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8269B1 -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저장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저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8269B1
KR101078269B1 KR1020100041745A KR20100041745A KR101078269B1 KR 101078269 B1 KR101078269 B1 KR 101078269B1 KR 1020100041745 A KR1020100041745 A KR 1020100041745A KR 20100041745 A KR20100041745 A KR 20100041745A KR 101078269 B1 KR101078269 B1 KR 101078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formation
user
target data
gener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1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두식
Original Assignee
(주)지란지교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란지교소프트 filed Critical (주)지란지교소프트
Priority to KR1020100041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82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8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8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저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터치패드 조작에 따른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를 관련된 다른 데이터와 상호 링크하여 저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저장 방법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대상데이터에서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데이터생성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데이터생성정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구비된 저장 공간에서 독출하는 단계 및 연관데이터에 대상데이터 또는 대상데이터의 링크정보를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연관데이터가 실행되면 링크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에 의하여 링크정보가 선택되면 대상데이터가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와 관련성이 있는 다른 데이터를 자동으로 상호 연결하여 저장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저장된 데이터의 검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저장 방법{Data storage method for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저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터치패드 조작에 따른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를 관련된 다른 데이터와 상호 링크하여 저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와 개인 휴대 단말기(즉,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의 장점을 합친 일명 스마트폰(Smartphone)이 각광을 받고 있다. 즉, 스마트폰은 인터넷(Internet)을 통한 정보 검색, 그림 및/또는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정보의 송수신 등의 기능을 갖춘 휴대용 컴퓨터 개념의 전화기인 것이다. 따라서, 스마트폰의 사용자는 이동 중에도 인터넷 통신을 통한 정보 검색이 가능하며 나아가 팩스 전송 등의 정보 송수신까지 가능하다.
또한, 스마트폰과 더불어 컴퓨터의 휴대성을 극대화시킨 태블릿 피씨(Tablet PC)도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데, 태블릿 피씨는 노트북(Notebook) 컴퓨터와 스마트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장점을 결합한 컴퓨터이다. 따라서, 태블릿 피씨의 사용자는 태블릿 피씨를 공책처럼 들고다니며 언제 어디서나 직접 필기로 하고 전자책(e-book)도 볼 수 있게 되었다. 나아가, 전자잉크(e-INK) 기술의 발달에 따라 사용자는 태블릿 피씨를 이용하여 손으로 직접 쓴 것 같은 문서를 작성할 수도 있으며, 작성된 문서를 텍스트(text)로 변환할 수도 있게 되었다.
이러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피씨(이하, '휴대용 단말기'라 통칭함)의 사용자는 노트, 수첩, 다이어리(diary) 등을 가지고 다닐 필요 없이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노트 필기를 수행하고, 일정을 관리하며, 지인들의 연락처를 관리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노트필기에 관한 데이터, 일정에 관한 데이터 및 연락처에 관한 데이터, 멀티미디어 데이터 등이 모두 별개의 데이터로서 관리되어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2010-04-27 오후 2시'에 '홍길동'이라는 사람과 미팅(meeting)을 수행하였고, 당해 미팅에서 논의되었던 내용을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메모하고, 사진을 촬영한(즉, 이미지데이터를 생성한)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2010-04-27 오후 2시 홍길동과의 미팅'에 상응하는 일정정보와, '홍길동'에 상응하는 연락처정보(또는 주소록정보로서,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등에 상응하는 정보), 메모 데이터 및 당해 미팅에서 활영한 이미지데이터가 각각 별개로 저장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정 시간이 경과된 뒤에 당해 메모데이터 및/또는 이미지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하여 기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들을 하나하나씩 검색하거나, 일정정보를 통하여 당해 미팅이 있었던 시간을 검색하여 상응하는 날짜에 생성된 데이터들을 검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와 관련성이 있는 다른 데이터를 자동으로 상호 연결하여 저장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저장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와 관련성이 있는 다른 데이터를 상호 연결시켜 저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저장된 데이터의 검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저장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데이터 저장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대상데이터에서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데이터생성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생성정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구비된 저장 공간에서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연관데이터에 상기 대상데이터의 링크정보를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상기 연관데이터가 실행되면 상기 링크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링크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대상데이터가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저장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생성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대상데이터가 생성되는 단계; 및 상기 대상데이터 중 미리 설정된 생성정보영역에 포함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데이터생성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대상데이터는 이미지데이터이고, 상기 데이터생성정보는 텍스트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관데이터를 구비된 저장 공간에서 독출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 공간에 기저장된 데이터 중 상기 데이터생성정보에 포함된 단어 중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의 단어가 포함된 상기 연관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저장 방법은 상기 연관데이터가 상기 저장 공간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상기 연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데이터는 메모정보이고, 상기 연관데이터는 주소록정보 및 일정정보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저장 방법은, 상기 대상데이터 및 상기 연관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동기화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기화서버는 수신된 상기 대상데이터 및 상기 연관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다른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연관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입력부; 및 입력된 상기 입력신호에 따라 대상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대상데이터에서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데이터생성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데이터생성정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구비된 상기 저장부에서 독출하며, 상기 연관데이터에 상기 대상데이터의 링크정보를 포함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관데이터가 실행되면 상기 링크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링크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대상데이터가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데이터 중 미리 설정된 생성정보영역에 포함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데이터생성정보를 검출하되, 상기 대상데이터는 이미지데이터이고, 상기 데이터생성정보는 텍스트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기저장된 데이터 중 상기 데이터생성정보에포함된 단어 중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의 단어가 포함된 상기 연관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상기 연관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상기 연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저장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와 관련성이 있는 다른 데이터를 자동으로 상호 연결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저장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와 관련성이 있는 다른 데이터를 상호 연결시켜 저장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저장된 데이터의 검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데이터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대상데이터와 링크된 주소록정보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대상데이터와 링크된 일정정보를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 방법에 대한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 시스템(100)은 스마트폰(110-1), 태블릿피씨(110-n) 등의 휴대용 단말기(이하, '110-n'으로 통칭함) 및 동기화서버(130)를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110-n)와 동기화서버(130)는 인터넷(internet), 이동통신망(mobile network) 등의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130)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하, 데이터 저장 시스템(100)의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휴대용 단말기(110-n)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각종 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110-n)의 입력 장치(예를 들어, 키패드, 터치패드 등)를 조작할 수 있고, 휴대용 단말기(110-)는 이러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각종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110-n)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를 구비된 저장 공간(예를 들어, 자기디스크드라이브, 반도체 메모리 등)에 저장한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110-n)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이하, '대상데이터' 칭함) 및 당해 대상데이터와 관련된 다른 데이터(이하, '연관데이터'라 칭함)를 상호 링크시킬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휴대용 단말기(110-n)가 대상데이터와 연관데이터를 링크시키는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10-n)는 입력부(210), 제어부(220), 저장부(230), 디스플레이부(240) 및 통신부(250)를 포함한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휴대용 단말기(110-n)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미도시), 이미지데이터, 동영상데이터 등을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부(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입력부(21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각종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20)로 출력한다. 즉, 사용자는 입력부(210)를 조작하여 자신이 생성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210)는 키패드(keypad), 터치패드(touchpad), 마우스(mouse) 등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모든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입력부(210)의 종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음은 자명하다.
제어부(220)는 입력부(210)에서 수신된 입력신호에 따라 대상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210)가 터치패드인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데이터가 생성되도록 입력부(210)를 터치할 수 있고, 입력부(210)는 사용자의 터치에 상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입력부(210)에서 수신된 입력신호에 따라 대상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대상데이터는 텍스트데이터(text data) 또는 이미지데이터(image data)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생성된 대상데이터에서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데이터생성정보를 검출한다. 여기서, 데이터생성정보는 대상데이터에 포함된 정보 중 미리 설정된 생성정보필드 또는 생성정보영역에 포함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데이터가 텍스트데이터인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사용자는 데이터생성정보를 입력하는 필드(field)(예를 들어, 대상데이터의 제목 등을 입력하는 필드 등)에 입력부(210)를 조작하여 텍스트에 상응하는 정보를 입력시킬 수 있고, 제어부(220)는 당해 필드를 분석하여 데이터생성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대상데이터가 이미지데이터인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사용자는 대상데이터의 상부에는 당해 대상데이터의 제목 등에 관한 정보를 입력시킬 수 있고, 제어부(220)는 대상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분석하여 데이터생성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제어부(220)가 대상데이터에서 데이터생성정보를 검출하는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데이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입력부(210) 조작에 따라 생성된 대상데이터가 휴대용 단말기(110-n)의 디스플레이부(240)에 디스플레이된 경우가 예시된다. 즉, 사용자는 입력부(210)를 조작하여 생성정보필드 또는 생성정보영역(310)에 데이터생성정보가 입력되도록 하였다. 즉, 도 3에서의 데이터생성정보는 "지란지교 소프트 홍길동 부장님"에 상응할 것이다.
예를 들어, 대상데이터가 텍스트데이터인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사용자는 입력부(210)를 조작하여 생성정보필드(310)에 당해 대상데이터의 제목 또는 당해 대상데이터와 관련된 사람, 회사 등에 대한 텍스트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3에서 사용자는 입력부(210)를 조작하여 생성정보필드(310)에 '지란지교소프트 홍길동 부장님'이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대상데이터가 이미지데이터인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사용자는 입력부(210)를 조작하여 미리 설정된 생성정보영역(310)에 당해 대상데이터의 제목 또는 당해 대상데이터와 관련된 사람, 회사 등에 대한 글자가 이미지로서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3에서 사용자는 입력부(210)를 조작하여 생성정보영역(310)에 '지란지교소프트 홍길동 부장님'에 상응하는 글자가 이미지로서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생성정보필드(310)에 자동으로 상응하는 데이터가 입력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제어부(220)는 대상데이터의 생성이 개시되는 시점에 상응하는 일정정보(즉, 일정 관리 소프트웨어에 사용되는 사용자의 일정 등에 관한 정보)가 저장부(23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일정정보의 일정제목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독출하여 생성정보필드(310)에 자동으로 입력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대상데이터의 생성개시 시점이'2010-04-28 오후 2시30분'이고, '2010-04-28 오후 2시부터 오후 3시'에 상응하는 일정정보의 일정제목이 '지란지교소프트 홍길동 부장님'인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대상데이터가 개시되면 제어부(220)는 저장부(230)에서 당시 시간에 상응하는 일정정보를 독출하고, 당해 일정정보의 일정제목을 대상데이터의 생성정보필드(310)에 자동으로 입력시킬 수 있을 것이다.
즉, 생성정보필드 또는 생성정보영역(310)에는 당해 대상데이터의 내용과 관련된 '사람, 회사, 장소 등'에 대한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20)는 생성정보필드 또는 생성정보영역(310)에 포함된 내용을 검출하여 데이터생성정보를 텍스트로서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데이터에서 텍스트가 검출되는 동작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한 사항이므로, 제어부(220)가 이미지데이터인 대상데이터에서 데이터생성정보를 검출하는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사용자는 입력부(210)를 조작하여 데이터내용필드 또는 데이터내용영역(320)에 당해 대상데이터의 내용에 대한 정보(즉, '데이터내용정보')가 텍스트 또는 이미지로서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3에서의 데이터내용정보는 '메모하는 방법...'에 상응할 것이다. 또한, 사용자는 대상데이터의 내용 입력이 완료되면 '저장하기' 버튼(button)(330)을 선택하여 당해 대상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입력부(210)는 사용자의 '저장하기' 버튼(330) 선택에 따라 저장명령을 제어부(220)로 전송할 수 있고, 제어부(220)는 저장명령에 따라 당해 대상데이터를 저장부(230)에 저장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220)는 입력부(210)에서 입력된 저장명령에 따라 저장부(230)에서 당해 대상데이터와 관련된 연관데이터를 검색한다. 여기서, 연관데이터는 검출된 데이터생성정보가 포함된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생성정보가 '지란지교소프트 홍길동 부장님'에 상응하는 경우, 제어부(220)는 저장부(230)에 기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중 '지란지교소프트 홍길동 부장님'을 포함하고 있는 연관데이터가 있는지 검색할 수 있다. 즉, 제어부(220)는 데이터생성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주소록정보(즉, 지인들의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등의 연락처에 관한 정보) 또는 일정정보(즉, 일정 관리 소프트웨어에 사용되는 사용자의 일정 등에 관한 정보) 등의 데이터가 저장부(230)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저장부(230)에 데이터생성정보가 포함된 연관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당해 연관데이터를 독출한다. 한편, 제어부(220)는 저장부(230)는 연관데이터가 저장부(230)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연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관데이터가 주소록정보로 미리 설정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제어부(220)는 데이터생성정보를 '이름 또는 명칭'으로 하는 주소록정보인 연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연관데이터가 일정정보로 미리 설정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제어부(220)는 데이터생성정보를 '일정 제목 또는 일정 내용'으로 하는 일정정보인 연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는 연관데이터에 데이터생성정보가 모두 포함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하고 설명하였으나, 연관데이터는 데이터생성정보의 일부가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일 수도 있으며, 데이터생성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가 포함된 연관데이터가 복수개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하나의 데이터를 연관데이터로서 독출할 수도 있을 것임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데이터생성정보가 '지란지교소프트 홍길동 부장님'에 상응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제1 데이터가 '지란지교소프트' 만을 포함하고, 제2 데이터가 '지란지교소프트 홍길동'만을 포함하며, 제3 데이터가 '홍길동 부장님' 만을 포함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제어부(220)는 데이터생성정보에 포함된 단어들 중 2개 이상의 단어가 포함된 데이터를 연관데이터로서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당해 예시에서는 제2 데이터 및 제3 데이터 만이 연관데이터로서 검출될 것이다.
즉, 제어부(220)는 데이터생성정보에 포함된 단어의 개수인 n을 검출하고, 데이터 생성정보에 포함된 단어 중 n-m개의 단어가 포함된 데이터를 연관데이터로 검출할 수 있다(단, n은 자연수이고, m은 n보다 작은 자연수 또는 0(zero)임). 예를 들어, n이 1인 경우 m은 0일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 제어부(220)는 데이터생성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데이터를 연관데이터로서 검출할 것이다. 다른 예를 들어, n이 4이고, m이 2인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220)는 데이터생성정보에 포함된 단어들 중 2개 이상의 단어가 포함된 데이터를 연관데이터로서 검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검출된 2개의 데이터 중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하나 이상의 데이터 만이 연관데이터로서 확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부(220)는 독출된 또는 생성된 연관데이터에 대상데이터를 포함시키거나 대상데이터의 링크정보를 포함시킨다. 즉, 제어부(220)는 연관데이터가 실행되면 대상데이터를 실행시킬 수 있는 선택버튼 및/또는 선택영역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연관데이터에 대상데이터를 포함시키거나 연관데이터의 링크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여기서, 링크정보는 대상데이터를 실행시키기 위한 데이터로서, 확장자가 'lnk' 등인 정보일 수 있다(물론, 링크정보의 확장자는 휴대용 단말기(110-n)의 구동프로그램(OS)에 따라 상이할 수 있음). 즉, 사용자가 대상데이터의 링크정보를 실행시키면 당해 대상데이터가 실행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대상데이터 및/또는 대상데이터의 링크정보가 포함된 연관데이터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대상데이터와 링크된 주소록정보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대상데이터와 링크된 일정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주소록정보가 휴대용 단말기(110-n)의 디스플레이부(240)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경우가 예시된다. 도 4의 주소록정보는 '홍길동' 이라는 사람에 대한 정보로서, '홍길동'의 전화번호정보, 이메일주소정보 및 메모데이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240)에 디스플레이된 전화하기영역(410)을 선택하면 '홍길동'과의 전화통화가 시도될 수 있고, 문자메시지보내기영역(420)을 선택하면 '홍길동'에게 보낼 문자메시지 작성이 개시될 수 있고, 이메일전송하기영역(430)을 선택하면 '홍길동'에게 보낼 이메일 작성이 개시될 수 있으며, 채팅하기영역(440)을 선택하면 '홍길동'과의 채팅(chatting)이 시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메모영역(450)을 선택하면 '홍길동'과 관련된 메모데이터가 실행된다(즉, '홍길동'과 관련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작성 및/또는 저장된 메모데이터가 실행된다).
여기서, 대상데이터는 메모데이터이고, 도 4의 주소록정보는 제어부(220)가 메모데이터에 포함된 데이터생성정보를 분석하여 '홍길동'에 상응하는 데이터생성정보를 검출하고, 자동으로 도 4의 주소록정보에 당해 메모데이터 또는 당해 메모데이터의 링크정보를 포함시킨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홍길동'의 주소록정보를 검색하여 '홍길동'과 관련된 메모데이터를 손쉽게 검색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정정보가 휴대용 단말기(110-n)의 디스플레이부(240)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경우가 예시된다. 도 5의 일정정보는 '지란지교소프트'라는 회사와 관련된 일정에 대한 정보로서, 당해 일정의 시간정보, 참석자정보 및 메모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시간정보영역(510)을 선택하면 당해 일정 시간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일정수정영역(520)을 선택하면 당해 일정정보를 수정할 수 있는 창(window)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참석자영역(530)을 선택하면 당해 일정에 참석하는 사람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메모내용영역(540)을 선택하면 '지란지교소프트'와의 당해 일정에 관련된 메모데이터가 실행된다(즉, 당해 일정과 관련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작성 및/또는 저장된 메모데이터가 실행된다).
여기서, 대상데이터는 메모데이터로서, 제어부(220)는 메모데이터에 포함된 데이터생성정보를 분석하여 '지란지교소프트'에 상응하는 데이터생성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당해 메모데이터의 생성시간정보(즉, 당해 메모데이터가 생성 개시된 시간 및/또는 최종 저장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20)는 당해 메모데이터의 데이터생성정보 및/또는 생성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상응하는 일정정보를 검색하여 당해 메모데이터 또는 당해 메모데이터의 링크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당해 메모데이터의 데이터생성정보가 '지란지교소프트'에 상응하고, 생성시간정보가 '2010-04-26 오후 4시30분 ~ 2010-04-26 오후 5시30분'에 상응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제어부(220)는 저장부(230)에 기저장되어 있는 일정정보 중 '지란지교소프트'를 포함하고, '2010-04-26 오후 4시30분 ~ 2010-04-26 오후 5시30분'에 상응하는 일정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데이터생성정보 및 생성시간정보에 상응하는 일정정보를 저장부(230)에서 독출하여 당해 일정정보에 당해 대상데이터 또는 당해 대상데이터의 링크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대상데이터 또는 대상데이터의 링크정보가 포함된 일정정보를 다시 저장부(230)에 저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정관리프로그램'의 일정정보를 검색하여 '지란지교소프트'와의 '2010-04-26 오후 4시' 일정에 관련된 메모데이터를 손쉽게 검색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220)는 사용자의 입력부(210) 조작에 따라 일정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입력부(210)를 조작하여 향후 일정에 대한 정보를 입력시킬 수 있고, 제어부(220)는 사용자의 입력부(210) 조작에 상응하는 향후 일정에 대한 일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향후 일정에 대한 정보 입력은 대상데이터 생성시에 이뤄질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대상데이터의 작성(또는 생성)을 종료하기 전에 향후 일정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하여 입력부(210)를 조작할 수 있고, 제어부(210)는 당해 조작에 상응하는 일정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대상데이터인 메모정보의 작성 도중 '2010-05-05'에 상응하는 향후일정(즉, 향후 일정에 대한 시간 정보)을 입력한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제어부(220)는 생성정보영역에 포함된 정보를 검출하고, 향후일정을 검출하여 상응하는 일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210)는 향후일정에 상응하는 시간에 생성정보영역에 포함된 정보를 일정의 제목으로 하는 일정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상술한 데이터생성정보에는 향후일정이 포함될 수 있고, 향후일정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인 일정정보는 저장부(23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것이므로, 제어부(220)는 향후일정에 대한 일정정보를 상술한 방법 등에 의하여 생성하여 저장부(230)에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부(220)는 상호 링크된 대상데이터 및/또는 연관데이터를 네트워크(120)를 통하여 연결된 동기화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제어부(220)는 대상데이터가 포함된 연관데이터를 동기화서버(130)로 전송하거나 대상데이터의 링크정보가 포함된 연관데이터 및 당해 대상데이터를 동기화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20)는 대상데이터 및/또는 연관데이터를 통신부(250)로 출력하여, 대상데이터 및/또는 연관데이터가 통신부(250)를 통하여 동기화서버(13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동기화서버(130)는 수신된 대상데이터 및/또는 연관데이터를 구비된 저장 공간에 저장하고, 이를 미리 설정된 다른 단말기(미도시)로 전송할 수도 있다. 즉, 동기화서버(130)는 휴대용 단말기(110-n)로부터 수신된 대상데이터 및/또는 연관데이터를 다른 단말기(미도시)로 전송하여, 휴대용 단말기(110-n)와 다른 단말기(미도시) 간의 데이터를 상호 동기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기화서버(130)는 휴대용 단말기(110-n)의 사용자 등이 다른 사용자단말기(미도시)를 이용하여 당해 동기화서버(130)에 접속하여 대상데이터 및/또는 연관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도록 휴대용 단말기(110-n)로부터 수신된 대상데이터 및/또는 연관데이터를 구비된 저장 공간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동기화서버(130)는 수신된 대상데이터 및/또는 연관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다른 사용자 단말기(미도시)로 전송하여 당해 휴대용 단말기(110-n)와 다른 사용자 단말기(미도시)가 상호 동기화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저장 시스템(100)에 따르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대상데이터는 이와 관련된 다른 연관데이터와 링크되어 저장되므로 사용자는 연관데이터의 실행에 의하여 당해 대상데이터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이상에서는 대상데이터가 메모데이터이고, 연관데이터가 주소록정보이거나 일정정보인 경우를 예시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에 불과하다. 따라서, 대상데이터 및/또는 연관데이터의 종류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지 않음은 자명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될 각 단계들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휴대용 단말기(110-n)의 각 구성 요소들에 의하여 수행되는 단계들일 수 있으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110-n)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들을 수행하는 주체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대상데이터가 메모데이터이고, 연관데이터가 주소록정보로 미리 설정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단계 S600에서, 휴대용 단말기(110-n)가 메모작성모드로 동작하면, 단계 S610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메모데이터가 생성된다. 즉, 휴대용 단말기(110-n)가 메모데이터를 작성하기 위한 동작 모드인 메모작성모드로 동작되면, 사용자의 입력부(210) 조작에 따른 메모데이터가 생성된다.
단계 S620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메모데이터 저장 명령이 생성되면,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데이터생성정보를 검출한다(단계 S630). 즉, 사용자는 생성된 메모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입력부(210)를 조작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입력부(210)는 메모데이터 저장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110-n)는 메모데이터 저장 명령에 따라 메모데이터에 포함된 데이터생성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생성정보는 대상데이터인 메모데이터에 포함된 정보 중 미리 설정된 생성정보필드 또는 생성정보영역에 포함된 정보일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단계 S640에서, 검출된 데이터생성정보에 상응하는 주소록정보가 구비된 저장 공간에 기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색한다. 즉, 휴대용 단말기(110-n)는 데이터생성정보 전체 또는 그 일부가 포함되어 있는 주소록정보가 저장부(230)에 기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650에서, 구비된 저장 공간에 당해 메모데이터와 관련된 주소록정보가 기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미리 설정된 상법에 따라 데이터생성정보에 상응하는 주소록정보를 생성한다(단계 S660). 즉, 휴대용 단말기(110-n)는 구비된 저장 공간에 당해 메모데이터와 관련된 주소록정보가 기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데이터생성정보를 '이름 또는 명칭'으로 하는 주소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670에서, 구비된 저장 공간에 메모데이터와 관련된 주소록정보가 기저장되어 있거나 생성되면, 당해 주소록정보에 당해 메모데이터 또는 당해 메모데이터의 링크정보를 포함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될 각 단계들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휴대용 단말기(110-n)의 각 구성 요소들에 의하여 수행되는 단계들일 수 있으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110-n)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들을 수행하는 주체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는 대상데이터가 메모데이터이고, 연관데이터가 일정정보로 미리 설정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수행될 각 단계들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단계 S600 내지 단계 S620이 수행된 뒤에 수행되는 단계들일 수 있다.
단계 S710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메모데이터에서 데이터생성정보 및/또는 생성시간정보를 검출한다. 여기서, 데이터생성정보는 대상데이터인 메모데이터에 포함된 정보 중 미리 설정된 생성정보필드 또는 생성정보영역에 포함된 정보일 수 있고, 생성시간정보는 당해 메모데이터가 생성 개시된 시간 및/또는 최종 저장된 시간에 대한 정보일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단계 S720에서, 검출된 데이터생성정보 및/또는 생성시간정보에 상응하는 일정정보가 구비된 저장 공간에 기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색한다. 즉, 휴대용 단말기(110-n)는 저장부(230)에 기저장되어 있는일정정보 중 데이터생성정보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하고, 생성시간정보에 상응하는 일정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730에서, 구비된 저장 공간에 당해 메모데이터에 상응하는 일정정보가 기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당해 메모데이터의 데이터생성정보 및/또는 생성시간정보에 상응하는 일정정보를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생성한다(단계 S740). 즉, 휴대용 단말기는 당해 메모데이터에 상응하는 일정정보가 저장부(230)에 기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데이터생성정보를 일정의 '제목정보(즉, 당해 일정의 제목에 상응하는 정보'로하고, 생성시간정보를 일정의 시간정보로 하는 일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750에서, 구비된 저장 공간에 메모데이터와 관련된 일정정보가 기저장되어 있거나 생성되면, 당해 일정정보에 당해 메모데이터 또는 당해 메모데이터의 링크정보를 포함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대상데이터(즉, 메모데이터)를 저장하면서, 당해 대상데이터와 관련된 연관데이터(즉, 주소록정보 또는 일정정보)를 상호 링크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추후 연관데이터의 실행에 의하여 당해 대상데이터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하다.
또한, 이상에서는 대상데이터가 메모데이터이고, 연관데이터가 주소록정보이거나 일정정보인 경우를 예시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에 불과하다. 따라서, 대상데이터 및/또는 연관데이터의 종류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지 않음은 자명하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저장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데이터 저장 시스템.
110-n : 휴대용 단말기.
120 : 네트워크
130 : 동기화 서버

Claims (11)

  1. 삭제
  2. 휴대용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데이터 저장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대상데이터가 생성되는 단계;
    상기 대상데이터 중 미리 설정된 생성정보영역에 포함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데이터생성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생성정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구비된 저장 공간에서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연관데이터에 상기 대상데이터의 링크정보를 포함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연관데이터가 실행되면 상기 링크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링크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대상데이터가 실행되고, 상기 대상데이터는 이미지데이터이며, 상기 데이터생성정보는 텍스트데이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저장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데이터를 구비된 저장 공간에서 독출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 공간에 기저장된 데이터 중 상기 데이터생성정보에 포함된 단어 중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의 단어가 포함된 상기 연관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저장 방법.
  4. 휴대용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데이터 저장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대상데이터에서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데이터생성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생성정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구비된 저장 공간에서 독출하는 단계;
    상기 연관데이터에 상기 대상데이터의 링크정보를 포함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연관데이터가 상기 저장 공간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상기 연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연관데이터가 실행되면 상기 링크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링크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대상데이터가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저장 방법.
  5. 삭제
  6. 휴대용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데이터 저장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대상데이터에서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데이터생성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생성정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구비된 저장 공간에서 독출하는 단계;
    상기 연관데이터에 상기 대상데이터의 링크정보를 포함시키는 단계; 및
    상기 대상데이터 및 상기 연관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동기화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연관데이터가 실행되면 상기 링크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링크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대상데이터가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저장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서버는 수신된 상기 대상데이터 및 상기 연관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다른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저장 방법.
  8. 연관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입력부; 및
    입력된 상기 입력신호에 따라 대상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대상데이터 중 미리 설정된 생성정보영역에 포함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데이터생성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데이터생성정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구비된 상기 저장부에서 독출하며, 상기 연관데이터에 상기 대상데이터의 링크정보를 포함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연관데이터가 실행되면 상기 링크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링크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대상데이터가 실행되고, 상기 대상데이터는 이미지데이터이며, 상기 데이터생성정보는 텍스트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기저장된 데이터 중 상기 데이터생성정보에 포함된 단어 중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의 단어가 포함된 상기 연관데이터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1. 연관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입력부; 및
    입력된 상기 입력신호에 따라 대상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대상데이터에서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데이터생성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데이터생성정보에 상응하는 연관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서 독출하고, 상기 연관데이터에 상기 대상데이터의 링크정보를 포함시키며, 상기 저장부에 상기 연관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상기 연관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연관데이터가 실행되면 상기 링크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링크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대상데이터가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100041745A 2010-05-04 2010-05-04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저장 방법 KR101078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745A KR101078269B1 (ko) 2010-05-04 2010-05-04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저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745A KR101078269B1 (ko) 2010-05-04 2010-05-04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저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8269B1 true KR101078269B1 (ko) 2011-10-31

Family

ID=45033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1745A KR101078269B1 (ko) 2010-05-04 2010-05-04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저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826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243B1 (ko) * 2005-12-09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해당 이름정보와 연계된 기본 및 확장 정보들을 통합적으로저장 및 관리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243B1 (ko) * 2005-12-09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해당 이름정보와 연계된 기본 및 확장 정보들을 통합적으로저장 및 관리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19824B (zh) 利用用户访问权限来自动共享文档
RU2686557C2 (ru) Иммерсивный просмотр документов
KR102064952B1 (ko) 수신 데이터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운영하는 전자 장치
US10466882B2 (en) Collaborative co-authoring via an electronic user interface
US20170359283A1 (en) Music creation app in messaging app
US20140365918A1 (en) Incorporating external dynamic content into a whiteboard
TW201537355A (zh) 在電子通訊工作流程之外產生內容項目
CN106164835A (zh) 用户交互和对于沉浸式文档视图中的组件的运动驱动更新
CN105745649A (zh) 链接插入和链接预览特征
CN106164908A (zh) 现代文档保存与同步状况
JP2009533779A (ja) マルチメディア・モバイル・ノートの同期化
JP2009533780A (ja) マルチメディアモバイル装置によるノートテイキングのユーザ体験
US10191964B2 (en) Automatic isolation and selection of screenshots from an electronic content repository
US10409779B2 (en) Document sharing via logical tagging
CN103179267A (zh) 在便携式终端中管理消息的附件的装置和方法
JP2011076540A (ja) 文書編集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データ転送方法
US9424364B2 (en) Integrated context-driven information search and interaction
US11144372B2 (en) Cross-platform stateless clipboard experiences
CN104104766A (zh) 终端设备、服务器及其控制方法
US20210075757A1 (en) Automated display state of electronic mail items
KR101078269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저장 방법
US11204814B2 (en) Cross-platform remote user experience accessibility
TW201539218A (zh) 與外部內容項目之間的編碼的關聯性
US20180173377A1 (en) Condensed communication chain control surfacing
KR102267925B1 (ko) 작성 애플리케이션 확장판 활성화 기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