솔.
  3. 손잡이(11)와 헤드(12)로 이루어진 칫솔에 있어서,
    상기 헤드(12)는 내부 양측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오목한 레일(Y)이 형성된 헤드케이스(121),
    복수개의 솔(123)이 꽃혀지며 측면에는 상기 레일(Y)에 대응되도록 돌출된 가이드(125)를 가진 받침(124),
    상기 받침(124)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스토핑(Stopping)하고 상기 복수개의 솔(123)이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부가 개방되며 상기 헤드케이스(121)와 접착제 등으로 결합된 헤드덮개(126),
    상기 받침(124)의 측면 일 모서리를 깍아내고, 받침의 저면과 그 아래 스프링 그리고 헤드케이스 바닥의 홈이 경사지도록 비스듬히 형성된 칫솔.
KR1020080116243A 2008-11-21 2008-11-21 칫솔 KR101081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243A KR101081120B1 (ko) 2008-11-21 2008-11-21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243A KR101081120B1 (ko) 2008-11-21 2008-11-21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343A KR20080107343A (ko) 2008-12-10
KR101081120B1 true KR101081120B1 (ko) 2011-11-07

Family

ID=40367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6243A KR101081120B1 (ko) 2008-11-21 2008-11-21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11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27122A (zh) * 2015-03-28 2017-12-01 Neob株式会社 牙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880B1 (ko) * 2012-03-30 2013-11-15 김종두 칫솔판의 각도조절이 용이한 칫솔의 헤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칫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27122A (zh) * 2015-03-28 2017-12-01 Neob株式会社 牙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343A (ko) 2008-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55253B2 (ja) 異なる歯科領域に対し異なるブラシ毛区画を有する歯磨き用マウスピース
RU240642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KR101015355B1 (ko) 칫솔
CA2373650A1 (en) Electric toothbrush
RU2005106299A (ru) Зубная щетка
RU2007128060A (ru) Инструмент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CA2649958A1 (en) Toothbrush head with flexible cleaning elements
RU2008121269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AU5808900A (en) Electric brush
CA2548803C (en) Power toothbrush brushhead with fluid-directing member
KR101081120B1 (ko) 칫솔
KR200453026Y1 (ko) 측면양치부 및 전방돌출부가 구비된 칫솔
KR20090106265A (ko) 칫솔모 교체가 가능한 칫솔
KR200484576Y1 (ko) 칫솔
KR200183557Y1 (ko) 요철을 갖는 칫솔 모(毛)
KR200468044Y1 (ko) 솔질과 닦는 기능을 갖는 칫솔
KR200462621Y1 (ko) 칫솔
KR200364176Y1 (ko) 아래위로 닦기가 편리한 가로형 칫솔
KR200462916Y1 (ko) 칫솔 헤드
KR200349256Y1 (ko) 치 솔
KR840000005B1 (ko) 치 솔
KR200412998Y1 (ko) 치간 겸용칫솔
KR102379646B1 (ko) 치간칫솔
JPH07308268A (ja) トイレ便器の洗浄用刷毛
KR101002808B1 (ko) 치아 보호용 다면치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