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6375B1 - 양수파이프의 연결구 - Google Patents

양수파이프의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6375B1
KR101076375B1 KR1020090054177A KR20090054177A KR101076375B1 KR 101076375 B1 KR101076375 B1 KR 101076375B1 KR 1020090054177 A KR1020090054177 A KR 1020090054177A KR 20090054177 A KR20090054177 A KR 20090054177A KR 101076375 B1 KR101076375 B1 KR 101076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coupling
pumping pipe
pipe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4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9850A (ko
Inventor
배굉
Original Assignee
(주)두리철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두리철강 filed Critical (주)두리철강
Priority to KR1020090054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6375B1/ko
Publication of KR20090079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6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6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16L33/22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sealing surfaces being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33/224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sealing surfaces being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a clamping ring being arranged between the threaded member and the connect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1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 F16L19/0218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comprising only sealing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수파이프의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양수파이프와 하부양수파이프의 각각의 끝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면서 원심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와; 중심부가 소내경으로 된 파이프연결부와, 중심부가 대내경으로 된 커플링연결부와, 상기 소내경과 대내경이 만나 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양수파이프 또는 하부양수파이프의 플랜지가 안착되는 안착단으로 구성된 한 쌍의 부싱과; 외면의 중앙부가 다각형으로 구성된 조임부와, 조임부의 전후로 돌출되어 상기 부싱과 각각 결합되는 부싱연결부가 구비되고 관통된 커플링;으로 구성되어 지하수를 양수할 때 모터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양수되는 지하수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및 양수파이프의 설치 공정에서 발생하는 충격 등이 직접적으로 커플링 및 상하부부싱에 전달되지 않고, 지하 저수층이 깊어 연결되는 양수파이프의 수량이 증가하여도 안착단이 훼손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양수파이프, 연결구, 지하수, 커플링, 부싱, 조임부, 안착단

Description

양수파이프의 연결구 {CONNECTION SRRUCTURE OF WATER PUMPING PIPE}
본 발명은 양수파이프의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수를 양수하기 위하여 지반으로부터 심정까지 관출되는 다수의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끝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양수파이프와 결합되는 한 쌍의 부싱과 상기 부싱에 결합되는 커플링으로 구성되어 양수파이프를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지하수용 양수파이프의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심정용 양수파이프의 연결 관계의 개략도인 도 1과 같이 일반적으로 생활용수, 공업용수, 농업용수 또는 온천수를 확보하기 위하여 지표의 하부 소정 깊이에 형성되어 있는 지하저수층(R)까지 굴착공을 하부로 형성하고, 굴착공의 함몰을 방지하기 위하여 굴착공의 내면에 소정 깊이까지는 케이싱(C)이 설치되고, 케이싱(C)의 내부에는 지하수를 지상으로 양수하기 위하여 소정 길이의 다수개의 양수파이프(1)를 연속하여 연결하여 지상에서 지하저수층(R)까지 설치하고 양수파이프의 하단에 펌프를 설치하여 이 펌프를 이용하여 지하저수층(R)으로부터 지하수를 양수한다.
이때, 양수파이프(1)와 양수파이프(1)의 연결은 파이프연결구(2)를 사용하게 되며, 지하저수층(R)이 깊이가 깊을수록 양수파이프(1)의 연결 길이가 증가하는데 파이프연결구(2)는 연결되는 양수파이프(1)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그 자중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력이 필요하게 된다.
종래기술의 양수파이프의 연결구의 단면도인 도 2를 살펴보면,
종래기술의 양수파이프의 연결구(10)는 양수파이프(11,12), 부싱(18), 커플링(13), 평패킹(15) 및 O링(14)으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양수파이프(11,12)는 상부양수파이프(11)와 하부양수파이프(1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양수파이프(11)와 하부양수파이프(12)는 각각 그 끝단에 원심방향으로 돌출된 일체형으로 형성된 원형의 플랜지(16,1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양수파이프(11)와 하부양수파이프(12)의 구성은 동일하다.
상기 부싱(18)은 중앙부에 상부양수파이프(11)가 결합되는 파이프공이 관통되어 있으며 일측 외면이 공구로서 회전 작업이 가능한 조임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임부의 끝단에는 조임부와 일체형으로 돌출되어 있으면서 그 외면은 숫나사로 가공되어 있어 있으며, 조임부는 다각형 형상의 원통이 일정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숫나사는 조임부의 크기보다 작은 원통으로 되어 있다.
상기 부싱(18)에서 파이프공의 내경보다 숫나사의 외경이 크게 형성되므로 숫나사와 파이프공 사이는 일정한 두께의 원형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플링(13)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하부양수파이프(12)가 결합되는 파이프공이 일정 깊이까지 형성되고 타측에는 파이프공보다 직경이 크면서 부싱(18)의 숫나사와 결합되는 암나사가 파이프공까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플링(13)은 암나사의 외경이 파이프공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암나사와 파이프공이 만나는 부분은 원형의 단이 형성되는데 이 단은 하부양수파이프(12)가 안착되는 안착단이 된다.
종래기술의 양수파이프(11,12) 연결구의 작용을 살펴보면,
상기 하부양수파이프(12)가 커플링(13)에 결합되되, 하부양수파이프(12)의 플랜지(16) 부분이 커플링(13)의 암나사가 형성된 공간 내에 위치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커플링(13)의 안착단에 하부양수파이프(12)의 플랜지(16)가 안착되는 것이다.
상기 하부양수파이프(12)와 커플링(13)이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양수파이프(12)의 플랜지(16) 후면과 커플링(13)의 안착단 사이에 O링(14)이 안치된다.
상기 O링(14)이 안치된 상태에서 하부양수파이프(12)의 플랜지(16) 상면에 평패킹(15)이 안치된다.
상기 부싱(18)과 상부양수파이프(11)가 결합된 상태 즉, 부싱(18)의 파이프공 내에 상부양수파이프(11)가 결합되어 상부양수파이프(11)의 플랜지(17)가 부싱(18)의 숫나사의 끝단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부양수파이프(11)의 플랜지(17)를 커플링(13)의 암나사 내에 위치된 평패킹(15) 상면에 안치하고 부싱(18)의 숫나사를 커플링(13)의 암나사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공구로서 조임부를 회전시켜 부싱(18)의 숫나사와 커플링(13)의 암나사를 나사 결합한다.
상기 조임부를 지속적으로 회전시켜 O링(14)의 일측면이 커플링(13)의 안착단과 O링(14)의 타측면이 하부양수파이프(12)의 플랜지(16) 후면과 밀착되면 조립 이 완성되어 O링(14)이 밀착되어 수밀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종래기술의 양수파이프의 연결구는 커플링에서 하부양수파이프를 지지하는 구성이 불비되어 지하수를 양수를 위하여 모터의 회전(on)과 멈춤(off)를 되풀이하게 되면 모터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양수되는 지하수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양수파이프의 설치 공정에서 발생하는 충격 등에 의하여 나사가 풀릴 경우에는 이 진동 및 충격이 직접적으로 커플링의 암나사에 전달되어 암나사가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의 양수파이프의 연결구는 안착단의 두께만으로 하부에 연결된 하부양수파이프의 모든 자중을 지탱하게 되므로 지하 저수층이 깊이가 깊을수록 즉, 연결되는 양수파이프의 수량이 증가할수록 그 자중을 지탱하지 못하여 안착단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의 양수파이프의 연결구는 하부양수파이프를 지지하는 구성이 불비되어 즉, 안착단의 두께만으로 하부양수파이프를 잡아 주게 되어 연결되는 양수파이프의 수량이 증가할수록 연결된 양수파이프의 수직이 잘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모터회전에 의한 진동, 양수파이프의 설치 시의 충격 등이 양수파이프의 연결구의 나사산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으면서, 부싱의 파이프 연결부가 안착단을 보강함과 동시에 양수파이프를 지지하게 하여 안착단의 훼손이 잘되지 않고 양수파이프의 수직이 용이한 양수파이프의 연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수파이프의 연결구는 상부양수파이프와 하부양수파이프의 각각의 끝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면서 원심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와; 중심부가 소내경으로 된 파이프연결부와, 중심부가 대내경으로 된 커플링연결부와, 상기 소내경과 대내경이 만나 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양수파이프 또는 하부양수파이프의 플랜지가 안착되는 안착단으로 구성된 한 쌍의 부싱과; 외면의 중앙부가 다각형으로 구성된 조임부와, 조임부의 전후로 돌출되어 상기 부싱과 각각 결합되는 부싱연결부가 구비되고 관통된 커플링;으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수파이프의 연결구는 상기 부싱의 커플링연결부와 상기 커플링의 부싱연결부가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수파이프의 연결구는 상기 커플링연결부의 대내경은 암나사 가공되고, 상기 부싱연결부의 외면은 숫나사 가공되어 상기 암나사와 숫나사가 나사체결되어 상기 부싱과 커플링이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수파이프의 연결구는 상기 상부양수파이프 또는 하 부양수파이프의 플랜지 후면과 상기 상·하부부싱의 안착단 사이에 O링이 안치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수파이프의 연결구는 상기 상부부싱 또는 하부부싱 중에서 어느 하나의 부싱의 커플링연결부는 외면이 다각형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양수파이프의 연결구는 상부부싱 및 하부부싱의 파이프 연결부가 각각 상부양수파이프 또는 하부양수파이프를 1차적으로 지지하고 있으므로 지하수를 양수할 때 모터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양수되는 지하수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및 양수파이프의 설치 공정에서 발생하는 충격 등이 직접적으로 커플링 및 상하부부싱에 전달되지 않는 효과와 이 진동 및 충격 등에 의하여 나사가 풀릴 경우에도 나사가 훼손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수파이프의 연결구는 하부부싱의 파이프 연결부가 하부부싱의 안착단을 보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서 지하 저수층이 깊어 연결되는 양수파이프의 수량이 증가하여도 안착단이 훼손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수파이프의 연결구는 상부부싱 및 하부부싱의 파이프 연결부가 각각 상부양수파이프 또는 하부양수파이프를 지지하고 있어서 상하부파이프를 잡아 주어 상하부파이프의 연결상태가 양호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양수파이프의 연결구 사시도인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양수파이프의 연결구는 부싱(23, 25), 양수파이프(21, 22), 커플링(24) 및 O링(26, 27)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부싱(23, 25)은 상부부싱(23)과 하부부싱(25)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양수파이프(21, 22)는 상부양수파이프(21)와 하부양수파이프(2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양수파이프(21)와 하부양수파이프(25)는 각각 파이프(21-1, 22-1) 끝단에 원심방향으로 형성되되 파이프(21-1, 22-1)와 직각으로 돌출되면서 일체형의 원형 플랜지(21-2, 2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양수파이프(21)와 하부양수파이프(25)의 구성은 동일하다.
상기 상부부싱(23)과 하부부싱(25)은 그 구성이 동일하면서 각각 파이프연결부(23-1, 25-1)와 커플링연결부(23-2, 25-2)로 구성되는데, 상기 파이프연결부(23-1, 25-1)는 중심부가 소내경으로 관통되고 커플링연결부(23-2, 25-2)는 중심부가 대내경으로 관통되어 있으면서 원통형의 형상이다.
상기 상부양수파이프(21) 또는 하부양수파이프(25)와 결합되는 소내경은 각각 상부부싱(23)과 하부부싱(25)의 일측면에서 종방향으로 일정 깊이까지 관통되어 있다.
상기 커플링(24)과 결합되는 대내경은 상부부싱(23)과 하부부싱(25)의 타측면에서 종방향으로 소내경이 만나는 곳까지 관통되어 암나사로 가공되어 있다.
상기 상부부싱(23)과 하부부싱(25)은 소내경과 대내경이 하나의 중심축으로 되어 있으면서 소내경과 대내경이 만나 단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단은 상부부싱(23)과 하부부싱(25)의 내부 공간에서 원심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중심축과 직 각으로 형성되면서 상부양수파이프(21) 또는 하부양수파이프(25)의 플랜지(21-2, 22-2)가 안착되는 안착단(28-1, 28-2)이 된다.
따라서, 상기 파이프연결부(23-1, 25-1)와 커플링연결부(23-2, 25-2)가 만나는 위치에 안착단(28-1, 28-2)이 형성되므로 안착단(28-1, 28-2)은 상부부싱(23) 및 하부부싱(25)의 중간 내부에 형성되어 파이프연결부(23-1, 25-1)가 안착단(28-1, 28-2)을 보강하면서 안착단(28-1, 28-2)을 지지하는 구성이 되므로 된다.
상기 상부부싱(23)과 하부부싱의(25) 외부면은 단이 없는 원통형으로 할 수 도 있고 파이프연결부(23-1, 25-1)와 커플링연결부(23-2, 25-2)의 두께를 비슷하게 하게 하여 단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커플링(24)은 종방향으로 관통되어 있으면서 외면의 중앙부가 공구 작업이 가능하도록 다각형 형상으로 구성된 조임부(24-3)와, 조임부(24-3)의 전후로 돌출되어 상기 부싱(23, 25)과 각각 결합되는 부싱연결부(24-1, 24-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부싱(23, 25)의 커플링연결부(23-2, 25-2)는 상기 커플링(24)의 부싱연결부(24-1, 24-2)와 결합되는데, 상세하게 말하면 상기 부싱연결부(24-1, 24-2)는 조임부(24-3)를 기준으로 상부부싱연결부(24-1)와 하부부싱연결부(24-2)로 구분되며, 상부부싱연결부(24-1)는 상부부싱(23)의 커플링연결부(23-2)와 하부부싱연결부(24-2)는 하부부싱(25)의 커플링연결부(25-2)와 결합된다.
상기 상부부싱연결부(24-1)와 하부부싱연결부(24-2)는 외주면이 숫나사 가공되어 있으므로 각각 상부부싱(23)의 커플링연결부(23-2)와 하부부싱(25)의 커플링 연결부(25-2)와 나사 결합이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커플링연결부(23-2, 25-2)의 대내경은 암나사 가공되고, 상기 부싱연결부(24-1, 24-2)의 외면은 숫나사 가공되어 상기 암나사와 숫나사가 나사 체결되어 상기 부싱(23, 25)과 커플링(24)이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커플링(24)의 조임부(24-3)의 크기는 상부부싱연결부(24-1)와 하부부싱연결부(24-2)의 외경과 동일하게 할 수도 있으나, 공구에 의한 회전 작업이 편리하게 하기 위해서 조임부(24-3)의 크기를 상부부싱연결부(24-1)와 하부부싱연결부(24-2)의 외경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양수파이프(21) 또는 하부양수파이프(25) 각각이 상부부싱(23) 또는 하부부싱(25)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양수파이프(21) 또는 하부양수파이프(25)의 플랜지(21-2, 22-2) 후면과 상하부부싱(23, 25)의 안착단(28-1, 28-2) 사이에 O링(26, 27)이 안치된다.
본 발명의 양수파이프의 연결구 단면도인 도 4로서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보면,
상기 O링(27)을 당겨 일시적으로 직경을 약간 크게 하여 하부양수파이프(22)의 플랜지(22-2)를 통과시켜 하부양수파이프(22)의 플랜지(22-2)의 후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하부양수파이프(22)의 플랜지(22-2) 및 O링(27)이 하부부싱(25)의 커플링연결부(25-2) 내에 위치하게 하부양수파이프(22)와 하부부싱(25)을 연결한다.
상기 O링(26)을 당겨 일시적으로 직경을 약간 크게 하여 상부양수파이프(21) 의 플랜지(21-2)를 통과시켜 상부양수파이프(21)의 플랜지(21-2)의 후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상부양수파이프(21)의 플랜지(21-2) 및 O링(26)이 상부부싱(23)의 커플링연결부(23-2) 내에 위치하게 상부양수파이프(21)와 상부부싱(23)을 연결한다.
상기 하부부싱(25)이 결합된 하부양수파이프(22)를 케이싱(C) 내에서 지중을 향하여 세운 상태에서 상기 커플링(24)의 하부부싱연결부(24-2)를 하부부싱(25)의 커플링연결부(25-2)에 위치하게 하고 상부부싱(23)이 결합된 상부양수부파이프(21)를 하부양수파이프(22)와 일직선이 되게 한다.
상기 상부양수부파이프(21)가 결합된 상부부싱(23)을 조임부(24-3)에 위치시켜 즉, 상부부싱(23)의 커플링연결부(23-2)를 조임부(24-3)의 상부부싱연결부(24-1)에 위치시켜 공구를 사용하여 조임부(24-3)를 회전시켜 하부부싱연결부(24-2)가 하부부싱(25)의 커플링연결부(25-2)와 상부부싱연결부(24-1)가 상부부싱(23)의 커플링연결부(23-2)와 나사 결합이 되게 한다.
상기 조임부(24-3)의 회전으로 커플링(24)과 상부부싱(23) 및 하부부싱(25)이 동시에 결합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커플링(24)의 상부부싱연결부(24-1)와 숫나사와 하부부싱연결부(24-2)의 숫나사 방향이 반대가 되며 상부부싱(23)의 커플링연결부(23-2) 암나사와 하부부싱(25)의 커플링연결부(25-2) 암나사의 방향도 반대가 된다.
상기 조임부(24-3)를 어느 정도 회전시키면 O링(27)의 일측면이 하부양수파이프(22)의 안착단(28-1)에 접촉하게 되면서 타측면이 하부양수파이프(22)의 플랜 지(22-2)의 후면과 접촉하게 되면서 O링(26)의 일측면이 상부양수파이프(21)의 안착단(28-2)에 접촉하게 되면서 타측면이 상부양수파이프(21)의 플랜지(21-2)의 후면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조임부(24-3)를 계속 회전시켜 O링(26, 27)은 각각 하부양수파이프(22)의 안착단(28-1)과 하부양수파이프(22)의 플랜지(22-2)의 후면과 상부양수파이프(21)의 안착단(28-2)과 상부양수파이프(21)의 플랜지(21-2)의 후면에 서서히 접촉하다가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상부부싱(23) 및 하부부싱(25)의 파이프 연결부(23-1, 25-1)가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각각 상부양수파이프(21) 또는 하부양수파이프(22)를 1차적으로 감싸 잡아주면서 지지하는 구성이 된다.
상기 상·하부부싱(23, 25)의 파이프 연결부(23-1, 25-1)가 안착단(28-1, 28-2)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면서 원통형으로 돌출되어 안착단(28-1, 28-2)을 보강하면서 지지하는 구성이 된다.
본 발명의 양수파이프의 연결구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인 도 5를 살펴보면,
하부부싱(25), 양수파이프(21, 22) 및 O링(26, 27)으로 구성의 구성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나 상부부싱(31)과 커플링(30)에서 일부의 구성이 상기에서 설명한 상부부싱(23) 및 커플링(24)과 상이하다.
상기 상부부싱(31) 또는 하부부싱(25) 중에서 어느 하나의 부싱(31, 25)의 커플링연결부(31-2, 25-2)는 외면이 다각형으로 구성되는 것이나 양수파이프의(21, 22) 결합의 용이성을 감안하여 상부부싱(31)의 커플링연결부(31-2)의 외면을 다각 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부싱(31)은 커플링연결부(31-2)의 외면이 공구 작업이 가능하게 다각형의 형상으로 되고 파이프연결부(31-1)의 암나사의 방향이 상기에서 설명한 상부부싱(23)의 암나사의 방향과 반대로 된다.
상기 상부부싱(31)에서 다각형의 커플링연결부(31-2)와 상부부싱(23)의 암나사 이외의 구성은 상기에서 설명한 상부부싱(23)과 동일하다.
상기 커플링(30)은 상기에서 설명한 커플링(24)의 구성과 동일하되 상부부싱(31)의 커플링연결부(31-2) 암나사와 커플링(30)의 부부싱연결부(30-1)의 숫나사가 결합되기 때문에 상부부싱연결부(30-1)의 숫나사의 방향이 상기에서 설명한 커플링(24)의 상부부싱연결부(24-1)의 나사의 방향과 반대로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작용을 살펴보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O링(26, 27)을 상·하부양수파이프(21, 22)에 결합하는 구성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고, 상·하부양수파이프(21, 22)의 플랜지(21-2, 22-2) 및 O링(26, 27)이 상·하부부싱(31, 25)의 커플링연결부(31-2, 25-2) 내에 위치하게 상·하부양수파이프(21, 22)와 상·하부부싱(31,25)을 연결하는 것을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상기 하부부싱(25)이 결합된 하부양수파이프(22)를 케이싱(C) 내에서 지중을 향하여 세운 상태에서 상기 커플링(30)의 하부부싱연결부(30-2)를 하부부싱(25)의 커플링연결부(25-2)에 위치하게 하여 공구를 사용하여 커플링(30)의 조임부(30-3)를 회전시켜 커플링(30)의 하부부싱연결부(30-2)와 하부부싱(25)의 커플링연결 부(25-2)를 나사 결합한다.
상기 커플링(30)과 하부부싱(25)의 결합 후 O링(26) 및 상부양수파이프(21)가 결합된 상부부싱(31)의 커플링연결부(31-2)를 커플링(30)의 상부부싱연결부(30-1)에 위치하게 하여 공구를 사용하여 상부부싱(31)의 다각형 외면을 회전시켜 커플링(30)의 상부부싱연결부(30-1)와 상부부싱(31)의 커플링연결부(31-2)를 나사 결합한다.
O링(26, 27)이 기밀을 유지하는 것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커플링(30)의 상부부싱연결부(30-1)와 하부부싱연결부(30-2)의 나사의 방향을 다르게 하여 양수파이프(21, 22)의 결합을 편리하게 한 것으로서 커플링(30)과 하부부싱(25)을 먼저 결합한 후에 커플링(30)과 상부부싱(31)을 결합하는 것이다.
도 1. 일반적인 심정용 양수파이프의 연결 관계의 개략도.
도 2. 종래기술의 양수파이프의 연결구 단면도.
도 3. 본 발명의 양수파이프의 연결구 사시도.
도 4. 본 발명의 양수파이프의 연결구 단면도.
도 5. 본 발명의 양수파이프의 연결구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상부양수파이프 22: 하부양수파이프
21-1, 22-1: 파이프 21-2, 22-2: 플랜지
23, 31: 상부부싱 23-1, 25-1, 31-1: 파이프연결부
23-2, 25-2, 31-2: 커플링연결부 24, 30: 커플링
24-1, 30-1: 상부부싱연결부 24-2, 30-2: 하부부싱연결부
24-3, 30-3: 조임부 25: 하부부싱
26, 27: 0링 28-1, 28-2: 안착단

Claims (5)

  1. 양수파이프의 연결구에 있어서,
    상부양수파이프와 하부양수파이프의 각각의 끝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면서 원심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와;
    중심부가 소내경으로 된 파이프연결부와, 중심부가 대내경으로 된 커플링연결부와, 상기 소내경과 대내경이 만나 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양수파이프 또는 하부양수파이프의 플랜지가 안착되는 안착단으로 구성된 한 쌍의 부싱과;
    외면의 중앙부가 다각형으로 구성된 조임부와, 조임부의 전후로 돌출되어 상기 부싱과 각각 결합되는 부싱연결부가 구비되고 관통된 커플링과;
    상기 상부양수파이프 또는 하부양수파이프의 플랜지 후면과 부싱의 안착단 사이에 안치되는 O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커플링연결부의 대내경은 암나사 가공되고, 상기 부싱연결부의 외면은 숫나사 가공되어 상기 암나사와 숫나사가 나사 체결되어 상기 부싱의 커플링연결부와 상기 커플링의 부싱연결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수파이프의 연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90054177A 2009-06-18 2009-06-18 양수파이프의 연결구 KR101076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177A KR101076375B1 (ko) 2009-06-18 2009-06-18 양수파이프의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177A KR101076375B1 (ko) 2009-06-18 2009-06-18 양수파이프의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850A KR20090079850A (ko) 2009-07-22
KR101076375B1 true KR101076375B1 (ko) 2011-10-25

Family

ID=41290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4177A KR101076375B1 (ko) 2009-06-18 2009-06-18 양수파이프의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637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6811U (ko) 1975-12-25 1977-06-29
JPS52147927U (ko) 1976-05-06 1977-11-09
JPS5343212U (ko) * 1976-09-17 1978-04-13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6811U (ko) 1975-12-25 1977-06-29
JPS52147927U (ko) 1976-05-06 1977-11-09
JPS5343212U (ko) * 1976-09-17 1978-04-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850A (ko) 200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L2008003493A1 (es) Conexion enclavijada para equipamiento de excavacion, posee un primer elemento de conexion con una aperura roscada, un segundo elemento con un agujero, una clavija que se extiende a la apertura y el agujero que contacta un inserto con rosca que engrana en la apertura; y un conjunto de perforacion.
JP2011027108A (ja) 一軸ネジポンプおよび関連するポンプ装置
US7673684B2 (en) ESP/separator assembly and method
KR20180003123U (ko) 연결 부분의 풀림 방지를 위한 잠금 기기
US9935518B2 (en) Shim free pothead housing connection to motor of electrical submersible well pump
KR101076375B1 (ko) 양수파이프의 연결구
TWI617742B (zh) 單軸偏心螺旋泵
KR101596776B1 (ko) 양 배수용 수중 펌프
KR20090003428U (ko) 커넥터 일체형 콘센트 세트
US10077776B2 (en) Submersible pump apparatus
CN210034090U (zh) 一种膨胀连接件
EP3818292B1 (en) Pipe and coupler joint with groove and multi lip seal
US5255739A (en) Clamp for attaching electric submersible pump cable to sucker rod
KR102250497B1 (ko) 펌프 설치용 엘보우형 배관 연결구
US5115862A (en) Electrical grounding device for wells
CN211201900U (zh) 光杆卡子和抽油机
KR101578835B1 (ko) 조명기구용 암의 결합구조
KR200295997Y1 (ko) 수도꼭지 연결장치
KR200144723Y1 (ko) 지하수용 양수파이프의 연결구조
KR100951054B1 (ko) 지하수 관정으로 삽입되는 수중 펌프의 토출 배관용 관연결구
KR100389615B1 (ko) 호스의 연결부 구조
TW201943183A (zh) 吊扇馬達
CN217422601U (zh) 一种管道隔振装置及管道
CN208966632U (zh) 深井泵
KR200314051Y1 (ko) 물탱크용 연결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