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0751B1 - 안내판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안내판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0751B1
KR101080751B1 KR1020100038122A KR20100038122A KR101080751B1 KR 101080751 B1 KR101080751 B1 KR 101080751B1 KR 1020100038122 A KR1020100038122 A KR 1020100038122A KR 20100038122 A KR20100038122 A KR 20100038122A KR 101080751 B1 KR101080751 B1 KR 101080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late
front side
light source
lenticular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8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8494A (ko
Inventor
이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로드솔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로드솔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로드솔라
Priority to KR1020100038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751B1/ko
Publication of KR20110118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8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 G03B21/625Lenticular translucent scree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14Arrangements of reflectors therei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14Arrangements of reflectors therein
    • G09F2013/147Arrangements of reflectors therein plane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내판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부판, 상기 기부판의 상하측을 감싸되 전측으로 일정 두께를 갖는 상하프레임, 상기 기부판의 양측을 감싸되 상기 상하프레임과 동일한 두께를 갖는 측면프레임, 다수의 광원을 갖고, 상기 상하프레임과 측면프레임에 구비되어 광을 측방향에서 조사시키는 광원기판부, 상기 광원기판부에 의해 광이 조사되는 발광공간부, 상기 상하프레임과 측면프레임의 내측인 기부판의 전측에 구비되며, 광원에 의해 조사된 광을 전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 상기 반사판의 전측으로 형성하고, 광이 투과되되, 후면에 호를 갖는 다수의 돌출부가 면을 따라 형성되어 광원에서 조사되 광과 반사판에 의해 반사된 광을 전측으로 확산시키는 렌티큘라렌즈, 색상을 가지고 광이 투과되는 표시부가 형성되며, 상기 렌티큘라렌즈의 전측에 구비된 칼라필름, 및 상기 칼라필름의 전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하프레임과 측면프레임의 전면에 구비되는 투명재질의 전면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광원에서 조사되는 광을 확산시켜 전측으로 조사할 수 있고, 칼라필름의 표시부를 통과함에 따라 표시부의 내용을 명확하게 표시할 수 있으며, 다양한 표시부를 갖는 칼라필름을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어 알리고자 하는 내용을 명확하게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내판 표시장치{Display device for information plat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사되는 광을 전측으로 확산시켜 발광효과를 증대시키고, 이 증대된 광이 투과되어 칼라필름에 표시된 표시부를 명확하게 표시할 수 있는 안내판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광고나 안내 등의 표시가 있는 안내판은 야간에도 식별이 가능하도록 그 내부에 광원이 구비된다.
이러한 광원은 형광등을 이용하고 있으며, 표시가 인쇄된 외측판은 표시의 식별이 가능정도의 광을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 형광등은 표시가 인쇄된 외측판의 내측에서 광을 조사함에 따라 형광등이 위치된 부분과 없는 부분에 대한 차이가 발생함에 따라 조사되는 광에 명암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다수의 램프를 갖고, 면 전체에 균일한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면광원을 갖는 안내판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안내판은 단순한 정보전달만 하는 것이 아니라 장식용 벽체, 방음벽, 버스 대기 부스의 벽체, 교량 난간의 펜스 등과 같이 다양한 개소에서 램프 빛을 이용하여 시각적 효과를 창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면광원을 갖는 안내판은 그 내부에 반사판이 구비되어 램프 광을 면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지만, 반사판이 효과적으로 광을 면방향으로 반사시키지 못하고, 최초 조사된 방향을 따라 조사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안내판의 면상을 통해 충분한 밝기의 광을 조사하지 못하여 안내판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그 내부에 설치되는 램프의 개수를 증가시켜 사용되고 있지만, 이는, 단가 및 운영비용을 상승시키고, 발열량을 증가시켜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안내판은 하나의 안내를 위해서 제작되어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다른 표시를 안내할 경우, 새로운 표시를 인쇄한 새로운 안내판을 통체로 교체해야됨에 따라 낭비되는 비용이 발생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광을 컬러필름을 기준으로 측방향에서 조사하고, 조사된 광을 컬러필름의 면을 향해 효과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어 표시부를 통해 밝은 광을 조사할 수 있어 안내내용을 명확하게 알릴 수 있다.
특히 후면에 호를 갖는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된 렌티큘라렌즈에 의해 광원에서 조사된 광을 더욱 확산시켜 외부로 조사함에 따라 밝은 광을 외부로 조사하여 안내판의 내용을 더욱 용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표시부가 형성된 칼라필름을 교체설치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알리고자 하는 표시부를 갖는 칼라필름만을 교체함에 따라 비용을 점감시킬 수 있는 안내판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기부판, 상기 기부판의 상하측을 감싸되 전측으로 일정 두께를 갖는 상하프레임, 상기 기부판의 양측을 감싸되 상기 상하프레임과 동일한 두께를 갖는 측면프레임, 다수의 광원을 갖고, 상기 상하프레임과 측면프레임에 구비되어 광을 측방향에서 조사시키는 광원기판부, 상기 광원기판부에 의해 광이 조사되는 발광공간부, 상기 상하프레임과 측면프레임의 내측인 기부판의 전측에 구비되며, 광원에 의해 조사된 광을 전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 상기 반사판의 전측으로 형성하고, 광이 투과되되, 후면에 호를 갖는 다수의 돌출부가 면을 따라 형성되어 광원에서 조사되 광과 반사판에 의해 반사된 광을 전측으로 확산시키는 렌티큘라렌즈, 색상을 가지고 광이 투과되는 표시부가 형성되며, 상기 렌티큘라렌즈의 전측에 구비된 칼라필름, 및 상기 칼라필름의 전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하프레임과 측면프레임의 전면에 구비되는 투명재질의 전면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광원기판부의 광원은 엘이디와 냉음극선 램프 및 할로겐 램프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그리고 상기 발광공간부는, 상기 반사판과 렌티큘라렌즈 사이에 형성되도록 렌티큘라렌즈를 반사판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발광공간부는, 상기 기부판과 반사판 사이에 형성되도록 반사판을 기부판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반사판은 광이 투과되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광원기판부에는, 다수의 광원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광섬유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렌티큘라렌즈와 전면판 사이에 설치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간부에 대응되는 설치공이 측면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칼라필름은 이 설치공을 통해 설치공간부에 설치 및 분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안내판 표시장치에 의하면, 광원에서 조사되는 광을 확산시켜 전측으로 조사할 수 있고, 칼라필름의 표시부를 통과함에 따라 표시부의 내용을 명확하게 표시할 수 있으며, 다양한 표시부를 갖는 칼라필름을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어 알리고자 하는 다양한 내용을 명확하게 표시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내판 표시장치의 분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내판 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내판 표시장치의 광 조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내판 표시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내판 표시장치의 광원기판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내판 표시장치의 분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내판 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내판 표시장치의 광 조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내판 표시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내판 표시장치의 광원기판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판 표시장치(100)는 기부판(110)와 상하프레임(120), 측면프레임(130), 광원기판부(140), 발광공간부(150), 반사판(160), 렌티큘라렌즈(170), 칼라필름(180) 및 전면판(190)으로 구성된다.
상하프레임(120)은 전면에 전면판(190)과 렌티큘라렌즈(170)들이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도록 지지하는 동시에 후면에서는 기부판(140)과 반사판(160)을 서로 인접하여 지지하는 구조로 되고 그들의 양측면을 감싸는 일정하고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측면프레임(130) 또한 양 측면으로 전면판(190)과 렌티큘라렌즈(170)들이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도록 지지하는 동시에 후면에서는 기부판(140)과 반사판(160)을 서로 인접하여 지지하는 구조로 되고 그들의 양측면을 감싸는 일정하고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그리고 광원기판부(140)는 다수의 광원을 갖고, 상하프레임(120)과 측면프레임(130)에 구비되어 광을 측방향에서 조사시키는 것으로, 상하프레임(120)과 측면프레임(130)에서 그 중심방향으로 광을 조사하게 된다.
발광공간부(150)는 광원기판부(140)에 의해 광이 조사되며, 반사판(160)은 상하프레임(120)과 측면프레임(130)의 내측인 기부판(110)의 전측에 구비되며, 광원에 의해 조사된 광을 전측으로 반사시키게 된다.
또한 렌티큘라렌즈(170)는 반사판(160)의 전측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형성하고, 광이 투과되고, 후면에 호를 갖는 다수의 돌출부(172)가 면을 따라 형성되어 광원에서 조사된 광과 반사판(160)에 의해 반사된 광을 전측으로 통과시키는 동시에 확산시키게 된다.
칼라필름(180)은 색상을 가지고 광이 투과되는 표시부(182)가 형성되며, 렌티큘라렌즈(170)의 전측에 전면판(190)사이에 구비된다.
그리고 전면판(190)은 그와 렌티큘라렌즈(170)사이에 두고 있는 칼라필름(180)의 전측에 구비되어 상기와 같이 상하프레임(120)과 측면프레임(130)의 전면에 구비되며,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광원기판부(140)의 광원(142)에서 조사된 광이 반사판(160)과 렌티큘라렌즈(170)에 의해 전측으로 용이하게 조사될 수 있기 위함이다.
이때 광원기판부(140)의 광원(142)은 엘이디와 냉음극선 램프 및 할로겐 램프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사용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엘이디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먼저, 안내판 표시장치(100)의 일 실시 예로, 도 1 내지 3을 참고로 설명한 바와 같이 조립된다. 즉, 발광공간부(150)는 반사판(160)과 렌티큘라렌즈(170)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렌티큘라렌즈(170)를 반사판(160)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물론, 광원기판부(140)는 발광공간부(150)로 광을 조사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광원기판부(140)는 발광공간부(150)가 위치된 상하프레임(120)과 측면프레임(130)에 구비된다.
광원기판부(140)의 광은 발광공간부(150)로 조사되고, 조사된 광은 반사판(160)에 의해 렌티큘라렌즈(170)로 광을 반사시킨다.
그리고 렌티큘라렌즈(170)에서는 반사판(160)에 의해 반사된 광을 확산시켜 전측으로 조사시키게 되며, 확산된 광은 칼라필름(180)의 표시부(182)를 통해 외부로 조사됨에 따라 알리고자하는 표시부(182)를 명확하게 안내할 수 있다.
여기서, 기부판(110)은 광이 투과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반사판(160)의 후면은 광을 반사시키도록 코팅되어 있으며, 전면은 일정 각도로 다수 회 절곡된 절면부(162)가 형성되어 광원기판부(140)로부터 조사되는 광이나 후면에 의해 반사되는 광을 입사각에 비해 일정 각도로 굴절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굴절된 광은 다수의 돌출부(172)를 갖는 렌티큘라렌즈(170)에 의해 전측으로 확산됨에 따라 조사되는 광의 밝기를 더욱 밝힐 수 있다.
또한 칼라필름(180)은 표시부(182)가 색을 갖고, 광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며, 전면판(190) 역시 투명한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공간부(150)는 렌티큘라렌즈(170)와반사판(160)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반사판(160)을 렌티큘라렌즈(17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물론, 이와 같은 경우도, 광원기판부(140)는 발광공간부(150)로 광을 조사하기 위해 발광공간부(150)가 위치된 상하프레임(120)과 측면프레임(130)에 상기와 같이 구비된다.
광원기판부(140)의 광은 발광공간부(150)로 조사되고, 조사된 광은 반사판(160)에 의해 렌티큘라렌즈(170)로 광을 반사 및 굴절시킨다.
그리고 렌티큘라렌즈(170)에서는 반사판(160)에 의해 반사된 광을 확산시켜 전측으로 조사시키게 되며, 확산된 광은 칼라필름(180)의 표시부(182)를 통해 외부로 조사됨에 따라 알리고자하는 표시부(182)를 명확하게 안내할 수 있다.
여기서, 기부판(110)은 광이 투과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고, 반사판(160)은 광이 투과되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전면이 일정 각도로 다수 회 절곡된 절면부(162)가 형성되어 광원기판부(14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입사각에 따라 일정 각도로 굴절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굴절된 광은 다수의 돌출부(172)를 갖는 렌티큘라렌즈(170)에 의해 전측으로 확산됨에 따라 조사되는 광의 밝기를 더욱 밝힐 수 있다.
또한 칼라필름(180)은 표시부(182)가 색을 갖고, 광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며, 전면판(190) 역시 투명한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광원기판부(140)에는 도4에 도시와 같이 다수의 광원(142)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광섬유(144)가 그의 일 단부에 개별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일부 광원(142)들이 광을광섬유(144)를 통하여 발광공간부(150)의 중앙부위에서 조사시킴에 따라 반사판(160)의 반사와 굴절은 물론, 렌티큘라렌즈(170)에 의한 확산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광섬유(144)는 그의 일단부가 광원(142)과 결합되고 그의 길이부를 따라 반 구 형상으로 코팅되어 반사 및 굴절시키게 되며 그 타측 단부가 광을 직접 반사판(160)이나 렌티큘라렌즈(170)로 안내하도록 지향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색을 갖는 코팅층을 형성하여 다른 색의 광을 조사할 수도 있다.
다시, 도1 과 도2를 참조하면 렌티큘라렌즈(170)와 전면판(190)사이에 설치공간부(192)가 형성되고, 이 설치공간부(192)에 대응되는 설치공(132)이 측면프레임(130)에 형성되며, 칼라필름(180)은 이 설치공(132)을 통해 설치공간부(192)에 설치 및 분리된다.
다시 말해, 칼라필름(180)은 안내판 표시장치(100)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것으로, 알리고자 하는 표시부(182)를 갖는 칼라필름(180)가 설치공간부(192)에 선택적으로 교체될 수 있다.
100 : 안내판 표시장치 110 : 기부판
120 : 상하프레임 130 : 측면프레임
140 : 광원기판부 150 : 발광공간부
160 : 반사판 170 : 렌티큘라렌즈
180 : 칼라필름 190 : 전면판

Claims (7)

  1. 후측 일측면에 배열되는 기부판;
    상기 기부판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광원에 의해 조사된 광을 전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
    상기 반사판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전측으로 배열되고, 그를 관통하여 광이 투과되며 후면에 호를 갖는 다수의 돌출부가 면을 따라 형성되어 광원에서 조사되는 광과 상기 반사판에 의해 반사된 광을 전측으로 통과시키는 렌티큘라렌즈;
    상기 렌티큘라렌즈의 전측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상기 렌티큘라렌즈와의 사이에 색상을 가지고 광이 투과되는 표시부로 형성되는 칼라필름을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게 가장 전측에 설치된 전면판;
    일측면에 상기 기부판과 반사판들이 인접하여 지지되며 전측면에 상기 렌티큘라렌즈와 전면판들이 인접하여 지지되게 하고 상기 반사판과 상기 렌티큘라렌즈간에 발광 공간부를 형성한 상하프레임들과 양측면 프레임들과;
    상기 상하 프레임들과 양측면프레임들에 설치되어 광을 측방향으로 조사시키는 광원기판부들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판 표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공간부는,
    상기 기부판과 반사판 사이에 형성되도록 반사판을 기부판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판 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광이 투과되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판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기판부에는,
    다수의 광원과 하나 이상의 광원에 일 단부가 결합되어 광을 전도시키고 분산시키게 한 광섬유를 구비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판 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티큘라렌즈와 전면판 사이에 설치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간부에 대응되는 설치공이 측면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칼라필름은 이 설치공을 통해 설치공간부에 설치 및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판 표시장치.
KR1020100038122A 2010-04-23 2010-04-23 안내판 표시장치 KR101080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122A KR101080751B1 (ko) 2010-04-23 2010-04-23 안내판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122A KR101080751B1 (ko) 2010-04-23 2010-04-23 안내판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494A KR20110118494A (ko) 2011-10-31
KR101080751B1 true KR101080751B1 (ko) 2011-11-07

Family

ID=45032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8122A KR101080751B1 (ko) 2010-04-23 2010-04-23 안내판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7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325B1 (ko) * 2018-07-16 2019-02-11 효성종합(주) 발광 도로경계석
KR101946328B1 (ko) * 2018-07-16 2019-02-11 효성종합(주) 발광 도로교통표지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394Y1 (ko) * 2012-04-26 2013-08-12 주식회사 유아이케이 좌우구동형 라이트패널
KR101450240B1 (ko) * 2013-06-26 2014-10-13 김강 발광형 도로 표지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325B1 (ko) * 2018-07-16 2019-02-11 효성종합(주) 발광 도로경계석
KR101946328B1 (ko) * 2018-07-16 2019-02-11 효성종합(주) 발광 도로교통표지판
WO2020017758A1 (ko) * 2018-07-16 2020-01-23 효성종합(주) 발광 도로경계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494A (ko) 2011-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1546B1 (ko) 측면 조광형 백라이트 장치
TWI526652B (zh) 發光裝置
US9395478B2 (en) Blade of light luminaire
JP2011159435A (ja) エッジライト式照明装置
US20130121023A1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US8517587B2 (en) Light source device and display unit equipped with light source device
RU2674433C2 (ru) Светоизлуч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спользующее световоды
WO2013128771A1 (ja) 照明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備えた照明装置
TW200835977A (en) Planar light source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planar illumination method
KR101080751B1 (ko) 안내판 표시장치
JP2012074404A (ja) エッジライト式照明装置
JP5985364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装置
KR20200111616A (ko) 벽면 조사용 램프 및 이를 사용한 조명 기구
CN103047587A (zh) 一种均匀出光的反射式背光源
KR102047847B1 (ko) 조명 장치
JP2012049050A (ja) 照明装置
JP2011243439A (ja)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液晶モジュール
JP4675252B2 (ja) 照明パネル
KR20110020513A (ko) 엘이디 조명을 이용한 광고장치
JP2009009825A (ja) 平面発光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照明看板
JP2012195306A (ja) エッジライト式照明装置
JP2013218965A (ja) 照明器具
KR101195975B1 (ko) 복수의 도광판 연결구조를 갖는 led 광고판
KR101212521B1 (ko) 도광판을 이용한 모아레 패턴 조명장치
JP6101013B2 (ja) 棚下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