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5560B1 - 식품 분쇄용 용기 조립체 - Google Patents
식품 분쇄용 용기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75560B1 KR101075560B1 KR1020090111550A KR20090111550A KR101075560B1 KR 101075560 B1 KR101075560 B1 KR 101075560B1 KR 1020090111550 A KR1020090111550 A KR 1020090111550A KR 20090111550 A KR20090111550 A KR 20090111550A KR 101075560 B1 KR101075560 B1 KR 1010755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grinding
- inlet
- contents
- coupl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4—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potatoes or other food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이 간편하며, 상대 회전되는 두개의 분쇄판 사이로 식품이 원활하게 진입되어 분쇄 효율을 높이고, 분쇄된 깨소금을 수집할 수 있어서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에 소망하는 양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한 식품 분쇄용 용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는 입구가 형성되고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30), 용기(30)의 입구에 결합되며 참깨와 같은 내용물을 갈을 수 있도록 한 뚜껑으로 이루어진다.
뚜껑은 용기(30)의 입구에 결합되는 고정체(40)와, 고정체(4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체(50)와, 회전체(50)의 상면에 결합되어 갈아진 내용물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덮개(60)로 이루어진다.
이 조립체는 분쇄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구(53a)를 가지는 회전체(50) 및 배출구(53a)를 개폐할 수 있도록 차단편(61a)을 가지는 마개(60)를 구비함으로써, 분쇄된 내용물을 수집할 수 있어서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에 소망하는 양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한다.
용기, 분쇄, 회전체, 고정체
Description
본 발명은 깨소금과 같은 식품을 잘게 분쇄할 수 있도록 한 식품 분쇄용 용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이 간편하며, 상대 회전되는 두개의 분쇄판 사이로 식품이 원활하게 진입되어 분쇄 효율을 높이고, 분쇄된 깨소금을 수집할 수 있어서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에 소망하는 양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한 식품 분쇄용 용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통깨를 파쇄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소형 절구를 사용하는 것인데 이 방법은 파쇄되는 깨가 절구통 밖으로 튀어 나가거나 절구통에 잔류하는 깨의 수거가 원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분쇄효율이 낮다.
이러한 문제점을 위한 선행기술들이 공개되어 있다.
<선행기술 1>
대한민국 실용공개 제1990-15331호에 개시되고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깨 분쇄기는 깨를 수용할 수 있는 용기(1)의 입구부에 유출구(8)가 있는 고정체(3)와 손잡이(9a)가 달린 회전체(9)로 이루어진 분쇄기를 설치하여 필요시 상기 유출구를 조리물쪽으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회전체의 손잡이를 잡고 회전체를 돌리면 용기내의 참깨가 상기 고정체 및 회전체 사이로 진입되면서 그 진입된 참깨가 상기 고정체 및 회전체의 서로 마주보는 면들에 형성되어 있는 분쇄돌조(5)(10)들에 의해 분쇄된 후 상기 유출구를 통해 조리물쪽으로 유출낙하 되도록 구성된 깨 분쇄기가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깨를 분쇄한 분쇄물이 유출되어지는 유출구(8)가 평상시에는 이를 용기 몸체에 연결설치되어 있는 마개(15)로 닫아 폐쇄시켜 보관하는 바, 사용중 상기 유출구와 마개의 상대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아 유출구가 잘 닫히지 않게 되는 일이 빈번하고, 또한 상기 분쇄기의 고정체(3)와 회전체(9)간에 존재하는 간극을 통해 용기내에 보관중인 깨의 향이 외부로 쉽게 빠져나가 깨의 향미가 조기에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분쇄돌조(5)(10)의 길이가 짧아 분쇄되지 아니한 통깨가 배출되고, 빠른 분쇄를 위하여 회전체(9)를 고속회전시키는 경우 통깨 공급구(A)로부터 분쇄돌조(5)(10) 사이로 통깨의 진입이 어려워 분쇄효율이 낮다.
또한, 볼트로 고정체(3)와 회전체(9)를 조립시키므로 조립구조가 복잡하다.
<선행기술 2>
실용신안출원 제1980-4628호에 개시되고 도 2에 도시된 '깨소금 분마용기'는
하단에 캡(2)이 나착되고 상방이 만곡된 투명용기(1) 상단부에 분쇄돌기(7)가 형성된 고정원판(3)을 나착시키고, 그 위에 동형의 분쇄돌기(8)가 형성된 회전원판(4) 을 유착시키며, 고정원판(3)의 유입공(5)과 중앙볼트공(6') 사이를 격판(6)으로 연접시키고. 회전원판(4)의 분쇄돌기(8) 내측에는 파쇄돌조(9)를 형성시킨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분마용기는 깨소금을 조리음식물에 직접 갈아 넣게 되므로 투입 깨소금량의 파악이 용이 하지 않으며, 분쇄돌조(5)(10)의 길이가 짧아 분쇄되지 아니한 통깨가 배출되고, 빠른 분쇄를 위하여 회전원판(4)을 고속회전시키는 경우 통깨 유입공(5)으로부터 분쇄돌기(7)(8) 사이로 통깨의 진입이 어려워 분쇄효율이 낮다.
또한, 고정원판(3)과 회전원판(4)을 고정볼트(4')로 결합시키므로 조립구조가 복잡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이 간편한 식품 분쇄용 용기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대 회전되는 두개의 분쇄판 사이로 식품이 원활하게 진입되어 분쇄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식품 분쇄용 용기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쇄된 깨소금을 수집할 수 있어서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에 소망하는 양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한 식품 분쇄용 용기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 식품 분쇄용 용기 조립체는 입구가 형성되고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와;
상면에 복수의 제1분쇄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내의 내용물이 유입되는 복수의 유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입구의 상면에 위치되는 제1분쇄판과, 상기 제1분쇄판의 가장자리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용기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하향연장부와, 상기 제1분쇄판의 가장자리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고 상부가 개방된 상향연장부를 가지는 고정체와;
하면에 복수의 제2분쇄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분쇄판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며 제1분쇄판보다 작은 직경의 제2분쇄판과, 상기 상향연장부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내주면에 복수의 연결리브에 의해 복수의 유출공을 형성시키면서 제2분쇄판과 연결되는 하부결합부와, 상기 하부결합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고 그 외주면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상부결합부를 가지는 회전체와;
상기 상부결합부의 개방부를 개폐시키며, 상기 상부결합부의 상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리브의 일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배출구를 폐쇄시키는 차단편이 구비된 마개;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용기조립체는 상기 제1분쇄판의 상면에서 하면측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되, 상기 경사면의 단부는 상기 유입공의 가장자리와 연결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의 입구에 용기내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공과, 상기 배출공보다 큰 구멍인 공급공이 형성된 보조캡이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향연장부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결합부의 내주면에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서,
상기 고정체와 회전체가 서로 상대 회전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종래에서와 같이 고정요소와 회전요소를 조립하기 위한 조립볼트를 사용하지 아니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이 간단하다. 즉, 본 발명은 결합돌기(44)와 결합홈(54)에 의해서 고정체(40)와 회전체(50)를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므로 종래보다 구조 및 조립이 간단하다.
둘째, 제1분쇄판(41)의 유입공(41a)에 경사면(45)을 형성시킴으로써, 상대 회전되는 두개의 제1,2분쇄판(41)(51) 사이로 식품이 원활하게 진입되어 분쇄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다.
세째, 분쇄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구(53a)를 가지는 회전체(50) 및 배출구(53a)를 개폐할 수 있도록 차단편(61a)을 가지는 마개(60)를 구비함으로써, 분쇄된 내용물을 수집할 수 있어서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에 소망하는 양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한다.
네째, 배출공(72)이 형성된 보조캡(70)을 구비함으로써 원래 형태의 내용물 을 적당량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용기 조립체는 참깨와 같은 알맹이 식품을 갈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알맹이 식품들이 두개의 마주하는 분쇄판 사이로 원활하게 진입될 수 있도록 하며 갈아진 식품을 모아 둘 수 있어서 소망하는 양을 조리음식에 투입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용기 조립체를 나타낸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이는 입구가 형성되고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30), 용기(30)의 입구에 결합되며 참깨와 같은 내용물을 갈을 수 있도록 한 뚜껑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뚜껑은 용기(30)의 입구에 결합되는 고정체(40)와, 상기 고정체(4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체(50)와, 상기 회전체(50)의 상면에 결합되어 갈아진 내용물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덮개(60)로 이루어진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체(40)는 상면에 복수의 제1분쇄돌기(41b)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30)내의 내용물이 유입되는 복수의 유입공(41a)이 형성되며 상기 입구의 상면에 위치되는 제1분쇄판(41)과, 상기 제1분쇄판(41)의 가장자리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용기(30)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하향연장부(42)와, 상기 제1분쇄판(4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고 상부가 개방된 상향연장부(43)를 가진다.
상기 복수의 제1분쇄돌기(41b)들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각 제1분쇄돌기(41b)사이에는 요홈들이 형성되어서, 갈아진 내용물들의 배출통로를 형성한다.
한편,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분쇄판(41)의 상면에서 하면측으로 경사면(45)이 형성되되, 상기 경사면(45)의 단부는 상기 유입공(41a)의 가장자리와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경사면(45)과 제1분쇄판(51) 사이에는 쐐기형태의 홈이 형성되어서 내용물(100)의 진입이 원활하게 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체(50)는 하면에 복수의 제2분쇄돌기(51b)가 형성되고 상기 제1분쇄판(41)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며 제1분쇄판(41)보다 작은 직경의 제2분쇄판(51)과, 상기 상향연장부(43)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내주면에 복수의 연결리브(55)에 의해 복수의 유출공(51a)을 형성시키면서 제2분쇄판(51)과 연결되는 하부결합부(52)와, 상기 하부결합부(52)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고 그 외주면에 배출구(53a)가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상부결합부(53)를 가진다.
상기 복수의 제2분쇄돌기(51b)들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각 제2분쇄돌기(51b)사이에는 요홈들이 형성되어서 상기 고정판(40)의 요홈들과 함께 갈아진 내용물들의 배출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상향연장부(43)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결합돌기(44)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결합부(52)의 내주면에는 상기 결합돌기(44)가 결합되는 결합홈(54)이 형성되어서, 상기 고정체(40)와 회전체(50)가 서로 상대 회전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마개(60)는 상기 상부결합부(53)의 개방부를 개폐시키며, 상기 상부결합부(53)의 상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리브(61)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리브(61)의 일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배출구(53a)를 폐쇄시키는 차단편(61a)이 형성된다.
상기 마개(60)는 회전체(50)의 상부결합부(5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차단편(61a)이 도 5에서와 같이 배출구(53a)를 개방시키거나, 도 7에서와 같이 배출구(53a)를 차단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용기(30)의 입구에는 용기(30)내의 내용물(100)이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공(72)과, 상기 배출공(72)보다 큰 구멍인 공급공(71)이 형성된 보조캡(7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보조캡(70)은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체(40)와 회전체(50)가 용기(30)로부터 분리된 후에 사용되어 지며, 배출공(72)을 통하여 참깨와 같은 내용물(100)이 소량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공급공(71)을 통하여는 다량의 내용물(100)을 배출시키거나, 내용물(100)을 용기(30)에 공급시킬 경우에 사용되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용기 조립체는 다음과 같이 사용되어 진다.
먼저, 도 7에서와 같이, 용기(30)를 거꾸로 하고 한손으로 회전체(50)를 파지하고 다른 한손으로 용기(30)를 파지한 상태에서, 용기(3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유입공(41a)을 통과한 내용물(100)이 제1,2분쇄돌기(41b)(51b)사이에서 갈아지게 되고 유촐공(51a)을 통하여 회전체(50)와 마개(60) 사이의 공간에 모아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체(40)는 용기(30)의 입구에 나사결합되어서 용기(30)의 회전과 함께 같이 회전하게 되며, 용기(30) 및 고정체(40)를 고정시키고 회전체(50)를 회전시켜서 내용물(100)을 갈을 수도 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유입공(41a)에 경사면(45)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경사면(45)과 제1분쇄판(51) 사이에는 쐐기형태의 홈이 형성되어서 내용물(100)의 진입이 원활하게 되어 분쇄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즉, 도 10에서와 같이, 유입공(41a)이 단순한 직립구멍의 구조라면, 제1,2분쇄돌기(41b)(51b)사이로 내용물(100)의 진입이 원활하지 못하여서 분쇄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도 7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갈아진 내용물(100)이 마개(60)와 회전체(50)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게 되면, 마개(60)를 회전시켜서 도 5에서와 같이 배출구(53a)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분쇄된 내용물을 배출시켜 사용한다.
도 1은 종래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또 다른 종래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용기조립체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 조립체에 채용되는 회전체와 고정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조립체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조립체의 다른 사용상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조립체의 요부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비교 단면도이다.
Claims (4)
- 입구가 형성되고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30)와;상면에 복수의 제1분쇄돌기(41b)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30)내의 내용물이 유입되는 복수의 유입공(41a)이 형성되며 상기 입구의 상면에 위치되는 제1분쇄판(41)과, 상기 제1분쇄판(41)의 가장자리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용기(30)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하향연장부(42)와, 상기 제1분쇄판(4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고 상부가 개방된 상향연장부(43)를 가지는 고정체(40)와;하면에 복수의 제2분쇄돌기((51b)가 형성되고 상기 제1분쇄판(41)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며 제1분쇄판(41)보다 작은 직경의 제2분쇄판(51)과, 상기 상향연장부(43)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내주면에 복수의 연결리브(55)에 의해 복수의 유출공(51a)을 형성시키면서 제2분쇄판(51)과 연결되는 하부결합부(52)와, 상기 하부결합부(52)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고 그 외주면에 배출구(53a)가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상부결합부(53)를 가지는 회전체(50)와;상기 상부결합부(53)의 개방부를 개폐시키며, 상기 상부결합부(53)의 상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리브(61)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리브(61)의 일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배출구(53a)를 폐쇄시키는 차단편(61a)이 구비된 마개(60);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분쇄용 용기조립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쇄판(41)의 상면에서 하면측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되, 상기 경사면의 단부는 상기 유입공(41a)의 가장자리와 연결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분쇄용 용기조립체.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입구에 용기내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공(72)과, 상기 배출공(72)보다 큰 구멍인 공급공(71)이 형성된 보조캡(70)이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분쇄용 용기조립체.
- 제 3 항에 있어서, 상향연장부(43)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결합돌기(44)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결합부(52)의 내주면에 상기 결합돌기(44)가 결합되는 결합홈(54)이 형성되어서,상기 고정체(40)와 회전체(50)가 서로 상대 회전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분쇄용 용기조립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11550A KR101075560B1 (ko) | 2009-11-18 | 2009-11-18 | 식품 분쇄용 용기 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11550A KR101075560B1 (ko) | 2009-11-18 | 2009-11-18 | 식품 분쇄용 용기 조립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54780A KR20110054780A (ko) | 2011-05-25 |
KR101075560B1 true KR101075560B1 (ko) | 2011-10-20 |
Family
ID=44363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11550A KR101075560B1 (ko) | 2009-11-18 | 2009-11-18 | 식품 분쇄용 용기 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7556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17541A (ko) | 2023-06-26 | 2023-08-08 | 손준석 | 식품 분쇄용 용기 및 그 뚜껑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7278Y1 (ko) | 2003-03-11 | 2003-06-25 | 강석만 | 깨 분쇄기 |
KR200415816Y1 (ko) | 2006-02-13 | 2006-05-08 | 왕금숙 | 통깨 파쇄용기 |
-
2009
- 2009-11-18 KR KR1020090111550A patent/KR10107556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7278Y1 (ko) | 2003-03-11 | 2003-06-25 | 강석만 | 깨 분쇄기 |
KR200415816Y1 (ko) | 2006-02-13 | 2006-05-08 | 왕금숙 | 통깨 파쇄용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17541A (ko) | 2023-06-26 | 2023-08-08 | 손준석 | 식품 분쇄용 용기 및 그 뚜껑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54780A (ko) | 2011-05-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30121B1 (ko) | 믹서 기능을 갖는 음식물찌꺼기 처리기 | |
AU2008329406A1 (en) | Grinding device of vertical grinder | |
KR101075560B1 (ko) | 식품 분쇄용 용기 조립체 | |
CN207187934U (zh) | 一种分子生物学实验样品研磨器 | |
KR102507361B1 (ko) | 양념의 파쇄입자 크기를 달리하는 분쇄용기 | |
KR102452432B1 (ko) | 다단 형상의 스크류를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 |
CN206286007U (zh) | 一种小型家用五谷杂粮粉碎机装置 | |
KR101277408B1 (ko) | 음식물류 폐기물 이송장치 | |
KR101033550B1 (ko) | 원액 추출기 | |
CN214073031U (zh) | 一种蒸汽盖安装结构及应用其的破壁机 | |
KR100310154B1 (ko) | 걸름망을 갖는 주서컵 | |
CN208340789U (zh) | 一种粉碎机 | |
CN1962370A (zh) | 可以调整流出量的浇注帽 | |
CN206778656U (zh) | 一种米粉超微粉碎设备 | |
KR200397272Y1 (ko) | 핸드 쥬서기 | |
CN206166747U (zh) | 研磨机 | |
KR200460343Y1 (ko) | 필터가 구비된 믹서기 | |
KR200415816Y1 (ko) | 통깨 파쇄용기 | |
KR102379177B1 (ko) | 맷돌 | |
KR20230002195U (ko) | 착즙기 | |
KR100659722B1 (ko) | 곡물 분쇄기의 분쇄물 포집장치 | |
CN208822546U (zh) | 一种新型杯体的食物料理机 | |
CN211586889U (zh) | 一种农产品精华提取用破碎装置 | |
KR200377649Y1 (ko) | 분쇄기 | |
EP4285795A1 (en) | An electric grind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