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0875B1 - 사용자 참여에 기반한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참여에 기반한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0875B1
KR101070875B1 KR1020080118363A KR20080118363A KR101070875B1 KR 101070875 B1 KR101070875 B1 KR 101070875B1 KR 1020080118363 A KR1020080118363 A KR 1020080118363A KR 20080118363 A KR20080118363 A KR 20080118363A KR 101070875 B1 KR101070875 B1 KR 101070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ategory
content
user category
gene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8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9553A (ko
Inventor
염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오피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오피아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오피아테크
Priority to KR1020080118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0875B1/ko
Publication of KR20100059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9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0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0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사용자의 참여에 기반하여 컨텐츠를 포스팅하고 검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방법은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 카테고리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자 카테고리를 관리하는 사용자 카테고리 관리 단계, 사용자 카테고리에 관련된 관련 컨텐츠를 수집하여 출력하는 관련 컨텐츠 수집 단계, 관련 컨텐츠를 이용하여 사용자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포스트를 등록하는 포스팅 단계,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검색 키워드에 상응하는 사용자 카테고리 및 관련 컨텐츠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관련 컨텐츠 제공 단계를 포함한다. 특히, 관련 컨텐츠 수집 단계는 사용자 카테고리가 생성되면 생성된 사용자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관련 컨텐츠를 전체 검색 대상으로부터 우선적으로 수집하여 제공하는 컨텐츠 우선 수집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검색 결과의 정확도가 향상된다.

Description

사용자 참여에 기반한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osting and retrieving contents based on user participation}
본 발명은 웹 상에서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엔진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검색 사용자와 정보 생산자들의 참여를 유도하여 검색결과를 점진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검색 엔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인터넷의 발달로 사용자가 급속히 늘어가면서 웹 서비스 환경이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종래의 웹 서비스가 정적으로 수동적인데 반하여, 웹 서비스는 점차 동적이고 능동적으로 변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웹 서비스 변화의 흐름을 반영하기 위하여 웹 2.0이 도입되었다.
웹 2.0이란 정보의 개방을 통해 인터넷 사용자들 간의 정보 공유와 참여를 이끌어내고, 창조된 정보의 가치를 지속적으로 증대시키기 위하여 개발된 일련의 움직임을 의미한다. 즉, 웹 2.0에서는 개방적인 웹 환경을 기반으로 네티즌들이 자유롭게 컨텐츠를 생산, 가공 및 공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터넷 환경이 개방화되면서, 블로그(blog)를 이용한 1인 미디어가 널리 이용된다. 블로그란 웹로그(weblog)라고도 하며, 관심사에 따라 자유롭게 글을 올릴 수 있는 일종의 개인 웹사이트를 나타낸다. 또한 블로그란 사이트 운영자가 취재, 편집, 발행을 총괄한다는 점에서 '1인 미디어' 혹은 '뉴스 게릴라'라고도 불린다. 이와 같이 블로그를 사용하거나 운영하는 사람을 '블로거(blogger)'라고 하며, 블로그 사이트에 접속하여 글을 쓰는 행위를 '블로깅(blogging)'이라고 한다. 블로그가 널리 이용되면서 아마추어 수준을 벗어난 소위 '알파 블로거'라고 불리는 전문적인 블로거들이 포스팅한 포스트는 많은 네티즌을 유인하는 효과가 있으며, 사이버 공간에서 전문적인 블로거들의 영향력이 점점 커져가고 있다. 예를 들어, 인기 블로거에게 해당 기업의 제품 또는 서비스를 우호적으로 분석한 글을 포스팅하도록 하면, 다른 광고 매체를 이용하는 것보다 양호한 광고 효과를 누릴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블로그의 영향력은 해당 블로그가 더 많은 네티즌들에게 노출됨에 의하여 달성된다. 그러므로, 어느 블로그가 포스팅 되면, 해당 블로그가 더 많은 검색 엔진에 현출되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해당 블로그가 더 많은 사람들에게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개방형 웹 환경을 통하여 방대한 컨텐츠가 등록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컨텐츠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블로그 등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검색하기 위한 검색 엔진의 중요성이 대두된다. 최근의 검색 엔진은 인터넷 검색 분야에서 전문 검색 분야로 특화되어 가고 있으며, 검색어 성격에 맞춰 상응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등 진화되어 가고 있다. 몇 가지 예를 들면, 블로그 검색을 전담하는 전문 사이트인 kr.searchcenter/yahoo.com, 게임에 특화된 search.paran.com/sbs/game, 및 취업 검색에 특화된 search.paran.com/sbs/job 등 이 있다.
하지만, 기존의 검색 엔진의 경우 사용자의 검색 요청에 대해 전체 인터넷을 대상으로 정보를 수집, 분류하여 결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중요한 정보 또는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중요하지 않은 정보라 하더라도 새로 갱신된 자료에 대해서는 다시 수집하고 분류해야 하기 때문에 최신 정보를 요구하는 사용자의 욕구에 맞춰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기가 어렵다.
또한, 검색 서비스를 제공자는 그들이 임의로 정한 카테고리에 대하여 웹 상의 정보를 수집하거나 컨텐츠 제공자(CP, Contents Provider)로부터 제공받는다. 따라서, 수많은 웹 상의 정보를 받아 정보를 제공할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중요도 순서에 따라 랭킹을 정해 제공해야 하는데 그 판단 기준이 각 회사마다 다르다. 또한, 사용자가 궁극적으로 원하는 정보가 무엇인지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실제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전달하기 힘들다.
뿐만 아니라,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을 경우 한정된 자원에서 소비자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더 큰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정확한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자원의 낭비를 최소화하면서도 최신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 검색 엔진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직접 생성한 사용자 카테고리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정보를 수집, 분류하여 제공함으로써 자원의 낭비를 줄이면서도 최신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한 검색 엔진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포스트를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단위 컨텐츠들을 제공하고, 단위 컨텐츠들을 이용하여 포스팅된 포스트가 수익을 낼 경우 단위 컨텐츠들 각각의 생산자들에게 수익을 분배함으로써 포스팅을 독려하기 위한 검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포스트를 작성하고 등록하도록 허용하고, 작성된 포스트를 사용자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분류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포스트 등록 및 검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사용자가 생성한 사용자 카테고리(custom category)를 이용한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한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방법은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 카테고리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자 카테고리를 관리하는 사용자 카테고리 관리 단계, 사용자 카테고리에 관련된 관련 컨텐츠를 수집하여 출력하는 관련 컨텐츠 수집 단계, 관련 컨텐츠를 이용하여 사용자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포스 트를 등록하는 포스팅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검색 키워드에 상응하는 사용자 카테고리 및 관련 컨텐츠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관련 컨텐츠 제공 단계를 포함한다. 특히, 관련 컨텐츠 수집 단계는 사용자 카테고리가 생성되면 생성된 사용자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관련 컨텐츠를 전체 검색 대상으로부터 우선적으로 수집하여 제공하는 컨텐츠 우선 수집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 카테고리 관리 단계는,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인증된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카테고리 명칭을 수신하는 단계, 입력된 사용자 카테고리 명칭과 유사한 기생성된 카테고리 명칭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기생성된 카테고리 명칭과 유사한 명칭의 사용자 카테고리의 중복 등록을 방지하는 단계, 및 신규한 카테고리 명칭이 수신되면 수신된 카테고리 명칭을 이용하여 신규한 사용자 카테고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포스팅 단계는, @사용자로 하여금, 관련 컨텐츠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를 작성하여 사용자 카테고리 내에 포스팅하도록 허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관련 컨텐츠는, 이미지, 비디오 클립, 오디오 파일,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포스팅된 웹 페이지는 등록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링크된 주소를 포함하며, 포스팅 단계는, 사용자로 하여금, 어느 사용자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관련 컨텐츠를 다른 사용자 카테고리로 이동 또는 복사하도록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한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방법은 웹 페이지가 노출된 횟수 및 웹 페이지에 포함된 단위 컨텐츠들의 기여도에 기반하여, 수익금을 웹 페이지의 작성자 및 단위 컨텐츠의 작성자에게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관련 컨텐츠 제공 단계는, 사용자에 의하여 사용자 카테고리 및 관련 컨텐츠가 클릭되는 횟수 또는 관련 컨텐츠에 부여된 점수에 기반하여 컨텐츠들의 표시 순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면은, 사용자가 생성한 사용자 카테고리를 이용한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장치는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 카테고리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자 카테고리를 관리하는 사용자 카테고리 관리부, 사용자 카테고리에 관련된 관련 컨텐츠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크롤링 스케쥴러(crawling scheduler), 사용자로 하여금 관련 컨텐츠를 이용하여 사용자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포스트를 등록하도록 허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검색 키워드에 상응하는 사용자 카테고리 및 관련 컨텐츠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검색 엔진, 및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는 중앙 처리부를 포함한다. 특히, 크롤링 스케쥴러는, 검색 엔진에 의하여 생성된 인덱스 파일을 참조하여 순차적으로 관련 컨텐츠를 수집하는 컨텐츠 수집부 및 사용자 카테고리가 생성되면 생성된 사용자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관련 컨텐츠를 전체 검색 대상으로부터 우선적으로 수집하는 컨텐츠 우선 수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컨텐츠 포스팅 및 제공 장치는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부를 더 포함하며, 사용자 카테고리 관리부는, 인증된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카테고리 명칭을 수신하며, 입력된 사용자 카테고리 명칭과 유사한 기생성된 카테고리 명칭을 사용자에게 디스 플레이하여, 기생성된 카테고리 명칭과 유사한 명칭의 사용자 카테고리의 중복 등록을 방지하고, 신규한 카테고리 명칭이 수신되면 수신된 카테고리 명칭을 이용하여 신규한 사용자 카테고리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중앙 처리부는 사용자로 하여금, 어느 사용자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관련 컨텐츠를 다른 사용자 카테고리로 이동 또는 복사하도록 허용하도록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컨텐츠 포스팅 및 제공 장치는 사용자 카테고리에 관련되는 관련 컨텐츠들을 수집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관련 컨텐츠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를 작성하여 포스팅하도록 허용하는 간편 편집기를 더 포함하며, 관련 컨텐츠는, 이미지, 비디오 클립, 오디오 파일,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중앙 처리부는 웹 페이지가 노출된 횟수 및 웹 페이지에 포함된 단위 컨텐츠들의 기여도에 기반하여, 수익금을 웹 페이지의 작성자 및 관련 컨텐츠의 작성자에게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중앙 처리부는 사용자에 의하여 사용자 카테고리 및 관련 컨텐츠가 클릭되는 횟수 또는 관련 컨텐츠에 부여된 점수에 기반하여 관련 컨텐츠들의 표시 순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사용자가 직접 최신 이슈 및 정보에 관한 카테고리를 생성하도록 유도하고, 사용자가 생성한 사용자 카테고리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정보를 수집, 분류하여 제공함으로써 최신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한 검색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이 직접 생성한 사용자 카테고리들은 계층적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카테고리의 분류를 확인하여 체계적으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생성한 사용자 카테고리 내에 포스트를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단위 컨텐츠들을 제공하고, 단위 컨텐츠들을 이용하여 포스팅된 포스트가 수익을 낼 경우 단위 컨텐츠들 각각의 생산자들에게 수익을 분배함으로써 포스팅을 독려할 수 있으며, 사용자 카테고리가 증가할수록 지속적으로 검색 품질이 향상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검색 방법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에 대해 먼저 수집하고 가공하기 때문에 종래의 검색 엔진에 비해 보다 빠르게 최신정보를 제공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다양한 사용자들의 관심 분야를 직접 사용자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포스팅하도록 허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르는 사용자 참여에 기반한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 카테고리(customer category)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자 카테고리를 관리한다(S110). 사용자 카테고리가 필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사용자가 어느 특정 키워드를 이용하여 검색을 수행할 때, 사용자의 의도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김태희'라는 키워드를 이용하여 검색을 수행하면, 사용자의 의도는 '김태희 패션 따라잡기'일 수 있고, '김태희 무한도전 출연'일 수도 있으며, 또는 '김태희 공부 방법'일 수도 있다. 하지만, 종래의 검색 방법에서는 이러한 사용자의 의도가 무시되며, '김태희'라는 키워드가 포함된 모든 웹 문서, 블록, 이미지, 멀티미디어 등이 일괄적으로 수집되고 제공된다. 그 러면, 사용자는 자신의 의도에 상응하도록 키워드를 더 한정하여 검색을 재수행하거나, 또는 방대한 검색 결과를 하나하나 클릭하여 자신이 원하던 결과인지 확인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카테고리를 이용하면, 사용자들이 직접 자신의 관심 분야를 카테고리로서 형성하고, 생성된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주제를 가진 포스트를 직접 포스팅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김태희의 패션'이라고 사용자 카테고리를 생성하면, 이하 생성된 사용자 카테고리에 직접 관련된 정보들이 이러한 사용자 카테고리와 관련되어 수집되고 갱신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사용자 카테고리의 개수가 증가될수록 다수의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할 수 있다.
사용자 카테고리가 생성되면, 생성된 사용자 카테고리에 관련된 관련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수집하여 제공한다(S130). 그러면, 사용자는 기존의 단위 컨텐츠들을 생성된 사용자 카테고리로 복사하여 포스팅하거나 단위 컨텐츠의 URL을 복사할 수 있다(S150).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사용자 카테고리에 포함된 포스트의 개수가 증가되며, 사용자 카테고리를 이용한 검색 결과가 향상된다. 사용자 카테고리 생성 및 관련 컨텐츠 수집 동작에 대해서는 도 2a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방법에 의한 사용자 카테고리 생성 동작 및 관련 컨텐츠 수집 동작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우선 사용자를 인증한다(S210). 사용자를 인증하는 동작은 사용자의 ID 및 비밀 번호를 입력받아 등록된 정보들과 비교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보안 등급에 따라서는 추가적인 정보를 요청하거나 암호키를 이용하여 사용 자를 인증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인증되면, 인증된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카테고리 명칭을 수신한다(S220). 그러면, 입력된 사용자 카테고리 명칭과 유사한 기생성된 카테고리 명칭을 검색하여 디스플레이한다(S230). 이와 같이 유사한 기생성된 카테고리 명칭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동일한 관심 분야를 가진 사용자 카테고리의 존재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자신이 생성하고자 하는 사용자 카테고리와 유사한 사용자 카테고리가 이미 존재할 경우에는 중복 등록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만일 이러한 과정이 없이 사용자가 사용자 카테고리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면, 오히려 사용자 카테고리의 남발로 인하여 검색 시간이 오래 걸리고 검색 결과가 열악해질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가 입력한 신규한 사용자 카테고리의 명칭이 기생성된 사용자 카테고리의 명칭과 일치하는지 비교한다(S240). 만약 일치하는 명칭을 가진 사용자 카테고리가 존재한다면 사용자로 하여금 새로운 사용자 카테고리의 명칭을 입력하도록 유도한다(S220). 하지만, 동일한 명칭을 가지는 사용자 카테고리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입력된 명칭을 가지는 신규한 사용자 카테고리를 등록한다(S250).
신규한 사용자 카테고리가 생성되면, 생성된 사용자 카테고리에 관련된 관련 컨텐츠가 우선 수집된다(S260). 그러면, 우선 수집된 관련 컨텐츠를 제공한다(S270). 그러면, 사용자는 제공된 관련 컨텐츠를 이용하여 자신의 관심 대상인 사용자 카테고리에 등록할 포스트를 용이하게 작성하고, 작성된 포스트를 해당 사용자 카테고리에 등록할 수 있다(S290).
본 명세서에서 관련 컨텐츠란 사용자에 의하여 생성된 사용자 카테고리의 테마와 관련된 컨텐츠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김태희 옷 따라잡기' 라는 사용자 카테고리가 생성될 경우, 김태희의 패션 사진 등이 관련 컨텐츠로서 제공될 수 있다. 제공된 관련 컨텐츠들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은 용이하게 사용자 카테고리에 웹 페이지를 포스팅할 수 있다.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수집하는 컨텐츠 우선 수집부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4를 이용하여 상세히 후술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하나의 웹 페이지에 속한 관련 컨텐츠들을 단위 컨텐츠라고 부른다. 본 발명에 의하여 사용자 카테고리가 생성되면 자동적으로 관련 컨텐츠가 우선 수집되어 단위 컨텐츠로서 제공되므로, 사용자는 제공된 단위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용이하게 포스팅할 수 있다. 또한, 포스트에 엮인글을 작성할 경우, 다른 사람의 댓글과 엮인글까지 모두 제공하여 사용자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빈번하게 할 수 있다.
신규한 사용자 카테고리를 등록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UI(User Interface)의 일 예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6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신규한 사용자 카테고리 명칭을 명칭 입력창(670)에 입력한다. 그러면, 입력된 명칭과 유사한 기등록된 사용자 카테고리의 명칭들이 명칭 목록창(680)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자신이 생성한 사용자 카테고리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자로서 태그 입력창(690)에 태그를 입력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방법은 검색 키워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검색 동작을 수행한다(S170). 종래 기술에 의한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방법과 달리, 본 발명에 의한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방법은 키워드에 상응하는 사용자 카테고리를 먼저 검색하고, 검색된 사용자 카테고리 내의 관련 컨텐츠를 검색 결과로서 제공한다. 이와 같이 키워드와 일치하는 사용자 카테고리를 먼저 검색하는 이유는, 사용자들이 자신들의 관심 분야에 따라서 직접 사용자 카테고리들을 등록하였으므로, 키워드를 이용한 검색을 수행하는 목적이 등록된 사용자 카테고리들에 포함되어 있을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방법에 의한 컨텐츠 검색 및 제공 동작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사용자가 검색하려는 키워드를 입력한다(S281). 그러면, 본 발명에 의한 검색 엔진은 수신된 키워드와 관련된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한다(S283). 이 때, 검색 결과에는 사용자 카테고리 및 컨텐츠들이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방법은 수신된 키워드와 관련된 사용자 카테고리를 우선적으로 검색하여 디스플레이한다(S285). 또한,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카테고리 각각에 관련된 포스트의 일부를 디스플레이한다(S287). 최종적으로, 표시된 사용자 카테고리와 관련된 관련 컨텐츠들을 검색 결과로서 디스플레이한다(S289). 종래 기술과는 달리 도 2b에 도시된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방법은 수신된 키워드에 관련된 검색 결과를 일괄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아니라, 검색 결과를 사용자 카테고리 별로 그루핑하여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다양한 사용자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a는 도 1의 사용자 카테고리 관리 동작에 포함되는 포스트 쓰기 동작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로그인하면(S300), 인증된 사용자로부터 키워드를 수신한다. 그러면, 수신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검색 동작을 수행한다(S305). 그러면, 키워드에 상응하는 관련 컨텐츠들을 UI에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가 표시된 메뉴 중에서 '포스트 쓰기' 동작을 선택하면(S310), 본 발명에 의한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방법은 포스트 쓰기 창을 디스플레이한다(S315). 이 과정에서 간편 편집기가 이용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수집된 컨텐츠 중 일부를 이용하여 포스트를 작성하고, 이미지 및 동영상을 필요할 경우 첨부하여 등록할 수 있다(S320). 사용자에 의하여 새로운 포스트가 등록되면, 등록된 포스트를 인덱싱한다(S325). 인덱싱이란 추후 검색의 편의를 위하여 일련의 신규 컨텐츠를 인덱스 파일에 추가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인덱싱 동작을 통하여 추후 검색 동작의 속도가 향상된다. 신규 포스트의 인덱스가 종료되면, 해당 포스트가 디스플레이된다(S330).
도 3b는 도 1의 사용자 카테고리 관리 동작에 포함되는 포스트 등록 동작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로그인하면(S350), 인증된 사용자로부터 키워드를 수신한다. 그러면, 수신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관련 컨텐츠를 수집하고(S355) 수집된 관련 컨텐츠들을 UI에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가 표시된 메뉴 중에서 '포스트 등록' 동작을 선택하면(S360), 본 발명에 의한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방법은 포스트 등록 창을 디스플레이한다(S365). 그러면, 사용자는 등록하고 싶은 컨텐츠의 주소를 복사하 여 디스플레이된 포스트 등록 창에 등록한다(S370). 이 과정에서 간편 편집기가 이용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된다. 사용자가 모든 컨텐츠를 포스트 등록 창에 등록하면, 본 발명에 의한 검색 엔진은 등록된 포스트를 웹으로부터 수집한다(S375). 수집된 컨텐츠의 인덱스 동작은 도 3a를 이용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수행된다(S380). 그러면, 메인 화면에 새로운 포스트가 디스플레이된다(S385).
검색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순서를 나타내는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방식은 가장 최근에 검색된 컨텐츠에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방식, 가장 최근에 등록 또는 갱신된 컨텐츠에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관련 컨텐츠를 검색하는 방식 및 검색된 컨텐츠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기법에는 종래의 모든 기법들이 이용될 수 있으나, 가장 자주 검색되는 컨텐츠에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검색 결과의 상위에 위치시킬수록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 결과를 얻을 확률이 증가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방법은 사용자 카테고리에 대한 검색을 우선적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들이 생성된 사용자 카테고리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포스트를 직접 생성하고 등록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생성된 카테고리에 대하여 가장 적합한 정보가 축적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방법은 포스트가 외부에 노출됨으로 인한 수익을 포스트의 작성자에게 환원(S190)하기 때문에, 블로거의 입장에서는 컨텐츠 생성의 동기를 부여받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동기에 고무된 사용자들이 더욱 많은 컨텐츠를 생산하고, 생산한 컨텐츠를 다양한 사용자 카테고리에 포스팅함으로써 사용자 카테고리의 전문성이 향상되어 더 많은 방문자를 유인하게 된다. 방문자 또는 이용자가 증가하면 해당 포스트로 인한 수익이 증가되므로, 포스트를 작성한 자에게 돌아가는 이익도 증가된다. 이와 같은 상승 작용을 이용하여 사용자 카테고리 및 관련 컨텐츠는 더욱 풍요로워지고, 이를 이용한 검색 결과의 품질도 한층 향상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르는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방법에 적용되는 크롤링 스케쥴러의 동작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크롤링 또는 웹 크롤링(web crawling)이란 자동화된 방식으로 WWW(World Wide Web)을 브라우징하는 프로그램 또는 스크립트를 의미한다. 많은 사이트들은 그들의 검색 엔진에서 최신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크롤링 기법을 이용한다. 이를 위하여 웹 스크롤러(web scrawler) 또는 크롤링 스케쥴러가 이용되는데, 이것은 주로 검색 엔진에 의하여 처리된 방문 페이지에 대한 복제본을 생성하는데 주로 이용된다. 크롤링 스케쥴러는 링크 또는 HTML 코드와 같은 웹사이트의 유효성 및 지속성(maintenance)을 점검하는 데에도 이용된다. 크롤링 정책(crawling policy)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처리를 포함한다.
1) 어떤 페이지를 다운로드할 것인지에 대한 선택 정책
2) 이전 페이지가 갱신되었는지 언제 점검해야할 지에 대한 재방문 정책
3) 처리량이 폭주하는 웹사이트를 어떻게 하면 피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점검 정책(politemess policy)
4) 분산된 웹 크롤러들을 어떻게 조율할 것인지에 대한 병렬화 정책(parallelization policy)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검색 방법에 적용되는 크롤링 스케쥴러는 종래 기술과 동일한 크롤링 정책을 이용하지만, 신규한 사용자 카테고리가 등록되면, 현재 크롤링 순서와 무관하게, 생성된 사용자 카테고리와 상응하는 이용하여 우선적으로 크롤링 동작을 더 수행한다는 점이 상이하다. 일반적으로 검색 엔진은 웹 상의 모든 컨텐츠들에 대하여 크롤링 작업을 수행하고, 수집된 결과를 이용하여 인덱스 파일을 작성한다. 그런데, 웹 상의 컨텐츠는 수시로 추가 또는 변경된다. 만일 방금 크롤링 동작이 수행된 직후에 어느 컨텐츠가 변경되었더라도, 검색 엔진의 후속 크롤링 동작이 다시 변경된 컨텐츠에 대하여 수행되기 이전까지는 해당 컨텐츠가 변경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없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검색 엔진과 함께, 컨텐츠 우선 수집부(도 5의 546 참조)를 더 포함한다. 즉, 컨텐츠 우선 수집부(546)는 사용자 카테고리가 생성되자마자, 생성된 사용자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관련 컨텐츠를 신속히 검색하여 수집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르는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방법에 적용되는 크롤링 스케쥴러의 동작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웹 상에는 네 개의 사용자 카테고리(CC1 내지 CC4)가 존재하며, 제1 사용자 카테고리(CC1)에는 제1 컨텐츠 군(a1 내지 a9)이 포함되고, 제2 사용자 카테고리(CC2)에는 제2 컨텐츠 군(b1 내지 b10)이 포함되며, 제3 사용자 카테고리(CC3)에는 제3 컨텐츠 군(c1 내지 a10)이 포함되고, 제4 사용자 카테고리(CC4)에는 제4 컨텐츠 군(d1 내지 d10)이 포함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가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님에 주의한다.
종래의 검색 엔진은 모집단에 속한 모든 컨텐츠들(a1-a9, b1-b10, c1-c10, d1-d10)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모두 크롤링 동작을 수행한다. 그런데, 만일 제2 사용자 카테고리(CC2)의 제9 관련 컨텐츠(b9)이 크롤링 된 이후에 변경되었다고 가정한다. 크롤링 동작이 제3 및 제4 사용자 카테고리(CC3, CC4)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수행된 이후에 다시 제1 사용자 카테고리(CC1)에 대하여 수행된다. 그 이후, 제2 사용자 카테고리에 대한 크롤링이 개시되어 제9 컨텐츠(b9)에 도달해서야 해당 컨텐츠가 변경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크롤링 해야할 대상이 많을수록 종래의 검색 엔진의 크롤링 속도는 지연되며, 신규한 컨텐츠의 변경 및 추가 동작이 크롤링 결과에 반영되는 시간 지연이 커진다.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컨텐츠 우선 수집부는, 검색 엔진이 현재 크롤링 하는 지점이 어디인지와 무관하게 신규한 사용자 카테고리가 등록되자마자 처음부터 크롤링 동작을 수행한다. 즉, 제1 사용자 카테고리(CC1)의 제1 컨텐츠(a1)부터 크롤링 동작이 개시된다. 그러므로, 종래의 검색 엔진에 비하여 컨텐츠(예를 들어 b9)가 변경되었을 경우 신속하게 반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생성되는 사용자 카테고리는 그 자체로서 계층화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이어트'에 관심이 있는 사용자가 검색했을 경우 기존에 인지하지 못했던 여러 가지 '다이어트'들이 사용자 카테고리로서 등록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면, 저절로 '다이어트'에 속하는 여러 가지 다이어트 방법에 대해서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정보통신'이라는 키워드로 검색을 할 경우, '디지털통신', '무선통신', '초고주파' 및 '소켓 프로그래밍'과 같은 사용자 카테고리들이 제공된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정보 통신이라는 사용자 카테고리 밑에 저절로 디지털 통신이라는 사용자 카테고리가 존재한다는 계층적 개념을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생성하는 사용자 카테고리는 그 자체로서 훌륭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르는 사용자 참여에 기반한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사용자가 생성한 사용자 카테고리를 이용한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장치(500)는 사용자 인증부(510), 사용자 카테고리 관리부(520), 크롤링 스케쥴러(540), 중앙 처리부(550), 검색 엔진(530), 간편 편집기(560), 사용자 인터페이스(580) 및 디스플레이(590)를 포함한다.
우선, 사용자 인증부(510)는 사용자가 입력한 ID 및 비밀 번호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한다. 사용자가 인증되면 사용자는 사용자 카테고리 관리부(520)를 이용하여 사용자 카테고리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자 카테고리를 관리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이 생성한 사용자 카테고리에 포스트를 작성하여 포스팅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간편 편집기(560)는 사용자가 포스트를 작성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단위 컨텐츠를 제공한다. 제공된 단위 컨텐츠는 사용자 인터페이 스(580)를 거쳐 디스플레이(590)에 디스플레이된다.
크롤링 스케쥴러(540)는 컨텐츠 수집부(542), 컨텐츠 갱신부(544), 및 컨텐츠 우선 수집부(546)를 포함한다. 검색 엔진(530)은 웹 페이지 전체를 검색하여 컨텐츠를 크롤링하고, 수집된 컨텐츠를 이용하여 인덱스 파일을 생성한다. 이후의 검색 동작은 검색 엔진(530)이 작성한 인덱스 파일을 참조하여 수행된다. 검색 엔진(53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종래 기술에 의한 검색 엔진과 동일하므로 중복적인 설명이 생략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 의한 크롤링 스케쥴러(540)는 컨텐츠 우선 수집부(546)를 포함한다. 컨텐츠 수집부(542)는 검색 엔진(530)과 같이 컨텐츠를 크롤링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컨텐츠가 갱신되었으면, 컨텐츠 갱신부(544)가 갱신된 컨텐츠를 크롤링하여 반영한다. 컨텐츠 우선 수집부(546)는 사용자 카테고리가 등록될 때 활성화된다. 즉, 사용자 카테고리가 등록되면, 컨텐츠 우선 수집부(546)는 등록된 사용자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컨텐츠를 즉시 크롤링 동작을 개시한다.
사용자 카테고리 관리부(520)가 인증된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카테고리 명칭을 수신하면 입력된 사용자 카테고리 명칭과 유사한 기생성된 카테고리 명칭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유사한 사용자 카테고리의 중복 등록을 방지할 수 있음은 전술된 바와 같다.
또한, 중앙 처리부(550)는 사용자로 하여금, 관련 컨텐츠의 주소를 관련된 사용자 카테고리에 등록하도록 허용한다.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생성된 사용자 카테고리와 관련된 관련 컨텐츠를 용이하게 사용자 카테고리로 복사하거나 이동시 킬 수 있다.
또한, 중앙 처리부(550)는 웹 페이지가 노출된 횟수 및 웹 페이지에 포함된 단위 컨텐츠들의 기여도에 기반하여, 수익금을 웹 페이지의 작성자 및 단위 컨텐츠의 작성자에게 분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중앙 처리부(550)는 검색된 컨텐츠를, 사용자 카테고리 및 관련 컨텐츠의 순서대로 표시하되, 사용자에 의하여 사용자 카테고리 및 관련 컨텐츠가 클릭되는 횟수 또는 컨텐츠에 부여된 점수에 기반하여 컨텐츠들의 표시 순서를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수익 공유 방법은 '컨텐츠 생산' 및 '컨텐츠 등록'을 독려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해당 카테고리가 노출되는 검색 페이지에 광고를 삽입하여 '컨텐츠를 생산'하는 사용자와 수익을 공유할 수도 있다. 또는, 컨텐츠를 생성한 정보에 대해 랭킹을 적용하여 순위를 정하고 그 순위 별로 광고를 통해 얻는 수입금을 일정한 기여도에 따라서 분배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단위 컨텐츠 각각에 저작권을 부여하여 수익을 공유할 수도 있다. 즉, 최초 생산자에 대해 각 컨텐츠(글, 사진, 동영상)별로 CCL(Creative Commons License)을 적용하여 저작권을 부여한 후, 다른 사람이 저작권이 있는 자료를 가져와 사용하여 수익을 얻었을 경우 각 컨텐츠 별 저작권자들에게 분배할 수도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의한 컨텐츠 포스팅 검색 장치의 동작을 예시하기 위한 웹 페이지들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의한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장치의 메인 페이지를 예시하는데, 메인 페이지는 사용자 카테고리 생성 버튼(610), 키워드 입력창(620), 인 기 사용자 카테고리 표시창(630), 신규 사용자 카테고리 표시창(640), 신규 포스트 표시창(650), 및 크롤링 스케쥴러 진도창(660)을 포함한다. 신규 사용자 카테고리 표시창(640)에는 최근에 생성된 사용자 카테고리들이 순차적으로 표시되며, 가장 최근에 생성된 사용자 카테고리는 '기아 타이거즈(642)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c는 도 6a에 도시된 메인 페이지에 표시된 사용자 카테고리 중 하나를 클릭했을 때 표시되는 웹 페이지를 예시한 도면이다. 우선 사용자 카테고리 식별자(710) 'cc'가 사용자 카테고리 명칭 옆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포스트 쓰기 버튼(720) 및 포스트 등록 버튼(730)을 이용하여 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관련 컨텐츠 표시창(740)에는 해당 사용자 카테고리에 속한 관련 컨텐츠들을 소정의 우선 순위에 따라서 표시한다. 소정의 우선 순위는 노출 순위, 인기 순위, 평가가 좋은 순위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음은 전술된 바와 같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도 6c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어느 사용자 카테고리에 관련된 관련 컨텐츠가 모두 표시된 다음에는 입력된 키워드에 상응하지만 사용자 카테고리와는 관련없는 컨텐츠들도 역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웹 상에서 컨텐츠를 생성 및 검색하기 위한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포스트의 노출 횟수에 기반한 수익 분배를 통하여 검색 사용자와 정보 생산자들의 참여를 유도하여 검색결과를 점진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검색 엔진 시스템 및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르는 사용자 참여에 기반한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방법에 의한 사용자 카테고리 생성 동작 및 관련 컨텐츠 수집 동작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방법에 의한 컨텐츠 검색 및 제공 동작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a는 도 1의 사용자 카테고리 관리 동작에 포함되는 포스트 쓰기 동작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b는 도 1의 사용자 카테고리 관리 동작에 포함되는 포스트 등록 동작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르는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방법에 적용되는 크롤링 스케쥴러의 동작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르는 사용자 참여에 기반한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의한 컨텐츠 포스팅 검색 장치의 동작을 예시하기 위한 웹 페이지들이다.

Claims (12)

  1. 사용자가 생성한 사용자 카테고리(custom category)를 이용한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카테고리 관리부가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 카테고리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자 카테고리를 관리하는 사용자 카테고리 관리 단계;
    크롤링 스케쥴러가 상기 사용자 카테고리에 관련된 관련 컨텐츠를 수집하여 출력하되, 상기 관련 컨텐츠는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포스트를 등록하는데 이용되는 관련 컨텐츠 수집 단계; 및
    검색 엔진이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검색 키워드에 상응하는 상기 사용자 카테고리 및 관련 컨텐츠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관련 컨텐츠 제공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관련 컨텐츠 제공 단계는,
    컨텐츠 우선 수집부가 상기 사용자 카테고리가 생성되면 생성된 사용자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상기 관련 컨텐츠를 전체 검색 대상으로부터 우선적으로 수집하여 제공하는 컨텐츠 우선 수집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참여에 기반한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카테고리 관리 단계는,
    사용자 인증부에 의하여 인증된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카테고리 명칭을 상기 사용자 카테고리 관리부가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카테고리 관리부가 입력된 사용자 카테고리 명칭과 유사한 기생성된 카테고리 명칭을 상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기생성된 카테고리 명칭과 유사한 명칭의 사용자 카테고리의 중복 등록을 방지하는 단계; 및
    신규한 카테고리 명칭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카테고리 관리부가 수신된 카테고리 명칭을 이용하여 신규한 사용자 카테고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참여에 기반한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컨텐츠 제공 단계는,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카테고리 및 상기 관련 컨텐츠가 클릭되는 횟수 또는 상기 관련 컨텐츠에 부여된 점수에 기반하여 상기 컨텐츠 우선 수집부가 상기 관련 컨텐츠들의 표시 순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참여에 기반한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방법.
  7. 사용자가 생성한 사용자 카테고리를 이용한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 카테고리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자 카테고리를 관리하는 사용자 카테고리 관리부;
    상기 사용자 카테고리에 관련된 관련 컨텐츠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크롤링 스케쥴러(crawling scheduler);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관련 컨텐츠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포스트를 등록하도록 허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검색 키워드에 상응하는 상기 사용자 카테고리 및 관련 컨텐츠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검색 엔진; 및
    상기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는 중앙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크롤링 스케쥴러는,
    상기 검색 엔진에 의하여 생성된 인덱스 파일을 참조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관련 컨텐츠를 수집하는 컨텐츠 수집부 및
    상기 사용자 카테고리가 생성되면 생성된 사용자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상기 관련 컨텐츠를 전체 검색 대상으로부터 우선적으로 수집하는 컨텐츠 우선 수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참여에 기반한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카테고리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인증된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카테고리 명칭을 수신하며,
    입력된 사용자 카테고리 명칭과 유사한 기생성된 카테고리 명칭을 상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기생성된 카테고리 명칭과 유사한 명칭의 사용자 카테고리 의 중복 등록을 방지하고,
    신규한 카테고리 명칭이 수신되면 수신된 카테고리 명칭을 이용하여 신규한 사용자 카테고리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참여에 기반한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부는,
    사용자로 하여금, 어느 사용자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관련 컨텐츠를 다른 사용자 카테고리로 이동 또는 복사하도록 허용하도록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참여에 기반한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카테고리에 관련되는 상기 관련 컨텐츠들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관련 컨텐츠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를 작성하여 포스팅하도록 허용하는 간편 편집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련 컨텐츠는,
    이미지, 비디오 클립, 오디오 파일,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참여에 기반한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웹 페이지가 노출된 횟수 및 상기 웹 페이지에 포함된 상기 관련 컨텐츠들의 기여도에 기반하여, 수익금을 상기 웹 페이지의 작성자 및 상기 관련 컨텐 츠의 작성자에게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참여에 기반한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부는,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카테고리 및 상기 관련 컨텐츠가 클릭되는 횟수 또는 상기 관련 컨텐츠에 부여된 점수에 기반하여 상기 관련 컨텐츠들의 표시 순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참여에 기반한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장치.
KR1020080118363A 2008-11-26 2008-11-26 사용자 참여에 기반한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방법 및 장치 KR101070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363A KR101070875B1 (ko) 2008-11-26 2008-11-26 사용자 참여에 기반한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363A KR101070875B1 (ko) 2008-11-26 2008-11-26 사용자 참여에 기반한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9553A KR20100059553A (ko) 2010-06-04
KR101070875B1 true KR101070875B1 (ko) 2011-10-10

Family

ID=42360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8363A KR101070875B1 (ko) 2008-11-26 2008-11-26 사용자 참여에 기반한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08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685B1 (ko) * 2010-08-09 2012-05-02 (주)휴빌론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방송참여에 따른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제공 방법
KR20130033721A (ko) 2011-09-27 2013-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클립장치 및 방법
KR102171784B1 (ko) * 2018-09-10 2020-10-29 곽민욱 동영상 조언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154785B1 (ko) * 2018-11-16 2020-09-10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클립장치 및 방법
KR102272897B1 (ko) * 2019-08-21 2021-07-05 임채경 로또당첨 예상번호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631B1 (ko) * 2004-03-02 2006-09-19 심진원 정보 검색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631B1 (ko) * 2004-03-02 2006-09-19 심진원 정보 검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9553A (ko) 201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han et al. A distinctive approach to obtain higher page rank through search engine optimization
TWI416355B (zh) 用於擷取上下文相關資料之url查詢系統、方法及電腦可讀取媒體
Aljofey et al. An effective detection approach for phishing websites using URL and HTML features
US200700672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dvertising
US20080059454A1 (en) Search document generation and use to provide recommendations
US20060026147A1 (en) Adaptive search engine
US8122049B2 (en) Advertising service based on content and user log mining
US200702448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sponding to a search request
US20080288588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using image based tagging
US20080086496A1 (en) Communal Tagging
US20100011282A1 (en) Annotation system and method
Chau et al. Building a scientific knowledge web portal: The NanoPort experience
WO2007084616A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xt-based knowledge search, tagging, collaboration, management and advertisement
US862094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keyword analyzer
KR101070875B1 (ko) 사용자 참여에 기반한 컨텐츠 포스팅 및 검색 방법 및 장치
JP2010044462A (ja) コンテンツ評価サーバ、コンテンツ評価方法及びコンテンツ評価プログラム
Kim et al. Explicit in situ user feedback for web search results
Gingstad et al. ArXivDigest: a living lab for personalized scientific literature recommendation
Li et al. Getting work done on the web: supporting transactional queries
Sohail Search Engine Optimization Methods & Search Engine Indexing for CMS Applications
Lewandowski Understanding search engines
JPH10254886A (ja) 検索システムにおける検索結果コンテンツへの付加的情報の付加及び検索システム
Yamamoto et al. OReFiL: an online resource finder for life sciences
KR101003084B1 (ko) 블로그 생성 및 블로그 정보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Meyer et al. How photobloggers are framing a new computerization mov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