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0084B1 - 보호롤러를 가지는 철근절곡기 - Google Patents

보호롤러를 가지는 철근절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0084B1
KR101080084B1 KR1020090025503A KR20090025503A KR101080084B1 KR 101080084 B1 KR101080084 B1 KR 101080084B1 KR 1020090025503 A KR1020090025503 A KR 1020090025503A KR 20090025503 A KR20090025503 A KR 20090025503A KR 101080084 B1 KR101080084 B1 KR 101080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bending
rebar
bending machine
reinforc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5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7289A (ko
Inventor
이윤호
박철도
김원효
Original Assignee
씨제이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5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084B1/ko
Publication of KR20100107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7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4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movably-arranged forming men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4Movable or exchangeable mountings for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16Auxiliary equipment, e.g. for heating or cooling of b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현장 등에서 절곡된 철극을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에 작업능률을 유지시키면서도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보호롤러가 장착된 철근절곡기에 관한 것이다. 몸체를 이루고 상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통해 연결된 절곡롤러를 회전시키는 작동플레이트와, 상기 바디의 상부에서 상기 가이드홈의 회전중심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철근이 적재되는 철근파지부와, 상기 바디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철근을 지지하는 철근지지부를 포함하는 상기 철근절곡는, 상기 절곡롤러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상기 절곡롤러의 상측에 일체로 고정되는 보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철근절곡기

Description

보호롤러를 가지는 철근절곡기{Steel wire bending device with a protect roller}
본 발명은 보호롤러를 가지는 철근절곡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현장 등에서 절곡된 철극을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에 작업능률을 유지시키면서도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보호롤러가 장착된 철근절곡기에 관한 것이다.
건설현장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절곡된 철근이 사용된다. 따라서, 공장등에서 철근을 일정한 형태로 절단 및 절곡하여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현장에서 직접 필요에 맞추어 적정의 규격을 절단하거나 절곡하여 필요한 요소에 사용하게 된다.
이 경우, 철근의 절곡에 사용되는 것이 공지의 철근절곡기이다.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은 철근절곡기의 경우는 철근지지구의 철근삽지부에 절곡되는 철근이 끼워져 절곡스위치를 작동하므로서 절곡롤러가 가이드홈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하여 강력한 힘으로 철근을 절곡하게 된다.
또한, 상기 철근절곡기는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절곡이 완료되면, 최초위치로 복귀하여 다음의 작업을 준비하게 된다.
이 때, 일반적으로 작업효율을 높이기 상기 철근삽지부에는 복수의 철근을 삽입하여 세로방향으로 적층한 후, 상기 절곡롤러의 1회의 작동에 의해 동시에 절곡하고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상기와 같은 절곡과정에서 상기 복수의 철근의 단부를 절곡롤러의 이동에 따라 눌러줌으로써, 철근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절곡되도록 도와주고, 절곡시 철근이 상향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절곡롤러와 상기 철근사이의 공간부에 손가락 등이 끼이면, 손가락이 절단되거나 심한 부상을 입게 된다.
절단사고 등 안전사고는 작업자의 부주의나 과실로 인한 사고가 대부분으로 조금만 주의를 기울이면 방지할 수 있는 사고임에도 불구하고 사고의 발생률을 줄지않고 있으며, 이러한 사고의 발생원인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획기적인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한국특허공개 제10-2000-0049949호(안전 철근절곡기)에는 철근지지구와 절곡로울러의 사이측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를 절곡로울러 인접한 위치에 설치하여, 공간부(15)에 작업자의 손이나 기타 이물질이 투입되면 상기 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절곡로울러를 구동하는 모터에 신호를 보내 즉시 작동이 중지될 수 있게 하므로서 작업도중 손이 공간부에 들어가 절단되거나 심한 상처를 입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한 철근절곡기가 공지된다.
그러나, 한국특허공개 제10-2000-0049949호는 이미 널리 보급되어 있는 철근절곡기에 설치하기 곤란하다. 특히, 건설현장의 경우에는 이미 보편화된 작업기기 등을 교체하여 작업방식을 변경하는 것이 건설분야의 숙련자에게는 오히려 부담스럽게 인식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적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35328호(방호덮개가 구비된 철근 절곡기)에는 철근 절곡기의 상부에 작업자가 다치지 않도록 하는 보호 커버가 구비된 철근 절곡기가 공지된다. 즉, 상판 상부에 설치된 방호덮개는 절곡 대상물의 절곡 작업시 절곡 대상물에서 발생되는 탄성력, 반발력 등에 의해 상부로 튕기게 되더라도 방호덮개에 걸려 상부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35328호의 방호덮게는 단순히 철근이 상측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뿐이며, 복수의 철근을 적층하여 작업하는 방식에는 사용될 수 없는 기술이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철근 등의 강재를 절곡작업하는 경우에 작업시 작업자가 다치는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보호롤러를 가지는 철근 절곡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철근 절곡기에 쉽게 장착될 수 있는 보호롤러를 가지는 철근절곡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재 사용되는 철근 절곡기의 작업효율을 유지하면서도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철근절곡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를 이루고 상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통해 연결된 절곡롤러를 회전시키는 작동플레이트와, 상기 바디의 상부에서 상기 가이드홈의 회전중심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철근이 적재되는 철근파지부와, 상기 바디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철근을 지지하는 철근지지부를 포함하는 철근절곡기에 있어서, 상기 절곡롤러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상기 절곡롤러의 상측에 일체로 고정되는 보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롤러의 반경은 상기 보호롤러의 회전중심과 상기 철근파지부의 외면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보호롤러는 고리형상의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감싸면서 동심원을 이루는 완충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절곡롤러에 일체로 체결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고정부재의 외주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브라켓의 중심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롤러를 상기 작동플레이트에 고정하는 고정볼트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브라켓은 중심부보다 주변부가 더 높게 형성되서, 상기 완충부재 또는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절곡롤러와 비접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철근절곡기를 통하여, 건설현장에서 철근의 절곡 작업시 작업자에게 직접 절곡롤러가 접근하고 있음을 촉각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어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철근절곡기는 구조가 간단하고, 기존의 철근절곡기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실제의 건설현장에의 보급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철근절곡기는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면서도, 기존의 철근절곡기가 가지는 작업성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철근 절곡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는 상기 철근 절곡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상기 철근 절곡기는 몸체를 이루고 상부에 가이드홈(7)이 형성되는 바디(12)와, 상기 바디(12)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부(16)와, 상기 구동부(16)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홈(7)을 통해 연결된 절곡롤러를 회전시키는 작동플레이트(14)와, 상기 바디(12)의 상부에서 상기 가이드홈(7)의 회전중심에 설치되는 철근파지부(6)와, 상기 바디(12)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철근을 지지하는 철근지지부(9)를 포함하여 일루어진다.
상기 바디(12)는 목재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에 공간을 가지도록 프레임구조로 되어 있고, 상부면에는 작업대로 사용할 수 있는 플레이트가 형성된다.
상기 바디(12)의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홈(7)은 상기 절곡롤러가 이동하는 경로가 된다.
상기 구동부(16)는 구동모터(미도시)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작 동플레이트(14)에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 또는 기어 등 공지의 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작동플레이트(14)는 디스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홈(7)을 관통하여 상기 절곡롤러와 연결된다. 상기 작동플레이트(14)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상기 바디(15)의 상부에 설치된 센터고정부(13)와 베어링(15)을 통해 회전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절곡롤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절곡롤러(1)와 제2절곡롤러(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절곡롤러(5)는 상기 제1절곡롤러(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한 손상으로 인하여 교체하는 경우 상기 제2절곡롤러(5) 만을 교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절곡롤러(5)는 상기 제1절곡롤러(1)에 중심홀을 끼우는 방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2절곡롤러(5)의 상부는 상기 제1절곡롤러(1)에 설치되기 위한 축경부를 가진다.
상기 제1절곡롤러(1)는 상측에 배치되는 고정블럭(2)을 관통하는 고정볼트(4)에 의해 상기 작동플레이트(14)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볼트(4)와 상기 고정블럭(2) 사이에는 완충을 위한 와셔(3)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바디(12)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홈(7)의 회전중심에는 철근파지부(6)가 형성된다. 상기 철근파지부(6)의 중심에는 철근삽입홈(8)이 형성되어, 복수의 철근(미도시)을 삽입설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철근삽입홈(8)의 폭은 철근 의 직경과 같거나 허용공차를 두도록 하여, 철근이 하나씩 포개져 적층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철근파지부(6)에 삽입된 철근이 절곡작업중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바디(12)의 상부에 철근지지부(9)가 설치된다.
상기 철근지지부(9)는 상기 철근파지부(6)에 삽입된 철근을 밀어붙여 움직이지 않게 하는 구성이면 그 제한은 없으며, 가압방법도 나사를 이용하거나 유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철근지지부(9)에 가압스크류(10)를 사용하였으며, 상기 가압스크류(10)의 단부에는 상기 철근과 넓은 영역에서 접촉하기 위한 철근밀착편(11)이 설치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철근절곡기는 기본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며, 이하 작동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초기상태, 즉 절곡롤러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철근파지부(6)의 철근삽입홀(8)에 복수의 철근을 상기 철근의 단부가 상기 철근파지부를 지나 노출되도록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철근지지부(9)의 가압스크류(10)를 작동시켜 상기 철근밀착편(11)이 상기 철근을 밀어붙여 상기 철근이 움직이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부(16)를 가동시켜 상기 작동플레이트(14)가 회전하면, 상기 작동플레이트(14)와 일체로 연결된 상기 절곡롤러가 회전하면서, 상기 철근의 상기 철근파지부(6)로부터 연장된 부분을 밀어붙이면서 상기 철근파지부(6)의 주면 을 따라 절곡작업을 하게 된다.
상기 작동플레이트(14)가 최종위치에 도달하면 다시 구동부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원하여 도 1과 같은 상태가 되고, 이 때 작업자는 상기 철근파지부(6)에 절곡된 철근을 꺼내고, 다시 절곡할 새로운 철근을 상기 철근파지부(6)에 삽입한 후, 상기의 작업을 반복한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상기와 같은 절곡과정에서 상기 복수의 철근의 단부를 절곡롤러의 이동에 따라 눌러줌으로써, 철근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절곡되도록 도와주고, 절곡시 철근이 상향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작업자의 손이 상기 절곡롤러에 의해 다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절곡기는 보호롤러(40)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절곡기의 구성요소 중 종래의 철근절곡기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절곡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4는 상기 철근 절곡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또, 도 5는 상기 철근 절곡기에 사용된 보호롤러(40)의 평면도이며, 도 6은 상기 철근절곡기의 보호롤러(40)의 단면도이다.
상기 보호롤러(40)의 주된 기능은 작업자가 철근의 절곡작업 중 철근을 손으로 눌러주는 경우에, 절곡롤러보다 선행하여 상기 작업자의 손에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철근으로부터 손을 이격시키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 보호롤러(40)는 상기 절곡롤러에 직접 설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보호롤러(4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형상의 고정부재(42)와 상기 고정부재(42)를 감싸면서 동심원을 이루는 완충부재(43)와, 상기 고정부재(42)와 설치볼트(44)에 의해 체결되는 브라켓(4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재(42)는 상기 브라켓(41)과 체결되어야 하므로, 금속 또는 강화플라스틱 등의 단단한 재료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재(43)는 작업자의 손과 맞닿는 부분이므로, 탄성이 있는 고무, 우레탄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부재(43)와 상기 고정부재(42)의 결합방식의 제한은 없으며, 간단하게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완충부재(43)의 내경을 상기 고정부재(42)의 외경보다 작게 하여 억지끼워맞춤을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억지끼워맞춤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부재(42)의 외주면에 요철부를 형성하여, 상기 완충부재(43)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보호롤러(40)의 반경은 당연히 상기 절곡롤러의 반경보다 커야 하며, 상기 보호롤러(40)의 최대반경은 철근의 삽입 등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보호롤러(40)의 회전중심과 철근파지부(26)의 외주면까지의 거리보다 작아야 한다.
상기 브라켓(41)은 상기 고정부재(42)의 저면에 상기 설치볼트(44)에 의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설치볼트(44) 이외에 접착제 등 공지의 결합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41)의 중심에는 관통홀(45)이 형성되어서, 제1절곡롤러(21)를 작동플레이트(34)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24)가 관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41)은 상기 고정부재(42) 또는 상기 완충부재(43)의 저면이 철근절곡기의 기타부품에 간섭하지 않도록 절곡되어 중심부보다 주변부가 상측으로 더 높게 위치되도록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브라켓(4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와 주변부가 단차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롤러(40)는 종래기술에 따른 철근절곡기에서 고정볼트(24)를 이용하여 상기 브라켓(41)을 상기 제1절곡롤러(21)와 일체로 고정시키는 것 만으로 장착이 완료된다.
상기 보호롤러(40)가 장착된 철근절곡기의 작업과정은 종래기술에 따른 작업과정과 동일하다. 작업자는 상기와 같은 절곡과정에서 상기 복수의 철근의 단부를 절곡롤러의 이동에 따라 눌러주는 작업을 계속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절곡기는 절곡롤러가 이동하는 것과 일체로 이동하는 보호롤러(40)에 의해 작업자의 손에 접촉함으로써, 작업자는 미처 인식하지 못하는 순간에 절곡롤러가 손에 접근하는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철근 절곡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철근 절곡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철근 절곡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철근 절곡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철근 절곡기에 사용된 보호롤러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보호롤러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1: 제1절곡롤러 2,22: 고정블럭
3,23: 와셔 4,24: 고정볼트
5,25: 제2절곡롤러 6,26: 철근파지부
7,27: 가이드홈 8,28: 철근삽입홀
9,29: 철근지지부 10,30: 가압스크류
11,31: 철근밀착편 12,32: 바디
13,33: 센터고정부 14,34: 작동플레이트
15,35: 베어링 16,36: 구동부
40: 보호롤러 41: 브라켓
42: 고정부재 43: 완충부재
44: 설치볼트 45: 관통홀

Claims (6)

  1. 몸체를 이루고 상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통해 연결된 절곡롤러를 회전시키는 작동플레이트와, 상기 바디의 상부에서 상기 가이드홈의 회전중심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철근이 적재되는 철근파지부와, 상기 바디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철근을 지지하는 철근지지부를 포함하는 철근절곡기에 있어서,
    상기 절곡롤러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상기 절곡롤러의 상측에 일체로 고정되는 보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절곡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롤러의 반경은 상기 보호롤러의 회전중심과 상기 철근파지부의 외면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절곡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롤러는 고리형상의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감싸면서 동심원을 이루는 완충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절곡롤러에 일체로 체결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절곡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외주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절곡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중심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롤러를 상기 작동플레이트에 고정하는 고정볼트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절곡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중심부보다 주변부가 더 높게 형성되서, 상기 완충부재 또는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절곡롤러와 비접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절곡기.
KR1020090025503A 2009-03-25 2009-03-25 보호롤러를 가지는 철근절곡기 KR101080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503A KR101080084B1 (ko) 2009-03-25 2009-03-25 보호롤러를 가지는 철근절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503A KR101080084B1 (ko) 2009-03-25 2009-03-25 보호롤러를 가지는 철근절곡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289A KR20100107289A (ko) 2010-10-05
KR101080084B1 true KR101080084B1 (ko) 2011-11-07

Family

ID=43129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503A KR101080084B1 (ko) 2009-03-25 2009-03-25 보호롤러를 가지는 철근절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0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159B1 (ko) 2015-12-24 2016-08-25 이장엽 철근 절곡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99583A (zh) * 2017-12-25 2018-05-08 吴江市立兴精密五金有限公司 一种紧固把手折弯治具
CN110899399A (zh) * 2019-12-02 2020-03-24 河南二建集团钢结构有限公司 中厚型钢板折弯装置及其使用方法和在钢板加工中的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6926A (ja) 1982-10-04 1984-04-16 Honda Motor Co Ltd ロ−タリ−式角パイプペンダの曲げ型
JPS60136818U (ja) 1984-02-23 1985-09-11 三井造船株式会社 鉄筋曲げ加工装置のよじれ防止装置
KR100344128B1 (ko) 2000-05-09 2002-07-20 김광호 안전 철근절곡기
KR200435328Y1 (ko) * 2006-09-29 2007-01-16 한국산업안전공단 방호덮개가 구비된 철근 절곡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6926A (ja) 1982-10-04 1984-04-16 Honda Motor Co Ltd ロ−タリ−式角パイプペンダの曲げ型
JPS60136818U (ja) 1984-02-23 1985-09-11 三井造船株式会社 鉄筋曲げ加工装置のよじれ防止装置
KR100344128B1 (ko) 2000-05-09 2002-07-20 김광호 안전 철근절곡기
KR200435328Y1 (ko) * 2006-09-29 2007-01-16 한국산업안전공단 방호덮개가 구비된 철근 절곡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159B1 (ko) 2015-12-24 2016-08-25 이장엽 철근 절곡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289A (ko) 201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7900B1 (ko) 건설기계용 유압배관 고정장치
KR101080084B1 (ko) 보호롤러를 가지는 철근절곡기
KR101651159B1 (ko) 철근 절곡기
US20110072918A1 (en) Industrial Robot With A Trailing Stop
US9728282B2 (en) Remotely operated manipulator
CN202319722U (zh) 带快速制动装置的万向轮
CN203902573U (zh) 夹轨器与轨道行走机构
CN103934368A (zh) 一种旋转斜楔侧整形模具
CN105327980A (zh) 一种钢板打弯机
CN210702230U (zh) 一种安全性能高的钢筋折弯机
CN204234750U (zh) 数控铣床/加工中心主轴保护装置及其主轴结构
KR20000049949A (ko) 안전 철근절곡기
KR200435328Y1 (ko) 방호덮개가 구비된 철근 절곡기
KR101383539B1 (ko) 운반물의 탈착이 용이한 크레인
KR101960830B1 (ko) 밴딩기용 충격 제어장치
CN202073430U (zh) 一种用于保险箱柜的把手防撬保护装置
CN101806330A (zh) 缓冲器
CN220028492U (zh) 一种钢筋折弯机
CN216575329U (zh) 一种用于弹簧制造加工的限位固定装置
CN204545974U (zh) 一种数控多功能横梁装置
KR101168960B1 (ko) 하역장비의 밀림 방지장치
CN207564207U (zh) 一种机床防护板
KR20130003988U (ko) 서포트 일체형 잭램
KR20130078248A (ko) 선박 블록 지지용 서포트
CN212527630U (zh) 应用于高频次旋转作业的机械工作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