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1222B1 -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 및 서버 - Google Patents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1222B1
KR101071222B1 KR1020090066225A KR20090066225A KR101071222B1 KR 101071222 B1 KR101071222 B1 KR 101071222B1 KR 1020090066225 A KR1020090066225 A KR 1020090066225A KR 20090066225 A KR20090066225 A KR 20090066225A KR 101071222 B1 KR101071222 B1 KR 101071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location
acquaintance
information
communication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6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8732A (ko
Inventor
최진원
여욱현
이윤길
Original Assignee
최진원
버츄얼빌더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원, 버츄얼빌더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진원
Priority to KR1020090066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1222B1/ko
Publication of KR20110008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1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1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01C21/206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indoor navi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06Q10/047Optimisation of routes or paths, e.g. travelling salesman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 및 서버가 개시된다. 상기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실내 공간에 상응하는 모델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공간 정보 모듈 및 상기 실내 공간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위치 또는 상기 지인의 위치 각각에 상응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아이콘 또는 상기 지인의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모델링 정보 상에 표시하기 위한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 및 서버{Apparatus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based on user position and server thereof}
본 발명은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 및 이를 위한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사용자들 간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서 사용자들의 위치에 기반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들간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래의 기술로는 인스턴트 메시징(instant messaging) 서비스가 있다. 이러한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는 고정된 네트워크 노드(예컨대, 사용자 컴퓨터)간에 소정의 메시지를 주고 받거나, 필요한 정보를 교환하는 서비스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러한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도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메시징 서비스는 등록된 지인들간의 정보의 교환에만 목적이 있어서 사용자들이 어떠한 위치에 있는지는 서비스 제공에서 고려요소가 아니었다.
한편,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기술의 발달로 인해 실내공간을 정밀히 모델링할 수 있는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BIM 정보들을 이용해 지능형 실내공간의 구축도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의 메시징 서비스와 같은 사용자들 간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BIM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공간에서의 사용자들의 현재 위치를 정확히 표현할 수 있고, 표현된 위치를 사용자들에게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사용자들 간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BIM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공간에서의 사용자들의 현재 위치를 정확히 표현할 수 있고, 표현된 위치를 사용자들에게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실내 공간에 상응하는 모델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공간 정보 모듈 및 상기 실내 공간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위치 또는 상기 지인의 위치 각각에 상응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아이콘 또는 상기 지인의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모델링 정보 상에 표시하기 위한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위치 또는 상기 지인의 위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아이콘 또는 상기 지인의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모델링 정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위치 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가 설치된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 또는 상기 지인의 단말기가 상기 실내 공간에 위치한 위치 판단 수단의 센싱 범위에 있는 경우, 상기 위치 판단 수단,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 또는 상기 지인의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위치 또는 상기 지인의 위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위치 판단 수단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 또는 상기 지인의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는,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UWB, 블루투스, 또는 RFID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장소를 상기 모델링 정보를 통해 입력받은 경우,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서 상기 만날 장소까지의 이동경로 또는 상기 지인의 위치에서 상기 만날 장소까지의 이동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모델링 정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지인까지의 경로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서 상기 지인까지의 이동경로를 상기 모델링 정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위치 또는 상기 지인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표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의 아이콘 또는 상기 지인의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현재 상기 사용자의 위치 또는 현재 상기 지인의 위치에 상응하도록 상기 모델링 정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경로에 상응하는 안내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상기 안내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경로에 상응하는 동영상 또는 상기 경로에 상응하는 파노라마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경로에 상응하는 이미지들 또는 파노라마 이미지들이 추출되어 상기 동영상 또는 상기 파노라마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가 생성되면, 생성된 상기 동영상 또는 상기 파노라마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실내 공간에 상응하는 모델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공간 정보 모듈 및 상기 사용자의 미리 등록된 지인들 중 상기 실내 공간에 위치한 상기 지인의 아이콘을 상기 모델링 정보 상에 표시하기 위한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서버는 사용자 및 상기 사용자의 지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DB, 상기 사용자의 위치 또는 상기 지인의 위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실내 공간에 설치된 위치판단수단,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 또는 상기 지인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 또는 상기 지인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위치 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가 설치된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 또는 상기 지인의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 하기 위한 서비스 매니저를 포함하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 또는 상기 지인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실내 공간에 상응하는 모델링 정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위치 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실내 공간이 소정의 셀 단위로 분할되고, 분할된 각각의 셀에 상응하는 복수의 방향별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이미지 DB 또는 상기 복수의 방향별 이미지들에 기초하여 생성된 각각의 셀에 상응하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포함하는 파노라마 DB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경로에 대한 안내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안내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경로에 상응하는 동영상 또는 상기 경로에 상응하는 파노라마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위치 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동영상 또는 상기 파노라마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이미지 DB 또는 상기 파노라마 DB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경로에 상응하는 방향별 이미지 또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영상 또는 상기 파노라마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기 위한 동영상 생성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 및 서버는 사용자에게 지인들의 위치를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을 나타내는 모델링 정보 상에 정확히 표현할 수 있어서, 직관적이고 가시적인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 과가 있다.
또한, 실내 공간의 모델링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의 위치에 기반한 다양하면서도 가시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장 치(100)는 제어모듈(110) 및 공간정보 모듈(120)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100)의 각각의 구성은 기능 및 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음으로 나타내는 것이며, 반드시 각각의 구성이 별도의 물리적 장치로 구분되거나 별도의 코드로 작성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상기 공간정보 모듈(120)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200)에 사용자가 위치한 실내 공간에 상응하는 모델링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모델링 정보는 서버(3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서버(300)는 특정 실내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실내 공간에 위치한 사용자들에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200)의 리소스를 제어 및 통제할 수 있으며 상기 공간정보 모듈(12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사용자의 단말기(200)에 설치되 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및 상기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200)는 상기 사용자가 이동중에 소지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사용자의 단말기(200)에는 실내 공간에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 즉,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200)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소정의 통신 장치(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장치(210)는 실내 공간에 위치하는 소정의 위치판단 수단들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며, 이에 따라 상기 통신 장치(210)와 통신을 수행하는 위치판단 수단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파악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단말기(200)를 휴대한 사용자는 소정의 실내 공간에 진입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에 소정의 UI를 통해 로그인(log-in)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200)가 상기 실내 공간에 위치한 다수의 위치판단수단들(예컨대, 1~4) 중 어느 하나와 처음 통신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자동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에 로그인 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200)에 구비된 통신 장치(210)는 상기 실내 공간에 위치한 위치 판단 수단들(1~4)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위치 판단 수단들(1~4) 중 어느 하나의 위치 판단 수단(예컨대, 1)이 자신의 센싱 영역에 사용 자의 단말기(200)가 진입하면, 상기 위치 판단 수단(1)은 진입된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200)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식별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의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서버(300)는 수신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200)를 전송한 상기 위치 판단 수단(1)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서버(300)에는 다수의 위치 판단 수단들(1~4) 각각의 위치에 대한 정보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어느 하나의 위치 판단 수단(예컨대, 1)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200)의 통신장치(210)가 통신을 수행하게 되면, 상기 제어모듈(110)이 상기 통신장치(210)를 통해 상기 위치 판단 수단(예컨대, 1)에 대한 정보(예컨대, 위치판단 수단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 판단 수단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위치 판단 수단들(1~4)과 상기 통신장치(210)는 근거리 통신 기술 예컨대, Wi-Fi(IEEE 802.11b), Zigbee(IEEE 802.15.4), UWB(Ultra Wide Band),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위치 판단 수단들(1~4)은 이러한 근거리 통신 기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서버(3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통신 및/또는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포함할 수 있 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200)의 위치는 상기 위치 판단 수단들 (1~4)중 복수의 위치 판단 수단(예컨대, 1, 2, 3)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서버(300)에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 및/또는 상기 사용자에 상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200)에 대한 정보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300)에는 사용자별 지인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실내 공간에 위치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 중에 상기 서버(300)에 등록된 지인이 상기 실내 공간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200)에는 상기 지인이 상기 실내 공간에 진입하였음을 알릴 수 있으며, 상기 지인의 위치를 소정의 방법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상기 지인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과 동일/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10)가 소정의 실내 공간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실내 공간에 상응하는 모델링 정보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20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 실내공간을 2D로 디스플레이한 경우를 일 예로 도시하였지만, 상기 서버(300)에 저장된 상기 실내공간의 모델링 정보 가 3D BIM 정보인 경우에는 3D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사용자(10)가 상기 실내공간에 진입한 경우 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에 로그인한 경우에는 현재 상기 실내 공간에 위치한 상기 사용자의 지인들에 대한 정보가 상기 모델링 정보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서버(300)는 지인(2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10)가 로그인하면 상기 사용자의 지인들 중 현재 로그인 되어있는 상기 지인(20)의 실제 위치에 상응하도록 소정의 아이콘을 상기 모델링 정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UI(30)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200)에는 현재 로그인 된 상기 사용자(10)의 지인들 리스트 및 로그인되지 않은 상기 사용자(10)의 지인들 리스트가 더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에 의하면 실내 공간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지인들의 위치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메시징 기능 및 후술하는 바와 같은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들의 일 예를 나타낸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의 단말기(200)에서 제공되는 소정의 UI(40)를 통하여 다양한 지능적인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현재 로그인 된 지인을 선택하고, 텍스트 기반으로 소정의 메시지를 입력하여 선택된 지인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 이 특정 UI(40)에서 제공되는 메뉴들(41~46)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메뉴(41)를 이용하여 특정 지인과 어디서 만날지를 물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메뉴(42)를 이용하여 사용자 또는 지인은 특정 장소를 지정하고, 지정된 장소에서 만나도록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또는 지인이 메뉴(42)를 선택하고,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모델링 정보 상에 소정의 장소(50)를 상기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100)가 입력받으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서 상기 만날 장소(50)까지의 이동경로 또는 상기 지인의 위치에서 상기 만날 장소(50)까지의 이동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모델링 정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상기 만날 장소(50)를 지정하면, 상기 만날 장소(50)에 대한 정보가 상기 서버(300)를 통해 상기 지인의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지인의 단말기 또는 상기 서버(30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만날 장소와 상기 지인의 위치에 기초하여 소정의 경로 탐색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지인의 위치에서 상기 만날 장소까지의 경로를 탐색하고, 탐색된 경로를 상기 지인의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탐색된 경로에 대한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200)에서도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방법에 의하면 실제 공간에 대응되는 모델링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및/또는 지인의 위치와 이동경로를 직관적이고 가시적으로 사용자 및/또는 지인에게 제공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유저들의 예측가능성을 높이고 서비스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메뉴(43)를 이용하여 자신이 위치한 장소를 지인에게 알릴 수도 있다. 상기 메뉴(43)는 사용자의 위치가 오류로 인해 파악이 되지 않아서 사용자의 아이콘(11)이 현재 사용자의 위치에 상응하지 않거나, 수동으로 상기 지인에게 자신의 위치를 다시 한번 확인시키고자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와 유사하게 사용자는 메뉴(46)을 이용하여 지인의 위치를 다시 한번 확인하거나, 지인의 위치가 정상적으로 표시되지 않는 경우에 지인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상기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100)에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표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지인의 아이콘 을 현재 상기 지인의 위치에 상응하도록 상기 모델링 정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메뉴(44)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지인까지의 경로를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현재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서 상기 지인까지의 이동경로를 상기 모델링 정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전술한 메뉴(41, 42, 43, 44, 46)과 함께 메뉴(45)를 통해 지인에게 만날 시간을 알리는 메시지를 간편하게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에 의하면, 사용자가 전술한 메뉴들(41~46)을 이용하여 소정의 경로 안내를 요청하거나 별도로 특정 위치에서 다른 특정 위치로 소정의 경로 안내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수신된 상기 안내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경로에 상응하는 동영상 또는 상기 경로에 상응하는 파노라마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 의 단말기(20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경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200) 또는 상기 서버(30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탐색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기(200)에 의해 경로가 탐색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200)는 상기 서버(300)로 탐색된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서버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경로에 상응하는 동영상 또는 상기 파노라마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동영상 또는 상기 파노라마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20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경로에 상응하는 상기 동영상은 상기 경로를 따라 사용자가 가상으로 이동한다고 가정하는 경우에 상기 경로에 포함되는 임의의 지점에서 경로 방향의 이미지들로 조합된 동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동영상은 상기 경로를 따라 가상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시야에 의해 보여지는 이미지들의 연속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로에 상응하는 상기 파노라마 동영상이라 함은, 상기 경로에 포함된 임의의 한 지점에서 360도 전체 방향의 영상을 포함하는 이미지들로 조합된 동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서버(300)는 상기 실내 공간을 소정의 셀로 구획하고, 각 셀에 해당하는 이미지 및 파노라마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서버(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및 상기 사용자의 지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DB(320), 사용자의 단말기(200) 또는 지인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 및/또는 정보의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서비스 매니저(3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200)로 소정의 경로에 상응하는 동영상 및/또는 파노라마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이미지 DB(330) 및/또는 파노라마 DB(2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이미지 DB(330) 및/또는 파노라마 DB(240)로부터 추출된 이미지들로 동영상 및/또는 파노라마 동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동영상 생성 모듈(35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서비스 매니저(310)는 사용자의 단말기(200) 및/또는 지인의 단말기로 본인 및/또는 상대방의 위치정보를 전송하거나, 서로 간의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및/또는 데이터 플로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매니저(310)는 위치판단수단들, 사용자의 단말기(200), 또는 지인의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또는 지인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유저 DB(320)는 사용자의 로그인에 필요한 정보(예컨대, ID, Pswd.등), 사용자 식별정보,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200)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각 사용자별 지인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DB(330)는 상기 실내 공간이 소정의 셀 단위로 분할되고, 분할된 각각의 셀에 상응하는 복수의 방향별 이미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파노라마 DB(340)는 상기 복수의 방향별 이미지들에 기초하여 생성된 각각의 셀에 상응하 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방향별 이미지 및/또는 상기 파노라마 이미지를 추출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를 위한 이미지 추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자는 실내 공간을 2D 또는 3D 중 적어도 하나로 모델링 할 수 있으며, 모델링 된 실내 공간의 경로를 나타낼 수 있도록 모델링 된 상기 실내 공간을 소정의 셀 단위로 분할할 수 있다.
그리고 분할된 각 셀별로 복수의 방향별 이미지를 상기 모델링 정보상에서 추출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각 셀별로 8방향의 이미지를 추출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구현 예에 따라 4방향, 16방향 등 다양하게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소정의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에 설치된 렌더러(예컨대, LuxRenderer®)는 상기 모델링 정보에서 각 셀을 가상의 카메라 노드로 삼아 복수의 방향(예컨대, 8방향)의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이렇게 추출된 복수의 방향별 이미지는 이미지 DB(33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파노라마 이미지는 각 셀을 카메라 노드로 삼아 특정 방향이 아닌 모든 방향(즉, 360도)의 영상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어느 한 셀에서 8개의 방향별 이미지가 추출되면, 상기 8개의 방향별 이미지를 방향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이미지로 생성하면 파노라마 이미지가 될 수 있다. 또는 LuxRender®와 같은 소정의 렌더러에서 "Environment map"(환경맵) 형태로 카메라를 돌려서 한번에 한 장의 파노라마 이미지를 만들 수도 있다.
이렇게 생성되는 파노라마 이미지는 파노라마 DB(34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처럼 저장된 방향별 이미지 또는 파노라마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동영상 생성모듈(350)은 경로에 상응하는 동영상 또는 파노라마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서버(300)에 포함된 상기 동영상 생성모듈(350)은 서비스 매니저(310)로부터 경로에 대한 정보 또는 경로에 상응하는 각 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동영상 생성모듈(350)은 경로에 포함되는 각 셀별로 방향별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추출되는 방향별 이미지는 경로 상 다음 셀의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어느 한 셀에서 다음 셀로의 방향이 동쪽인 경우에는 어느 한 셀에서 동쪽을 향하여 상기 렌더러로부터 추출된 이미지가 선택된다. 이처럼 각 셀별로 방향별 이미지가 선택되면, 선택된 이미지를 동영상으로 인코딩하여 상기 동영상 생성모듈(350)은 경로에 상응하는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파노라마 동영상 역시 경로에 상응하는 셀들을 추출하고 각 셀에 해당하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인코딩하여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노라마 이미지는 각 셀을 기준으로 전방향의 영상을 포함하므로, 파노라마 동영상이 재생될때에는 상기 동영상과 같이 경로를 따라 보여지는 영상으로 인코딩될 수 있으며, 파노라마 동영상이 재생되는 중 특정 지점에서 소정의 UI를 통해 상기 경로를 향한 영상 뿐만 아니라 다른 방향의 영상까지 확인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의 경로에 상으하는 동영상과 파노라마 동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는 경로에 상응하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플레이어를 나타내는데, 소정의 경로가 요청되면 상기 동영상 생성모듈(350)은 경로에 상응하는 동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면 사용자는 실제 공간상에서 자신이 이동하면서 볼 수 있는 영상을 가상으로 미리 볼 수 있다.
한편, 도 9b는 파노라마 동영상을 재생하는 경우를 나타내는데, 파노라마 동영상 역시 사용자가 상기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볼수 있는 영상이 가상으로 재생된다. 이때 사용자는 소정의 UI(1)를 통해 상기 파노라마 동영상의 임의의 지점 즉, 상기 경로 상에서 임의의 지점에서 경로를 향한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파노라마 동영상은 경로를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의 사용자의 시야에 들어오는 영상을 재생하다가, 임의의 지점에서 상기 UI(1)를 이용하여 회전을 하면 상기 지점에서 사용자가 주위를 둘러보는 경우에 사용자의 시야에 들어올 수 있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 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들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를 위한 이미지 추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의 경로에 상으하는 동영상과 파노라마 동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Claims (14)

  1. 사용자와 상기 사용자의 지인 간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실내 공간에 상응하는 모델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공간 정보 모듈; 및
    상기 실내 공간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위치 또는 상기 지인의 위치에 상응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아이콘 또는 상기 지인의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모델링 정보 상에 표시하기 위한 제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장소를 상기 모델링 정보를 통해 입력받은 경우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서 상기 장소까지의 이동경로 또는 상기 지인의 위치에서 상기 장소까지의 이동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모델링 정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위치 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지인의 위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아이콘 또는 상기 지인의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모델링 정보 상에 표시하는 위치 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위치 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가 설치된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 또는 상기 지인의 단말기가 상기 실내 공간에 위치한 위치 판단 수단의 센싱 범위에 있는 경우, 상기 위치 판단 수단,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 또는 상기 지인의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지인의 위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위치 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판단 수단,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 또는 상기 지인의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는,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 band), 블루투스, 또는 RFID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통신하는 위치 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
  5. 삭제
  6. 사용자와 상기 사용자의 지인 간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실내 공간에 상응하는 모델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공간 정보 모듈; 및
    상기 실내 공간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위치 또는 상기 지인의 위치에 상응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아이콘 또는 상기 지인의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모델링 정보 상에 표시하기 위한 제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지인까지의 경로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서 상기 지인까지의 이동경로를 상기 모델링 정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위치 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위치 또는 상기 지인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표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의 아이콘 또는 상기 지인의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현재 상기 사용자의 위치 또는 현재 상기 지인의 위치에 상응하도록 상기 모델링 정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위치 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
  8. 사용자와 상기 사용자의 지인 간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실내 공간에 상응하는 모델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공간 정보 모듈; 및
    상기 실내 공간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위치 또는 상기 지인의 위치에 상응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아이콘 또는 상기 지인의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모델링 정보 상에 표시하기 위한 제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경로에 상응하는 안내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상기 안내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경로에 상응하는 동영상 또는 상기 경로에 상응하는 파노라마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위치 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서버에 의해 상기 경로에 상응하는 이미지들 또는 파노라마 이미지들이 추출되어 상기 동영상 또는 상기 파노라마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가 생성되면, 생성된 동영상 또는 생성된 파노라마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위치 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
  10. 삭제
  11. 사용자 및 상기 사용자의 지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DB;
    상기 사용자의 위치 또는 상기 지인의 위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실내 공간에 설치된 위치판단수단,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 또는 상기 지인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 또는 상기 지인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위치 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가 설치된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 또는 상기 지인의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기 위한 서비스 매니저를 포함하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 또는 상기 지인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실내 공간에 상응하는 모델링 정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위치 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서버.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실내 공간이 소정의 셀 단위로 분할되고, 분할된 각각의 셀에 상응하는 복수의 방향별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이미지 DB; 또는
    상기 복수의 방향별 이미지들에 기초하여 생성된 각각의 셀에 상응하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포함하는 파노라마 DB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위치 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서버.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경로에 대한 안내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안내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경로에 상응하는 동영상 또는 상기 경로에 상응하는 파노라마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위치 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서버.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동영상 또는 상기 파노라마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이미지 DB 또는 상기 파노라마 DB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경로에 상응하는 방향별 이미지 또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영상 또는 상기 파노라마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기 위한 동영상 생성 모듈을 더 포함하는 위치 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서버.
KR1020090066225A 2009-07-21 2009-07-21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 및 서버 KR101071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225A KR101071222B1 (ko) 2009-07-21 2009-07-21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 및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225A KR101071222B1 (ko) 2009-07-21 2009-07-21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 및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732A KR20110008732A (ko) 2011-01-27
KR101071222B1 true KR101071222B1 (ko) 2011-10-10

Family

ID=43614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6225A KR101071222B1 (ko) 2009-07-21 2009-07-21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 및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122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31787A1 (en) * 2000-10-12 2002-04-18 Safetzone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 for real-time location of people in a fixed environment
JP2005055186A (ja) 2003-08-01 2005-03-03 Kajima Corp 三次元位置検知方法及び消防隊員の位置検知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31787A1 (en) * 2000-10-12 2002-04-18 Safetzone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 for real-time location of people in a fixed environment
JP2005055186A (ja) 2003-08-01 2005-03-03 Kajima Corp 三次元位置検知方法及び消防隊員の位置検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732A (ko) 201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82651B2 (ja) 無線測距に基づいた電子デバイスの制御及び情報の表示
KR102627363B1 (ko) 혼합 현실 시스템들을 위한 로컬화 결정
KR102643741B1 (ko) 중복 추적 시스템
KR102362117B1 (ko) 지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US8588809B2 (en) Managing public resources
US8884742B2 (en) Identifying locations within a building using a mobile device
US105680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mall cell based augmented reality
US9277374B2 (en) Delivering wireless information associating to a facility
KR20230129617A (ko) 위치 정보에 기초한 수집가능한 항목들의 생성
KR20140051334A (ko) 인간-기계 상호작용에서 기계 측 상의 목표 대상을 인식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4149381A1 (en) Personal information communicator
WO2018076975A1 (zh) 获取虚拟物品的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CN110536075A (zh) 视频生成方法和装置
CN107205219A (zh) 用于定位的方法和设备
KR102225175B1 (ko) 영상 통화를 이용한 길안내 방법 및 시스템
JP2012028840A (ja)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4457765A (zh) 定位方法、电子设备和服务器
KR101071222B1 (ko) 위치기반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 및 서버
JP5954067B2 (ja) 通信制御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CN107864501A (zh) 一种获取和提供无线接入点连接信息的方法和设备
KR102042603B1 (ko) 증강현실 기반의 사물함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1108542B1 (ko) 위치기반 증강현실을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9727583B2 (en) Interactive physical display
KR101811229B1 (ko) 가상 3d 정보를 이용한 도시정보 모니터링 자동화 시스템
EP2977860A1 (en) Interactive physical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