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7220B1 - 수력발전 구조물 - Google Patents

수력발전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7220B1
KR101077220B1 KR1020100083820A KR20100083820A KR101077220B1 KR 101077220 B1 KR101077220 B1 KR 101077220B1 KR 1020100083820 A KR1020100083820 A KR 1020100083820A KR 20100083820 A KR20100083820 A KR 20100083820A KR 101077220 B1 KR101077220 B1 KR 101077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s
flow path
upstream side
flow rate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3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옥
정해권
정준홍
Original Assignee
정광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광옥 filed Critical 정광옥
Priority to KR1020100083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7220B1/ko
Priority to PCT/KR2011/005619 priority patent/WO2012030074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6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 F03B17/061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flow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9/00Water-power plants; Layout, construction or equipment, methods of, or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B9/02Water-ways
    • E02B9/04Free-flow canals or flumes; Int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08Machine or engine aggregates in dams or the like; Conduits therefor, e.g. diffu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26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tide energy
    • F03B13/264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tide energy using the horizontal flow of water resulting from tide mov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ograph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Hydraulic Turb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파일(100); 복수의 파일(100) 중 최외측에 설치된 파일(100a)에서 상류측을 향하여 외측으로 연장설치된 유량 증대부재(200); 복수의 파일(100) 중 중앙부에 설치된 파일(100b)에서 상류측을 향하여 내측으로 연장설치된 유로 차단부재(300); 유량 증대부재(200) 및 유로 차단부재(300)의 내측 영역에 의해 형성된 유로에 설치된 수차(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력발전 구조물을 제시함으로써, 댐을 전제로 하지 않으면서도, 하천의 수력을 효율적으로 전기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수력발전 구조물{STRUCTURE FOR WATERPOWER GENERATION}
본 발명은 토목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수력발전을 위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바다의 조력, 하천의 수력 등은 환경오염을 거의 수반하지 않는 청정 에너지원이므로,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시도되어 왔다.
특히, 하천의 경우 일정한 방향을 향하여 지속적으로 물의 흐름이 이루어지므로, 수차(발전용 프로펠러)를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발전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바다의 조력 발전에 비해 발전 설비의 제작 및 운용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종래 하천의 수력발전은, 하천에 댐을 구축하고 그 댐의 낙차에 의해 발생하는 물의 위치에너지를 수차의 운동에너지로 변화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왔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댐을 시공해야 하는 수고와 비용의 소요가 크다는 점, 댐의 저류부에 의한 수몰지역이 발생한다는 점 등의 문제가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댐을 전제로 하지 않으면서도, 하천의 수력을 효율적으로 전기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수력발전 구조물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상호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파일(100); 상기 복수의 파일(100) 중 최외측에 설치된 파일(100a)에서 상류측을 향하여 외측으로 연장설치된 유량 증대부재(200); 상기 복수의 파일(100) 중 중앙부에 설치된 파일(100b)에서 상류측을 향하여 내측으로 연장설치된 유로 차단부재(300); 상기 유량 증대부재(200) 및 유로 차단부재(300)의 내측 영역에 의해 형성된 유로에 설치된 수차(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력발전 구조물을 제시한다.
상기 유량 증대부재(200)는 외측으로 만곡진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량 증대부재(200)의 외측 단부는 상류측을 향하여 뾰족한 유선형 구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량 증대부재(200)는 상기 복수의 파일(100) 중 최외측에 설치된 2개의 파일(100a)에서 상류측을 향하여 각각 외측으로 연장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로 차단부재(300)는 내측으로 만곡진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로 차단부재(300)는 상류측 단부가 뾰족한 유선형 구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로 차단부재(300)는 하류측 단부가 복수의 상기 파일(100b)에 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일(100)은 상류측 및 하류측 단부가 뾰족한 유선형 구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차(10)는 상기 복수의 파일(100)의 사이 영역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파일(100)의 상부에는 지상에서 연장된 데크(110)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차(10)의 하부 영역에는 웨어(12)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웨어(12)는 상류측 경사가 가파르고, 하류측 경사가 완만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파일(100)의 하류측에는 복수의 2열 파일(120)이 상호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파일(100)과 2열 파일(120) 사이에는 유로 형성부재(400)가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2열 파일(120)의 내측 영역에 의해 형성된 유로에는 상기 수차(10)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댐을 전제로 하지 않으면서도, 하천의 수력을 효율적으로 전기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수력발전 구조물을 제시한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제1 실시예의 평면도.
도 2는 제2 실시예의 평면도.
도 3은 제2 실시예의 정면도.
도 4는 제2 실시예의 측면도.
도 5는 제3 실시예의 평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력발전 구조물은 기본적으로, 상호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파일(100); 복수의 파일(100) 중 최외측에 설치된 파일(100a)에서 상류측을 향하여 외측으로 연장설치된 유량 증대부재(200); 복수의 파일(100) 중 중앙부에 설치된 파일(100b)에서 상류측을 향하여 내측으로 연장설치된 유로 차단부재(300); 유량 증대부재(200) 및 유로 차단부재(300)의 내측 영역에 의해 형성된 유로에 설치된 수차(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먼저 하천에 복수의 파일(100)을 설치하고, 이를 기준으로 유량 증대부재(200) 및 유로 차단부재(300)를 설치함으로써, 이들 유량 증대부재(200) 및 유로 차단부재(300)에 의해 하천의 유량이 수차(10)가 설치된 영역으로 집중하여, 유속을 크게 함에 따라 수차(10)의 회전속도를 높여 발전효율을 높이도록 한 것이다.
이는 하천에서 발전설비의 설치를 위하여 일정한 유량 및 수심이 확보되는 지역이면, 종래와 같이 댐을 설치하지 않으면서도 효율적인 수력발전을 가능하게 하므로, 댐 시공에 의한 수몰지역 발생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수력발전소의 시공을 위한 수고와 비용을 절감하며, 효율적인 수력발전을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가 있다.
유량 증대부재(200)는 하천을 흐르는 물이 발전용 유로(수차(10)가 설치된 영역)에 집중되도록 하여, 유량 및 유속을 키우기 위한 부재이다.
유량 증대부재(200)는 파일(100a)의 상류측을 향하여 판형 구조의 부재를 외측으로 만곡진 구조로 설치하는 것이 시공의 편의성 및 발전의 효율성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유량 증대부재(200)의 외측 단부에 와류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 유량 증대부재(200)의 외측 단부는 상류측을 향하여 뾰족한 유선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량 증대부재(200)의 외측 단부의 내측은 쇄석, 콘크리트 등의 충전재에 의해 충전하여 강성을 증대할 수 있다.
하천의 물이 효율적으로 발전용 유로로 집중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유량 증대부재(200)는 복수의 파일(100) 중 최외측에 설치된 2개의 파일(100a)에서 상류측을 향하여 각각 외측으로 연장설치된 구조(외측을 향하여 벌어진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로 차단부재(300)는 복수의 파일(100) 사이에 형성된 영역 중 발전용 유로를 형성하지 않는 영역(도 1의 100b와 100b 사이)으로의 물의 흐름을 차단하고, 차단된 물을 발전용 유로로 돌리기 위한 부재이다.
이러한 유로 차단부재(300)는 내측으로 만곡진 구조를 취하는 것이 원활한 물의 흐름의 유도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이와 마찬가지 이유로, 유로 차단부재(300)가 2개의 판형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상류측 단부가 뾰족한 유선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로 차단부재(300)의 구조는 그 유로 차단부재(300)의 하류측 단부가 복수의 파일(100b)에 결합하는 경우, 구현이 용이하다.
유로 차단부재(300)의 상류측 단부 내측의 경우에도, 쇄석, 콘크리트 등의 충전재에 의해 충전하여 강성을 증대할 수 있다.
전체 구조물 시공의 기준이 되는 파일(100)은 일반적인 원형 단면의 구조를 취할 수도 있으나, 파일(100)의 상류측 및 하류측 단부가 뾰족한 유선형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시공이 간편하고, 발전용 유로에서 물의 흐름에 대한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추가된다.
수차(10)는 발전용 유로의 영역 중 어디에 설치되더라도 관계없으나, 복수의 파일(100)의 사이 영역에 설치되는 것이 시공도 간편하고, 수력의 부하를 집중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물의 흐름이 파일 및 수차의 저항을 동시에 받게 되므로).
복수의 파일(100)의 상부에 지상에서 연장된 데크(110)를 설치하는 경우, 수력발전 구조물의 시공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추가된다(도 2).
이때, 파일(100)은 교각의 역할을 하게 되고, 데크(110)는 교량 상판의 역할을 하게 된다.
수차(10)의 하부 영역에는 웨어(weir)(12)가 형성됨으로써, 이를 넘는 물의 흐름의 부하가 수차(10)에 집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4).
구체적으로, 웨어(12)는 상류측 경사가 가파르고, 하류측 경사가 완만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나아가, 복수의 파일(100)의 하류측에는 복수의 2열 파일(120)이 상호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파일(100)과 2열 파일(120) 사이에는 유로 형성부재(400)가 설치되며, 복수의 2열 파일(120)의 내측 영역에 의해 형성된 유로에는 수차(10)가 설치된 구조를 취하는 경우, 기왕에 형성된 발전용 유로에 대하여 복수의 수차(10)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더욱 우수한 발전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도 5).
유량 및 유속이 좋은 하천의 경우, 2열 파일(120) 뒤에 3열 파일(140) 및 유로 형성부재(400)를 추가하여 더욱 많은 수차(1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수력발전 구조물이 하천에 설치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바다 기타의 경우에도 일정 방향으로의 물의 흐름이 있는 지역이면 어디든지 설치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수차 12 : 웨어
100,100a,100b : 파일 110 : 데크
200 : 유량 증대부재 300 : 유로 차단부재
400 : 유로 형성부재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상호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파일(100);
    상기 복수의 파일(100) 중 최외측에 설치된 파일(100a)에서 상류측을 향하여 외측으로 연장설치된 유량 증대부재(200);
    상기 복수의 파일(100) 중 중앙부에 설치된 파일(100b)에서 상류측을 향하여 내측으로 연장설치된 유로 차단부재(300);
    상기 유량 증대부재(200) 및 유로 차단부재(300)의 내측 영역에 의해 형성된 유로에 설치된 수차(10);를 포함하고,
    상기 유량 증대부재(200)는 상기 복수의 파일(100) 중 최외측에 설치된 2개의 파일(100a)에서 상류측을 향하여 각각 외측으로 연장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력발전 구조물.
  5. 상호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파일(100);
    상기 복수의 파일(100) 중 최외측에 설치된 파일(100a)에서 상류측을 향하여 외측으로 연장설치된 유량 증대부재(200);
    상기 복수의 파일(100) 중 중앙부에 설치된 파일(100b)에서 상류측을 향하여 내측으로 연장설치된 유로 차단부재(300);
    상기 유량 증대부재(200) 및 유로 차단부재(300)의 내측 영역에 의해 형성된 유로에 설치된 수차(10);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 차단부재(300)는 내측으로 만곡진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력발전 구조물.
  6. 상호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파일(100);
    상기 복수의 파일(100) 중 최외측에 설치된 파일(100a)에서 상류측을 향하여 외측으로 연장설치된 유량 증대부재(200);
    상기 복수의 파일(100) 중 중앙부에 설치된 파일(100b)에서 상류측을 향하여 내측으로 연장설치된 유로 차단부재(300);
    상기 유량 증대부재(200) 및 유로 차단부재(300)의 내측 영역에 의해 형성된 유로에 설치된 수차(10);를 포함하고,
    상기 유량 증대부재(200)는 외측으로 만곡진 구조이며,
    상기 유량 증대부재(200)의 외측 단부는 상류측을 향하여 뾰족한 유선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유로 차단부재(300)는 상류측 단부가 뾰족한 유선형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력발전 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차단부재(300)는 하류측 단부가 복수의 상기 파일(100b)에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력발전 구조물.
  8. 상호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파일(100);
    상기 복수의 파일(100) 중 최외측에 설치된 파일(100a)에서 상류측을 향하여 외측으로 연장설치된 유량 증대부재(200);
    상기 복수의 파일(100) 중 중앙부에 설치된 파일(100b)에서 상류측을 향하여 내측으로 연장설치된 유로 차단부재(300);
    상기 유량 증대부재(200) 및 유로 차단부재(300)의 내측 영역에 의해 형성된 유로에 설치된 수차(10);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100)은 상류측 및 하류측 단부가 뾰족한 유선형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력발전 구조물.
  9. 상호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파일(100);
    상기 복수의 파일(100) 중 최외측에 설치된 파일(100a)에서 상류측을 향하여 외측으로 연장설치된 유량 증대부재(200);
    상기 복수의 파일(100) 중 중앙부에 설치된 파일(100b)에서 상류측을 향하여 내측으로 연장설치된 유로 차단부재(300);
    상기 유량 증대부재(200) 및 유로 차단부재(300)의 내측 영역에 의해 형성된 유로에 설치된 수차(10);를 포함하고,
    상기 수차(10)는 상기 복수의 파일(100)의 사이 영역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력발전 구조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파일(100)의 상부에는 지상에서 연장된 데크(11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력발전 구조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차(10)의 하부 영역에는 웨어(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력발전 구조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12)는 상류측 경사가 가파르고, 하류측 경사가 완만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력발전 구조물.
  13. 제4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파일(100)의 하류측에는 복수의 2열 파일(120)이 상호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파일(100)과 2열 파일(120) 사이에는 유로 형성부재(400)가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2열 파일(120)의 내측 영역에 의해 형성된 유로에는 상기 수차(1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력발전 구조물.
KR1020100083820A 2010-08-30 2010-08-30 수력발전 구조물 KR101077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820A KR101077220B1 (ko) 2010-08-30 2010-08-30 수력발전 구조물
PCT/KR2011/005619 WO2012030074A2 (ko) 2010-08-30 2011-07-29 수력발전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820A KR101077220B1 (ko) 2010-08-30 2010-08-30 수력발전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7220B1 true KR101077220B1 (ko) 2011-10-27

Family

ID=45033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3820A KR101077220B1 (ko) 2010-08-30 2010-08-30 수력발전 구조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77220B1 (ko)
WO (1) WO2012030074A2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66668A (en) 1978-11-14 1980-05-20 Itsuo Saito Waterway structure for waterwheel utilizing sea water
US20080088132A1 (en) 2006-10-17 2008-04-17 Laube Von Laubenfels Walter He Wave rid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671U (ko) * 1990-06-22 1992-02-27
KR20000027657A (ko) * 1998-10-29 2000-05-15 강문규 조력발전기
KR101001628B1 (ko) * 2008-07-25 2010-12-16 김가영 수면상에 설치되는 조력 발전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66668A (en) 1978-11-14 1980-05-20 Itsuo Saito Waterway structure for waterwheel utilizing sea water
US20080088132A1 (en) 2006-10-17 2008-04-17 Laube Von Laubenfels Walter He Wave ri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30074A3 (ko) 2012-05-10
WO2012030074A2 (ko) 201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7286B2 (ja) 水力発電装置
JP4705086B2 (ja) 水力発電装置
US2015020430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hydroelectric systems
JP6061151B2 (ja) 水車を利用した水力発電構造物
JP4856134B2 (ja) 水力発電装置
JP6020988B2 (ja) 水力発電装置
US20160032888A1 (en) A Power Generating Water Turbine Assembly
JP2013538314A5 (ko)
KR20130016783A (ko) 조류발전장치
KR101233137B1 (ko) 교각의 충돌방지 구조물을 이용한 조류발전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0415748Y1 (ko) 부유식 수력발전 장치
JP2005155334A (ja) 水力エネルギ回収ユニット
KR20110107885A (ko) 프로펠러를 이용한 수중 조류발전기
KR101077220B1 (ko) 수력발전 구조물
JP4669899B2 (ja) 水流加速用の構築体
US2019003262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hydroelectric systems incorporating artificial barriers with cross-flow turbines
WO2016200862A1 (en) Modular hydrokinetic turbine
JP2013068196A (ja) 水力発電装置
WO2017060732A1 (en) Turbine system
JP6782378B1 (ja) 幅が狭く低流速の水路において利用可能な水力発電システム
KR101055538B1 (ko) 유속증가를 위한 프리캐스트 벽식 복합 발전구조물
JP2014118961A (ja) 開放周流形水車を用いた段差式水車発電設備
KR20130114557A (ko) 수로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장치
JP5469124B2 (ja) 水力発電装置
GB2493003A (en) Deflector for marine current turb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