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0464B1 - Apparatus for melting snow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elting sno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0464B1
KR101080464B1 KR1020110009425A KR20110009425A KR101080464B1 KR 101080464 B1 KR101080464 B1 KR 101080464B1 KR 1020110009425 A KR1020110009425 A KR 1020110009425A KR 20110009425 A KR20110009425 A KR 20110009425A KR 101080464 B1 KR101080464 B1 KR 101080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connection hose
snow melting
melting apparatus
sn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4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강욱
Original Assignee
이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욱 filed Critical 이강욱
Priority to KR1020110009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46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4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1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by application of heat for melting snow or ice, whether cleared or not, combined or not with clearing or removing mud or water, e.g. burners for melting in situ, heated clearing instruments; Cleaning snow by blowing or suction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01C11/26Permanently installed heating or blowing devices ; Mounting thereof
    • E01C11/265Embedded electrical heating elements ; Mounting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6Power conversion electric or electronic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PURPOSE: A snow melting apparatus is provided to melt piled up snow by heating mats using a heating wire. CONSTITUTION: A snow melting apparatus(100) comprises mats(130-1,130-2,130-3,130-4,130-5,130-6), a heating wire, connection hoses(120,150), connection hose housings(110-1,110-2,110-3,110-4,110-5,110-6,160-1,160-2,160-3,160-4,160-5,160-6), a sensor, a power cutoff device, and a power supply device. The heating wire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mats and applies heat to the mats. The connection hoses connect the mats. The connection hose housings are coupled to the mats to accommodate the connection hoses. The sensor senses snowfall. The power cutoff devic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device and cuts off current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device when sensing overload. The power supply device applies current through a wire to the heating wire.

Description

융설 장치{Apparatus for melting snow}Snow Melting Device {Apparatus for melting snow}

본 발명은 융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리는 눈을 녹여 쌓이지 않게 하는 융설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now mel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now melting apparatus that does not melt the falling snow.

겨울철 폭설로 인한 결빙은 많은 안전 사고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제설 작업은 눈이 내리는 중에 계속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하지만, 제설 작업을 수행할 인력이 없는 경우는 불가능한데, 예를 들어, 매장에 홀로 근무하는 경우, 매장 앞에 쌓이는 눈을 치우는 작업은 할 수 없을 것이다.Freezing from heavy snowfall in winter is the cause of many safety accidents. To prevent this, it is most effective to carry out snow removal continuously while it is snowing. However, it is impossible if there is no manpower to carry out snow removal, for example, if you work alone in a store, you will not be able to clear the snow that accumulates in front of the store.

즉각적인 제설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결빙으로 인해 후속 처리 작업이 더욱 어려워져, 시간과 노력은 배로 소모된다.Without immediate snow removal, freezing makes subsequent processing more difficult, consuming time and effort.

염화칼슘과 같은 화학 약품을 이용하여 도로와 인도의 결빙을 방지하거나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긴 하지만, 금속을 부식시키는 염화칼슘의 부작용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Although it is possible to use chemicals such as calcium chloride to prevent or eliminate freezing of roads and sidewalks, there is a problem with the side effects of calcium chloride that corrode metal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열선을 이용하여 매트에 열을 가하여 눈을 녹이는 융설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now melting apparatus that melts snow by applying heat to the mat using a heating wir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융설 장치는, 제1 매트; 및 상기 제1 매트에 열을 가하는 열선;을 포함한다.Snow mel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irst mat; It includes; and a heating wire for applying heat to the first mat.

상기 제1 매트는, 카펫, 인조 잔디, 철재 매트, 금속 매트, 고무 재질의 매트, 실리콘 재질의 매트 및 FRP 재질의 매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mat is preferably any one of a carpet, artificial turf, steel mat, metal mat, rubber mat, silicone mat, and FRP mat.

상기 열선은, 상기 제1 매트의 내부, 하부 및 상부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ot wire is preferably located in at least one of the inside, bottom and top of the first mat.

본 융설 장치는, 태양열 발전 또는 풍력 발전에 의해 배터리를 충전하고,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으로 상기 열선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now melt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device that charges the battery by solar power generation or wind power generation, and applies current to the heating wire with a power source charged in the battery.

본 융설 장치는, 과부하가 감지되면, 상기 전원 공급 장치에 의한 전류 인가를 차단하는 전원 차단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now melt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ower cut-off device that blocks the application of current by the power supply device when an overload is detected.

본 융설 장치는, 상기 제1 매트와 물리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제2 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선은 상기 제2 매트에도 열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now melt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second mat that can be physically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first mat, and the heating wire preferably heats the second mat.

상기 제1 매트와 상기 제2 매트는, 분리되면 각기 다른 층의 계단에 설치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first mat and the second mat is separa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mat and the second mat can be installed on steps of different floors.

본 융설 장치는, 상기 제1 매트의 일 면에 마련되는 제1 자석체; 및 상기 제2 매트의 일 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자석체와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제2 자석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now melting apparatus includes a first magnet body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mat; And a second magnet body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mat and coupled or separated from the first magnet body.

본 융설 장치는, 상기 제1 매트와 상기 제2 매트를 연결하는 연결 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now melt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hose connecting the first mat and the second mat.

삭제delete

본 융설 장치는, 상기 연결 호스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 호스 상에서 상기 제1 매트의 위치와 상기 제2 매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now melt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connection hose to fix the position of the first mat and the position of the second mat on the connection hose.

본 융설 장치는, 상기 제1 매트의 하부에 부착되며, 상기 제1 매트가 바닥에 고정될 수 있도록 마찰력을 제공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now melting apparatus is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mat,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pedestal for providing a friction force so that the first mat can be fixed to the floor.

상기 받침대는, 상기 제1 매트에서 상기 열선에 의한 융설로 발생된 물을 아래로 흘리기 위한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The pedestal, the first mat may be formed with a drain for flowing down the water generated by the melting of the hot wire down.

본 융설 장치는, 상기 융설 장치가 존재함을 알리기 위해 발광하는 LED;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now melt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LED emitting light to indicate that the snow melting apparatus exists.

본 융설 장치는, 강설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에 의해 강설이 감지되면, 상기 열선에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The snow melt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sensor for detecting snow, and when snow is detected by the sensor, a current may be applied to the hot wir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열선을 이용하여 매트에 열을 가하여 쌓이는 눈을 녹일 수 있게 되어, 결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elt the snow accumulated by applying heat to the mat using a heating wire, it is possible to prevent freezing in advanc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융설 장치는 블럭화 되어 있어서, 포개서 운반/보관이 가능하므로 운반/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맞춤형 제작이 가능하므로, 그 활용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now mel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locked, it is possible to carry and store the nested product, so that the transport and storage is eas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ke a custom made in a variety of sizes and shapes, it can be said that its utility is very high.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융설 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융설 장치를 중앙 높이에서 절단한 중앙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융설 장치를 하부에서 바라보면서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에 하부가 도시된 융설 장치를 AA'를 따라 절단한 절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융설 장치를 계단에서 사용하는 태양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자석체와 고정 부재를 이용한 블럭들의 연결/분리/고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7과 도 8은, LED가 구비된 융설 장치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9와 도 10은, 고무 받침대를 고무 받침들로 대체한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snow mel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enter cross-sectional view of the snow melting apparatus shown in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snow melting apparatus shown in FIG.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ut plane taken along AA ′ of the snow melting apparatus shown in FIG. 3, FIG.
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using the snow mel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stairs,
6 is a view provided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 separation / fixation of blocks using a magnet body and a fixing member;
7 and 8 show a snow melting apparatus equipped with an LED, and
9 and 10 show a variation in which rubber feet are replaced with rubber feet.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1. One. 융설Snow 장치 : 평지/경사길 사용시 Device: When using a flat / til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융설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융설 장치(100)는 내리는 눈을 녹이는 장치로, 융설 장치(100)가 놓여진 자리에는 눈이 쌓이거나 결빙되지 않는다.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snow mel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now mel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device for melting snow, and snow is not accumulated or frozen at a place where the snow melting apparatus 100 is placed.

융설 장치(100)는, 건물 입구, 인도 등에 놓여져 사용됨이 일반적이겠지만, 이와 다른 장소에 놓여져 사용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The snow melting apparatus 100 is generally used in a building entrance, a sidewalk, or the like, but is not excluded from being used in a different place.

도 1에는 융설 장치(100)를 평지나 경사길에서 사용하는 태양을 도시하였다. 한편, 융설 장치(100)는 계단, 건물 현관과 같이 높이가 불연속적으로 변하는 장소에 사용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1 shows an embodiment of using the snow melting apparatus 100 on a flat surface or a slope. On the other hand, the snow melting apparatus 100 may be used in places where the height is discontinuously changed, such as stairs and building entrance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5.

본 실시예에 따른 융설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호스 수납부-1(110-1 내지 110-6 : 제1 연결호스 수납부-1(110-1), 제2 연결호스 수납부-1(110-2), 제3 연결호스 수납부-1(110-3), 제4 연결호스 수납부-1(110-4), 제5 연결호스 수납부-1(110-5), 제6 연결호스 수납부-1(110-6)), 연결호스-1(120), 매트(130-1 내지 130-6 : 제1 매트(130-1), 제2 매트(130-2), 제3 매트(130-3), 제4 매트(130-4), 제5 매트(130-5), 제6 매트(130-6)), 고무 받침대(140-1 내지 140-6: 제1 고무 받침대(140-1), 제2 고무 받침대(140-2), 제3 고무 받침대(140-3), 제4 고무 받침대(140-4), 제5 고무 받침대(140-5), 제6 고무 받침대(140-6)), 연결호스-2(150), 연결호스 수납부-2(160-1 내지 160-6 : 제1 연결호스 수납부-2(160-1), 제2 연결호스 수납부-2(160-2), 제3 연결호스 수납부-2(160-3), 제4 연결호스 수납부-2(160-4), 제5 연결호스 수납부-2(160-5), 제6 연결호스 수납부-2(160-6))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1, the snow mel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connection hose accommodation unit-1 (110-1 to 110-6): a first connection hose accommodation unit-1 (110-1), and a first connection hose accommodation unit-1 (110-1). 2 Connecting hose housing unit-1 (110-2), Third connecting hose housing unit-1 (110-3), fourth connecting hose housing unit-1 (110-4), fifth connecting hose housing unit-1 ( 110-5), the sixth connection hose storage unit-1 (110-6)), the connection hose-1 (120), the mat (130-1 to 130-6: first mat 130-1, second mat) 130-2, third mat 130-3, fourth mat 130-4, fifth mat 130-5, sixth mat 130-6), rubber feet 140-1 to 140-6: 1st rubber support 140-1, 2nd rubber support 140-2, 3rd rubber support 140-3, 4th rubber support 140-4, 5th rubber support 140 -5), the sixth rubber pedestal 140-6), the connection hose-2 (150), the connection hose receiving portion-2 (160-1 to 160-6: first connection hose receiving portion-2 (160-1) ), The second connection hose housing unit-2 (160-2), the third connection hose housing unit-2 (160-3), the fourth connection hose housing unit-2 (160-4), the fifth connection hose housing unit -2 (160-5), And a sixth connecting hose accommodation portion-2 (160-6).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설 장치(100)는 "6개"로 블럭화되어 있는 관계로, 연결호스 수납부-1,2(110-1 내지 110-6, 160-1 내지 160-6), 매트(130-1 내지 130-6), 고무 받침대(140-1 내지 140-6)는 6개씩 구비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snow melting apparatus 100 is blocked in six pieces, so that the connection hose housing portions 1 and 2 (110-1 to 110-6 and 160-1 to 160-6) are connected. The mats 130-1 to 130-6 and the rubber feet 140-1 to 140-6 are provided six by one.

도 1에 도시된 6개로 블럭화된 융설 장치(100)는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든 예에 불과한 것이다. 따라서, 융설 장치(100)의 블럭 개수는 6개로 한정되지 않음에 유념하여야 한다. 즉, 융설 장치(100)는 6개 이외의 다른 개수로 블럭화될 수 있는 것이다.The six-blocked snow melting apparatus 100 shown in FIG. 1 is merely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number of blocks of the snow melting apparatus 100 is not limited to six. That is, the snow melting apparatus 100 may be blocked by other numbers than six.

한편, 연결호스-1,2(120, 150)는 6개의 블럭들[제1 연결호스 수납부-1,2(110-1, 160-1) + 제1 매트(130-1) + 제1 고무 받침대(140-1), 제2 연결호스 수납부-1,2(110-2, 160-2) + 제2 매트(130-2) + 제2 고무 받침대(140-2), ... , 제6 연결호스 수납부-1,2(110-6, 160-6) + 제1 매트(130-6) + 제1 고무 받침대(140-6)]을 연결하여야 하고, 매트(130-1 내지 130-6)에 마련된 열선들(미도시)에 전원을 전달하는 전선이 마련되어 있는 관계로 하나이며, 이는 도 2를 참조하면 확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hose-1, 2 (120, 150) has six blocks (first connection hose housing -1,2 (110-1, 160-1) + first mat 130-1 + first Rubber pedestal 140-1, second connection hose housing-1, 2 (110-2, 160-2) + second mat 130-2 + second rubber pedestal 140-2, ... , 6th connection hose housing unit 1, 2 (110-6, 160-6) + first mat (130-6) + first rubber support (140-6)], the mat (130-1) To 130-6), one wire is provided to transfer power to the heating wires (not shown) provided in FIG. 6, which can be confirmed by referring to FIG. 2.

매트(130-1 내지 130-6)는 사람들이 발로 밟고 통행하는 부재로, 카펫, 인조 잔디, 철재 매트, 금속 매트, 고무 재질의 매트, 실리콘 재질의 매트 및 FRP 재질의 매트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이때, 철재 매트는, 철망으로 구현한 매트는 물론 철판으로 구현한 매트도 가능하다. 그리고, 카펫, 인조 잔디, 철재 매트 등은 매트(130-1 내지 130-6)의 구현예들에 해당하므로, 이와 다른 종류의 매트로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Mats (130-1 to 130-6) is a member that people walk on the foot, and can be implemented as a carpet, artificial grass, steel mats, metal mats, rubber mats, silicone mats and FRP mats, etc. . At this time, the iron mat, as well as the mat implemented with a wire mesh may be a mat implemented with an iron plate. And, carpet, artificial turf, steel mat, etc. correspond to the embodiments of the mat (130-1 to 130-6), of course, can be implemented in a different type of mat.

연결호스 수납부-1(110-1 내지 110-6)에는 연결호스-1(120)이 수납되고, 연결호스 수납부-2(160-1 내지 160-6)에는 연결호스-2(150)가 수납되어 있는데,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connection hose-1 120 is accommodated in the connection hose accommodation unit-1 (110-1 to 110-6), and the connection hose-2 15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hose accommodation unit-2 (160-1 to 160-6). Is received,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융설 장치(100)를 중앙 높이에서 절단한 중앙 단면도이다. 도 2에는, 도 1에서 도시하지 않았던 전원 차단 장치(180), 센서(185) 및 전원 공급 장치(190)를 더 도시하였다. 센서(185)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FIG. 2 is a centr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now melting apparatus 100 shown in FIG. 1 cut at the center height. In FIG. 2, the power cutoff device 180, the sensor 185, and the power supply device 190, which are not shown in FIG. 1, are further illustrate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ensor 185 will be described later.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호스 수납부-1(110-1 내지 110-6)에는 연결호스-1(120)이 수납되어 있는데, "A" 지점들에서 연결호스-1(120)은 연결호스 수납부-1(110-1 내지 110-6)에 부착된다.As shown in FIG. 2, the connection hose-1 120 is housed in the connection hose receiving unit-1 (110-1 to 110-6), and the connection hose-1 120 is located at the points "A". It is attached to the connection hose housing portion-1 (110-1 to 110-6).

마찬가지로, 연결호스 수납부-2(160-1 내지 160-6)에는 연결호스-2(150)가 수납되어 있는데, "B" 지점들에서 연결호스-2(150)는 연결호스 수납부-2(160-1 내지 160-6)에 부착된다.Similarly, the connection hose receiving unit-2 (160-1 to 160-6) is housed in the connection hose-2 (150), the connection hose-2 (150) at the point "B" connection hose receiving unit-2 (160-1 to 160-6).

연결호스-1(120)과 달리 연결호스-2(150) 내부에는 전선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 전선은 전원 공급 장치(190)에 의해 공급되는 전류를 매트(130-1 내지 130-6) 내부의 열선(170)으로 전달한다.Unlike the connection hose-1 (120), a connection wire is provided inside the connection hose-2 (150), and the wire is configured to supply the current supplied by the power supply unit 190 to the inside of the mat 130-1 to 130-6. Transfer to hot wire 170.

매트(130-1 내지 130-6) 내부의 열선(170)에 전류가 인가되면 열선(170)에서 열이 발생되어, 매트(130-1 내지 130-6)에 열이 가해지므로 매트(130-1 내지 130-6) 위에 내린 눈이 녹게 된다.When current is applied to the heating wires 170 inside the mats 130-1 to 130-6, heat is generated from the heating wires 170, and heat is applied to the mats 130-1 to 130-6. 1 to 130-6) and snow melted on top.

도 2에서 열선(170)은 매트(130-1 내지 130-6) 내부 중앙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는데,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다. 열선(170)은 매트(130-1 내지 130-6) 상부 또는 하부는 물론, 중앙이 아닌 내부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2개 이상의 위치들(예를 들면, 매트(130-1 내지 130-6) 하부와 중앙)에 다층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In FIG. 2, the heating wire 170 is illustrated as being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mat 130-1 to 130-6, which is merely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heating wire 170 may be installed at the upper or lower portions of the mat 130-1 to 130-6, as well as at other positions inside the center, and at least two positions (for example, the mat 130-1 to 130). 130-6) It can be installed in multiple layers at the bottom and center).

또한, 도 2에 도시된 열선(170)의 설치 형태 및 열선(170)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배선 방식도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바와 다르게 구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열선(170)의 설치 형태를 가로 방향이 아닌 세로 방향으로 변형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 열선(170)에 전류를 전달하는 전선을 연결호스-1(120)을 통해 배선하거나, 연결호스-1(120)과 연결호스-2(150) 모두를 통해 배선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installation form of the heating wire 170 shown in FIG. 2 and the wiring method for applying a current to the heating wire 170 are merely exemplary, they may be implemented differently from those shown.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deform the installation form of the heating wire 170 in the vertical direction rather tha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well as to wire or connect the wires that transfer current to the heating wire 170 through the connection hose-1 (120), or It is also possible to wire through both the hose-1 (120) and the connection hose-2 (150).

전원 공급 장치(190)는 전선을 통해 열선(170)에 전류를 인가하는 장치로,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인가 받아 열선(170)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또는 이와 병행하여, 전원 공급 장치(190)는 내장된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전선을 통해 열선(170)에 전류를 인가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power supply device 190 is a device for applying a current to the heating wire 170 through a wire, and may receive a power through an outlet to apply a current to the heating wire 170. Alternatively, or in parallel, the power supply device 190 may apply a current to the heating wire 170 through a wire by using a power charged in an embedded battery.

이때, 전원 공급 장치(190)는 솔라셀을 구비하여 태양열 발전을 통해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풍력 터빈을 구비하여 풍력 발전에 의해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구현가능하다.In this case, the power supply device 190 may include a solar cell to charge the battery through solar power generation, or include a wind turbine to charge the battery by wind power generation.

전원 차단 장치(180)는 전원 공급 장치(19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과부하가 감지되면 전원 공급 장치(190)에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한다.The power cutoff device 18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device 190, and blocks an electric current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device 190 when an overload is detected.

이하에서는, 융설 장치(100)의 하부에 마련되는 고무 받침대(140-1 내지 140-6)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융설 장치(100)를 하부에서 바라보면서 도시한 평면도이다.Hereinafter, the rubber pedestals 140-1 to 140-6 provided below the snow melting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snow melting apparatus 100 shown in FIG. 1 while looking at the bottom.

고무 받침대(140-1 내지 140-6)는 매트(130-1 내지 130-6)의 하부에 부착되어, 융설 장치(100)의 매트(130-1 내지 130-6)가 바닥에 고정될 수 있도록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 부재로 역할한다. 마찰 부재로의 역할을 위한 것이므로, 고무 받침대(140-1 내지 140-6)는 마찰력을 갖는 다른 재질의 부재로 대체할 수 있다.The rubber feet 140-1 to 140-6 may be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mats 130-1 to 130-6 so that the mats 130-1 to 130-6 of the snow melting apparatus 100 may be fixed to the floor. It serves as a friction member to provide friction force. Since it is intended to serve as a friction member, the rubber pedestal (140-1 to 140-6) can be replaced with a member of another material having a friction forc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 받침대(140-1 내지 140-6)에는 다수의 배수구(141)와 다수의 돌출부(142)가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도 3에 하부가 도시된 융설 장치(100)를 AA'를 따라 절단한 절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As illustrated in FIG. 3, the rubber pedestals 140-1 to 140-6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rain holes 141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142.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ut surface obtained by cutting the snow melting apparatus 100 along the AA ′ of the lower part of FIG. 3.

다수의 배수구(141)는 매트(130-1 내지 130-6)에서 열선(170)에 의한 융설로 발생된 물을 아래로 흘리려 땅으로 스며들도록 위한 구멍으로, 도 4에 도시된 단면도를 참조하면, 다수의 배수구(141)를 통해 융설로 발생된 물이 배수되는 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drains 141 are holes for flowing water generated by snow melting by the hot wire 170 from the mats 130-1 to 130-6 and penetrating to the ground, and refer to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4. In this case, a path through which water generated by snow melting is drained through the plurality of drains 141 may be identified.

다수의 돌출부(142)는 융설 장치(100)가 바닥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4에 도시된 단면도를 참조하면 다수의 돌출부(142)가 돌출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42 is a means for allowing the snow melting apparatus 100 to be firmly fixed to the floor. Referring to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4, it can be seen that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42 protrude. .

2. 2. 융설Snow 장치 : 계단 사용시 Device: When using stairs

본 실시예에 따른 융설 장치(100)는 평지나 경사길 외에, 계단, 건물 현관과 같이 높이가 불연속적으로 변하는 장소에 사용될 수도 있다고 전술한 바 있는데, 이하에서 그 사용 태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The snow mel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used in a place where the height changes discontinuously, such as a stairway or a building entrance, in addition to the flat or the slope,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5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융설 장치(100)를 계단에서 사용하는 태양을 도시하였다.5 shows an embodiment of using the snow mel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a staircase.

도 5에는, 융설 장치(100)에 구비된 6개의 블럭들을 2개의 블럭들씩 결합하여 3개의 블럭-그룹들을 형성하되, 3개의 블럭-그룹들은 서로 분리되도록 구현하고, 3개의 블럭-그룹들을 각기 다른 계단 층에 배치한 상태를 도시하였다.In FIG. 5, six blocks included in the snow melting apparatus 100 are combined by two blocks to form three block-groups, but the three block-group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ree block-groups are formed. The arrangements are shown on different staircase floors.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호스 수납부-1,2(110-1 내지 110-6, 160-1 내지 160-6)에는 연결호스-1,2(120, 150)가 충분한 길이로 수납되어 있으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호스-1,2(120,150)가 연결호스 수납부-1,2(110-1 내지 110-6,160-1 내지 160-6) 밖으로 연장되면서 3개의 블럭-그룹들의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As shown in FIG. 2, the connecting hoses 1 and 2 (110-1 to 110-6 and 160-1 to 160-6) are accommodated in a sufficient length. Therefore, as shown in FIG. 5, the connection hoses 1 and 2 (120 and 150) extend out of the connection hose housing parts 1 and 2 (110-1 to 110-6, 160-1 to 160-6) and three block-groups. Their connection can be maintained.

한편, 블럭-그룹을 구성하는 2개의 블럭을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만약, 계단의 두께가 도 5에 도시된 바 보다 길다면, 블럭-그룹을 구성하는 2개의 블럭을 분리하여 2개의 블럭을 약간 떨어뜨려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o separate the two blocks constituting the block-group. If the thickness of the stairs is longer than that shown in Fig. 5, it is preferable to separate the two blocks constituting the block-group and use two blocks slightly apart.

한편, 계단의 두께가 짧은 경우라면, 융설 장치(100)를 구성하는 블럭들을 모두 분리하여 하나의 계단 층에 하나의 블럭이 놓여 지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thickness of the stairs is short, all the blocks constituting the snow melting apparatus 100 may be separated so that one block is placed on one staircase layer.

3. 3. 융설Snow 장치 :  Device : 변형예Variant

3.1. 3.1. 블럭block 연결/분리 Connect / Disconnect

융설 장치(100)를 구성하는 블럭들[제1 연결호스 수납부-1,2(110-1, 160-1) + 제1 매트(130-1) + 제1 고무 받침대(140-1), 제2 연결호스 수납부-1,2(110-2, 160-2) + 제2 매트(130-2) + 제2 고무 받침대(140-2), ... , 제6 연결호스 수납부-1,2(110-6, 160-6) + 제1 매트(130-6) + 제1 고무 받침대(140-6)]은 물리적으로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하다. 이 블럭들의 연결/분리가 용이하도록, 융설 장치(100)를 변형할 수 있다.Blocks constituting the snow melting apparatus 100 [first connecting hose housing unit -1,2 (110-1, 160-1) + first mat 130-1 + first rubber support 140-1, 2nd connection hose storage part -1,2 (110-2, 160-2) + 2nd mat 130-2 + 2nd rubber base 140-2, ..., 6th connection hose accommodation part- 1,2 (110-6, 160-6) + first mat 130-6 + first rubber support 140-6] may be physically connected and separated. The snow melting apparatus 100 may be modified to facilitate the connection / disconnection of these blocks.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들이 접촉하는 면에 제1 자석체(210-1 내지 210-5 : 제1 자석체-1(210-1), 제1 자석체-2(210-2), 제1 자석체-3(210-3), 제1 자석체-4(210-4), 제1 자석체-5(210-5))와 제2 자석체(220-2 내지 220-6 : 제2 자석체-2(220-2), 제2 자석체-3(220-3), 제2 자석체-4(220-4), 제2 자석체-5(220-5), 제2 자석체-6(220-6))를 각각 부착시켜,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블럭들을 자기력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the first magnet body 210-1 to 210-5: the first magnet body-1-210-1, and the first magnet body-2 ( 210-2), the first magnet body-3 (210-3), the first magnet body-4 (210-4), the first magnet body-5 (210-5) and the second magnet body 220-2 To 220-6: second magnet body-2 (220-2), second magnet body-3 (220-3), second magnet body-4 (220-4), second magnet body-5 (220- 5) and the second magnet body 6 (220-6) may be attached to each other to connect the physically connected blocks with magnetic force.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되는 블럭들의 사이에서는 연결호스-1,2(120,150)에 결합가능한 고정 부재(230-2 내지 230-5 : 제2 고정 부재(230-2), 제3 고정 부재(230-3), 제4 고정 부재(230-4), 제5 고정 부재(230-5))를 이용할 수 있다. 고정 부재(230-2 내지 230-5)는 연결호스-1,2(120,150) 상에서 블럭들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6, between the blocks separated between the fixing member (230-2 to 230-5: second fixing member 230-2, second coupling member that can be coupled to the hose 1, 2 (120, 150) The third fixing member 230-3, the fourth fixing member 230-4, and the fifth fixing member 230-5 may be used. The fixing members 230-2 to 230-5 serve to fix the positions of the blocks on the connection hoses 1 and 2 (120 and 150).

3.2. 안내용 발광 소자3.2. Guide light emitting device

한편, 보행자가 야간에 융설 장치(100)를 인지하지 못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호스 수납부-1,2(110-1 내지 110-6, 120)의 상부에 발광소자의 일종인 LED(240)들을 구비시킬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that may occur due to a pedestrian not recognizing the snow melting apparatus 100 at night, as illustrated in FIGS. 7 and 8, the connection hose storage units 1 and 2 (110-1 to 110-). 6 and 120 may be provided with LEDs 240 which is a kind of light emitting device.

이 LED(240)들에 의해 보행자는 융설 장치(100)의 존재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These LEDs 240 allow the pedestrian to easily recognize the presence of the snow melting apparatus 100.

3.3. 고무 받침3.3. Rubber feet

도 9는, 도 3에 도시된 고무 받침대(140-1 내지 140-6)를 다수의 고무 받침들로 대체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9 is a view showing the result of replacing the rubber pedestals 140-1 to 140-6 shown in FIG. 3 with a plurality of rubber pedestals.

다수의 배수구(141)와 다수의 돌출부(142)가 형성된 고무 받침대(140-1 내지 140-6)과 달리, 도 9에서는 매트(130-1 내지 130-6)의 하부에 다수의 고무 받침(250)들이 부착되는 것으로 구현하였다.Unlike the rubber pedestals 140-1 to 140-6 having a plurality of drain holes 141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142, in FIG. 9, a plurality of rubber feet are disposed below the mats 130-1 to 130-6. 250) to be attached.

도 10은, 도 9에 하부가 도시된 융설 장치(100)를 BB'를 따라 절단한 절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단면도를 참조하면, 고무 받침들(250) 사이를 통해 융설로 발생된 물이 배수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FIG. 10: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cut surface which cut | disconnected the snow-melting apparatus 100 shown in FIG. 9 along BB '. Referring to the cross-sectional view shown in FIG. 10, it can be seen that water generated by snow melting can be drained through the rubber feet 250.

3.4. 연결호스 수납부-1,23.4. Connecting hose compartment-1,2

연결호스 수납부-1,2(110-1 내지 110-6, 160-1 내지 160-6)는 도면들에 도시된 형상과 다른 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연결호스 수납부-1,2(110-1 내지 110-6, 160-1 내지 160-6)를 생략하고, 연결호스-1,2(120,150)를 매트(130-1 내지 130-6)에 고정시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connection hose housing parts 1 and 2 (110-1 to 110-6 and 160-1 to 160-6) may be embodied in shapes different from those shown in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connection hose housing unit-1,2 (110-1 to 110-6, 160-1 to 160-6) is omitted, and the connection hose-1,2 (120,150) mat (130-1 to 130-)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fixed by 6).

3.5 센서에 의한 자동 동작3.5 Automatic operation by sensor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설 장치(100)에 강설 감지용 센서(185)를 부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강설 감지용 센서(185)에 의해 눈 내림이 감지되면, 융설 장치(100)의 전원 차단 장치(180)에서 전선을 통해 열선(170)으로 전류를 인가하여, 융설 작업이 시작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it is possible to add a snowfall detecting sensor 185 to the snow melting apparatus 100. In this case, when snow falls are detected by the snowfall detecting sensor 185, a current is applied from the power cutoff device 180 of the snow melting apparatus 100 to the hot wire 170 through a wire to start the snow melting operation. Can be.

반면, 강설 감지용 센서(185)에 의해 눈이 그쳤다고 판단되면, 전원 차단 장치(180)에서 전선을 통해 열선(170)으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시켜 융설 작업이 중단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now is stopped by the snow sensor 185, the snow blocking operation may be interrupted by cutting off the current applied to the heating wire 170 through the wire.

이 밖에도, 융설 장치(100)에 온도 센서를 부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온도가 설정 온도 보다 낮아지면 융설 장치(100)의 전원 차단 장치(180)에서 전선을 통해 열선(170)으로 전류가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면이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이미 결빙된 노면을 녹일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dd a temperature sensor to the snow melting apparatus 100. In this case, when the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set temperature, the current may be applied to the hot wire 170 through the electric wire from the power cutoff device 180 of the snow melting apparatus 10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oad surface from freezing or to melt the already frozen road surface.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In addition, whil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융설 장치
110-1 내지 110-6, 160-1 내지 160-6 : 연결호스 수납부
120, 150 : 연결호스 130-1 내지 130-6 : 매트
140-1 내지 140-6 : 고무 받침대
170 : 열선
180 : 전원 차단 장치 190 : 전원 공급 장치
210-1 내지 210-5 : 제1 자석체 220-2 내지 220-6 : 제2 자석체
230-2 내지 230-5 : 고정 부재 240 : LED
250 : 고무 받침
100: snow melting device
110-1 to 110-6, 160-1 to 160-6: connecting hose housing
120, 150: connection hose 130-1 to 130-6: mat
140-1 to 140-6: rubber support
170: heating wire
180: power off device 190: power supply
210-1 to 210-5: first magnet body 220-2 to 220-6: second magnet body
230-2 to 230-5: fixing member 240: LED
250: rubber feet

Claims (15)

제1 매트;
상기 제1 매트와 물리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제2 매트;
상기 제1 매트와 상기 제2 매트에 열을 가하는 열선;
상기 제1 매트와 상기 제2 매트를 연결하는 연결 호스;
상기 제1 매트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 호스의 일 지점이 부착된 상태로 수납되는 제1 수납부;
상기 제2 매트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 호스의 다른 지점이 부착된 상태로 수납되는 제2 수납부; 및
강설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에 의해 강설이 감지되면, 상기 열선에 전류가 인가되고,
상기 연결 호스가 상기 제1 수납부와 상기 제2 수납부 안에 수납되면, 상기 제1 매트와 상기 제2 매트가 물리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연결 호스가 상기 제1 수납부와 상기 제2 수납부 밖으로 연장되면, 상기 제1 매트와 상기 제2 매트는 상기 연결 호스에 의해 연결 상태를 유지하면서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설 장치.
First mat;
A second mat physically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first mat;
A heating wire for applying heat to the first mat and the second mat;
A connection hose connecting the first mat and the second mat;
A first accommodating part coupled to the first mat and accommodated with one point of the connection hose attached thereto;
A second accommodating part coupled to the second mat and accommodated with another point of the connection hose attached thereto; And
A sensor for detecting snow;
When snow is detected by the sensor, a current is applied to the hot wire,
When the connection hose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the first mat and the second mat are physically coupled,
And the first mat and the second mat are physically separated while maintaining the connection state by the connection hose when the connection hose extends out of the first accommodation portion and the second accommodation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매트 및 상기 제2 매트는,
카펫, 인조 잔디, 철재 매트, 금속 매트, 고무 재질의 매트, 실리콘 재질의 매트 및 FRP 재질의 매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설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mat and the second mat,
Snow mel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carpet, artificial turf, steel mat, metal mat, rubber mat, silicone mat and FRP m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은,
상기 제1 매트 및 상기 제2 매트의 내부, 하부 및 상부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설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ting wire,
Snow mel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on at least one of the inside, bottom and top of the first mat and the second mat.
제 1항에 있어서,
태양열 발전 또는 풍력 발전에 의해 배터리를 충전하고,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으로 상기 열선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설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power supply for charging the battery by solar power or wind power, and applying a current to the heating wire with a power charged in the battery.
제 4항에 있어서,
과부하가 감지되면, 상기 전원 공급 장치에 의한 전류 인가를 차단하는 전원 차단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설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a power cut-off device for blocking the application of current by the power supply device when an overload is detected.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매트와 상기 제2 매트는,
분리되면 각기 다른 층의 계단에 설치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설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mat and the second mat,
Snow mel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when separated can be installed on the stairs of different floor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매트의 일 면에 마련되는 제1 자석체; 및
상기 제2 매트의 일 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자석체와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제2 자석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설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magnet body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mat; And
And a second magnet body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mat and coupled or separated from the first magnet body.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호스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 호스 상에서 상기 제1 매트의 위치와 상기 제2 매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설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connection hose to fix the position of the first mat and the position of the second mat on the connection hos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매트의 하부에 부착되며, 상기 제1 매트가 바닥에 고정될 수 있도록 마찰력을 제공하는 제1 받침대; 및
상기 제2 매트의 하부에 부착되며, 상기 제2 매트가 바닥에 고정될 수 있도록 마찰력을 제공하는 제2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설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pedestal attach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mat and providing a frictional force so that the first mat can be fixed to the floor; And
And a second pedestal attach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mat and providing a frictional force so that the second mat can be fixed to a floor.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받침대는,
상기 제1 매트에서 상기 열선에 의한 융설로 발생된 물을 아래로 흘리기 위한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받침대는,
상기 제2 매트에서 상기 열선에 의한 융설로 발생된 물을 아래로 흘리기 위한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설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first pedestal,
In the first mat is formed a drain hole for flowing down the water generated by the snow melt by the hot wire,
The second pedestal,
A snow mel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inage for flowing down the water generated by the snow melting by the heating wire in the second m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융설 장치가 존재함을 알리기 위해 발광하는 LE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설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light emitting diode (LED) emitting light to indicate that the snow melting apparatus is present.
삭제delete
KR1020110009425A 2011-01-31 2011-01-31 Apparatus for melting snow KR1010804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425A KR101080464B1 (en) 2011-01-31 2011-01-31 Apparatus for melting sn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425A KR101080464B1 (en) 2011-01-31 2011-01-31 Apparatus for melting snow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458A Division KR20120088511A (en) 2011-10-05 2011-10-05 Apparatus for melting snow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0464B1 true KR101080464B1 (en) 2011-11-04

Family

ID=45397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425A KR101080464B1 (en) 2011-01-31 2011-01-31 Apparatus for melting snow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46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678B1 (en) * 2013-01-07 2014-06-18 김광열 A control system of snow melting device
KR101815812B1 (en) * 2017-08-01 2018-01-05 강원구 Portable snow melting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7113A (en) * 2001-01-30 2002-08-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lanar heating unit for snow melting device
JP2005315063A (en) * 2004-03-30 2005-11-10 Showa Concrete Ind Co Ltd Snow melting pane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snow melting roadbed
JP2009250016A (en) * 2008-04-02 2009-10-29 Toyohoku Co Ltd Snow melting apparatus and mounting method theref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7113A (en) * 2001-01-30 2002-08-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lanar heating unit for snow melting device
JP2005315063A (en) * 2004-03-30 2005-11-10 Showa Concrete Ind Co Ltd Snow melting pane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snow melting roadbed
JP2009250016A (en) * 2008-04-02 2009-10-29 Toyohoku Co Ltd Snow melting apparatus and mounting method theref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678B1 (en) * 2013-01-07 2014-06-18 김광열 A control system of snow melting device
KR101815812B1 (en) * 2017-08-01 2018-01-05 강원구 Portable snow melt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1739B2 (en) Modular flooring system
US5775835A (en) Embedment tiles for pedestrian platforms and walkways
CA2760443C (en) Modular entrance floor system
US20170335523A1 (en) Snow Melting Apparatus
US20050199282A1 (en) Photovoltaic-embedded surface
ES2310120A1 (en) Pedestrian crossing with presence detector and warning
KR101080464B1 (en) Apparatus for melting snow
US8076619B1 (en) Heated floor mat for elevated surfaces and associated method
US20210079613A1 (en) Modular heated surface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WO2017039104A1 (en) Pavement structure having water drainage and storage functions
US9528235B1 (en) Solar powered ice/snow melting system and associated use thereof
US20140047659A1 (en) System for preventing build-up of snow, ice and icicles from the sides of a roof, a building or the vertical front of a gutter
US20070131666A1 (en) Heated mat apparatus
KR20120088511A (en) Apparatus for melting snow
US9157197B2 (en) Functional road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US20190048533A1 (en) Heated Covering Mat
JP2002069913A (en) Road side facility and road side member used therefor
JP2008266993A (en) Water storage unit and watering system using the water storage unit
US10969096B2 (en) Modular mat system with solar powered illumination
KR20100104184A (en) Fence equipped with identification lamp
CN106996178A (en) A kind of garden landscape step
KR20120002152U (en) Plastic boundary stone
US11788518B1 (en) Low-profile solar-powered flood control device
JP3239529U (en) antifreeze mat
KR20130000390U (en) Block assembly for outdoor parking l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