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8784B1 - 휴대폰 착용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 착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8784B1
KR101078784B1 KR1020090061847A KR20090061847A KR101078784B1 KR 101078784 B1 KR101078784 B1 KR 101078784B1 KR 1020090061847 A KR1020090061847 A KR 1020090061847A KR 20090061847 A KR20090061847 A KR 20090061847A KR 101078784 B1 KR101078784 B1 KR 101078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bile phone
fixing frame
wrist
mount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1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4175A (ko
Inventor
송민기
Original Assignee
송민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민기 filed Critical 송민기
Priority to KR1020090061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8784B1/ko
Publication of KR20110004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8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8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1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in a hand or on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내에 휴대폰을 끼워 넣고, 고정틀을 이용하여 고정한 다음, 손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된 휴대폰 착용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폰의 외곽 테두리에 일치하는 장착 공간을 중앙에 관통 형성한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틀을 회동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프레임에 대해서 고정틀을 개방시켜서 프레임에 휴대폰을 탈착할 수 있도록 된 열림 상태, 또는 프레임을 가로지르도록 고정틀을 밀착시켜서 프레임내에 휴대폰을 고정 유지할 수 있도록 된 닫침 상태로 상기 고정틀을 선택적으로 위치이동시키는 위치조정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휴대폰의 하부면과 착용자의 손목사이에서 위치되어 휴대폰과 손목사이를 이격시키고, 휴대폰 접촉면의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패드 및 착용자의 손목을 에워싸서 프레임을 착용자의 손목에 착용시키는 밴드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탈착구조를 통하여 쉽게 제작할 수 있고, 휴대폰의 손목 착용을 통하여 간편한 보관 및 사용이 편리하며, 프레임에 다양한 인조 보석 장식물과 휴대폰 부속 기기들을 장착하여 외관이 미려하고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휴대폰, 휴대폰 착용장치, 위치조정수단, 손목 착용, 고정틀

Description

휴대폰 착용장치{APPARATUS FOR WEARING A CELLPHONE ON THE WRIST}
본 발명은 휴대폰과 같은 소형기기들을 손목에 쉽게 착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프레임내에 휴대폰을 끼워 넣고, 고정틀을 이용하여 고정한 다음, 손목에 착용하여 보관할 수 있음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안전하게 휴대폰을 휴대할 수 있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개선된 휴대폰 착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 생활에 있어서 휴대폰은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으로 되어 있다. 요즘은 휴대폰에 시간 표시 기능을 내장하여 손목시계 기능을 대신하도록 된 제품이 일반적이어서 별도의 손목시계가 불필요한 경우가 있을 정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폰은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주머니, 가방 또는 핸드백 등에 넣어 다니다가 전화가 오거나 휴대폰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손에 쥐고 통화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주머니, 가방 또는 핸드백 등에 휴대하여 다니다가 종종 휴대폰 수신음을 듣지 못하게 되어 휴대폰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또한 이와 같이 휴대폰을 주머니, 가방 또는 핸드백 속에 넣어 다니게 되면 휴대폰 수신벨 소리에 따라서 휴대폰을 급히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이와 같이 급하게 휴대폰을 찾다 보면 휴대폰을 떨어트리거나 하여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야외에서 작업을 하거나 레저, 스포츠 등을 즐기고 있는 경우에는, 전화가 오면 야외작업이나 레저 스포츠 등을 잠시 중단하고 휴대폰을 꺼내서 전화통화를 하여야 하므로 사용상 번거롭고, 사무중인 경우에는 양손으로 컴퓨터를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전화 통화하기 어려운 불편함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종종 사무실이나 가정에 놓아두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휴대폰을 분실하기도 쉽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손목에 휴대폰을 착용하기 위한 휴대폰 장착장치가, 특허 제 10-0795156호의 "휴대폰 착용기기"로 제안되어 사용상 편리함을 얻을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휴대폰 착용기기는 휴대폰을 고정하기 위한 휴대폰 장착부를 상부측에 형성하고, 그 하부측으로는 복수의 밴드부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휴대폰 착용기기는 가압에 의해 휴대폰에 진공압착되는 압착고무판과, 상부면에 상기 압착고무판이 장착되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압착고무판의 수동탈착부를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관통구멍과, 상기 본체부와 끼워 넣어지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면 양측에 형성된 제 1 끼워맞춤홈를 가지는 휴대폰 부착판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폰 부착판에 연결되는 와이어가 수납되는 안전고리부를 포함하며, 상부면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끼워맞춤홈에 끼워맞추어지도록 볼록하게 형성된 제 1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휴대폰 부착판이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팔목을 감싸는 연결고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휴대폰 착용기기는 그 제작 구조가 복잡하고, 실용적이지 못하여 실제로 활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가압에 의해 휴대폰에 진공압착되는 압착고무판을 사용하는 구조는 휴대폰의 안전한 고정을 불가능하게 하여 종종 휴대폰을 탈락시켜 파손시킬 위험이 큰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휴대폰을 안전하게 프레임 내측에 장착하고, 이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음으로써 쉽게 제작이 가능하고, 사용상의 편리함을 크게 개선한 휴대폰 착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휴대폰이 장착되는 프레임에 다양한 장식물을 부착하여 휴대폰을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음은 물론, 외관도 미려하게 꾸밀 수 있도록 개선된 휴대폰 착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폰을 손목에 착용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휴대폰의 외곽 테두리에 일치하는 장착 공간을 중앙에 관통 형성하고, 손목에 접촉하는 하부면이 속목 윤곽을 따라 횡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일단이 힌지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의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밀착되거나 프레임 중앙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되는 고정틀; 상기 프레임에 대해서 고정틀을 개방시켜서 프레임에 휴대폰을 탈착할 수 있도록 된 열림 상태, 또는 프레임을 가로지르도록 고정틀을 밀착시켜서 프레임내에 휴대폰을 고정 유지할 수 있도록 된 닫침 상태로 상기 고정틀을 선택적으로 위치이동시킬 수 있는 위치조정수단; 상기 프레임의 중앙 장착 공간 내측을 가로질러서 연장되어 휴대폰의 하부면과 착용자의 손목사이에서 위치되어 휴대폰과 손목사이를 이격시키고, 휴대폰 접촉면의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패드; 및 상기 프레임의 하부측에 양단이 고정되고, 착용자의 손목을 에워싸서 프레임을 착용자의 손목에 착용시키는 밴드;를 포함하는 휴대폰 착용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휴대폰을 안전하게 프레임 내측에 장착하고, 이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조정수단은 프레임의 양측 모서리 상부로 돌출된 블록의 양측면에 각각 힌지 구멍을 중심으로 동심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반원형 요홈들과, 상기 블록의 힌지 구멍으로 삽입되는 고정틀의 힌지 축에 인접하여 형성된 오목구멍의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을 통하여 상기 반원형 요홈으로 출몰하는 볼을 구비한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반원형 요홈은 고정틀이 힌지 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하는 경우, 프레임의 상부측에서 고정틀을 상부로 회동시켜 프레임에 휴대폰을 탈착할 수 있도록 된 열림 상태의 상향 위치와, 상기 고정틀이 프레임을 가로지르도록 하향 회동시켜 프레임의 장착공간에 휴대폰을 밀착시켜 고정 유지시킬 수 있도록 된 닫침 상태의 하향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틀을 상하로 회동시켜 열림 상태와 닫침 상태로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고정틀의 상하 회동을 통하여 휴대폰을 프레임에 쉽게 탈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향 위치는 힌지 구멍과 힌지 축을 중심으로 프레임에 대해 고정틀을 상부측으로 세운 수직 위치이고, 상기 하향 위치는 프레임에 대해 고정틀을 하부측으로 내려 프레임에 나란하게 위치시킨 수평 위치이 며, 상기 수직 위치와 수평 위치의 사이에는 프레임에 대해 고정틀을 대략 45도로 세운 중간 위치가 형성되어 고정틀이 2단에 걸쳐서 열림 상태와 닫침 상태 사이에서 회동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고정틀을 상하로 2단계에 걸쳐서 회동시킴으로써 휴대폰을 프레임에 쉽게 탈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조정수단은 프레임의 양측 상부에 형성된 회동면상에 각각 형성된 힌지 구멍을 중심으로 동심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반원형 요홈들과, 상기 힌지 구멍으로 삽입되는 고정틀의 힌지 축에 인접하여 형성된 오목구멍의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을 통하여 상기 반원형 요홈으로 출몰하는 볼을 구비한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반원형 요홈은 고정틀이 힌지 축을 중심으로 수평으로 회동하는 경우, 프레임의 장착 공간으로부터 고정틀이 벗어나서 프레임에 휴대폰을 탈착할 수 있도록 된 열림 상태의 측방 위치와, 상기 고정틀이 프레임의 장착 공간을 가로지르도록 수평 회동시켜 프레임내에 휴대폰을 밀착시켜 고정 유지시킬 수 있도록 된 닫침 상태의 중앙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틀을 수평으로 회동시켜 열림 상태와 닫침 상태로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고정틀의 좌우 회동을 통하여 휴대폰을 프레임에 쉽게 탈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방 위치는 힌지 구멍과 힌지 축을 중심으로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른 회동면의 양측에서 동일 거리에 형성되고, 상기 중앙 위치는 상기 힌지 구멍과 힌지 축으로부터 프레임의 장착 공간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측방 위치와 동일 거리로 형성되어 고정틀이 상기 중앙 위치의 닫침 상태로부터 좌우 측방 위치의 열림 상태로 2방향으로 회동가능한 것이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고정틀을 좌우 양측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휴대폰을 프레임에 쉽게 탈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드는 그 양단이 프레임의 하부 모서리에서 상기 장착 공간을 가로질러서 서로 마주하도록 쌍을 이루어 형성된 복수의 걸고리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의 장착 공간 하부를 가로질러서 연장되는 탄성재료의 복수의 우레탄 패드로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착용자는 휴대폰이 직접 손목에 닿지 않게 되어 착용감이 우수하며, 불쾌감을 느끼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밴드는 그 양단에 각각 핀을 내장하고, 상기 핀들은 프레임의 중앙 양측 모서리에 형성된 오목 홈의 양측 핀 구멍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 것이다. 이를 통하여 착용자는 쉽게 밴드를 손목에 감고 착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과 고정틀은 그 외면에 다수의 인조 보석 장식물을 부착하여 미려한 외관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착용자는 개인별 기호에 맞춰서 다양한 장식물을 선택하고, 기호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착용장치에 의하면 프레임에 대해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고정틀의 위치이동을 통해서 휴대폰을 프레임의 내부에 간단히 탈착시켜 밴드를 통하여 손목에 착용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휴대폰을 송수신할 수 있어 서 휴대폰을 안전하게 보관 및 고정할 수 있으며 이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간단한 탈착구조를 통하여 쉽게 제작할 수 있고, 휴대폰의 보관 및 사용에 있어서도 편리함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폰이 장착되는 프레임에 다양한 인조 보석 장식물과 휴대폰 부속 기기들을 부착한 것이기 때문에, 착용자의 기호에 맞춰서 다양한 장식물을 선택하고,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착용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 전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C)이 중앙의 장착 공간(112)에 장착되는 프레임(110)을 갖는다. 이와 같은 프레임(110)은 휴대폰(C)의 외곽 테두리에 일치하는 장착 공간(112)을 중앙에 관통 형성하고, 손목(W)에 접촉하는 하부면이 속목 윤곽을 따라 횡방향으로 곡면(114)을 형성한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110)의 장착 공간(112)에는 상부로부터 휴대폰(C)을 끼워서 넣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10)의 일측에는 회동가능하도록 고정틀(130)이 배치되는데, 이와 같은 고정틀(130)은 대략 "⊂"형의 막대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110)의 장착 공간(112)의 상부에서 장착 공간(112)을 열어서 휴대폰(C)을 장착 공간(112)으로부터 탈착시키거나, 프레임(110)의 장착 공간(112)에 끼워진 휴대폰(C)을 장착 공간(112)으로 밀착시켜서 분리되지 않고 고정 유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고정틀(130)은 그 일단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에 수평으로 힌지연결되거나,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에 수직으로 힌지연결되어 상기 프레임(110)의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밀착되거나, 프레임(110)의 장착 공간(112)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회동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고정틀(130)은 상기 프레임(110)에 대해서 장착 공간(112)을 개방시켜서 프레임(110)에 휴대폰(C)을 탈착할 수 있도록 된 열림 상태, 또는 프레임(110)의 장착 공간(112)을 가로지르도록 위치시켜서 프레임(110)내에 휴대폰(C)을 고정 유지할 수 있도록 된 닫침 상태로 선택적으로 위치이동되도록 하는 위치조정수단(140)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위치조정수단(140)은 바람직하게는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0)의 양측 모서리 상부로 돌출된 블록(142)의 양측면에 각각 힌지 구멍(145)을 중심으로 동심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반원형 요홈(150)들과, 상기 블록(142)의 힌지 구멍(145)으로 삽입되는 고정틀(130)의 힌지축(155)에 인접하여 형성된 오목구멍(162)의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164)을 통하여 상기 반원형 요홈(150)으로 출몰하는 볼(166)을 구비한 걸림턱(160)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반원형 요홈(150)과 걸림턱(160)의 구조는 프레임(110)의 양측 모서리 중앙에서 상부측으로 돌출한 블록(142)의 양측면 중앙에 수평으로 힌지 구멍(145)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힌지 구멍(145)으로 각각 끼워지는 힌지축(155)이 고정틀(130)의 단부에 양측에서 돌출하여 수평방향으로 결합하는 상태에서 그 둘레 에 형성된다.
상기 반원형 요홈(150)은 상기 프레임(110)의 블록(142) 양측면에 힌지 구멍(145)을 중심으로 동일 거리(d1)를 유지하면서 상기 힌지 구멍(145)을 중심으로 그 상부측에 형성된 수직 위치(P1)와 상기 힌지 구멍(145)을 중심으로 장착 공간(112)측으로 형성된 수평 위치(P2)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반원형 요홈(150)에 결합하는 걸림턱(160)은 고정틀(130)의 힌지축(155) 부근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힌지축(155) 과의 사이 거리는 힌지 구멍(145)과 반원형 요홈(150)의 거리(d1)에 일치한다. 또한 상기 걸림턱(160)은 고정틀(130)에 형성된 오목구멍(162)의 내부에 스프링(164)이 삽입되고, 상기 스프링(164)의 선단에는 볼(166)이 위치되며, 상기 볼(166)은 오목구멍(162)에 형성된 단턱(미 도시)을 통하여 오목구멍(162)의 외측으로는 빠지지 않고, 스프링(164)을 가압하여 오목구멍(162)의 내측으로 이동가능한 구조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걸림턱(160)의 볼(166)이 반원형 요홈(150)의 내측에 위치되면 고정틀(130)은 프레임(110)에 로킹(locking)상태가 되며, 고정틀(130)을 힘을 주어서 회동시키면 볼(166)이 스프링(164)을 가압하면서 오목구멍(162)의 내부로 삽입되어 볼(166)은 반원형 요홈(150)으로부터 빠지게 되어 고정틀(130)은 프레임(110)에 대해서 회동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위치조정수단(140)은 도 3b 및 도 3c에서와 같이, 고정틀(130)이 힌지축(155)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하는 경우, 프레임(110)의 상부측에서 고정틀(130)을 상부로 회동시켜 프레임(110)에 휴대폰(C)을 탈착할 수 있도록 된 열림 상태의 상향 위치를 결정하도록 수직 위치(P1)가 정해지고, 상기 고정틀(130)이 프레임(110)의 장착 공간(112)을 가로지르도록 하향 회동시켜 프레임(110)의 장착 공간(112)에 휴대폰(C)을 밀착시켜 고정 유지시킬 수 있도록 된 닫침 상태의 하향 위치를 결정하도록 수평 위치(P2)가 정해진다.
따라서 상기 고정틀(130)을 상하로 회동시켜 수직 위치(P1)의 반원형 요홈(150)에 걸림턱(160)의 볼(166)이 위치되도록 하는 열림 상태와, 수평 위치(P2)의 반원형 요홈(150)에 걸림턱(160)의 볼(166)이 위치되도록 하는 닫침 상태로 선택적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반원형 요홈(150)의 수직 위치(P1)와 수평 위치(P2)의 사이에 프레임(110)에 대해 고정틀(130)을 대략 45도로 세운 또 다른 중간 위치(P3)의 반원형 요홈(150)이 형성되어 고정틀(130)이 열림 상태와 닫침 상태로 회동되는 도중에 2단에 걸쳐서 회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고정틀(130)을 상하로 2단계에 걸쳐서 회동시키면 고정틀(130)의 회동 중에 고정틀(130) 위치를 쉽게 느낄 수 있어서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틀(130)을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는 다르게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조정수단(140)을 다르게 배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110)에 수직으로 힌지연결되는 구조인 경우, 즉 프레임(110)의 양측 모서리 상부에 형성된 회동면(170)에 하향으로 힌지 구멍(175)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면(170) 상에 고정틀(130)의 단부가 위치된 다음, 힌지축(177)을 수직으로 관통시켜서 수직방향으로 고정틀(130)을 프레임(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고정틀(130)은 수평방향으로 프레임(110)의 회동면(170)상에서 회동이 가능한데,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위치조정수단(140)은 힌지 구멍(175)을 중심으로 동심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반원형 요홈(180)들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틀(130)에는 힌지축(177)에 인접하여 수직방향으로 오목구멍(182)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 스프링(184)을 통하여 상기 반원형 요홈(180)으로 출몰하는 볼(186)이 위치된 걸림턱(19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위치조정수단(140)에서 상기 반원형 요홈(180)은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틀(130)이 힌지축(175)을 중심으로 수평으로 회동하는 경우, 프레임(110)의 장착 공간(112)으로부터 고정틀(130)이 벗어나서 프레임(110)에 휴대폰(C)을 탈착할 수 있도록 된 열림 상태의 측방 위치(P4)와, 상기 고정틀(130)이 프레임(110)의 장착 공간(112)을 가로지르도록 수평 회동되어 프레임(110)내에 휴대폰(C)을 밀착시켜 고정 유지시킬 수 있도록 된 닫침 상태의 중앙 위치(P5)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틀(130)을 수평으로 회동시켜 측방 위치(P4)의 반원형 요홈(180)에 걸림턱(190)의 볼(186)이 위치되는 열림 상태와, 중앙 위치(P5)의 반원형 요홈(180)에 걸림턱(190)의 볼(186)이 위치되는 닫침 상태로 선택적으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측방 위치(P4)는 힌지 구멍(175)과 힌지축(177)을 중심으로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른 회동면(170)의 양측에서 동일 거리(d3)에 형성되고, 상기 중앙 위치(P5)는 상기 힌지 구멍(145)과 힌지축(155)으로부터 프레임(110)의 장착 공간(112)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측방 위치(P4)의 거리(d3)와 동일 거리(d4)로 형성되어 고정틀(130)이 상기 중앙 위치(P5)의 닫침 상태로부터 좌우 측방 위치(P4)의 열림 상태로 2방향으로 회동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본 발명은 고정틀(130)을 좌우 양측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휴대폰(C)을 프레임(110)에 쉽게 탈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착용장치(100)는 상기 프레임(110)의 중앙 장착 공간(112) 내측을 가로질러서 연장되는 패드(200)를 구비하는데, 이와 같은 패드(200)는 휴대폰(C)의 하부면과 착용자의 손목(W)사이에서 위치되어 휴대폰(C)과 손목(W)사이를 이격시키고, 휴대폰(C) 접촉면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패드(200)는 그 양단이 프레임(110)의 하부 모서리에서 상기 장착 공간(112)을 가로질러서 서로 마주하도록 쌍을 이루어 형성된 복수의 걸고리(205)에 각각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110)의 장착 공간(112) 하부를 가로질러서 연장되는 탄성재료의 복수의 우레탄 패드(200)로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착용자는 휴대폰(C)이 직접 손목(W)에 닿지 않고, 패드(200)에 접촉하게 되어 착용감이 우수하며, 불쾌감을 느끼지 않는다. 또한 이와 같은 패드(200)는 휴대폰(C)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이를 완충시켜 주게 됨으로써 휴대폰(C)이 외부 충격을 받게 되어도 이를 완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착용장치(100)는 상기 프레임(110)의 하부측에 양단이 고정되고, 착용자의 손목(W)을 에워싸서 프레임(110)을 착용자의 손목(W)에 착용시키는 밴드(210)를 포함한다. 즉 상기 밴드(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단에 각각 핀(212)을 내장하고, 상기 핀(212)들은 프레임(110)의 중앙 양측 모서리에 형성된 오목 홈(214)의 양측 핀 구멍(216)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착용자는 마치 손목시계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폰 착용장치(100)를 쉽게 손목(W)에 착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착용장치(100)는 상기 프레임(110)과 고정틀(130)의 외면에 다수의 인조 보석 장식물(220)을 부착하여 미려한 외관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인조 보석 장식물(220)은, 예를 들면 인조 큐빅이 박힌 다수의 하트 형태, 별 형태, 또는 다각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착용자는 개인별 기호에 맞춰서 다양한 장식물(220)을 선택하고, 기호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프레임(110)에는 다수의 휴대폰 부속기기들을 장착할 수 있다. 예를들면, 프레임(110)의 외측에 소형 스피커(232)와 이와 같은 소형 스피커(232)를 온,오프 시키는 스위치(234)를 함께 장착하여 휴대폰(C)의 수신내용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고, 일측에는 마이크(236)와 마이크 온,오프 스위치(238)를 장착하여 송신내용을 입력할 수도 있으며, 건전지 케이스(240)를 장착하여 휴대폰(C)에 외부전원을 부가적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착용장치(100)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손목(W)에 착용하고 휴대폰(C)을 휴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밴드(210)를 이용하여 프레임(110)을 손목(W)에 고정하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고정틀(130)을 회동시켜서 열림 상태로 하고, 프레임(110)의 장착 공간(112)에 휴대폰(C)을 밀어 넣어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도 3a,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틀(130)이 프레임(110)에 대해 상하로 회동되는 구조에서는 착용자가 고정틀(130)을 상부측의 열림 위치로 젖치면 프레임(110)의 장착 공간(112)이 개방된다. 이때 위치조정수단(140)의 걸림턱(160)은 그 볼(166)이 반원형 요홈(150)의 수직 위치(P1)에 삽입되어 고정틀(130)을 프레임(110)으로부터 세워서 고정시킨다.
그리고 이와 같은 위치에서 개방된 장착 공간(112)에 휴대폰(C)을 밀어 넣게 되면, 휴대폰(C)의 하부면은 패드(200)의 상부면에 밀착되며, 이 상태에서 고정틀(130)을 하향으로 회동시키면 고정틀(130)은 볼(166)이 스프링(164)을 압축하면서 오목구멍(162)으로 삽입되고, 걸림턱(160)이 중간 위치(P3)를 통과하면서 그 하부측의 수평 위치(P2)의 반원형 요홈(150)으로 볼(166)이 탄력적으로 돌출하여 결합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닫침 위치에서는 고정틀(130)이 휴대폰(C)의 상부면을 패드(200)측으로 가압하는 상태가 되고, 고정틀(130)이 휴대폰(C)의 중앙을 가로질러서 위치되어 프레임(110)에 휴대폰(C)이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이와 같은 상태에서 다시 휴대폰(C)을 프레임(110)의 장착 공간(112)으로부터 꺼내려고 하면 단순히 고정틀(130)을 상부측으로 젖히기만 하면 걸림턱(160)의 볼(166)이 하부측의 수평 위치(P2)로부처 상부측의 수직 위치(P1)로 이동하여 장착 공간(112)이 개방되므로 쉽게 휴대폰(C)을 꺼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고정틀(130)이 도 4a,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틀(130)이 프레임(110)에 대해 좌우로 회동되는 구조에서는 착용자가 고정틀(130)을 좌측 또는 우측의 열림 위치로 회전시켜서 프레임(110)의 장착 공간(112)을 개방한다. 이때 위치조정수단(140)의 걸림턱(190)은 그 볼(186)이 반원형 요홈(180)의 중앙 위치(P5)로부터 좌우측의 어느 하나의 측방 위치(P4)에 삽입되어 고정틀(130)을 프레임(110)의 장착 공간(112)으로부터 벗어나게 한다.
이와 같은 반원형 요홈(180)의 측방 위치(P4)에 걸림턱(190)의 볼(186)이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개방된 장착 공간(112)에 휴대폰(C)을 밀어 넣게 되면, 휴대폰(C)의 하부면은 패드(200)의 상부면에 밀착되며, 이 상태에서 고정틀(130)을 반대방향 회동시키면 고정틀(130)은 볼(186)이 스프링(184)을 압축하면서 오목구멍(182)으로 삽입되고, 걸림턱(190)이 측방 위치(P4)로부처 중앙 위치(P5)로 힌지축(177)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이 과정에서 걸림턱(190)의 볼(186)은 중앙 위치(P5)의 반원형 요홈(180)으로 탄력적으로 돌출하여 결합되고, 이와 같은 닫침 위치에서는 고정틀(130)이 휴대폰(C)의 상부면을 패드(200)측으로 가압하는 상태가 되고, 고정틀(130)이 휴대폰(C)의 중앙을 가로질러서 위치되어 프레임(110)에 휴대폰(C)이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이와 같은 상태에서 다시 휴대폰(C)을 프레임(110)의 장착 공간(112)으로부터 꺼내려고 하면 단순히 고정틀(130)을 좌우 양측중의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되는데, 이때 걸림턱(190)의 볼(186)이 중앙 위치(P5)의 반원형 요홈(180)으로부터 측방 위치(P4)의 반원형 요홈(180)으로 이동하여 장착 공간(112)이 개방되므로 쉽게 휴대폰(C)을 꺼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프레임(110)에 대해서 힌지축(177)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고정틀(130)의 위치이동을 통해서 프레임(110)의 내부에 마련된 장착 공간(112)을 간단히 개폐시키고, 휴대폰(C)을 탈착시켜 밴드(210)를 통하여 손목(W)에 착용할 수 있어서 휴대폰(C)을 안전하게 보관 및 고정할 수 있고, 이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간단한 탈착구조를 통하여 쉽게 제작할 수 있고, 휴대폰(C)의 보관 및 사용에 있어서도 편리함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휴대폰(C)이 장착되는 프레임(110)에 다양한 인조 보석 장식물(220)과 다양한 휴대폰 부속기기들을 부착한 것이기 때문에 착용자의 기호에 맞춰서 다양한 장식물(220)을 선택하고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상기에서는 패드(200)를 복수개 장착한 구조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패드(200)는 하나로 형성되거나 또는 세개, 네개로 형성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는 밴드(210)가 하나인 구조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밴드(210)가 복수개 장착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이러한 단순한 구조의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착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착용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착용장치에 구비된 위치조정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a)도는 분해 사시도, b)도는 종단면도, c)도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착용장치에 구비된 위치조정장치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a)도는 분해 사시도, b)도는 종단면도, c)도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착용장치를 이용하여 휴대폰을 손목에 착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착용장치를 이용하여 휴대폰을 손목에 착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착용장치
110.... 프레임 112.... 장착 공간
130.... 고정틀 140.... 위치조정수단
142.... 블록 145.... 힌지 구멍
150.... 반원형 요홈 155.... 힌지축
160.... 걸림턱 162.... 오목구멍
164.... 스프링 166.... 볼(ball)
170... 회동면 176.... 힌지 구멍
177.... 힌지축 180.... 반원형 요홈
182.... 오목구멍 184.... 스프링
186.... 볼 190.... 걸림턱
200.... 패드 205... 걸고리
210.... 밴드 212... 핀
214.... 오목 홈 216... 핀 구멍
220.... 인조 보석 장식물 232... 소형 스피커
234.... 스피커 온,오프 스위치 236... 마이크
236.... 마이크 온,오프 스위치 240... 건전지 케이스
C...... 휴대폰 d1,d2,d3,d4.... 거리
P1.... 수직 위치 P2.... 수평 위치
P3.... 중간 위치 P4.... 측방 위치
P5.... 중앙 위치 W..... 손목

Claims (8)

  1. 휴대폰을 손목에 착용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휴대폰(C)의 외곽 테두리에 일치하는 장착 공간(112)을 중앙에 관통 형성하고, 손목(W)에 접촉하는 하부면이 속목 윤곽을 따라 횡방향으로 곡면(114)을 형성한 프레임(110);
    상기 프레임(11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일단이 힌지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110)의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밀착되거나 프레임(110) 중앙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되는 고정틀(130);
    상기 프레임(110)에 대해서 고정틀(130)을 개방시켜서 프레임(110)에 휴대폰(C)을 탈착할 수 있도록 된 열림 상태, 또는 프레임(110)을 가로지르도록 고정틀(130)을 밀착시켜서 프레임(110)내에 휴대폰(C)을 고정 유지할 수 있도록 된 닫침 상태로 상기 고정틀(130)을 선택적으로 위치이동시킬 수 있는 위치조정수단(140); 및
    상기 프레임(110)의 하부측에 양단이 고정되고, 착용자의 손목(W)을 에워싸서 프레임(110)을 착용자의 손목(W)에 착용시키는 밴드(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착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수단(140)은 프레임(110)의 양측 모서리 상부로 돌출된 블록(142)의 양측면에 각각 힌지 구멍(145)을 중심으로 동심적으로 형성 된 다수의 반원형 요홈(150)들과, 상기 블록(142)의 힌지 구멍(145)으로 삽입되는 고정틀(130)의 힌지축(155)에 인접하여 형성된 오목구멍(162)의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164)을 통하여 상기 반원형 요홈(150)으로 출몰하는 볼(166)을 구비한 걸림턱(160)을 포함하며, 상기 반원형 요홈(150)은 고정틀(130)이 힌지축(155)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하는 경우, 프레임(110)의 상부측에서 고정틀(130)을 상부로 회동시켜 프레임(110)에 휴대폰(C)을 탈착할 수 있도록 된 열림 상태의 상향 위치와, 상기 고정틀(130)이 프레임(110)을 가로지르도록 하향 회동시켜 프레임(110)의 장착 공간(112)에 휴대폰(C)을 밀착시켜 고정 유지시킬 수 있도록 된 닫침 상태의 하향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틀(130)을 상하로 회동시켜 열림 상태와 닫침 상태로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착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위치는 힌지 구멍(145)과 힌지축(155)을 중심으로 프레임(110)에 대해 고정틀(130)을 상부측으로 세운 수직 위치(P1)이고, 상기 하향 위치는 프레임(110)에 대해 고정틀(130)을 하부측으로 내려 프레임(110)에 나란하게 위치시킨 수평 위치(P2)이며, 상기 수직 위치(P1)와 수평 위치(P2)의 사이에는 프레임(110)에 대해 고정틀(130)을 45도로 세운 중간 위치(P3)가 형성되어 고정틀(130)이 2단에 걸쳐서 열림 상태와 닫침 상태 사이에서 회동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착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수단(140)은 프레임(110)의 양측 상부에 형성 된 회동면(170)상에 각각 형성된 힌지 구멍(175)을 중심으로 동심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반원형 요홈(180)들과, 상기 힌지 구멍(175)으로 삽입되는 고정틀(130)의 힌지축(177)에 인접하여 형성된 오목구멍(182)의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184)을 통하여 상기 반원형 요홈(180)으로 출몰하는 볼(186)을 구비한 걸림턱(190)을 포함하며, 상기 반원형 요홈(180)은 고정틀(130)이 힌지축(177)을 중심으로 수평으로 회동하는 경우, 프레임(110)의 장착 공간(112)으로부터 고정틀(130)이 벗어나서 프레임(110)에 휴대폰(C)을 탈착할 수 있도록 된 열림 상태의 측방 위치(P4)와, 상기 고정틀(130)이 프레임(110)의 장착 공간(112)을 가로지르도록 수평 회동시켜 프레임(110)내에 휴대폰(C)을 밀착시켜 고정 유지시킬 수 있도록 된 닫침 상태의 중앙 위치(P5)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틀(130)을 수평으로 회동시켜 열림 상태와 닫침 상태로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착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위치(P4)는 힌지 구멍(175)과 힌지축(177)을 중심으로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른 회동면(170)의 양측에서 동일 거리(d3)에 형성되고, 상기 중앙 위치(P5)는 상기 힌지 구멍(175)과 힌지축(177)으로부터 프레임(110)의 장착 공간(112)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측방 위치(P4)의 거리(d3)와 동일 거리(d4)로 형성되어 고정틀(130)이 상기 중앙 위치(P5)의 닫침 상태로부터 좌우 측방 위치(P4)의 열림 상태로 2방향으로 회동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착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0)의 중앙 장착 공간(112) 내측을 가로질러서 연장되어 휴대폰(C)의 하부면과 착용자의 손목(W) 사이에서 위치되어 휴대폰(C)과 손목(W) 사이를 이격시키고, 휴대폰(C) 접촉면의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패드(200)가 더 설치되고 상기 패드(200)는 그 양단이 프레임(110)의 하부 모서리에서 상기 장착 공간(112)을 가로질러서 서로 마주하도록 쌍을 이루어 형성된 복수의 걸고리(205)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110)의 장착 공간(112) 하부를 가로질러서 연장되는 탄성재료의 복수의 우레탄 패드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착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210)는 그 상단에 각각 핀(212)을 내장하고, 상기 핀(212)들은 프레임(110)의 중앙 양측 모서리에 형성된 오목 홈(214)의 양측 핀 구멍(216)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착용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0)과 고정틀(130)은 그 외면에 다수의 인조 보석 장식물(220)이 부착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착용장치.
KR1020090061847A 2009-07-07 2009-07-07 휴대폰 착용장치 KR101078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847A KR101078784B1 (ko) 2009-07-07 2009-07-07 휴대폰 착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847A KR101078784B1 (ko) 2009-07-07 2009-07-07 휴대폰 착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175A KR20110004175A (ko) 2011-01-13
KR101078784B1 true KR101078784B1 (ko) 2011-11-02

Family

ID=43611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1847A KR101078784B1 (ko) 2009-07-07 2009-07-07 휴대폰 착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878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4590A (ja) 2001-05-15 2002-11-29 Yoshifumi Imai 携帯電話用リストホルダー
KR100795156B1 (ko) 2006-08-01 2008-01-16 송영길 휴대폰 착용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4590A (ja) 2001-05-15 2002-11-29 Yoshifumi Imai 携帯電話用リストホルダー
KR100795156B1 (ko) 2006-08-01 2008-01-16 송영길 휴대폰 착용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175A (ko) 201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0031B2 (en) Hands-free cell phone jewelry
US7424110B1 (en) Wrist clip
GB2430348A (en) A multi component wrist strap
JPWO2005096599A1 (ja) 骨伝導スピーカを用いた通話装置
CA2486617A1 (en) Neck support
US6973185B2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to be worn on the wrist having flexible battery strap
JP2005328118A (ja) 耳掛け式ワイヤレスヘッドセット
CN205728439U (zh) 一种带蓝牙功能的手环
KR20110008506A (ko) 선그라스가 구비된 헤드셋
KR101078784B1 (ko) 휴대폰 착용장치
CN208987147U (zh) 一种tws耳机收纳盒
CN101316452B (zh) 耳挂式耳机
CN208850007U (zh) 一种无线蓝牙挂耳式耳机
KR200468009Y1 (ko) 휴대폰용 손목지갑
CN202150878U (zh) 手机保护套
CN202818404U (zh) 手表型手机
US20030003871A1 (en) Wearable wireless cap phone
KR101186441B1 (ko) 휴대폰 케이스
CN205810150U (zh) 一种英语口语陪练电子机
KR200433776Y1 (ko) 연결형혁대지갑
KR200293967Y1 (ko) 팔에 착용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CN208850005U (zh) 一种防水效果好的无线蓝牙耳机
CN212519108U (zh) 一种带可伸缩腕带的手机保护套
CN219611967U (zh) 一种可内置麦克风的便携式音箱
CN215773241U (zh) 一种带有多功能腕带的保护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