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8016B1 - 온라인 배너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온라인 배너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8016B1
KR101078016B1 KR1020090061676A KR20090061676A KR101078016B1 KR 101078016 B1 KR101078016 B1 KR 101078016B1 KR 1020090061676 A KR1020090061676 A KR 1020090061676A KR 20090061676 A KR20090061676 A KR 20090061676A KR 101078016 B1 KR101078016 B1 KR 101078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online banner
advertisement
online
advertis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1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4055A (ko
Inventor
안희택
유창국
나길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Priority to KR1020090061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8016B1/ko
Publication of KR20110004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8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8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온라인 배너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은 복수의 온라인 배너 광고들 각각에 대하여 사용자 특징(user feature)에 따른 사용자 그룹 활동율(user group activity ratio)을 계산하는 단계 및 특정 온라인 배너 광고가 제공될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 특징과 상기 복수의 온라인 배너 광고들 각각의 사용자 그룹 활동율을 기초로 복수의 온라인 배너 광고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특정 온라인 배너 광고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그룹 활동율은 해당 사용자 그룹에 대한 광고 횟수당 해당 사용자 그룹의 사용자 활동 횟수를 기초로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 특징을 기초로 온라인 배너 광고를 제공하여 광고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온라인 배너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ON-LINE BANNER ADVERTIZEMENT}
개시된 기술은 광고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라인 배너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하여 전자상거래와 같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광고주는 전자상거래를 촉진하기 위하여 인터넷 사용자에 의하여 이용되는 웹 페이지에 온라인 광고를 게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주는 특정 인터넷 사이트에 광고 게재를 요청할 수 있고, 해당 사이트는 광고주에 의하여 요청된 광고를 방문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인터넷 광고는 온라인 배너 광고를 포함할 수 있고, 온라인 배너 광고는 사용자 문맥(user context)에 관계없이 다양한 사용자들에게 광고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배너 광고는 인터넷 사용자의 검색 키워드와 무관하게 게재될 수 있다.
만일 인터넷 포털 사이트가 사용자 특징(user feature)을 고려하지 않고 온라인 배너 광고를 게재하는 경우에는 온라인 배너 광고에 의한 광고 효과가 상대적 으로 감소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온라인 배너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은 복수의 온라인 배너 광고들 각각에 대하여 사용자 특징(user feature)에 따른 사용자 그룹 활동율(user group activity ratio)을 계산하는 단계 및 특정 온라인 배너 광고가 제공될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 특징과 상기 복수의 온라인 배너 광고들 각각의 사용자 그룹 활동율을 기초로 복수의 온라인 배너 광고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특정 온라인 배너 광고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그룹 활동율은 해당 사용자 그룹에 대한 광고 횟수당 해당 사용자 그룹의 사용자 활동 횟수를 기초로 결정된다.
실시예들 중에서, 온라인 배너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은 (a) 사용자 특징(user feature)에 따른 사용자 그룹에 속한 적어도 일부 사용자(이하, 제1 사용자)에게 온라인 배너 광고를 제공하는 단계; (b)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제1 사용자 중 적어도 일부 사용자(이하, 제2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활동(user activity)을 입력받아 상기 사용자 그룹에 대한 사용자 활동 횟수를 계산하는 단계; (c)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광고 횟수와 상기 계산된 사용자 활동 횟수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특징에 따른 사용자 그룹 활동율(user group activity ratio)을 계산하는 단계; 및 (d) 복수의 온라인 배너 광고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특징에 따른 사용자 그룹 활동율을 기초로 상기 제공되는 온라인 배너 광고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온라인 배너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은 복수의 온라인 배너 광고들 각각에 대하여 사용자 특징(user feature)에 따른 사용자 그룹 활동율(user group activity ratio)을 계산하고 상기 사용자 그룹 활동율은 해당 사용자 그룹에 대한 광고 횟수당 해당 사용자 그룹의 사용자 활동 횟수를 기초로 결정되는 사용자 활동 수집부(user activity collection unit) 및 특정 온라인 배너 광고가 제공될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 특징과 상기 복수의 온라인 배너 광고들 각각의 사용자 그룹 활동율을 기초로 복수의 온라인 배너 광고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특정 온라인 배너 광고로 결정하는 광고 선택부(advertizement selection unit)를 포함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온라인 배너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 특징(user feature)에 따른 사용자 그룹에 속한 적어도 일부 사용자(이하, 제1 사용자)에게 온라인 배너 광고를 제공하고,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제1 사용자 중 적어도 일부 사용자(이하, 제2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활동(user activity)을 입력받아 상기 사용자 그룹에 대한 사용자 활동 횟수를 계산하며,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광고 횟수와 상기 계산된 사용자 활동 횟수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특징에 따른 사용자 그룹 활동율(user group activity ratio)을 계산하는 사용자 활동 수집부(user activity collection unit) 및 복수의 온라인 배너 광고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특징에 따른 사용자 그룹 활동율을 기초로 상기 제공되는 온라인 배너 광고를 선택하는 광고 선택부(advertizement selection unit)를 포함한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 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 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배너 광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온라인 배너 광고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컴 퓨터(110)와 온라인 배너 광고 서버(120)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컴퓨터(110)와 온라인 배너 광고 서버(120)는 인터넷(130)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컴퓨터(110)가 온라인 배너 광고 서버(120)에 접근하는 경우, 온라인 배너 광고 서버(120)는 사용자 컴퓨터(110)로부터 수신된 접속 정보를 기초로 적절한 온라인 배너 광고를 직간접적으로 제공한다. 온라인 배너 광고는 사용자 활동(user activity)에 응답할 수 있다.
사용자 활동은 온라인 배너 광고의 클릭 활동(click activity) 또는 온라인 배너 광고의 마우스오버 활동(mouseover activity)을 포함할 수 있다. 접속 정보는 사용자 특징(user feature)을 얻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일 실시예에서 쿠키(cookie) 또는 사용자 아이디를 포함하는 로긴 정보(login information)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특징은 사용자의 나이, 거주지, 성별 및/또는 웹사이트 사용 패턴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고, 웹사이트 사용 패턴은 사용자에 의한 검색 키워드 및/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콘텐츠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쿠키 또는 로긴 정보는 식별자를 포함하고, 온라인 배너 광고 서버(120)는 해당 식별자에 따른 사용자 특징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쿠키에 저장된 사용자 특징은 사용자의 과거 로긴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온라인 배너 광고 서버(120)는 웹 사이트(예를 들어, 포털 사이트)에 구현될 수 있다. 만일 사용자 컴퓨터(110)가 웹 사이트에 접속하는 경우에는 온라인 배너 광고 서버(120)는 사용자 컴퓨터(110)에 적절한 온라인 배너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온라인 배너 광고 서버(120)는 다른 웹 사이트(예를 들어, 포털 사이트)와 연동될 수 있다. 만일 사용자 컴퓨터(110)가 다른 웹 사이트에 접속하는 경우에는 온라인 배너 광고 서버(120)는 사용자 컴퓨터(110)에 적절한 온라인 배너 광고를 직접적으로 제공하거나 또는 다른 웹 사이트를 통하여 사용자 컴퓨터(110)에 적절한 온라인 배너 광고를 간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온라인 배너 광고 서버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온라인 배너 광고 서버(120)는 제어부(210), 통신부(220), 사용자 활동 수집부(user activity collection unit)(230), 광고 선택부(advertizement selection unit)(240) 및 메모리(250)를 포함한다.
제어부(210)는 온라인 배너 광고 서버(12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사용자 컴퓨터(110)에 제공된 온라인 배너 광고에서 사용자 활동(user activity)이 발생한 경우에는, 제어부(210)는 통신부(220)를 통하여 접속 정보를 입력받고, 접속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특징을 결정하여 사용자 활동 수집부(230)에 송신한다.
사용자 활동 수집부(230)는 사용자 특징을 기초로 사용자 그룹 활동율(user activity ratio)을 계산한다. 여기에서, 사용자 그룹 활동율은 해당 사용자 그룹에 대한 광고 횟수당 해당 사용자 그룹의 사용자 활동 횟수를 기초로 결정된다. 예를 들어, 만일 사용자 특징(X)에 따른 사용자 그룹에 대한 광고 횟수가 1000 에 상응하고 해당 사용자 그룹의 사용자 활동의 횟수가 200 에 상응한다면, 사용자 특징(X)에 따른 사용자 그룹 활동율은 200/1000(즉, 20 %)에 상응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만일 사용자 특징(Y)에 따른 사용자 그룹에 대한 광고 횟수가 100 에 상응하고 해당 사용자 그룹의 사용자 활동의 횟수가 50 에 상응한다면, 사용자 특징(Y)에 따른 사용자 그룹 활동율은 50/100(즉, 50 %)에 상응할 수 있다.
도 3은 사용자 특징과 온라인 배너 광고의 사용자 그룹 활동율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테이블이다.
도 3에서, 테이블(300)은 메모리(250)에 저장될 수 있고, 테이블(300)의 행은 사용자 특징을 기초로 분류되며 테이블(300)의 열은 온라인 배너 광고를 기초로 분류된다. 테이블(300)은 사용자 특징에 따른 온라인 배너 광고의 사용자 그룹 활동율을 저장한다.
온라인 배너 광고(A)의 경우, 제1 사용자 특징(F1)의 사용자 그룹 활동율은 12.23 % 에 상응할 수 있고, 제2 사용자 특징(F2)의 사용자 그룹 활동율은 5.32 % 에 상응할 수 있으며, 제3 사용자 특징(F3)의 사용자 그룹 활동율은 21.5 % 에 상응할 수 있고, 제4 사용자 특징(F4)의 사용자 그룹 활동율은 4.56 % 에 상응할 수 있다. 다른 온라인 배너 광고 역시 온라인 배너 광고(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설명될 수 있다.
다시 도 2에서, 사용자 컴퓨터(110)에 특정 온라인 배너 광고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제어부(210)는 접속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특징을 결정하여 광고 선택부(240)에 송신한다.
광고 선택부(240)는 사용자 특징과 복수의 온라인 배너 광고들 각각의 사용자 그룹 활동율을 기초로 복수의 온라인 배너 광고들 중 적어도 하나를 특정 온라 인 배너 광고로 결정한다. 도 3에서, 만일 결정된 사용자 특징이 사용자 특징(F3)에 상응하는 경우에는 광고 선택부(240)는 사용자 그룹 활동율들(예를 들어, 21.5%, 23.22%, 5.5%, 0.55% ...)을 기초로 온라인 배너 광고들(광고 A, 광고 B, 광고 C, 광고 D, ...)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한다. 제어부(210)는 통신부(220)를 통하여 선택된 온라인 배너 광고를 사용자 컴퓨터(110)에 제공한다.
도 4는 도 1의 온라인 배너 광고 서버에 의한 사용자 그룹 활동율을 계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온라인 배너 광고 서버(120)는 사용자 특징에 따른 사용자 그룹에 온라인 배너 광고를 제공한다(단계 S410). 예를 들어, 도 3에서, 온라인 배너 광고 서버(120)는 사용자 특징(F1)에 따른 사용자 그룹에 속한 적어도 일부 사용자(이하, 제1 사용자)에게 온라인 배너 광고(A)를 제공할 수 있다. 온라인 배너 광고는 온라인 배너 광고 서버(120)에 접속한 사용자에게 전송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용자 활동 수집부(230)는 해당 사용자 그룹으로부터 사용자 활동을 입력받는다(단계 S420). 즉, 사용자 활동 수집부(230)는 제1 사용자 중 적어도 일부 사용자(이하, 제2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활동을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해당 사용자 그룹에 속한 사용자가 온라인 배너 광고를 클릭하거나 마우스오버한 경우 사용자 활동 수집부(23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활동을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 활동 수집부(230)는 해당 사용자 그룹에 대한 사용자 활동 횟수를 계산한다(단계 S430).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활동 수집부(230)는 소정 시간 동안 입력된 사용자 활동 횟수를 계산할 수 있다.
사용자 활동 수집부(230)는 온라인 배너 광고에 대하여 사용자 특징에 따른 사용자 그룹 활동율(user group activity ratio)을 계산한다(단계 S440). 즉, 사용자 활동 수집부(230)는 해당 사용자 그룹에 대한 광고 횟수당 해당 사용자 그룹의 사용자 활동 횟수를 기초로 사용자 그룹 활동율(user group activity ratio)을 계산한다.
도 5는 도 1의 온라인 배너 광고 서버에 의한 온라인 배너 광고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온라인 배너 광고 서버(120)는 사용자 컴퓨터(110)의 접속 정보를 입력받고 접속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특징을 결정한다(단계 S510). 접속 정보는 쿠키 또는 로긴 정보에 상응할 수 있다.
광고 선택부(240)는 사용자 특징과 복수의 온라인 광고들 각각의 사용자 그룹 활동율을 기초로 복수의 온라인 광고들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한다(단계 S520).
일 실시예에서, 광고 선택부(240)는 사용자 특징에 따른 복수의 온라인 광고들 각각의 사용자 그룹 활동율을 기초로 복수의 온라인 배너 광고들 각각에 대한 광고 선택 확률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사용자 특징(F1)의 경우, 온라인 배너 광고(A)에 대한 광고 선택 확률은 12.23 / (12.23 + 3.45 + 5.5 + 65. 2) 에 상응할 수 있고 온라인 배너 광고(B)에 대한 광고 선택 확률은 3.45 / (12.23 + 3.45 + 5.5 + 65. 2) 에 상응할 수 있다. 광고 선택부(240)는 결정된 광고 선택 확률을 기초로 복수의 온라인 광고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만일 온라인 배너 광고의 광고 총 횟수가 사전에 결정된 경우에는, 광고 선 택부(240)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광고 선택 확률을 기초로 선택된 온라인 배너 광고에 대한 광고 횟수가 소정의 값 미만인 경우에는 광고 선택부(240)는 상기 선택된 온라인 배너 광고를 변경하지 않고 선택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광고 선택부(240)는 복수의 온라인 배너 광고들 중 다른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선택부(240)는 광고 선택 확률을 기초로 복수의 온라인 배너 광고들 중 다른 하나를 다시 선택할 수 있다.
광고 선택부(240)는 광고 선택 확률을 기초로 선택된 온라인 배너 광고를 제공한다(단계 S530).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배너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 특징(user feature)을 기초로 온라인 배너 광고를 제공하여 광고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지역에 거주하는 20 대 여성에 상응할 경우, 해당 사용자 특징을 가지는 사용자에 의하여 많이 활동되는(activated) 온라인 배너 광고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배너 광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온라인 배너 광고 서버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사용자 특징과 온라인 배너 광고의 사용자 그룹 활동율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테이블이다.
도 4는 도 1의 온라인 배너 광고 서버에 의한 사용자 활동을 계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1의 온라인 배너 광고 서버에 의한 온라인 배너 광고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Claims (14)

  1. 사용자 특징과 온라인 배너 광고로 분류되고 사용자 그룹 활동률을 저장하는 테이블을 포함하는 온라인 배너 광고 서버에서 수행되는 온라인 배너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온라인 배너 광고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특징에 따른 상기 사용자 그룹 활동율을 계산하는 단계; 및
    특정 온라인 배너 광고가 제공될 경우에는 (i) 상기 복수의 온라인 배너 광고들 각각에 대한 광고 선택 확률을 계산하고 (ii) 해당 사용자 특징과 상기 계산된 광고 선택 확률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온라인 배너 광고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특정 온라인 배너 광고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그룹 활동율은 해당 사용자 그룹에 대한 광고 횟수당 상기 해당 사용자 그룹의 사용자 활동 횟수를 기초로 결정되고, 상기 사용자 그룹 활동율의 결정을 위하여 상기 해당 사용자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의 적어도 일부에게 상기 온라인 배너 광고를 제공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입력된 상기 사용자 활동 횟수를 계산하는 온라인 배너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활동은
    사용자에 의한 상기 온라인 배너 광고의 클릭 활동(click activity) 또는 마우스오버 활동(mouseover activit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배너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특징은
    사용자의 나이, 거주지, 성별 또는 웹사이트의 사용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배너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웹사이트 사용 패턴은
    상기 사용자에 의한 검색 키워드 또는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배너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온라인 배너 광고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특정 온라인 배너 광고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광고 선택 확률을 기초로 선택된 온라인 배너 광고에 대한 광고 횟수가 소정의 값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선택된 온라인 배너 광고를 상기 특정 온라인 배너 광고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배너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온라인 배너 광고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특정 온라인 배너 광고로 결정하는 단계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온라인 배너 광고들 중 다른 하나를 상기 특정 온라인 배너 광고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배너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90061676A 2009-07-07 2009-07-07 온라인 배너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078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676A KR101078016B1 (ko) 2009-07-07 2009-07-07 온라인 배너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676A KR101078016B1 (ko) 2009-07-07 2009-07-07 온라인 배너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055A KR20110004055A (ko) 2011-01-13
KR101078016B1 true KR101078016B1 (ko) 2011-10-31

Family

ID=43611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1676A KR101078016B1 (ko) 2009-07-07 2009-07-07 온라인 배너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80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763B1 (ko) * 2014-04-09 2021-06-1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사용자 장치 각각에 대한 광고 자원을 할당하는 광고 서비스 장치, 개별적으로 결정된 광고 자원 할당에 기반한 광고를 수신하는 사용자 장치, 사용자 장치 각각에 대한 광고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055A (ko) 201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03735B2 (en) Method and system for ranking information items for display
JP552626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10540695B2 (e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having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recorded thereon
US10007645B2 (en) Modifying the presentation of a content item
WO2014099892A1 (en) Learned negative targeting features for ads based on negative feedback from users
KR20140038970A (ko) 광고 지출에 관한 리턴을 갖는 다수의 속성 모델들
JP2011508319A (ja) ビデオ品質測定
EP23395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visits to a target site
US1062850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nline web site lead generation service
US20130066709A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determining contextually relevant advertisements to be provided to a web page
US20160225021A1 (en) Method and system for advertisement retargeting based on predictive user intent patterns
US10275793B2 (en) Content delivery system using natural query events
CN103412932A (zh) 推送信息推送效果的监测方法和装置
US9508087B1 (en) Identifying similar display items for potential placement of content items therein
JP2013254334A (ja) 広告配信制御システム
RU2473120C1 (ru)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и программа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US11132701B2 (en) Method and user device for generating predicted survey participation data at the user device
KR20160148015A (ko) 알림들을 생성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8793157B2 (e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method of processing reward payment, reward payment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with reward payment processing program recorded thereon
JP2002215510A (ja) 可変式広告の供給する広告手法、および広告情報の属性情報を登録しカスタマイズされた広告情報を供給する広告手法
KR101078016B1 (ko) 온라인 배너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00131362A1 (en) Advertising apparatus and methods and storage medium
US9430779B1 (en) Determining visual attributes of content items
JP6548684B2 (ja) 広告配信装置、広告配信方法、及び広告配信プログラム
US9754285B1 (en) Identifying alternate content distribution lo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