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6939B1 -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outputting message in management system of entrance and exit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outputting message in management system of entrance and ex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6939B1
KR101076939B1 KR1020040005066A KR20040005066A KR101076939B1 KR 101076939 B1 KR101076939 B1 KR 101076939B1 KR 1020040005066 A KR1020040005066 A KR 1020040005066A KR 20040005066 A KR20040005066 A KR 20040005066A KR 101076939 B1 KR101076939 B1 KR 101076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recognition
unit
user
deliv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50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77524A (en
Inventor
장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5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6939B1/en
Publication of KR20050077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75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6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69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G06V40/197Matching; Class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채인식을 통한 인식된 정보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인식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저장된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입통제시스템에서 메시지 출력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ssage output in an access control system that outputs a stored message when the recognized information through iris recognition matches the recogni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즉, 본 발명은 전달할 메시지를 녹음 또는 기 존재한 메시지를 선택하여 저장하였다가 인식기에서 인식된 정보가 기 입력해 놓은 인식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저장된 메시지를 출력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records the message to be delivered or selects and stores an existing message and outputs the stored message when the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recognizer matches the previously input recognition information.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선택된 사람과 그 사람이 정확하게 확인 된 후에만 녹음된 메시지가 전달 되므로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corded message is transmitted only after the selected person and the person are correctly confirmed, security can be maintained.

인식, 메시지 Awareness, message

Description

출입통제시스템에서의 메시지 출력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outputting message in management system of entrance and exit}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for outputting message in management system of entrance and exit}             

도 1은 일반적인 홍채인식 시스템의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of a general iris recognition system

도 2는 본발명의 출입통제시스템의 블럭도2 is a block diagram of an access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상기 도 2의 다른 실시예로써, 출입에 관련된 각 사람들의 인식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 및 기능부가 출입통제시스템과 연결된 서버에 구성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FIG. 3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2, wherein a database and a functional unit in which recognition information of each person related to access is stored may be configured in a server connected to an access control system.

도 4는 사용자가 외출할때, 메시지를 녹음하는 모습을 나타낸 하나의 실시예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recording a message when a user goes out.

도 5는 다른 사용자가 출입을 하기 위하여 홍채인식기를 통해 출입이 가능한지를 확인하며, 그결과에 따라 스피커(D)를 통해 저장된 메시지를 들을 수 있는 하나의 실시예FIG. 5 is a view illustrating whether or not another user can access the iris through an iris recognizer, and according to the result, the user can listen to the stored message through the speaker D. Referring to FIG.

도 6a/6b은 디스플레이부에 저장된 메시지가 선택되기 위해 디스플레이 되는 메시지 및 제 1 사용자에게 의해 저장되었다가 제 2의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메시지를 나타낸 실시예6A and 6B illustrate embodiments of a message displayed for selecting a message stored in a display unit and a message stored by a first user and output to a second user.

도 7은 본 발명의 출입통제시스템의 메시지 전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7 is a flow chart showing a message delivery method of the access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인식기술을 이용한 출입통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홍채인식을 통한 인식된 정보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인식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저장된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입통제시스템에서 메시지 출력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 control system using a recognition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ssage output in an access control system for outputting a stored message when the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iris recognition matches the recogni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일반적인 생체인식기술은 크게 음성인식, 지문인식, 그리고 홍채인식 등이 있다. 이러한 생체인식기술중에서 음성인식의 경우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목이 쉬었을 경우에는 인식이 불가능하고, 녹음 또는 의도적으로 타인의 목소리를 흉내내는 경우에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높으며, 지문인식의 경우에 있어서는 땀이나 물기, 얼룩 등이 묻어있는 경우에 오인식률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Common biometric technologies include speech recognition, fingerprint recognition, and iris recognition. Among these biometric technologies, in the case of voice recognition, it is impossible to recognize when the user's neck is rested, and there is a high probability of error when recording or intentionally mimicking the voice of another person, and in the case of fingerprint recognition, sweat o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false recognition rate increases when water, stains, etc. are stained.

생체인식기술중 홍채인식기술은 타 생체인식기술에 비해서 인식률이 높고, 보다 정확한 인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Among biometrics, iris recognition has the advantage of higher recognition rate and more accurate recognition than other biometrics.

홍채인식 시스템은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한 홍채영상에서 홍채의 특징적인 패턴을 이미지처리기술을 이용하여 데이터화한 후,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홍채 데이터와 대조하여 개인을 인증하는 시스템이다. The iris recognition system is a system that authenticates an individual by comparing the characteristic pattern of the iris in the iris image photographed by a video camera using image processing technology and comparing it with previously registered iris data.

이와같은 홍채인식시스템에서는 얼마나 빠른 시간 안에, 얼마나 정확하게 홍채인식을 해내는가의 여부가 그 성능을 좌우하게 된다. In such an iris recognition system, the performance depends on how fast and how accurately the iris recognition is performed.

도 1은 일반적인 홍채인식 시스템의 블록도로써,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 센서(101)와 사용자 에게 시스템의 활성여부 및 인식여부를 알려주기 위한 외부 지시기(103)와, 주위의 밝기와 관계없이 홍채이미지 촬영시의 조도를 조절하여 주기 위한 조명장치(104)와, 사용자의 눈을 위치시키기 위한 광학 윈도우(105)와, 상기 광학 윈도우를 통해 들어오는 적외선을 통과시키고 가시광선을 차단하는 차단시키는 콜드미러(106)와, 상기 콜드미러를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의 홍채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107)와, 상기 촬영된 홍채 이미지를 처리하는 프레임 그레버(108)와, 상기 거리측정 센서(101)에서 측정한 거리 측정값을 입력받아 사용자가 동작 범위내에 있는 지를 판단하고, 홍채를 자동으로 인식하며 빛의 세기를 조절하여 주는 제어장치(109)와,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의 의해 외부 지시기(103) 및 조명장치(104)의 동작을 제어하는 광학 이미지 드라이버(102)로 구성된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general iris recognition system, as shown in FIG. 1, for measuring the distance to the user using an infrared sensor and to inform the user of whether the system is activated and recognized. Through the external indicator 103, the illumination device 104 for adjusting the illuminance at the time of iris image irrespective of the surrounding brightness, the optical window 105 for positioning the user's eyes, and through the optical window Cold mirror 106 for blocking the incoming infrared rays and blocking the visible light, a camera 107 for photographing the iris image of the user transmitted through the cold mirror, and a frame grabber for processing the photographed iris image And a distance measurement value measured by the distance sensor 101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within the operating range, and automatically recognizes the iris. And a control device 109 for adjusting the light intensity, and an optical image driver 102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indicator 103 and the lighting device 104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devic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홍채인식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general iris recognition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사용자가 홍채인식 시스템에 접근하면 거리측정 센서(101)는 사용자 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어장치(109)로 송신한다.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iris recognition system,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101 measures the distance to the user and transmits the distance to the control device 109.

상기 제어장치(109)는 수신된 거리 측정값이 동작범위 내에 있는 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동작범위 내에 있으면 광학 이미지 드라이버(102)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홍채 이미지 추출을 위한 준비를 행하도록 한다. The control device 109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ed distance measurement value is within the operating range.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s within the operation range, the control signal is output to the optical image driver 102 to prepare for iris image extraction.

상기 광학 이미지 드라이버(102)는 외부 지시기(103)에 액티브 신호를 보내 사용자에게 시스템이 활성화되었음을 알린다. The optical image driver 102 sends an active signal to the external indicator 103 to inform the user that the system has been activated.

사용자가 광학 이미지 드라이버(102)에 접근한 후 광학 윈도우를 통해 카메 라(107)의 광축에 눈을 위치시키면, 콜드미러(106)는 적외선을 통과시키고 가시광선을 차단한다. After the user approaches the optical image driver 102 and places the eye on the optical axis of the camera 107 through the optical window, the cold mirror 106 passes infrared light and blocks visible light.

그리고 상기 콜드미러는 홍채가 위치해야할 부분을 표시해 두어 사용자가 카메라(107)의 광축에 자신의 눈이 위치하였는지의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cold mirror displays a portion where the iris should be locat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heck whether or not his eyes are positioned on the optical axis of the camera 107.

그 후 제어장치(109)는 카메라(107)를 구동하여 홍채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Thereafter, the control device 109 drives the camera 107 to control the photographing of the iris image.

상기 카메라(107)에서 촬영한 홍채 이미지를 프레임 그레버(108)로 제공하면 상기 프레임 그레버(108)는 이미지 분석에 맞도록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장치(109)로 제공한다. When the iris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07 is provided to the frame grabber 108, the frame grabber 108 processes the signal to be suitable for image analysis and provides the same to the controller 109.

상기 처리된 신호를 입력받은 제어장치(109)는 광학 이미지 드라이버(102)를 통해 외부 지시기(103)를 통해 인식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The control device 109 receiving the processed signal informs the user whether the recogni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external indicator 103 through the optical image driver 102.

이때 획득된 홍채 이미지는 데이터베이스에 기 설정된 홍채 이미지와 비교 판단하여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obtained iris image is compared with the iris image preset in the database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의 출입통제시스템은 사용자가 외출하는 경우에 다른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할 수가 없다.
However, the conventional access control system operated as described above cannot deliver a message to another user when the user goes out.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것으로, 사용자가 외출시나 부재중에 전달하고자하는 메시지가 출력 될 수 있는 것을 제안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roposed that the message that the user wants to be delivered when the user is out or away.                         

즉, 전달할 메시지를 녹음 또는 기 존재한 메시지를 선택하여 저장하였다가 인식기에서 인식된 정보가 기 입력해 놓은 인식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저장된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제안한다.
That is, it is proposed to record the message to be delivered or select and store an existing message, and output the stored message when the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recognizer matches the previously input recognition informa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출입통제시스템에서의 메시지 출력 장치는, 사용자의 인식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메시지 저장 및 메시지를 전달할 대상을 선택하는 기능이 적어도 하나이상 구성된 기능부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사용자를 인식하는 인식부와;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인식정보와 비교하는 제어부와; 메시지를 입력하는 입력부;및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 기능부, 메모리부 및 입력부중 적어도 하나이상이 상기 인식부와 함께 일체형 장치를 구성 또는 별도의 장치로 존재할 수 있다.Message output device in the access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database unit for storing the us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functional unit configured to at least one function of storing a message and selecting a destination to which the message is to be delivered; A memory unit for storing a message to be transferred; A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user; A controller for comparing the recognized user information with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database unit; And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message;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messag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database unit, the function unit, the memory unit, and the input unit may be configured together with the recognition unit or exist as a separate device. have.

본 발명의 하나의 예로써, 상기 입력부는 전달할 메시지를 입력하는 마이크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메시지를 표시하여 전달할 메시지를 선택가능한 디스플레이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unit may be a display means for selecting a message to be transmitted by displaying a message stored in a microphone or a memory for inputting a message to be delivered.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예로써, 메모리부에는 메시지를 전달할 대상을 선택하여 상기 전달할 메시지와 연동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ory unit selects a destination to which a message is to be delivered and stores it in association with the message to be delivered.

본 발명의 출입통제시스템은, 사용자의 인식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단계;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 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된 인식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결과, 저장된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access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databas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Storing a message to be forwarded; Recognizing a user; Comparing the recognized information with the databased recognition information; And outputting the stored messag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본 발명의 하나의 예로써,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는 메시지를 새로 입력 또는 기 저장된 메시지중에서 선택하여 저장하는 것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ing of the messag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electing and storing a message among newly input or previously stored messages.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예로써,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는 메시지를 전달할 대상을 선택하여 전달할 메시지를 전달할 상기 대상자와 연동하여 저장한다.In addition, 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ing of the message may be performed by selecting a destination to which the message is to be delivered and interworking with the destination to which the message to be delivered is delivered.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예로써, 저장된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는 인식된 사용자가 메시지를 전달할 대상인 경우, 메시지 인식정보와 연결되어 저장된 메시지를 출력한다.In addition, 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outputting the stored message outputs the stored message in connection with the message recognition information, when the recognized user is a target to deliver the message.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발명의 출입통제시스템의 블럭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n access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출입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부(203)와, 홍채를 인식하는 인식부(204)와, 메시지 저장 및 메시지를 전달할 대상을 선택하는 기능이 적어도 하나이상 구성된 기능부(205)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이미 설정한 메시지를 선택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210)와, 메시지 입력 및 입력된 메시지를 출력하는 입/출력부(208,209,206)와, 출입에 관련된 각 사람들의 인식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 (202)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설정된 홍채이미지와 상기 인식부(204)에 의해 획득된 홍채이미지를 비교 판단하여 출입문의 개폐등을 수행하는 제어부(20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a functional unit 205 including at least one sensing unit 203 for detecting an access of an accessor, a recognition unit 204 for recognizing an iris, and a function for selecting a destination for message storage and message transmission. ), A memory unit 210 for selecting and storing a user's selection or already set message, an input / output unit 208, 209, 206 for inputting a message and outputting the input message, and recognition information of each person involved in access And a control unit 201 configured to compare and determine the stored database 202 and the iris image preset in the database and the iris image acquired by the recognition unit 204 to perform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상기에서 인식부(204)에는 홍채이미지 촬영시의 조도를 조절하여 주기 위한 조명부(204c)와, 사용자의 눈을 위치시키기 위한 광학윈도우(204a) 및 상기 광학윈도우를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의 홍채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204b)를 포함한다.In the recognition unit 204, the illumination unit 204c for adjusting the illuminance when the iris image is taken, an optical window 204a for positioning the user's eyes, and an iris image of the user transmitted through the optical window. It includes a camera 204b for photographing.

또한 상기 기능부(205)에는 메시지 녹음을 수행하기위한 녹음버튼(A)과 메시지를 전달받을 대상을 선택하는 선택버튼(B)를 적어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unction unit 205 includes at least a recording button (A) for performing a message recording and a selection button (B) for selecting a target to receive the message.

또한 상기 입/출력부에는 메시지를 직접 입력할수 있는 마이크(208)와, 메시지를 출력하는 스피커(209)와 입력할 메시지 또는 출력할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206)를 포함한다.The input / output unit also includes a microphone 208 for directly inputting a message, a speaker 209 for outputting a message, and a display unit 206 for displaying a message to be input or a message to be output.

상기 디스플레이부(206)에는 디스플레이 되는 대상자 또는 메시지를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선택하기 위해 UP/DOWN키등이 구비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06 may be provided with an UP / DOWN key to select a displayed subject or message to be stored in a memory.

따라서 상기에 의거 출력될 메시지는, 마이크를 통해 직접 입력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내용을 선택하여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ly, the message to be output based on the above may be input directly through a microphone or may be selected and stored in a memory by selecting content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또한 상기에서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선택되는 대상자는 기능부의 선택버튼을 이용하여 선택하거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사람을 선택할 수 도 있을 것이며, 만약 선택을 별도로 안한 경우에는 이미 설정된 D/B에 포함된 모든 사람에게 메시지가 출력될 것이다.In addition, the person selected to output the message may be selected by using the selection button of the function unit or the pers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f no selection is made, all persons included in the already set D / B Will be printed.

또한 메시지의 출력도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 가능할 것이다.The output of the message will also be output via the speaker or display.

본 발명에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정보의 저장 및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정보는 음성신호처리장치(207)를 통해 이루어 질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stored through the microphone and the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speaker will be made through the voice signal processing device 207.

도 3은 상기 도 2의 다른 실시예로써, 출입에 관련된 각 사람들의 인식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212a) 및 기능부(212b)가 출입통제시스템(211)과 연결된 서버(212)에 구성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기본적인 동작은 동일하다.3 is another embodiment of FIG. 2, wherein a database 212a and a function unit 212b in which recognition information of each person related to access is stored may be configured in the server 212 connected to the access control system 211.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at there exists, and basic operation is the same.

도 4는 사용자가 외출할때, 메시지를 녹음하는 모습을 나타낸 하나의 실시예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recording a message when a user goes out.

즉, 사용자는 녹음/선택버튼(A/B)과 마이크(C)를 사용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메모리부(도 2의 210)에 저장한다.That is, the user stores the message to be transmitted using the recording / selection button A / B and the microphone C in the memory unit 210 of FIG. 2.

도 5는 다른 사용자가 출입을 하기 위하여 홍채인식기를 통해 출입이 가능한지를 확인하며, 그결과에 따라 스피커(D)를 통해 저장된 메시지를 들을 수 있는 하나의 실시예이다.FIG. 5 is an embodiment of checking whether or not another user can access the iris through an iris recognizer and hearing the stored message through the speaker D according to the result.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출입통제시스템의 메시지 출력장치의 동작을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message output device of the access control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본 발명의 출입 통제용 시스템은 사용자가 외출을 할 때 집안의 식구등에게 메시지를 남기고자 하는 것으로, 처음에 외출할때 사용자가 도 4의 B의 선택 버튼을 사용하여 남기고자 하는 대상을 선택한 후, A의 녹음 버튼을 누르고 C의 마이크(208)에 음성 메시지를 녹음한다.The access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leave a message to family members, such as when the user goes out, the first time when the user selects the object to leave using the selection button of B in Figure 4 Press the record button of A, and record the voice message to the microphone 208 of C.

그러면 사용자에 의해 녹음할 때 선택 된 사람이, 출입을 하고자 확인할 때 정상정인 확인 동작이 이루어 지면 자동으로 그사람에게 남겨진 메시지가 도 5의 D 스피커(209)를 통해서 전달되게 된다. Then, if the person selected when recording by the user, when the normal confirmation operation is made when confirming to enter and exit, the message left to the person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through the D speaker 209 of FIG.                     

상기에서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는 사람을 불특정 다수로 선택 할 수 있으며, 또한 특정인으로 한정지어 선택 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who want to deliver a message may be selected, or may be limited to a specific person.

도 6a는 상기 도 4의 하나의 실시예로써, 외출할때 녹음을 위해 선택되어질 수 있는 메시지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6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orm of a message that may be selected for recording when going out as an embodiment of FIG. 4.

도 6b는 상기 도 5의 하나의 실시예로써, 저장된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6B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a stored message is displayed on a display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FIG. 5.

도 7은 본 발명의 출입통제시스템의 메시지 전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ssage delivery method of the access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출입할 사람들의 인식정보를 홍채인식, 지문인식, 음성인식 또는 전자카드등을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하여 D/B(202)에 저장한다. (S 501).Recognition information of people to enter and exit is stored in the D / B 202 by using a database such as iris recognition, fingerprint recognition, voice recognition or electronic card. (S 501).

메시지를 전달 받을 대상자의 선정을, 기능부의 선택버튼을 눌러 선택하거나디스플레이부(206)에 디스플레이 되는 대상자중에서 선정한다. (S 502).The selection of the recipient to receive the message is selected by pressing the selection button of the function unit or selected from the subject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6. (S 502).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마이크를 통해 입력하거나 메모리에 저장되어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메시지를 선택하여 메모리(210)에 저장한다. (S 503).The message to be transmitted is input through a microphone or selected from a message stored in the memory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stored in the memory 210. (S 503).

이후 임의의 사람이 출입등을 하고자 하는 경우, 출입인식기(홍채인식기등)(204)를 통해 인식된 정보와, D/B(202)에 이미 저장된 인식정보를 제어부(201)에서 비교한다. (S 504).Then, if any person wants to enter or exit, the controller 201 compares the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the access recognizer (iris reader, etc.) 204 with the recognition information already stored in the D / B 202. (S 504).

상기 비교결과, 사용자가 외출시 선택한 대상자인 경우에는 스피커(209) 또는 디스플레이부(206)를 통해 메모리부(210)에 저장된 메시지를 출력한다.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when the user is the target person selected when going out, the message stored in the memory unit 210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209 or the display unit 206.                     

또한 사용자가 D/B(202)에 저장된 모든사람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라고 설정할수도 있으며, 만약 별도로 설정을 하지 않았다면 상기 D/B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사람에게는 메시지가 출력될 것이다.(S 505, S 506).In addition, the user may set to deliver a message to everyone stored in the D / B 202, and if not set otherwise, the message will be output to everyone stored in the D / B. (S 505, S 506).

한편, 인식기를 통해 인식된 정보가 사용자가 선택한 대상자가 아닐경우 또는 D/B에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아무런 메시지를 출력안하거나 설정에 따른 어느 임의의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S 507). On the other hand, if the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the recognizer is not the target selected by the user or if it does not match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D / B may not output any message or any arbitrary message according to the setting may be output. (S 507).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인식을 통한 인식된 정보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인식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저장된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입통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a stored message when the recognized information through recognition matches the recogni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by appropriately modifying the above embodiments.

즉, 인식부에서의 인식매체는 홍채인식, 지문인식, 음성인식 또는 전자카드인식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That is, the recognition medium in the recognition unit may be implemented using iris recognition, fingerprint recognition, voice recognition or electronic card recognition.

또한 메시지의 입력방법도 마이크를 통하거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메시지를 선택하여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input method of the messag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through a microphone or select a mess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또한 출력방법도 스피커를 통하거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되게 할 수 있을 것이다.Also, the output method may be displayed through a speaker or displayed on a display unit.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refore, the above description is not limited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limitation of the claims.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선택된 사람과 그 사람이 정확하게 확인 된 후에만 녹음된 메시지가 전달 되므로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corded message is transmitted only after the selected person and the person are correctly confirmed, security can be maintained.
















Claims (9)

사용자의 인식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A database unit for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user; 메시지 저장 및 메시지를 전달할 대상을 선택하는 기능이 적어도 하나이상 구성된 기능부와; A functional unit configured to at least one function of storing a message and selecting a destination to which the message is to be delivered;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메시지를 전달할 대상과 연동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사용자를 인식하는 인식부와;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인식정보와 비교하는 제어부와; 메시지를 입력하는 입력부;및 상기 선택된 메시지 전달 대상 또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 기능부, 메모리부 및 입력부중 적어도 하나이상이 상기 인식부와 함께 일체형 장치를 구성 또는 별도의 장치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시스템에서의 메시지 출력 장치.A memory unit for storing a message to be delivered in association with a target to which the message is to be delivered; A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user; A controller for comparing the recognized user information with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database unit; And an output unit configured to input a message; and an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a message based on the selected message transfer target or the comparison result. At least one of the database unit, the functional unit, the memory unit, and the input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recognition unit. Message output device in the access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gral device is configured or present as a separate device toge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전달할 메시지를 입력하는 마이크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메시지를 표시하여 전달할 메시지를 선택가능한 디스플레이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시스템에서의 메시지 출력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input unit is a display unit capable of selecting a message to be transmitted by displaying a message stored in a microphone or a memory for inputting a message to be delivered. 제 1항에 있어서, 메모리부에는 메시지를 전달할 대상을 선택하여 상기 전달할 메시지와 연동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시스템에서의 메시지 출력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memory unit selects a destination to which a message is to be delivered and stores the same in association with the message to be delivered. 제 1항에 있어서, 메시지의 출력은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수단을 통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시스템에서의 메시지 출력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output of the message is implemented through a speaker or a display means. 제 1항에 있어서, 인식부에서의 인식매체는 홍채인식, 지문인식, 음성인식 및 전자카드인식을 적어도 하나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시스템에서의 메시지 출력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recognition medium in the recognition unit includes at least one of iris recognition, fingerprint recognition, voice recognition, and electronic card recognition. 사용자의 인식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단계;Database the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메시지를 전달받을 대상자를 선정받는 단계;Selecting a subject to receive a message;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메시지 전달 대상자와 연동하여 저장하는 단계;Storing the message to be delivered in association with the message delivery target; 사용자를 인식하는 단계;Recognizing a user; 상기 인식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된 인식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및Comparing the recognized information with the databased recognition information; And 상기 비교결과 및 상기 선정된 대상자에 기초하여, 저장된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시스템에서의 메시지 출력 방법.And outputting a stored message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and the selected subject. 제 6항에 있어서,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는 메시지를 새로 입력 또는 기 저장된 메시지중에서 선택하여 저장하는 것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시스템에서의 메시지 출력 방법.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toring of the message includes at least one of newly inputting or selecting and storing a message from among newly input or previously stored messages. 삭제delet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결과, 저장된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는 인식된 사용자가 상기 메시지를 전달할 대상자인 경우, 상기 대상자와 연동하여 저장된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시스템에서의 메시지 출력 방법.The message output of the access control system of claim 6, wherein the outputting of the stored message comprises outputting the stored message in association with the subject when the recognized user is a subject to which the message is to be delivered. Way.
KR1020040005066A 2004-01-27 2004-01-27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outputting message in management system of entrance and exit KR1010769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5066A KR101076939B1 (en) 2004-01-27 2004-01-27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outputting message in management system of entrance and ex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5066A KR101076939B1 (en) 2004-01-27 2004-01-27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outputting message in management system of entrance and ex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524A KR20050077524A (en) 2005-08-03
KR101076939B1 true KR101076939B1 (en) 2011-10-26

Family

ID=37264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5066A KR101076939B1 (en) 2004-01-27 2004-01-27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outputting message in management system of entrance and ex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693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859Y1 (en) * 2003-03-24 2003-06-11 황재문 system of control coming and go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859Y1 (en) * 2003-03-24 2003-06-11 황재문 system of control coming and go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524A (en) 2005-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03442B1 (en) Object identifying device, object identify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ing a computer program for operating the object identifying device
US6794986B2 (en) Access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members and guests
JP4559819B2 (en) Suspicious person detection system and suspicious person detection program
KR101730255B1 (en) Face recognition digital door lock
US20090254464A1 (en) Time and attendance system and method
JP2007135149A (en) Mobile portable terminal
JP2002183734A (en) Face authentication device and face authentication method
US7190814B2 (en) Image comparison apparatus and method for checking an image of an object against a stored registration image
JP2002101322A (en) Iris camera module
JP2006251946A (en) Entry management device
KR101480103B1 (en) Access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ing face recognition
JP2006031103A (en) Biometric system, biometric method and passing control device
JP2006215858A (en) Entrance and exit management system and entrance and exit management method
RU2676884C1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 of access to territory
JP2008123277A (en) Access management device, method and program
JP2007034872A (en) Face authentication device, face authentication system and face authentication method
KR101076939B1 (e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outputting message in management system of entrance and exit
KR10243171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of access authentication for access targets
KR100361141B1 (en) Access control method and installation using iris cognition
KR20010094668A (en) Personal identification system by identifying the iris of persons on internet network and method thereof
KR102518332B1 (en) Automatic doo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30065049A (en) Method for controlling exit and entrance according to facial recognition and apparatus thereof
JP2006059230A (en) Entrance/exit management system
KR2005000015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incoming and outgoing of companions using an iris recognition
WO2021221098A1 (en) Store-entry management device, store-entry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