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0726B1 - 다중레벨 컨버터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전력변환장치 - Google Patents

다중레벨 컨버터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전력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0726B1
KR101070726B1 KR1020090063886A KR20090063886A KR101070726B1 KR 101070726 B1 KR101070726 B1 KR 101070726B1 KR 1020090063886 A KR1020090063886 A KR 1020090063886A KR 20090063886 A KR20090063886 A KR 20090063886A KR 101070726 B1 KR101070726 B1 KR 101070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ter
fuel cell
voltage
high frequency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3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6310A (ko
Inventor
정병환
이영진
한동화
최중묵
최규하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63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0726B1/ko
Publication of KR20110006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0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0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858Electric variables
    • H01M8/04925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push-pull configuration
    • H02M3/337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push-pull configuration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 H02M3/337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push-pull configuration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in a push-pull configuration of the parallel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06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out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out control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10Fuel cell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c-Dc Converters (AREA)
  • Fuel Cell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레벨 컨버터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전력변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개의 DC/DC 컨버터로 이루어지며, 연료전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인가받으며, 출력되는 연료전지의 전압 변동에 관계 없이 일정하게 전압을 출력하는 다중레벨 컨버터부; 상기 다중레벨 컨버터부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하여 계통에 공급하는 DC/AC 인버터부; 및 연료전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다중레벨 컨버터부로 전달하며, 다중 연결된 상기 DC/DC 컨버터 각각을 동작 또는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중레벨, 소용량 가정용 연료전지, 고효율 전력변환기

Description

다중레벨 컨버터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전력변환장치{FUEL CELL POWER CONDITIONING SYSTEM USING MULTI-ILEVEL CONVERTER}
본 발명은 고효율 DC/DC 컨버터를 이용함으로써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고주파 절연방식의 소용량 연료전지용 전력변환장치(Power Conditioning System: PCS) 전력변환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전지용 높은 승압비를 갖는 DC/DC 컨버터를 구성함에 있어, 소프트 스위칭을 갖는 절연형 DC/DC 컨버터를 구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다중레벨 컨버터로 구성함으로써 새로운 방식의 고효율 연료전지용 전력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低 탄소화 및 녹색산업화에 기반을 두고 경제성장력을 배가시키는 새로운 성장 개념인 녹색성장이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低 탄소화는 경제활동에서 발생하는 CO2 배출량을 감축시켜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것이고, 녹색산업화는 녹색기술, 환경친화적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신시장을 창출함으로써 경제성장력의 원동력으로 삼는 것을 의미한다. 녹색성장의 급부상배경으로는 미국과 개발도상국 등에도 CO2 감축을 강제하는 기후변화 관련 규제논의의 본격화, 에너지원 고갈에 대한 우려 와 국제에너지 가격급등 등을 들 수 있다. 현재 세계 주요국들은 초기 단계인 녹색시장에서 선도자의 이익을 확보하는데 국력을 집중하고 있으며 에너지 강국으로 불리는 일본과 유럽에서는 "低 탄소사회"를 비전으로 제시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에너지효율 및 신재생에너지 관련 핵심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이러한 나라들의 에너지정책을 살펴보면 에너지효율의 중요성을 크게 강화하고 있다. 여기서 에너지 효율을 높인다는 것은 에너지 생산, 전달, 소비 전과정에 걸쳐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을 의미하며 풍력이나 태양광과 같은 신재생에너지가 환경오염을 축소할 수 있다는 취지에서 미래에너지로 각광받을 뿐만 아니라 탄소방출량과 대기오염을 줄이는 가장 쉬운 길은 에너지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IEA(International Energy Agency : 국제에너지기구) 역시 '2050년 에너지기술전망 보고서'에서 에너지 문제는 새로운 에너지기술의 개발 및 보급과 고효율 에너지기술의 확산을 통해서만 해결이 가능하다고 언급한 가운데 고 효율의 신재생에너지 자원인 수소연료전지가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수소연료전지는 연소과정 없이 수소와 산소의 반응에 의해 전기화학적으로 전기를 발생시켜 공해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적이고 태양광 및 풍력 등 타 대체에너지에 비해 발전효율이 높은 특징을 지니고 있어 휴대용, 주택용, 자동차용 및 발전용 등의 그 응용분야가 매우 다양하여 低 탄소사회의 高 효율 에너지원으로 보급과 관련한 인프라의 구축이 필요한 실정이다.
연료전지는 셀의 개수를 늘리면 출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연료전지 형태 에 따라 수W ∼ 수십MW의 전력이 생산 가능하여 휴대용, 거치용, 수송용으로 다양한 응용을 할 수 있다. 이 가운데 가정 발전 거치용인 소용량 연료전지스택의 정격전압은 20 ∼ 50VDC 정도로 낮기 때문에 계통 연계형으로 만들어 주기 위해서는 연료전지에서 발생되는 출력전압을 상승(Boost)시킴과 동시에 상승시킨 전압을 교류로 변환하여야 한다. 또한 연료전지스택의 출력전압은 부하의 변동에 따라 변동폭이 크므로 이 전압을 일정하게 조정(Regulation)해야 하며, 연료전지와 부하사이에는 안전과 노이즈의 차단 등을 위하여 절연(Isolation)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연료전지는 저전압ㅇ고전류의 특성과 부하에 따라 전압이 크게 변동하는 특성을 가지므로 기존의 DC/DC 컨버터나 범용 인버터 기술로는 앞서 언급한 고효율을 위한 에너지 생산, 전달, 소비과정 중 필요한 전력으로 전달하는 과정에 발생하는 손실이 많아 요구되는 효율을 만족시킬 수 없어 고효율 가정용 연료전지 시스템의 상용화를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전력변환장치의 손실저감이 중요한 이슈로 등장하게 되었다.
계통연계형 연료전지 고효율 전력변환장치를 위해 낮은 전압의 가변 직류전원으로부터 높은 직류전압을 출력할 수 있는 DC/DC 컨버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산업계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PWM DC/DC 컨버터는 스위칭 과도손실로 인하여 스위칭 주파수 증대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스위칭 손실을 저감하여 효율 및 성능 개선에 대한 다양한 토폴로지가 제안되고 있는데 낮은 전압과 전류 스트레스를 갖는 장점으로 인하여 절연형 소프트 스위칭 PWM DC/DC 컨버터에서 인덕터 사용 없이 트랜스포머의 누설 인덕턴스를 사용한 소프트 스위칭기법으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러한 소프트 스위칭방식은 PWM으로 인하여 그 제어범위가 협소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연료전지용 전력변환장치의 종류는 크게 도 1a 와 같은 저주파(60Hz) 변압기를 사용하는 방식과 도 1b 와 같이 고주파 변압기를 사용하는 고주파 링크 방식으로 구분되는데, 과거에 계통연계형 인버터에 주로 쓰이는 변압방식은 저주파 절연변압기를 사용하는 저주파절연방식이 많이 사용되었으나 저주파 변압기 때문에 전체 시스템의 크기와 무게가 커지는 단점이 있어 최근에는 고주파 링크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고주파 절연방식은 변압기의 크기가 전력변환장치의 크기나 무게에 영향이 적어 많이 사용되며, 고주파 변압기를 사용하여 계통 라인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장점과 연료전지의 특성상 안전과 노이즈의 차단 등을 위하여 절연(Isolation)이 필요하기 때문에 도 1b 와 같은 토폴로지에서 컨버터부만 2가지 형태인 Push-Pull 또는 Full-Bridge 형으로 주로 사용한다.
그러나, 계통연계를 시키기 위해 이러한 토폴로지는 연료전지부터 출력되는 낮은 직류 전압원으로부터 높은 직류전압을 출력할 수 있는 DC/DC 컨버터가 필요하다. 이때 Hard 스위칭시 과도한 전력용 반도체소자의 스트레스로 인한 발열로 인하여 발생되는 스위칭 손실로 인하여 효율을 상승시키기에 한계가 있으며 이러한 기존 전력변환장치는 연료전지 가변 출력에 따라, 도 2 의 (a) 또는 도 3 의 (a) 와 같이 효율이 달라진다.
도 2 의 (a) 는 풀브릿지 타입(Full-Bridge Type) 전력변환장치(컨버터+인터 버)의 전체 출력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3 의 (a) 는 푸시풀 타입(Push-Pull Type) 전력변환장치(컨버터+인버터)의 전체 출력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들은 가정용 연료전지의 정격인 1.1[kW] 구간에서는 각각 88.9%, 87.84%의 효율을 나타내고 있는데 정격인 영역 구간이 아닌 곳에서는 효율이 더욱더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연료전지 전력변환장치(PCS) 가운데 DC/DC 컨버터에서 높은 변환 효율을 얻기 어렵기 때문이며 특히 정격 영역이 아닌 가변되는 출력영역에서는 효율이 더 떨어지기 때문이고 연료전지를 장기간 사용하여 수명을 고려하였을 경우 연료전지의 출력전압이 어느 정도 낮은 레벨 혹은 높은 레벨로 변동되어질 수 있으며, 전력변환효율도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연료전지용 높은 승압비를 갖는 DC/DC 컨버터를 구성함에 있어 소프트 스위칭을 갖는 절연형 DC/DC 컨버터로 구성하고, 이를 이용한 다중레벨 컨버터를 구성하여 새로운 방식의 고효율 연료전지용 전력변환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중레벨 고효율 고주파 절연 DC/DC 컨버터를 제안하여 연료전지 전력변환장치에 적용시킴으로써, 연료전지 출력전력 변동 및 출력전압 변동이 일어날 경우에도 전력변환 효율을 상승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DC/DC 컨버터로 이루어지며, 연료전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인가받으며, 출력되는 연료전지의 전압 변동에 관계 없이 일정하게 전압을 출력하는 다중레벨 컨버터부; 상기 다중레벨 컨버터부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하여 계통에 공급하는 DC/AC 인버터부; 및 연료전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다중레벨 컨버터부로 전달하며, 다중 연결된 상기 DC/DC 컨버터 각각을 동작 또는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인덕터를 사용하지 않고 절연용 고주파 변압기의 누설 인덕턴스 성분을 사용하여 소프트 스위칭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부피 및 무게가 작아 전체적으로 전력변환장치의 소형화를 이룰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분산전원 특히 연료전지에서 발생되는 전력 및 연료전지의 수명에 따른 출력변동에 대한 변화를 가정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으로 변환시킬 때 발생하는 손실을 줄여 분산전원의 사용을 경제적으로 유익하게 할 수 있으며, 저가격 고효율화를 바탕으로 한 전력변환 기술을 극대화시켜 가정용 연료전지 시스템의 상용화를 촉진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레벨 컨버터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전력변환장치에 관하여 도 4 내지 도 6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레벨 컨버터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전력변환장치에 관한 전체 구성도로서, 전체적으로 Push-Pull Type 고주파 절연용 소프트 스위칭이 가능한 ZVZCS(Zero Voltage and Zero current Switching)-DC/DC 컨버터 및 계통 연계형 단상 인버터(DC/AC 인버터)가 합쳐진 형태이다.
세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중레벨 컨버터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전력변환 장치는, 다중레벨 컨버터부(100), DC/AC 인버터부(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중레벨 컨버터부(100)는 4개의 DC/DC 컨버터(A,B,C,D)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연료전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인가받으며, 출력되는 연료전지의 전압 변동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전압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DC/DC 컨버터(A,B,C,D)는 푸시풀 컨버터(110), 고주파 변압기(120), 더블러 정류기(130) 및 DC 링크 필터(140)를 포함한다.
이때, 4개의 DC/DC 컨버터(A,B,C,D)에서 푸시풀 컨버터(110), 고주파 변압기(120) 및 더블러 정류기(130)는 상기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렬로 각각 4개가 연결되어 구성되며, DC 링크 필터(140)는 하나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푸시풀(Push-Pull) 컨버터(110)는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독립적으로 턴온 및 턴오프되는 제 1 스위칭 소자(S1) 및 제 2 스위칭 소자(S2)를 포함한다.
고주파 변압기(High Frequency Transformer)(120)는 1차 권선(Np)과 2차 권선(Ns)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누설 인덕턴스(L)를 포함한다. 또한, 푸시풀 컨버터(110)에서 출력되는 교류전압을 변화시킨다.
더블러 정류기(130)는 전파정류 다이오드(D1, D2), 고주파 커패시터(C1, C2), 전해 콘덴서(C3)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더블러 정류기(130)는 고주파 변압기(120)의 누설 인덕턴스(L)와 상기 고주파 커패시터(C1, C2)를 통해 푸시풀 컨버터(110) 1차측의 제 1 스위칭 소자(S1)가 턴 온 및 턴 오프 시, 소프트 스위칭되도 록 함으로써, 컨덕턴스 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 스위칭(Soft Swiching)은, 하드 스위치(Hard Swiching)과 반대되는 개념으로서, 스위칭 손실이 낮고 방사 노이즈가 적으며, 각 소자들의 전압 및 전류 스트레스를 적게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더블러 정류기(130)는 고주파 변압기(120)의 출력전압을 전파정류시키고, 그 크기를 두 배로 증폭시키며, 상기 고주파 변압기(120)의 2차측에 연결되어, 고주파 변압기(120)의 변압비를 줄여 동손 및 코어손을 줄일 수 있다.
DC 링크 필터(140)는 평활용 필터(L1, C4)를 통해 더블러 정류기(13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평활화한다.
또한, DC/AC 인버터부(200)는 DC 링크 필터(140)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하여 계통에 공급한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연료전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인가받아 다중레벨 컨버터부(100)로 전달하되, 직렬로 다중 연결된 4대의 DC/DC 컨버터(A,B,C,D) 각각을 동작 또는 정지시킬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레벨 컨버터부(100)는 상기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고주파 변압기(120)의 변압비 레벨에 따라 직렬로 DC/DC 컨버터(A,B,C,D) 4대가 연결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다중레벨 컨버터부(100)는 연료전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이 심하게 변동되더라도, DC/AC 인버터부(200)로 전압을 일정하게 인가할 수 있도록, 4대의 고주파 변압기(120)중, 2대는 승압형으로 2대는 감압형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레벨 컨버터부(100)를 보이는 일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DC/DC 컨버터(A,B,C,D) 레벨을 다르게 하기 위하여 고주파 변압기(120) 각각의 변압비를 서로 다르게 하였다. 이때, DC/DC 컨버터(A,B,C,D)의 입력전압 최소값에 의해 각각의 변압비를 설정할 수 있다.
전압레벨의 합은 입력전압이 가장 낮은 경우의 15레벨에서 입력전압이 가장 클 경우의 8레벨까지로 지정되어져있다.
D : 8레벨, C : 4레벨, B : 2레벨, A : 1레벨로 설정하여 8레벨부터 15레벨까지의 조합이 이루어지며, [표 1] 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표 1]
전압레벨합 15 Level 14 Level 13 Level 12 Level 11 Level 10 Level 9 Level 8 Level
A컨버터 도통 비도통 도통 비도통 도통 비도통 도통 비도통
B컨버터 도통 도통 비도통 비도통 도통 도통 비도통 비도통
C컨버터 도통 도통 도통 도통 비도통 비도통 비도통 비도통
D컨버터 도통 도통 도통 도통 도통 도통 도통 도통
[표 1] 에서 보인 바와 같이, 입력전압의 최소전압이 되었을 때 모든 DC/DC 컨버터가 도통이 되며, 최대전압범위에서는 용량이 가장 큰 컨버터만 도통이 되게끔 설계를 한다. 나머지 두 대의 컨버터는 최대 컨버터의 절반과 반의반 용량으로 설계하여 각각 컨버터의 효율이 분산되도록 설계를 하였다.
도 2 의 (b) 는 하드 스위칭 기법의 풀브릿지 컨버터의 출력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3 의 (b) 는 하드 스위칭 기법의 푸쉬풀 컨버터의 출력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도 5 와 같이 설계한 다중레벨 컨버터를 사용한 출력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하드 스위칭 기법의 풀브릿지 또는 푸쉬풀 컨버터의 출력효율과 비교하여, 상기 도 5 와 같이 설계한 다중레벨 컨버터를 사용하면 낮은 전력에서도 전력변환 효율이 월등히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2 의 (c) 와 도 3 의 (c) 는 각각 풀브릿지와 푸쉬풀 타입에 적용된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출력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인버터의 효율은 낮은 전력에서 제외하고 거의 동일할 효율 96%를 나타낸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컨버터의 효율을 향상시키면 연료전지에서 출력되는 전력을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용전원으로 변환시키는 효율이 상당히 증가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직렬로 다중 연결된 DC/DC 컨버터(100)는, 낮은 전압과 낮은 전류스트레스를 갖도록 인덕터 사용없이 변압기의 누설 인덕턴스를 사용하여, PWM 컨버터에서 발생되는 스위칭 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소프트 스위칭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정격영역에서 뿐만 아니라 수용가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량만큼 자유롭게 출력하여 쓸 수 있는 연료전지의 다양한 출력 영역에서 최소의 손실로 고 효율 전기에너지로 전달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a 는 저주파(60Hz) 변압기를 사용하는 방식의 연료전지용 전력변환장치에 관한 구성도.
도 1b 는 고주파 변압기를 사용하는 고주파 링크 방식의 연료전지용 전력변환장치에 관한 구성도.
도 2 의 (a) 는 풀브릿지 타입 전력변환장치(컨버터+인터버)의 전체 출력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2 의 (b) 는 하드 스위칭 기법의 풀브릿지 컨버터의 출력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2 의 (c) 는 풀 브릿지 타입에 적용된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출력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3 의 (a) 는 푸시풀 타입 전력변환장치(컨버터+인버터)의 전체 출력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3 의 (b) 는 하드 스위칭 기법의 푸쉬풀 컨버터의 출력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3 의 (c) 는 푸쉬풀 타입에 적용된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출력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레벨 컨버터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전력변환장치에 관한 전체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레벨 컨버터부를 보이는 일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 와 같이 설계한 다중레벨 컨버터를 사용한 출력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다중레벨 컨버터부 200: DC/AC 인버터부
300: 제어부 110: 푸시풀 컨버터
120: 고주파 변압기 130: 더블러 정류기
140: DC 링크 필터

Claims (7)

  1. 다중레벨 컨버터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전력변환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DC/DC 컨버터로 이루어지며, 연료전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인가받으며, 출력되는 연료전지의 전압 변동에 관계 없이 일정하게 전압을 출력하는 다중레벨 컨버터부(100);
    상기 다중레벨 컨버터부(100)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하여 계통에 공급하는 DC/AC 인버터부(200); 및
    연료전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다중레벨 컨버터부(100)로 전달하며, 다중 연결된 상기 DC/DC 컨버터 각각을 동작 또는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제어부(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레벨 컨버터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전력변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C/DC 컨버터는,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독립적으로 턴온 및 턴오프되는 제 1 스위칭 소자(S1) 및 제 2 스위칭 소자(S2)를 포함하는 푸시풀(Push-Pull) 컨버터(110);
    1차 권선(Np)과 2차 권선(Ns)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누설 인덕턴스(L)를 포함하며, 상기 푸시풀 컨버터부(110)에서 출력되는 교류전압을 변화시키는 고주파 변압기(120);
    전파정류 다이오드(D1, D2), 고주파 커패시터(C1, C2), 전해 콘덴서(C3)로 이루어져, 상기 고주파 변압기(120)의 누설 인덕턴스(L)와 상기 고주파 커패시터(C1, C2)를 통해 푸시풀 컨버터부(110) 1차측의 제 1 스위칭 소자(S1)가 턴 온 및 턴 오프 시, 소프트 스위칭되도록 하는 더블러 정류기(130); 및
    상기 평활용 필터(L1, C4)를 통해 상기 더블러 정류부(13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평활화하는 DC 링크 필터(140); 를 포함하되,
    상기 푸시풀 컨버터(110), 고주파 변압기(120), 더블러 정류기(130) 및 상기 DC 링크 필터(140)는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레벨 컨버터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전력변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DC/DC 컨버터는, 서로 다른 고주파 변압기(120)의 변압비 레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레벨 컨버터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전력변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레벨 컨버터부(100)는,
    연료전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이 심하게 변동되더라도 상기 DC/AC 인버터 부(200)로 일정하게 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4대의 고주파 변압기(120)중, 2대는 승압형, 2대는 감압형으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레벨 컨버터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전력변환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러 정류기(130)는,
    상기 고주파 변압기(120)의 출력전압을 전파정류시키고, 그 크기를 두 배로 증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레벨 컨버터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전력변환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러 정류기(130)는, 상기 고주파 변압기(120)의 2차측에 연결되어, 상기 고주파 변압기(120)의 변압비를 줄여 동손 및 코어손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레벨 컨버터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전력변환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DC/DC 컨버터는,
    연료전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에 따라, 각각 개별적으로 도통 또는 비도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레벨 컨버터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전력변환장치.
KR1020090063886A 2009-07-14 2009-07-14 다중레벨 컨버터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전력변환장치 KR101070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886A KR101070726B1 (ko) 2009-07-14 2009-07-14 다중레벨 컨버터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전력변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886A KR101070726B1 (ko) 2009-07-14 2009-07-14 다중레벨 컨버터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전력변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310A KR20110006310A (ko) 2011-01-20
KR101070726B1 true KR101070726B1 (ko) 2011-10-07

Family

ID=43613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3886A KR101070726B1 (ko) 2009-07-14 2009-07-14 다중레벨 컨버터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전력변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07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973B1 (ko) * 2014-03-14 2014-11-28 (주)지필로스 멀티레벨 인버터를 적용한 연료전지용 전력변환장치 및 중성점 전위 불평형 저감 방법
KR102095999B1 (ko) * 2017-11-10 2020-04-0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전력관리가 가능한 미생물연료전지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3246A (ja) 2002-03-12 2003-09-19 Ricoh Co Ltd 電子機器の電源回路
US20060152085A1 (en) 2004-10-20 2006-07-13 Fred Flett Power system method and apparatus
JP2009123599A (ja) 2007-11-16 2009-06-04 Yamatake Corp 発電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3246A (ja) 2002-03-12 2003-09-19 Ricoh Co Ltd 電子機器の電源回路
US20060152085A1 (en) 2004-10-20 2006-07-13 Fred Flett Power system method and apparatus
JP2009123599A (ja) 2007-11-16 2009-06-04 Yamatake Corp 発電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310A (ko) 201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hattacharjee et al. Review of multiport converters for solar and energy storage integration
US10404071B2 (en) Power system for multiple power sources
Tseng et al. High step-up high-efficiency interleaved converter with voltage multiplier module for renewable energy system
Hu et al. A review of power decoupling techniques for microinverters with three different decoupling capacitor locations in PV systems
Hu et al. A single-stage microinverter without using eletrolytic capacitors
Chub et al. Multiphase quasi-Z-source DC–DC converters for residential distributed generation systems
Gu et al. High boost ratio hybrid transformer DC–DC converter for photovoltaic module applications
Yang et al. Analysis and implementation of a novel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US9413271B2 (en) Power conversion system with a DC to DC boost converter
US8928176B2 (en) Energy storage system
Liu et al. Cascade dual-boost/buck active-front-end converter for intelligent universal transformer
US20120155139A1 (en) Electrical Energy Conversion Circuit Device
CN110336320B (zh) 一种基于电能路由器的新能源并网或就地消纳系统
Liu et al. Interleaved high step-up converter with coupled inductor and voltage multiplier for renewable energy system
Arab Ansari et al. Analysis and implementation of a new zero current switching flyback inverter
Tseng et al. A high-efficiency high step-up interleaved converter with a voltage multiplier for electric vehicle power management applications
Lithesh et al. Review and comparative study of bi-directional DC-DC converters
Alluhaybi et al. Review and comparison of single-phase grid-tied photovoltaic microinverters
TW201946359A (zh) 高電壓增益之直流電源轉換器
KR101070726B1 (ko) 다중레벨 컨버터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전력변환장치
EP3316467A2 (en) Power system for multiple power sources
Mayer et al. Three‐phase step‐up/step‐down isolated dc‐dc converter with wide‐range duty cycle for low dc renewable energy sources applications
Liivik et al. Input-parallel output-series cascading possibilities of single-switch galvanically isolated quasi-Z-source DC-DC converters
CN112583268A (zh) 模块化多电平直流变换器
Chorishiya et al. A review: Multilevel hybrid ultra-boost converter topologies for pv solar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9