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8785B1 - 2축 스테이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모듈 - Google Patents

2축 스테이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8785B1
KR101078785B1 KR1020100011597A KR20100011597A KR101078785B1 KR 101078785 B1 KR101078785 B1 KR 101078785B1 KR 1020100011597 A KR1020100011597 A KR 1020100011597A KR 20100011597 A KR20100011597 A KR 20100011597A KR 101078785 B1 KR101078785 B1 KR 101078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axial direction
coupled
housing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1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2123A (ko
Inventor
임수철
박재혁
강병우
이중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1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8785B1/ko
Priority to US12/853,044 priority patent/US8446682B2/en
Publication of KR20110092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2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8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8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축 스테이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모듈이 개시된다. 하우징, 제1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일단부에 대하여 타단부가 팅틸(tilting)이 가능하도록 하우징에 결합된 제1샤프트, 제1샤프트에 제1축 방향으로 슬라이딩(sliding) 가능하게 장착된 이동가이드, 제2축 방향으로 배치되고 하우징에 대한 틸팅이 가능하도록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으며, 이동가이드에 결합된 결합부 및 제1축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우징에 지지된 지지단부를 구비한 제2샤프트, 렌즈와 제2샤프트에 제2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렌즈모듈, 렌즈모듈을 제1축 방향 및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카메라모듈은, 상흔들림 보정장치에 장착된 렌즈모듈이 이미지센서에 대하여 틸팅이 조절될 수 있어서 카메라모듈의 조립 시에 광축과 이미지센서의 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2축 스테이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모듈{Two-axis stage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2축 스테이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모듈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PDA, 휴대용 PC 등과 같은 휴대 통신단말기는 최근 문자 또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뿐만 아니라 사진촬영과 화상 데이터 전송까지 수행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사진을 촬영하고 화상 데이터 전송, 화상 채팅을 할 수 있기 위해서 최근에 휴대 통신단말기에 카메라모듈이 기본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또한, 카메라모듈의 고기능화 추세에 따라, 카메라모듈에는 렌즈의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는 오토포커스 기능과 더불어 손 떨림에 의한 상흔들림을 보정하는 기능이 탑재되고 있다.
그런데, 상흔들림 보정장치(OIS; optical image stabilizer)를 구비한 카메라모듈에서는, 렌즈와 이미지센서는 복잡한 상대운동을 하게 되므로 광축의 틀어짐으로 인한 성능저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카메라모듈의 조립 시에 광축과 이미지센서를 정확히 정렬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초기 조립 시에 광축과 이미지센서의 정렬을 용이하도록 상흔들림 보정장치에 사용되는 2축 스테이지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 제1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일단부에 대하여 타단부가 팅틸(tilting)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된 제1샤프트, 상기 제1샤프트에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슬라이딩(sliding) 가능하게 장착된 이동가이드, 제2축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에 대한 틸팅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가이드에 결합된 결합부 및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베이스에 지지된 지지단부를 구비한 제2샤프트, 상기 제2샤프트에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가동체를 포함하는 2축 스테이지가 제공된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샤프트의 일단부와 결합되는 기준지지부, 상기 제1샤프트의 타단부가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가변지지부, 상기 제2샤프트의 지지단부가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슬라이딩되는 제2가변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변지지부는, 상기 기준지지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경사면 또는 상기 기준지지부 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다단의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가변지지부는, 상기 결합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며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된 경사면 또는 상기 결합부 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며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된 다단의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샤프트와 상기 제2샤프트는 상호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가이드는, 상기 제1샤프트에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1암, 상기 제2샤프트와 결합되도록,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2암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하우징, 제1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일단부에 대하여 타단부가 팅틸(tilting)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제1샤프트, 상기 제1샤프트에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슬라이딩(sliding) 가능하게 장착된 이동가이드, 제2축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한 틸팅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가이드에 결합된 결합부 및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지지된 지지단부를 구비한 제2샤프트, 렌즈와, 상기 제2샤프트에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렌즈모듈, 상기 렌즈모듈을 상기 제1축 방향 및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카메라모듈이 제공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샤프트의 일단부와 결합되는 기준지지부, 상기 제1샤프트의 타단부가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가변지지부, 상기 제2샤프트의 지지단부가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슬라이딩되는 제2가변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변지지부는, 상기 기준지지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경사면 또는 상기 기준지지부 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다단의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가변지지부는, 상기 결합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며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된 경사면 또는 상기 결합부 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며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된 다단의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샤프트와 상기 제2샤프트는 상호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가이드는, 상기 제1샤프트에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1암, 상기 제2샤프트와 결합되도록,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2암을 포함하는 L형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모듈은 상기 렌즈를 수용하고 있는 렌즈배럴과, 상기 렌즈배럴과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샤프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가동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가동하우징과 결합된 자력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자력부재의 자기장과 상호작용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자력부재의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자력부재의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를 통하여 입사된 빛을 결상하는 이미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떨림을 감지하는 손떨림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떨림 검출부의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전자석부를 제어하는 상보정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흔들림 보정장치에 장착된 렌즈모듈이 이미지센서에 대하여 틸팅이 조절될 수 있어서, 카메라모듈의 조립 시에 광축과 이미지센서의 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을 설명하는 조립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에서 틸팅조절을 설명하는 도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을 설명하는 조립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은 틸팅조절이 가능한 2축 스테이지를 구비하여 손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하우징(10), 제1샤프트(20), 이동가이드(30), 제2샤프트(40), 렌즈모듈(50) 및 구동부(6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카메라모듈에 필요한 부품이 수용되고 지지되는 부분으로, 본 실시예의 하우징(10)은 2축 스테이지의 베이스 역할도 겸하고 있다.
이를 위해, 후술할 제1샤프트(20)를 지지하는 기준지지부(12)와 제1가변지지부(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할 제2샤프트(40)를 지지하는 제2가변지지부(16)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제1샤프트(20)와 제2샤프트(40)의 설명에서 후술한다.
제1샤프트(20)는 후술할 이동가이드(30)가 제1축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지지하는 부분으로, 제1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하우징(10)에 결합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1샤프트(20)는 후술할 렌즈모듈(50)을 슬라이딩 시에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
특히, 본 실시예의 제1샤프트(20)는 일단부(22)에 대한 타단부(24)의 틸팅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우징(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샤프트(20)에 지지되는 이동가이드(30) 및 렌즈배럴(52)의 배치각도도 틸팅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에서 제1샤프트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이동가이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하우징(10)에는 제1샤프트(20)의 일단부(22)와 결합되는 기준지지부(12) 및 제1샤프트(20)의 타단부(24)가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가변지지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샤프트(20)는 일단부(22)에 대한 타단부(24)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하우징(10)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1샤프트(20)는 제1축에 대하여 틸팅의 조절 즉, 제1축과의 경사각 조절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1샤프트(20)의 타단부(24)의 용이한 높이조절을 위하여,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가변지지부(14)는 기준지지부(12)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가변지지부(14)의 경사면에서 제1샤프트(20)의 타단부(24)가 지지되는 위치를 조절하여 제1샤프트(20)의 타단부(24) 높이(△h)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가변지지부(15)에 기준지지부(12) 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다단의 단차부가 형성되어, 제1샤프트(20)의 타단부(24)가 배치되는 단차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동가이드(30)는 후술할 제2샤프트(40)와 결합되어 후술할 렌즈모듈(50)을 제1축 방향으로 안내하는 부분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샤프트(20)에 제1축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2샤프트(40)에 결합되어 하우징(10)에 대해서도 제1축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에 따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동가이드(30)는 제2샤프트(40)와 일체로 제1축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본 실시예의 이동가이드(30)는 상호 직교하는 형성된 제1샤프트(20)와 제2샤프트(40)에 상응하여 L형 가이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샤프트(20)에서 슬라이딩되도록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1암(32)과, 제2샤프트(40)와 결합되도록 제2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2암(3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샤프트(20)와 제2샤프트(40)의 직교는 정확한 직각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오차범위를 포함하는 각도를 의미한다.
제2샤프트(40)는 후술한 렌즈배럴(52)이 제2축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지지하는 부분으로, 제2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결합부(42)가 이동가이드(30)에 결합되고 지지단부(44)는 하우징(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제2샤프트(40)는 베이스인 하우징(10)에 대한 틸팅이 조절되도록 하우징(10)에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샤프트(40)에 지지되는 렌즈배럴(52)과 제2샤프트(40)와 일체로 결합된 이동가이드(30)의 배치각도도 틸팅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에서 제2샤프트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렌즈모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하우징(10)에는 제2샤프트(40)의 지지단부(44)는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지지되며, 제1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제2가변지지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2샤프트(40)는 결합부(42)에 대한 지지단부(44)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이동가이드(30)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2샤프트(40)는 제2축에 대하여 틸팅의 조절 즉, 제2축과의 경사각 조절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2샤프트(40)의 지지단부(44)의 용이한 높이조절을 위하여, 제2가변지지부(16)는 결합부(42)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제2가변지지부(16)의 경사면에서 제2샤프트(40)의 지지단부(44)가 지지되는 위치를 조절하여 제2샤프트(40)의 지지단부(44)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제2가변지지부(16)의 경사면은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서, 이동가이드(30)가 제1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제2가변지지부(16)의 경사면에서 제1축 방향으로 제2샤프트(40)가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한, 제2가변지지부(17)에 결합부(42) 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다단의 단차부가 형성되어, 제2샤프트(40)의 지지단부(44)가 배치되는 단차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가변지지부(17)의 단차부는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서, 이동가이드(30)가 제1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제2가변지지부(17)의 단차부에서 제1축 방향으로 제2샤프트(40)가 슬라이딩될 수 있다.
결국,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제1샤프트(20) 및 제2샤프트(40)는 각각 제1축 및 제2축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틸팅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샤프트(20)를 제1축에 대하여 틸팅하여 이동가이드(30) 및 렌즈모듈(50)을 제2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샤프트(40)를 제2축에 대하여 틸팅하여 이동가이드(30) 및 렌즈모듈(50)을 제1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즉, 렌즈모듈(50)의 광축을 원하는 방향으로 기울여 보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흔들림 보정을 위한 2축 스테이지에 장착된 렌즈모듈(50)이 후술할 이미지센서(80)에 대하여 틸팅이 조절될 수 있어서, 카메라모듈의 조립 시에 광축과 이미지센서(80)의 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렌즈모듈(50)은 렌즈(51)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본 실시예의 렌즈모듈(50)은 2축 스테이지의 가동체의 역할도 겸하고 있다. 이를 위해, 렌즈모듈(50)은 제2샤프트(40)에 제2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렌즈모듈(50)은 렌즈모듈(50)은 렌즈(51)를 수용하고 있는 렌즈배럴(52)과, 렌즈배럴(52)과 결합되어 있으며 제2샤프트(4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가동하우징(53)을 포함하고 있다. 이 때, 가동하우징(53)에는 렌즈배럴(52)의 광축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오토포커스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동하우징(53)은 제2샤프트(40)에서 슬라이딩될 때 지지하는 슬라이딩 가이드(54)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가동하우징(53)에는 제2샤프트(40)의 결합부(42) 양측에서 제2샤프트(40)에 지지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54)가 포함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동하우징(53)는 제1샤프트(20)에 지지되는 슬라이딩 지지부(55)를 구비할 수도 있다. 슬라이딩 지지부(55)는 가동하우징(53)이 이동가이드(30)와 제1축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때뿐만 아니라 제2축 방향으로 가동하우징(53)만 슬라이딩될 때에도 제2샤프트(40)에 가동하우징(53)이 슬라이딩되면서 지지되게 함으로써, 가동하우징(53)이 일정한 평면 상에 위치되도록 한다. 즉,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54)와 함께 가동하우징(53)이 3점 지지되는 형태를 유지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의 렌즈모듈(50) 하부에는 렌즈(51)를 통하여 입사된 빛을 결상하는 이미지센서(80)가 배치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광축이 정렬된 렌즈모듈(50)을 통하여 입사된 빛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한다.
구동부(60)는 손떨림에 상응하여 렌즈모듈(50)을 제1축 방향 및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구동부(60)는 가동하우징(53)과 결합된 자력부재(62)와, 하우징(10)에 결합되어 있으며 자력부재(62)의 자기장과 상호작용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부(64)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손떨림을 보정하여 렌즈모듈(50)이 일정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렌즈모듈(50)을 이동시킨다.
또한, 본 실시예의 카메라모듈은 사용자의 손떨림을 감지하는 손떨림 검출부(90)가 일체화되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손떨림 검출부(90)의 신호에 상응하여, 손떨림 보정에 필요한 이동거리 산출하고 전자석부(64)를 제어하는 상보정 제어부(95)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카메라모듈은 렌즈모듈(50)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구동부(60) 제어의 정밀성을 높이기 위하여 홀센서(7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홀센서(70)는 자력부재(62)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자력부재(62)의 위치변화를 감지함으로써, 렌즈모듈(50)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구동부(60)는 자기력을 이용하여 렌즈모듈(50)을 이동시키는 형태를 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카메라모듈은 공지의 다양한 구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10: 하우징 12: 기준지지부
14, 15: 제1가변지지부 16, 17: 제2가변지지부
20: 제1샤프트 30: 이동가이드
32: 제1암 34: 제2암
40: 제2샤프트 50: 렌즈모듈
51: 렌즈 52: 렌즈배럴
53: 가동하우징 54: 슬라이딩 가이드
55: 슬라이딩 지지부 60: 구동부
62: 자력부재 64: 전자석부
70: 홀센서 80: 이미지센서

Claims (17)

  1. 베이스;
    제1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일단부에 대하여 타단부가 팅틸(tilting)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된 제1샤프트;
    상기 제1샤프트에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슬라이딩(sliding) 가능하게 장착된 이동가이드;
    제2축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에 대한 틸팅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가이드에 결합된 결합부 및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베이스에 지지된 지지단부를 구비한 제2샤프트; 및
    상기 제2샤프트에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가동체를 포함하는 2축 스테이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샤프트의 일단부와 결합되는 기준지지부;
    상기 제1샤프트의 타단부가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가변지지부; 및
    상기 제2샤프트의 지지단부가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슬라이딩되는 제2가변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스테이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변지지부는,
    상기 기준지지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경사면 또는 상기 기준지지부 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다단의 단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스테이지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변지지부는,
    상기 결합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며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된 경사면 또는 상기 결합부 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며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된 다단의 단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스테이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샤프트와 상기 제2샤프트는 상호 직교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스테이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이드는,
    상기 제1샤프트에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1암; 및
    상기 제2샤프트와 결합되도록,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2암을 포함하는 L형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스테이지 장치.
  7. 하우징;
    제1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일단부에 대하여 타단부가 팅틸(tilting)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제1샤프트;
    상기 제1샤프트에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슬라이딩(sliding) 가능하게 장착된 이동가이드;
    제2축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한 틸팅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가이드에 결합된 결합부 및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지지된 지지단부를 구비한 제2샤프트;
    렌즈와, 상기 제2샤프트에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렌즈모듈; 및
    상기 렌즈모듈을 상기 제1축 방향 및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카메라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샤프트의 일단부와 결합되는 기준지지부;
    상기 제1샤프트의 타단부가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가변지지부; 및
    상기 제2샤프트의 지지단부가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슬라이딩되는 제2가변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변지지부는,
    상기 기준지지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경사면 또는 상기 기준지지부 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다단의 단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변지지부는,
    상기 결합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며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된 경사면 또는 상기 결합부 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며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된 다단의 단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샤프트와 상기 제2샤프트는 상호 직교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이드는,
    상기 제1샤프트에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1암; 및
    상기 제2샤프트와 결합되도록,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2암을 포함하는 L형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모듈은 상기 렌즈를 수용하고 있는 렌즈배럴과, 상기 렌즈배럴과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샤프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가동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가동하우징과 결합된 자력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자력부재의 자기장과 상호작용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자력부재의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자력부재의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홀센서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모듈.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를 통하여 입사된 빛을 결상하는 이미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모듈.
  16. 제13항에 있어서,
    손떨림을 감지하는 손떨림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모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손떨림 검출부의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전자석부를 제어하는 상보정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모듈.
KR1020100011597A 2010-02-08 2010-02-08 2축 스테이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모듈 KR101078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597A KR101078785B1 (ko) 2010-02-08 2010-02-08 2축 스테이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모듈
US12/853,044 US8446682B2 (en) 2010-02-08 2010-08-09 Two-axis stage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597A KR101078785B1 (ko) 2010-02-08 2010-02-08 2축 스테이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123A KR20110092123A (ko) 2011-08-17
KR101078785B1 true KR101078785B1 (ko) 2011-11-02

Family

ID=44353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1597A KR101078785B1 (ko) 2010-02-08 2010-02-08 2축 스테이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46682B2 (ko)
KR (1) KR1010787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77878B (zh) 2012-06-13 2015-03-21 Ability Entpr Co Ltd 補正機構及應用其之鏡頭模組
CN103513386B (zh) * 2012-06-15 2016-05-18 佳能企业股份有限公司 补正机构及应用该机构的镜头模块
TWI569058B (zh) * 2013-06-17 2017-02-01 台灣東電化股份有限公司 具3d彈性支持結構的鏡頭驅動裝置
CN105527774A (zh) * 2014-09-29 2016-04-27 力致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防震位移导动功能的镜头模块
CN104537677B (zh) * 2015-01-13 2017-06-09 苏州创捷传媒展览股份有限公司 全角度虚拟拍照装置
KR102337154B1 (ko) 2017-12-07 2021-12-09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2축 슬라이딩장치
USD897405S1 (en) * 2018-01-12 2020-09-29 Tdk Taiwan Corp. Driving unit for a camera lens
KR102006854B1 (ko) * 2018-02-14 2019-08-02 마이크로엑츄에이터(주) 렌즈 조립체
KR101993372B1 (ko) * 2019-03-22 2019-06-26 주식회사 삼승엔지니어링 검사용 다축 스테이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77510B2 (ja) * 2007-08-09 2013-08-2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撮像ユニット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123A (ko) 2011-08-17
US20110194199A1 (en) 2011-08-11
US8446682B2 (en) 2013-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8785B1 (ko) 2축 스테이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모듈
KR102400386B1 (ko) 줌렌즈용 구동장치
US8319839B2 (en) Optical image system
KR102163416B1 (ko) 조리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8218016B2 (en) Image stabilization mechanism for camera module
EP2219365B1 (en) Camera lens assembly
JP5517431B2 (ja) 光学装置および撮像装置
TWI542936B (zh) 抗傾斜電磁式馬達及鏡頭裝置
US2007023657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mage stabilization
KR20180116965A (ko) 카메라 모듈 엑추에이터
KR20160146680A (ko) 액추에이터,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부착 휴대 단말
KR20100087335A (ko) 상흔들림 보정 장치
KR20170071097A (ko) 광학용 액추에이터
KR20210073324A (ko) 카메라 모듈
JP2013003301A (ja) 撮影装置、光学調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327730B1 (ko) 카메라 모듈
KR101694881B1 (ko) 카메라 렌즈 모듈
KR20140071177A (ko) 카메라 모듈용 렌즈 조립장치
KR102386054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JP2014228623A (ja) ブレ補正装置、レンズ鏡筒および撮影装置
JP2015060104A (ja) 撮像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114208149A (zh) 驱动设备、相机模块和便携式终端设备
KR20090131452A (ko) 초소형 카메라 모듈용 손떨림 보정장치
KR101474753B1 (ko) 카메라 모듈 광축 조정용 피커부재
KR102266173B1 (ko) 카메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