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3111B1 - Smoke discharge apparatus - Google Patents

Smoke discharg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3111B1
KR101073111B1 KR1020080088949A KR20080088949A KR101073111B1 KR 101073111 B1 KR101073111 B1 KR 101073111B1 KR 1020080088949 A KR1020080088949 A KR 1020080088949A KR 20080088949 A KR20080088949 A KR 20080088949A KR 101073111 B1 KR101073111 B1 KR 101073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fixed
pipe
elastic member
suppor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89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28428A (en
Inventor
김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엠지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엠지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엠지코리아
Publication of KR20090028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4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3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31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including coalescing means for the separation of liquid
    • B01D46/0031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including coalescing means for the separation of liquid with collecting, drain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2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substantial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8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 F24C15/2085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adjustable in he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기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하 관통되어 있는 제1 관, 상기 제1 관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는 지지 장치, 그리고 상기 지지 장치를 관통하여 상기 제1 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있는 제2 관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장치는 상기 제1 관의 내측면에 지지되어 있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관을 누르고 있는 접촉 부재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oke discharging device, a first pipe that penetrates up and down, a support device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pipe, and a second penetrating into the first pipe through the support device. And a support member including an elastic member support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tube and a contact member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and pressing the second tube.

연기 배출 장치, 고정관, 가동관, 지지 장치, 판 스프링 Smoke exhaust device, fixed pipe, movable pipe, support device, leaf spring

Description

연기 배출 장치{Smoke discharge apparatus}Smoke discharge apparatus

본 발명은 연기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기 등을 구울 때 발생하는 냄새나 연기를 배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oke discharg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discharging the smell and smoke generated when grilling meat and the like.

음식점에서 고기 등을 굽게 되면 연기나 냄새가 많이 발생한다. 이러한 연기 및 냄새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해서 대부분의 음식점에는 연기 배출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Grilling meat in restaurants generates a lot of smoke and smell. In order to discharge such smoke and odors outdoors, most restaurants are equipped with a smoke releasing device.

일반적으로 연기 배출 장치는 외부와 통하는 배기 덕트, 배기 덕트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관, 고정관에 연결되어 있는 주름관, 주름관에 연결되어 있는 가동관 및 가동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장치를 포함한다. 높이 조절 장치는 고정관 및 주름관의 내측에 위치하는 와이어, 그리고 와이어를 당기거나 풀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와이어의 일측은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가동관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부를 사용하여 와이어를 당기면 주름관이 접히면서 가동관이 위로 움직이고, 와이어를 풀면 주름관이 펴지면서 가동관이 아래로 움직일 수 있다. 제어부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동작될 수 있다.In general, the smoke exhaust device includes an exhaust duct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 fixed pipe connected to the exhaust duct, a corrugated pipe connected to the fixed pipe, a movable pipe connected to the corrugated pipe, and a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movable pipe.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includes a wire positioned inside the fixed tube and the corrugated tube, and a control unit that can pull or unwind the wire. One side of the wire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movable tube. Therefore, when the wire is pulled using the control unit, the corrugated pipe is folded and the movable tube is moved upward. When the wire is released, the movable tube is unfolded and the movable tube is moved downward. The control unit may be operated manually or automatically.

그런데, 종래 연기 배출 장치의 경우 고정관, 주름관 및 가동관의 내측에 위 치하는 와이어가 여러 방향으로 꺾여 있어 와이어가 당겨지거나 펴지는 동작을 반복함에 따라 와이어가 꼬이는 등 고장이 빈번히 발생하였다. 또한 고정관, 주름관 및 가동관의 내부를 통과하는 연기 및 응축된 기름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이들 내부와 와이어는 주기적으로 세척되어야 하는데, 세척을 위해 연기 배출 장치를 분해하는 작업은 이들의 복잡한 구조로 인해 상당히 번거로웠으며 많은 시간이 필요하였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smoke discharge device, the wires located inside the fixed tube, the corrugated tube, and the movable tube are bent in various directions, so that the wires are twisted or twisted as the wire is repeatedly pulled or stretched. In addition, in order to remove the smoke and condensed oil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fixed pipe, corrugated pipe and movable pipe, the inside and the wire must be periodically cleaned. It was quite cumbersome and took a lot of time.

이에 본 발명은, 분해 및 조립 작업이 간편하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연기 배출 장치를 제공한다. 나아가 가동관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고장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연기 배출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oke discharging device that can be easily disassembled and assembled and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s.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height of the movable pipe, and provides a smoke discharge device tha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without failure.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기 배출 장치는, 상하 관통되어 있는 제1 관, 상기 제1 관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는 지지 장치, 그리고 상기 지지 장치를 관통하여 상기 제1 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있는 제2 관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 장치는 상기 제1 관의 내측면에 지지되어 있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관을 누르고 있는 접촉 부재를 포함한다.Smoke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ipe which is penetrated up and down, the support device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pipe, and is inserted into the first pipe through the support device It includes a second tube. The support device includes an elastic member support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tube and a contact member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and holding the second tube.

상기 지지 장치는, 상기 제1 관의 내측에 삽입되어 있으며, 둘레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안내 몸체, 그리고 상기 안내 몸체의 끝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관과 결합되어 있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안내 몸체의 둘레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The support device is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first tube, the guide body is formed with at least one through hole around, and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guide body, the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tube The elastic member may be fixed around the guide body,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tact member may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안내 몸체의 둘레에 고정되어 있는 제1 부재, 그리고 상기 제1 부재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관의 내측면에 지지되어 있는 제2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may include a first member fixed around the guide body, and a second member connected to the first member and support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tube.

상기 제2 부재의 양쪽 가장자리는 상기 제1 관의 내측면에 접촉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부재의 중앙부는 상기 제1 관의 내측면으로부터 떨어져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접촉 부재는 상기 제2 부재의 중앙부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Both edges of the second member may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tube,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member may be away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tube, and the contact member may be It may be fixed in the center.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판 스프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may be made of a leaf spring.

상기 탄성 부재의 양쪽 가장자리는 상기 제1 관의 내측 둘레에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Both edges of the elastic member may be fixed by welding arou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tub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가동관을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아울러 가동관을 밀어 올리거나 아래로 당기는 조작만으로 가동관과 구이판의 거리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able tube can be easily fixed by us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movable tube and the roasting plate can be easily adjusted by only pushing up or pulling down the movable tub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동관을 움직이기 위한 와이어, 제어부 등이 필요 없으므로 분해 및 조립이 간편하며, 나아가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ire, the control unit, etc. for moving the movable tube is not necessary, the disassembly and assembly are simple, and further,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부재의 양쪽 가장자리가 고정관의 내측면에 지지되므로 탄성 부재가 가지는 탄성력은 탄성 부재의 중앙부로 집중되고 이에 따라 탄성 부재의 중앙부에 고정된 접촉 부재에 부여되는 탄성력은 더욱 커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both edges of the elastic member are support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xed tube,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is concentrat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and thus is applied to the contact member fix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The elastic force can be great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관이 탄성 부재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탄성 부재에 가해지는 힘이 고정관에도 전달된다. 따라서 가동관이 움직일 때마다 가해지는 반복적인 힘에 의해 탄성 부재가 쉽게 영구 변형되지 않는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xed tube supports the elastic member, the force applied to the elastic member is also transmitted to the fixed tube. Therefore, the elastic member is not easily permanently deformed by the repetitive force applied each time the movable tube moves.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기 배출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Next, a smoke dis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기 배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지지 장치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의 연기 배출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연기 배출 장치를 IV-IV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연기 배출 장치를 V-V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moke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support device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smoke discharge device of Figure 1, Figure 4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moke exhaust device of FIG. 3 taken along line IV-IV,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moke exhaust device of FIG. 3 taken along line VV.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기 배출 장치(1)는 고정관(20), 지지 장치(30) 및 가동관(50)을 포함한다. 이들 내부는 상하로 뚫려 있으며, 이 공간으로 연기 등이 흐른다. 고정관(20)은 연결관(1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 연결관(10)은 외부로 통하는 덕트(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고기 등을 구울 때 발생하는 연기는 가동관(50)으로 흡입되고 이후 지지 장치(30), 고정관(20), 연결관(10) 및 덕트를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연결관(10)은 생략될 수 있으며 이때 고정관(20)은 덕트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1 to 5, the smoke discharg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xed tube 20, a support device 30, and a movable tube 50. These interiors are open up and down, and smoke flows into this space. Fixing tube 20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tube 10, the connecting tube 10 may be connected to the duct (not shown) to the outside. Therefore, the smoke generated when grilling meat and the like is sucked into the movable tube 50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upport device 30, the fixed tube 20, the connecting tube 10 and the duct. The connecting pipe 10 may be omitted and the fixing pipe 2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duct.

고정관(20)의 길이는 천정과 고기 등을 굽는 구이판(70)과의 거리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된다. 고정관(20)의 아래쪽 끝에는 지지 장치(30)가 결합되어 있으며, 지지 장치(30)의 중앙으로는 가동관(50)이 관통되어 있다. 가동관(50)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가동관(50)과 고정관(20)은 속이비어 있고 상하 관통되어 있는 원기둥 형상이며, 가동관(50)의 직경은 고정관(20)보다 작다. 그러나 아래쪽에 위치한 가동관(50)의 직경이 위쪽에 위치한 고정관(20)보다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The length of the fixed tube 20 is appropriately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between the ceiling and the roasting plate 70 for grilling meat and the like. The support device 3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ixed tube 20, and the movable pipe 50 penetrates through the center of the support device 30. The movable tube 50 can move up and down. The movable tube 50 and the fixed tube 20 are hollow and penetrate up and down, and the diameter of the movable tube 50 is smaller than the fixed tube 20. However, the diameter of the movable tube 50 located below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fixed tube 20 positioned above.

예컨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한 고정관(20)이 아래쪽에 위치하여 기름 받이(60)와연결되고, 가동관(50)이 위쪽에 위치하여 연결관(10)과 연결될 수 있다. 지지 장치(30)는 도 1의 것과 비교할 때 180도 회전한 상태에서 고정관(20)과 결합된다. 즉 도 8의 연기 배출 장치는 도 1의 고정관(20), 지지 장치(30) 및 가동관(50)이 180도 회전된 상태의 구조이다. 이 경우 가동관(50)은 움직이지 않고 고정관(20) 및 지지 장치(30)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the fixed tube 20 shown in FIG. 1 is positioned below and connected to the oil sump 60, and the movable tube 50 is positioned above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ng tube 10. have. The support device 30 is coupled to the fixation tube 20 in a 180-degree rotated state as compared to that of FIG. 1. That is, the smoke discharge device of FIG. 8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xed tube 20, the support device 30, and the movable tube 50 of FIG. 1 are rotated 180 degrees. In this case, the movable tube 50 does not move and the fixed tube 20 and the support device 30 can move up and down.

가동관(50) 및 고정관(20)은 스테인리스, 아연도금철판, 알루미늄판, 동판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The movable tube 50 and the fixed tube 20 may be made of stainless steel, galvanized iron plate, aluminum plate, or copper plate.

가동관(50)은 지지 장치(30)에 의해 고정된다. 가동관(50)의 아래쪽 가장자리 둘레에는 홈(51)이 형성되어 있다. 홈(51)은 수직 방향으로 뻗어 있는 수직 부 분(51a)과 그 끝에서 수평 방향으로 뻗어 있는 수평 부분(51b)을 포함한다. 수평 부분(51b)은 테이퍼져 있다. 가동관(50)의 위쪽 가장자리에는 걸림부(52)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52)는 가동관(50) 다른 부분보다 직경이 크다.The movable tube 50 is fixed by the support apparatus 30. A groove 51 is formed around the lower edge of the movable tube 50. The groove 51 includes a vertical portion 51a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portion 51b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end thereof. The horizontal portion 51b is tapered. A locking portion 52 is formed at the upper edge of the movable tube 50. The engaging portion 52 is larger in diameter than the other portions of the movable tube 50.

가동관(50)의 아래쪽에는 기름 받이(60)가 결합되어 있다. 기름 받이(60)의 내측 둘레에는 돌기(6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기(61)가 홈(51)에 삽입된다. 돌기(61)는 홈(51)의 수직부분(51a)으로 삽입된 후 최종적으로 홈(51)의 수평 부분(51b)에 위치한다. 이로써 기름 받이(60)는 가동관(5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기름 받이(60)는 구이판(70) 위에 위치하며 가동관(50)에서 떨어지는 기름을 수거한다. 이로써 기름 등이 구이판(70)으로 떨어지지 않는다.The lower part of the movable pipe 50 is combined with the oil receiving 60. A protrusion 61 is formed at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oil receiving chamber 60, and the protrusion 61 is inserted into the groove 51. The projection 61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portion 51a of the groove 51 and finally located in the horizontal portion 51b of the groove 51. As a result, the oil sump 60 may be firmly fixed to the movable tube 50. The sump 60 is located on the baking sheet 70 and collects oil falling from the movable tube 50. As a result, oil and the like do not fall to the baking sheet 70.

고기 등을 구울 때 기름 받이(60)와 구이판(70)의 거리(d)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된다. 예컨대, 고기 등을 구울 때 연기가 많이 발생하므로 기름 받이(60)와 구이판(70)의 거리(d)를 가깝게 하여 연기가 잘 빠지게 하고, 고기 등을 구이판(70)에 올리거나 내릴 경우에는 방해가 되지 않도록 가동관(50)과 구이판(70)의 거리(d)를 멀리한다. 이 거리(d)는 사용자가 가동관(50)을 밀어 올리거나 아래로 당김으로써 조절된다.When grilling meat and the like, the distance d between the oil tray 60 and the roasting plate 70 is appropriately adjusted as necessary. For example, since a lot of smoke is generated when grilling meat, etc., the distance d between the oil pan 60 and the roasting plate 70 is close to make the smoke fall well, and when the meat is placed on the roasting plate 70 or obstructed, The distance (d) of the movable tube 50 and the roasting plate 70 is to be far away. This distance d is adjusted by the user pushing up or down the movable tube 50.

가동관(50)을 고정하는 지지 장치(30)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5를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structure of the support device 30 for fixing the movable pipe 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5.

도 2 및 도 5를 참고하면, 지지 장치(30)는 안내 몸체(31), 결합부(33), 탄성 부재(36) 및 접촉 부재(37)를 포함한다.2 and 5, the support device 30 includes a guide body 31, a coupling part 33, an elastic member 36 and a contact member 37.

안내 몸체(31)는 속이 비어 있고 상하 관통되어 있는 원기둥 형상으로, 제1 몸체(31a) 및 제2 몸체(31b)를 포함한다. 제1 몸체(31a)는 제2 몸체(31b)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2 몸체(31b)보다 직경이 작다. 제1 몸체(31a)에는 관통 구멍(32)이 형성되어 있다.The guide body 31 has a cylindrical shape that is hollow and penetrates up and down, and includes a first body 31a and a second body 31b. The first body 31a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body 31b and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second body 31b. The through hole 32 is formed in the 1st body 31a.

결합부(33)는 제2 몸체(31b)의 끝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의 연결 부위에는 저장 공간(34)이 마련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 공간(34)에는 고정관(20) 등에서 떨어진 기름이 수거될 수 있다. 결합부(33)의 내측에는 고정관(20)이 삽입되어 있다. 고정관(20)은, 억지끼움 방식, 볼트 또는 리벳 체결에 의해, 결합부(33)에 고정된다. 그러나 고정관(20)과 결합부(33)의 밀착면에 홈 및 홈에 삽입되는 돌기를 형성하여 고정관(20)과 결합부(33)를 고정할 수도 있다.Coupling portion 33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cond body (31b), the connection portion is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34. As shown in FIG. 4, oil separated from the fixed tube 20 may be collected in the storage space 34. The fixing tube 20 is inserted inside the coupling part 33. The fixed tube 20 is fixed to the engaging portion 33 by an interference fit method, bolt or rivet fastening. However, the fixing pipe 20 and the coupling part 33 may be fixed by forming a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groove and the groove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fixing tube 20 and the coupling part 33.

탄성 부재(36)는 제1 판 스프링(36a) 및 제2 판 스프링(36b)을 포함한다. 제1 판 스프링(36a) 및 제2 판 스프링(36b)에는 고정 부재(38)가 끼워질 수 있는 구멍(36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판 스프링(36a)과 제2 판 스프링(36b)은 일체로 형성되며, 제1 판 스프링(36a)은 가로가 긴 상태로 배치되고 제2 판 스프링(36b)은 세로가 긴 상태로 배치된다.The elastic member 36 includes a first leaf spring 36a and a second leaf spring 36b. In the first leaf spring 36a and the second leaf spring 36b, a hole 361 into which the fixing member 38 can be fitted is formed. The first leaf spring 36a and the second leaf spring 36b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first leaf spring 36a is disposed in a long horizontal state, and the second leaf spring 36b is disposed in a longitudinal state. do.

제2 판 스프링(36b)은 고정 부재(38)에 의해 제2 몸체(31b)에 고정된다. 고정 부재(38)로는 리벳이나 볼트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판 스프링(36b)은 용접에 의해 제2 몸체(31b)에 고정될 수도 있다.The second leaf spring 36b is fixed to the second body 31b by the fixing member 38. As the fixing member 38, rivets or bolts may be used. However, the second leaf spring 36b may be fixed to the second body 31b by welding.

제1 판 스프링(36a)은 제1 몸체(31a)와 소정 간격 떨어져 있으며, 제1 판 스프링(36a)의 양측 가장자리는 고정관(20)의 내측 둘레에 접촉되어 있다. 즉 제1 판 스프링(36a)은 고정관(20)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바, 제1 판 스프링(36a) 전체가 고정관(20) 측으로 쉽게 휘어지지 않는다.The first leaf spring 36a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ody 31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both edges of the first leaf spring 36a are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xing tube 20. That is, the first leaf spring 36a is supported by the fixing tube 20, so that the entire first leaf spring 36a is not easily bent toward the fixing tube 20 side.

제1 판 스프링(36a)의 일면 중앙부에는 접촉 부재(37)가 고정되어 있다. 접촉 부재(37)는, 제1 판 스프링(36a)의 구멍(361)을 관통한 고정 부재(38)가 그 내측에 삽입됨으로써, 제1 판 스프링(36a)에 고정된다. 고정 부재(38)는 리벳이나 볼트일 수 있고, 볼트인 경우 접촉 부재(37)의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접촉 부재(37)는 제1 몸체(31a)의 관통 구멍(32)에 삽입되어 안내 몸체(31)의 내측에 있는 가동관(50)을 누른다. 접촉 부재(37)는 금속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A contact member 37 is fixed to the central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first leaf spring 36a. The contact member 37 is fixed to the first leaf spring 36a by inserting the fixing member 38 penetrating through the hole 361 of the first leaf spring 36a therein. The fixing member 38 may be a rivet or a bolt, and in the case of the bolt, a thread is formed inside the contact member 37. The contact member 37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32 of the first body 31a and presses the movable tube 50 inside the guide body 31. The contact member 37 may be made of metal.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부재(136)는 중간 부분(136a) 및 중간 부분(136a)의 양쪽에 꺾여 있는 부분(136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탄성 부재(136)는 판 스프링으로 만들어지며, 고정관(20)의 내측 둘레에 고정된다. 탄성 부재(136)의 꺾여 있는 부분(136b)은 고정관(20)의 내측 둘레에 접촉하며 용접 따위의 결합 방식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탄성 부재(136)의 꺾여 있는 부분(136b)은 생략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탄성 부재(136)의 중간 부분(136a) 양쪽 가장자리가 고정관(20)에 결합된다.6 and 7, the elastic member 136 may include a middle portion 136a and a portion 136b that is bent at both sides of the middle portion 136a. This elastic member 136 is made of a leaf spring and is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xed tube 20. The bent portion 136b of the elastic member 136 contacts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xed tube 20 and may be fixed by a joining method such as welding. The bent portion 136b of the elastic member 136 may be omitted, in which case both edges of the middle portion 136a of the elastic member 136 are coupled to the fixed tube 20.

탄성 부재(136)에는 접촉 부재(37)가 고정되어 있다. 접촉 부재(37)는 리벳이나 볼트 따위의 고정 부재(38)에 의해 고정된다. 안내 몸체(131)의 가장자리 둘레에는 접촉 부재(37)가 위치하는 안내홈(132)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홈(132)은 안내 몸체(131)가 고정관(20)에 삽입될 때 접촉 부재(37)의 위치를 안내한다. 접촉 부재(37)는 탄성 부재(136)가 가하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안내 몸체(131)의 내측에 위치하는 가동관(50)을 지지한다. The contact member 37 is fixed to the elastic member 136. The contact member 37 is fixed by a fixing member 38 such as a rivet or bolt. Guide grooves 132 in which contact members 37 are positioned are formed around the edges of the guide body 131. The guide groove 132 guides the position of the contact member 37 when the guide body 131 is inserted into the fixed tube 20. The contact member 37 supports the movable tube 50 located inside the guide body 131 by using the elastic force applied by the elastic member 136.

한편, 탄성 부재(136)가 고정관(20)의 내측 둘레에 고정되는 경우 안내 몸체(131)는 생략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lastic member 136 is fixed 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fixed tube 20, the guide body 131 may be omitted.

다시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가동관(50)은 탄성 부재(36)가 가하는 탄성력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즉, 가동관(50)의 자중과 그 반대 방향의 마찰력이 평형을 이루어 고정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가동관(50)을 밀어 올리거나 아래로 당기면 힘의 평형이 깨져 가동관(50)이 움직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힘을 제거하면 가동관(50)은 다시 고정될 수 있다.3 to 5 again, the movable tube 50 is fixed in position by an elastic force applied by the elastic member 36. That is, the self-weight of the movable tube 50 and the frictional force in the opposite direction are balanced and fixed. However, when the user pushes up or pulls down the movable tube 50, the balance of the force may be broken and the movable tube 50 may move. When the user removes the force, the movable tube 50 may be fixed again.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가동관(50)을 움직일 때 접촉 부재(37) 및 탄성 부재(36)는 고정관(20) 측으로 밀린다(도 5의 이점쇄선 참고). 그러나 탄성 부재(36)의 양쪽 가장자리가 고정관(20)의 내측면에 지지되므로, 탄성 부재(36) 전체는 과도하게 휘어지지 않으며, 그 중앙 부분만이 일부 휘어진다. 가동관(50)을 움직이는 힘이 제거되면 탄성 부재(36)의 복원력에 의해 접촉 부재(37)가 가동관(50)을 가압한다.In more detail, when the user moves the movable tube 50, the contact member 37 and the elastic member 36 are pushed toward the fixed tube 20 (see the dashed line in FIG. 5). However, since both edges of the elastic member 36 are support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xed tube 20, the entire elastic member 36 is not excessively bent, and only the central portion thereof is partially bent. When the force for moving the movable tube 50 is removed, the contact member 37 presses the movable tube 50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36.

한편, 가동관(50)이 계속 아래로 내려오면 가동관(50)의 걸림부(52)가 접촉 부재(37)에 걸리고, 이로써 가동관(50)은 더 이상 내려오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ovable pipe 50 continues to descend, the engaging portion 52 of the movable pipe 50 is caught by the contact member 37, whereby the movable pipe 50 does not come down anymore.

결국, 위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가동관(50)을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다. 나아가, 탄성 부재의 양쪽 가장자리가 고정관의 내측면에 지지되므로 탄성 부재가 가지는 탄성력은 탄성 부재의 중앙부로 집중되고 이에 따라 탄성 부재의 중앙부에 고정된 접촉 부재에 부여되는 탄성력은 더욱 커질 수 있다. 또한 고정관이 탄성 부재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탄성 부재 에 가해지는 힘이 고정관에도 전달된다. 따라서 가동관이 움직일 때마다 가해지는 반복적인 힘에 의해 탄성 부재가 쉽게 영구 변형되지 않는다.As a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imply fix the movable tube 50 by us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Furthermore, since both edges of the elastic member are support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xing tube,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is concentrated to the center of the elastic member, and thus the elastic force applied to the contact member fix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can be further increased. In addition, since the fixed tube supports the elastic member, the force applied to the elastic member is transmitted to the fixed tube. Therefore, the elastic member is not easily permanently deformed by the repetitive force applied each time the movable tube moves.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기 배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moke exhau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지지 장치의 확대도이고,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support device shown in FIG. 1,

도 3은 도 1의 연기 배출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고,3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smoke discharge device of FIG. 1,

도 4는 도 3의 연기 배출 장치를 IV-IV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moke discharging device of FIG. 3 taken along line IV-IV;

도 5는 도 3의 연기 배출 장치를 V-V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the smoke discharging device of FIG.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지지 장치의 다른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6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support device shown in FIG. 1,

도 7은 도 6의 평면도이고,FIG. 7 is a plan view of FIG. 6;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기 배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moke exhaus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로스터 후드 10: 연결관1: roaster hood 10: connector

20: 고정관 30: 지지 장치20: fixed tube 30: support device

31, 131: 안내 몸체 32: 관통 구멍31, 131: guide body 32: through hole

33: 결합부 34: 저장 공간33: coupling portion 34: storage space

36, 136: 탄성 부재 36a, 36b: 판스프링36, 136: elastic member 36a, 36b: leaf spring

37: 접촉 부재 38: 고정 부재37: contact member 38: fixed member

50: 가동관 51: 홈50: movable tube 51: groove

52: 걸림부 60: 기름 받이52: hook 60: drip tray

61: 돌기 70: 구이판61: projection 70: grilling board

Claims (6)

상하 관통되어 있는 제1 관,Up and down perforated first tube, 상기 제1 관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는 지지 장치, 그리고A support device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tube, and 상기 지지 장치를 관통하여 상기 제1 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있는 제2 관A second tube inserted into the first tube through the support device; 을 포함하며,Including; 상기 지지 장치는,The support device, 상기 제1 관과 상기 제2 관의 사이에 위치하며, 둘레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안내 몸체,A guide body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tube and the second tube, the guide body having at least one through hole formed therein; 상기 제1 관과 상기 안내 몸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안내 몸체에 고정되어 있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관의 내측면에 지지되어 있는 제2 부재를 가지는 탄성 부재 및An elastic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tube and the guide body and having a first member fixed to the guide body and a second member connected to the first member and support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tube; 상기 제2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안내 몸체의 관통 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제2 관을 누르고 있는 접촉 부재A contact member fixed to said second member and holding said second tube through a through hole of said guide body; 를 포함하는Containing 연기 배출 장치.Smoke exhaust device. 제1항에서,In claim 1, 상기 지지 장치는 상기 안내 몸체의 끝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관과 결합되어 있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연기 배출 장치. And the support device comprises a coupling portion connected to the end of the guide body and coupled with the first tube. 제1항에서,In claim 1, 상기 제2 부재의 양쪽 가장자리는 상기 제1 관의 내측면에 접촉하고 있으며, 상기 제2 부재 중앙부는 상기 제1 관의 내측면으로부터 떨어져 있으며, 상기 접촉 부재는 상기 제2 부재의 중앙부에 고정되어 있는 연기 배출 장치.Both edges of the second member are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irst tube, the second member center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irst tube, and the contact member is fix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second member. Smoke exhaust device. 제1항에서, In claim 1,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판 스프링으로 만들어지는 연기 배출 장치.And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made of leaf springs. 제1항에서,In claim 1, 상기 제1 관 및 상기 지지 장치는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2 관은 상기 제1 관을 기준으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연기 배출 장치.The first pipe and the support device is fixed, the second pipe is a smoke discharge device that can move up and down relative to the first pipe. 삭제delete
KR1020080088949A 2007-09-13 2008-09-09 Smoke discharge apparatus KR10107311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93151 2007-09-13
KR1020070093151 2007-09-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428A KR20090028428A (en) 2009-03-18
KR101073111B1 true KR101073111B1 (en) 2011-10-12

Family

ID=40695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8949A KR101073111B1 (en) 2007-09-13 2008-09-09 Smoke discharge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3111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930Y1 (en) * 2001-12-26 2002-03-12 주식회사 엘.지.에이 Structure of exhaust duct
KR100747721B1 (en) * 2006-10-18 2007-08-08 주식회사 하나로비엠지 Height adjusting structure of exhaust hood pipe for roas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930Y1 (en) * 2001-12-26 2002-03-12 주식회사 엘.지.에이 Structure of exhaust duct
KR100747721B1 (en) * 2006-10-18 2007-08-08 주식회사 하나로비엠지 Height adjusting structure of exhaust hood pipe for roas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428A (en) 200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9329B2 (en) Frying pan holder
US7581539B2 (en) Baffle-type grease filters for kitchen ventilators
US20120090594A1 (en) Pull-out device
US20110123260A1 (en) Quick-action fastening element
EP2370741B1 (en) An oven comprising a tray carrying support unit
EP1656855A1 (en) A chair
KR101073111B1 (en) Smoke discharge apparatus
CA2439755C (en) Barbecue grill
JP7145489B2 (en) Assembled stove
CN108800239B (en) Range hood&#39;s mounting structure and range hood
KR200483874Y1 (en) A hood cover for a ceiling having a slide type and height-adjustable restaurant hood and a hood with a hood cover
CN110397966B (en) A range hood that is used for range hood&#39;s filter assembly and has it
KR200267930Y1 (en) Structure of exhaust duct
KR20100036140A (en) Smoke discharge apparatus
US6363841B1 (en) Roaster oven
CN110754960A (en) Heating structure of baking cooking device
JP6613445B2 (en) Range food
KR200427547Y1 (en) Height adjusting structure of exhaust hood pipe for roaster
KR200382182Y1 (en) Knob for range filter
CN216907674U (en) Light wave tube fixing structure of air fryer
KR100786791B1 (en) Oil receive apparatus of smoke an induction pipe for roast
JPS64519Y2 (en)
CN220931201U (en) Integrated kitchen aircraft nose and integrated kitchen
CN210697281U (en) Connect food tray subassembly and adopt this barbecue device who connects food tray subassembly
DK180793B1 (en) A kitchen installation for use in exhausting kitchen fumes and a structure and building comprising said kitchen instal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