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4344B1 - 배관 내부의 방사성 오염시료 채취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내부의 방사성 오염시료 채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4344B1
KR101074344B1 KR1020090108126A KR20090108126A KR101074344B1 KR 101074344 B1 KR101074344 B1 KR 101074344B1 KR 1020090108126 A KR1020090108126 A KR 1020090108126A KR 20090108126 A KR20090108126 A KR 20090108126A KR 101074344 B1 KR101074344 B1 KR 101074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ample
bite
radioactive
contami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8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1510A (ko
Inventor
서범경
이근우
정관성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08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4344B1/ko
Publication of KR20110051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1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17Inspection or maintenance of pipe-lines or tubes in nuclear install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 G01N1/08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involving an extracting tool, e.g. core b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내부의 방사성 오염시료 채취장치는, 원자력 시설을 안전하게 관리 유지하도록 상기 원자력 시설에서 사용된 배관의 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배관 내에 바이트를 삽입 회전시켜 상기 배관의 내주면에 고착화된 방사성 오염시료를 채취하도록 구성되며, 구체적으로 상하방향 수직부를 갖는 프레임; 내주면에 방사성 오염시료가 고착화된 배관이 거치되도록, 상기 수직부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된 배관 거치부; 및 상기 방사성 오염시료를 채취하도록 상기 배관 내에 삽입 회전되는 바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배관 거치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오염시료 채취부;를 포함한다. 이는 오염된 배관 내부의 시료를 직접 채취할 수 있음으로써, 오염시료 채취에 따른 작업자의 피폭 가능성을 줄일 수 있고, 고착성 오염시료인 경우도 배관 내면의 오염시료를 깍아 내서 시료를 채취하기 때문에 정확한 오염도 평가가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방사성 오염시료, 고착, 채취봉, 바이트, 바이트 유닛, 클램프 유닛

Description

배관 내부의 방사성 오염시료 채취장치{Apparatus for sampling the radioactive contaminant of pipe internal}
본 발명은 배관 내부의 방사성 오염시료 채취장치로서, 배관 내부의 고착화된 오염시료를 채취하기 위하여 배관 내부로 삽입하여 상기 오염시료를 절삭하도록 개선된 배관 내부의 방사성 오염시료 채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시설의 유지보수 및 해체 시에 발생되는 다양한 폐기물이 발생하며, 이들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정확한 방사선학적 오염도를 측정하여야 한다. 특히, 이러한 폐기물 중에서 배관의 경우는 대부분이 내부가 오염된 것으로서 내부의 시료를 채취하여 오염도를 측정하여야 한다.
내부의 시료를 채취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대표적으로 스미어 페이퍼(smear paper)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한 후에 검출기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상기 스미어 페이퍼 방법은 직경 2 인치(inch), 두께 0.1 mm인 스미어 페이퍼로 사람이 직접 오염된 부위를 문질러서 오염된 시료를 채취하기 때문에 피복의 위험성이 높다.
또한 예컨대, 국내 특허출원 제20-2002-0001445호에 개시된 방사성 표면오염 측정용 시료채취기와 같은 장치에서도 스미어 페이퍼와 같은 페이퍼가 활용되는데, 배관 내부의 오염물이 경도가 높은 고착성인 경우는 스미어 페이퍼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할 수가 없으며, 배관을 절단한 후에 내부 시료를 채취하여야 하는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배관 내부의 고착화된 오염시료를 채취하기 위하여 배관 내부로 삽입하여 상기 오염시료를 절삭하도록 개선된 배관 내부의 방사성 오염시료 채취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 내부의 방사성 오염시료 채취장치는, 원자력 시설을 안전하게 관리 유지하도록 상기 원자력 시설에서 사용된 배관의 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배관 내에 바이트를 삽입 회전시켜 상기 배관의 내주면에 고착화된 방사성 오염시료를 채취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하방향 수직부를 갖는 프레임; 내주면에 방사성 오염시료가 고착화된 배관이 거치되도록, 상기 수직부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된 배관 거치부; 및 상기 방사성 오염시료를 채취하도록 상기 배관 내에 삽입 회전되는 바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배관 거치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오염시료 채취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오염시료 채취부는, 상기 수직부의 하부에 설치된 본체; 하단부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배관 거치부 측으로 상기 수직부를 따라 배치되며, 상단부에 상기 바이트가 장착된 채취봉; 및 상기 채취봉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채취봉의 바이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채취봉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동력이 제공되도록 하단부가 상기 구동모터와 기계적으로 연결구성되며, 상단부에는 상기 바이트가 연결된 회전축;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오염시료 채취부는, 상기 채취봉이 상기 배관 내에 삽입 시, 상기 바이트가 상기 채취봉으로부터 상기 배관 내주면 측으로 왕복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바이트 이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바이트 이동유닛은, 상기 회전축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된 가이드 축; 상기 가이드 축의 상단부에 장착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원뿔형상의 제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가이드 축의 하단부에 연결된 제1 회전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트가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와 접하는 면이 하방 외측으로 경사진 형상을 취하여, 상기 제1 회전 손잡이를 회전하여 상기 가이드 축이 길이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 가이드 부재가 상하이동되어, 상기 바이트가 상기 배관 내주면 측으로 왕복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염시료 채취부는, 상기 채취봉이 상기 배관 내에 삽입 시, 상기 배관에 대해 상기 채취봉이 선택적으로 위치고정되도록 구성되는 클램프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클램프 유닛은, 상기 회전축을 감싸면서 상기 회전축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된 클램프 축; 상기 클램프 축의 상단부에 두 개가 서로 이격되어 장착되며, 서로 마주보는 측의 상부가 경사진 제2 가이드 부재; 상기 채취봉의 상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와 접하는 면이 하방 내측으로 경사진 클램프 돌기; 및 상기 클램프 축의 하단부에 체결된 제2 회전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회전 손잡이를 회전하여 상기 클램프 축이 길이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2 가이드 부재가 상하이동되어, 상기 클램프 돌기가 상기 배관 내주면 측으로 왕복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수직부는 일면을 따라 배치된 랙 기어 형상의 레일을 구비하며, 상기 배관 거치부는, 상기 배관이 거치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일면에 거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레일의 일측에 배치된 배관 거치대; 및 상기 배관 거치대의 측부에 체결되며, 상기 레일과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를 구비하여 회전됨에 따라 상기 배관 거치대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3 회전 손잡이; 상기 거치홈에 거치된 상기 배관을 압박고정하도록 마련된 누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수직부는, 상기 레일의 양측으로 배치되며, 상기 배관 거치대의 일측부를 통과하여 상기 배관 거치대를 슬라이드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하방향 수직부를 갖는 프레임; 내주면에 방사성 오염시료가 고착화된 배관이 거치되도록, 상기 수직부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된 배관 거치부; 상기 배관 내에 삽입 회전되는 바이트를 구비하여 상기 방사성 오염시료를 채취하도록, 상기 배관 거치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오염시료 채취부; 및 상기 오염시료 채취부에 의해 채취된 상기 배관 내의 오염시료를 수용하도록, 상기 배관 거치부와 오염시료 채취부 사이에 배치된 오염시료 수용부;를 포함하는 배관 내부의 방사성 오염시료 채취장치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오염시료 수용부는, 상기 오염시료 채취부에 의해 상기 배관 내의 길이에 따른 구간별 오염시료를 구분 수거하도록, 구분 분류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서, 상기 오염시료 수용부는 가로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차단되는 칸막이가 상하방향 복수 개가 구비된 수용용기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상기 오염시료 수용부는 구간별로 표시되어 각각 명기된 복수의 수용용기가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내부의 방사성 오염시료 채취장치는, 오염된 배관 내부의 시료를 직접 채취할 수 있는 장비로서 오염시료 채취에 따른 작업자의 피폭 가능성을 줄일 수 있고, 고착성 오염시료인 경우도 배관 내면의 오염시료를 깍아 내서 시료를 채취하기 때문에 정확한 오염도 평가가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배관 내부의 방사성 오염시료 채취장치는, 원자력 시설을 안전하게 관리 유지하도록 상기 원자력 시설에서 사용된 배관의 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배관 내에 바이트를 삽입 회전시켜 상기 배관의 내주면에 고착화된 방사성 오염시료를 채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 내부의 방사성 오염시료 채취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관 내부의 방사성 오염시료 채취장치의 배관 거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어 배관(1)이 거치되는 배관 거치부(20), 및 상기 배관 거치부(20)에 거치된 배관(1) 내 의 오염시료를 채취하는 오염시료 채취부(4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은 본 발명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안정하게 지지하기 위해 벽 또는 지면 등에 고정 또는 안정된 구조로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프레임(10)은, 배관(1) 내의 오염시료를 원활하게 수집하기 위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수직부(12)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배관 거치부(20)는 내주면에 방사성 오염시료가 고착화된 배관(1)이 거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배관 거치부(20)는, 배관(1)을 내부의 방사성 오염시료가 채취되기 용이한 지점에 위치시키고, 위치된 지점에서 배관(1)이 외력에 의해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력을 높여서 견고한 고정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배관 거치부(20)는 수직부(12)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수직부(12)는 일면을 따라 배치된 랙 기어 형상의 레일(13)을 구비한다.
이러한 레일(13)은 배관 거치부(20)가 이동되는 동선에 적정한 길이만큼 수직부(12)를 따라 구성된다.
이와 같은 배관 거치부(20)는, 거치되는 배관(1)을 오염시료 채취부(40) 측으로 이동시켜서 오염시료 채취부(40)의 채취봉(54)이 삽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배관 거치부(20)는 배관(1)이 거치되는 배관 거치대(22), 상기 배관 거치대(22)의 측부에 장착된 제3 회전 손잡이(26), 및 상기 배관 거치대(22)의 일측에 마련된 복수 개의 누름 부재(24)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배관 거치대(22)는 프레임(10)의 수직부(12)에서 레일(13)로부터 개방된 일측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은 배관 거치대(22)는 배관(1)이 거치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일면에 거치홈(23)이 형성된다.
상기 거치홈(23)은 배관(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인 부분 또는 일정 부분이 내측으로 인입되어, 배관(1)에 대한 일정 정도의 위치고정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상기 제3 회전 손잡이(26)는 배관 거치대(22)의 측부에 체결되며, 레일(13)과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피니언 기어는 제3 회전 손잡이(26)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제3 회전 손잡이(26)의 중심회전축에 형성됨은 물론이다.
즉, 제3 회전 손잡이(26)는,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면 배관 거치대(22)를 레일(13)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조를 취한다.
그리고, 상기 누름 부재(24)는 거치홈(23)에 거치된 상기 배관(1)을 압박고 정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누름 부재(24)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의 잭을 회동하여 배관(1) 측으로 누르고 다른 하나의 잭을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킴에 따라 누르고 있는 잭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잠글 수 있는 구조를 취한다.
물론, 누름 부재(24)는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배관(1)의 상부를 압박하여 배관(1)을 견고하게 위치고정시킬 수 있는 부재라면 종래의 어떤 부재도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직부(12)는 레일(13)의 양측으로 배치된 가이드 바(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14)는 배관 거치대(22)의 일측부를 통과하여 배관 거치대(22)를 슬라이드 가이드하도록 구성된다.
즉, 가이드 바(14)는 배관 거치대(22)가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원활하게 수직부(12)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성된다.
도 3은 도 1의 배관 내부의 방사성 오염시료 채취장치의 채취봉의 단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배관 내부의 방사성 오염시료 채취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배관 내부의 방사성 오염시료 채취장치의 오염시료 채취부에서에서 바이트가 배관의 내주면 측으로 왕복이동되는 원리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도 1의 배관 내부의 방사성 오염시료 채취장치의 오염시료 채취부에 서 클램프 돌기가 배관의 내주면 측으로 왕복이동되는 원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오염시료 채취부(40)는 배관 거치부(20)의 하측에 배치되어 프레임(10)에 설치된다.
이러한 오염시료 채취부(40)는 방사성 오염시료를 채취하도록 배관(1) 내에 삽입 회전되는 바이트(42)를 구비한다.
상기 오염시료 채취부(40)는, 수직부(12)의 하부에 설치된 본체(52), 상기 본체(52)에 장착된 채취봉(54), 및 상기 채취봉(54)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8)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채취봉(54)은 하단부가 본체(52)에 설치되어 배관 거치부(20) 측으로 상기 수직부(12)를 따라 배치된다.
이러한 채취봉(54)의 상단부에는, 회전하면서 배관(1) 내주면에 고착화된 오염시료를 절삭하는 바이트(42)가 장착된다.
상기 구동모터(58)는 채취봉(54)의 바이트(42)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채취봉(54)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채취봉(54)은, 구동모터(58)의 회전동력이 제공되도록 하단부가 구동모터(58)와 기계적으로 연결구성되며, 상기 바이트(42)가 연결된 회전축(미도시)을 구비한다.
즉, 채취봉(54)은 도 1에 도시된 연결부(59) 내에 구비된 체인 및 여러 가지 기어들에 의해 구동모터(58)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58)는 모터 제어박스(80)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구성되며, 상기 모터 제어박스(80)의 온 스위치(82) 또는 오프 스위치(84)를 선택하여 누름으로써 운전된다.
이와 같은 오염시료 채취부(40)는, 바이트(42)를 외측, 즉 회전축에 대해서 방사상으로 이동 또는 복귀되도록 구성되는 바이트(42) 이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이트(42) 이동유닛은 채취봉(54)이 배관(1) 내에 삽입 시, 바이트(42)가 채취봉(54)으로부터 배관(1) 내주면 측으로 왕복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바이트(42) 이동유닛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미도시) 내부에 설치된 가이드 축(62), 및 상기 가이드 축(62)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된 제1 가이드 부재(64)와 상기 제1 회전 손잡이(66)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축(62)은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배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즉, 가이드 축(62)은 회전축 내부에서 길게 늘어지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 부재(64)는 가이드 축(62)의 상단부에 장착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원뿔형상을 취한다.
여기에서, 상기 바이트(42)는 제1 가이드 부재(64)와 접하는 면이 하방 외측으로 경사진 형상을 취한다.
아울러, 상기 제1 회전 손잡이(66)는 가이드 축(62)의 하단부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바이트(42) 이동유닛은, 제1 회전 손잡이(66)를 회전하여 가이드 축(62)이 길이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1 가이드 부재(64)가 상하이동된다.
이로 인하여, 바이트(42)가 배관(1) 내주면 측으로 왕복이동된다.
즉, 제1 가이드 부재(64)가 상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원뿔형상을 취하고, 바이트(42)에서 제1 가이드 부재(64)와 접하는 면이 하방 외측으로 경사진 형상을 가짐으로써, 제1 가이드 부재(64)가 길이방향, 즉 상하방향 이동됨에 따라 바이트(42)가 배관(1) 내주면 측으로, 즉 측방향으로 왕복이동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가이드 부재(64)와 제1 회전 손잡이(66)를 연결하는 가이드 축(62)은, 제1 회전 손잡이(66)의 상하방향 이동과 연동되어 상하방향 이동될 뿐, 제1 회전 손잡이(66)의 회전력은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바이트(42) 이동유닛은, 채취봉(54)이 배관(1) 내로 삽입되어 바이트(42)가 배관(1) 내에 위치되는 경우에, 제1 회전 손잡이(66)가 회전되어 가이드 축(62), 제1 가이드 부재(64)를 통해 바이트(42)가 배관(1) 내주면 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이동되어 배관(1) 내주면에 고착화된 오염시료를 절삭하도록 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배관(1)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오염시료를 분리한 후 채취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염시료 채취부(40)는, 채취봉(54)을 외측, 즉 회전축에 대해서 방사상으로 이동 또는 복귀되도록 구성되는 클램프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 유닛은 채취봉(54)이 배관(1) 내에 삽입 시, 배관(1)에 대해 채취봉(54)이 선택적으로 위치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클램프 유닛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을 감싸도록 설치된 클램프 축(72), 및 상기 클램프 축(72)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된 제2 가이드 부재(74)와 제2 회전 손잡이(78), 그리고 채취봉(54)의 상단부에 배치된 클램프 돌기(76)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 축(72)은 회전축을 감싸면서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즉, 클램프 축(72)은 회전축을 감싸면서 길게 늘어지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 가이드 부재(74)는 클램프 축(72)의 상단부에 두 개가 서로 이격되어 장착되며, 서로 마주보는 측의 상부가 경사진 형상을 취한다. 즉, 제2 가이드 부재(74)는 서로 마주보는 측의 상부 모서리가 모깍기되어 경사진다.
아울러, 상기 클램프 돌기(76)는 채취봉(54)의 상단부에 배치되며, 제2 가이드 부재(74)와 접하는 면이 하방 내측으로 경사진 구조를 지닌다.
여기에서, 클램프 돌기(76)는 실제적으로 도 3과 같이 외면에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홈에는 채취봉(54)을 감싸는 링 형상의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79)가 인입되는데, 이러한 탄성부재(79)는 클램프 돌기(76)가 외측으로 이동된 후 다시 내측으로 이동될 때 탄성부재(79)의 탄성복원력을 통해 상기 이동을 원활하게 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물론, 상기 클램프 돌기(76)는 채취봉(54)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네 개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 회전 손잡이(78)는 클램프 축(72)의 하단부에 체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클램프 유닛은, 제2 회전 손잡이(78)를 회전하여 상기 클램프 축(72)이 길이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2 가이드 부재(74)가 상하이동된다.
이로 인하여, 클램프 돌기(76)가 배관(1) 내주면 측으로 왕복이동된다.
즉, 제2 가이드 부재(74)가 두 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서로 마주보는 측의 상부가 경사진 형상을 취하고, 클램프 돌기(76)에서 제2 가이드 부재(74)와 접하는 면이 하방 내측으로 경사진 구조를 지님으로써, 제2 가이드 부재(74)가 서로에 대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이동을 함에 따라 클램프 돌기(76)가 배관(1) 내주면 측으로, 즉 측방향으로 왕복이동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2 가이드 부재(74)와 제2 회전 손잡이(78)를 연결하는 클램프 축(72)은, 제2 회전 손잡이(78)의 회전에 연동되어 길이방향 이동되도록 제2 회전 손잡이(78)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클램프 유닛은, 채취봉(54)이 배관(1) 내로 삽입되는 경우에, 회전축의 회전으로 인하여 채취봉(54)이 흔들림으로써 작업 수행에 있어서 어려움이 따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클램프 유닛은, 제2 회전 손잡이(78)를 회전하여 클램프 축(72)에 연결된 두 개의 제2 가이드 부재(74)가 가까워짐에 따라, 클램프 돌기(76)가 배관(1) 내주면 측으로 이동되어 배관(1) 내주면을 압박하여 채취봉(54)을 작업시 선택적으로 위치고정시킴으로써, 채취봉(54)의 흔들림을 차단한다.
한편, 본 발명은,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오염시료 채취부(40)에 의해 채취된 배관(1) 내의 오염시료를 수용하도록, 배관 거치부(20)와 오염시료 채취부(40) 사이에 배치된 오염시료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오염시료 수용부는 배관(1) 내주면으로부터 분리된 오염시료가 낙하하면서 수거되도록 배관 거치부(20)와 오염시료 채취부(40) 사이에 적정한 위치 및 구 조로서 배치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오염시료 수용부는, 오염시료 채취부(40)에 의해 배관(1) 내의 길이에 따른 구간별 오염시료를 구분 수거하도록, 구분 분류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오염시료 수용부는 가로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차단되는 칸막이가 상하방향 복수 개가 구비된 수용용기인 것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상기 오염시료 수용부는 구간별로 표시되어 각각 명기된 복수의 수용용기가 활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오염시료 수용부는, 채취봉(54)의 바이트(42)에 의해 배관(1) 내주면에 고착화된 오염시료를 배관(1) 내의 구간별로 채취한 후, 이러한 구간별로 채취한 오염시료를 용이하게 구분하여 수용 저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 내부의 방사성 오염시료 채취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관 내부의 방사성 오염시료 채취장치의 배관 거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배관 내부의 방사성 오염시료 채취장치의 채취봉의 단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배관 내부의 방사성 오염시료 채취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배관 내부의 방사성 오염시료 채취장치의 오염시료 채취부에서 바이트가 배관의 내주면 측으로 왕복이동되는 원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1의 배관 내부의 방사성 오염시료 채취장치의 오염시료 채취부에서에서 클램프 돌기가 배관의 내주면 측으로 왕복이동되는 원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관 10 : 프레임
12 : 수직부 13 : 레일
14 : 가이드 바 20 : 배관 거치부
22 : 배관 거치대 23 : 거치홈
24 : 누름 부재 26 : 제3 회전 손잡이
40 : 오염시료 채취부 42 : 바이트
52 : 본체 54 : 채취봉
58 : 구동모터 59 : 연결부
62 : 가이드 축 64 : 제1 가이드 부재
66 : 제1 회전 손잡이 72 : 클램프 축
74 : 제2 가이드 부재 76 : 클램프 돌기
78 : 제2 회전 손잡이 79 : 탄성부재
80 : 모터 제어박스 82 : 온 스위치
84 : 오프 스위치

Claims (14)

  1. 삭제
  2. 상하방향 수직부를 갖는 프레임; 내주면에 방사성 오염시료가 고착화된 배관이 거치되도록, 상기 수직부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된 배관 거치부; 및 상기 방사성 오염시료를 채취하도록 상기 배관 내에 삽입 회전되는 바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배관 거치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오염시료 채취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염시료 채취부는, 상기 수직부의 하부에 설치된 본체; 하단부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배관 거치부 측으로 상기 수직부를 따라 배치되며, 상단부에 상기 바이트가 장착된 채취봉; 및 상기 채취봉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채취봉의 바이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내부의 방사성 오염시료 채취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채취봉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동력이 제공되도록 하단부가 상기 구동모터와 기계적으로 연결구성되며, 상단부에는 상기 바이트가 연결된 회전축;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내부의 방사성 오염시료 채취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시료 채취부는,
    상기 채취봉이 상기 배관 내에 삽입 시, 상기 바이트가 상기 채취봉으로부터 상기 배관 내주면 측으로 왕복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바이트 이동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내부의 방사성 오염시료 채취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트 이동유닛은,
    상기 회전축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된 가이드 축;
    상기 가이드 축의 상단부에 장착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원뿔형상의 제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가이드 축의 하단부에 연결된 제1 회전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트가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와 접하는 면이 하방 외측으로 경사진 형상을 취하여, 상기 제1 회전 손잡이를 회전하여 상기 가이드 축이 길이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 가이드 부재가 상하이동되어, 상기 바이트가 상기 배관 내주면 측으로 왕복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내부의 방사성 오염시료 채취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시료 채취부는,
    상기 채취봉이 상기 배관 내에 삽입 시, 상기 배관에 대해 상기 채취봉이 선택적으로 위치고정되도록 구성되는 클램프 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내부의 방사성 오염시료 채취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유닛은,
    상기 회전축을 감싸면서 상기 회전축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된 클램프 축;
    상기 클램프 축의 상단부에 두 개가 서로 이격되어 장착되며, 서로 마주보는 측의 상부가 경사진 제2 가이드 부재;
    상기 채취봉의 상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와 접하는 면이 하방 내측으로 경사진 클램프 돌기; 및
    상기 클램프 축의 하단부에 체결된 제2 회전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회전 손잡이를 회전하여 상기 클램프 축이 길이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2 가이드 부재가 상하이동되어, 상기 클램프 돌기가 상기 배관 내주면 측으로 왕복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내부의 방사성 오염시료 채취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는 일면을 따라 배치된 랙 기어 형상의 레일을 구비하며,
    상기 배관 거치부는,
    상기 배관이 거치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일면에 거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레일 의 일측에 배치된 배관 거치대; 및
    상기 배관 거치대의 측부에 체결되며, 상기 레일과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를 구비하여 회전됨에 따라 상기 배관 거치대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3 회전 손잡이;
    상기 거치홈에 거치된 상기 배관을 압박고정하도록 마련된 누름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내부의 방사성 오염시료 채취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는,
    상기 레일의 양측으로 배치되며, 상기 배관 거치대의 일측부를 통과하여 상기 배관 거치대를 슬라이드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바;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내부의 방사성 오염시료 채취장치.
  11. 상하방향 수직부를 갖는 프레임; 내주면에 방사성 오염시료가 고착화된 배관이 거치되도록, 상기 수직부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된 배관 거치부; 상기 배관 내에 삽입 회전되는 바이트를 구비하여 상기 방사성 오염시료를 채취하도록, 상기 배관 거치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오염시료 채취부; 및 상기 오염시료 채취부에 의해 채취된 상기 배관 내의 오염시료를 수용하도록, 상기 배관 거치부와 오염시료 채취부 사이에 배치된 오염시료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염시료 수용부는, 상기 오염시료 채취부에 의해 상기 배관 내의 길이에 따른 구간별 오염시료를 구분 수거하도록, 구분 분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내부의 방사성 오염시료 채취장치.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시료 수용부는 가로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차단되는 칸막이가 상하방향 복수 개가 구비된 수용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내부의 방사성 오염시료 채취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시료 수용부는 구간별로 표시되어 각각 명기된 복수의 수용용기가 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내부의 방사성 오염시료 채취장치.
KR1020090108126A 2009-11-10 2009-11-10 배관 내부의 방사성 오염시료 채취장치 KR101074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126A KR101074344B1 (ko) 2009-11-10 2009-11-10 배관 내부의 방사성 오염시료 채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126A KR101074344B1 (ko) 2009-11-10 2009-11-10 배관 내부의 방사성 오염시료 채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510A KR20110051510A (ko) 2011-05-18
KR101074344B1 true KR101074344B1 (ko) 2011-10-17

Family

ID=44361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8126A KR101074344B1 (ko) 2009-11-10 2009-11-10 배관 내부의 방사성 오염시료 채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43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5952A (ko) 2021-03-31 2022-10-07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물질 분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물질 분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602B1 (ko) * 2013-12-06 2014-07-22 주식회사 에스디텍 출입방식의 대인 방사능 오염 검출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1142B1 (ko) * 1996-04-01 2000-02-01 이종훈 에어 이젝터를 이용한 자동 시료 채취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1142B1 (ko) * 1996-04-01 2000-02-01 이종훈 에어 이젝터를 이용한 자동 시료 채취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5952A (ko) 2021-03-31 2022-10-07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물질 분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물질 분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510A (ko) 201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7341B2 (ja) 固体及び/又は植物検体の前処理の為のホモジナイザー
KR100996639B1 (ko) 토양샘플 압출장치와 이를 이용한 토양샘플 제작방법
KR101074344B1 (ko) 배관 내부의 방사성 오염시료 채취장치
CN110710991B (zh) 粪便样本自动采集装置
KR101732691B1 (ko) 여과층 시료 채취기
EP3781322B1 (en) Cleaning assembly for magnet assemblies
CN214584193U (zh) 一种用于土壤生态环境修复的取样器
CN111634792A (zh) 一种消毒装置
CN204101315U (zh) 一种骨样品取样装置
KR200391360Y1 (ko) 방사선 조사기의 방사능오염 제거장치
CN213084088U (zh) 一种样品采集用快速收纳装置
CN210834287U (zh) 蜂脾花粉取样器
CN114471766A (zh) 一种医学检验用的移液计量装置
CN218808800U (zh) 一种试管安装机构
Gatz et al. An automatic sequential rain sampler
JPH0548118Y2 (ko)
CN215865813U (zh) 陶瓷轴承强度检测装置
CN214765605U (zh) 一种生物制药专用的安全检测分析工作台
CN210834245U (zh) 一种基于土壤修复用便捷式取样装置
CN212989179U (zh) 多功能食品安全微光检测装置
CN218841666U (zh) 一种试管开盖设备
CN216433656U (zh) 一种农村生活污水处理监测装置
CN213051984U (zh) 一种消毒供应中心用试管清洗装置
CN211927013U (zh) 一种具有清理功能的射线液位检测装置
CN214438790U (zh) 血液测试机的配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