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2459B1 - 조합된 확장성 구조에서의 모드결정방법 - Google Patents

조합된 확장성 구조에서의 모드결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2459B1
KR101072459B1 KR1020100015318A KR20100015318A KR101072459B1 KR 101072459 B1 KR101072459 B1 KR 101072459B1 KR 1020100015318 A KR1020100015318 A KR 1020100015318A KR 20100015318 A KR20100015318 A KR 20100015318A KR 101072459 B1 KR101072459 B1 KR 101072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complexity
base layer
macroblock
scal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5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5708A (ko
Inventor
김태정
서재원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15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2459B1/ko
Publication of KR20110095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5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2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2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4Coding unit complexity, e.g. amount of activity or edge presence est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6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 H04N19/149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by estimating the code amount by means of a model, e.g. mathematical model or statistical mod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04N19/159Prediction type, e.g. intra-frame, inter-frame or bidirectional frame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picture, frame or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잡도가 크지 않으면서 효율적으로 모드를 결정하고, 움직임 탐색 방향을 조기에 결정할 수 있는 조합된 확장성 구조에서의 모드결정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조합된 확장성 구조에서의 모드결정방법은, 모든 확장성이 조합된 확장이 가능한 비디오 코딩(Scalable Video Coding) 구조에서, 기본계층 및 향상 계층사이의 시간적, 공간적 및 질적 확장성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모드결정 및 방향성을 선택한다.

Description

조합된 확장성 구조에서의 모드결정방법{Method for Mode decision on combined scalability}
본 발명은 확장이 가능한 비디오 코딩 부호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속화를 위하여 모든 확장성이 조합된 확장이 가능한 비디오 코딩 구조에서 기본계층과 향상계층의 시간적, 공간적 및 화질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신속한 모드결정 및 움직임 탐색방향을 조기에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 및 다양한 환경의 유무선망이 등장함에 따라,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유무선망의 채널 용량이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성능에 따른 다양한 스트림(stream)을 제공하여야 한다. 이러한 수요에 맞추어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부문(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ITU_T)과 동화상 전문가그룹(Moving Picture Experts Group, MPEG)에서는 공동으로 완성시킨 표준안 H.264/AVC(Advanced Video Coding)를 발표하였다. ITU-T 및 MPEG는 더 나아가 H.264/AVC를 확장시킨 확장이 가능한 비디오 코딩(Scalable Video Coding, SVC)을 규정하였다.
H.264/AVC는, 절반 이하의 낮은 비트 율(bit rate)에서, 기존의 표준(H.263)에 비해 비슷하거나 더 좋은 화질을 얻을 수 있다. 특히, H.264/AVC를 확장하여 규정한 확장이 가능한 비디오 코딩(SVC)은, 해상도의 높고 낮음, 비트 율의 높고 낮음에 따라 구별될 수 있는 다양한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방송, DVD 저장, RTP/IP(Real-time Transport Protocol/Internet Protocol) 패킷 네트워크 및 ITU-T 화상 전화 등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와 시스템에서 작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과제는, 복잡도가 크지 않으면서 효율적으로 모드를 결정하고, 움직임 탐색 방향을 조기에 결정할 수 있는 조합된 확장성 구조에서의 모드결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합된 확장성 구조에서의 모드결정방법은, 모든 확장성이 조함된 확장이 가능한 비디오 코딩(Scalable Video Coding) 구조에서, 기본계층 및 향상계층사이의 시간적, 공간적 및 질적 확장성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모드결정 및 방향성을 선택한다.
본 발명은 표준 부호기의 규격을 그대로 따르면서 향상계층의 계산량을 크게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조합된 확장성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는 계층적 B 픽쳐 구조에 의한 양방향 움직임 탐색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합된 확장성 구조에서의 모드결정방법에 적용되는 시간 확장성의 특징을 나타낸다.
도 4는 매크로 블록들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확장이 가능한 비디오 코딩(SVC)은 하나의 부호화된 비트스트림(bit stream)으로부터 다양한 해상도(resolution)와 프레임 율(frame rate)로 복호화(decoding)할 수 있도록 입력영상을 계층적으로(Hierarchically) 부호화할 수 있는데, 이러한 성질을 확장성(Scalability)이라고 한다. 확장이 가능한 비디오 코딩(SVC)은 공간(Spatial), 시간(Temporal) 및 화질(Quality)의 확장성을 지원한다. 공간 확장성과 화질 확장성은 하나의 압축된 비트스트림을 이용하여 각각 다양한 해상도 또는 다양한 화질을 지원하며, 하나의 기본계층(Base layer)과 다수의 향상계층(Enhancement layer)을 이용하여 구현된다. 향상계층은 기본계층과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기본계층의 인트라 텍스쳐 정보(Intra texture information), 움직임 정보(motion information), 계수 값(coefficient)들을 예측 값으로 쓸 수 있다. 이러한 모드를 인터-레이어 예측 (Inter-layer prediction)이라고 부른다.
도 1은 조합된 확장성 구조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조합된 확장성 구조는 기본계층을 이용할 수 있는 인터레이어 예측화면(Inter layer prediction picture)과 기본계층을 이용할 수 없는 비인터레이어 예측화면(non-inter layer prediction picture)으로 구성된다. 확장이 가능한 비디오 코딩(SVC)은 H.264/AVC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기술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계층간 중복을 피하기 위한 기술이 추가 되었다.
MPEG-2의 압축 알고리즘의 경우, 기록 시 프레임에는 I, P 및 B 세 가지 타입의 프레임이 기록된다. I(Interframe) 프레임은 독립된 정보가 기록된 프레임으로 다른 프레임과 상관없이 압축하거나 복원할 수 있고, I, P 및 B 프레임 중 가장 낮은 압축률을 가진다. P(Predicted) 프레임은 이전의 프레임과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 부분만을 계산하여 차이 값만을 부호화한다. B(Bi-directional) 프레임은 프레임으로 보간(interpolation)한 프레임을 의미한다. 이는 B 프레임이 이전의 프레임으로부터 계산되지만 연속된 다음의 프레임에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B 프레임은 이전의 I 또는 P 프레임과 B 프레임 이후의 I 프레임 또는 P프레임의 차이 값을 가진다.
P 프레임과 B 프레임은 I 프레임으로부터 얻어지기 때문에, 단 하나의 I 프레임만으로는 나머지 P 프레임과 B 프레임은 가질 수 없다. 산재한 I 프레임들이 있어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축적된 에러가 너무 커져 결국 이미지의 질이 떨어지게 된다. 이렇게 I 프레임으로 시작하는 연속적인 화상들의 집합을 GOP(Group Of Picture)라고 한다. 도 1에는 8개의 프레임을 가지는 GOP에 대하여 도시되어 있다.
시간 확장성의 경우 다양한 프레임 율을 지원하기 위해 계층적 B 픽쳐(Hierarchical B picture) 구조를 사용한다. 계층적 B 픽쳐는 비디오 프레임 간의 상관성을 제거하는 기술의 일종으로, 매 프레임마다 구별된 시간적 레벨을 지정해 줌으로써, 비디오 콘텐츠의 다양한 프레임을 제공한다. 또한 SVC는 각각의 확장성을 서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계층적 B 픽쳐 구조에 의한 양방향 움직임 탐색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양방향 예측은 모든 인터 모드에 대해 실행되며, 모든 모드들은 율-왜곡(rate-distortion)에 의한 최적의 블록을 선택한다. 율-왜곡 최적화(Rate-Distortion Optimization, RDO) 모드 결정방식은, 움직임 예측 과정에서 계산된 움직임 비용으로 모드를 결정하지 않고, 비트율과 왜곡치를 계산하여 율-왜곡 비용을 최소로 가지는 모드로 결정된다. H.264에서 매크로 블록은 16x16에서 4x4 까지 다양한 크기의 블록을 가지는 여러 모드(mode)들 중에서 결정한다.
이러한 기술들은 부호화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었으나, 복잡도가 크게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복잡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실시간 부호화가 불가능 해졌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확장성의 특징에 따른 정보를 이용한 효율적인 모드 결정 및 움직임 탐색 방향의 조기 생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합된 확장성 구조에서의 모드결정방법에 적용되는 시간 확장성의 특징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임의의 순간의 부호화 영상은 이전 레이어의 영상과 상관성이 상당히 높다. 또한 기본계층(BL: Base Layer)을 이용할 수 있는 향상계층(EL)들은 기본계층의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특징을 고려하여 모든 확장성 구조를 가지는 SVC안에서 빠른 모드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빠른 모드 결정을 위해 영상의 움직임 영역 예측에 초점을 둔다. 도 3의 경우, 도면의 아래로 내려 갈수록 해상도, 시간적 확장성 및 화질이 증가한다.
본 발명에서는 움직임 예측을 위한 복잡값(MAcost)을 수학식 1과 같이 제안한다.
Figure 112010011121135-pat00001
여기서 n은 현재 프레임의 블록을 의미하며, n-1은 이전 temporal level에 상응하는 블록을 의미한다. search-size는 탐색범위에 대한 것으로 임의의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Modecomplexity는 모드들이 가지는 복잡도를 의미하며, 복잡도에 따라 값이 변한다. 모드들에 할당된 값들은 수학식 2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Figure 112010011121135-pat00002
Figure 112010011121135-pat00003
Figure 112010011121135-pat00004
Figure 112010011121135-pat00005
8x8 모드는 복잡도가 4 그리고 인트라(intra) 모드는 복잡도가 가장 높은 10으로 설정하였는데, 이는 2개의 모드가 움직임이 많고 복잡한 영역에서 최적의 모드로 결정되기 때문이다.
MVval은 최적의 모드로 결정된 블록의 움직임 벡터(Motion Vector, MV)의 평균값으로, 수학식 3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Figure 112010011121135-pat00006
Figure 112010011121135-pat00007
여기서 MV'x, MV'y는 최적 모드의 x,y축에 대한 정화소 단위의 움직임 벡터이며, n은 최적 모드의 움직임 벡터 개수를 나타낸다.
BLcomplexity는 기본계층이 가지는 복잡도를 의미한다. 기본계층(BL)과 향상계층(EL)은 공간적 그리고 화질적 확장성의 구조로 되어있다. 공간적 확장성 특징에 의해 기본계층과 향상계층간의 영상은 매우 유사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서로 다른 양자화 크기로 부호화되기 때문에 양자화 차에 따라 유사도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향상계층은 기본계층의 복잡도 값을 이용하되 양자화 차에 따라 가중치를 뒀다. BLcomplexity는 수학식 4와 같이 표시된다.
Figure 112010011121135-pat00008
Figure 112010011121135-pat00009
Figure 112010011121135-pat00010
여기서 S/F는 spatial factor을 의미하는 것으로, base layer와 enhancement간의 유사도를 나타내고, QPEL과 QPBL은 Enhancement와 Base layer의 양자화 값을 나타내며, BL-Modecomplexity는 Base layer의 모드 복잡도를 의미하며, 이값은 상기 수학식 2를 따른다.
본 발명에서는 움직임 예측을 위한 복잡값(MAcost)을 이용하여 복잡도를 예측 하였고, 움직임 예측을 위한 복잡값(MAcost)이 8x8블록사이즈의 모드 복잡도인 4를 기준으로 두 개의 클래스(Class)로 구분하다.
제1클래스(Class1)는 16x16, 8x16, 16x8과 같은 블록 사이즈가 큰 모드들로 구성되며, 제2클래스(Class2)는 8x8, 8x4, 4x8, 4x4와 같은 작은 사이즈의 블록들로 구성된다.
복잡도에 의해 결정된 각 클래스의 후보 모드들 중에서 가장 큰 사이즈를 갖는 모드에서 양방향 움직임 탐색을 한다. 예를 들며, 제1클래스(Class1)에서는 16x16블록이 그리고 제1클래스(Class2)에서는 8x8블록이 양방향 움직임 탐색을 한다.
탐색 후 율-왜곡 값이 가장 작은 방향을 후보 예측 방향으로 결정하고 클래스 안의 다른 모드들은 후보 예측 방향으로 부호화된다. 또한 예측 에러를 최소화하기 위해 문턱치(TH)를 제안한다. 여기서 문턱치는 하기 수학식 5와 같이 이웃하는 블록들의 율-왜곡 값을 이용하여 표현한다.
Figure 112010011121135-pat00011
여기서, RDA, RDB, RDC 현재의 매크로 블록을 둘러싸는 A, B 및 C 매크로 블록들의 율-왜곡 값들을 의미한다.
도 4는 매크로 블록들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문턱치는 현재의 매크로 블록(Current MB)을 둘러싸는 A, B 및 C 매크로 블록들(A MB, B MB, C MB)의 율-왜곡 값들(RDA, RDB, RDC)의 평균값(average)이다. 여기서 A 매크로 블록(A MB)은 현재 매크로 블록(Current MB)의 왼쪽에 배치된 바로 이전의 매크로 블록이고, B 매크로 블록(B MB)은 현재 매크로 블록(Current MB)의 상부에 배치된 매크로 블록이며, C 매크로 블록(C MB)은 현재 매크로 블록(Current MB)과 대각선 방향에 배치된 것으로, A 매크로 블록(A MB) 및 B 매크로 블록(B MB)과 공통으로 접하는 곳에 배치된 매크로 블록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합된 확장성 구조에서의 모드결정방법은, 표준 부호기의 규격을 그대로 따르면서 향상계층의 계산 량을 크게 감소시켰다. 이 방법으로 인해 종래의 부호화 복잡도를 부호화 손실이 거의 없이 평균 45% 정도 감소 시켰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GOP: Group Of Picture
BL; Base Layer
EL; Enhancement Layer
MB; Macro-Block

Claims (8)

  1. 모든 확장성이 조합된 확장이 가능 한 비디오 코딩(Scalable Video Coding) 구조에서, 기본계층 및 향상계층 사이의 시간적, 공간적 및 화질적 확장성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모드의 결정 및 방향성을 선택하며,
    모드의 결정 시에는, 모드의 복잡도, 최적의 모드로 결정된 블록의 움직임 벡터의 평균 및 기본계층의 복잡도를 이용하여 계산한 움직임예측을 위한 복잡 값이 가장 적은 것으로 결정하는 조합된 확장성 구조에서의 모드결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예측을 위한 복잡 값(MAcost)은,
    Figure 112011018840849-pat00012

    이며,
    Modecomplexity는 모드의 복잡도, MVval는 최적의 모드로 결정된 블록의 움직임 벡터의 평균, n은 현재 프레임의 블록, n-1은 이전 temporal level에 상응하는 블록, search-size는 탐색범위 그리고 BLcomplexity는 기본계층의 복잡도인 조합된 확장성 구조에서의 모드결정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모드의 복잡도는,
    Figure 112011018840849-pat00013

    Figure 112011018840849-pat00014

    Figure 112011018840849-pat00015
    의 값으로 설정된 조합된 확장성 구조에서의 모드결정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모드 복잡도 값이 4로 결정된 Mode8x8를 기준으로, Mode8x8 보다 적은 매크로 블록 사이즈를 가지는 매크로 블록들로 구성된 제1클래스 및 Mode8x8 보다 큰 사이즈를 가지는 매크로 블록들로 구성되는 제2클래스로 구분하고,
    각 클래스에서 가장 큰 사이즈의 블록들만 양방향 탐색을 수행하는 조합된 확장성 구조에서의 모드결정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양방향 탐색이 이루어 진 후, 율-왜곡 값이 가장 적은 방향을 후보 예측 방향으로 결정하여, 해당 클래스 내의 다른 모드들은 상기 후보예측방향으로 부호화하는 조합된 확장성 구조에서의 모드결정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율-왜곡 값은 현재의 매크로 블록 주위의 복수 개의 매크로블록들의 율-왜곡 값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결정되는 조합된 확장성 구조에서의 모드결정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율-왜곡 값(RD)의 평균값은,
    수학식
    Figure 112010011121135-pat00017
    에 의해 결정되며, RDA, RDB, RDC 는 현재의 매크로 블록을 둘러싸는 A, B 및 C 매크로 블록들의 율-왜곡 값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기서 A 매크로 블록은 현재 매크로 블록의 바로 이전의 매크로 블록이고, B 매크로 블록은 현재 매크로 블록의 상부에 배치된 매크로 블록이며, C 매크로 블록은 현재 매크로 블록과 대각선 방향에 배치된 것으로, 상기 A 매크로 블록 및 상기 B매크로 블록과 공통으로 접하는 곳에 배치된 매크로 블록인 조합된 확장성 구조에서의 모드결정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계층의 복잡도는,
    Figure 112010011121135-pat00018

    Figure 112010011121135-pat00019

    Figure 112010011121135-pat00020
    와 같은 수학식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여기서 S/F는 spatial factor을 의미하는 바, base layer와 enhancement간의 유사도를 나타내고, QPEL과 QPBL은 Enhancement와 Base layer의 양자화 값을 나타내며, BL-Modecomplexity는 Base layer의 모드 복잡도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된 확장성 구조에서의 모드결정방법.
KR1020100015318A 2010-02-19 2010-02-19 조합된 확장성 구조에서의 모드결정방법 KR101072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318A KR101072459B1 (ko) 2010-02-19 2010-02-19 조합된 확장성 구조에서의 모드결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318A KR101072459B1 (ko) 2010-02-19 2010-02-19 조합된 확장성 구조에서의 모드결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708A KR20110095708A (ko) 2011-08-25
KR101072459B1 true KR101072459B1 (ko) 2011-10-11

Family

ID=44931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5318A KR101072459B1 (ko) 2010-02-19 2010-02-19 조합된 확장성 구조에서의 모드결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245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35959B2 (en) 2003-10-16 2009-05-19 Nvidia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video encoder rate contro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35959B2 (en) 2003-10-16 2009-05-19 Nvidia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video encoder rate control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ast Mode Decision Algorithm for Inter-Frame Coding in Fully Scalable Video Coding"(IEEE TRANSACTIONS ON CIRCUITS AND SYSTEMS FOR VIDEO TECHNOLOG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708A (ko) 201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91809B2 (ja) 画像のシーケンスを適応的に符号化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5461193B2 (ja) 他のコーディングモードの情報を使用したコーディングモードの選択
JP5563042B2 (ja) 適応性のあるビデオフレーム補間
KR101433170B1 (ko) 인접 블록의 공간 예측 방향성을 이용하여 화면 내 예측모드를 추정하는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 그 장치
KR20080015831A (ko) 다층 비디오 설계를 위한 레이트 제어
KR20050089090A (ko) 인터프레임 인코딩을 위한 빠른 모드 결정 방법
JP4391810B2 (ja) 画像のシーケンスを適応的に符号化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MXPA06010360A (es) Metodos y aparato para tomar decisiones en modo rapido en codecs de video.
JP4799547B2 (ja) それぞれマルチマクロブロックを含む予測ピクチャおよび非予測ピクチャを使用した、ピクチャシーケンスのエンコーディング方法およびエンコーディング装置
WO2012098845A1 (ja) 画像符号化方法、画像符号化装置、画像復号方法及び画像復号装置
JP2007531444A (ja) ビデオデータのための動き予測及びセグメンテーション
KR101072459B1 (ko) 조합된 확장성 구조에서의 모드결정방법
US10148954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intra mode decision in H.264 video coding
Patnaik et al. H. 264/AVC/MPEG video coding with an emphasis to bidirectional prediction frames
Balaji et al. A pixel orientation and adaptive search range based complexity reduction in H. 264 scalable video coding
EP1739970A1 (en) Method for encoding and transmission of real-time video conference data
JP4926912B2 (ja) 映像符号化装置及び方法
JP6181242B2 (ja) 画像復号化方法
JP5951915B2 (ja) 画像復号化方法
JP5946980B1 (ja) 画像復号化方法
JP5911982B2 (ja) 画像復号化方法
Liu et al. A fast mode decision scheme with variable block sizes in H. 264/AVC
JP5750191B2 (ja) 画像復号化方法
Carreira et al. Reference picture selection using checkerboard pattern for resilient video coding
Tan et al. A low complexity and efficient slice grouping method for H. 264/AVC in error prone environ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