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7024B1 - projector typed mobile - Google Patents

projector typed mob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7024B1
KR101077024B1 KR1020090027497A KR20090027497A KR101077024B1 KR 101077024 B1 KR101077024 B1 KR 101077024B1 KR 1020090027497 A KR1020090027497 A KR 1020090027497A KR 20090027497 A KR20090027497 A KR 20090027497A KR 101077024 B1 KR101077024 B1 KR 101077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optical mouse
proj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74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09087A (en
Inventor
이훈재
최원복
이정선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최원복
이훈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복, 이훈재 filed Critical 최원복
Priority to KR1020090027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7024B1/en
Publication of KR20100109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0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0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ojector or beamer module assemb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Abstract

본 발명은 포로젝터형 무선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다수개의 번호키와 숫자키를 포함하는 키패드와, 데이터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출력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데이터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 및 처리하는 제어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에 결합되는 프로젝터 모듈과,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입력을 위한 광마우스 포인터와, 상기 광마우스 포인터에서 반사된 광을 수광하여 입력신호로 전환하는 수광전환부; 및 상기 광마우스 포인터 및 상기 수광전환부를 연결하여 광을 가이드 하는 광섬유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jector-typ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keypad including a plurality of number keys and numeric keys,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nd displaying data or applications, and a control circuit unit for controlling and processing the data or application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projector module coupled to the main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 optical mouse pointer for inpu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light received from the optical mouse pointer to be converted into an input signal. A light receiving switching unit; And an optical fiber for guiding light by connecting the optical mouse pointer and the light receiving switch.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제공하면, 액정화면 보다 수십배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말기와 연결된 광마우스 포인터로 쉽게 프로그램을 조작할 수 있게 되어, PC의 상당 부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단말기에 쉽게 탈장착 시킬 수 있어서 휴대가 용이하게 된다.By providing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several tens of times larger than the LCD screen, but also can easily operate the program with the optical mouse pointer connected to the terminal,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function of a large portion of the PC Will be obtained. In addition, the terminal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thereby making it easy to carry.

광 마우스, 프로젝터, 스크린, 포인터, 광섬유, 레이저 광 Optical mouse, projector, screen, pointer, fiber optic, laser light

Description

프로젝터형 무선통신단말기 {projector typed mobile}Projector typ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projector typed mobile}

본 발명은 휴대 복합 단말기의 프리젠테이션 기능 구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 영상기기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추가하여 휴대 복합 단말기에 저장된 내용을 이와 연결된 외부 영상기기에 출력할 수 있게 한 휴대 복합 단말기 의 프리젠테이션 기능 구현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presentation function of a portable composite terminal.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for controlling an external imaging apparatu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omposite terminal capable of outputting contents stored in the portable composite terminal to an external image apparatus connected there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presentation function.

최근 들어, 하이엔드(High-End)급의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등을 통칭하는 휴대 복합 단말기는, 메인 CPU 및 서브 CPU의 성능 향상, 플래시 메모리의 저장 공간 증대, 2D/3D 그래픽 등 다양한 기능이 집약되어, 단순한 음성 통화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멀티미디어 단말기로써의 역할을 하고 있다.In recent years, portable composite terminal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high-end mobile phones,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smart phones, and the like have improved performance of main CPUs and sub-CPUs and storage space of flash memory. Various functions such as augmentation and 2D / 3D graphics are concentrated to serve as a multimedia terminal, not merely providing a voice call service.

이와 같은 휴대 복합 단말기에 있어서, 모든 데이터의 기본 단위가 같은 디지털 데이터의 특성을 활용하여 동일한 저장 공간에 게임, MP3, 사진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여 하나의 CPU로 구동시킬 수 있게 되었다.In such a portable composite terminal, the basic unit of all the data can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me digital data to store data such as games, MP3s, photos, etc. in the same storage space and can be driven by a single CPU.

따라서, 앞으로 등장할 휴대 복합 단말기는 400MHz급의 빠른 CPU와 64MB이상 의 많은 저장 공간, 그리고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가지며, WinCE, Symbian, Palm 등의 강력한 OS(Operation System)가 탑재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Therefore, the mobile handheld terminal that will emerge in the future has a fast 400MHz class CPU, more than 64MB of storage space, and more than one display is expected to be equipped with a powerful operating system (OS) such as WinCE, Symbian, Palm.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하면 휴대 복합 단말기를 다른 영상 기기에 연결하여 프리젠테이션 할 수 있는 기능은 개발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프리젠테이션이라 하면 연구 내용의 발표, 계획서나 사업 설명서 등의 발표, 세미나에서의 발표 등을 총칭하는 것으로, 다수의 사람들에게 자신의 주장이나 의견을 발표하는 것을 지칭한다.Howev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 function of presenting a portable composite terminal by connecting it to another video device has not been developed. In general, presentation refers to the presentation of research contents, the presentation of a plan or business description, the presentation at a seminar, etc., and the presentation of a claim or opinion to a large number of people.

프리젠테이션에 필요한 자료를 다수의 사람들에게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유인물의 배부, 브리핑 차트의 이용, 슬라이더 영사기, OHP 등을 사용한다. 근래 들어서는 사용하기에 간편하고 다양한 기능을 가진 프로젝터(projector)를 많이사용한다. 프로젝터는 일정한 화면데이터를 사람들이 인식할 수 있는 영상으로 변환하는 장치로,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If you need to provide a large number of people with the materials you need for your presentation, use handouts, use briefing charts, slider projectors, and OHP. In recent years, many projectors are easy to use and have various functions. A projector is a device that converts certain screen data into an image that can be recognized by people, and is commonly used by connecting to a computer or a similar device.

이 때, 주로 휴대용 컴퓨터를 프로젝터와 같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하여 사용하나, 휴대용 컴퓨터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그 부피가 크고 무게가 상당한 이유로 휴대하기가 불편한 점이 있으며, 적은 분량의 화면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휴대용 컴퓨터 자체를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In this case, the portable computer is mainly connected to an external display device such as a projector, but even when using a portable computer, it is inconvenient to carry due to its bulky and heavy weight, and to output a small amount of screen data.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carrying the computer itself.

그리고, 공간의 제약을 받는 경우, 예를 들어 프로젝터가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발표자가 직접 휴대용 컴퓨터를 조작할 수 없으므로, 발표의 진행에 따라 휴대용 컴퓨터를 조작할 사람이 필요하기 때문에 발표자 이외에 별도의 인력이 필 요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f space is limited, for example, when the projector is far away, the presenter cannot directly operate the portable computer. Therefore, a separate person other than the presenter may be required because a person who needs to operate the portable computer will be required as the presentation proceeds. This was a necessary problem.

아울러, 발표자의 진행에 따라 휴대용 컴퓨터의 화면 정보가 전환되어야 하는데, 두 사람이 진행을 함에 따라 발표자와 컴퓨터 조작자는 서로 간에 눈짓이나 수신호 등으로 이러한 동기를 맞출 노력이 필요한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the scree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computer should be switched as the presenter progresses, and as the two people progress, the presenter and the computer operator have an inconvenience in needing an effort to match such a motive with a glance or a hand signal.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도 1과 같이 이동통신단말기에 프로젝션(projection)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 디스플레이 창의 크기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다양한 출원(국내특허출원번호: 10-2000-0056807, 국내실용등록번호: 20-In order to overcome this, various applications that attempt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size of the display windo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having a projection (projection) function as shown in FIG. Number: 20-

0263336)들이 있었다.0263336).

그러나, 상기 종래의 출원들은 이동통신단말기에 프로젝션 기능만을 추가한 기술사상만을 제안한 것으로서, 종래의 출원 발명은 프로젝터가 내장된 모발일은 직접 들어서 핸들링을 해야 하거나, 모바일을 고정시키고 키버튼을 통해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프리젠테이션을 위한 프로그램의 운영 또는 모바일 인터넷 사용에 있어서 상당한 불편함이 있다. However,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applications suggest only the technical concept of adding only a projection func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onventional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handle the hair work having a built-in projector directly, or fix the mobile and operate it through a key button. As a result, there is considerable inconvenience in operating the program for presentation or using the mobile Internet.

즉, 외부 스크린에 투사되어 모바일 프로그램의 손쉬운 운영을 위해서는 프로젝터의 기능을 하는 모바일과 분리되어 모바일 프로그램의 운영을 위한 마우스포인터가 필요한 것이 절실한 실정이다.That is, it is urgent that a mouse pointer is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mobile program separately from the mobile functioning as a projector for easy operation of the mobile program projected on the external screen.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과제는 탈.장착이 용이하면서 단말기와 독립적으로 분리연결되어 마우스 또는 포인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구현하고, 휴대하기에 용이한 프로젝터형 무선통신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함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implement a device that can be easily detached and detached, and independently connected to the terminal to perform the function of a mouse or a pointer, easy to carry a projector-typ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o provide.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지은 다수개의 번호키와 숫자키를 포함하는 키패드와, 데이터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출력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데이터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 및 처리하는 제어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에 결합되는 프로젝터 모듈과,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입력을 위한 광마우스 포인터와, 상기 광마우스 포인터에서 반사된 광을 수광하여 입력신호로 전환하는 수광전환부; 및 상기 광마우스 포인터 및 상기 수광전환부를 연결하여 광을 가이드 하는 광섬유를 포함한다.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keypad including a plurality of number keys and numeric keys, a display unit on which data or applications are output and displayed, and a control circuit unit for controlling and processing the data or applica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projector module coupl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the optical mouse pointer for inpu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ceives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optical mouse pointer to convert the input signal A light receiving switch; And an optical fiber for guiding light by connecting the optical mouse pointer and the light receiving switch.

여기서, 상기 광마우스 포인터는, 상기 단말기의 측면에 위치한 길이 방향의 홈에 탈,장착 가능한 펜마우스 형상이고, 상기 포인터의 접촉부에 레이저광을 발생하는 광원 및 상기 조사된 레이저광이 반사되는 광을 수집하여 상기 수광전환부로 전달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optical mouse pointer is a pen mouse shape that can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longitudinal groove located on the side of the terminal, the light source for generating a laser light on the contact portion of the pointer and the light reflected by the irradiated laser ligh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light receiving unit to collect and deliver to the light conversion unit.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마우스 포인터는 사용자의 손가락 끼움 홈이 형 성되는 박스 형상이고, 상기 포인터의 접촉부에 레이저광을 발생하는 광원 및 상기 조사된 레이저광이 반사되는 광을 수집하여 상기 수광전환부로 전달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박스형 포인터는 상기 광섬유와 소켓형으로 분리가능한 박스형 모듈인 것일 수 있다.Preferably, the optical mouse pointer has a box shape in which a user's finger insertion groove is formed, and collects a light source for generating a laser light and a light reflected by the irradiated laser light on a contact portion of the pointer to receive the light. It may include a light-receiving unit for transmitting to the part, the box-type pointer may be a box-type module that can be separated into the optical fiber and the socket.

더 나아가, 상기 광섬유는 고무재질의 물질로 외부가 코팅된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the optical fiber is preferably coated with the outside of the rubber material.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제공하면, 액정화면 보다 수십배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말기와 연결된 광마우스 포인터로 쉽게 프로그램을 조작할 수 있게 되어, PC의 상당 부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단말기에 쉽게 탈장착 시킬 수 있어서 휴대가 용이하게 된다.By providing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several tens of times larger than the LCD screen, but also can easily operate the program with the optical mouse pointer connected to the terminal,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function of a large portion of the PC Will be obtained. In addition, the terminal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thereby making it easy to carry.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형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젝터형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고, 더하여 프로젝터 모듈 및 입력장치인 광마우스 포인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projecto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projecto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cludes all the configurations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further includes an optical module pointer 200 that is a projector module and an input device.

종래에는 단말기의 키패드 또는 터치패드 외에 따로 입력장치가 없기 때문에 단말기를 고정하여 일정거리에 있는 스크린에 영상을 투사시키는 경우, 영상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조작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Conventionally, since there is no input device other than the keypad or the touch pad of the terminal, when the terminal is fixed and the image is projected on the screen at a certain distance, there is a difficulty in operating an application program that provides the image.

즉, 단말기를 손으로 직접들고 투사하면서 키버튼을 눌러 조작하거나, 고정시킨 상태에서 키버튼을 통한 조작으로 입력할 수 밖에 없다는 점에서 불편하고, 프리젠테이션 등 화면의 선택적인 변화를 유도하기 위한 외부적 조작이 필요한 경우 상당히 불편한 점이 있었다.In other words, it is inconvenient in that it can only be operated by pressing a key button while directly projecting the terminal with a hand and projecting it, or it can only be input by operation through a key button in a fixed state. It was quite inconvenient if enemy manipulation was required.

이런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키버튼 또는 키패드 외에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구성을 가지게 되면, 영상의 투사를 위해 단말기를 고정시킨 체, 투사된 영상을 보면서 마우스 조작하는 것처럼 입력할 수 있는 광마우스 포인터(200)를 포함하는 구성을 제안한다.In view of the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n input device such as a mouse in addition to a key button or a keypad, the terminal can be input as if the mouse is operated while the projected image is fixed while the terminal is fixed for the projection of the image. A configuration including an optical mouse pointer 200 is proposed.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반적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과, 프로젝터모듈 및 광마우스 포인터(200)로 구성되는데, 프로젝터모듈은 렌즈 등 광학시스템으로 구성되는 촬영시스템부(110), 화상처리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도시하지 않음) 여기서, 광학시스템부의 투사렌즈는 단말기 상단부 또는 상단 측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단말기의 상단 측면에 돌출시켜 설치하고, 소정의 각도로 회전가능하도록 힌지를 구성하여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2,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rojector module, and an optical mouse pointer 200. The projector module includes a photographing system unit 110 and an image processing unit which are configured as an optical system such as a lens.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Here, the projection lens of the optical system unit is preferably provided at the upper end or the upper side of the terminal. Alternatively, it is preferable to protrude and install the upper side of the terminal, and to configure the hinge to be rotatable at a predetermined angle.

프로젝터에 있어서, 투사방향의 조정은 화면 초점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소에서 손쉽게 스크린을 찾아 투사시키기 위해서는 투사렌즈의 방향조정이 용이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In the projector,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projection lens in order to easily find and project the screen in various places as well as the screen focus.

이처럼,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영상은 화상처리부에 의해 영상데 이터로 전환되고, 제어부를 거쳐 렌즈를 통해 스크린에 투사되는 구성으로 프로젝터 모듈이 구성된다. In this way, the application program image of the terminal is converted into the image data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and the projector module is configured to be projected on the screen through the lens through the control unit.

그리고, 광마우스 포인터(200)는 일반적인 단말기의 입력장치인 마우스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외부에 조작가능한 광마우스 포인터를 이동통신단말기(100)와 연결하여 입력장치로 사용하게 되면,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영상을 스크린(400)에 투사시킨 후, 사용자가 편리하게 마우스처럼 프로그램을 조작할 수 있게 되어, 프리젠테이션이나 인터넷 웹서핑 등 입력조작이 많이 필요한 경우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optical mouse pointer 200 serves as a mouse which is an input device of a general terminal. When the optical mouse pointer is used as an input device by connecting an externally operable optical mouse point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terminal can be stably used. After fixing and projecting the image on the screen 400, the user can conveniently operate the program as a mou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operated when a lot of input operations such as presentation or Internet web surfing is required.

휴대폰 등 이동통신 단말기는 반도체 기술 및 IT 기술의 발달로 소형화, 메모리의 고집적화 등 거의 PC의 기능을 수행할 정도로 발달되고 있다. 그러나 이동통신단말은 출력장치의 크기 및 입력장치의 한계로 인하여 일반 PC에서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수행이나 조작이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프로젝터 및 광 마우스 포인터(200)를 이용하게 되면, 마치 PC와 빔 프로젝터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작업을 수행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have been developed to perform almost PC functions such as miniaturization and high integration of memory due to the development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IT technology. However, due to the size of the output device and the limitation of the input devi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difficulty in executing or operating an application program executed in a general PC. Therefore, when using the projector and the optical mouse point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obtained, such as carrying out work while carrying a PC and beam projector.

단말기에 내장된 프로젝터에 의해 수인치 밖에 안되는 액정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일정거리를 유지하여 스크린에 투사시킴으로써, 수배 내지 수십배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말기와 연결된 광마우스 포인터(200)로 쉽게 프로그램을 조작할 수 있게 되어, PC의 상당 부분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By projecting the image output from the liquid crystal display only a few inches by the projector built in the terminal on the screen by maintaining a certain distance, not only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several times to several tens of times, the optical mouse pointer 200 connected to the terminal The program can be operated easily, so that the functions of all the functions of the PC can be perform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펜마우스형 광 마우스 포인터(200)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 마우스 포인터는 레이저광을 발생하는 광원(210), 발생된 레이저광을 조사하고 접촉면에 반사되어 나오는 광을 수집하는 수광부(220) 및 커서의 선택을 위한 스위칭부로 구성된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pen mouse-type optical mouse pointer 200 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optical mouse pointer includes a light source 210 for generating a laser light, a light receiving unit 220 for irradiating the generated laser light and collecting light reflected from a contact surface, and a switching unit for selecting a cursor. do.

여기서 광원은 레이저 광원이 바람직하다. 이는 레이저광은 단색성, 간섭성,고휘도성, 지향성, 에너지 집중성 등이 좋기 때문에 표면 반사광에 의한 정보 데이터 추출 원리를 사용하는 광마우스의 경우 더욱 효과적이고, 일반적인 LED 마우스는 마우스 패드를 사용해야 감도가 좋아지지만, 레이저 광 마스의 경우 다양한 표면에서도 높은 감도를 보이기 때문이다.The light source is preferably a laser light source. This is more effective in the case of the optical mouse using the principle of extracting the information data by the surface reflected light because the laser light has good monochromaticity, coherence, high brightness, directivity, and energy concentration. Is improved, but the laser light mask shows high sensitivity even on various surfaces.

수광부(220)는 표면에 반사된 레이저광을 수집하고 광가이드인 광섬유(140)를 통해 단말기 내에 장착된 수광전환부에 전달한다. 수광(220)부의 도입부는 광섬유보다 면적이 넓어 광수집을 용이하게 하고, 콘 모양이나 테이퍼 형태의 모양을 취하게 되면, 보다 효과적으로 반사된 레이저광을 수집할 수 있게 된다.The light receiving unit 220 collects the laser light reflected on the surface and transmits the laser light to the light receiving switching unit mounted in the terminal through the optical guide 140 as the light guide. The introduction portion of the light receiving portion 220 has a larger area than the optical fiber to facilitate light collection, and when the cone shape or the taper shape is taken, the reflected laser light can be collected more effectively.

그리고, 마우스는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상의 위치를 결정하는 커서의 움직임을 조정할 뿐만, 특정 부분에서 폴더나 아이콘을 선택해야 할 때는 스위칭의 역할을 하여 선택신호를 취해야 하기 때문에 클릭을 위한 스위칭부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펜 마우스의 접촉단에 투광성 수지 등의 볼(250)을 탄성체에 의해 받치도록 하여 가압하는 경우 스위칭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Since the mouse not only adjusts the movement of the cursor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n the screen to be displayed, but also needs to select a folder or an icon in a specific part, the mouse needs a switching signal for a click because it takes a selection signal.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the ball 250, such as a light-transmissive resin to the contact end of the pen mouse is configured to act as a switching role when pressed by the elastic body.

여기서 접촉부는 접촉 느낌을 향상하기 위해서 투광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 으나, 레이저 광을 입사 또는 반사하여 투과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된 연질의 고무재질로 제조된 원통형 팁인 경우도 가능하다.Here, the contact portion may use a translucent resin to improve the feeling of contact, but may also be the case of a cylindrical tip made of a soft rubber material in which holes are formed so as to transmit or reflect the laser light.

또한, 광섬유(140)는 상술한 스위칭부의 전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도선과 나란히 붙여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선은 광마우스 포인터에 장착된 광원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위칭에 의한 전기 신호를 단말기의 메인 회로에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optical fiber 140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side by side with the conductive wires in order to transfer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above-described switching unit. This is because the conducting wire not only supplies power to the light source mounted on the optical mouse pointer, but also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by switching to the main circuit of the terminal.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성을 갖는 펜마우스형 광 마우스 포인터(200)는 광섬유로 단말기(100)와 연결되어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휴대성을 높이기 위해 단말기(100)의 측면에 길이 방향의 홈을 형성시키고, 상기 포인터를 수납 또는 장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광 마우스 포인터(200)를 따로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을 줄이고, 필요할 때 편리하게 단말기(100)에서 이탈시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en mouse-type optical mouse pointer 20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by an optical fiber, but in order to increase portability, a longitudinal groove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terminal 100. It is preferable to form and store or mount the pointer. This is because it reduces the inconvenience of carrying and carrying the optical mouse pointer 200 separately, and can be conveniently used by leaving the terminal 100 when necessary.

더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광 마우스 포인터(200)는 단지 광을 반사시켜 수집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고, 포인터 자체에서 위치를 인식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마우스의 기능을 수행하진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광섬유를 통해 전달된 광신호는 단말기에 내장된 수광변환부에 의해 지면 접촉에 의한 화면상의 위치를 인식하고,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단말기의 입력신호를 생성한다.In addition,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optical mouse pointer 200 merely reflects and collects and transmits light, and does not perform the function of a mouse that recognizes a position in the pointer itself and converts it into a digital signal. . As shown in Figure 2,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optical fiber recognizes the position on the screen by the ground contact by the light receiving conversion unit built in the terminal, and converts it into a digital signal to convert the input signal of the terminal Create

이와 같은 구성은, 단말기 내부에 수광변환부를 장착하고 단말기와 분리된 광 마우스 포인터와 광섬유(140)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광 마우스 포인터(200)는 광원, 수광부(220) 및 스위칭으로만 구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용이하게 광 마우스 포인터(200)를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is configuration, the optical mouse pointer 200 may be configured only by the light source, the light receiving unit 220 and the switching by mounting the light receiving conversion unit inside the terminal and connecting the optical mouse pointer and the optical fiber 140 separated from the terminal. In this regar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optical mouse pointer 200 can be easily manufactur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박스형 광 마우스 포인터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인터(300)는 박스형으로 일정한 홈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워 사용할 수 있고, 광원(310), 수광부(320) 및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원(310), 수광부(320) 및 스위칭에 대한 설명은 도 2에 예시된 발명과 동일한 구성으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box-type optical mouse pointer 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pointer 300 is formed in a box-shaped constant groove to fit a user's finger, and includes a light source 310, a light receiving unit 320, and a switching unit. Descriptions of the light source 310, the light receiving unit 320, and the switching will be omitted with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2.

도 4에 예시된 박스형 광 마우스 포인터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편리하게 끼워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서, 손가락의 움직임으로 조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분리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단말기 외부에 따로 장착하지 않고, 단말기(100) 고리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용이하게 휴대가 가능하다. 또한, 박스형 포인터(300)에 홈을 형성하지 않고, 링 형태의 고리를 측면에 장착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할 수 있는 것도 역시 바람직하다.The box-type optical mouse pointer illustrated in FIG. 4 is a structure that can be conveniently inserted and used by a user's finger. The box-type optical mouse pointer can be manipulated by the movement of a finger and can be detached and detached. (100) It can be easily carried by connecting to the ring. In addition,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box-shaped pointer 300 can be worn on the user's finger by attaching a ring-shaped ring to the side without forming a groove.

이처럼, 본 발명은 광 마우스 포인터를 광섬유로 연결하여 단말기를 고정시켜 손쉽게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조작할 수 있고,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에 끼워 사용함으로써,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형 크기의 광 마우스 포인터(300)로 휴대하기가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operate the application program by fixing the terminal by connecting the optical mouse pointer to the optical fiber, and as shown in Figure 3, by using it by inserting the finger, not only can be conveniently used, but also small size The optical mouse pointer 300 has the advantage of being convenient to carry.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 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is well known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indicated by the claims. Anyone who has a can easily know.

도 1은 종래의 프로젝션(projection)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 블럭도를 예시한 도면,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onventional projection (projection) func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형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rojecto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펜마우스형 광 마우스 포인터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3 is a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en mouse-type optical mouse pointer 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박스형 광 마우스 포인터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box-type optical mouse pointer 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다수개의 번호키와 숫자키를 포함하는 키패드와, 데이터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출력되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데이터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 및 처리하는 제어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keypad including a plurality of number keys and numeric keys,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data or an application, and a control circuit unit for controlling and processing the data or application.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에 결합되는 프로젝터 모듈과,A projector module coupl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입력을 위한 광마우스 포인터와,An optical mouse pointer for input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광마우스 포인터에서 반사된 광을 수광하여 입력신호로 전환하는 수광전환부; 및A light receiving switching unit which receives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optical mouse pointer and converts the light into an input signal; And 상기 광마우스 포인터 및 상기 수광전환부를 연결하여 광을 가이드 하는 광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형 이동통신단말기.And an optical fiber for guiding light by connecting the optical mouse pointer and the light receiving switch.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광마우스 포인터는,The optical mouse pointer, 상기 단말기의 측면에 위치한 길이 방향의 홈에 탈,장착 가능한 펜마우스 형상이고, 상기 포인터의 지면 접촉부 상단에 레이저광을 발생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어 반사되는 레이저광을 수집하여 상기 수광전환부로 전달하는 수광부 및 커서의 선택을 위한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형 이동통신단말기.A pen-mouse shape that can be detached and mounted in a longitudinal groove located on the side of the terminal, and collects a light source for generating a laser li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pointer and the laser light reflected from the light source to the light receiving conversion unit. And a switching unit for selecting a light receiving unit and a cursor to transm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광마우스 포인터는The optical mouse pointer is 사용자의 손가락 끼움 홈이 형성되는 박스 형상이고, 상기 포인터의 지면 접촉부 상단에 레이저광을 발생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어 반사되는 레이저광을 수집하여 상기 수광전환부로 전달하는 수광부 및 커서의 선택을 위한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형 이동통신단말기.A box-shaped groove in which a user's finger insertion groove is formed, and a light source for generating a laser light on an upper surface of a ground contact portion of the pointer, and a light receiver and a cursor for collecting and transmitting the laser light reflected from the light source to the light receiving conversion unit are selected. Projecto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switching unit for.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박스형 포인터는 상기 광섬유와 소켓형으로 분리가능한 박스형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형 이동통신단말기.The box-type pointer is a projecto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box-type module that can be separated into the optical fiber and the socket.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광섬유는 고무재질의 물질로 외부가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형 이동통신단말기.The optical fiber is a projecto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side is coated with a rubber material.
KR1020090027497A 2009-03-31 2009-03-31 projector typed mobile KR1010770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497A KR101077024B1 (en) 2009-03-31 2009-03-31 projector typed 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497A KR101077024B1 (en) 2009-03-31 2009-03-31 projector typed mob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087A KR20100109087A (en) 2010-10-08
KR101077024B1 true KR101077024B1 (en) 2011-10-26

Family

ID=43130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7497A KR101077024B1 (en) 2009-03-31 2009-03-31 projector typed mob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702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165B1 (en) 2004-07-08 2006-12-20 주식회사 포인칩스 Remote Pointing System combined with Infrared Remote Control Fun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165B1 (en) 2004-07-08 2006-12-20 주식회사 포인칩스 Remote Pointing System combined with Infrared Remote Control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087A (en) 201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9057B2 (en) Cellular phone including a display revealed by removing a removable operation unit
TWI423079B (en) Input apparatus, operation method thereof and optical reflection module
US7161578B1 (en) Universal presentation device
JP4243306B2 (en) Personal portable terminal including ultra-thin optical joystick and ultra-thin optical joystick
JP6132430B2 (en) CAMERA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US20070131031A1 (en) Wireless inertial input device
JP7236551B2 (en) CHARACTER RECOMMENDATION METHOD, CHARACTER RECOMMENDATION DEVICE, COMPUTER AND PROGRAM
KR101077024B1 (en) projector typed mobile
JP2010134894A (en) Pen type pointing device
CN101419512B (en) Mouse
US6803907B2 (en) Wireless beam-pen pointing device
KR20080032779A (en) Optical pointing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CN209930379U (en) Touch gesture photographing device
KR101228477B1 (en) Case having mouse function interconnecting mobile
CN212460418U (en) Portable computer
CN212460508U (en) Portable intelligent communication system
CN201514619U (en) Portable easily-gripped hand-held wireless mouse
CN106325542A (en) Mouse with keyboard projection function and realization method thereof
CN212302442U (en) Mouse
KR101373182B1 (en) A portable computer including a pointing device capable of detaching
CN111381634A (en) Portable computer
CN101221475B (en) Interactive control method of pen type data processing device
CN102236437A (en) Finger-worn mouse
CN111324184A (en) Portable computing and communication integrated machine
CN111399657A (en) Portable intelligent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