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0395B1 - 원터치형 플러그 연결구 - Google Patents

원터치형 플러그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0395B1
KR101080395B1 KR1020080093090A KR20080093090A KR101080395B1 KR 101080395 B1 KR101080395 B1 KR 101080395B1 KR 1020080093090 A KR1020080093090 A KR 1020080093090A KR 20080093090 A KR20080093090 A KR 20080093090A KR 101080395 B1 KR101080395 B1 KR 101080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ouch
plug
pressing plate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3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4122A (ko
Inventor
심병섭
Original Assignee
심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병섭 filed Critical 심병섭
Priority to KR1020080093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395B1/ko
Publication of KR20100034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4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지단자가 구비된 전기기기의 플러그 전원을 원터치(one touch)로 온/오프가 가능하고, 원하는 방향으로 플러그를 회전시킬 수 있는 원터치형 플러그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내중심부에는 안내관이 형성되고, 내면부의 양측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단자봉의 일단부가 다수의 단자편이 형성되는 단자편 어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 고정되고 외벽부에는 접지단자대가 대칭되게 구비되는 단자몸체와; 상기 안내관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지며 내부에 레일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절개홈이 형성되는 실린더부가 중심부에 돌출 형성되고, 측면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벽부가 형성되는 중간판과; 상기 레일홈에 대응되는 레일돌기가 형성되고 일측부에는 V자형 홈이 일측에 형성되는 안내돌편이 돌설되어 안내로를 형성하고 타측부에는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에 일단부가 맞닿는 코일스프링이 끼워지는 스프링안착홈이 형성되는 돌기편이 중심축상에 형성되고, 측면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접지단자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지연결구가 축설되는 누름판과; 상기 실린더부의 절개홈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 절곡부는 상기 돌기편의 안내로를 이동하는 철사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원터치형 플러그 연결구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80093090
전기, 플러그, 단자, 접지, 원터치

Description

원터치형 플러그 연결구 { one touch typed plug connector }
본 발명은 원터치형 플러그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접지단자가 구비된 전기기기의 플러그 전원을 원터치(one touch)로 온/오프가 가능하고, 원하는 방향으로 플러그를 회전시킬 수 있는 원터치형 플러그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용 전기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전기플러그는 굽은 손잡이가 있는 플러그몸체에 2개의 단자봉이 고정되어 있고 그 단자봉에 전선이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전기 플러그의 단자봉을 벽에 설치되는 콘센트에 꽂으면 전원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 후에는 전기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분리하여 전원차단이 되도록 되어 있어 플러그를 콘센트에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조작이 필요해 불편하고, 전기줄을 잡아당기는 습성으로 인해 내부 전선이 자주 절단되는 폐단이 있고, 플러그를 꽂은채 그대로 두는 경향이 많아 전력손실이 큰 폐단도 있었다.
물론, 상술한 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등록특허 제0317646호 "원터치 전기플러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원터치 전기플러그"는 콘센트에 끼워지는 단자봉(5,5')과 반원형 단자편(4,4')이 고정되는 단자몸체(1)와, 원터치하기 위한 누름판(15)와, 상기 누름판(15)의 내부에 끼워지며 톱니(10)가 단자몸체(1)의 톱니(10')와 맞물리는 중간판(7)과, 상기 단자몸체(1)와 중간판(7)의 사이에 끼워지는 코일스프링(8)과, 상기 중간판(7)과 누름판(15)의 사이에 위치하는 코일스프링(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누름판(15)을 누르면 중간판(7)의 실린더부(11)의 레일홈(26)을 따라 누름판(15)의 돌기편(16)이 전진 또는 후진하여 누름판(15)에 형성된 삽입공에 끼워지는 통상적인 플러그(20)가 전기적인 통전 및 차단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플러그의 단자가 끼워진 상태에서도 누름판(15)을 좌우로 비틀게 되면 회전이 가능해 원하는 위치로 플러그의 방향을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최근 접지단자가 구비된 플러그 및 콘센트의 사용이 의무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접지단자가 연결이 불가능하고, 플러그를 원하는 위치로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아울러, 코일스프링(13)을 중간판(7)과 누름판(15) 사이에 구비하여 누름판을 눌러, 통전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중간판(7)과 누름판(15)이 근접됨을 알 수 있게 되는데 이때, 코일스프링(13) 자체의 수축에도 불구하고 중간판(7)과 누름판(15) 사이가 코일스프링(13)에 의해 이격되어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전체적인 사이즈가 커지고 조립이 복잡한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지단자가 구비된 플러그를 사용시에도 접지단자의 기능을 그대로 유효하게 사용함과 동시에 원하는 위치로 플러그를 자유자재로 회전시켜 사용이 가능하고 컴팩트한 크기의 원터치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지단자가 구비된 플러그 자체에 원터치 기능을 부능을 부여함과 동시에 회전이 자유로운 원터치 플러그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중심부에는 안내관이 형성되고, 내면부의 양측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단자봉의 일단부가 다수의 단자편이 형성되는 단자편 어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 고정되고 외벽부에는 접지단자대가 대칭되게 구비되는 단자몸체와; 상기 안내관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지며 내부에 레일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절개홈이 형성되는 실린더부가 중심부에 돌출 형성되고, 측면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벽부가 형성되는 중간판과; 상기 레일홈에 대응되는 레일돌기가 형성되고 일측부에는 V자형 홈이 일측에 형성되는 안내돌편이 돌설되어 안내로를 형성하고 타측부에는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에 일단부가 맞닿는 코일스프링이 끼워지는 스프링안착홈이 형성되는 돌기편이 중심축상에 형성되고, 측면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접지 단자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지연결구가 축설되는 누름판과; 상기 실린더부의 절개홈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 절곡부는 상기 돌기편의 안내로를 이동하는 철사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플러그 연결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접지연결구는 방사형상의 몸체 단부에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접지단자대의 외측부와 전기적인 접속상태를 유지하는 다수의 날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의 대응하는 한쌍의 날개부의 반대편에 연결부가 절곡형성되어 상기 누름판에 관통 고정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돌기편에 끼워지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 누름판의 내부에 안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단자몸체의 안내관의 맞은편에는 안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외벽부에는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판의 벽부에는 상기 톱니와 치합되는 톱니가 형성되되, 상기 안착홀에는 코일스프링이 체결수단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실린더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름판은 플러그의 단자봉이 돌출되는 전면부에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지단자가 구비된 전기 플러그를 연결하여 사용하더라도 원터치로 간단하게 전기적인 접속 및 차단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전기플러기를 빼놓지 않으므로 발생되는 전력손실을 예방할 수 있고, 전기 플러그를 원하는 위치로 회전하여 위치하도록 함으로서 사용상의 편리함을 주는 효과가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플러그 연결구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플러그 연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플러그 연결구가 눌려진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플러그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플러그 연결구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플러그 연결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도 1의 "A"-"A"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플러그 연결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도 1의 "B"-"B"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돌기편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플러그 연결구의 단자몸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플러그 연결구(100)는 건물의 벽체 등에 구비되는 콘센트에 끼워지는 단자봉(102,102')이 고정되는 단자몸체(110)와, 일반 전기기기(미도시됨)의 플러그(20) 단자봉(202,202')이 삽입되어 끼워지되 물리적인 힘으로 원터치(one touch)하기 위한 누름판(120)과, 상기 누름판(120)의 내부에 끼워지며 상기 단자몸체(110)의 단부와 단부가 맞닿아 회전 가능한 중간판(1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자몸체(110)는 내중심부에 원통형상의 안내관(114)이 형성되고, 내면부(116)의 양측에는 어레이안착홈(116a)이 형성되어 다수의 반원형 단자편(118a)이 대응되는 형상으로 연결된 단자편어레이(118.118')가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117)에 의해 각각 고정된다. 이때, 상기 단자편어레이(118,118')의 맞은편에는 단자봉(102,102')이 스포트(spot)용접되어 일체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안내관(114)의 내부 중심에는 반대편에 형성되는 안착홀(118)과 관통되게 연결되고, 외벽부(119)의 단부에는 일정크기의 톱니(119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자편어레이(118,118')를 구성하는 단자편 쌍들은 탄성력을 가지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자몸체(110)의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끼움홈(110a,110a')이 대칭되게 형성되어 금속재질의 접지단자대(140,140')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턱(140a,140a')에 의해 각각 억지 끼워져 고정되어 절곡부(140b,140b')가 콘센트의 접지단자와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중간판(130)은 플러그(200)의 단자봉(202,202')이 삽입가능하도록 몸체에 삽입공(132,132')이 대칭되게 구비되고 그 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절곡 형성되는 벽부(134)의 단부에 상기 단자몸체(110)의 톱니(119a)와 치합되는 톱니(134a)가 형성되고, 내중심부에는 상기 단자몸체(110)의 안내관(114)의 내부를 회전 및 직선왕복하는 원통형상의 실린더부(136)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부(136)의 단부에는 상기 단자몸체(110)의 안착홀(118)과 중심이 일치하도록 체결홀(136a)이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136)의 내측 벽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레일홈(136c)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중간판(130)의 실린더부(136)가 회전이 자유롭게 원통형상의 안내관(114)에 끼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안내관(114)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안착홀(118)에는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142)에 탄성을 가지는 코일스프링(144)을 끼우고 중간판(130)의 실린더부(136)에 형성되는 체결홀(136a)에 결합시켜 주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홀(136a)에는 금속재질의 너트부재(139)가 매입된 상태이므로, 상기 너트부재(139)에 체결수단(142)을 체결시에 탄성력에 의해 톱니(119a,134a) 상호간에 이동기능하도록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힘으로 조여주어 코일스프링(144)의 탄성력으로 단자몸체(110)가 중간판(130)을 당기게 되어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누름판(120)은 그 몸체에 상기 중간판(130)의 삽입공(132,132')과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공(122,122')을 형성하고, 그 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절곡되어 상기 중간판(130) 벽부(134)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벽부(124)가 형성되고, 내중심부에는 상기 실린더부(136)의 내부를 직선왕복운동하는 돌기편(150)이돌출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자몸체(110)의 외측면 상부에는 외향하는 제1걸림턱(111)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판(120)의 내측 하단에는 제2걸림턱(123)이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120)이 상기 단자몸체(110)에 체결되는 경우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돌기편(150)은 일측부에는 홈을 형성하고 그 중간에 안내돌편(154)이 돌출형성되어 안내로(152)를 이루게 됨에 따라, 일단부가 상기 중간판(130)의 실린더부(136)의 일측 고정홈(136b)에 고정된 상태의 스프링철사(160)의 절곡부(160a)가 끼워진 안내로(152)에는 약간 깊고 낮은면을 이루고 있으며 누름판(120)의 돌기편(150)은 중간판(130)과 결합될 때 실린더부(136) 내벽에 형성된 레일홈(136c)에 돌기편(150) 양측에 형성시킨 레일돌기(156)가 삽입안내되어 골합된다. 이때, 상기 안내돌편(154)의 일측에는 V자형 홈(154a)이 형성되고 그 V자형 홈(154a)의 반대편 안내로(152) 내벽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제어돌편(155)이 형성된다. 즉, 상기 중간판(130)의 실린더부(136) 일측에 절개홈(136d)을 이룬 곳에 스프링철사(160)를 끼우고 일단을 고정하고 절곡부(160a)는 실린더부(136)의 내공간을 향하게 끼워져 코일스프링(162)의 탄력을 받게 된 누름판(120) 중심부에 형성되는 돌기편(150)의 안내로(152)에 끼워져서 중간판(130)과 누름판(120)이 결합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안내로(152)가 형성된 돌기편(150)의 후면부에는 스프링안착홈(158)이 형성되어 코일스프링(162)이 끼워져 실린더부(136)의 내부에 밀착되어 상기 코일스프링(162)이 상기 누름판(120)과 중간판(130)의 실린더부(136)를 지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실린더부(136)의 하부 외주면에는 걸림홈(136e)이 형성되어 고무링(137)이 끼워지게 되어 스프링철사(160)의 측면을 지지해주게 되어 스프링철사(160)의 이탈을 방지해주게 된다.
또한, 상기 누름판(120)의 내부에는 금속재질의 접지연결구(170)가 끼워지게 되는데, 상기 접지연결구(170)는 방사상의 형태로 다수의 날개부(172)가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누름판(120)의 벽부(124) 내측에 형성된 날개 안착홈(124a)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접지연결구(170)를 구성하는 마주하는 어느 한쌍의 날개부(172)의 맞은편에는 누름판(120)의 삽입공(122,122')에 끼워지는 플러그(200)의 단자봉(202,202')이 체결되는 경우 플러그(200)의 접지단자(204)가 전기적인 접속이 가능하도록 연결부(174,174')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누름판(120)상에 관통되어 고정된다.
상기 접지연결구(170)의 중심상에 상기 누름판(120)에 형성된 돌기편(150)이 끼워지는 관통공(170a)이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172)는 중심축상에서 45°간격으로 8개를 배치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누름판(120)의 외측을 가압(加壓)하여 원터치로 누르게 되면 실린더부(136)에 일단이 절곡된 스프링철사(160)의 절곡부(160a)가 안내로(152)를따라 이동하여 안내돌편(154)의 V자형 홈(154a)에 걸려서 머물러 있게 되어 플러그(200)의 단자봉(202,202')이 단자편 어레이(118)의 단자편(118a)의 사이에 끼워져 전기적인 접속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접지연결구(170)의 날개부(172,172')의 내측면이 단자몸체(110)에 고정된 접지단자대(140,140')의 돌출부(140c,140c') 외측면과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누름판(120)을 다시 한번 가압하여 원터치로 누르면 안내돌편(154)의 V자형 홈(154a)에 결려 있던 스프링철사(160)의 절곡부(160a)가 V자형 홈(154a)을 이탈하여 반대측의 안내로(152)를 따라 원위치로 돌아가게 되고, 코일스프링(162)의 탄성에 의해 누름판(120)이 후진하여 중간판(130)의 실린더부(136)로 부터 후진하여 분리되어 플러그(200)의 단자봉(202)이 단자편(118a)을 이탈 분리되어 전기를 차단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누름판(120)의 내부에는 상기 코일스프링(162)의 탄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스프링(163)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누름판(120)을 눌러 누름판(120)이 후진시에 상기 코일스프링(162)과 보강스프링(163)의 탄성에 의해 더욱 원활하게 상기 누름판(120)이 후진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플러그 연결구의 사용 및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플러그 연결구(10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반 벽체의 콘센트에 원터치형 플러그 연결구(100)의 단자봉(102,102')을 밀착시켜, 원터치형 플러그 연결구(100)의 단자봉(102,102') 및 접지단자대(140)가 콘센트와 전기적인 접속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기 플러그(200)의 단자봉(202,202')을 누름판(120)에 형성된 삽입공(122,122')에 끼우게 되면, 누름판(120)의 표면에 돌출되는 연결부(174)의 일측과 플러그(200)의 접지단자(204)가 전기적인 접속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와 같은 상태에서 플러그(200)의 몸체를 원터치로 가압하게 되는 상태에서는 누름판(120)이 전진하며 돌기편(150)이 실린더부(136)의 레일홈(136c)을 따라 이동하며 플러그(200)의 단자봉(202,202')이 단자몸체(110)의 단자편 어레이(118,118)의 단자편(118a,118a')에 밀착되어 끼워지게 되고, 접지연결구(170)의 날개부(172,172')의 내측면에 접지단자대(140,140')의 돌출부(140c,140c') 외측면에 접지되어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돌기편(150)이 레일홈(136c)을 이동하게 됨에 따라 중간판(130)의 실린더부(136)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스프링철사(160)의 절곡부(160a)가 돌기편(150)의 안내로(152)를 따라 이동하며 안내돌편(154)의 V자형 홈(154a)에 끼워지게 된다.
이때, 플러그 또는 누름판(120)에 가해진 물리력을 제거하게 되면, 코일스프링(162)의 탄성력에 의해 중간판(130)의 실린더부(136)로 부터 누름판(120)이 후진하도록 힘이 작용하지만, 스프링철사(160)의 절곡부(160a)가 안내돌편(154)의 V자형 홈(154a)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여 분리되지 못해 플러그(200)의 단자봉(202,202')과 단자편(118a,118a')이 통전상태를 유지해주게 된다.
또한, 상기 플러그(200)의 몸체를 한번 더 원터치로 가압하는 상태에서는 누름판(120)이 전진하며 스프링철사(160)의 절곡부(160a)가 돌기편(150)의 안내로(152)를 따라 이동하며 안내돌편(154)의 V자형 홈(154a)을 이탈하여 제어돌편(155)의 경사면(155a)에 접촉된다.
그와 같은 상태에서 플러그(200)의 몸체에 가해진 몰리력을 제거하게 되면, 코일스프링(162)의 탄성력에 의해 중간판(130)의 실린더부(136)로 부터 누름판(120)이 후진하도록 탄성력이 작용하여 스프링철사(160)의 절곡부(160a)는 V자형 홈(154a)을 완전 이탈하여 제어돌편(155)에 의해 안내되어 안내로(152)를 따라 이동하여 중간판(130)으로 부터 누름판(120)이 일정거리 만큼 후진하여 분리되는 것이다. 이때, 플러그(200)의 단자봉(202,202')이 단자편 어레이(118)의 단자편(118a)에서 이탈되어 단선되고, 누름판(120)에 고정된 접지연결구(170)의 날개부(172,172')가 단자몸체(110)에 고정된 접지단자대(140,140')의 돌출부(140c,140c') 외측면을 슬라이딩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플러그(200)를 일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위치를 고정하고 싶은 경우에는 전기적인 온/오프상태에 상관없이 누름판(120)의 벽부(124)를 손으로 잡고 돌릴 수 있게 된다. 즉, 누름판(120)을 일정방향으로 비틀게 되면 돌기편(150)의 레일돌기(156)가 중간판(130) 실린더부(136)의 레일홈(136c)에 지지되어 중간판(130)이 함께 회전된다. 따라서, 중간판(130) 톱니(134a)의 산과 골이 단자몸체(110) 톱니(119a)의 산과골을 따라 톱니(134a,134a')끼리 상대적으로 이동하며 회전되는 것이다. 이때, 톱니(134a,119a)가 서로 맞물리는 것이 가능한 이유는 단자몸체(110)의 안착홀(118)에 끼워지는 코일스프링(114)의 탄성력에 의해 중간판(130)을 단자몸체(110) 쪽으로 당기고 있기 때문에 톱니(134a,119a)가 서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톱니결합된다.
특히, 플러그(200)가 끼워져 전기적이 접속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단자편(118a)에 끼워지는 플러그(200)의 단자봉(202,202')이 인접한 단자편으로 이동되어 전기적인 연결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접지단자대(140,140')의 외부면에 접촉되는 접지연결구(170)의 날개부(172,172')는 인접한 날개부가 이동하여 접지단자대(140,140')의 외부면에 접촉함으로서 전기적인 접속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누름판(130)의 회전각도는 단자편(118a)의 갯수와 접지연결구(170)의 날개부(172)의 형상을 고려하여 한번에 45°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단자몸체(110)의 외벽부(119)에 형성되는 톱니(119a)의 산과 골을 각각 4개씩 형성하고, 중간판(130)의 벽부(134)에 형성되는 톱니(134a)의 산과 골도 동일하게 각각 4개씩 형성하게 된다. 물론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톱니의 수를 더욱 촘촘하게 하는 구성도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사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플러그 연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플러그 연결구가 눌려진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플러그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플러그 연결구의 사용 상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플러그 연결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도 1의 "A"-"A"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플러그 연결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도 1의 "B"-"B"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돌기편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플러그 연결구의 단자몸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단자몸체 114: 안내관
120: 누름판 130: 중간판
136: 실린더부 142: 체결수단
144: 코일스프링 150: 돌기편
160: 철사스프링 162: 코일스프링
170: 접지연결구 200: 플러그

Claims (4)

  1. 내중심부에는 안내관(114)이 형성되고, 내면부(116)의 양측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단자봉(102,102')의 일단부가 다수의 단자편(118a,118a')이 형성되는 단자편 어레이(118,118')와 전기적으로 연결 고정되고 외벽부(119)에는 접지단자대(140,140')가 대칭되게 구비되는 단자몸체(110)와;
    상기 안내관(114)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지며 내부에 레일홈(136c)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절개홈(136d)이 형성되는 실린더부(136)가 중심부에 돌출 형성되고, 측면에 삽입공(132,132')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벽부(134)가 형성되는 중간판(130)과;
    상기 레일홈(136c)에 대응되는 레일돌기(156)가 형성되고 일측부에는 V자형 홈(145a)이 일측에 형성되는 안내돌편(154)이 돌설되어 안내로(152)를 형성하고 타측부에는 상기 실린더부(136)의 내부에 일단부가 맞닿는 코일스프링(162)이 끼워지는 스프링안착홈(158)이 형성되는 돌기편(150)이 중심축상에 형성되고, 측면에 삽입공(122,122')이 형성되고, 상기 접지단자대(140,14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지연결구(170)가 축설되는 누름판(120)과;
    상기 실린더부(136)의 절개홈(136d)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 절곡부(160a)는 상기 돌기편(150)의 안내로(152)를 이동하는 철사스프링(16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플러그 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연결구(170)는 방사형상의 몸체 단부에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접지단자대(140,140')의 외측부와 전기적인 접속상태를 유지하는 다수의 날개부(172)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의 대응하는 한쌍의 날개부의 반대편에 연결부(174)가 절곡형성되어 상기 누름판(120)에 관통 고정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돌기편(150)에 끼워지도록 관통홀(170a)이 형성되어 누름판(120)의 내부에 안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플러그 연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몸체(110)의 안내관(114)의 맞은편에는 안착홀(118)이 형성되고 상기 외벽부(119)에는 톱니(119a)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판(130)의 벽부(134)에는 상기 톱니(119a)와 치합되는 톱니(134a)가 형성되되, 상기 안착홀(118)에는 코일스프링(144)이 체결수단(142)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실린더부(136)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플러그 연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120)은 플러그(200)의 단자봉(202,202')이 돌출되는 전면부에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플러그 연결구.
KR1020080093090A 2008-09-23 2008-09-23 원터치형 플러그 연결구 KR101080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090A KR101080395B1 (ko) 2008-09-23 2008-09-23 원터치형 플러그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090A KR101080395B1 (ko) 2008-09-23 2008-09-23 원터치형 플러그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4122A KR20100034122A (ko) 2010-04-01
KR101080395B1 true KR101080395B1 (ko) 2011-11-04

Family

ID=42212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3090A KR101080395B1 (ko) 2008-09-23 2008-09-23 원터치형 플러그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39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7646B1 (ko) * 1999-05-06 2001-12-22 심병섭 원터치 전기플러그
KR100657042B1 (ko) * 2004-07-07 2006-12-13 강성화 누전검출 및 차단 기능을 갖는 다방향 콘센트
KR20080083422A (ko) * 2007-03-12 2008-09-18 (주)퓨전디자인 벽체 설치형 콘센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7646B1 (ko) * 1999-05-06 2001-12-22 심병섭 원터치 전기플러그
KR100657042B1 (ko) * 2004-07-07 2006-12-13 강성화 누전검출 및 차단 기능을 갖는 다방향 콘센트
KR20080083422A (ko) * 2007-03-12 2008-09-18 (주)퓨전디자인 벽체 설치형 콘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4122A (ko) 201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47047A (en) Latchable integrally molded electrical connector
CN107394490B (zh) 线缆连接器组件
CN101223674A (zh) 嵌有斜盘簧的电连接器
JP2019220325A (ja) コネクタ装置
US10305219B2 (en) Plug connector with damping element
CN111262077A (zh) 电源连接器
CN114079200B (zh) 具有直接锁固与旋转预顶出功能的连接器
US2548631A (en) Brush holder assembly
US11998412B2 (en) Brush head assembly and electric toothbrush
CN112216998A (zh) 一种方便操作的电连接器
JP6556786B2 (ja) 端子
CN115360555A (zh) 一种具有加强结构的快速连接器
KR100977670B1 (ko) 원터치형 콘센트
KR101080395B1 (ko) 원터치형 플러그 연결구
US4288670A (en) Electrical conductor alignment and retaining assembly
KR101500716B1 (ko) 커넥터
CN110120601B (zh) 一种防松插座
CN107251324A (zh) 接触保护的插座、插头以及插接连接系统
US2708740A (en) Wire connector
CN207883994U (zh) 一种新型连接器
WO2013061560A1 (en) Connector
KR102608898B1 (ko) 선택적 전류 흐름을 구현할 수 있는 콘센트
JP2014170750A (ja) 横断面で8の字形状のコンタクトプレートを備えたコンタクトプレートリングを有する高電流差込みコネクタ用のブッシュ又はプラグ
TWI811114B (zh) 插座構造
CN217934416U (zh) 插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