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7432B1 - 3차원 안경 장치,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안경 장치,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7432B1
KR101077432B1 KR1020100043063A KR20100043063A KR101077432B1 KR 101077432 B1 KR101077432 B1 KR 101077432B1 KR 1020100043063 A KR1020100043063 A KR 1020100043063A KR 20100043063 A KR20100043063 A KR 20100043063A KR 101077432 B1 KR101077432 B1 KR 101077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cus
unit
left eye
image
right e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3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택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3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7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02C7/081Ophthalmic lenses with variable focal lengt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2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 G02B3/14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of variable focal lengt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8Aspects relating to glasses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안경 장치,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3차원 안경 장치는 좌안용 영상을 통과시키는 좌안 렌즈부와; 우안용 영상을 통과시키는 우안 렌즈부와; 상기 좌안 렌즈부 및 우안 렌즈부를 고정시키는 안경테와; 상기 좌안 렌즈부에 장착되며 굴절률을 조절시켜 좌안의 초점을 조절하는 액체를 포함하는 좌안 초점 조절부와; 상기 우안 렌즈부에 장착되며 굴절률을 조절시켜 좌안의 초점을 조절하는 액체를 포함하는 우안 초점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3차원 안경 장치,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 3-dimension glasses apparatus, 3-dimension image display system and driving methed thereof }
본 발명은 별도의 안경 없이 사용자의 시력에 맞는 초점 조절이 가능한 3차원 안경 장치,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전에 따른 최근 디스플레이는 고해상도, 고선명도, 대화면, 및 3차원 영상 등의 사용자에게 실제에 가까운 영상을 제공하는 기술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3차원 영상 기술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3차원 영상 기술은 2차원 영상에 깊이에 대한 정보를 부여하여 보다 사실적인 영상을 표현하는 기술로서 현장에서 실물을 보는 듯한 사실감, 현실감을 제공하여 통신, 게임, 의료, 방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3차원 디스플레이는 통상 편광 안경 또는 셔터식 안경을 이용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즉, 편광 안경 방식은 두 대의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각각의 프로젝터에 서로 다른 편광을 갖은 영상을 스크린에 투사하여 사용자가 좌안과 우안에 서로 다른 편광판을 갖는 안경을 착용하고 시청하는 방식으로 구성되거나, 한 대의 프로젝터에 시간에 따른 편광이 다른 좌/우안 영상을 번갈아 가며 투사하고 사용자는 좌안과 우안에 서로 다른 편광판을 갖는 편광안경을 착용하고 시청하는 방식인 편광안경 방식이 있다.
또한, 한 대의 프로젝터로 시간에 따른 좌/우안 영상을 번갈아 가며 투사하고 사용자는 시간에 따라 좌우 안경의 셔터가 변화하는 셔터식 안경을 착용하고 시청하는 셔터 안경 방식이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안경 없이 사용자의 시력에 맞는 초점 조절이 가능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좌안용 영상을 통과시키는 좌안 렌즈부와;
우안용 영상을 통과시키는 우안 렌즈부와;
상기 좌안 렌즈부 및 우안 렌즈부를 고정시키는 안경테와;
상기 좌안 렌즈부에 장착되며 굴절률을 조절시켜 좌안의 초점을 조절하는 액체를 포함하는 좌안 초점 조절부와;
상기 우안 렌즈부에 장착되며 굴절률을 조절시켜 좌안의 초점을 조절하는 액체를 포함하는 우안 초점 조절부를 포함하는 3차원 안경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굴절률을 조절시켜 좌안 및 우안의 초점을 조절하는 액체를 포함하는 초점 조절부를 포함하는 3차원 안경 장치와;
사용자가 입력한 초점 조절 명령에 의해 초점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3차원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3차원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3차원 안경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입력부로 초점 조절 명령을 입력하는 단계와;
3차원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에 좌안 초점 조절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좌안 초점 조절 화면을 보면서 상기 3차원 안경 장치의 좌안 렌즈부에 부착된 좌안 초점 조절부의 액체의 굴절률을 조절하여 좌안 초점 조절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좌안 초점 조절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좌안 초점 조절이 완료된 경우, 3차원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에 우안 초점 조절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우안 초점 조절 화면을 보면서 상기 3차원 안경 장치의 우안 렌즈부에 부착된 우안 초점 조절부의 액체의 굴절률을 조절하여 우안 초점 조절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동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별도의 안경 없이 사용자의 시력에 맞는 초점 조절이 가능하여 최적의 3차원 화면을 시각(視覺)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좌안 또는 우안의 시력 특성이 각각 다른 사람의 경우, 각각의 눈의 시력에 맞는 초점 조절이 가능하고, 눈의 피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안경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안경 장치의 초절 조절부가 초점이 조절되기 전(前)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안경 장치의 초절 조절부가 초점이 조절되기 후(後)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안경 장치의 용적 변화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라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디스플레이에 초점 조절 화면을 이용하여 초점이 조절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3차원 안경 장치의 기능 구성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동 방법의 개략적인 플로우챠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안경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안경 장치는 좌안용 영상을 통과시키는 좌안 렌즈부와; 우안용 영상을 통과시키는 우안 렌즈부와; 상기 좌안 렌즈부 및 우안 렌즈부를 고정시키는 안경테와; 상기 좌안 렌즈부에 장착되며 굴절률을 조절시켜 좌안의 초점을 조절하는 액체가 구비되는 좌안 초점 조절부와; 상기 우안 렌즈부에 장착되며 굴절률을 조절시켜 좌안의 초점을 조절하는 액체가 구비되는 우안 초점 조절부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3차원 안경 장치는 상기 좌안 렌즈부 및 우안 렌즈부 각각에 초점 조절부가 장착되어 시력이 나쁜 사용자도 별도의 시력 보정용 안경을 착용하지 않아도 3차원 영상에 초점이 맞추어진 상태로 3차원 영상을 시각(視覺)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도 1의 확대 영역에는 우안 렌즈부(110)에 초점 조절부(200)가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좌안 렌즈부와 상기 우안 렌즈부는 통상적으로 3차원 영상을 사용자가 입체적으로 시각할 수 있는 모든 렌즈부를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좌안 렌즈부와 상기 우안 렌즈부는 3차원 영상을 서로 다른 각도로 사물을 인식하도록 설정되어 사용자 입체적으로 느낄 수 있는 것으로, 편광판과 셔터 글라스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별도의 안경 없이 사용자의 시력에 맞는 초점 조절이 가능하여 최적의 3차원 화면을 시각(視覺)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안경 장치의 초절 조절부가 초점이 조절되기 전(前)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안경 장치의 초절 조절부가 초점이 조절되기 후(後)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안경 장치의 용적 변화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초점 조절부(200)는 챔버(210)와; 상기 챔버(210) 내부에 담겨져 있고, 밀도에 따라 굴절률이 변화되는 액체(220)와; 상기 챔버(210) 내부의 용적을 변화시켜, 상기 챔버(210) 내부의 용적에 따라 상기 액체(220)의 밀도가 다르게 되어 굴절률을 변화시키는 용적 변화부(230)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3차원 안경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는 3차원 영상(A)이 흐릿하게 보일 경우, 상기 초점 조절부(200)의 상기 용적 변화부(230)로 상기 챔버(210) 내부의 용적을 변화시켜 상기 액체(220)의 밀도를 변화시킨다.
즉, 도 2의 상태에서 상기 액체(220)의 용적이 변화된 도 3의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액체(220)의 밀도를 제어하여 상기 액체(220)의 굴절률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3차원 영상(A)의 초점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밀도가 변화되면 굴절률이 변화되는 액체, 즉, 액상의 물질은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그 종류가 많아 나열하는 것은 생략한다.
이러한 초점 조절부(200)의 상기 용적 변화부(230)는 상기 챔버(210)의 용적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구성 및 구조를 적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그 일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적 변화부(230)는 상기 챔버(210) 내부로 이동되어 상기 액체(220)의 용적을 변화시키는 조절봉(231)과; 상기 조절봉(231)을 이동시키는 이송부(23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초점 조절을 명령(여기서, 상기 이송부(232)를 구동하는 명령)하는 경우, 상기 이송부(232)는 동작되어 상기 조절봉(231)을 상기 챔버(210) 내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액체(220) 밀도가 변화되고, 상기 액체(220)의 굴절률이 변화되어 초점이 조절되는 것이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라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디스플레이에 초점 조절 화면을 이용하여 초점이 조절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굴절률을 조절시켜 좌안 및 우안의 초점을 조절하는 액체가 구비되는 초점 조절부를 포함하는 3차원 안경 장치와; 사용자가 입력한 초점 조절 명령에 의해 초점 화면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3차원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도 6의 3차원 표시 장치(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상기 초점 조절 명령을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가 더 마련되어 있는 것이 좋다.
상기 입력부는 리모컨(500) 또는 상기 3차원 표시 장치(600)에 구비된 컨트롤 입력단자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3차원 표시 장치(600)는 초점 화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630)와; 상기 초점 화면 데이터로 초점 화면 영상을 생성하는 초점 화면 생성부(640)와; 상기 초점 화면 생성부(640)에서 생성된 초점 화면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650)와; 상기 영상 처리부(650)에서 처리된 초점 화면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660)와; 사용자가 입력한 초점 조절 명령을 전달받아 상기 메모리부(630)에 저장되어 있는 초점 화면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초점 화면 생성부(640)로 제공하여 초점 화면 영상의 생성을 제어하고, 상기 초점 화면 생성부(640)에서 생성된 초점 화면 영상을 상기 영상 처리부(650)에서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620)을 포함한다.
상기 3차원 표시 장치(600)에는 상기 입력부가 리모컨(500)인 경우, 상기 리모컨(500)에서 전송된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마이컴(620)으로 신호를 발생하는 리모컨 신호 수신부(6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상기 3차원 안경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초점 조절 명령을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하면, 상기 3차원 표시 장치(600)의 상기 마이컴(620)은 상기 메모리부(630)에 저장되어 있는 초점 화면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초점 화면 생성부(640)로 전달한다.
상기 초점 화면 생성부(640)는 상기 초점 화면 데이터로 초점 화면의 영상의 생성하고, 상기 초점 화면 생성부(640)에서 생성된 초점 화면의 영상은 상기 영상 처리부(650)에서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660)에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660)에서 표시된 초점 화면(310)은 예컨대, 도 5a 및 도 5b와 같이 초점 조절을 위한 특정 이미지(320,321)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특정 이미지는 선명도가 다단으로 구분된 이미지로도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660)에서 표시된 초점 화면(310)을 상기 3차원 안경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를 보면서 상기 3차원 안경 장치의 좌안 및 우안의 초점을 조절하는 액체의 굴절률을 조절하여 상기 초점 화면(310)에서 초점을 맞출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도 5a는 초점이 맞추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특정 이미지(320)가 흐릿하게 보이게 되고, 초점을 맞추게 되면 도 5b와 같이 상기 특정 이미지(321)가 진하게 보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3차원 안경 장치의 좌안 및 우안의 초점을 조절하는 액체의 굴절률을 조절하는 것은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용적 변화부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3차원 안경 장치의 기능 구성 블록도이다.
초점 조절 명령을 입력부가 리모컨(500)인 경우, 상기 리모컨(500)에는 전술된 바와 같은 용적 변화부(참고로 도 4)의 이송부(153)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 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3차원 안경 장치(150)에는 상기 리모컨(500)의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컨 신호 수신부(151)와; 상기 리모컨 신호 수신부(151)에서 수신된 리모컨 신호를 입력받아, 조절봉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어신호를 상기 이송부(153)으로 출력하는 제어부(15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3차원 안경 장치(150)를 착용한 사용자가 상기 리모컨(500)의 입력 단자를 눌러서 초점 조절을 수행하면, 상기 리모컨(500)은 리모컨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리모컨 신호 수신부(151)는 상기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52)로 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제어부(152)는 상기 이송부(153)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조절봉을 이동하게 됨으로써, 초점 조절이 수행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동 방법의 개략적인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3차원 안경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입력부로 초점 조절 명령을 입력한다.(S100단계)
그 후, 3차원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에 좌안 초점 조절 화면을 표시한다.(S110단계)
계속, 상기 좌안 초점 조절 화면을 보면서 상기 3차원 안경 장치의 좌안 렌즈부에 부착된 좌안 초점 조절부의 액체의 굴절률을 조절하여 좌안 초점 조절을 수행한 후, 상기 좌안 초점 조절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20단계)
그 다음, 상기 좌안 초점 조절이 완료된 경우, 3차원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에 우안 초점 조절 화면을 표시한다.(S130단계)
상기 우안 초점 조절 화면을 보면서 상기 3차원 안경 장치의 우안 렌즈부에 부착된 우안 초점 조절부의 액체의 굴절률을 조절하여 우안 초점 조절을 수행한 후, 상기 우안 초점 조절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40단계)
이어서, 상기 우안 초점 조절이 완료되었으면, 초점 조절 동작을 종료한다.
여기서, 상기 우안 초점 조절이 완료되었으면, 'S150'단계인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3차원 화면을 표시하는 스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좌안 초점 조절을 수행한 후, 우안 초점 조절을 수행하는데, 이의 순서는 바뀌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좌안 초점 조절 및 우안 초점 조절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좌안 또는 우안의 시력 특성이 각각 다른 사람의 경우, 각각의 운의 시력에 맞는 초점 조절이 가능하고, 눈의 피로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3)

  1. 좌안용 영상을 통과시키는 좌안 렌즈부와;
    우안용 영상을 통과시키는 우안 렌즈부와;
    상기 좌안 렌즈부 및 우안 렌즈부를 고정시키는 안경테와;
    상기 좌안 렌즈부에 장착되며 굴절률을 조절시켜 좌안의 초점을 조절하는 액체를 포함하는 좌안 초점 조절부와;
    상기 우안 렌즈부에 장착되며 굴절률을 조절시켜 안의 초점을 조절하는 액체를 포함하는 우안 초점 조절부를 포함하는 3차원 안경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초점 조절부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부에 담겨져 있고, 밀도에 따라 굴절률이 변화되는 액체와;
    상기 챔버 내부의 용적을 변화시켜, 상기 챔버 내부의 용적에 따라 상기 액체의 밀도가 다르게 되어 굴절률을 변화시키는 용적 변화부를 포함하는 3차원 안경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용적 변화부는,
    상기 챔버 내부로 이동되어 상기 액체의 용적을 변화시키는 조절봉과;
    상기 조절봉을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3차원 안경 장치.
  4. 굴절률을 조절시켜 좌안 및 우안의 초점을 조절하는 액체를 포함하는 초점 조절부를 포함하는 3차원 안경 장치와;
    사용자가 입력한 초점 조절 명령에 의해 초점 화면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3차원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3차원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상기 초점 조절 명령을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가 더 마련되어 있는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리모컨 또는 상기 3차원 표시 장치에 포함된 컨트롤 입력단자인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3차원 표시 장치는,
    초점 화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와;
    상기 초점 화면 데이터로 초점 화면 영상을 생성하는 초점 화면 생성부와; 상기 초점 화면 생성부에서 생성된 초점 화면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와;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처리된 초점 화면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가 입력한 초점 조절 명령을 전달받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초점 화면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초점 화면 생성부로 제공하여 초점 화면 영상의 생성을 제어하고, 상기 초점 화면 생성부에서 생성된 초점 화면 영상을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초점 조절 명령은,
    상기 사용자가 리모컨의 단자를 눌러서 수행하는 것이고,
    상기 3차원 표시 장치는,
    상기 리모컨에서 전송된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마이컴으로 신호를 발생하는 리모컨 신호 수신부가 구비된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안경 장치는,
    상기 좌안용 영상을 통과시키는 좌안 렌즈부와;
    우안용 영상을 통과시키는 우안 렌즈부와;
    상기 좌안 렌즈부 및 우안 렌즈부를 고정시키는 안경테와;
    상기 좌안 렌즈부에 장착되며 굴절률을 조절시켜 좌안의 초점을 조절하는 액체를 포함하는 좌안 초점 조절부와;
    상기 우안 렌즈부에 장착되며 굴절률을 조절시켜 안의 초점을 조절하는 액체를 포함하는 우안 초점 조절부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초점 조절부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부에 담겨져 있고, 밀도에 따라 굴절률이 변화되는 액체와;
    상기 챔버 내부의 용적을 변화시켜, 상기 챔버 내부의 용적에 따라 상기 액체의 밀도가 다르게 되어 굴절률을 변화시키는 용적 변화부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초점 조절 명령은,
    상기 사용자가 리모컨의 단자를 눌러서 수행하는 것이고,
    상기 리모컨에는,
    상기 용적 변화부의 이송부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 단자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안경 장치는,
    상기 리모컨의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컨 신호 수신부와;
    상기 리모컨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된 리모컨 신호를 입력받아, 조절봉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어신호를 상기 이송부으로 출력하는 제어부가 포함된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13. 3차원 안경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입력부로 초점 조절 명령을 입력하는 단계와;
    3차원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에 좌안 초점 조절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좌안 초점 조절 화면을 보면서 상기 3차원 안경 장치의 좌안 렌즈부에 부착된 좌안 초점 조절부의 액체의 굴절률을 조절하여 좌안 초점 조절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좌안 초점 조절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좌안 초점 조절이 완료된 경우, 3차원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에 우안 초점 조절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우안 초점 조절 화면을 보면서 상기 3차원 안경 장치의 우안 렌즈부에 부착된 우안 초점 조절부의 액체의 굴절률을 조절하여 우안 초점 조절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동 방법.
KR1020100043063A 2010-05-07 2010-05-07 3차원 안경 장치,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077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063A KR101077432B1 (ko) 2010-05-07 2010-05-07 3차원 안경 장치,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063A KR101077432B1 (ko) 2010-05-07 2010-05-07 3차원 안경 장치,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7432B1 true KR101077432B1 (ko) 2011-10-26

Family

ID=45033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3063A KR101077432B1 (ko) 2010-05-07 2010-05-07 3차원 안경 장치,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74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91975A (zh) * 2016-08-31 2017-01-04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一种3d屈光眼镜片、3d屈光眼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9902A (ja) 1999-03-02 2000-09-14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自動焦点調節眼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9902A (ja) 1999-03-02 2000-09-14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自動焦点調節眼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91975A (zh) * 2016-08-31 2017-01-04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一种3d屈光眼镜片、3d屈光眼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51320A1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focus adjustment of displays
JP2019091051A (ja) 表示装置、およびフォーカスディスプレイとコンテキストディスプレイを用いた表示方法
JP3802630B2 (ja) 立体画像生成装置および立体画像生成方法
US20150187115A1 (en) Dynamically adjustable 3d goggles
US10466485B2 (en) Head-mounted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generating 3D image information
CN101587386B (zh) 光标处理方法、装置及系统
WO2010084716A1 (ja) 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画像処理方法、記録方法および記録媒体
TW201910861A (zh) 近眼顯示系統及其操作方法
US20070171276A1 (en) 3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ing detected eye information
JP2014219621A (ja) 表示装置、表示制御プログラム
WO2013074753A1 (en) Display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imulating an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CN103392342A (zh) 视区调整的方法和装置、能实现立体显示视频信号的设备
WO201217593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US20150245014A1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in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CN103442244A (zh) 3d眼镜、3d显示系统及3d显示方法
CN104539935A (zh) 图像亮度的调节方法及调节装置、显示装置
JP2018085724A (ja) ユーザの目のための3dレンダリング方法及び装置
CN102157012A (zh) 对场景进行立体渲染的方法、图形图像处理装置及设备、系统
JP4270347B2 (ja) 距離演算装置
JP2012513604A (ja) 光学レンズの光学効果をシミュレーション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Ebner et al. Video see-through mixed reality with focus cues
JP2012513604A5 (ko)
KR20100041994A (ko) 시각피로 없는 안경식 스테레오스코픽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및 굴절률 가변 셔터 안경
KR20120024468A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206833075U (zh) 头戴式显示设备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