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4496B1 - 장용성 코팅 조성물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장용성 코팅 조성물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4496B1
KR101074496B1 KR1020080053271A KR20080053271A KR101074496B1 KR 101074496 B1 KR101074496 B1 KR 101074496B1 KR 1020080053271 A KR1020080053271 A KR 1020080053271A KR 20080053271 A KR20080053271 A KR 20080053271A KR 101074496 B1 KR101074496 B1 KR 101074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weight
active ingredient
composition
shella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3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6912A (ko
Inventor
이정석
김호경
장석준
문병령
Original Assignee
풍림무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풍림무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풍림무약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3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4496B1/ko
Publication of KR20090126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6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4Oils, fats or waxes according to two or more groups of A61K47/02-A61K47/42; Natural or modified natural oils, fats or waxes, e.g. castor oil, polyethoxylated castor oil, montan wax, lignite, shellac, rosin, beeswax or lano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38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 A61K9/2806Coating materials
    • A61K9/2833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86Polysaccharides, e.g. gums; Cyclodextrin
    • A61K9/2866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e.g.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 A61K9/2806Coating materials
    • A61K9/288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e.g. material from plants or anim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9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natural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thereof
    • C09D193/02Shella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용성 코팅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쉘락(Shellac)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Carboxymethylcellulose Sodium, CMC Na)을 포함하는 장용성 코팅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용성 코팅 조성물은 위액의 낮은 pH 조건에서 용해되지 아니하여 활성성분이 방출되거나 위액에 의한 활성성분에 대한 영향을 차단하여 복용시 활성성분에 의한 위장관의 부작용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대폭 상승하며, 장내 환경에서는 효과적으로 활성성분이 방출될 수 있어서, 경구로 섭취되는 장용성 코팅 제품에 폭 넓게 이용될 수 있다.
장용성 코팅, 쉘락,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Description

장용성 코팅 조성물 및 제조방법{ENTERIC COATED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장용성 코팅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위액의 낮은 pH 조건에서 용해되지 아니하여 활성성분이 방출되거나 위액에 의한 활성성분에 대한 영향을 차단할 수 있고, 장내 환경에서는 효과적으로 활성성분을 방출시킬 수 있어서, 경구로 섭취되는 장용성 코팅 제품에 이용될 수 있는 장용성 코팅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장내에서 그 효과를 발휘하는 성분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의약, 건강기능식품 또는 건강보조제의 경우, 상기 활성성분이 위액의 산성 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장까지 분해되지 않고 도달하여 장내에서 그 효과를 발휘하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상기 활성성분이 위에서 분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활성성분의 위점막 자극에 의해 섭취 후 특이취가 트림으로 올라올 수 있고, 복통이 유발될 수 있으며, 위장장애를 일으키거나, 심지어 위점막에 궤양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는 것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장내에서 그 효과를 발휘하는 성분을 활성성분으 로 포함하는 의약품이나 식품은 활성성분이 위액의 산성 조건에서 방출되거나 노출되지 않고, 장내 환경에서 방출되도록 장용성 코팅을 수행하고 있다.
장용성 코팅을 수행한 제품 즉, 장용성 코팅 제품의 경우 대한약전 장용성 코팅 붕해시험 기준인 위내 환경인 pH 1.2의 조건에서 일정시간 동안 정제 내용물이 피막 내부에서 방출되어서는 안되며, 장내 환경인 pH 6.8의 조건에서는 일정시간 내에 내용물이 모두 방출될 것이 요구된다.
상기 장용성 코팅 제품의 코팅 물질로는 하이드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PMC),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Cellulose Acetate Phthalate, CAP), 히프로멜로오스 프탈레이트(Hypromellose phthalate), Eudragit, 쉘락(Shellac), 제인(Zein)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도,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히프로멜로오스 프탈레이트 및 Eudragit이 의약품 정제에 사용되는 장용성 코팅 물질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다만, 천연물에서 유래된 쉘락과 제인은 위와 장의 pH 변화에 따른 붕괴 특이성이 적기 때문에 장용성 코팅 목적으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연물에서 유래된 코팅물질인 쉘락의 문제점인 pH 변화에 따른 붕괴 특이성이 적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쉘락이 포함된 장용성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장용성 코팅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장용성 코팅 조성물은 쉘락(Shellac)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Carboxymethylcellulose Sodium, CMC Na)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활성성분이 상기 장용성 코팅 조성물로 코팅된 의약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활성성분이 상기 장용성 코팅 조성물로 코팅된 의약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쉘락의 문제점인 pH 변화에 따른 붕괴 특이성이 적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를 거듭한 결과, 수용액 상태에서 pH 2 이상에서는 투명한 상태로 유지되나, pH 2 미만에서는 재응집이 발생하여 침전이 발생되는 특성을 갖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과 쉘락을 함께 포함하는 코팅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활성성분을 코팅하는 경우, 위내 환경에서는 코팅된 활성성분이 코팅막 외부로 방출 되지 아니하는 한편, 장내 환경에서는 일정시간 내에 활성성분이 모두 코팅막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확인하여,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장용성 코팅 조성물은 쉘락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장용성 코팅이란 경구용 정제를 섭취하는 경우, 섭취된 경구용 정제의 내용물 즉, 활성성분이 위액의 낮은 pH나 효소 등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아니하고, 정제의 활성성분이 위에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장에서 방출되도록 유도하는 코팅을 의미한다. 상기 장용성 코팅은 정제에 포함되는 활성성분이 장에서 작용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상기 활성성분이 위장장애를 일으키거나 섭취 후 특이취가 트림으로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경우에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장용성 코팅 제품은 대한약전 장용성코팅 붕해시험 기준 즉, pH 1.2의 조건에서 일정시간 동안 정제 내용물이 피막 내부에서 방출되어서는 안되며, pH 6.8의 조건에서 일정시간 내에 내용물이 모두 방출되어야 하는 기준을 만족하여야 한다.
상기 쉘락은 개각충(Laccifer Lacca Keer)의 수지성 분비물인 Lac으로부터 왁스 물질을 제거하여 추출한 물질을 의미하며, 물에 녹지 않고 알칼리수용액, 에탄올, 에테르 또는 프로필렌글리콜에탄올 등에 용해된다. 상기 알카리수용액에 용해되는 특성으로 인하여, 쉘락 단독으로 코팅된 제품은 장내 환경과 유사한 pH인 pH 6.8에서 쉽게 붕괴되지 않으나, 뛰어난 수분차단 효과가 인정되어, 초콜렛 등의 제과에서는 끈적임을 방지하기 위한 코팅 물질로 사용되거나, 의약품에서는 정제 특히, 당의정의 표면 인쇄 잉크가 지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코팅 물질로 사용된 다. 쉘락 코팅은 일반적으로 쉘락을 에탄올 또는 에탄올 수용액에 용해시켜 비교적 소량, 일 예로 전체 중량의 1% 미만을 제제의 표면에 도포시키는 방법으로 수행한다.
상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Carboxymethylcellulose Sodium, CMC Na)은 pH 2 이상의 물에 용해되며, 구체적으로 pH 2 이상의 물에서는 분산 후 용해되어 투명한 상태로 유지되나, pH 2 미만에서는 재응집이 발생하여 침전이 발생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쉘락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은, 예를 들어, 정제 형태의 의약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활성성분 등의 내용물 코팅을 위해 적용되었을 때, pH 1.2의 조건에서 일정시간(120분) 동안 정제의 코팅막 파손으로 인한 내용물 방출이 없고, pH 6.8의 조건에서 코팅막이 완전히 붕괴되어 일정시간 (60분)내에 내용물이 모두 방출되는 특성을 나타낸다.
상기 특성은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쉘락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을 모두 포함하는 것에 기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쉘락은 기본적으로 위액과 장액의 조건에서 모두 견딜 수 있는 코팅막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쉘락과 함께 포함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은 pH 2 미만인 pH 1.2의 위내 조건에서 용해되지 않아 코팅막이 분해되지 않도록 방어하는 역할을 하고, pH 2 이상인 pH 6.8의 장내 조건에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이 용해되어 코팅막을 붕괴시키는 역할을 하여, 이에 따라, 활성성분인 내용물을 붕해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코팅 조성물에 포함된 쉘락의 함량은 상기 코팅 조성물의 중량에 대해 1 내지 30 중량부로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중량부로 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0 중량부로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 조성물에 포함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의 함량은 상기 코팅 조성물의 중량에 대해 0.01 내지 5 중량부로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 중량부로 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2.8 중량부로 될 수 있다. 또한, 쉘락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의 함량비는 1:0.1~1로 될 수 있다.
만일, 쉘락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의 총 함량이 상술한 범위를 벗어나서 지나치게 커지는 경우, 코팅 조성물의 점도가 지나치게 놓아져 의약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활성성분을 코팅하는데 적용하기가 어렵게 되며, 지나치게 작아지면 상기 코팅 조성물을 이용해 활성성분을 코팅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코팅 조성물은 용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쉘락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을 모두 용해시킬 수 있는 알카리 수용액일 수 있다. 상기 알카리 수용액의 pH는 pH 9내지 pH 12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pH 11 내지 pH 11.5일 수 있다. pH가 상술한 범위를 벗어나 지나치게 작아지면 상기 쉘락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을 용해시키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지고, 지나치게 커지면 pH 조절제의 사용량이 불필요하게 많아진다.
상기 용제는 물에 pH 조절제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pH 조절제는 물의 pH를 알카리로 조절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pH 조절제의 일 예로 수산화암모늄,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과 같은 염기성 물질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수산화암모늄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산화암모늄은 코팅시 분사되는 열풍에 의하여 암모니아(NH3)와 수분으로 대부분 증발되어 피막의 중량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아니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pH 조절제, 구체적으로 수산화암모늄의 함량은 암모니아 냄새로 인해 작업에 미치는 불편을 줄이고, 쉘락의 용해속도가 느려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상기 코팅 조성물의 중량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0.5 내지 5 중량부가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 조성물은 부형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일 예로 가소제, 착향제, 색소, 보존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피막의 탄성을 유지시켜 충격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비이온성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착향제, 색소 또는 보존제는 제제에 색상, 향기, 보존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첨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또한 활성성분이 상술한 장용성 코팅 조성물로 코팅된 의약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의약 조성물은 활성성분이 상기 코팅 조성물로 코팅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의약 조성물의 활성성분은 위에서 방출되는 경우 위장장애를 일으키거나 위점막을 자극하여 위궤양 등의 질환을 유발하거나, 혹은 장내 방출에 의해 주된 약효를 발현하는 성분일 수 있으며, 일 예로 아스피린,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 펜, 클로닉신리신 또는 스트렙토키나제, 스트렙토도나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활성성분이 상기 코팅 조성물로 코팅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활성성분은 위에서 방출되는 경우 위장장애를 일으키거나 위점막을 자극하여 위궤양 등의 질환을 유발하거나, 혹은 장내 방출에 의해 주된 약효를 발현하는 성분일 수 있으며, 일 예로 무기철(푸마르산철, 글루콘산철, 젖산철 등) 함유 철분제, 마늘추출물함유 제품, 글루코사민제품 또는 녹차제품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의 함량은 의약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3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6 내지 8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의 함량이 3 중량% 미만으로 되면, 활성성분의 코팅시에 상대적으로 피막이 얇게 형성되어 정제 등의 형태로 제공되는 의약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일부가 pH 1.2의 붕해 조건에서 견디지 못하고 활성성분의 적어도 일부를 방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 조성물의 함량이 15 중량%를 초과하면, pH 6.8붕해 조건에서 피막이 녹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장내에서 활성성분의 붕해지연이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의약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추가로 적절한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일 예로 가소제, 착향제, 색소, 보존제 등일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피막의 탄성을 유지시켜 충격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비이온성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착향제, 색소 또는 보존제는 제제에 색상, 향기, 보존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첨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또한 활성성분이 상기 장용성 코팅 조성물로 코팅된 의약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장용성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활성성분을 타정하여 나정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나정을 상기 코팅 조성물로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용성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물에 pH 조절제, 구체적으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또는 수산화암모늄과 같은 염기성 물질을 상기 코팅 조성물의 중량기준으로0.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0.5 내지 5 중량부 첨가하여 pH 9내지 pH 12, 바람직하게는 pH 11내지 pH 11.5 의 염기성수용액을 만드는 단계와, 상기 염기성수용액에 쉘락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를 첨가하여 상기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쉘락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의 함량은 코팅작업 즉, 분무 및 건조에 알맞은 코팅액을 조제하기 위하여, 상기 쉘락의 경우 코팅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0 중량부로 될 수 있고, 상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의 경우 0.01 내지 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2.8 중량부로 될 수 있다.
상기 활성성분을 타정하여 나정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과립물을 제조하고 이를 타정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과립물은 추가로 상기 부형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일 예로 가소제, 착향제, 색소, 보존제 등일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피막의 탄성을 유지시켜 충격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비이온성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착향제, 색소 또는 보존제는 제제에 색상, 향기, 보존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나정을 상기 코팅 조성물로 코팅하는 단계는 상기 코팅 조성물, 구체적으로 코팅 조성물 용액을 나정에 분사하고 건조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 용액의 분사는 일 예로 분사노즐 방식의 코팅설비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하는 단계는 필름 코팅 작업 시, 나정의 표면이 약하거나 나정을 구성하는 성분의 특성이 코팅 조성물과의 접착성이 적은 경우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제인과 같은 일반적인 필름코팅 소재로 1차 코팅 후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로 2차 코팅 할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의 함량은 의약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3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6 내지 8 중량%로 될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의 함량이 3 중량% 미만으로 되면, 활성성분의 코팅시에 상대적으로 피막이 얇게 형성되어 정제 등의 형태로 제공되는 의약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일부가 pH 1.2의 붕해 조건에서 견디지 못하고 활성성분의 적어도 일부를 방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 조성물의 함량이 15 중량%를 초과하면, pH 6.8붕해 조건에서 피막이 녹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장내에서 활성성분의 붕해지연이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용성 코팅 조성물은 위액의 낮은 pH 조건에서 용해되지 아니하여 활성성분이 방출되거나 위액에 의한 활성성분에 대한 영향을 차단하여 복용 시 활성성분에 의한 위장관의 부작용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대폭 상승하며, 장내 환경에서는 효과적으로 활성성분이 방출될 수 있어서, 경구로 섭취되는 장용성 코팅 제품에 폭 넓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제조예 및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한 것을 뿐,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코팅하여 제조한 정제에 대하여, 붕해시험을 실시하여 장용성 코팅 제품으로 적합한 지 여부를 확인 하였다.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쉘락 코팅 용액을 제조한 후 정제 제품에 코팅한 코팅 제품 (비교예1) 및 일반적인 필름코팅 소재인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코팅 용액을 제조한 후, 정제 제품에 코팅한 코팅 제품(비교예2)과 비교하였다.
<제조예>
본 발명의 정제인 실시예와 본 발명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예를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우선, 코팅의 대상이 되는 정제는 일반적인 부형제인 결정셀룰로오스, 유당, 말토덱스트린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으로 제조하였고, 함량은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결정셀룰로오스 40 중량%, 유당 30 중량%, 말토덱스트린 28.5 중량%, 스테아린산마그네슘 0.5 중량%으로 혼합하였으며, 붕해 시험 과정에서 pH 1.2 조건으로 시험 수행을 하는 경우 내용물 방출을 붕해 용액의 색상 변화로 쉽게 확인하기 위하여, 식용색소황색 제4호를 1 중량%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된 조성물을 각500 mg의 지름 10mm 의 원형모양의 정제가 되도록 타정하였다.
상기 타정된 정제의 코팅은 각 코팅 조성물을 코팅액으로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코팅액은 중량 기준으로 쉘락 7 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0.4 중량%, 수산화암모늄(35%용액) 3 중량% 및 글리세린 0.7 중량%을 정제수 88.9 중량%에 첨가하여 제조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액은 정제수에 상기 함량의 수산화암모늄과 글리세린을 투입 후, 교반하며 천천히 쉘락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을 추가 첨가하여 완전히 용해시키는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쉘락을 포함한 본 발명의 비교예 1의 코팅액은 중량 기준으로 쉘락 7.4 중량%, 및 글리세린 0.7 중량%을 95% 에탄올 수용액 91.9 중량%에 첨가하여 제조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비교예 1의 코팅액은 에탄올에 상기 함량의 글리세린을 투입 후, 교반하며 천천히 쉘락을 추가 첨가하여 완전히 용해시키는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한 본 발명의 비교예 2의 코팅액은 중량 기준으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7.4 중량%, 및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0.7 중량%을 80% 에탄올 수용액 91.9 중량%에 첨가하여 제조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비교예 2의 코팅액은 상기 80% 에탄올에 상기 함량의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를 추가 후, 교반하며 천천히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를 추가 첨가하여 완전히 용해시키는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코팅액을 이용한 코팅은 정제코팅설비(세종 파마테크 SFC-30F, ㈜ 세종 파마테크, 대한민국)를 이용하여, 급기온도 80℃ 공기압 0.25 MPa, 제품온도 50 내지 60℃ 및 배기온도 35 내지 45℃, 노즐 크기(Size) 1.2 mm 및 22g/분의 액량으로 수행하였다. 상기 코팅단계의 정제투입량은 3000g이었고, 분사는 1시간 40분 동안 수행하였으며, 최종 제품의 측정된 무게 3180g인 것으로 확인되어,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6 중량%의 코팅 조성물이 코팅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붕해여부에 대한 실험은 대한약전 8개정, 일반시험법 16.붕해시험법 6)장용성제제 가) 과립제 및 과립상의 형으로 충전한 캡슐제 외의 장용성 제제 시험기준에 의해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염화나트륨 2.0 ml에 염산 7.0 ml 및 물을 넣어 녹여 최종 부피 1000ml로 제조한 pH 1.2의 1액과0.2 mol/L의 인산이수소칼륨시액 250ml에 0.2 mol/L의 수산화나트륨 시액 118 ml 및 물을 혼합하여 최종 부피 1000 ml로 제조한 pH 6.8의 2액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상기 제조된 1액을 이용한 붕해실험은 상기 1액에 상기 제조된 코팅 정제를 첨가하고, 붕해시험기로 120분간 상하운동 한 후, 검체 6개 중 붕해, 피막의 개구, 박리 또는 파손으로 내용물이 방출되는 것이 1개 이하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1개 이하인 경우 1액에 의한 실험에 적합한 것으로 파악하였고, 상기 제조된 2액을 이용한 붕해실험은 상기 2액에 보조판과 상기 제조된 코팅 정제를 첨가하고, 붕해시험기로 60분간 상하운동 한 후, 검체 6개가 붕해되어 유리관 안에 없거나, 남아있는 물질이 피막인 경우에는 적합한 것으로 파악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었다.
[표 1]
1액에 의한 시험 2액에 의한 시험 장용성 기준
실시예 6개 모두 시험관 내에서 붕해되지 않고 잔류함(적합) 6개 모두 내용물이 방출되고, 시험관 내 소량의 피막 잔류(적합) 적합
비교예 1 6개 모두 시험관 내에서 붕해되지 않고 잔류함(적합) 6개 모두 시험관 내에서 붕해되지 않고 잔류함 (부적합) 부적합
비교예 2 6개 모두 피막이 용해되고, 내용물이 방출 (부적합) 6개 모두 피막이 용해되고, 내용물이 방출 (적합) 부적합
상기 표 1 및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인 피막소재인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를 사용한 비교예 2의 경우, 위 내부 조건에 해당하는 pH 1.2의 1액 및 장 내부 조건에 해당하는 pH 6.8의 2액에서 모두 붕해되었으므로, 장용성 제품으로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고, 쉘락을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1의 경우에도 위 내부 조건에 해당하는 pH 1.2의 1액 및 장 내부 조건에 해당하는 pH 6.8의 2액에서 모두 붕해되지 않았으므로 장용성 제품으로 부적합인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인 쉘락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을 함유하는 코팅 조성물로 코팅된 정제인 실시예의 경우 위 내부 조건에 해당하는 pH 1.2의 1액에서는 붕해되지 않았으나 장 내부 조건에 해당하는 pH 6.8의 2액에서는 붕해되었으므로 장용성 제품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여 장용성 제품으로 적합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 1에 해당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장용성이 요구되는 다양한 제품에 장용성 기능을 부여하는 코팅액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조성물인 실시예에 대한 장용성 제제 시험기준에 의한 붕해실험을 수행한 사진으로, 도 1a는 실험 수행하기 전의 사진이고, 도 1b는 60분이 경과된 시점의 사진이며, 도 1c는 120분이 경과된 시점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쉘락으로 코팅한 비교예 1에 대한 장용성 제제 시험기준에 의한 붕해실험을 수행한 사진으로, 도 2a는 실험 수행하기 전의 사진이고, 도 2b는 60분이 경과된 시점의 사진이며, 도 2c는 120분이 경과된 시점의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로 코팅한 비교예 2 에 대한 장용성 제제 시험기준에 의한 붕해실험을 수행한 사진으로, 도 3a는 실험 수행하기 전의 사진이고, 도 3b는 60분이 경과된 시점의 사진이며, 도 3c는 120분이 경과된 시점의 사진이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쉘락 5 내지 15 중량부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0.5 내지 3 중량부를 첨가하여 장용성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물에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또는 수산화암모늄을 첨가하여 염기성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염기성 수용액에 상기 장용성 코팅 조성물을 전체 의약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3 내지 15 중량% 로 첨가하여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
    활성성분을 타정하여 나정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코팅액으로 상기 나정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용성 의약 조성물 제조방법.
  10. 쉘락 5 내지 15 중량부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0.5 내지 3 중량부를 첨가하여 장용성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물에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또는 수산화암모늄을 첨가하여 염기성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염기성 수용액에 상기 장용성 코팅 조성물을 전체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3 내지 15 중량% 로 첨가하여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
    활성성분을 타정하여 나정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코팅액으로 상기 나정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용성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080053271A 2008-06-05 2008-06-05 장용성 코팅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074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271A KR101074496B1 (ko) 2008-06-05 2008-06-05 장용성 코팅 조성물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271A KR101074496B1 (ko) 2008-06-05 2008-06-05 장용성 코팅 조성물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6912A KR20090126912A (ko) 2009-12-09
KR101074496B1 true KR101074496B1 (ko) 2011-10-17

Family

ID=41687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3271A KR101074496B1 (ko) 2008-06-05 2008-06-05 장용성 코팅 조성물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44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035B1 (ko) * 2011-10-18 2013-12-02 주식회사 바이오앱 산세수를 포함하는 철분보조제 및 이의 용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43747A (en) * 1958-10-22 1962-07-10 Upjohn Co Tablets coated with carboxymethylcellulose shellac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43747A (en) * 1958-10-22 1962-07-10 Upjohn Co Tablets coated with carboxymethylcellulose shellac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6912A (ko) 200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45475B1 (en) Enteric composition for the manufacture of soft capsule wall
RU2428178C2 (ru) Сахарные покрытия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CA2299511C (en)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having two coating layers
CN100381117C (zh) 可食用的包衣组合物
JPS62123118A (ja) 医薬組成物
EP1459740A1 (en) Compositions containing sucralose
TWI539976B (zh) 腸溶硬膠囊之組合物與使用此組合物所得之腸溶硬膠囊
US20070099843A1 (en) Nutritional supplement for the enhancement of the health of the liver
EP1066040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cefuroxime axetil stable for moisture absorption
JP6062802B2 (ja) キトサン含有組成物及びキトサンコーティング組成物
KR101074496B1 (ko) 장용성 코팅 조성물 및 제조방법
CN102727455B (zh) 一种他达那非口腔崩解片及其制备方法
CN103908441A (zh) 一种Omega-3脂肪酸及其衍生物肠溶软胶囊及制备方法
JP2014122184A (ja) キトサン含有組成物及びキトサンコーティング組成物
CN1321642C (zh) 泮托拉唑钠肠溶微丸
JP4504467B2 (ja) 口腔内崩壊性錠剤
US20050196445A1 (en) Edible microcrystalline cellulose and carrageenan coating composition
KR100857061B1 (ko) 바키늄 미르틸루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정제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8517909A (ja) 圧縮性の悪い活性物質及びトコフェロールポリエチレングリコールスクシネート(tpgs)を含む錠剤
US9254270B2 (en) Enteric soft capsules
CZ308696A3 (en) Tablets containing ranitidin and process for preparing a coating
FI83475B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tabletter innehaollande doxicyklin eller tetracyklinhydroklorid.
AU2010270976B2 (en) Sodium ibuprofen tablet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s including sodium ibuprofen
EP1251833A1 (en) Gellan gum dipped products
KR20170001786A (ko) 펠라고니움 시도이데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