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2031B1 - Washing machine with fluid injecting appatus - Google Patents

Washing machine with fluid injecting app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2031B1
KR101072031B1 KR1020090043213A KR20090043213A KR101072031B1 KR 101072031 B1 KR101072031 B1 KR 101072031B1 KR 1020090043213 A KR1020090043213 A KR 1020090043213A KR 20090043213 A KR20090043213 A KR 20090043213A KR 101072031 B1 KR101072031 B1 KR 101072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tub
washing machine
containe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32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24127A (en
Inventor
송성호
진용철
김민지
배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3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2031B1/en
Publication of KR20100124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41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2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20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분사 장치를 갖는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 내부에 위치하여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와 연통되는 건조 덕트;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건조 덕트 내부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공급 수단; 상기 본체 내에 위치하며, 액체가 저장된 용기를 탈부착할 수 있는 세제 공급 장치; 및 상기 용기로부터 액체를 공급받아 상기 드럼 내부로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 수단;을 포함하는 세탁기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having a liquid jet device, comprising: a tub positioned inside the main body to accommodate washing water; A drying duct in communication with the tub; A drum rotatably installed in the tub; Hot air supply means for supplying hot air into the drying duct; A detergent supply device positioned in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attaching and detaching a container in which a liquid is stored; And spraying means for receiving liquid from the container and spraying the liquid into the drum.

세탁기, 향기, 발향액, 디스펜서. Washing machine, fragrance, fragrance, dispenser.

Description

액체 분사 장치를 갖는 세탁기{WASHING MACHINE WITH FLUID INJECTING APPATUS}WASHING MACHINE WITH FLUID INJECTING APPATUS

본 발명은 액체 분사 장치를 갖는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탁기의 회전 드럼 내부로 미스트 형태의 액체를 분사할 수 있는 분사 장치를 구비한 건조겸용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having a liquid spr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y washing machine having a spray device capable of spraying a liquid in the form of mist into the rotating drum of the washing machine.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 헹굼, 탈수의 과정을 거쳐서 오염된 세탁물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외관을 이루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물을 저장하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을 포함한다. 상기 드럼 내부에 세탁물 및 세탁수를 세제와 함께 넣고 회전시켜서 세탁물에 물리적인 충격을 가하여 세탁물을 세탁하게 된다. 통상 세탁기는 세탁물을 처리하는 상기 드럼의 회전축이 수평인 경우를 드럼세탁기라고 한다. 이러한 세탁기에 건조기능이 구비된 것을 건조겸용 세탁기라고 하는데, 이러한 건조겸용 세탁기는 세탁 및 헹굼이 완료되고 탈수과정이 종료된 상태에서 세탁물에 열풍을 공급하여 세탁물의 수분을 증발시켜서 건조하는 의류처리기기로서, 세탁,헹굼,탈수,건조 행정이 하나의 코스로 순차적으로 실시되는 것도 가능하고, 세탁,헹굼,탈수,건조 행정 각각이 독립적으로 실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건조겸용 세탁기가 건조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터브에 공급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건조덕트가 상기 터브와 본체 사이에 구비되고 또한 상기 건조덕트 내부에는 공기가 이동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송풍팬 및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가 구비된다. In general, a washing machine is a device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contaminated laundry through washing, rinsing, and dehydration. The washing machine is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tub and the tub,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stores water. A drum being included. The laundry and the washing water are put together with the detergent inside the drum to rotate the laundry to wash the laundry by applying a physical impact on the laundry. In general, a washing machine is a drum washing machine in which the rotating shaft of the drum for processing laundry is horizontal. Such a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a drying function is called a combined-use washing machine. The combined-use washing machine is a clothes treating apparatus which supplies hot air to the laundry in a state in which washing and rinsing is completed and dehydration is completed to evaporate moisture to dry the laundry. For example, the washing, rinsing, dehydrating and drying strokes may be sequentially performed in one course, and the washing, rinsing, dehydrating and drying strokes may be performed independently. In addition, a drying fan for guiding the air supplied to the tub is provided between the tub and the main body so that the combined washing machine performs a drying function, and a blowing fan for providing power to move air in the drying duct. A heater for heating air is provided.

그런데, 세탁기에서 세탁과 탈수가 완료된 후 상기 드럼 내부의 세탁물에 열풍을 공급하여 건조하는 경우 세탁물에 포함된 수분이 제거되어 건조 과정은 이루어지지만, 의류에 존재하던 수분이 빠른 속도로 건조되어 건조된 의류에 주름이 남아 있거나 의류가 지나치게 뻣뻣한 문제가 있다.By the way, when washing and dehydration in the washing machine is completed by supplying hot air to the laundry inside the drum,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laundry is removed and a drying process is performed, but the moisture present in the clothing is dried and dried at a rapid rate. There is a problem that wrinkles remain in the garment or the garment is too stiff.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건조 과정 중에서 의류에 발향액을 분사하여 건조된 의류에 향기를 입히고 주름 제거 및 연화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건조기가 제안된 바 있으나, 건조 기능을 갖는 세탁기의 경우 세탁에 필요한 기타의 부품들로 인해서 상기와 같은 발향액을 저장하고 분사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할애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dryer has been proposed that can spray fragrance on clothing to dry the clothing, induce fragrance, remove wrinkles and soften, but in the case of a washing machine having a drying function, other washing machines are required. Due to the components of the above it is difficult to allocate a separate space for storing and spraying the fragrance liquid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건조과정이 완료된 후 소정의 향기를 부가할 수 있는 액체 분사 장치를 갖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problem is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having a liquid injection device that can add a predetermined aroma after the drying process is completed.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본체 내부에 위치하여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와 연통되는 건조 덕트;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건조 덕트 내부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공급 수단; 상기 본체 내에 위치하며, 액체가 저장된 용기를 탈부착할 수 있는 세제 공급 장치; 및 상기 용기로부터 액체를 공급받아 상기 드럼 내부로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 수단;을 포함하는 세탁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tub is located inside the body to accommodate the wash water; A drying duct in communication with the tub; A drum rotatably installed in the tub; Hot air supply means for supplying hot air into the drying duct; A detergent supply device positioned in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attaching and detaching a container in which a liquid is stored; And spraying means for receiving liquid from the container and spraying the liquid into the drum.

본 발명의 상기 측면에서는, 분사될 액체가 저장된 용기를 위한 별도의 설치구조를 추가할 필요없이, 기존재하는 세제 공급 장치에 용기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통해서, 용기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이 생략될 수 있어 세탁기 내부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외관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액체는 소정의 향을 갖는 발향액 또는 통상적인 물일 수 있다.In this aspect of the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unt the container to the existing detergent supply apparatus, without having to add a separate installation structure for the container in which the liquid to be injected is stored. Through this, a separate structure for installing the container can be omitted can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inside the washing machin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eformation of the appearance. The liquid may be a fragrance liquid having a predetermined aroma or conventional water.

상기 용기에 발향액을 저장하는 경우, 세탁 행정 중 건조 과정이 종료된 후 발향액을 분사하여 세탁물에 소정의 향을 입일 수 있고, 용기에 물을 저장하면 건조 과정에서 물을 분사하여 세탁물이 지나치게 건조되어 뻣뻣해 지거나 정전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fragrance liquid is stored in the container, after the drying process is finished during the washing process, the fragrance liquid may be sprayed to give a predetermined fragrance to the laundry. It can be dried to prevent stiffness and static electricity.

여기서, 상기 세제 공급 장치는 복수의 세제를 저장하기 위한 세제 투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는 상기 세제 투입구 중 어느 하나에 탈부착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용기가 장착되는 세제 투입구는 액체 분사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용기의 장착부로서 기능하고, 사용자가 액체 분사 기능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세제를 투입구로서의 기능을 하게 된다.Here, the detergent supply apparatus includes a detergent inlet for storing a plurality of detergents, the container may be detachably mounted to any one of the detergent inlet. Through this, the detergent inlet to which the container is mounted serves as a mounting portion of the container when the liquid spraying function is performed, and the detergent as the inlet when the user does not want the liquid spraying function.

여기서, 상기 용기가 장착되는 세제 투입구의 저면에는 상기 용기의 저면에 형성되는 배출구와 결합되는 출구가 형성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용기를 세제 투입구에 끼워넣는 것 만으로 연결이 완료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배출구 또는 출구 중 어느 하나에 밸브가 설치되어 배출구와 출구가 연결된 경우에만 액체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Here, an outlet coupled to the outlet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detergent inlet on which the container is mounted, so that the user can complete the connection by simply inserting the container into the detergent inlet. At this time, the valve may be installed at any one of the outlet or the outlet so that the liquid is discharged only when the outlet and the outlet are connected.

한편, 상기 분사 수단은 상기 저장조와 연통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와 연통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분사 노즐은 그 출구가 상기 드럼을 향하도록 상기 터브의 전방에 설치되거나, 상기 건조 덕트에 설치될 수 있다. 분사 노즐이 건조 덕트에 설치되면, 건조 덕트내의 열풍으로 인해서 액체를 기화하여 분사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injection means may comprise a pump in communication with the reservoir and the injection nozzle in communication with the pump, the injection nozzle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tub so that the outlet toward the drum, or in the drying duct Can be installed. When the spray nozzle is installed in the drying duct, the liquid can be vaporized and sprayed due to the hot air in the drying duct.

또한, 상기 세제 공급 장치는 상기 본체의 임의의 지점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상기 세제 공급 장치는 상부에 위치하며, 세제 공급 장치 전체를 덮는 커버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ergent supply apparatus may be installed at any point of the main body, for example, the detergent supply apparatus is located at an upper portion, and a cover covering the entire detergent supply apparatus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또한, 상기 용기는 전부 또는 일부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액체의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ainer may be made of all or part of the transparent material to easily check the remaining amount of the liquid.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측면들에 의하면, 액체를 저장하는 용기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이 생략될 수 있어 세탁기 내부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외관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 separate structure for installing the container for storing the liquid can be omitted can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inside the washing machin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eformation of the appearanc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겸용 세탁기의 일 실시예의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상판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o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a dry-us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plate in Figure 2 removed. .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겸용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상판(2), 전면커버(5)와 측면커버 등으로 이루어진 본체(1)와,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10)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드럼(30)과, 상기 드럼을 구동하는 구동을 제공하는 모터(40) 및 상기 터브를 완충 가능하게 지지하는 댐퍼(15)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체의 전방에는 내부를 개폐하는 도어(50)가 여닫힘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본체(2)의 전면상부에는 세탁 내지 건조 등의 행정을 수행하는 특정 코스를 입력하는 컨트롤 패널(7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터브(10)에 세탁수를 급수하는 급수밸브(80)를 포함하는 급수수단이 구비되고, 세탁후 세탁수를 배수하는 배수펌프(90)가 하부에 구비된다.1 and 2, the combined-us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1 formed of an upper plate 2, a front cover 5, a side cover, etc., which form an exterior, an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ub 10 for storing the wash water, a drum 30 rotatably mounted in the tub, a motor 40 for providing a drive for driving the drum and a damper for buffering the tub ( 15) and the like. And, the front of the main body 50 is opened to open and close the door 50 is opened and closed, the control panel 70 for inputting a specific course for performing a stroke, such as washing or drying on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2) Is installed. Then, the tub 10 is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means including a water supply valve 80 for supplying the wash water, and a drain pump 90 for draining the wash water after washing is provided below.

또한, 본 실시예의 세탁기는 건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를 보면, 상기 터브(10)의 내부로 가열된 열풍공기가 유입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건조덕트(100)와 상기 터브(10)에서 배출된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하는 응축덕트(150)를 포함한다. 상기 응축덕트(150)는 상기 터브(10)의 후측 하단부에 형성된 공기유출구(140)에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응축덕트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건조덕트(100)는 상기 터브의 전방 상측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130)에 연결되어 있어서, 히터에 의해 가열된 열풍공기가 터브로 유입되도록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건조덕트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110) 및 상기 건조덕트 내부를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송풍팬(120)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급수밸브(80)의 일측에서 분지되어 상기 응축덕트(150)로 응축수를 공급하는 응축수 공급관(160)이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n apparatus for performing a drying function. In this regard, the drying duct 100 for guiding the hot air air heated into the tub 10 to flow in and the condensation duct 150 for condensing and removing moisture i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tub 10 are included. do. The condensation duct 150 is connected to the air outlet 140 formed at the rear lower end of the tub 10 so tha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tub flows into the condensation duct. In addition, the drying duct 100 is connected to the air inlet 130 formed on the front upper side of the tub, to guide the hot air air heated by the heater to enter the tub. A heater 110 for heating air flowing in the drying duct and a blowing fan 120 for providing power to allow air to flow in the drying duct are provided. In addition, a condensate supply pipe 160 is branched from one side of the water supply valve 80 to supply condensed water to the condensation duct 150.

이러한 건조겸용 세탁기 작동 모습을 간략히 보면, 상기 급수밸브(80)를 통해 터브(10)로 세탁수가 유입되어 세탁 및 헹굼이 수행되고, 사용된 세탁수는 배수펌프(90)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세탁과 헹굼 후 세탁물의 탈수행정이 진행된어 세탁과정이 완료된다. 그러면, 탈수된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행정이 시작되며, 건조행정시에는 상기 히터(110)가 공기를 가열하고 송풍팬(120)이 회전하여 공기를 터브 내부로 공급한다. 상기 터브(10)의 내부에 공급된 열풍은 세탁물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터브 외부로 방출되어 상기 응축덕트(150)로 유입된다. 응축덕트에 유입된 고온다습한 상태의 공기 중에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서 상기 응축수 공급관(160)에서 응축덕트(150)로 응축수가 공급된다. 응축수는 상대적으로 차가운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응축덕트 내부를 통과하는 고온다습한 공기와 열교환하여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한다.In brief, the operation of the combined washing machine, washing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tub 10 through the water supply valve 80 to perform washing and rinsing, and the used washing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pump 90. . After the washing and rinsing, the laundry is dehydrated and the washing process is completed. Then, a drying stroke for drying the dehydrated laundry is started. In the drying stroke, the heater 110 heats the air and the blowing fan 120 rotates to supply air into the tub. The hot air supplied into the tub 10 removes moisture from the laundry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tub to flow into the condensation duct 150. Condensed water is supplied from the condensed water supply pipe 160 to the condensed duct 150 in order to remove moisture from the air in the hot and humid state introduced into the condensed duct. Since the condensed water is relatively cold, heat is exchanged with the hot and humid air passing through the condensation duct to remove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한편, 상기 상판(2)의 전면 부근에는 세제 디스펜서(200)가 장착되어 있고, 세제 디스펜서(200)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3)가 상기 세제 디스펜서(200)의 상부에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커버(3)는 도시된 형태외에도 상판(2)에서 슬라이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세제 디스펜서(200)를 개폐하도록 할 수도 있다.Meanwhile, a detergent dispenser 200 is mounted near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plate 2, and a cover 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etergent dispenser 200 is hingedly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detergent dispenser 200. do. The cover 3 may be installed to slide on the upper plate 2 in addition to the illustrated form to open and close the detergent dispenser 200.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세제 디스펜서(200)는 상술한 급수밸브(80)와 급수관(미도시)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 급수밸브(80)를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가 상기 세제 디스펜서(200) 내로 공급될 수 있다. 이렇게 공급된 세탁수는 상기 세제 디스펜서(200)에 투입된 세제를 용해시킨 후 상기 터브(10)의 내부로 공급되게 된다. 이러한 세탁수 공급구조는 기존의 세제 디스펜서의 구성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3, the detergent dispenser 200 is connected to the above-described water supply valve 80 and a water supply pipe (not shown), so that the wash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valve 80 is introduced into the detergent dispenser 200. Can be supplied. The wash water thus supplied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tub 10 after dissolving the detergent introduced into the detergent dispenser 200. Since the wash water supply structure may utilize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detergent dispenser, a description of the detailed structure will be omitted.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세제 디스펜서(200)에는 총 4개의 세제 저장구(210, 220, 222, 230)가 구비되는데, 참조번호 210 및 230은 분말 형태의 세제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220 및 222는 액상의 세제를 저장한 후 터브(10) 내부로 투입하기 위한 것이다. 이 중, 상기 분말 세제 투입구(230)의 저면에는 출구(232)가 형성되고, 내부에 분사될 액체가 저장되어 있는 액체 카트리지(240)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액체 카트리지(24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Referring to Figure 3, the detergent dispenser 200 is provided with a total of four detergent reservoirs 210, 220, 222, 230, reference numerals 210 and 230 are for storing the detergent in powder form, 220 and 222 is for storing the detergent of the liquid and to put into the tub (10). Among these, an outlet 232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powder detergent inlet 230, and a liquid cartridge 240 having a liquid to be sprayed therein is installed detachably. The liquid cartridge 240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출구(232)는 액체 공급관(234)을 통해서, 펌프(280)와 연결된다. 상기 펌프(280)는 상기 터브(10)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액체 카트리지(240) 내부에 저장된 액체를 고압으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펌프(280)는 분사관(282)과 연결되며, 상기 분사관(282)의 타단부에는 분사 노즐(284)이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utlet 232 is connected to the pump 280 through the liquid supply pipe 234. The pump 280 is mounted on the tub 10 to discharge the liquid stored in the liquid cartridge 240 at a high pressure. The pump 280 is connected to the injection pipe 282, the injection nozzle 284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injection pipe 282.

상기 분사 노즐(284)은 상기 터브(10)에 장착되되, 상기 드럼측으로 액체가 분사되도록 배치된다. 이외에도,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건조덕트(10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분사된 액체가 건조 공기와 함께 드럼 내부로 공급되게 되며, 히터가 가동중인 경우에는 분사된 액체는 기체 상태로 공급될 수 있다.The spray nozzle 284 is mounted to the tub 10, and is arranged to spray liquid to the drum side. In addition, the injection nozzle may be installed in the drying duct (100). In this case, the injected liquid is supplied into the drum together with the dry air, and when the heater is operating, the injected liquid may be supplied in a gaseous state.

한편, 상기 액체 카트리지(240)의 저면에는 저장된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는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배출구(242)는 상기 액체 카트리지의 저면에 형성되며 저면 하부로 연장되어 소정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공간의 내부에 상기 배출구와 출구가 연결된 경우에만 액체가 배출되도록 하는 밸브 바디(244)가 수용되며, 상기 밸브 바디(244)의 상부에는 플랜지(245)가 형성되어, 상기 밸브 바디(244)가 상기 공간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액체 카트리지(240)의 상부면은 개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내부 구조를 도시하기 위해 편의상 제거한 것이며 실제로는 상부면은 밀폐된 상태로 제공된다.Meanwhile,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stored liquid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liquid cartridge 240. Referring to FIG. 4, the discharge port 242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liquid cartridge and extends below the bottom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Form. The valve body 244 is accommodated so that the liquid is discharged only when the outlet and the outlet ar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space, and a flange 245 is formed on the valve body 244 to form the valve body 244. Is prevented from escaping out of the space. Here, the upper surface of the liquid cartridge 240 is shown in an open state, but this is removed for convenience to illustrate the internal structure and in fact the upper surface is provided in a sealed state.

이 때, 상기 액체 카트리지(240)가 완전히 밀폐된 상태이므로 잔량을 확인하는 것이 곤란할 수 있으므로, 액체 카트리지(240)의 측벽에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투명창을 설치하는 예도 고려할 수 있으며, 액체 카트리지(240) 전체를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liquid cartridge 240 is completely sealed, it may be difficult to check the remaining amount. Therefore, an example of installing a transparent window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on the sidewall of the liquid cartridge 240 may be considered, and the liquid cartridge 240 may be considered. ) An example of forming the whole with a transparent material may be considered.

상기 밸브 바디(244)의 상부면에는 코일 스프링(246)이 위치하여, 상기 밸브 바디(244)에 하향의 탄성력을 가한다. 따라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상기 밸브 바디(244)의 단부가 상기 공간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플랜 지(245)에 의해 상기 배출구(242)가 폐쇄되므로 내부에 저장된 액체가 새어나가지 않게 된다.A coil spring 246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valve body 244 to apply downward elastic force to the valve body 244. Therefore, unless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end of the valve body 244 maintains the state protruding out of the space, and the discharge port 242 is closed by the flange 245 so that the liquid stored therein It will not leak out.

상기 배출구(242)가 결합되는 상기 출구(232)는 상기 배출구(242)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갖게 되며, 그 내부에는 다수의 통공(235)이 형성되는 밸브 지지판(236)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액체 카트리지(240)가 상기 세제 투입구(230)에 장착되면서 상기 밸브 바디(244)가 후퇴하면서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The outlet 232 to which the outlet 242 is coupled has a diameter enough to allow the outlet 242 to be inserted therein, and a valve support plate 236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35 formed therein. Is formed. Therefore, the liquid cartridge 240 is mounted in the detergent inlet 230, the liqui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while the valve body 244 is retracted.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액체 카트리지(240)가 상기 세제 투입구(230)에 장착되면 상기 배출구(242)는 상기 출구(232)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밸브 바디(244)의 단부가 상기 밸브 지지판(236)에 의해 후퇴하면서, 상기 플랜지(245)가 배출구(242)의 단부와 떨어진다. 따라서, 카트리지 내부에 저장된 액체는 상기 배출구(242)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출구(232) 내부로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된 액체는 상기 통공(235)을 통해서 상기 펌프(280)에 공급된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5, when the liquid cartridge 240 is mounted to the detergent inlet 230, the outlet 242 is inserted into the outlet 232. In this state, as the end of the valve body 244 is retracted by the valve support plate 236, the flange 245 is separated from the end of the outlet 242. Accordingly, the liquid stored in the cartridge is discharged from the outlet 242 and introduced into the outlet 232, and the liquid thus introduced is supplied to the pump 280 through the through hole 235.

사용자가 액체를 분사하는 기능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액체 카트리지를 제거하면 되고, 이 경우 상기 세제 투입구(230)는 분말 세제를 투입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출구(232)를 통해 분말 세제가 외부로 누출될 우려가 있으므로, 액체 카트리지가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출구(232)의 상부를 막는 커버(미도시)를 출구(232)에 끼운 상태에서 사용하게 된다.If the user does not want to eject the liquid, the liquid cartridge is removed, in this case, the detergent inlet 230 may be utilized as a means for injecting the powder detergent. However, since the powder detergent may leak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232, when the liquid cartridge is not mounted, a cover (not shown) blocking the upper portion of the outlet 232 is inserted into the outlet 232. Will be used b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도 4 및 도 5는 도 2 중 액체 카트리지와 세제 투입구의 결합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combining the liquid cartridge and the detergent inlet of FIG. 2.

Claims (9)

본체 내부에 위치하여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A tub positioned inside the main body to accommodate washing water; 상기 터브와 연통되는 건조 덕트;A drying duct in communication with the tub;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A drum rotatably installed in the tub; 상기 건조 덕트 내부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공급 수단;Hot air supply means for supplying hot air into the drying duct; 상기 본체 내에 위치하며, 액체가 저장된 용기를 탈부착할 수 있는 세제 공급 장치; 및A detergent supply device positioned in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attaching and detaching a container in which a liquid is stored; And 상기 용기로부터 액체를 공급받아 상기 드럼 내부로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 수단;을 포함하며,And spraying means for receiving liquid from the container and spraying the liquid into the drum. 상기 용기의 저면에는 저장된 액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상기 세제 투입구의 저면에는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는 출구가 각각 형성되고,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stored liquid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and an outlet connected to the outlet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detergent inlet. 상기 배출구와 출구가 서로 연결된 경우에만 액체가 배출되도록 하는 밸브가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세탁기.The washing machine further comprises a valve for discharging the liquid only when the outlet and the outle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세제 공급 장치는 복수의 세제를 저장하기 위한 세제 투입구를 포함하며,The detergent supply device includes a detergent inlet for storing a plurality of detergents, 상기 용기는 상기 세제 투입구 중 어느 하나에 탈부착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The container is a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detachably mounted to any one of the detergent inle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분사 수단은,The injection means, 상기 용기와 연통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와 연통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And a pump in communication with the container and a spray nozzle in communication with the pump.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분사 노즐은 그 출구가 상기 드럼을 향하도록 상기 터브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And the spray nozzle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tub such that its outlet faces the drum.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건조 덕트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The spray nozzle is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drying duc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세제 공급 장치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며, 세제 공급 장치 전체를 덮는 커버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The detergent supply device is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a cover covering the entire detergent supply device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용기는 전부 또는 일부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The container is a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all or part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KR1020090043213A 2009-05-18 2009-05-18 Washing machine with fluid injecting appatus KR1010720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213A KR101072031B1 (en) 2009-05-18 2009-05-18 Washing machine with fluid injecting app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213A KR101072031B1 (en) 2009-05-18 2009-05-18 Washing machine with fluid injecting app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4127A KR20100124127A (en) 2010-11-26
KR101072031B1 true KR101072031B1 (en) 2011-10-10

Family

ID=43408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3213A KR101072031B1 (en) 2009-05-18 2009-05-18 Washing machine with fluid injecting app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2031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4127A (en) 2010-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2364B1 (en) Apparatus for washing and drying clothes
KR101328920B1 (en) laundry dryer
EP2055827B1 (en) Control method of dryer
US8595955B2 (en) Laundry dryer
US20060101588A1 (en) Washing machine with steam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598156B1 (en) Washing machine
EP2873722B1 (en) Method for treating laundry and detergent used therein
CN103668865A (en) Laundry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US20060059959A1 (en) Washing machine
JP2009039435A (en) Washing drying machine
KR20130025674A (en) Washing machine
KR100672439B1 (en) Laundry dryer with steam generator
KR20100124128A (en) Washing machine with fluid injecting appatus
JP5300946B2 (en) Drum washing machine
KR20100124126A (en) Washing machine with fluid injecting appatus
KR101634171B1 (en) Washing machine
KR101072031B1 (en) Washing machine with fluid injecting appatus
KR101020418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fluid suppy
KR101036038B1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having drawer type mist supplying device
JP5296170B2 (en) Drum washing machine
KR20150089802A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steam generator
KR20070003361A (en) Steam type drum washing machine and it's laundry process
KR20070009193A (en) Steam injection style of drum-type washing machine
KR20180027046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120118196A (en) Filter cleaning method for laundry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