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9911B1 - 차단기의 위치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차단기의 위치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9911B1
KR101079911B1 KR1020100010917A KR20100010917A KR101079911B1 KR 101079911 B1 KR101079911 B1 KR 101079911B1 KR 1020100010917 A KR1020100010917 A KR 1020100010917A KR 20100010917 A KR20100010917 A KR 20100010917A KR 101079911 B1 KR101079911 B1 KR 101079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ker
shaft
truck
plat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1204A (ko
Inventor
마동환
박창용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0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9911B1/ko
Publication of KR20110091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1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9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991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reakers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단기의 위치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위치표시장치는 차단기의 저판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차단기 트럭의 이동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축과, 상기 축에 삽입고정됨과 아울러 그 몸체가 축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차단기 트럭의 인출위치에 설치되어 차단기 트럭에 의해 눌러짐으로써 축을 회전시키는 인출위치 레버와, 상기 인출위치 레버와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축에 삽입고정됨과 아울러 그 몸체가 축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차단기 트럭의 운전위치에 설치되어 차단기 트럭에 의해 눌러짐으로써 축을 회전시키는 운전위치 레버와, 상기 차단기의 저판 하부 일측에 상기 축과 연결된 상태로 설치됨과 아울러 그 전면에 스티커가 부착되어 축의 회전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차단기의 위치를 알려주도록 된 위치표시판 및, 상기 위치표시판의 하부에서 서로 대칭되는 한 쌍의 스프링을 통해 위치표시판과 양 단부가 연결되어 차단기의 제거시 위치표시판이 정위치에 복원되도록 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단기의 위치표시장치{The Indicator for position of the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수,배전반에 설치되는 차단기의 위치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단기의 인입위치 또는 인출위치를 외부에서도 쉽게 알 수 있도록 된 차단기의 위치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배전반은 산업용 전력을 사용자에게 안전하게 공급해주는 전기용 설비로서, 배전반 내에는 차단기를 포함한 각종 전기기가 안전하게 절연처리된 상태로 수납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배전반내에 설치되는 차단기는 동작위치인 인입위치와 비동작위치(시험위치)인 인출위치 사이에서 인,입출 동작을 하게 되므로 배전반에는 차단기가 어떤 위치(인입위치 또는 인출위치)에 있는가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위치표시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단기의 위치표시장치는 차단기 트럭, 차단기 트럭이 이동될 때 회전하는 축, 차단기 트럭의 인출 위치에 배치되어 축을 회전시키는 인출위치 레버, 차단기 트럭의 운전 위치에 배치되어 축을 회전시키는 운전위치 레버 및 차단기의 현재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표시판 및 위치표시판과 연결되어 차단기를 제거할 때 위치표시판이 정위치에 복원되도록 하는 지지대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위치표시판의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차단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위치표시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인출위치 레버 및 운전위치 레버와 이에 접촉되는 상기 차단기 트럭간에 간섭이 심하기 때문에 차단기 트럭의 인입작업 및 인출작업이 원활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고, 상기와 같은 간섭으로 인하여 차단기의 안정적인 동작이 미흡하며, 상기 위치표시장치 또한 그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치표시장치의 레버와 차단기 트럭과의 간섭을 최소화함으로써 차단기의 동작을 원활하게 진행함과 아울러 위치표시장치의 동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차단기의 위치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단기의 위치표시장치는, 차단기의 저판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차단기 트럭의 이동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축과, 상기 축에 삽입고정됨과 아울러 그 몸체가 축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차단기 트럭의 인출위치에 설치되어 차단기 트럭에 의해 눌러짐으로써 축을 회전시키는 인출위치 레버와, 상기 인출위치 레버와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축에 삽입고정됨과 아울러 그 몸체가 축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차단기 트럭의 운전위치에 설치되어 차단기 트럭에 의해 눌러짐으로써 축을 회전시키는 운전위치 레버와, 상기 차단기의 저판 하부 일측에 상기 축과 연결된 상태로 설치됨과 아울러 그 전면에 스티커가 부착되어 축의 회전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차단기의 위치를 알려주도록 된 위치표시판 및, 상기 위치표시판의 하부에서 서로 대칭되는 한 쌍의 스프링을 통해 위치표시판과 양 단부가 연결되어 차단기의 제거시 위치표시판이 정위치에 복원되도록 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인출위치 레버와 상기 운전위치 레버는 각각 동일한 각도로 그 몸체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차단기 트럭과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지지대는 U자형 판재로 이루어져 그 좌우측판의 선단부에 각각 상기 스프링이 연결설치됨과 아울러 각 스프링의 타단부는 상기 위치표시판의 중앙부에 연결설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차단기의 위치표시장치에 따르면, 위치표시장치를 구성하는 인출위치 레버 및 운전위치 레버를 개선하여 차단기 트럭과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위치표시장치의 구조개선을 통해 그 동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차단기가 안정된 동작능력을 갖기 때문에 배전반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의 위치표시장치를 도시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의 위치표시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좌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의 위치표시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의 위치표시장치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의 위치표시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단기의 위치표시장치(100)는 크게 축(110)과, 인출위치 레버(120), 운전위치 레버(130), 위치표시판(140) 및, 지지대(150)로 이루어져 차단기 트럭(200)의 위치에 따라 위치표시판(140)의 회전을 통해 차단기의 인입위치 또는 인출위치를 외부에서도 쉽게 알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 위치표시장치(100)의 축(110)은 차단기의 저판(300)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차단기 트럭(200)의 이동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인출위치 레버(120)는 상기 축(110)에 삽입고정됨과 아울러 그 몸체가 축(110)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차단기 트럭(200)의 인출위치에 설치되어 차단기 트럭(200)에 의해 눌러짐으로써 축(110)을 회전시키며, 상기 운전위치 레버(130)는 상기 인출위치 레버(120)와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축(110)에 삽입고정됨과 아울러 그 몸체가 축(110)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차단기 트럭(200)의 운전위치에 설치되어 차단기 트럭(200)에 의해 눌러짐으로써 축(110)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위치표시장치(100)의 위치표시판(140)은 상기 차단기의 저판(300) 하부 일측에 상기 축(110)과 연결된 상태로 설치됨과 아울러 그 전면에 스티커가 부착되어 축(110)의 회전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차단기의 위치를 알려주도록 된 것이고, 상기 지지대(150)는 상기 위치표시판(140)의 하부에서 서로 대칭되는 한 쌍의 스프링(151)을 통해 위치표시판(140)과 양 단부가 연결되어 차단기의 제거시 위치표시판(140)이 정위치에 복원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위치표시장치(100)는 상기 차단기 트럭(200)의 초기 인입시 상기 인출위치 레버(120)가 안정적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그 몸체에 임의의 각도를 주어 상기 축(110)을 중심으로 외측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절곡시키고, 상기 차단기 트럭(200)이 운전위치에 있을 때 상기 운전위치 레버(130)에도 그 몸체에 임의의 각도를 주어 상기 축(110)을 중심으로 외측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절곡시킨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위치표시장치(100)의 설치 안정도 및 원활한 동작을 위하여 상기 위치표시판(140)이 상기 지지대(150)와 한 쌍의 스프링(151)을 통해 연결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의 위치표시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차단기의 위치표시장치(100)를 구성하는 상기 인출위치 레버(120)와 상기 운전위치 레버(130)는 각각 동일한 각도로 그 몸체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차단기 트럭(200)과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대(150)는 U자형 판재로 이루어져 그 좌우측판의 선단부에 각각 상기 스프링(151)이 연결설치됨과 아울러 각 스프링(151)의 타단부는 상기 위치표시판(140)의 중앙부에 연결설치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위치표시장치(100)의 인출위치 레버(120) 및 운전위치 레버(130)가 외측으로 절곡됨으로써 차단기 트럭(200)과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차단기의 동작을 안정되게 하고, 상기 위치표시장치(100)의 위치표시판(140)과 지지대(150)를 서로 대칭된 두 개의 스프링(151)으로 연결함으로써 위치표시판(140)의 동작을 안정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의 위치표시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차단기의 위치표시장치(100)는 상기 저판(300)의 하단에 구성되어 상기 차단기 트럭(200)의 위치에 따라 임의의 각도를 가지는 상기 인출위치 레버(120) 및 운전위치 레버(130)를 눌러주게 된다. 상기 차단기 트럭(200)이 인출위치에 있을 경우(b) 상기 인출위치 레버(120)를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축(110)과 스티커가 부착된 상기 위치표시판(14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투명창을 통해 상기 차단기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차단기 트럭(200)이 운전위치에 있을 경우(c) 상기 운전위치 레버(130)를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축(110)과 위치표시판(14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 또한 투명창을 통해 차단기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차단기 트럭(200)이 (a) 위치에서 (b) 위치로, 또는 (a) 위치에서 (c) 위치로 이동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 위치표시장치(100)의 인출위치 레버(120) 및 운전위치 레버(130)의 구조를 개선함과 아울러 정위치용 스프링(151)을 추가하여 위치표시장치(100)의 동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위치표시장치 110...축
120...인출위치 레버 130...운전위치 레버
140...위치표시판 150...지지대
151...스프링 200...차단기 트럭
300...저판

Claims (3)

  1. 차단기의 저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차단기 트럭의 이동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축;
    상기 축에 삽입고정되고, 상기 차단기 트럭의 인출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차단기 트럭에 의해 눌러짐으로써 상기 축을 회전시키는 인출위치 레버;
    상기 인출위치 레버와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축에 삽입고정되고, 상기 차단기 트럭의 운전위치에 설치되어 차단기 트럭에 의해 눌러짐으로써 축을 회전시키는 운전위치 레버;
    상기 축과 연결되어, 상기 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차단기의 위치를 알리는 위치표시판;
    상기 위치표시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와 상기 위치표시판을 연결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인출위치 레버와 상기 운전위치 레버는 각각 동일한 각도로 축을 중심으로 반대방향의 외측으로 절곡되는 차단기의 위치표시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U자형 형상이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지지대의 좌우측 선단부에 각각 일단이 연결되고, 각 타단은 상기 위치표시판의 중앙부에 연결되는 차단기의 위치표시장치.
KR1020100010917A 2010-02-05 2010-02-05 차단기의 위치표시장치 KR101079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917A KR101079911B1 (ko) 2010-02-05 2010-02-05 차단기의 위치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917A KR101079911B1 (ko) 2010-02-05 2010-02-05 차단기의 위치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204A KR20110091204A (ko) 2011-08-11
KR101079911B1 true KR101079911B1 (ko) 2011-11-04

Family

ID=44928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917A KR101079911B1 (ko) 2010-02-05 2010-02-05 차단기의 위치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991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544B1 (ko) 2006-10-17 2008-02-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기중 차단기의 크레들 인입출 장치
KR200441993Y1 (ko) 2007-06-14 2008-09-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기중차단기의 크레들 인입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544B1 (ko) 2006-10-17 2008-02-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기중 차단기의 크레들 인입출 장치
KR200441993Y1 (ko) 2007-06-14 2008-09-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기중차단기의 크레들 인입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204A (ko) 201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87473B1 (en) Safety shutter of vacuum circuit breaker
US9825439B2 (en) Withdrawable interlock device of vacuum circuit breaker
JP5059891B2 (ja) 真空遮断器の引込/引出位置表示装置
US9070521B2 (en) Circuit breaker
EP2204832B1 (en) Position indicating device for a circuit breaker
US8913370B2 (en) Switchgear spout design
EP3012851A1 (en) Supporting structure of closing resistor for high voltage circuit breaker
KR101079911B1 (ko) 차단기의 위치표시장치
JP5322750B2 (ja) 電気装置を引き出し基板構造体内に装填する方法
CN104409243A (zh) 一种电器导轨安装结构
KR20120063024A (ko) 가스 절연개폐장치용 스위치
CN207896017U (zh) 一种防尘防潮式单闸刀开关
JP2009171774A (ja) スイッチギヤの遮蔽装置
US8917494B2 (en) Dual action shutter for drawout circuit breaker
BR102012006128A2 (pt) Disjuntor a vácuo
US9333617B2 (en) Decontamination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electrical apparatus
KR200480162Y1 (ko) 차단기의 인출 장치
CN211649791U (zh) 压力容器安装架
CN103493165A (zh) 用于开关设备的电压转换器
JP2009011070A (ja) インターロック装置
JP2011097768A (ja) スイッチギヤ
KR101594868B1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CN210722929U (zh) 一种断路器触头驱动装置
CN104392855B (zh) 开关
KR101624560B1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