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4977B1 - Alarm contents output method using the number of movement in terminal - Google Patents

Alarm contents output method using the number of movement i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4977B1
KR101074977B1 KR1020100038189A KR20100038189A KR101074977B1 KR 101074977 B1 KR101074977 B1 KR 101074977B1 KR 1020100038189 A KR1020100038189 A KR 1020100038189A KR 20100038189 A KR20100038189 A KR 20100038189A KR 101074977 B1 KR101074977 B1 KR 101074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vements
user
movement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81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재훈
정종훈
Original Assignee
정종훈
정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훈, 정재훈 filed Critical 정종훈
Priority to KR1020100038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497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9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61Sensor means for detecting integrated or attached to an item closely associated with the person but not worn by the person, e.g. chair, walking stick, bed sens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에 포함된 움직임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걸음에 대응할 수 있는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그 횟수를 측정하는 제1 단계; 특정 시간이 경과했는지를 판단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특정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1 단계에서 측정된 단말기의 움직임 횟수와 설정된 기준 횟수 또는 초과 횟수를 비교하여 단말기의 움직임 횟수가 기준 횟수이하 또는 초과 횟수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3 단계에서 단말기의 움직임 횟수가 기준 횟수이하 또는 초과 횟수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 경보 컨텐츠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detecting a movement of a terminal that can correspond to a footstep of a user using a motion sensor included in the terminal and measuring the number of times; A second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specific time has elaps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pecific time has elapsed in the second step,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umber of movements of the terminal is less than the reference number or more than the number of times by comparing the number of movements of the terminal measured in the first step with a set reference number or an excess number. Third step; And in the third step,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number of movements of the terminal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reference number or more than the number of times, the fourth step of outputting the alarm content as a voice.

Description

단말기의 움직임 횟수를 이용한 경보 컨텐츠 출력 방법{alarm contents output method using the number of movement in terminal}Alarm contents output method using the number of movement in terminal}

본 발명은 단말기의 움직임 횟수를 이용한 경보 컨텐츠 출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발걸음 도중 예를 들어 어린이가 하교하는 중, 여성이 밤늦게 귀가하는 중에 타인으로부터 위험 상황 예를 들어 위협, 뒤를 따라오는 행위 등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위험 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의 움직임 횟수를 이용한 경보 컨텐츠 출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outputting an alarm content using the number of movements of a terminal, in particular, a user following a dangerous situation such as a threat from another person while a child is dismissed during a footsteps or a woman is coming home late at nigh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arm content output method using a number of movements of a terminal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 back and escaping a dangerous situation.

사용자가 발걸음 도중 예를 들어 여성이 밤거리 혼자 귀가하는 중에 타인으로부터 위협 등 위험 상황에 놓이게 되면 심리적으로 상당히 불안정 상태가 되어 위험 상황을 실질적이고 효율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사용자가 신체적, 지적으로 미숙한 단계에 있는 어린이인 경우에는 그 문제의 심각성이 크다.During the user's footsteps, for example, when the woman is in a dangerous state such as a threat from others while returning home alone at nigh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is unable to cope with the dangerous situation effectively and effectively due to a psychologically unstable state. In particular, if the user is a child who is physically and intellectually immature,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 is great.

따라서, 사용자가 발걸음 도중에 타인으로부터 위험 상황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위험 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실효적인 방법이 절실히 필요하다.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n effective way for the user to automatically detect a dangerous situation from another person and to escape from the dangerous situation during the step.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발걸음 도중 예를 들어 어린이가 하교하는 중, 여성이 밤늦게 귀가하는 중에 타인으로부터 위험 상황 예를 들어 위협, 뒤를 따라오는 행위 등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위험 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의 움직임 횟수를 이용한 경보 컨텐츠 출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user automatically detects a dangerous situation, such as threats, following behaviors, etc.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larm content output method using the number of movements of a terminal to escape from a dangerous situ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may be realized and attain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particularly pointed out in the appended claim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움직임 횟수를 이용한 경보 컨텐츠 출력 방법은, 단말기에 포함된 움직임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걸음에 대응할 수 있는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그 횟수를 측정하는 제1 단계; 특정 시간이 경과했는지를 판단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특정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1 단계에서 측정된 단말기의 움직임 횟수와 설정된 기준 횟수 또는 초과 횟수를 비교하여 단말기의 움직임 횟수가 기준 횟수이하 또는 초과 횟수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3 단계에서 단말기의 움직임 횟수가 기준 횟수이하 또는 초과 횟수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 경보 컨텐츠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Alarm content output method using the number of movements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by using a motion sensor included in the terminal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footsteps of the user and measure the number of times First step; A second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specific time has elaps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pecific time has elapsed in the second step,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umber of movements of the terminal is less than the reference number or more than the number of times by comparing the number of movements of the terminal measured in the first step with a set reference number or an excess number. Third step; And a fourth step of outputting the alarm content by voice when it is determined in the third step that the number of movements of the terminal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reference number or more than the number of times.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움직임 횟수를 이용한 경보 컨텐츠 출력 방법에 의해, 사용자가 발걸음 도중 예를 들어 어린이가 하교하는 중, 여성이 밤늦게 귀가하는 중에 타인으로부터 위험 상황 예를 들어 위협, 뒤를 따라오는 행위 등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위험 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타인으로부터 위험 상황 즉, 심리적으로 상당히 불안정 상태에 놓여있을지라도 위험 상황을 실질적이고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사용자의 안전 보호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method for outputting alarm contents using the number of movements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user is walking, for example, a child is dismissed from school, a woman returns home at night, for example, a threat from another person, such as a threat, an act of following, etc. Automatically detects and frees you from dangerous situations. Even if the user is in a dangerous situation from another person, that is, psychologically unstable, a safety protection method of the user is provided that can cope with the dangerous situation substantially and efficientl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움직임 횟수를 이용한 경보 컨텐츠 출력 방법을 절차적으로 도시하는 순서도이다.1 is a flowchart procedurally illustrating a method for outputting alarm content using the number of movements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단말기에 포함된 움직임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걸음에 대응할 수 있는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그 횟수를 측정하는 제1 단계; 특정 시간이 경과했는지를 판단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특정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1 단계에서 측정된 단말기의 움직임 횟수와 설정된 기준 횟수 또는 초과 횟수를 비교하여 단말기의 움직임 횟수가 기준 횟수이하 또는 초과 횟수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3 단계에서 단말기의 움직임 횟수가 기준 횟수이하 또는 초과 횟수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 경보 컨텐츠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detecting a movement of a terminal that can correspond to a footstep of a user using a motion sensor included in the terminal and measuring the number of times; A second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specific time has elaps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pecific time has elapsed in the second step,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umber of movements of the terminal is less than the reference number or more than the number of times by comparing the number of movements of the terminal measured in the first step with a set reference number or an excess number. Third step; And in the third step,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number of movements of the terminal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reference number or more than the number of times, the fourth step of outputting the alarm content as a voice.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발걸음 도중 예를 들어 어린이가 하교하는 중, 여성이 밤늦게 귀가하는 중에 타인으로부터 위험 상황 예를 들어 위협, 뒤를 따라오는 행위 등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위험 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automatically detects a dangerous situation, for example, a threat, a following behavior, etc. from another person while the child is coming home from school during a footstep, and a woman is coming home late at night so that the user can escape from the dangerous situation. .

아래에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공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것이고, 본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o help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to more easi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움직임 횟수를 이용한 경보 컨텐츠 출력 방법을 절차적으로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단말기의 움직임 횟수를 이용한 경보 컨텐츠 출력 방법의 절차는 단계 S100에서 시작된다.1 is a flowchart procedurally illustrating a method for outputting alarm content using the number of movements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dure of the alarm content output method using the number of movements of the terminal starts at step S100.

절차는 단계 S102로 진행하여, 단말기에 포함된 움직임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걸음에 대응할 수 있는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센서로는 가속 센서, 진동 추 등이 있다. 가속 센서는 단말기의 좌우, 상하, 앞뒤의 현재 상태와 움직이는 가속도 정보를 생성시킬 수 있고 이를 이용해 단말기가 얼마의 각도로 어떤 방향으로 놓여있는지도 알 수 있다. 그리고 진동 추는 단말기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진동 정보를 생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절차는 단계 S104로 진행한다.The procedure proceeds to step S102, using the motion sensor included in the terminal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user's footsteps. Motion sensors that detect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include acceleration sensors, vibration weights, and the like. The acceleration sensor can generate the current state of the left and right, up and down, front and rear and moving acceler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can use it to know at what angle and in which direction the terminal is placed. The vibration weight may generate vib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The procedure then goes to step S104.

단계 S104에서는 단계 S102에서 감지된 단말기의 움직임 횟수를 측정한다. 단말기의 움직임 횟수는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의 발걸음 횟수에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절차는 단계 S106로 진행한다.In step S104, the number of movements of the terminal detected in step S102 is measured. The number of movements of the terminal may correspond to the number of steps of the user carrying the terminal. The procedure then goes to step S106.

단계 S106에서는 특정 시간이 경과했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특정 시간이 경과했다는 뜻은 특정 시간에 도달했다는 뜻을 포함한다. 특정 시간은 사용자가 예를 들어 1분 등으로 설정할 수가 있다. 단계 S106에서의 판단 결과 특정 시간이 경과하지 못한 경우에는 다시 단계 S102로 복귀하지만, 특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단계 S108로 진행한다.In step S106, it is determined whether a specific time has elapsed. Here, the meaning that a certain time has elapsed includes the meaning that a specific time has been reached. The specific time can be set by the user, for example, one minute.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06 that the specific time has not elaps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102 again. If the specific time has elaps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08.

단계 S108에서는 단계 S104에서 측정된 단말기의 움직임 횟수와 설정된 기준 횟수를 비교하여 단말기의 움직임 횟수가 기준 횟수이하인지를 판단한다. 기준 횟수는 사용자가 예를 들어 특정 시간을 1분으로 설정한 경우 30회 등으로 설정할 수가 있다. 단계 S108에서의 판단 결과 단말기의 움직임 횟수가 기준 횟수이하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발걸음 횟수가 정상 발걸음 횟수가 아니므로 사용자가 발걸음 도중 예를 들어 어린이가 하교하는 중, 여성이 밤늦게 귀가하는 중에 타인으로부터 위협 등 위험 상황이라고 판단하고 이후 설명과 같이 경보 컨텐츠 예를 들어 ‘관할 경찰서에 신고가 접수되었습니다. 3분 안으로 홍길순님의 위치한 곳으로 도착합니다.’ 등의 메시지가 음성으로 출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위험 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되어 본 발명이 기대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경보 컨텐츠는 위험 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타인의 범죄 행동 의지를 꺾을 수 있는 컨텐츠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단계 S108에서는 단계 S104에서 측정된 단말기의 움직임 횟수와 초과 횟수를 비교하여 단말기의 움직임 횟수가 초과 횟수이상인지를 판단하고 단말기의 움직임 횟수가 초과 횟수이상인 경우 예를 들어 타인이 사용자의 뒤를 따라오는 경우에도 경보 컨텐츠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절차는 단계 S110로 진행한다.In step S108,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umber of movements of the terminal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number by comparing the number of movements of the terminal measured in step S104 and the set reference number. The reference number can be set to 30 times, for example, when the user sets a specific time to 1 minute. If the number of movements of the terminal is less than the reference number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08, since the number of footsteps of the user is not the normal number of footsteps, the user threatens, for example, while the child is leaving school, the woman is coming home late at night, and the like. We have determined that this is a dangerous situation, and as described later, we have received an alert, for example, "The complaint was received by the local police station. It arrives in the location of Hong Gil-soon in 3 minutes. ”Since the message is output as a voice, the user can escape from the dangerous situation can achieve the effect expect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alert content is preferably made of content that can break the willingness of others to commit criminal action to escape the dangerous situation. Likewise, in step S108, the number of movements of the terminal and the number of excess times measured in step S104 are compared to determine whether the number of times of movement of the termi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number of times of movement of the terminal. In case of coming, the alarm content may be output by voice. The procedure then goes to step S110.

단계 S110에서는 사용자에게 입력을 요구하고 단계 S112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했는지를 판단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예를 들어 입력 요구 시간을 경과한 경우에는 단계 S116로 진행하여 경보 컨텐츠를 음성으로 출력하기 때문에, 타인으로부터 위험 상황에 대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본 발명의 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다. 단계 S108에서의 판단 결과 단말기의 움직임 횟수가 기준 횟수이하인 경우에는 타인으로부터 위험 상황이 아닐 수가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밤늦게 귀가하는 중 편의점에 잠시 머무르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한편, 단계 S110에서 입력 요구는 효과음 등 음성 또는 진동으로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걸음 도중에는 입력 요구를 화면을 통해 제공하는 것보다 음성 또는 진동으로 제공하는 것이 보다 실용적이기 때문이다.In step S110, the user requests input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12 to determine whether an input is received from the user. If no input is received from the user, for example, when the input request time has elaps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16. Since the sound is output by voic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dangerous situation from others can greatly increase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because if the number of movements of the terminal is less than the reference number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08, it may not be a dangerous situation from other people. For example, this is the case of staying in a convenience store for a while while returning home late at night. On the other hand, in step S110 it is preferable that the input request is notified by voice or vibration, such as sound effects. This is because it is more practical to provide the input request through voice or vibration during the step than through the screen.

이후 절차는 단계 S118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 경보 정지 입력을 수신했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118에서의 판단 결과 사용자로부터 경보 정지 입력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계속적으로 경보 컨텐츠를 출력하지만, 사용자로부터 경보 정지 입력을 수신한 경우에는 경보 컨텐츠의 출력을 정지한다. 여기서, 단계 S118에서의 판단 결과 사용자로부터 경보 정지 입력을 수신한 경우에는 수신된 경보 정지 입력이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와 동일한지를 판단하고 수신된 경보 정지 입력이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와 동일한 경우에는 경보 컨텐츠의 출력을 정지하지만, 수신된 경보 정지 입력이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계속적으로 경보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인으로부터 위험 상황에서는 경보 컨텐츠의 출력이 타인에 의해 쉽게 정지되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The procedure then proceeds to step S118 to determine whether an alarm stop input has been received from the user. If the alarm stop input is not received from the user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18, the alarm content is continuously output. If the alarm stop input is received from the user, the output of the alarm content is stopped. Here,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S118 receives the alarm stop input from the us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ceived alarm stop input is the same as the information set by the user, and when the received alarm stop input is the same as the information set by the user, the alarm If the output of the content is stopped but the received alarm stop input is not the same as the information set by the user, it is preferable to continuously output the alarm content. This is because the output of alarm contents should not be easily stopped by others in a dangerous situation from others.

한편, 단계 S108에서의 판단 결과 단말기의 움직임 횟수가 기준 횟수이하인 경우에는 녹음 또는 촬영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지정된 단말 또는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녹음 또는 촬영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타인으로부터 위험 상황에 대한 증거 자료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지정된 단말 또는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예를 들어 경비 업체, 경찰서 등과 연동하여 신고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타인으로부터 위험 상황을 벗어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경보 컨텐츠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의 기능과도 같다. 여기서, 단말기의 위치정보는 단말기의 위치를 참조할 수 있는 데이터일 수도 있고, GPS위성, 기지국 등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일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number of movements of the terminal is less than the reference number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08,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step of executing a recording or shooting command or to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the designated terminal or server. By executing a recording or shooting command, you can store evidence of a dangerous situation from another person. In addition, by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a designated terminal or server, for example, it can be reported in conjunction with a security company, police station, etc.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scape the dangerous situation from others. This is the same function as the step of outputting the alarm content by voice. 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may be data capable of referring to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or may be data received from a GPS satellite or a base station.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설명을 위한 것으로서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 치환, 조합 될 수 있는 정도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것에 의하여 정해진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and the extent to which they can be easily modified, substituted, and combi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defined by what is stated in the claims.

S102, S104, S106, S108, S116S102, S104, S106, S108, S116

Claims (4)

단말기에 포함된 움직임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걸음에 대응할 수 있는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그 횟수를 측정하는 제1 단계;
특정 시간이 경과했는지를 판단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특정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1 단계에서 측정된 단말기의 움직임 횟수와 설정된 기준 횟수 또는 초과 횟수를 비교하여 단말기의 움직임 횟수가 기준 횟수이하 또는 초과 횟수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3 단계에서 단말기의 움직임 횟수가 기준 횟수이하 또는 초과 횟수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 경보 컨텐츠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움직임 횟수를 이용한 경보 컨텐츠 출력 방법.
A first step of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that can correspond to the footsteps of the user using the motion sensor included in the terminal and measuring the number of times;
A second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specific time has elaps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pecific time has elapsed in the second step,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umber of movements of the terminal is less than the reference number or more than the number of times by comparing the number of movements of the terminal measured in the first step with a set reference number or an excess number. Third step; And
And in response to determining that the number of movements of the terminal is less than the reference number or more than the number of times, in the third step, outputting the alarm contents by voice.
청구항 1에 있어서,
경보 컨텐츠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상기 제4 단계는 사용자에게 입력을 요구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움직임 횟수를 이용한 경보 컨텐츠 출력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ourth step of outputting the alarm content as a voice is performed when the user requests an input and receives no input from the user.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단말기의 움직임 횟수가 기준 횟수이하 또는 초과 횟수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 녹음 또는 촬영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움직임 횟수를 이용한 경보 컨텐츠 출력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if the number of movements of the terminal is determined to be less than the reference number or more than the number of times in the third step, executing a recording or shooting command.
청구항 1에 있어서,
경보 컨텐츠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상기 제4 단계는,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움직임 횟수를 이용한 단말기의 위치정보 전송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ourth step of outputting the alarm content as a voice,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of the terminal using the number of movement of 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KR1020100038189A 2010-04-23 2010-04-23 Alarm contents output method using the number of movement in terminal KR1010749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189A KR101074977B1 (en) 2010-04-23 2010-04-23 Alarm contents output method using the number of movement i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189A KR101074977B1 (en) 2010-04-23 2010-04-23 Alarm contents output method using the number of movement in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4977B1 true KR101074977B1 (en) 2011-10-18

Family

ID=45033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8189A KR101074977B1 (en) 2010-04-23 2010-04-23 Alarm contents output method using the number of movement i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4977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7105B1 (en) Providing information to a mobile device based on an event at a geographical location
US20160163184A1 (en) Global positioning system equipped with hazard detector and a system for providing hazard alerts thereby
KR101158742B1 (en) Mobile Phone Comprising Antitheft Function and Antitheft Method thereof
US9685064B2 (en) Automated detection of an emergency by a user device
US20100156624A1 (en) Radio proximity monitoring
CN109785570A (en) A kind of fire-fighting and rescue method, apparatus, system and 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JP2017527134A5 (en)
US9640056B2 (en) Method for sensing emergency in response to physical and mental shock and apparatus for sensing emergency using the method
US8633818B2 (en) Mobile and automated emergency service provider contact system
US10373476B2 (en) Preventing the loss of wireless accessories for mobile devices
JP5490490B2 (en) Danger detection system
US20140338445A1 (en) Method of utilizing mobile device to detect emergency and related emergency detecting system
KR101564347B1 (en) Terminal and method for requesting emergency relief
KR101074977B1 (en) Alarm contents output method using the number of movement in terminal
KR100600334B1 (en)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Smell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07822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ing emergency in the mobile terminal
US11176799B2 (en) Global positioning system equipped with hazard detector and a system for providing hazard alerts thereby
JP2007148798A (en) Seismic management device and seismic management method
JP6917158B2 (en) Monitoring equipment, monitoring systems, monitoring methods, and programs
KR20170095556A (en) Module and method for distress call
KR20160073891A (en) System of preventing pedestrian traffic accident and method of preventing traffic accident using the same
Chiu et al. Health guard system with emergency call based on smartphone
Capurso et al. Poster: A robust vehicular accident detection system using inexpensive portable devices
JP5001411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safety state determination method, and safety state determination program
CN110675607A (en) Information prompt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se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