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1327B1 - 태블릿의 송수신장치 - Google Patents

태블릿의 송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1327B1
KR101071327B1 KR1020100016071A KR20100016071A KR101071327B1 KR 101071327 B1 KR101071327 B1 KR 101071327B1 KR 1020100016071 A KR1020100016071 A KR 1020100016071A KR 20100016071 A KR20100016071 A KR 20100016071A KR 101071327 B1 KR101071327 B1 KR 101071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il
excitation signal
reception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6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6695A (ko
Inventor
무라카미 아즈마
신민구
이성복
Original Assignee
씨에스제이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에스제이글로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에스제이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6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1327B1/ko
Priority to PCT/KR2011/001143 priority patent/WO2011105727A2/en
Publication of KR20110096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6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1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1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블릿의 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코드리스(cordless) 전지리스(batteryless) 전자펜과 에너지를 수수(授受)하여 펜 위치를 산출하는 태블릿의 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태블릿의 송수신장치는 코일을 자기화하기 위한 여자 신호를 생성하는 여자 신호 생성부; 상기 여자 신호 및 상기 코일에 유도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그라운드 신호를 트라이 스테이트 버퍼로 번갈아가며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 상기 신호 출력부와 상기 코일의 일단을 연결하는 상기 트라이 스테이트 버퍼; 상기 트라이 스테이트 버퍼의 출력 상태를 하이 임피던스 또는 인에이블 상태로 하기 위한 버퍼 제어부; 상기 코일의 타단과 상기 코일에 유도된 전류를 증폭하는 수신신호 증폭부의 연결을 온/오프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태블릿의 송수신장치{transmitter-receiver of a tablet}
본 발명은 태블릿의 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코드리스(cordless) 전지리스(batteryless) 전자펜과 에너지를 수수(授受)하여 펜 위치를 산출하는 태블릿의 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코드리스 전지리스 전자펜이란 배터리 없이 태블릿의 송수신장치와 무선으로 에너지를 수수하는 것을 일컫는 것이며, 이하 줄여서 전자펜이라 한다.
도 1은 종래 태블릿의 송수신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태블릿의 송수신장치는 태블릿(tablet) 평판 위에 가로 및 세로로 나열되는 다수의 코일(21)과, 코일(21)을 자기화하기 위한 여자 신호를 생성하는 여자 신호 생성부(22)와, 여자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여자 신호 증폭부(23)와, 송수신 채널 즉, 코일을 선택하기 위한 채널 선택 스위치(24)와, 송수신 전환을 위한 송수신 전환 스위치(25)와, 코일(21)에 유도된 전류를 이용하여 전자펜(10)의 위치를 산출하는 수신신호 처리부(26)와, 두 스위치(24, 25)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제어부(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종래 태블릿의 송수신장치는 전자펜(10)과 에너지 수수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스위칭을 반복한다.
1. 채널 선택 스위치(24)는 다수의 코일 중 하나를 송수신 전환 스위치(25)에 연결하고, 송수신 전환 스위치(25)는 여자 신호 증폭부(23)를 채널 선택 스위치(24)에 연결한다.
2. 이후, 미리 정해진 송신 시간(예, 150~200㎲)이 지나면 송수신 전환 스위치(25)는 여자 신호 증폭부(23)와 채널 선택 스위치(24)의 연결을 끊고 수신신호 처리부(26)를 채널 선택 스위치(24)에 연결한다.
3. 이후, 미리 정해진 수신 시간(예, 100~150㎲)이 지나면 채널 선택 스위치(24)는 다른 코일을 송수신 전환 스위치(25)에 연결하고 송수신 전환 스위치(25)는 여자 신호 증폭부(23)를 채널 선택 스위치(24)에 연결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스위칭 방식은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전자펜에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보내기가 어렵다. 주된 이유는 신호원에서 코일까지의 송신 신호 경로에 두 개의 스위치가 있기 때문이다. 코일이 전자펜에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송신하기 위해서는 송신 경로의 임피던스는 가능한 낮은 편이 좋다. 그러나, 스위치의 내부 저항이 에너지를 소비한다.
또한, 코일에서 수신신호 처리부까지의 수신 신호 경로 상에서도 두 개의 스위치가 존재하기 때문에, 전자펜으로부터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받는 것도 어렵다.
또한, 송신 또는 수신 신호가 스위치를 통과할 때 노이즈가 혼입되기 때문에 위치 산출이 어렵다.
또한, 정밀한 송수신 채널 선택을 위해서는 고성능의 스위치가 요구된다. 따라서, 저가의 태블릿을 시장에 제공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자펜과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수수할 수 있는 태블릿의 송수신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위치 없이 송수신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태블릿의 송수신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태블릿의 송수신장치는 코일을 자기화하기 위한 여자 신호를 생성하는 여자 신호 생성부; 상기 여자 신호 및 상기 코일에 유도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그라운드 신호를 트라이 스테이트 버퍼로 번갈아가며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 상기 신호 출력부와 상기 코일의 일단을 연결하는 상기 트라이 스테이트 버퍼; 상기 트라이 스테이트 버퍼의 출력 상태를 하이 임피던스 또는 인에이블 상태로 하기 위한 버퍼 제어부; 상기 코일의 타단과 상기 코일에 유도된 전류를 증폭하는 수신신호 증폭부의 연결을 온/오프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태블릿의 송수신장치는 상기 코일의 타단을 그라운드에 연결하는 콘덴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태블릿의 송수신장치는 전자펜과의 에너지 수수를 송신에서 수신으로 또는 수신에서 송신으로 전환하기 위한 구형파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신호 출력부로 출력하는 구형파 발생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 출력부는 상기 여자 신호 생성부로부터 입력되는 여자 신호와 상기 구형파 발생부로부터 입력되는 구형파 신호를 논리합 연산하여 출력하는 앤드 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태블릿의 송수신장치에 따르면, 종래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장점들이 있다.
본 발명은 송신 경로 상에 스위치가 없다. 따라서, 에너지를 전자펜에 효율적으로 보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신 경로 상에 스위치가 하나이다. 따라서, 코일에 유도된 전류를 효율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위치 사용을 최소화한 것이기 때문에 노이즈 혼입이 적다. 따라서, 전자펜의 위치 산출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자 신호를 공진할 수 있고, 여자 신호의 주파수를 전자펜의 고유주파수에 맞출 수가 있다. 따라서, 전자펜과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수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태블릿의 송수신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블릿의 송수신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에너지 수수를 위해 생성하는 각종 신호들의 파형과 타이밍(timing)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수신신호 처리부의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전자펜의 절대적 위치를 계산하는 원리도이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태블릿의 송수신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블릿의 송수신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태블릿의 송수신장치는 다수의 코일(110), 다수의 트라이 스테이트 버퍼(tri-state buffer; 120), 마이크로 프로세서(130), 신호 출력부(140), 디코더(150), 콘덴서(160), 스위칭부(170) 및 수신신호 처리부(1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수의 코일(110)은 각각, 태블릿 평판 위에 가로 또는 세로로 나열된다.
다수의 트라이 스테이트 버퍼(120)는 다수의 코일(110)과 일대일 대응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출력단(Y)이 코일의 일단에 연결된다. 트라이 스테이트 버퍼는 주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출력이 인에이블(Enable)과 하이임피던스(High impedence; Hi-Z) 상태를 갖는 소자를 일컫는다. 인에이블 상태에서는 입력 신호를 그대로 출력한다. 반면, 하이임피던스 상태에서는 입력 신호를 출력하지 아니한다. 즉, 트라이 스테이트 버퍼(120)의 출력단이 하이 임피던스 상태라는 것은 코일과 트라이 스테이트 버퍼가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트라이 스테이트 버퍼로는 '74AC125'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에너지 수수를 위해 생성하는 각종 신호들의 파형과 타이밍(timing)을 나타낸 것이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30)는 여자 신호 생성부(131), 구형파 발생부(132), 버퍼 제어부(133), 스위치 제어부(134) 및 리셋 제어부(1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자 신호 생성부(131)는 코일을 자기화하기 위한 여자 신호 즉, 미리 정해진 주파수의 교류 신호(도 3의 A 참조)를 발진하여 신호 출력부(140)로 출력한다.
구형파 발생부(132)는 전자펜과의 에너지 수수를 송신에서 수신으로 또는 수신에서 송신으로 전환하기 위한 구형파 신호(이하, '송수신 전환 신호'라 한다; 도 3의 B 참조)를 생성하여 신호 출력부(140)로 출력한다. 송수신 전환 신호에서 하이레벨 구간이 에너지를 전자펜으로 송신하는 송신시간을 의미하며, 로우레벨 구간이 전자펜으로부터 에너지를 수신하는 수신시간을 의미한다. 여기서, 송신시간은 전자펜의 공진회로의 Q 값(quality factor)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보통, 150~200㎲ 정도이다. 또한, 수신 시간은 100~150㎲ 정도이다.
버퍼 제어부(133)는 다수의 트라이 스테이트 버퍼(120)를 번갈아가며 인에이블시킨다. 즉, 버퍼 제어부(133)는 송수신 전환 신호의 라이징 엣지(rising edge) 시점이 되면 인에이블 상태인 버퍼는 하이임피던스 상태로 변경하고, 그 다음 차례의 버퍼를 하이임피던스에서 인에이블 상태로 변경한다.
스위치 제어부(134)는 스위칭부(170)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스위치 제어 신호(도 3의 C 참조)를 생성하여 스위칭부(170)로 출력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 제어부(134)는 송수신 전환 신호(B)의 폴링 엣지(falling edge) 시점에 하이레벨 신호를 스위칭부(170)로 출력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송수신 전환 신호(B)가 라이징 엣지하기 전에 하이레벨 신호의 출력을 종료하고 로우레벨 신호를 출력한다.
리셋 제어부(135)는 후술하게 될 피크 홀드부(182; 도 4 참조)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스위치 제어 신호(C)가 로우레벨 구간일 때 피크 홀드 전압을 리셋하기 위한 신호(도 3의 D 참조)를 피크 홀드부(182)로 출력한다.
신호 출력부(140)는 여자 신호 및 그라운드 신호를 다수의 트라이 스테이트 버퍼(120)로 번갈아가며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그라운드 신호는 코일(110)에 유도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코일(110)의 일단을 그라운드시키는 신호이다. 예컨대, 여자 신호의 기준 전압이 OV라고 한다면(즉, 여자 신호가 OV를 기준으로 교번하는 신호라고 한다면), 그라운드 신호는 OV 값을 갖는 직류 신호이다. 이러한 기능을 위해 신호 출력부(140)는 여자 신호 생성부(131)로부터 입력되는 여자 신호와 구형파 발생부(132)로부터 입력되는 송수신 전환 신호를 논리합 연산하여 출력하는 앤드 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앤드 회로는 구형파 발생부(132)로부터 입력되는 송수신 전환 신호가 하이 레벨인 경우에는 여자 신호 생성부(131)로부터 입력되는 여자 신호를 그대로 출력하고 반면, 송수신 전환 신호가 로우 레벨인 경우에는 그라운드 신호를 출력한다.
디코더(150)는 버퍼 제어부(133)가 선택한 버퍼를 인에이블 상태로 만들고 나머지는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만든다. 이러한 디코더(150)로는 '74HC138'이 사용될 수 있다.
콘덴서(160)는 에너지 수수의 효율을 위한 것으로서, 코일(110)의 타단과 그라운드를 연결한다. 즉, 콘덴서(160)와 코일(110)은 여자 신호 및 전자펜으로부터 유도된 신호를 공진하는 공진 회로이다. 이러한 공진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공진 회로의 고유 주파수, 여자 신호의 주파수 및 전자펜의 고유 주파수가 서로 일치되어야 한다.
스위칭부(170)는 스위치 제어부(134)로부터 하이레벨 신호가 입력되는 기간에는 수신신호 처리부(180)를 코일의 타단에 연결하고 반면, 스위치 제어부(134)로부터 로우레벨 신호가 입력되는 기간에는 수신신호 처리부(180)와 코일의 타단 간의 연결을 끊고 수신신호 처리부(180)를 그라운드에 연결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수신신호 처리부의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신호 처리부(180)는 수신신호 증폭부(181), 정류부(182), 피크홀드부(183) 및 전자펜 위치 계산부(184)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수신신호 증폭부(181)는 연산 증폭기(Op Amp)로 구현될 수 있으며, 양전원(+5V, -5V)을 이용하여 코일(110)에 유도된 미약한 신호(도 4의 (가) 참조)를 증폭한다.
정류부(182)는 다이오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수신신호 증폭부(181)에 의해 증폭된 신호(도 4의 (나) 참조)를 정류한다.
피크홀드부(183)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연산 증폭기, 다이오드, 콘덴서 및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정류부(182)로부터 입력된 신호에서 피크치를 출력하는 즉, 피크값을 홀딩(holding)하는 회로이다. 여기서, 두 개의 연산 증폭기는 단전원(5V)를 이용한다. 전단의 연산 증폭기는 정류부(182)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증폭한다. 후단의 연산 증폭기는 전단의 연산 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도 4의 (다) 참조)에서 피크치를 출력한다. 트랜지스터는 콘덴서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시키기 위한 회로 소자이다. 즉, 트랜지스터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30)로부터 리셋 신호가 입력되면, 콘덴서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시켜 후단의 연산 증폭기가 홀딩하고 있는 피크치를 리셋한다.
전자펜 위치 계산부(184)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코일(110)의 절대적 위치값과 피크홀드부(18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전압값을 이용하여 전자펜의 위치를 산출한다.
한편, 도 4의 파형도에서 시점 (t)는 송신에서 수신으로 옮겨가는 순간 즉, 수신신호 처리부(180)가 코일(110)의 타단에 연결될 때의 시간이다.
도 5는 전자펜의 절대적 위치를 계산하는 원리도이다.
도 2에서는 각각의 코일이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떨어져 있는 것으로 표현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인접한 코일들끼리 오버랩된다. 다시 말해, 겹쳐지게 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펜 위치 계산부(184)는 피크홀드부(183)로부터 입력되는, 각 코일에 유도된 전압값들을 비교하여 전자펜의 상대적 위치(xO)를 결정한다. 그런 다음, 각각의 코일의 절대적 위치값을 이용하여 전자 펜의 절대적 위치값을 계산한다.
본 발명의 태블릿의 송수신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110: 코일 120: 트라이 스테이트 버퍼
130: 마이크로 프로세서 131: 여자신호 생성부
132: 구형파 발생부 133: 버퍼 제어부
134: 스위치 제어부 135: 리셋 제어부
140: 신호 출력부 150: 디코더
160: 콘덴서 170: 스위칭부
180: 수신신호 처리부 181: 수신신호 증폭부
182: 정류부 183: 피크홀드부
184: 전자펜 위치 계산부

Claims (3)

  1. 코일을 자기화하기 위한 여자 신호를 생성하는 여자 신호 생성부;
    상기 여자 신호 및 상기 코일에 유도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그라운드 신호를 트라이 스테이트 버퍼로 번갈아가며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
    상기 신호 출력부와 상기 코일의 일단을 연결하는 상기 트라이 스테이트 버퍼;
    상기 트라이 스테이트 버퍼의 출력 상태를 하이 임피던스 또는 인에이블 상태로 하기 위한 버퍼 제어부;
    상기 코일의 타단과 상기 코일에 유도된 전류를 증폭하는 수신신호 증폭부의 연결을 온/오프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태블릿의 송수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타단을 그라운드에 연결하는 콘덴서를 더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의 송수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구형파 발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신호 출력부는 상기 여자 신호 생성부로부터 입력되는 여자 신호와 상기 구형파 발생부로부터 입력되는 구형파 신호를 논리합 연산하여 출력하는 앤드 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의 송수신 장치.
KR1020100016071A 2010-02-23 2010-02-23 태블릿의 송수신장치 KR101071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071A KR101071327B1 (ko) 2010-02-23 2010-02-23 태블릿의 송수신장치
PCT/KR2011/001143 WO2011105727A2 (en) 2010-02-23 2011-02-22 Transmitter-receiver of a tabl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071A KR101071327B1 (ko) 2010-02-23 2010-02-23 태블릿의 송수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695A KR20110096695A (ko) 2011-08-31
KR101071327B1 true KR101071327B1 (ko) 2011-10-07

Family

ID=44507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6071A KR101071327B1 (ko) 2010-02-23 2010-02-23 태블릿의 송수신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71327B1 (ko)
WO (1) WO2011105727A2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9032A (en) 1982-02-08 1984-10-23 Bausch & Lomb Incorporated Digitizing cursor and coordinate grid system
US4678869A (en) 1985-10-25 1987-07-07 Scriptel Corporation Position responsiv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having electrographic application
US5600105A (en) 1993-12-28 1997-02-04 Wacom Co., Ltd. Position detecting device and position pointing device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036B1 (ko) * 2008-05-28 2010-09-28 조성환 타블렛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9032A (en) 1982-02-08 1984-10-23 Bausch & Lomb Incorporated Digitizing cursor and coordinate grid system
US4678869A (en) 1985-10-25 1987-07-07 Scriptel Corporation Position responsiv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having electrographic application
US5600105A (en) 1993-12-28 1997-02-04 Wacom Co., Ltd. Position detecting device and position pointing device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695A (ko) 2011-08-31
WO2011105727A2 (en) 2011-09-01
WO2011105727A3 (en) 201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52342B2 (ja) 無線電力送信のための装置、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CN110692177B (zh) 无线充电装置、接收机装置及其操作方法
KR102043498B1 (ko) 공진-동조 유도 충전기에서의 충전 전류 모니터링 또는 제어
US8952654B2 (en) Feed system, fee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JP4773315B2 (ja) 位置検出装置及び位置指示器
RU2011146047A (ru) Бесконтактное оборудование снабжения электроэнергией, бесконтак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риема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и бесконтактная система снабжения электроэнергией
US9570937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JP5770556B2 (ja) ワイヤレス電力伝送装置および相対位置検出方法
KR20130023618A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FI20100427A0 (fi) Menetelmä ja laite samanaikaista tasasuuntausta, säätöä ja tehokertoimen korjausta varten
US20150303704A1 (en) Charging system automatically switching between wired charging mode and wireless charging mode, and related charging control method and wireless power receiver circuit
JP2012143117A (ja) 非接触電力伝送装置
MY158462A (en) Selectable coil array
US954378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ost power detection
KR101298629B1 (ko) 무선 태블릿 장치 및 그의 전자펜 위치 인식 방법
TW201524068A (zh) 無線充電裝置及其使用方法
JP2016059115A (ja) 非接触電力伝送装置
US8981713B2 (en) Charging apparatus using pad type electrode contact point
CN104237954A (zh) 无线电能传输系统的异物检测方法和装置
CN102135832B (zh) 位置侦测装置
KR101071327B1 (ko) 태블릿의 송수신장치
US9246339B2 (en) Battery and charging system using the same
TW201333762A (zh) 具有無線充電之定位輸入系統及其裝置
US20160099605A1 (en) Systems and devices for wireless power charging
KR20140129915A (ko)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